KR20190055566A -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 Google Patents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566A
KR20190055566A KR1020170152418A KR20170152418A KR20190055566A KR 20190055566 A KR20190055566 A KR 20190055566A KR 1020170152418 A KR1020170152418 A KR 1020170152418A KR 20170152418 A KR20170152418 A KR 20170152418A KR 20190055566 A KR20190055566 A KR 20190055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plate
horizontal plate
hol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3266B1 (ko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1020170152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2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5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12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ovable parts of the receptacle
    • A01C15/124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ovable parts of the receptacle with adjustable shutters or sl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뿌림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에 장착되는 로터베이터의 상부에 장착되어 이랑이나 고랑과 같은 부분에 집중적으로 균형있게 살포되도록 한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직플레이트와;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하부는 로터베이터에 장착되고, 제1배출공 및 제2배출공이 형성된 수평프레이트와; 상기 제1배출공 및 제2배출공과 대응되게 제3배출공 및 제4배출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통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장착되는 판재부와; 일측은 상기 수직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통장착부에 고정장착되어 비료가 수용되는 비료통과; 상기 제1배출공 및 제2배출공과 연통되게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비료를 배출 분배하는 분배관과; 일측에는 상기 제3배출공 및 제4배출공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1개폐공 및 제2개폐공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수직플레이트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판재부 사이에서 슬라이딩결합되는 셔터부재와; 상기 셔터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분배관으로 배출되는 비료량을 조절하는 배출량조절수단:로 구성되어 비료를 균형살포하는 줄뿌림 비료살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Side manuring spreader for equivalent scatter of fertilizer}
본 발명은 줄뿌림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로터베이터의 상부에 장착하여 이랑이나 고랑에 대한 부분에 균형있게 집중적으로 측조시비하는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는 각종 농작업의 작업기에 동력을 연결하는 동력원(power source)으로서 트랙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트랙터에는 일정한 농작업을 하기 위해 플라우(plow), 해로우(harrow), 로터베이터, 파종기, 비료살포기 등의 각종 작업기를 트랙터의 본체에 결합하여 트랙터의 동력으로 로타리작업, 배토기작업, 파종작업, 비료살포작업 등의 여러 가지 농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렇게 수행하는 농작업 중에서 비료살포작업은 트랙터에 비료살포기를 결합하여 비료를 살포하게 되는데, 이때 비료살포기는 트랙터의 후면에 전체적으로 비료를 살포하게 함으로써 비료가 낭비되고 토양에 대한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료살포기는 다른 농작업과는 무관하게 트랙터 등 농기계에 장착하여 단순히 비료 살포작업만을 하게 되어 있어서 필요한 농작업이 동시에 수행되지 않으므로 생력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은 농작업이 동시에 수행되는 줄뿌림 비료살포기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10-2017-0106268호(출원일자 2017년08월22일)로 출원하였다.
