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845A - Automatic apparatus for raising flag - Google Patents

Automatic apparatus for raising fl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845A
KR20190052845A KR1020170148620A KR20170148620A KR20190052845A KR 20190052845 A KR20190052845 A KR 20190052845A KR 1020170148620 A KR1020170148620 A KR 1020170148620A KR 20170148620 A KR20170148620 A KR 20170148620A KR 20190052845 A KR20190052845 A KR 20190052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rod
case
uni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6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5804B1 (en
Inventor
권운천
Original Assignee
권운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운천 filed Critical 권운천
Priority to KR1020170148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804B1/en
Publication of KR2019005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8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8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aising a flag, having a simple structure to increase convenience in production, and remotely transmitt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aising a flag comprises: a case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a support formed on a streetlamp or a telephone pole; a flag unit formed in the case and including a flag; a driving unit pulling or fixing the flag by driving; a control unit in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with external terminals;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transmitting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advertises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s by transmitting data including the image to the display unit.

Description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AUTOMATIC APPARATUS FOR RAISING FLAG}{AUTOMATIC APPARATUS FOR RAISING FLAG}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플래그 게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으로 플래그를 게양하고 광고 영상을 표시하는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ure herein relates to a flag hoisting device and relates to an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hoists a flag and displays an advertisement image.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description set forth in this identification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prior art as described in this identification section.

일반적으로 국기 및 다양한 단체나 행사를 위해 사용되는 기들을 포함하는 플래그들은 특정한 날의 전후에 걸쳐서 가로등이나 다양한 장소에 게양되어 사용되고 있다.Flags, which generally include flags and flags that are used for various groups or events, are hoisted on streetlights or in various locations around a certain day.

그러나 플래그들은 게양하는 날짜 이전에 전신주 또는 가로등에 설치된 플래그 꽂이에 플래그들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설치할 수 밖에 없어,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flags have to manually set the flags individually on the flagpoles installed on the telephone pole or the streetlamp before the date of hoisting, and labor, time, and cost have increased.

이와 관련되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3444는 자동국기게양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9041호는 자동국기게양장치를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093444 discloses an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79041 discloses an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제작 구조가 복잡하고, 외부에 노출되어 오염이 발생하기 쉬우며 국기 게양 이외의 용도로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existing invention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y are complicated in manufacturing structure, are exposed to the outside, are likely to be contaminated, and are difficult to use for purposes other than flag raising.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편의성이 높고, 원격으로 광고 송출이 가능한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that is simple in structure and high in convenience of production and capable of delivering advertisements remotely.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Further,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는 가로등 또는 전봇대에 형성된 지지대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고, 플래그를 포함하는 플래그(flag)부, 구동을 통해 상기 플래그를 당기거나 고정시키는 구동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외부의 단말기들과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을 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여 상기 영상을 광고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an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includes a case coupled to both sides of a support frame formed on a streetlight or a telephone pole, a flag formed inside the case and including a fla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external terminals via wired or wireless,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data includ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display unit to advertise the imag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래그부 내부에 배치된 플래그에 해당하는 게양 날짜 또는 게양 날짜와 인접한 날짜에 상기 구동부 및 플래그부를 제어하여 상기 플래그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탄성 이동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and the flag unit to move the flag to the outside of the case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the flag unit on a date close to the date of the wake-up date or the date of the wakeup date corresponding to the flag disposed in the flag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통해 상기 와이어를 당겨 외부에 노출된 상기 플래그를 상기 케이스에 삽입시키고, 상기 플래그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감겨진 후 자성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pull the wire through the driving unit to insert the flag exposed to the outside into the case, and the flag may be wound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case and fixed through the magnetism .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인접한 위치에 있는 상기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가 포함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display an image or an image included in the data on the display unit when data is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terminals located adjacent thereto.

