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532A -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 Google Patents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532A
KR20190054532A KR1020170151194A KR20170151194A KR20190054532A KR 20190054532 A KR20190054532 A KR 20190054532A KR 1020170151194 A KR1020170151194 A KR 1020170151194A KR 20170151194 A KR20170151194 A KR 20170151194A KR 20190054532 A KR20190054532 A KR 20190054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smart
control board
unit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502B1 (ko
Inventor
홍주형
박경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라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라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라콤
Priority to KR1020170151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5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9Mechanical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특허에서는 기존 차량에 설치된 다양한 스마트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기능의 중복으로, 정보를 중복해서 수집함과 동시에 장비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없는문제점과, 유지관리비가 증가하고, 전력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 유해한 전자파로 인해 차량 운전자의 집중을 분산시키고, 차내환경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플랫폼본체(100), CPU부(200), 플랫폼 메인보드부(300), 파워모듈(Power Module)(400), 근거리무선통신부(500),유무선통신부(600), 센서모듈(700)이 구성됨으로서, 차량 또는 산업설비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연결시켜 정보를 공유하고, 플랫폼을 통해 정보가 필요한 스마트 디바이스쪽으로 재분배시키면서, 추가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확장시킬 수 있어, 확장성과 호환성이 우수하고, 운영비용을 기존에 비해 80% 절감할 수 있으며, 차량 및 산업설비에 맞는 다양한 상황맞춤형 서비스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환경에서의 IoT 사물데이터 처리와 관리, 동적으로 변하는 환경에서의 융합 및 가상화, 그리고, 사물 및 서비스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데이터에 공통의 의미 부여 및 분석,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기술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운영할 수 있는 신개념의 IoT 통합 플랫폼을 구축시킬 수 있는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THE APPARATUS OF SMART HARDWARE PLATFORM USING IN UNITY TERMINAL}
본 발명에서는 차량 또는 산업설비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연결시켜 정보를 공유하고, 플랫폼을 통해 정보가 필요한 스마트 디바이스쪽으로 재분배시키면서, 추가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확장시킬 수 있는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위하여 설치된 장치들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운행기록장치(DTG : Digital Tacho Graph), CCTV, 주행안내기, 결제단말, 결제모니터, 행선지안내기, 음성안내기, BMS단말, 승객용안내기 등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각각의 장치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하여 중복기능 및 정보를 취득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GPS, 각종충격센서 및 차량정보에 대한 부분이 중복 실현된다.
이처럼, 차량에 설치된 장비들은 상호 정보에 대한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정보취득에 대한 독립적 구성을 가져야함으로 효율적 측면에서 문제가 되며, 기능추가에 대한 새로운 단말장치를 통해서만 추가서비스가 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차량에 설치된 다양한 서비스기반의 장비들은 스마트디바이스가 정보에 대한 중복성 증대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 및 통신에 대한 부분도 공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유지관리비에 대한 증가와 정보의 공유가 부족한 관계로 시스템이 커지고, 그로인해 전력 소비에 대한 문제점도 함께 가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서비스 지원을 위한 장치들은 차량 운전자의 집중을 분산시키고, 차내 환경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05196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차량 또는 산업설비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연결시켜 정보를 공유하고, 플랫폼을 통해 정보가 필요한 스마트 디바이스쪽으로 재분배시키면서, 추가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확장시킬 수 있고, 차량 및 산업설비에 맞는 다양한 상황맞춤형 서비스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환경에서의 IoT 사물데이터 처리와 관리, 동적으로 변하는 환경에서의 융합 및 가상화, 그리고, 사물 및 서비스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데이터에 공통의 의미 부여 및 분석,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기술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운영할 수 있는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는
차량 또는 산업설비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연결시켜 정보를 공유하고, 플랫폼을 통해 정보가 필요한 스마트 디바이스쪽으로 재분배시키면서, 추가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확장시키도록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상기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플랫폼본체(100)와,
주기억장치로부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어와 해독해서 산술논리연산이나 데이터처리를 실행하는 CPU부(200)와,
플랫폼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각 기기들 사이에 데이터 전달의 중간 역할을 수행하는 플랫폼 메인보드부(300)와,
플랫폼 메인보드부 일측에 위치되어, 각 기기에 5V 또는 12V 전원을 공급시키는 파워모듈(Power Module)(400)과,
플랫폼본체 주위의 근거리에 위치한 무선통신이 필요한 연계대상장비와 근거리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시키는 근거리무선통신부(500)와,
원격지에 위치한 중앙관리서버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시키는 유무선통신부(600)와,
조도, 불꽃, 연기, 온도, 습도, 3축위치, 현재GPS위치를 센싱시키는 센싱모듈부(700)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는 카드단말기용 제어기판, 차량운행기록장치용 제어기판, BMS 단말용 제어기판, 주행안내기용 제어기판, 승객용 안내기용 제어기판, 결제모니터용 제어기판, 결제단말기용 제어기판, 행선지안내기용 제어기판, 음성안내기용 제어기판, 하이패스단말기용 제어기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선택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을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설치하여 하나로 통합시켜 정보를 공유 및 재분배시키는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800)이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는 플랫폼 메인보드부와 연결되어 확장성과 유연성을 갖을 수 있도록 데커 타입(Decker type)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스마트디바이스를 인터페이스시키는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9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차량 또는 산업설비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연결시켜 정보를 공유하고, 플랫폼을 통해 정보가 필요한 스마트 디바이스쪽으로 재분배시키면서, 추가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확장시킬 수 있어, 확장성과 호환성이 우수하다.
