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408A - Pdgf-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Pdgf-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408A
KR20190053408A KR1020170149238A KR20170149238A KR20190053408A KR 20190053408 A KR20190053408 A KR 20190053408A KR 1020170149238 A KR1020170149238 A KR 1020170149238A KR 20170149238 A KR20170149238 A KR 20170149238A KR 20190053408 A KR20190053408 A KR 20190053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scalp
growth
pdgf
hair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216B1 (ko
Inventor
성종혁
최나현
Original Assignee
(주)엑셀세라퓨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엑셀세라퓨틱스 filed Critical (주)엑셀세라퓨틱스
Priority to KR102017014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2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58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GF-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PDGF-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탈모 치료, 발모 촉진 또는 육모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만성질환인 탈모에 있어서 장기 투여시에도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발모 및 육모에 뛰어나고 안정적인 효능을 보이며, 특히 미녹시딜과 병용하였을 때 상승효과를 나타내어, 탈모 예방 또는 치료제,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의약외품,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PDGF-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PCGF-C for preventing hair loss or stimulating hair growth}
본 발명은 PDGF-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PDGF-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탈모 치료, 발모 촉진 또는 육모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탈모 치료에 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현재 탈모 치료법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방법은 자기 자신의 머리털을 이용하여 이식하는 자가 모발이식 수술법과 미녹시딜(Minoxidil)과 프로페시아(Propecia)를 사용하는 약물 치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미녹시딜의 경우 혈관확장을 통한 모세포에 영양공급증가 및 칼륨 채널 개방 효과(potassium channel opening effect) 등을 통해 모발 성장을 유도하며, 프로페시아의 경우 DHT(dihydrotestosterone)의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로 모발 성장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 두 약물 모두 치료할 당시에는 발모 효능이 나타나나, 치료가 중단되면 탈모가 다시 진행되고 모발성장의 효과보다는 탈모방지의 효과가 더욱 크며, 특히 성기능 장애, 임신한 여성의 경우 기형아 출산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모낭주기의 조절에 있어 다양한 성장인자 및 싸이토카인이 관여하는데 예를 들어, EGF(epidermal growth factor), TGF-a(transforming growth factor-a), TGF-b(Transforming growth factor-b), KGF(keratinocyte growth factor), IGF (insulin like growth factor), 인터루킨-1(interleukin-1), bHGF(basic fibrovlast growth factor),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등이 포함된다(Wagana P. et al., In vivo distribution of arsonoliposomes: Effect of vesicle lipid composition, Journal of Pharmaceutics, 2008: 347:86-92).
PDGF(혈소판유래 성장인자,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는 세포 성장 및 분열을 조절하는 성장인자 중 하나이며(Andrae et al., Genes Dev 22:1276-1312, 2008; Kim et al., Development 130:4769-4784, 2003), 초기 발달 단계에서 유사분열촉진 물질로 미분화 중간엽 줄기세포와 몇몇 전구세포의 증식 및 이동에 영향을 미친다(Hannink et al., Biochim Biophys Acta 989:1-10, 1989; Heldin et al., EMBO J 11:4251-4259, 1992). 후기 형태발생 단계에서 PDGF 신호는 조직 리모델링 및 세포분화에 관여하며, 특히 혈관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DGF 신호전달 네트워크는 PDGF-A, -B, -C 및 D의 4개의 리간드와 PDGFR-α 및 PDGFR-β의 2개의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수용체로 구성되어 있다(Demoulin JB et al., Cytokine Growth Factor Rev 25:273-283, 2014; Levitzki A et al., Cytokine Growth Factor Rev 15:229-235, 2004). PDGF-C, -D는 각각 PDGFR-a, PDGFR-β와 결합한다(Bergsten E et al. Nat Cell Biol 3:512-516, 2001; LaRochelle WJ et al., Nat Cell Biol 3:517-521, 2001).