그런데 특허출원 제10-2017-0106268호(출원일자 2017년08월22일)의 줄뿌림 비료살포기는 비료통 내의 비료가 셔터부재의 작동으로 하나의 배출공을 통해 하나의 분배관으로 배출되어 분배관에서 양측으로 갈라진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배출되는 비료가 분배관의 양측으로 균일하게 배출되지 않게 되어 경작지의 이랑에 대한 측조시비 즉,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의 이랑이나 고랑 부분에 대한 비료의 줄뿌림이 균일하게 살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농작물의 성장이 불균형을 이루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트랙터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기존의 로터베이터에 장착하여 로타리작업 등 여러 가지 농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음과 함께 경작지의 이랑이나 고랑 부분에 대한 측조시비 즉,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의 이랑이나 고랑 부분에 대해 비료의 줄뿌림이 균일하게 살포되도록 한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의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출원 제10-2017-0106268호(출원일자 2017년08월22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트랙터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기존의 로터베이터에 장착하여 로터리 작업 및 비료의 줄뿌림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살포되는 비료의 양이 최적상태로 조절되면서 양측의 분배관으로 비료를 균일하게 분배되게 하여 배출되도록 한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플레이트와;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하부는 장착수단에 의해 로터베이터에 장착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면에는 통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면에 이격되게 장착되는 판재부와; 일측은 상기 수직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통장착부에 고정장착되어 비료가 수용되는 비료통과; 타측은 수직플레이트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평플레이트와 판재부 사이에서 슬라이딩결합되는 셔터부재와; 상기 셔터부재를 슬라이딩이동시켜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비료량을 조절하는 배출량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줄뿌림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에는 비료통의 비료가 배출되는 제1배출공 및 제2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판재부에는 상기 제1배출공 및 제2배출공과 대응되게 제3배출공 및 제4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셔터부재에는 상기 제3배출공 및 제4배출공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1개폐공 및 제2개폐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하부면 양측에는 상기 제1배출공 및 제2배출공과 연통되게 비료를 배출 분배하는 분배관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량조절수단은 일측이 수평플레이트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셔터부재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수평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봉과;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봉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셔터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는 연동부재와; 상기 수직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상부 외주연에는 랙기어가 형성된 회전부재와;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봉과 힌지결합되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딩봉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링크와; 상기 회전부재의 랙기어와 맞물리도록 수직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로 구성되어 분배관으로 배출되는 비료량을 자동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셔터부재의 슬라이딩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개폐량을 조절하는 개폐량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량조절수단은 일측에는 셔터부재의 제1경사면과 접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셔터부재의 슬라이딩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공이 형성된 이동판재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면에 슬라이딩공으로 관통되게 돌출형성되어 슬라이딩공을 따라 이동판재가 이동되게 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에 나사결합되어 이동판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셔터부재의 개폐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수평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된 눈금부와; 상기 눈금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연동부재와 연동되는 지시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시부재가 연동부재에 의해 이동하여 지시하는 눈금부의 위치에 의해 개폐량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랙터에 결합되는 기존의 로터베이터에 줄뿌림 비료살포기를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로터베이터와 함께 장착된 줄뿌림 살포기에 의해 로터리작업과 배토작업 및 비료의 측조시비 즉, 비료의 줄뿌림 살포 작업을 균형있게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량조절수단에 의한 셔터부재의 조절에 의하여 비료통에서 공급되는 비료의 양을 자동조절하여 양측의 분배관으로 균일하게 비료를 분배하여 배출하게 되므로 줄뿌림되는 비료의 양을 최적상태에서 균일하게 살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농작물 성장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에서 비료통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에서 셔터부재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에서 개폐량조절부재에 의해 셔터부재가 정지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에서 비료통, 수평플레이트, 판재부 및 셔터부재를 절개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가 로터베이터의 양측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가 로터베이터에 장착되어 트랙터에 연결된 상태의 측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는 수직플레이트(110), 수평플레이트(120), 판재부(200), 비료통(130), 배출관(300), 분배관(310), 셔터부재(400), 배출량조절수단(500), 개폐량조절수단(600), 표시부(700), 분쇄수단(800) 및 장착수단을 주요 구성으로 하며,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줄뿌림 비료살포기가 장착수단에 의해 기존의 로터베이터(10)의 양측의 일정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플레이트(110)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지지하는 프레임이며, 수직플레이트(110)는 후술하는 비료통(130) 및 배출량조절수단(500)을 지지한다.
상기 수평플레이트(120)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플레이트(11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플레이트(120)의 하부는 첨부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기존의 로터베이터(10)의 상부에 고정장착된다.
이때, 상기 수평플레이트(120)의 하부를 로터베이터(10)에 장착할 때에는 장착수단에 의해 고정장착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플레이트(120)에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료가 배출되는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은 후술하는 셔터부재(40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판재부(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플레이트(120)의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과 대응되게 제3배출공(210) 및 제4배출공(21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후술하는 비료통(130)이 장착되는 통장착부(2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판재부(200)는 상기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과 상기 제3배출공(210) 및 제4배출공(211)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기 수평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장착된다.