둘째, 운영비용을 기존에 비해 80%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차량 및 산업설비에 맞는 다양한 상황맞춤형 서비스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서로 다른 환경에서의 IoT 사물데이터 처리와 관리, 동적으로 변하는 환경에서의 융합 및 가상화, 그리고, 사물 및 서비스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데이터에 공통의 의미 부여 및 분석,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기술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운영할 수 있는 신개념의 IoT 통합 플랫폼을 구축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통합플랫폼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 중 버스에 설치된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요소 중 GPS만 3개가 중복되어 설치되고, 종래 차량 중 화물에 설치된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요소 중 GPS만 5개, CDMA만 3개가 중복되어 설치되며, 종래 차량 중 택시에 설치된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요소 중 GPS만 3개, CDMA만 2개가 중복되어 설치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1)의 외형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1)의 구성요소들간의 연결구성을 도시한 플랫폼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본체의 후면 구성요소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CPU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산술논리연산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CPU부와 외부의 스마트디바이스, 그리고, 센서모듈,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유무선통신부,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이 연결되어 데이터통신을 하는 구성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메인보드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메인보드부가 평면도상에서 바라봤을때 좌측면 커넥터 일측에,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를 탈부착식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연결용 제1 확장프레임이 형성되고, 우측면 커넥터 일측에, 또 따른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를 탈부착식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연결용 제2 확장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플랫폼 메인보드부상에 각각의 스마트디바이스가 확장 서비스될 수 있도록 커넥터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6은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의 플러그인 슬롯(SLOT2)(820)에 스마트 디바이스(블랙박스용 제어기판)가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탈부착식구조로 설치되고, 플러그인 슬롯(SLOT4)(840)에 스마트 디바이스(네비게이션용 제어기판)가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탈부착식구조로 설치된 일실시예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가 플랫폼 메인보드부와 연결되어 확장성과 유연성을 갖을 수 있도록 데커 타입(Decker type)으로 형성되어, 탈부착식구조로 형성되면서 외부의 스마트디바이스를 인터페이스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가 차량 또는 산업설비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하고, 재분배시키면서, 추가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확장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플랫폼본체 주위의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부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중앙관리서버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과 이웃하는 또 다른 복수개의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과 네트워크망을 형성하여, 각 단위별 정보수집에 대한 내용을 플랫폼간 공유시키고, 재분배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중 플랫폼 메인보드부 상(上)면과 플랫폼 메인보드부 하(下)면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IoT플랫폼 장치는 내부의 확장슬롯을 통하여 차량 또는 산업설비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연결시켜 다양한 서비스 및 외부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연계장비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블랙박스, 카드단말기, 차량운행기록장치(DTG : Digital Tacho Graph), CCTV, BMS 단말, 주행안내기, 승객용 안내기, 결제모니터, 결제단말기, 행선지안내기, 음성안내기, 하이패스단말기, 네비게이션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재분배는 차량 또는 산업설비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측정한 영상정보, 데이터정보를 플랫폼상에서 수집한 후, 플랫폼상에서 자체 센싱한 센싱정보를 더하여, 센싱기능, 영상기능, 데이터기능이 없거나, 또는 영상정보, 데이터정보, 센싱정보가 필요한 스마트 디바이스쪽으로 영상정보, 데이터정보, 센싱정보를 전달시켜 분배키거나 또는 중앙관리서버쪽으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직접 전송시키는 것을 말한다.
