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378A -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378A
KR20190054378A KR1020170150568A KR20170150568A KR20190054378A KR 20190054378 A KR20190054378 A KR 20190054378A KR 1020170150568 A KR1020170150568 A KR 1020170150568A KR 20170150568 A KR20170150568 A KR 20170150568A KR 20190054378 A KR20190054378 A KR 20190054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broadcasting
module
loc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703B1 (ko
Inventor
전병덕
나영환
남승주
Original Assignee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0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7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3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using cryptography, e.g.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위험 재해 예상지역이나 관할 구역의 취약지 등에 소정 안내방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동보방송 시스템에서 실제 현장에 구비된 지역방송 단말기의 방송상태 및 품질에 대한 결과를 방송요청 클라이언트 측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은, 방송요청 클라이언트와, 동보방송 서버 및, 다수 대의 지역방송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 지역방송 단말기의 원격방송장치에는 해당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집음을 위한 마이크가 구비되고, 상기 동보방송 서버에서는 각 지역방송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세션 별로 방송 종료 시까지 실시간 녹음처리를 진행하도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해당 방송의 종료 시 상기 동보방송 서버에 녹음되어 저장된 음성신호를 요청하여 청취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Broadcasting System Having Recording And Listening Function For Real Time Announcement Broadcas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험 재해 예상지역이나 관할 구역의 취약지 등에 소정 안내방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동보방송 시스템에서 실제 현장의 방송상태 및 품질에 대한 결과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어촌 지역이나 산간지역을 비롯하여 관리자의 상주가 어려운 해안가나 강가, 계곡 등과 같은 다양한 장소에는 실시간으로 소정 경보방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동보방송 시스템에 구축되어, 원격지의 동보방송 서버로부터 각종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가 다수 지역에 설치된 지역방송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에 따라, 특정 메시지나 공지사항 등을 해당 지역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보방송 시스템은, 방송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 경보방송을 위한 소정 메시지가 인터넷망을 통해 동보방송 서버 측으로 전달되면, 상기 동보방송 서버 측에서는 방송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인터넷이나 유선전화, CDMA망 등을 비롯한 각종 통신망을 통해 각 지역에 구비된 지역방송 단말기 측으로 발송하게 되며, 이에 상기 다수 대의 지역방송 단말기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원격방송장치의 스피커를 매개로 실시간으로 방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동보방송 시스템에서 다수 대의 지역방송 단말기를 매개로 소정 경보방송이 실시되는데 있어서는, 방송진행 시 통신규약에 의해 각 지역방송 단말기의 방송상태, 스피커의 단선 유무, 배터리 상태 등의 정보를 수집하게 되지만, 이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의 정확한 방송상태 및 품질에 대한 결과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4373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02523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위험 재해 예상지역이나 관할 구역의 취약지 등에 소정 안내방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동보방송 시스템에서 실제 현장에 구비된 지역방송 단말기의 방송상태 및 품질에 대한 결과를 방송요청 클라이언트 측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은, 방송을 위한 지역방송 단말기를 다중 선택하고, 방송 내용 및 횟수, 음량을 비롯한 각종 방송 선택사항을 전송하여 방송 요청을 행하는 방송요청 클라이언트와;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방송요청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 및 파일시스템 관리모듈에 등록되고, 방송관리모듈 및 방송송출모듈을 이용하여 각 지역방송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 방송이 가능하도록 방송 내용을 출력시키는 동보방송 서버 및; 상기 동보방송 서버와 통신망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동보방송 서버로부터 송출된 방송내용을 원격방송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원격지에 설치된 다수 대의 지역방송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 지역방송 단말기의 원격방송장치에는 해당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집음을 위한 마이크가 구비되고; 상기 동보방송 서버에서는 각 지역방송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세션 별로 방송 종료 시까지 실시간 녹음처리를 진행하도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해당 방송의 종료 시 상기 동보방송 서버에 녹음되어 저장된 음성신호를 요청하여 청취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방송요청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UI모듈과, 다수 대의 지역방송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방송단말기 관리모듈과, 상기 지역방송 단말기를 통한 방송 내용이 메시지 형태로 관리되는 방송메시지 관리모듈과, 상기 동보방송 서버 측으로 소정 방송내용에 대한 요청을 수행하는 방송요청모듈과, 각 지역방송 단말기를 통해 방송된 방송이력이 관리되는 방송통계모듈 및, 상기 동보방송 서버에 녹음되어 저장된 음성신호를 요청하여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방송상태 청취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보방송 