이렇게 장착된 상기 판재부(200)에는 후술하는 셔터부재(40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제1배출공(121) 및 제1배출공(122)과 제3배출공(210) 및 제4배출공(211)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비료통(130)에서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비료통(1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수직플레이트(110)에 고정되고, 하부는 통장착부(220)에 고정장착되어 비료가 수용된다.
이러한 상기 비료통(13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배출구가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분배관(310,3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과 연통되게 수평플레이트(120)의 하부에 양측으로 장착되어 비료를 배출 분배한다.
즉, 상기 분배관(310,310)은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과 제3배출공(210) 및 제4배출공(211)을 통해 배출되는 비료를 배출관(300,300)으로 배출되게 하여 일정한 위치의 지면에 측조시비 즉, 비료의 줄뿌림이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분배관(310,310)에 연결된 배출관(300,300)의 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지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셔터부재(4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상기 제3배출공(210) 및 제4배출공(211)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1개폐공(410) 및 제2개폐공(411)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수직플레이트(110)보다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셔터부재(400)는 수평플레이트(120)와 판재부(200) 사이 즉, 상기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과 제3배출공(210) 및 제4배출공(211) 사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과 제3배출공(210) 및 제4배출공(211) 사이를 제1개폐공(410) 및 제2개폐공(411)이 이동되면서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배출량조절수단(500)은 상기 셔터부재(40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분배관(310,310)으로 배출되는 비료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배출량조절수단(500)은 슬라이딩봉(510), 연동부재(520), 회전부재(530), 변환링크(540), 웜기어(550), 제1모터(560) 및 트랙터의 운전석에 장착되어 셔터부재(400)를 개폐시키는 제1모터(56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콘트롤러는 트랙터의 운전석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봉(5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수평플레이트(12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셔터부재(40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수평플레이트(120)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봉(510)은 상기 셔터부재(4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수평플레이트(120)에 상면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봉(510)은 비료통(130)과 접촉되지 않게 상기 수직플레이트(110)와 통장착부(220) 사이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부재(5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봉(510)의 일측 즉, 상기 수평플레이트(120)에서 돌출된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셔터부재(400)의 타측 즉, 상기 수평플레이트(120)의 측면으로 돌출된 셔터부재(400)의 타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연동부재(5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봉(510)이 상기 수평플레이트(120)에서 슬라이딩 될 때, 셔터부재(400)도 함께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연동부재(520)는 슬라이딩봉(510)과 셔터부재(400)가 같이 움직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부재(5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봉(510)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플레이트(1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재(530)에는 수직플레이트(1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상부 외주연에 랙기어(531)가 형성된다.
상기 랙기어(531)는 후술하는 웜기어(550)와 맞물려 회전부재(530)를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530)의 하부 즉, 상기 수직플레이트(1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 외주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링크(5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변환링크(540)는 회전부재(530)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딩봉(51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상기 변환링크(540)는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530)에 즉, 회전부재(530)의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변환링크(540)의 타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방향으로 슬라이딩봉(510)과 힌지결합되는 장공(541)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541)은 상기 회전부재(530)가 회전하면서 일체로 형성된 변환링크(540)도 함께 회전하면서 좌우로 이동할 때, 슬라이딩봉(510)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좌우로만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웜기어(5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530)의 랙기어(531)와 맞물리도록 수직플레이트(110)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웜기어(550)는 제1모터(560)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부재(530)를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모터(560)와 웜기어(550) 사이에는 감속기어박스를 배치하여 웜기어(55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530)가 천천히 회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모터(56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도시되지 않음)는 트랙터의 운전석에 장착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이 콘트롤러에 의해 제1모터(560)를 제어한다.
즉, 트랙터에 탑승한 작업자가 운전석에서 상기 콘트롤러를 조작함으로써 제1모터(560)의 회전방향을 좌우로 제어하며, 상기 로터베이터(10)의 상단부에 장착된 두대의 줄뿌림 비료살포기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동시에 제어되어 분배관(310,310)으로 낙하되는 비료는 배출관(300,300)을 통하여 트랙터의 후면, 즉 트랙터와 로터베이터의 사이에 줄뿌림으로 살포된다.