즉, 스마트 디바이스에 없는 센싱기능, 영상기능, 데이터기능을 IoT플랫폼장치를 통해, 영상정보, 데이터정보, 센싱정보를 분배시키고, 다양한 서비스 및 외부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연계장비와 통신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1)의 외형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차량 또는 산업설비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연결시켜 정보를 공유하고, 플랫폼을 통해 정보가 필요한 스마트 디바이스쪽으로 재분배시키면서, 추가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확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1)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폼본체(100), CPU부(200), 플랫폼 메인보드부(300), 파워모듈(Power Module)(400), 근거리무선통신부(500),유무선통신부(600), 센서모듈(7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본체(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플랫폼본체(100)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단커버(100a)와 하단커버(100b)로 이루어지고, 플랫폼 전면부(110)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1)가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 일측에 근거리무선통신부의 블루투스연결포트(112)가 형성되며, 블루투스연결포트 일측에 GPS 연결포트(113)가 형성되고, GPS 연결포트 일측에 유무선통신부의 WiFi통신 연결포트(114)가 형성되며, WiFi통신 연결포트 일측에 마이크로 SD카드 접속부(115)가 형성되며, 마이크로 SD카드 접속부 일측에 HDMI연결포트(116)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120) 일측에 DC전원(121)이 형성되고, AC전원소켓 일측에 LAN연결포트(122)와 USB 연결포트(123)가 형성되며, LAN연결포트와 USB 연결포트 일측에 유무선통신부의 RS485통신포트(124)가 형성되고, RS485통신포트 일측에 유무선통신부의 RS232통신포트(125)가 형성되며, RS232통신포트 일측에 MIC 연결잭(126)이 형성되고, MIC 연결잭 상단 일측에 주변장치 중 블랙박스 연결용 CAM1,CAM2 포트(127,128)가 형성되며, CAM1,CAM2 포트 하단에 외부 오디오 연결포트(129)가 형성되고, 외부 오디오 연결포트 일측에 스피커 연결포트(129a)가 형성되며, 스피커 연결포트 상단에 전기적 입력을 받거나 출력으로 특정 장치를 제어하는 다용도 입출력 포트(GPIO)(129b)가 형성되고, 다용도 입출력 포트(GPIO) 하단에 차량의 ECU와 연결되어, 차량의 ECU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시키는 OBD-II 연결포트(129c)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본체는 내부공간에 플랫폼 메인보드부가 형성되고,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폼 메인보드부 상(上)면은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각 모듈간 또는 확장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는 슬롯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정보수집을 위한 센서부와 GPS 및 각 인터페이스 공유를 하여 물리적 허브를 통해 제공한다. 그리고, 외부연계장비를 위한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가 형성되어, DECKER보드 형태의 측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플랫폼 메인보드부 상면에는 파워모듈이 형성되고, 파워모듈 일측에 CPU부가 형성되며, CPU부 일측에 근거리무선통신부가 형성되고, 근거리무선통신부 일측에 유무선통신부가 형성되며, 유무선통신부 일측에 센서모듈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플랫폼 메인보드부 하(下)면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이 형성되어, 확장인터페이스 제공(범용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본체는 상단커버와 하단커버, 플랫폼 메인보드부, CPU부, 파워모듈(Power Module), 근거리무선통신부, 유무선통신부, 센서모듈,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플랫폼 본체의 기본구성은 상단커버와 하단커버, 플랫폼 메인보드부, CPU부, 파워모듈(Power Module),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로 구성하고, 추가구성은 근거리무선통신부, 유무선통신부, 센서모듈, 내부확장서비스 모듈로 구성하여 확장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CPU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CPU부(200)는 주기억장치로부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어와 해독해서 산술논리연산이나 데이터처리를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10), 산술논리연산부(220), 메모리부(23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210)는 명령을 해독하고 순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카운터(211), 명령어 레지스터(212), 해독기(213), 부호기(214), 기억 번지 레지스터(215), 기억 버퍼 레지스터(216)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그램 카운터(211)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의 주소를 저장하는 기억 장소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명령어 레지스터(212)는 현재 수행중인 명령의 내용을 기억하는 레지스터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해독기(213)는 명령 레지스터에 있는 명령어를 해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부호기(214)는 해독기에서 전송되어 온 명령을 실행하기 적합한 신호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기억 번지 레지스터(215)는 기억 장소의 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기억 버퍼 레지스터(216)는 기억장치에 출입하는 자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역할을 수행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산술논리연산부(2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산술논리연산부(220)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장치가 지시하는 순서에 따라 연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산기(221), 가산기(222), 보수기(223), 데이터 레지스터(224), 상태 레지스터(225)로 구성된다.
상기 누산기(221)는 산술과 논리 연사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산기(222)는 2진수들의 더하기를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수기(223)는 입력 데이터의 보수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레지스터(224)는 연산에 필요한 자료를 보관하는 레지스터를 수행한다.