또한, 상기 플래그부는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타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케이스 전면의 제1 개구부를 통해 외부를 향해 이동하는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하강 곡선을 이루며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ag portion may include a rod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gear coupled to rotate the other end of the rod, And a second gear that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toward the first opening and form a downward curve to engage with the first gear moving toward the outside through a first opening i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또한, 상기 플래그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로드에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로드의 타단이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해 탄성 이동하면 정회전하는 상기 제1 기어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리면서 외부에서 펼쳐질 수 있다.Further, when the other end of the rod is elastically moved toward the first opening while the flag is wound on the rod inside the case, the forward rotation can be gradually released from the outside while being gradually released through the first gear.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기어를 관통하여 상부에 돌출되는 상기 로드의 타단과 결합되는 와이어 및 상기 로드의 타단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로드의 타단을 당기거나 밀어내는 제1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coupled to the case, a wire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motor at one end, a wir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projecting upward through the first gear, And a first electromagnet which is arranged to push or pull the other end of the ro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section.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로드의 타단과 와이어를 통해 결합되고, 자성이 형성된 무게추 및 상기 무게추에 인접한 위치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부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전자석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석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를 통해 상기 무게추를 상기 로드와 이격시키거나 상기 로드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second magnet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through a wire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weight, The weight can be moved away from the rod or moved toward the rod through the control of sequentially supplying electric power to each of the two electromagnets.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는 국기 및 다양한 행사 또는 단체를 위한 깃발을 포함하는 플래그들이 게양되는 날과 가까운 날짜에 플래그를 자동으로 게양시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an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has the advantage of automatically hoisting a flag on a date close to the day the flags, including the flag and flags for various events or groups, are hoisted.

또한,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는 플래그를 지탱하는 로드의 이동만으로 플래그가 펼쳐지고, 로드가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플래그가 로드에 감겨지므로, 플래그의 수납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flag lifting apparatus has an advantage that the flags are expanded only by the movement of the load supporting the flags and the flags are wound on the rods in the course of the movement of the load to the inside of the case, so that the flags can be easily accommodated and the durability is increased .

또한,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는 원거리 또는 근거리 사용자들이 전송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광고하여 특정 장소에 광고를 원하는 사용자들에 의한 광고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advertisement effect by the users who want to advertise in a specific place by advertising the data including the image transmitted by the near or far distance users through the display unit.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obviously exerted by the constitution of contents described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the inventor perceives it, the effect described above is only som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tents described, Should not be recognized.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Furthe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further by the entir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even if it is not stated in an explicit sentence,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written description belongs, It should be seen as an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5는 도 1 내지 4들의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들의 구동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의 단면도.
1 is a use state diagram of an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teachings herei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of Figur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riving of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of FIG.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riving of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s of Figs. 1 to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isclosed herei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rawings,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in individual drawings are omitted.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1 show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an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teachings herein.

도 2는 도 1의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Figure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Figure 3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of Figure 1;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는 케이스(200), 플래그부(400, 500), 구동부(600), 디스플레이부(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한다.1 to 3, the automatic flag lif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ase 200, flag units 400 and 500, a driving unit 600, a display unit 700, and a control unit 800 .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는 가로등 또는 전봇대를 포함하는 내외부에 설치된 지지대(10)에 결합되어, 연례행사나 플래그(국기 또는 깃발)의 게양이 필요한 날짜에 자동으로 상기 플래그를 외부로 노출시켜 게양하는 장치이다.The automatic flag hoisting apparatus 100 is coupled to a support stand 10 installed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including a streetlight or a telephone pole so as to automatically expose the flag to the outside on the day when an annual event or a flag (flag or flag) .

또한, 외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과 주변을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광고를 전달할 수 있고, 특정 지역에 특정 광고의 노출을 원하는 사람들은 인증절차 후 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업로드하여 광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can be delivered to the vehicle traveling on the road and people passing the periphery through the display unit 700 installed outside, and those who want to expose a specific advertisement to a specific area can download the data including the image after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Or can be uploaded wirelessly and advertised.

케이스(200)는 제1 개구부(220) 및 제2 개구부(240)를 포함한다.The case 200 includes a first opening 220 and a second opening 240.

케이스(200)는 상기 지지대(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지지대(10)의 전면 일부가 노출되되도록 상기 지지대(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며, 내부공간에는 상기 플래그가 수납된다.The case 20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support frame 10 and one end is formed to face the support frame 10 so as to expose a part of the front face of the support frame 10, .