서버는,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방송요청을 인증하고 처리하는 방송요청 인증 및 처리모듈과,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TTS 처리모듈과, 해당 동보방송 서버와 다수 대의 지역방송 단말기 상호 간의 실시간 방송 처리를 위해 방송송출모듈을 호출하는 방송관리모듈과, 방송대상 지역별로 생성되어 각 지역방송 단말기와 통신 규약에 따라 실시간 방송 세션을 시도하고, 세션이 생성되면 방송용 오디오매체를 동작시켜 방송 내용을 출력시키는 한편, 집음 기능이 구비된 지역방송 단말기로부터 집음된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오디오매체를 통해 방송내용이 실시간 녹음 처리되도록 방송상태 녹음 및 청취모듈을 호출하는 방송송출모듈과, 상기 방송송출모듈의 호출에 따라 세션별로 방송 종료 시까지 실시간 녹음처리를 진행하는 방송상태 녹음 및 청취모듈과, 상기 다수 대의 지역방송 단말기와 인터넷, 유선전화, CDMA를 비롯한 각종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도록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방송 내용에 대해 오디오매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 등록함과 아울러, 상기 지역방송 단말기로부터 집음된 음성신호를 녹음하고 녹음된 오디오매체를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파일시스템 관리모듈과, 해당 서버의 환경설정을 위한 환경설정 관리모듈 및 이력관리를 위한 이력관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동보 서버의 방송상태 녹음 및 청취모듈에는 실시간 녹음처리가 진행된 방송내용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오디오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방송요청 클라이언트 측에서 동보방송 서버 측으로 소정 방송요청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동보방송 서버 측에서 해당 방송요청이 이루어진 방송요청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방송 내용에 대한 방송 오디오매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오디오매체의 생성 후 방송관리모듈에서 각 지역방송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 방송이 처리되도록 방송송출모듈을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송출모듈에서 각 지역방송 단말기와의 실시간 방송세션을 시도하여 방송세션을 생성함과 아울러, 해당 지역방송 단말기의 집음모듈 지원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오디오매체의 동작을 통해 해당 지역방송 단말기를 통한 방송이 수행됨과 동시에 해당 지역방송 단말기가 집음모듈이 지원되는 경우, 해당 방송내용이 마이크를 통해 집음된 후 상기 동보방송 서버 측으로 전송되어 녹음되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 재해 예상지역이나 관할 구역의 취약지 등에 소정 안내방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동보방송 시스템에서, 실제 현장에 구비된 지역방송 단말기의 방송상태 및 품질에 대한 결과를 방송요청 클라이언트 측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각 지역방송 단말기에서의 실제 방송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처할 수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동보방송 시스템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은, 동보방송 시스템에서 실제 현장에 구비된 다수 대 지역방송 단말기(50)의 방송상태 및 품질에 대한 결과를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 측에서 간편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은, 방송 대상 지역의 지역방송 단말기(50)를 다중 선택하고, 방송 내용(메시지), 방송 메시지의 TTS(Text To Speech) 처리 읽기 속도, 방송 알림 효과음, 방송횟수, 방송음량 등을 비롯한 각종 방송 선택사항을 동보방송 서버(30)에 전달하는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 및,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로부터의 방송요청을 받음에 따라, 방송 내용을 TTS 읽기 처리속도, 방송 알림 효과음, 방송횟수 등에 의해 방송용 음성을 포함한 오디오 매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8) 및 파일시스템 관리모듈(40)에 등록을 요청함과 아울러, 상기 방송용 오디오 매체의 생성 및 등록이 완료되면 방송 관리모듈(36) 측으로 오디오 매체의 정보와 방송 음량, 방송 대상 지역의 정보 등을 전달하여 여러 대상 지역에 방송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동보방송 서버(30) 등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각 방송 대상 지역에는 상기 동보방송 서버(30)로부터 송출된 방송내용을 통신장치(52)를 통해 수신한 후, 원격방송장치(54)의 스피커(56)를 통해 출력시키도록 다수 대의 지역방송 단말기(50)가 통신망(100)을 매개로 상기 동보방송 서버(30)와 연계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지역방송 단말기(50)에는 해당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방송내용을 집음하기 위한 마이크(58)가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 각 방송 대상 지역에 구비되는 상기 지역방송 단말기(50)의 원격방송장치(54)에는 해당 스피커(56)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집음하기 위한 마이크(58)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동보방송 서버(30)에서는 상기 지역방송 단말기(50)의 마이크(58)를 통해 수집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세션 별로 방송 종료 시까지 실시간 녹음처리를 진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 측에서는 해당 방송의 종료 시 상기 동보방송 서버(30)에 녹음되어 저장된 음성신호를 요청하여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의 세부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는 UI모듈(12)과, 방송단말기 관리모듈(14)과, 방송메시지 관리모듈(16)과, 방송요청모듈(18)과, 방송통계모듈(20) 및, 방송상태 청취모듈(2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는 원격지에 설치되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또는 태플릿이나 스마트폰 등에 탑재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UI모듈(1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방송단말기 관리모듈(14)은 상기 다수 대의 지역방송 단말기(50)의 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방송메시지 관리모듈(16)에서는 상기 다수 개의 지역방송 단말기(50)를 통해 방송하고자 하는 내용이 메시지 형태로 관리되고, 상기 방송요청 모듈(18)은 상기 동보방송 서버(30) 측으로 소정 방송내용에 대한 요청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송통계모듈(20)은 상기 각 지역방송 단말기(50)를 통해 방송된 방송이력이 관리되도록 이루어진다.