상기 상태 레지스터(225)는 실행될 차례를 제어하거나 컴퓨터 시스템 상태를 나타내고 유지해 두기 위한 제어 워드, 시스템 내부의 순간순간의 상태를 기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부(2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모리부(230)는 주기억장치로부터 읽어온 명령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연산된 결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CPU부는 싱글코어 프로세서, 듀어코어 프로세서(코어가 2개), 쿼드코어 프로세서(4개), 헥사코어 프로세서(6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CPU부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UART 단자, OTG USB단자를 통해 외부의 스마트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외부의 스마트디바이스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UART 단자, GPIO 단자를 통해 센서모듈이 연결되어, 센서모듈로부터 센싱된 센싱데이터가 입력되며, HSIC0 단자에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유무선통신부가 연결되어 스마트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정보데이터를 출력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보내며, HSIC1 단자, I2C 단자에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이 연결되어,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에 연결된 스마트 디바이스와 양방향 데이터통신을 하면서, 스마트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정보데이터가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메인보드부(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300)는 플랫폼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각 기기들 사이에 데이터 전달의 중간 역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칩셋부(310), 소켓부(320), 버스부(330), 포트부(340)로 구성된다.
상기 칩셋부(310)는 CPU, 메모리, 시스템 버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메모리 오류 정정 기능 지원여부와 설치 가능한 최대 크기를 결정한다.
상기 소켓부(320)는 CPU 또는 램을 맞춤형으로 장착시켜 각 기기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CPU를 장착하는 CPU소켓과 램을 장착하는 RAM소켓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스부(330)는 CPU, 메모리부, 입출력장치 간에 정보 전송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이는 사용 용도에 따라 내부, 외부(시스템버스), 확장버스로 구분된다.
상기 포트부(340)는 주변장치를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부위를 말한다.
이는 직렬포트, 병렬포트, PS/2포트, USB포트, IEEE 1394포트, 무선직렬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이 선택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IEEE 1394포트는 CPU부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연결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최대 63개까지 주변장치를 연결시키는 특성을 가진다.
상기 무선직렬포트는 케이블 없이 적외선을 이용해 통신 가능하게 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메인보드부(30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도상에서 바라봤을때 좌측면 커넥터 일측에,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900)를 탈부착식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연결용 제1 확장프레임(350)이 형성되고, 우측면 커넥터 일측에, 또 따른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900)를 탈부착식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연결용 제2 확장프레임(360)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연결용 제1 확장프레임(350)은 플랫폼 메인보드부의 좌측면 커넥터 일측에 위치되어,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900)를 탈부착식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RS232, RS485, LAN, CAN, OTG-USB 및 GPIO등을 통해 외부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결된다.
즉, 플랫폼 메인보드부의 좌측면 커넥터와 연결되는 부위에 Power, I2C 사용자 인터페이스, USB 통신인터페이스, 다용도 입출력포트(GPIO)로 이루어진 접속커넥터가 형성되고, 반대편에 GPS 안테나, WiFi 안테나, 3G/LTE 안테나, GPS LED, PWR LED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연결용 제2 확장프레임(360)은 플랫폼 메인보드부의 우측면 커넥터 일측에 위치되어,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900)를 탈부착식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RS232, RS485, LAN, CAN, OTG-USB 및 GPIO등을 통해 외부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결된다.
즉, 플랫폼 메인보드부이 우측면 커넥터와 연결되는 부위에 스탠다드 인터페이스인 Power, LAN, OTG-USB, RS232, RS485, DIO[8.5]으로 이루어진 접속커넥터와,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인 AUDIO-IN, AUDIO-OUT, MIC로 이루어진 접속커넥터가 형성되고, 반대편에 CAM IN, CAN, DIO, AIO, AUDIO OUT, AUDIO IN, MIC, RS485, RS232, LAN, USB, POWER IN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연결용 제1 확장프레임, 커넥터연결용 제2 확장프레임가 구성됨으로서, 플랫폼 메인보드부와 결합하여 외부의 다양한 스마트디바이스와 장착되어 정보를 공유 및 재분배가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 구성을 실현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를 물리적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추가적인 간단한 로직을 구성하여 확장된 개념의 인터페이스도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후면의 전원을 기본구성으로 하며, 플랫폼 메인보드부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모두 제공함으로 요구하는 환경에 따른 커넥터연결용 제1,2 확장프레임을 선정하여 확장 구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별도의 GPIO 구성을 통하여 통신외에 단순 디지털 입.출력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외부 통신외 입·출력신호에 대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워모듈(Power Module)(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파워모듈(Power Module)(400)은 플랫폼 메인보드부 일측에 위치되어, 각 기기에 5V 또는 12V 전원을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부(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500)는 플랫폼본체 주위의 근거리에 위치한 무선통신이 필요한 연계대상장비와 근거리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통신부(510)와 지그비통신부(5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510)는 10미터 이내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무선연결하여, 정보를 교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한다. 이 중 위아래 주파수를 쓰는 다른 시스템들의 간섭을 막기 위해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2480MHz, 총 79개 채널을 쓴다.