이러한 상기 콘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부재(40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셔터부재(40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비료의 배출량을 줄이고자 할 때에는 도 3(b)에 도시된 같이 제1모터(5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웜기어(550)가 회전하면서 회전부재(530)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전부재(530)가 회전하면 변환링크(540)도 함께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봉(510)이 슬라이딩되어 셔터부재(400)의 제1개폐공(410) 및 제2개폐공(411)과 판재부(200)의 제3배출공(210) 및 제4배출공(211)이 연통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지며, 상기 슬라이딩봉(510)이 슬라이딩되면 연동부재(52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셔터부재(400)가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도 3(c), 도 3(b), 도 3(a)의 순서대로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이 닫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부재(400)를 이동시켜 비료의 배출량을 늘리고자 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의 반대방향으로 하면 제1모터(560)가 역회전되며, 이에 따라 셔터부재(400)가 슬라이딩되면서 도 3(a), 도 3(b), 도 3(c)의 순서대로 수평플레이트(120)의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과 셔터부재(400)의 제1개폐공(410) 및 제2개폐공(411)이 일치하게 되면서 수평플레이트(120)의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이 필요한 양만큼 열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작업자가 트랙터에 탑승한 상태에서 이동작업 중에 배출되는 비료량을 조절함으로써, 토양의 상태 및 트랙터의 이동속도에 맞게 살포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비료가 배출되는 상태에서 셔터부재(400)가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셔터부재(40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하여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자동으로 조절되어 배출되는 비료는 수평플레이트(120)의 하부에 양측으로 결합 연결된 분배관(310,310)으로 균일하고 균형되게 배출된다.
한편, 상기 셔터부재(40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분배관(310,310)으로 배출되는 비료량을 조절하는 배출량조절수단(500)은 손잡이가 형성된 레버로 구성하여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량조절수단(600)은 셔터부재(400)의 슬라이딩 이동거리 즉, 상기 수평플레이트(120)의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과 셔터부재(400)의 제1개폐공(410) 및 제2개폐공(411)의 일치하는 개폐량을 조절하는 셔터부재(400)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셔터부재(400)의 일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면(4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량조절수단(600)은 이동판재(610), 볼트부재(620) 및 고정수단(630)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판재(6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제1경사면(420)과 접하는 제2경사면(6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재(610)의 중앙에는 셔터부재(400)의 슬라이딩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공(6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동판재(610)가 셔터부재(400)의 슬라이딩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경사면(420)과 제2경사면(611)이 접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셔터부재(400)의 최대 슬라이딩 이동거리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재(620)는 수평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슬라이딩공(612)으로 관통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공(612)을 따라 이동판재(610)가 이동되게 한다.
즉, 상기 볼트부재(620)는 이동판재(610)가 셔터부재(400)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630)은 볼트부재(620)에 나사결합되어 이동판재(610)를 고정한다.
즉, 상기 고정수단(6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공(612)을 따라 이동한 이동판재(610)를 더 이상 이동되게 않게 하여 상기 제1경사면(420)과 제2경사면(611)이 접하는 위치를 고정시켜 셔터부재(400)의 최대 슬라이딩 거리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개폐량조절수단(60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셔터부재(400)의 슬라이딩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수평플레이트(120)의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와 셔터부재(400)의 제1개폐공(410) 및 제2개폐공(411)의 일치하는 위치를 고정하여 최대로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판재(610)의 이동량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601)을 표시하며, 이 눈금(601)에 의해 셔터부재(400)에 의한 제1배출구(121) 및 제2배출구(122)와 제1개폐공(410) 및 제2개폐공(411)의 최대 일치량 즉, 최대로 열리는 양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700)는 셔터부재(400)의 이동거리를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700)는 셔터부재(40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과 제1개폐공(410) 및 제2개폐공(411)이 얼마나 일치하여 비료의 배출량이 얼마인지 알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700)는 눈금부(710)와 지시부재(7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눈금부(7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플레이트(120) 측면 즉, 상기 수직플레이트(110)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시부재(720)는 연동부재(520)와 연동되어 상기 눈금부(7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지시부재(720)는 연동부재(520)에 의해 함께 이동하여 지시하는 눈금부(710)의 위치에 의해 셔터부재(400)의 개폐량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표시부(70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3배출공(210) 및 제4배출공(211)과 제1개폐공(410) 및 제2개폐공(411)의 개폐량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상기 분쇄수단(800)은 비료통(130)에 수용된 비료를 분쇄한다. 즉, 분쇄수단(800)은 덩어리진 상태의 비료를 분쇄하여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상기 분쇄수단(800)은 제2모터(810)와 전동축(82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모터(81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료통(130)의 측면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모터(810)는 직류모터 또는 유압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축(8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비료통(130)에 배치되어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날개(821)가 형성되고, 타측은 제2모터(810)와 결합되어 연동된다.