또, 상기 방송상태 청취모듈(22)을 통해서는 각 지역방송 단말기(50)를 통한 실시간 안내방송 시 동시 집음되어 동보방송 서버(30)에 녹음 저장된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요청하여 청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보방송 서버(30)는 방송요청 인증 및 처리모듈(32)과, TTS 처리모듈(34)과, 방송관리모듈(36)과, 방송송출모듈(42)과, 방송상태 녹음 및 청취모듈(44)과, 통신모듈(46)과, 데이터베이스(38) 및 파일시스템 관리모듈(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송요청 인증 및 처리모듈(32)에서는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요청에 대한 인증 처리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TTS 처리모듈(34)에서는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방송관리모듈(36)에서는 해당 동보방송 서버(30)와 다수 대의 지역방송 단말기(50) 상호 간의 실시간 방송 처리를 위해 방송송출모듈(42)을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송송출모듈(42)은 방송대상 지역별로 생성되어 각 지역방송 단말기(50)와 통신 규약에 따라 실시간 방송 세션을 시도하고, 세션이 생성되면 방송용 오디오매체를 동작시켜 방송 내용을 출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집음 기능이 구비된 지역방송 단말기(50)로부터 집음된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오디오매체를 통해 방송내용이 실시간 녹음 처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송상태 녹음 및 청취모듈(44)은 상기 방송송출모듈(42)의 호출에 따라 세션별로 방송 종료 시까지 각 지역방송 단말기(50)로부터 집음된 음성신호에 대한 실시간 녹음처리를 진행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방송상태 녹음 및 청취모듈(44)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오디오 디바이스(45)가 연계되어 실시간 녹음처리가 진행된 각 지역방송 단말기(50)의 방송내용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8) 및 파일시스템 관리모듈(40)은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로부터의 방송 내용에 대해 오디오매체를 생성하여 저장 등록하고, 또한 상기 지역방송 단말기(50)로부터 집음된 음성신호를 녹음하고 녹음된 오디오매체를 등록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통신모듈(46)을 통해서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가 선택적으로 연계됨과 아울러, 상기 다수 대의 지역방송 단말기(50)와 인터넷, 유선전화, CDMA 등을 비롯한 각종 통신망(100)을 매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참조부호 48은 해당 동보방송 서버(30)의 환경설정을 위한 환경설정 관리모듈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49는 각종 이력관리를 위한 이력관리모듈을 나타낸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의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이 제어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 측에서 상기 동보방송 서버(30) 측으로 방송대상과 방송내용, 방송옵션 등을 포함하는 소정 방송요청이 이루어지게 되면(S 1), 상기 동보방송 서버(30) 측에서는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로부터의 방송요청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게 된다(S 2).
상기 동보방송 서버(30)에서 해당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동보방송 서버(30)는 방송 내용을 TTS 읽기 처리속도, 방송알림 효과음, 방송횟수 등에 의해 방송용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매체를 생성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38) 및 파일시스템 관리모듈(40)에 등록을 요청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그 후 방송관리 모듈(36)에서는 각 지역방송 단말기(50)를 통해 실시간 방송이 처리되도록 방송송출모듈(42)을 호출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S 3 내지 S 5).
이때, 생성된 오디오매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후 오디오매체의 동작을 통해 방송될 수 있게 된다(S 3-1).