그리고, 시스템간 전파 간섭을 해소하기 위해,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으로 구성된다.
주파수 호핑은 많은 수의 채널을 특정 패턴에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패킷(데이터)을 조금씩 전송하는 기법으로, 본 발명에 서는 79개 채널을 1초당 1600번 호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그비통신부(520)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근거리(10m~75m)에 위치한 스마트 디바이스쪽으로 250kbps의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부(6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유무선통신부(600)는 원격지에 위치한 중앙관리서버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무선통신모듈로서 WiFi통신모듈이 구성되고, 유선통신모듈로서 BACNET TCP/IP, BACNET MS/TP, Modbus RTU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WiFi통신모듈은 무선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고성능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랜 기술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랜은 네트워크 구축시 유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나 빛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으로서,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모듈(7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센서모듈(700)은 조도, 불꽃, 연기, 온도, 습도, 3축위치, 현재GPS위치를 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플랫폼본체의 외부면 일측 및 내부공간 일측에 위치되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도센서(710), 불꽃센서(720), 연기센서(730), 온도센서(740), 습도센서(750), 자이로센서(760), GPS센서(770)로 구성된다.
상기 조도센서(710)는 플랫폼본체의 상단면 일측에 형성되어, 플랫폼본체의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광에 쏘여지면 저항값이 감소하는 광도전효과(Photo Conductive effect)를 이용한 것으로서, 일측에 센싱저항이 구성된다.
상기 불꽃센서(720)는 조도센서 일측에 위치되어, 불꽃을 감지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증폭감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포토트랜지스터에 불꽃이 감지되면, 이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증폭감지시킨다.
상기 연기센서(730)는 플랫폼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플랫폼본체의 설치공간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온도센서(740)는 불꽃센서 일측에 위치되어, 플랫폼본체 둘레의 온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열전쌍온도계, 온도측정 저항체 온도계, 서미스터(NTC)온도계, 금속식 온도계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는 출력단자 일측에 4와이어 RTC회로부가 연결되어, 선로상에 발생되는 저항의 오차를 줄여서 정밀도를 향상시켜 스마트제어부에 전달시킨다.
상기 4와이어 RTC회로부는 12V 레퍼런스 IC, 앰프(AMP03)소자, 온도센서 접속용 헤더컨넥터, 비교기 U8, 증폭기 U9로 구성된다.
즉, 온도센서에 측정된 센싱값을 비교기 U8의 (+)단자에 입력되고, 선로상에 발생되는 저항의 오차를 12V 레퍼런스 전압에 맞게 보정한 값을 (-)단자에 입력시켜, 비교한 후 출력시키고, 출력된 값을 증폭기 U9로 증폭시켜 스마트제어부의 입력단자에 전달시킨다.
상기 습도센서(750)는 온도센서 일측에 위치되어, 플랫폼본체의 설치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다공질 세라믹스나 고분자막으로 흡수됨으로써 일어나는 전기저항이나 정전용량의 변화, 또는 진동자에 설치한 흡수 물질의 중량변화에 의한 진동자의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통해 습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습도센서는 출력단자 일측에 24비트 고분해능 ADC IC가 연결되어 습도센서에 센싱된 값을 24비트 고분해능을 통해 정밀도를 향상시켜 스마트제어부의 입력단자에 전달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3축 자이로 센서(760)는 3축 지자기센서와 X,Y,Z 벡터값을 이용한 모션 센싱이 가능한 3축 가속도센서가 결합하여 3축방향으로 동작되는 플랫폼본체의 모션을 추적한 후, 플랫폼본체의 3축위치를 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GPS센서(770)는 플랫폼본체의 현재위치를 GPS위성으로부터 수신받아 CPU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1)는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80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800)은 카드단말기용 제어기판, 차량운행기록장치용 제어기판, BMS 단말용 제어기판, 주행안내기용 제어기판, 승객용 안내기용 제어기판, 결제모니터용 제어기판, 결제단말기용 제어기판, 행선지안내기용 제어기판, 음성안내기용 제어기판, 하이패스단말기용 제어기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선택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을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설치하여 하나로 통합시켜 정보를 공유 및 재분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플러그인 슬롯(SLOT1,2,3,4)으로 형성되고, 4개의 플러그인 슬롯에는 각각 어드레스 핀이 형성되어, 추가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확장시킬 수 있고, 다양한 상황맞춤형 서비스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어드레스 핀(A2,A1,A0)은 슬롯별로 어드레스핀이 할당되어져 있으며, 그 각각의 어드레스 핀을 통하여 중앙처리장치인 CPU와 통신하여 슬롯에 장착되어지는 스마트디바이스의 정보를 읽어오는 기능으로 구성된다.