이러한 상기 전동축(820)은 제2모터(8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다수개의 날개(821)가 회전하여 덩어리지거나 배출되지 않는 비료를 분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쇄수단(80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3배출공(210) 및 제4배출공(211)으로 비료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분배관(310,3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300,300)과 수평플레이트(120)의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 사이에 장착되며, 비료통(130)에서 배출되는 비료를 셔터부재(400)의 제1개폐공(410) 및 제2개폐공(411)에 의해 원활하고 균형있게 배출 분배한다.
이와 같은 상기 분배관(310,310)에 의해 두줄의 줄뿌림으로 비료를 살포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로터베이터(10)의 상단부 양측에 두대의 줄뿌림 살포기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모두 네줄로 비료의 측조시비 즉, 네줄의 줄뿌림 비료살포가 가능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네줄 이상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줄뿌림 비료살포기를 로터베이터(10)에 장착하는 장착수단은 도 1, 도 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플레이트(120)를 로터베이터(10)의 상부에 장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장착수단은 U볼트(910) 및 지지부재(9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U볼트(910)는 로터베이터(10)의 회전축하우징(11)의 감싸서 수평플레이트(120)에 볼트결합되며, 이때 U볼트(910)는 좌우 양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부재(920)는 하단은 로터베이터(10)의 상면에 접하고, 상단은 수평플레이트(120)에 볼트결합되어 수평플레이트(1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재(9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뿌림 살포기의 수평플레이트(120)가 U볼트(910)에 의해 로터베이터(10)의 회전축하우징(11)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축하우징(11)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않게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부재(920)는 수평플레이트(120)에 고정되어 수평플레이트(120)와 지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장착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줄뿌림 비료살포기를 쉽게 로터베이터(10)에 장착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로터베이터(10)의 좌우 양측 또는 위치를 조절하여 장착할 수도 있고, 상기 셔터부재(400)에 대해서도 한개의 개폐공이 형성된 셔터부재로 교체하여 사용하면 한줄의 비료 줄뿌림이 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은 비료의 줄뿌림 및 살포위치를 경작조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는 상기 장착수단에 의해 로터베이터(10)의 상단부 양측 또는 일정한 위치에 장착하여 한줄 내지 두줄 또는 두줄 내지 네줄의 측조시비 즉, 여러줄의 줄뿌림 비료살포를 할 수 있게 되며, 배출되는 비료의 양도 일정하게 배분되어 균형되게 배출되므로 농작물의 불균형된 성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로터베이터 11 : 회전축하우징
110 : 수직플레이트 120 : 수평플레이트
121 : 제1배출공 122 : 제2배출공
130 : 비료통 200 : 판재부
210 : 제3배출공 211 : 제4배출공
220 : 통장착부 300 : 배출관
310 : 분배관 400 : 셔터부재
410 : 제1개폐공 411 : 제2개폐공
420 : 제1경사면 500 : 배출량조절수단
510 : 슬라이딩봉 520 : 연동부재
530 : 회전부재 531 : 랙기어
540 : 변환링크 550 : 웜기어
560 : 제1모터 600 : 개폐량조절수단
610 : 이동판재 611 : 제2경사면
612 : 슬라이딩공 620 : 볼트부재
630 : 고정수단 700 : 표시부
710 : 눈금부 720 : 지시부재
800 : 분쇄수단 810 : 제2모터
820 : 전동축 821 : 날개
910 : U볼트 920 : 지지부재

Claims (6)

  1. 수직플레이트(110)와; 상기 수직플레이트(110)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하부는 장착수단에 의해 로터베이터(10)에 장착되는 수평플레이트(120)와; 상면에는 통장착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이격되게 장착되는 판재부(200)와; 일측은 상기 수직플레이트(110)에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통장착부(220)에 고정장착되어 비료가 수용되는 비료통(130)과; 타측은 수직플레이트(110)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평플레이트(120)와 판재부(200) 사이에서 슬라이딩결합되는 셔터부재(400)와; 상기 셔터부재(400)를 슬라이딩이동시켜 배출관(300,300)으로 배출되는 비료량을 조절하는 배출량조절수단(500);을 포함하는 줄뿌림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120)에는 비료통(130)의 비료가 배출되는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판재부(200)에는 상기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과 대응되게 제3배출공(210) 및 제4배출공(211)이 형성되며;