그리고, 상기 동보방송 서버(30)의 방송송출모듈(42)에서는 각 지역방송 단말기(50)와의 실시간 방송세션을 시도하여 방송세션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함과 동시에 해당 방송이 이루어지는 원격지의 지역방송 단말기(50)가 집음모듈이 지원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S 6 및 S 7).
이에 따라, 상기 동보방송 서버(30)에서는 오디오매체의 동작을 통해 해당 지역방송 단말기(50)를 매개로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로부터 요청된 소정 방송 내용이 실시간 출력되게 된다(S 6-1).
이와 동시에 해당 지역방송 단말기(50)가 집음모듈이 지원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출력되고 있는 방송내용은 해당 지역방송 단말기(50)의 원격방송장치(54)에 연결된 마이크(58)를 통해 집음된 후 상기 동보방송 서버(30) 측으로 전송되어 녹음(S 7-1)이 진행되고, 녹음 오디오매체로 생성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게 된다(S 7-2).
이에,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10) 측에서는 해당 방송의 종료 시 상기 동보방송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38)에 녹음 오디오매체로 생성되어 저장된 파일을 방송상태청취모듈(22)을 매개로 요청한 후 청취하면서, 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쳐 요청한 소정 안내방송에 대한 방송상태 및 품질에 대한 결과를 정확히 파악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방송요청 클라이언트, 22: 방송상태 청취모듈,
30: 동보방송 서버, 44: 방송상태 녹음 및 청취모듈,
50: 지역방송 단말기, 58: 마이크,
100: 통신망.

Claims (5)

  1. 방송을 위한 지역방송 단말기를 다중 선택하고, 방송 내용 및 횟수, 음량을 비롯한 각종 방송 선택사항을 전송하여 방송 요청을 행하는 방송요청 클라이언트와;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방송요청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 및 파일시스템 관리모듈에 등록되고, 방송관리모듈 및 방송송출모듈을 이용하여 각 지역방송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 방송이 가능하도록 방송 내용을 출력시키는 동보방송 서버 및;
    상기 동보방송 서버와 통신망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동보방송 서버로부터 송출된 방송내용을 원격방송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원격지에 설치된 다수 대의 지역방송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 지역방송 단말기의 원격방송장치에는 해당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집음을 위한 마이크가 구비되고;
    상기 동보방송 서버에서는 각 지역방송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세션 별로 방송 종료 시까지 실시간 녹음처리를 진행하도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해당 방송의 종료 시 상기 동보방송 서버에 녹음되어 저장된 음성신호를 요청하여 청취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방송요청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UI모듈과,
    다수 대의 지역방송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방송단말기 관리모듈과,
    상기 지역방송 단말기를 통한 방송 내용이 메시지 형태로 관리되는 방송메시지 관리모듈과,
    상기 동보방송 서버 측으로 소정 방송내용에 대한 요청을 수행하는 방송요청모듈과,
    각 지역방송 단말기를 통해 방송된 방송이력이 관리되는 방송통계모듈 및,
    상기 동보방송 서버에 녹음되어 저장된 음성신호를 요청하여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방송상태 청취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보방송 서버는,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방송요청을 인증하고 처리하는 방송요청 인증 및 처리모듈과,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TTS 처리모듈과,
    해당 동보방송 서버와 다수 대의 지역방송 단말기 상호 간의 실시간 방송 처리를 위해 방송송출모듈을 호출하는 방송관리모듈과,
    방송대상 지역별로 생성되어 각 지역방송 단말기와 통신 규약에 따라 실시간 방송 세션을 시도하고, 세션이 생성되면 방송용 오디오매체를 동작시켜 방송 내용을 출력시키는 한편, 집음 기능이 구비된 지역방송 단말기로부터 집음된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오디오매체를 통해 방송내용이 실시간 녹음 처리되도록 방송상태 녹음 및 청취모듈을 호출하는 방송송출모듈과,
    상기 방송송출모듈의 호출에 따라 세션별로 방송 종료 시까지 실시간 녹음처리를 진행하는 방송상태 녹음 및 청취모듈과,
    상기 다수 대의 지역방송 단말기와 인터넷, 유선전화, CDMA를 비롯한 각종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도록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방송 내용에 대해 오디오매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 등록함과 아울러, 상기 지역방송 단말기로부터 집음된 음성신호를 녹음하고 녹음된 오디오매체를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파일시스템 관리모듈과,
    해당 서버의 환경설정을 위한 환경설정 관리모듈 및 이력관리를 위한 이력관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동보 서버의 방송상태 녹음 및 청취모듈에는 실시간 녹음처리가 진행된 방송내용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오디오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5. 