또한, 확장슬롯에는 파워모듈의 DC 5V, Vcar_out이 연결되고, UART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저속데이타 통신을 구성할 수 있으며, USB, ETHRENET 인터페이스를 통해 CPU모듈과의 고속데이터 통신을 구성한다.
상기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800)은 4개의 플러그인 슬롯(SLOT1,2,3,4)(810,820,830,840)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블랙박스용 제어기판, 네비게이션용 제어기판)을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탈부착구조로 설치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의 플러그인 슬롯(SLOT2)(820)에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블랙박스용 제어기판)이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탈부착식구조로 설치되고, 플러그인 슬롯(SLOT4)(840)에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네비게이션용 제어기판)이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탈부착식구조로 설치된 일실시예도에 관한 것이다.
즉, 또 다른 일실시예로, 플러그인 슬롯(SLOT1)(810)에는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CCTV용 제어기판)을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탈부착구조로 설치되고, 플러그인 슬롯(SLOT2)(820)에는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블랙박스용 제어기판)을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탈부착구조로 설치되며, 플러그인 슬롯(SLOT3)에는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BMS 단말용 제어기판)을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탈부착구조로 설치되고, 플러그인 슬롯(SLOT4)에는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네비게이션용 제어기판)을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탈부착구조로 설치된다.
또한, 플러그인 슬롯을 6개, 8개, 12개, 24개로 확장시켜 복수개의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을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탈부착구조로 설치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1)는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9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90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폼 메인보드부와 연결되어 확장성과 유연성을 갖을 수 있도록 데커 타입(Decker type)으로 형성되어, 탈부착식구조로 형성되면서 외부의 스마트디바이스를 인터페이스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외부의 플랫폼과의 외부 연계대상장비를 통한 데이터 공유 및 리소스 재분배시킨다.
즉, 플랫폼 메인보드부의 커넥터연결용 제1 확장프레임(350)와 커넥터연결용 제1 확장프레임(360)과 탈부착식구조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외부의 스마트디바이스는 블랙박스, 카드단말기, 차량운행기록장치(DTG : Digital Tacho Graph), CCTV, BMS 단말, 주행안내기, 승객용 안내기, 결제모니터, 결제단말기, 행선지안내기, 음성안내기, 하이패스단말기, 네비게이션을 말한다.
상기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900)는 사용자 정의 핀과 같은 활용 가능한 추가 핀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RS232포트, RS485포트, USBOTG포트, 이더넷포트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는 플랫폼 메인보드부상에 각각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확장 서비스될 수 있도록 커넥터역할을 수행하는 내부 인터페이스부(9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내부 인터페이스부(950)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USB, UART, LAN 및 SDIO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유무선통신부 연결 하여 스마트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중앙관리서버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쪽으로 출력시키고, I2C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디바이스와 정보 통신을 수행하며, UART, USB, LAN,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플러그인 슬롯형 확장모듈연결하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랫폼 메인보드부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인터페이스부(950)가 구성됨으로서,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임의의(내부) 커넥터에 장착되더라도 지원할 수 있도록 범용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가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블랙박스, 카드단말기, 차량운행기록장치(DTG : Digital Tacho Graph), CCTV, BMS 단말, 주행안내기, 승객용 안내기, 결제모니터, 결제단말기, 행선지안내기, 음성안내기, 하이패스단말기,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처럼, 플랫폼본체(100), CPU부(200), 플랫폼 메인보드부(300), 파워모듈(Power Module)(400), 근거리무선통신부(500),유무선통신부(600), 센서모듈(700),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800),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900), 내부 인터페이스부(950)로 이루어진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는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과 이웃하는 또 다른 복수개의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과 네트워크망을 형성하여, 각 단위별 정보수집에 대한 내용을 플랫폼간 공유시키고, 재분배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임의의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에서 수집된 정보를 또다른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간의 데이터를 공유하여 정보를 확인 및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내부의 공통데이터 수집 및 외부의 연계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 및 재분배할 수 있으며, 각 단위별 정보수집에 대한 내용을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간 공유 및 재분배를 통하여 네트워크망을 구성할 수가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망을 구성한다는 것은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에서 기초정보를 수집 및 재분배를 통하여 단위 정보수집구조를 가지며, 이를 확장하여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과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간의 대용량데이터를 수집하여 다양한 정보서비스 구현 및 구성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인 CCTV용 제어기판,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인 블랙박스용 제어기판,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인 BMS 단말용 제어기판,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인 네비게이션용 제어기판이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탈부착구조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파워모듈(Power Module)을 통해 각 기기에 5V 또는 12V 전원을 공급시킨다.