지방줄기세포에서 PDGF-B의 유사분열촉진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PDGF-A 및 PDGF-B를 마우스에 처리했을 때 모발 성장 유도 및 발모 효과가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Y. Tomita et al.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2006) 43, 105-115). 그러나, PDGF-C 및 PDGF-D의 발모 효과 또는 탈모 방지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인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 없이 탈모를 방지하거나 발모 또는 육모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밝혀내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PDGF-C가 효과적으로 발모 및 육모를 증진하고 탈모를 방지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미녹시딜과 병용투여하였을 때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가 현저히 상승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DGF-C(platelet-derived growth factor-C)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DGF-C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개선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PDGF-C(platelet-derived growth factor-C)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미녹시딜(Minoxidi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외용제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먼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DGF-C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개선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녹시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토닉, 두피 로션, 두피 크림, 두피 세럼, 두피에센스, 두피 앰플, 두피 트리트먼트, 두피 컨디셔너, 두피 샴푸, 두피 팩,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헤어 린스, 헤어책, 헤어 트리트먼트, 눈썹발모제, 속눈썹발모제, 속눈썹영양제, 애완동물용 샴푸 또는 애완동물용 린스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PDGF-C(platelet-derived growth factor-C)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개선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만성질환인 탈모에 있어서 장기 투여시에도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발모 및 육모에 뛰어나고 안정적인 효능을 보이며, 특히 미녹시딜과 병용하였을 때 상승효과를 나타내어, 탈모 예방 또는 치료제,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의약외품,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염 조직 배양(Vibrissae hair organ culture)에서 PDGF-C 처리에 의한 모발 길이 증가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DGF-C 처리에 의한 모유두 세포 증식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DGF-C 및 미녹시딜의 병용투여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PDGF-C 는 털을 제거한 마우스 등에서 모발의 성장기를 유도함으로써 발모 촉진 효과를 유의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PDGF-C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PDGF-C" 또는 "C형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C)는 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유도하는 성장인자 중 하나로 평활근세포, 섬유아세포 및 혈관벽과 같은 중간엽유래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단백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용어 "탈모"는 모발이 완전히 두피 밖으로 빠져나오는 현상을 의미한다. 탈모가 진행되고 있는 사람은 성장기가 짧아지고 휴지기가 긴 모발 주기를 가지게 되는데,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PDGF-C 는 모발을 휴지기에서 성장기로 전환시키고, 피부조직에서 발모 및 양모와 관련된 성장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바 탈모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용어 "발모"는 두피에서 모발이 나는 것을 의미하고, "육모"는 모발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즉, 모발 성장)을 의미하며 당업계에서 이용하는 또 다른 용어인 "양모"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PDGF-C는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 조성물로서, 본 발명의 PDGF-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 약학적 조성물은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촉진용 피부외용제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PDGF-C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상기 PDGF-C를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동량의 PDGF-C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을 가열하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PDGF-C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PDGF-C를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과량의 유기산을 가하거나 무기산의 산 수용액을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켜서 부가염을 얻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PDGF-C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투여 시에 다양한 하기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DGF-C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PDGF-C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몸무게가6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001 ~ 1,000 ㎎/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01 ~ 500 ㎎/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DGF-C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개선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의약외품을 제공한다. 상기 PDGF-C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PDGF-C를 의약외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탈모 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PDGF-C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의약외품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탈모 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의약외품의 형태로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제형화된 의약외품은 두피 토닉, 두피 로션, 두피 크림, 두피 세럼, 두피에센스, 두피 앰플, 두피 트리트먼트, 두피 컨디셔너, 두피 샴푸, 두피 팩,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헤어 린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눈썹발모제, 속눈썹발모제, 속눈썹영양제, 애완동물용 샴푸, 애완동물용 린스, 손 세정제, 세제 비누, 비누, 소독청결제, 물티슈, 마스크, 연고제, 패치 또는 필터 충진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의약외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제형에 있어서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의약외품 조성물은 다른 성분들을 기타 의약외품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점증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함량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 제조시 색상 및 안정성이 떨어지며,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PDGF-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은 치료 지수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세포에 대한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어 의약외품 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DGF-C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개선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PDGF-C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PDGF-C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미녹시딜(minoxidil)과 병용함으로써 탈모 방지 또는 개선,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 효과를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다. PDGF-C 또는 미녹시딜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에 비하여 병용 투여에 의한 시너지 효과가 현저하다는 점은 하기 실시예로 확인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수염 조직 배양에서 PDGF-C 처리에 따른 육모 효과