방송요청 클라이언트 측에서 동보방송 서버 측으로 소정 방송요청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동보방송 서버 측에서 해당 방송요청이 이루어진 방송요청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요청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방송 내용에 대한 방송 오디오매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오디오매체의 생성 후 방송관리모듈에서 각 지역방송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 방송이 처리되도록 방송송출모듈을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송출모듈에서 각 지역방송 단말기와의 실시간 방송세션을 시도하여 방송세션을 생성함과 아울러, 해당 지역방송 단말기의 집음모듈 지원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오디오매체의 동작을 통해 해당 지역방송 단말기를 통한 방송이 수행됨과 동시에 해당 지역방송 단말기가 집음모듈이 지원되는 경우, 해당 방송내용이 마이크를 통해 집음된 후 상기 동보방송 서버 측으로 전송되어 녹음되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70150568A 2017-11-13 2017-11-13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13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568A KR102013703B1 (ko) 2017-11-13 2017-11-13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568A KR102013703B1 (ko) 2017-11-13 2017-11-13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378A true KR20190054378A (ko) 2019-05-22
KR102013703B1 KR102013703B1 (ko) 2019-08-23

Family

ID=6668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568A KR102013703B1 (ko) 2017-11-13 2017-11-13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8749A (zh) * 2020-12-04 2021-04-20 福建新大陆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应急广播ip话筒播出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284A (ko) * 2009-04-24 2010-11-03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티티에스 모듈이 구비된 방송용 동보 장치
KR20110089122A (ko) * 2011-07-08 2011-08-04 송재익 마을방송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20008739A (ko) * 2010-07-20 2012-02-01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능이 추가된 방송용 동보장치
KR20120134373A (ko) 2011-06-02 2012-12-12 윤종세 인터넷 및 유선전화를 이용한 계층그룹형 동보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2878A (ko) * 2014-04-23 2015-11-03 (주)오에이전자 방송 확인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284A (ko) * 2009-04-24 2010-11-03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티티에스 모듈이 구비된 방송용 동보 장치
KR101025238B1 (ko) 2009-04-24 2011-03-29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티티에스 모듈이 구비된 방송용 동보 장치
KR20120008739A (ko) * 2010-07-20 2012-02-01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능이 추가된 방송용 동보장치
KR20120134373A (ko) 2011-06-02 2012-12-12 윤종세 인터넷 및 유선전화를 이용한 계층그룹형 동보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89122A (ko) * 2011-07-08 2011-08-04 송재익 마을방송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50122878A (ko) * 2014-04-23 2015-11-03 (주)오에이전자 방송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8749A (zh) * 2020-12-04 2021-04-20 福建新大陆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应急广播ip话筒播出控制方法
CN112688749B (zh) * 2020-12-04 2023-06-30 福建新大陆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应急广播ip话筒播出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703B1 (ko)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4409A (ko)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
US20110098022A1 (en) Integrating Multimedia and Voicemail
KR102223411B1 (ko) 페어링되지 않은 장치
KR101569059B1 (ko) 방송 확인 시스템 및 방법
TWI507046B (zh) 視頻留言系統、終端及實現方法
US8199889B2 (en) Visual voicemail unavailability solution
CN106156036B (zh) 一种车载音频处理方法及车载设备
CN104618391A (zh) 一种接入控制方法和电子设备
CN108965231B (zh) 通信控制方法及装置、远程临场机器人以及记录介质
KR20190054378A (ko) 실시간 경보방송에 대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한 동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7715048A (zh) 电信诈骗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0038780B2 (en) System for switching and outputting sender-controlled incoming ringtone and method therefor
KR20180016914A (ko)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성 및 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10860B1 (ko) 그룹 통화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3115153B (zh) 一种处理方法、蓝牙耳机及管理平台
US11050499B1 (en) Audience response collection and analysis
KR101136712B1 (ko) VoIP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30063442A (ko) 카메라폰의 원격 제어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처 방법 및 시스템
CN113783938A (zh) 基于可穿戴设备的数据分享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2311491A (zh) 多媒体数据采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711502B (zh) 一种广播监听方法及广播系统
JP2014112754A (ja) 防災音声配信システム
US9119041B2 (en) Personal media storage and retrieval for visual voice mail
CN210093310U (zh) 一种数据中心远程音频通话系统
KR101948284B1 (ko) 다이렉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