다음으로, CPU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센서모듈이 구동되어, 플랫폼본체 주위의 조도, 불꽃, 연기, 온도, 습도, 3축위치, 현재GPS위치를 센싱시킨다.
다음으로,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를 통해, 데커 타입(Decker type)으로 연결된 외부의 스마트디바이스를 인터페이스시킨다.
여기서, 외부의 스마트디바이스는 차량 또는 산업설비에 설치된 블랙박스, 카드단말기, 차량운행기록장치(DTG : Digital Tacho Graph), CCTV, BMS 단말, 주행안내기, 승객용 안내기, 결제모니터, 결제단말기, 행선지안내기, 음성안내기, 하이패스단말기, 네비게이션을 말한다.
다음으로,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에 인터페이스된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정보데이터가 CPU부로 입력된다.
다음으로,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에 형성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인 CCTV용 제어기판,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인 블랙박스용 제어기판,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인 BMS 단말용 제어기판,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인 네비게이션용 제어기판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데이터가 CPU부로 입력된다.
끝으로, CPU부의 제어하에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유무선통신부를 구동시켜,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인 CCTV용 제어기판,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인 블랙박스용 제어기판,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인 BMS 단말용 제어기판,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인 네비게이션용 제어기판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데이터(영상정보, 데이터정보)와, 그리고, 센싱모듈부에서 센싱한 센싱정보, 그리고, 스마트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정보데이터를 외부로 출력시킨다.
즉,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거리무선통신부(500)를 통해 플랫폼본체 주위의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시킨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통신부(600)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중앙관리서버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1)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또는 산업설비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연결시켜 정보를 공유하고, 플랫폼을 통해 정보가 필요한 스마트 디바이스쪽으로 재분배시키면서, 추가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확장시킨다.
1 :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100 : 플랫폼본체 200 : CPU부
300 : 플랫폼 메인보드부 400 : 파워모듈(Power Module)
500 : 근거리무선통신부 600 : 유무선통신부
700 : 센서모듈 800 :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
900 :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

Claims (8)

  1. 차량 또는 산업설비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연결시켜 정보를 공유하고, 플랫폼을 통해 정보가 필요한 스마트 디바이스쪽으로 재분배시키면서, 추가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플랫폼상에서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플랫폼본체(100)와,
    주기억장치로부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어와 해독해서 산술논리연산이나 데이터처리를 실행하는 CPU부(200)와,
    플랫폼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각 기기들 사이에 데이터 전달의 중간 역할을 수행하는 플랫폼 메인보드부(300)와,
    플랫폼 메인보드부 일측에 위치되어, 각 기기에 5V 또는 12V 전원을 공급시키는 파워모듈(Power Module)(400)과,
    플랫폼본체 주위의 근거리에 위치한 무선통신이 필요한 연계대상장비와 근거리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시키는 근거리무선통신부(500)와,
    원격지에 위치한 중앙관리서버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시키는 유무선통신부(600)와,
    조도, 불꽃, 연기, 온도, 습도, 3축위치, 현재GPS위치를 센싱시키는 센싱모듈부(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는
    플랫폼 메인보드부상에 각각의 스마트디바이스가 확장 서비스될 수 있도록 커넥터역할을 수행하는 내부 인터페이스부(9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내부 인터페이스부(950)는 USB, UART, LAN 및 SDIO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유무선통신부와 연결하여 스마트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중앙관리서버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쪽으로 출력시키고, I2C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디바이스와 정보 통신을 수행하며, UART, USB, LAN,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플러그인 슬롯형 확장모듈연결하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메인보드부(300)는
    평면도상에서 바라봤을 때, 플랫폼 메인보드부의 좌측면 커넥터 일측에 위치되어,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900)를 탈부착식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연결용 제1 확장프레임(350)와,
    평면도상에서 바라봤을 때, 플랫폼 메인보드부의 우측면 커넥터 일측에 위치되어,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900)를 탈부착식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연결용 제2 확장프레임(36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하드웨어플랫폼장치는
    카드단말기용 제어기판, 차량운행기록장치용 제어기판, BMS 단말용 제어기판, 주행안내기용 제어기판, 승객용 안내기용 제어기판, 결제모니터용 제어기판, 결제단말기용 제어기판, 행선지안내기용 제어기판, 음성안내기용 제어기판, 하이패스단말기용 제어기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선택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을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설치하여 하나로 통합시켜 정보를 공유 및 재분배시키는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80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슬롯형 확장모듈(800)은