PDGF-C의 발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염 조직 배양(Vibrissae hair organ culture)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4주령 c57bl/6 마우스의 수염 모낭(vibrissae hair follicle)을 분리하여 6 웰 플레이트에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2 mM L-글루타민(L-glutamin), 10 μg/ml 인슐린(insulin), 10 ng/ml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100 U/ml 페니실린(penicillin)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이 포함된 윌리엄 배지(Williams E)를 사용하였고, 실험군에는 동일한 배지에 20 ng/ml PDGF-C 을 추가하여 배양하였다. 3일 후 모낭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수염(vibrissae)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PDGF-C 단백질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수염의 길이가 훨씬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PDGF-C 처리에 따른 모유두 세포 증식 효과
PDGF-C의 발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모유두 세포(PromoCell회사에서 구입)를 3개 군으로 나누고 각각 단백질 PDGF-C(PepproTech회사에서 구입)를 농도별로(0, 1, 5 ng/ml)처리한 후 1일에서 3일까지 매일 모든 세포를 트립신(trypsin) 처리하여 플레이트에서 떼어낸 후 트리판 블루(trypan blue)로 염색하여 직접 모유두 세포의 수를 계수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DGF-C가 처리된 모유두 세포의 성장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PDGF -C와 미녹시딜의 병용 투여에 따른 시너지 효과
PDGF-C와 미녹시딜을 함께 사용하였을 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6.5주령 C3H마우스의 등을 면도한 다음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3개의 실험군에 대해서는 각각 2% 미녹시딜(로게인, rogain) 1 μg, PDGF-C 1 μg, 또는 미녹시딜/PDGF-C 1 μg 을 등에 골고루 발라주었고, 대조군의 경우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았다. 14일 동안 각각의 약물을 처리한 후 사진을 찍어 발모 결과를 비교하였고, 각 실험군의 등털을 제모한 다음 털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PDGF-C를 단독으로 투여하였을 때는 육안으로 발모 효과가 두드러지지 않았고, 미녹시딜 단독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으나 유의미한 정도는 아니었다. 반면 미녹시딜과 PDGF-C를 병용 투여한 경우는 대조군 및 미녹시딜 단독 투여군에 비해 모발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PDGF-C(platelet-derived growth factor-C)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미녹시딜(Minoxidi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외용제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먼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4. PDGF-C(platelet-derived growth factor-C)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개선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미녹시딜(Minoxidi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토닉, 두피 로션, 두피 크림, 두피 세럼, 두피에센스, 두피 앰플, 두피 트리트먼트, 두피 컨디셔너, 두피 샴푸, 두피 팩,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헤어 린스, 헤어책, 헤어 트리트먼트, 눈썹 발모제, 속눈썹발모제, 속눈썹영양제, 애완동물용 샴푸 또는 애완동물용 린스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개선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49238A 2017-11-10 2017-11-10 Pdgf-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27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238A KR102027216B1 (ko) 2017-11-10 2017-11-10 Pdgf-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238A KR102027216B1 (ko) 2017-11-10 2017-11-10 Pdgf-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408A true KR20190053408A (ko) 2019-05-20
KR102027216B1 KR102027216B1 (ko) 2019-10-01

Family

ID=6667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238A KR102027216B1 (ko) 2017-11-10 2017-11-10 Pdgf-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274A1 (ko) * 2022-01-26 2023-08-03 서울대학교병원 알데히드 탈수소효소 2 조절을 통한 탈모 또는 백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437A (ko) * 2012-11-01 2014-05-13 주식회사 라빠바이오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비듬 생성 억제 및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437A (ko) * 2012-11-01 2014-05-13 주식회사 라빠바이오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비듬 생성 억제 및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edical Research / 31 卷 (2010) 1 號 p. 27-34 *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Volume 43, Issue 2, August 2006, Pages 105-11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274A1 (ko) * 2022-01-26 2023-08-03 서울대학교병원 알데히드 탈수소효소 2 조절을 통한 탈모 또는 백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216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7973B2 (ja) 瞼の毛髪の成長を刺激するための局所的組成物
KR101772574B1 (ko) 모낭 세포의 재생과 성장을 촉진하는 성장인자, 고안정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변이체 및 노긴 펩타이드를 함유한 헤어케어 화장품 조성물
KR20140115400A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두피케어조성물
KR101330889B1 (ko)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2535575B1 (ko) 고안정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9 변이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화장품 조성물
US20140086977A1 (en) Tight junctions modulators
CN110548031B (zh) 包含乌地那非作为活性成分的用于增强脂肪干细胞的生发诱导能力的组合物
KR20160008055A (ko) 동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9994824B2 (en) Method for promoting hair growth using composition comprising PDGF-D treated adipose-derived stem cells
KR20190053408A (ko) Pdgf-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6794192B (zh) 包含齐墩果酸衍生物及其药学上可接受的盐的用于防止脱发或促进毛发生长的组合物
KR20140091376A (ko) 국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003153B1 (ko) 레졸빈 d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염증 치료용 조성물
US20210330725A1 (en) Garcinia mangostana extract for promoting hair growth
KR102386625B1 (ko)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50117609A (ko) 니코틴산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인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제
KR20150091983A (ko) 발모촉진용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KR20230097841A (ko) EGF(Epidermal Growth Factor)를 유효성분으로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RU2292906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и косме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плацентарный фактор роста plgf-1
KR101190815B1 (ko) 세로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KR101885591B1 (ko) 휴매닌 또는 이의 유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92471B1 (ko) 탈모 완화 및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는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826B1 (ko) 인터루킨 13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0950B1 (ko) 인터루킨 16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134881A (ko)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