    상기 셔터부재(400)에는 상기 제3배출공(210) 및 제4배출공(211)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1개폐공(410) 및 제2개폐공(411)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120)의 하부면 양측에는 상기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122)과 연통되게 비료를 배출 분배하는 분배관(310,31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조절수단(500)은 일측이 수평플레이트(12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셔터부재(400)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수평플레이트(1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봉(510)과;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봉(5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셔터부재(4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연동부재(520)와; 상기 수직플레이트(1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상부 외주연에는 랙기어(531)가 형성된 회전부재(530)와;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530)의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봉(510)과 힌지결합되는 장공(541)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530)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딩봉(51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링크(540)와; 상기 회전부재(530)의 랙기어(531)와 맞물리도록 수직플레이트(110)에 장착되는 웜기어(550)와; 상기 웜기어(550)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560);로 구성되어 상기 배출관(310,310)으로 배출되는 비료량을 자동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400)의 슬라이딩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개폐량을 조절하는 개폐량조절수단(6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량조절수단(600)은 일측에는 셔터부재(400)의 제1경사면(420)과 접하는 제2경사면(61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셔터부재(400)의 슬라이딩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공(612)이 형성된 이동판재(610)와; 상기 수평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슬라이딩공(612)으로 관통되게 돌출형성되어 슬라이딩공(612)을 따라 이동판재(610)가 이동되게 하는 볼트부재(620)와; 상기 볼트부재(620)에 나사결합되어 이동판재(6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6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400)의 개폐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7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700)는 수평플레이트(120)의 측면에 형성된 눈금부(710)와; 상기 눈금부(7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연동부재(520)와 연동되는 지시부재(7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시부재(720)가 연동부재(520)에 의해 이동하여 지시하는 눈금부(710)의 위치에 의해 개폐량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터베이터(10)에 장착되는 수평플레이트(120)의 장착수단은 로터베이터(10)의 회전축하우징(11)의 하부를 감싸서 수평플레이트(120)에 볼트결합되는 U볼트(910)와; 하단은 로터베이터(10)의 상면에 접하고, 상단은 수평플레이트(120)에 볼트결합되어 수평플레이트(1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부재(9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400)는 콘트롤러에 의한 자동식 또는 레버에 의한 수동식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KR1020170152418A 2017-11-15 2017-11-15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KR102003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418A KR102003266B1 (ko) 2017-11-15 2017-11-15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418A KR102003266B1 (ko) 2017-11-15 2017-11-15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566A true KR20190055566A (ko) 2019-05-23