    4개의 플러그인 슬롯(SLOT1,2,3,4)(810,820,830,840)으로 형성되고, 4개의 플러그인 슬롯에는 각각 어드레스 핀이 형성되며,
    플러그인 슬롯(SLOT1)(810)에는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CCTV용 제어기판)를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탈부착구조로 설치되고, 플러그인 슬롯(SLOT2)(820)에는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블랙박스용 제어기판)를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탈부착구조로 설치되며, 플러그인 슬롯(SLOT3)에는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BMS 단말용 제어기판)를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탈부착구조로 설치되고, 플러그인 슬롯(SLOT4)에는 스마트 디바이스용 제어기판(네비게이션용 제어기판)를 플러그인슬롯방식으로 플랫폼 메인보드부에 탈부착구조로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하드웨어플랫폼장치는
    플랫폼 메인보드부와 연결되어 확장성과 유연성을 갖을 수 있도록 데커 타입(Decker type)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스마트디바이스를 인터페이스시키는 외부인터페이스 확장DECKER부(9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는
    특정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과 이웃하는 또 다른 복수개의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과 네트워크망을 형성하여, 각 단위별 정보수집에 대한 내용을 플랫폼간 공유시키고, 재분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KR1020170151194A 2017-11-14 2017-11-14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KR102042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194A KR102042502B1 (ko) 2017-11-14 2017-11-14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194A KR102042502B1 (ko) 2017-11-14 2017-11-14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532A true KR20190054532A (ko) 2019-05-22
KR102042502B1 KR102042502B1 (ko) 2019-11-11

Family

ID=6667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194A KR102042502B1 (ko) 2017-11-14 2017-11-14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6297A1 (ko) 2019-05-09 2020-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슬레이브 bms의 자동 id 할당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051B1 (ko) * 2023-07-20 2023-12-27 주식회사 월드티웨어 택시의 빈차표시등 제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0814A1 (en) * 2007-10-01 2009-08-20 Agrusa Russell L Visualization of process control data
KR101005196B1 (ko) 2007-12-31 2010-12-31 주식회사 케이티로지스 차량 정보화를 위한 통합 단말기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101530185B1 (ko) * 2014-11-05 2015-06-19 김민규 기능모듈 착탈식 제어장치
KR20150136981A (ko) * 2014-05-28 201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73507B1 (ko) * 2016-04-12 2016-11-08 한국수자원공사 사물인터넷 기반 관망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0814A1 (en) * 2007-10-01 2009-08-20 Agrusa Russell L Visualization of process control data
KR101005196B1 (ko) 2007-12-31 2010-12-31 주식회사 케이티로지스 차량 정보화를 위한 통합 단말기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136981A (ko) * 2014-05-28 201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30185B1 (ko) * 2014-11-05 2015-06-19 김민규 기능모듈 착탈식 제어장치
KR101673507B1 (ko) * 2016-04-12 2016-11-08 한국수자원공사 사물인터넷 기반 관망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6297A1 (ko) 2019-05-09 2020-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슬레이브 bms의 자동 id 할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502B1 (ko)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88918A1 (ko) 서비스 로봇
CN105204395A (zh) 一种机房巡检机器人数据采集处理系统、方法及芯片
CN102713500A (zh) 用于坐标测量机的显示器
KR20190054532A (ko) 통합단말기용 스마트 하드웨어 IoT플랫폼장치
CN105066985A (zh) 六自由度平台运动状态监测装置
CN109375289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可视化自动气象站系统
CN1617465B (zh) 蓝牙无线传感器
CN202057345U (zh) 测量及监控显示器
CN105046906A (zh) 一种九轴传感器与蓝牙模块结合使用的数据采集系统
JP7357266B2 (ja) 電波強度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7325031B2 (ja) 位置情報取得システム
CN103885358B (zh) 安防系统设备板化开发平台
CN110307917A (zh) 一种用于热环境的分布式测量系统和测量方法
Yu et al. An wireless collection and monitoring system design based on Arduino
CN109491949A (zh) 基于Zynq的动态可重构框架及方法
CN107966938A (zh) 一种多媒体智能终端装置
CN208337886U (zh) 一种便携式智能传感器网络系统装置
CN205681398U (zh) 扩展性好的数据接收站
CN2660794Y (zh) 一种基于蓝牙通信协议的蓝牙无线传感器
KR101294767B1 (ko) 교통정보 함체의 동작 정보 습득 및 전원 원격 제어 장치와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0924501U (zh) 集成输入装置
CN114115072B (zh) 一种多功能的集成主机以及移动机器人
Abhayasinghe et al. The application of “Off-the-shelf” components for building IMUs for navigation research
Huan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working conditions of cremation equipment
CN206505181U (zh) 一种设备定位定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