KR102003266B1 KR102003266B1 (ko) 2019-07-24

Family

ID=6668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418A KR102003266B1 (ko) 2017-11-15 2017-11-15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2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1992A (zh) * 2019-05-31 2019-08-16 蒋凯 一种操作方便的农用播种机
CN114303557A (zh) * 2022-01-21 2022-04-12 李秀川 一种农业机械智能化施肥装置
KR20220070863A (ko) * 2020-11-23 2022-05-31 유한회사 광원기계 트랙터 장착용 입제 살포장치
CN114946356A (zh) * 2022-06-25 2022-08-30 安徽省农业科学院园艺研究所 一种可调节式马铃薯栽培用定量施肥装置
CN115088447A (zh) * 2022-08-01 2022-09-23 山西省农业广播电视学校大同市分校 一种果园施肥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5750A (ja) * 2006-08-03 2008-02-21 Jiyoonishi:Kk 散布装置
JP2015146753A (ja) * 2014-02-05 2015-08-20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肥料散布機
KR20170002136U (ko) * 2015-12-08 2017-06-16 김완수 비료살포기
KR20170106268A (ko) 2017-09-11 2017-09-20 언와이어드 플래넷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5750A (ja) * 2006-08-03 2008-02-21 Jiyoonishi:Kk 散布装置
JP2015146753A (ja) * 2014-02-05 2015-08-20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肥料散布機
KR20170002136U (ko) * 2015-12-08 2017-06-16 김완수 비료살포기
KR20170106268A (ko) 2017-09-11 2017-09-20 언와이어드 플래넷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1992A (zh) * 2019-05-31 2019-08-16 蒋凯 一种操作方便的农用播种机
CN110121992B (zh) * 2019-05-31 2022-05-10 潍坊华博农业装备有限公司 一种操作方便的农用播种机
KR20220070863A (ko) * 2020-11-23 2022-05-31 유한회사 광원기계 트랙터 장착용 입제 살포장치
CN114303557A (zh) * 2022-01-21 2022-04-12 李秀川 一种农业机械智能化施肥装置
CN114946356A (zh) * 2022-06-25 2022-08-30 安徽省农业科学院园艺研究所 一种可调节式马铃薯栽培用定量施肥装置
CN114946356B (zh) * 2022-06-25 2024-04-19 安徽省农业科学院园艺研究所 一种可调节式马铃薯栽培用定量施肥装置
CN115088447A (zh) * 2022-08-01 2022-09-23 山西省农业广播电视学校大同市分校 一种果园施肥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266B1 (ko)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266B1 (ko)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US10687452B2 (en) Multifunctional implement for farming and gardening
RU238312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ева с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для внесения удобрений, установленным на переднем валу
CN106717192A (zh) 一种旋耕播种施肥施药多功能旱直播机
US3685469A (en) Combination soil conditioner and seeder
KR20140092188A (ko)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KR101992462B1 (ko) 줄뿌림 비료살포기
KR100981652B1 (ko) 다목적 농기계
KR20030071180A (ko) 직파기
WO2013183988A2 (en) Dosing device
CN117461418A (zh) 一种小麦等深匀播机及工作方法
CN202873293U (zh) 油菜播种机
CN210694910U (zh) 一种施肥施药装置
KR100740044B1 (ko) 비료의 두둑 줄 뿌림 장치
KR102524065B1 (ko) 비료를 정밀하게 살포할 수 있는 다목적 농작업기
CN2810133Y (zh) 多功能播种机
KR200470909Y1 (ko) 비료살포기의 살포량 정밀 조절 장치
KR102257364B1 (ko) 비료살포기와 배토기 및 로터베이터가 결합된 3공정 농작업기
JP2003289785A (ja) 薬剤散布装置及び畝成形装置及び薬剤散布方法及び薬剤散布・施肥方法
CN211321945U (zh) 播种机
AU707698B2 (en) Spot-cultivation system
CN200983746Y (zh) 起垄式小麦免耕施肥播种机
CN109937649B (zh) 蔬菜种子播种用洒种装置
KR20210097962A (ko) 농기계용 파종기 연결장치
KR20230121498A (ko) 송풍식 비료살포기가 장착된 다목적 농작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