케이스(200)의 타단은 상기 지지대(10)의 배면을 둘러싸도록 서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10) 및 케이스(200)의 배면을 관통하는 볼트 또는 케이스(200)의 저면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통해 상기 지지대(10)와 결합된다.The other end of the case 200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rround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table 10 and the bolt or case 200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200 through the support table 10 and the case 200 And is coupled to the support base 10.

제1 개구부(220)는 케이스(200)의 일단 일측에 형성되어 케이스(200)의 내부공간을 외부를 향해 노출하고, 제2 개구부(240)는 케이스(200)의 일단 타측에 상기 지지대(10)를 사이에 두고 제1 개구부(220)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The first opening 2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200 to expose the inner space of the case 200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opening 24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20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pening 220.

따라서, 케이스(200)의 일단 양측 내부공간에는 2개의 플래그들이 배치될 수 있고, 케이스(200)의 양측으로 플래그부(400) 및 구동부(600)들 각각을 중첩시켜 결합시키는 구조를 통해 복수의 플래그들의 수납 및 게양이 가능하다.Therefore, two flags can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n one side of the case 200, and a plurality of flags 400 and 600 can be coupled to the both sides of the case 200 by overlapping the flag part 400 and the driving parts 600, It is possible to store and lift flags.

플래그부(400)는 로드(420), 제1 기어(440), 플래그(450), 제2 기어(460) 및 스프링(480)을 포함한다.The flag portion 400 includes a rod 420, a first gear 440, a flag 450, a second gear 460, and a spring 480.

로드(420)의 일단은 제1 개구부(220)의 내부공간의 하부에 상기 지지대(1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One end of the rod 420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opening 220 so as to be rotatable toward the front or rear of the supporter 1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upper portion .

제1 기어(440)는 로드(420)의 타단에 로드(420)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피니언 기어 형태로 형성되고, 플래그(450)는 제1 기어(440)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원통에 감겨지도록 형성된다.The first gear 4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inion gear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od 420 at the other end of the rod 420. The flag 450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first gear 440 As shown in Fig.

제2 기어(460)는 제1 기어(440)와 맞물리도록 제1 개구부(220)의 내부에 형성되고, 제1 기어(440)의 타단이 일단을 축으로 제1 개구부(220)의 외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강 곡선을 이루며 제1 개구부의 외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The second gear 460 is formed inside the first opening 220 to engage with the first gear 44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gear 44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opening 220 So as to extend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open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스프링(480)은 제1 개구부(220)에 위치한 케이스(200)의 내부공간에서 로드(420)의 일단 후방에 배치되고, 비틀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은 케이스(200)에 결합되고 타단은 로드(420)의 배면과 밀착되어 로드(420)의 배면을 탄성 가압한다.The spring 480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rod 420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200 located in the first opening 220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rsion spring and has one end coupled to the case 200,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rod 420 to elastically press the back surface of the rod 420.

따라서, 플래그(450)는 제1 기어(440)가 제2 기어(460)와 맞물린 상태에서 스프링(480)이 로드(420)의 배면을 탄성 가압하여 제1 개구부(220)의 외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제1 기어(44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점진적으로 펼쳐진다.Accordingly, the flag 450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irst gear 440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460, the spring 480 elastically presses the back surface of the rod 420 to move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opening 220 While gradually rotating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gear 440.

또한, 플래그(450)는 케이스(200) 내부에서 감겨진 상태에서 제1 개구부(220)를 통해 외부로 나오는 과정에서 제1 기어(440)의 회전을 통해 자동으로 펼쳐져 편의성이 개선된다.In addition, the flag 450 is automatically deployed through rotation of the first gear 440 in the process of being wound inside the case 200 and out through the first opening 220,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또한, 플래그(450)는 제1 개구부(220)의 외부에서 다시 케이스(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 기어(440)가 제2 기어(460)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로드(420)에 자동으로 감겨져 수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first gear 440 engages with the second gear 460 and rotates while the flag 450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opening 220 into the inside of the case 2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automatically wound and easy to store.

한편, 제2 개구부(240)쪽의 케이스(200) 내부에 형성되는 플래그부(500)는 상기 지지대(10)를 사이에 두고 플래그부(400)와 대칭되도록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The flag unit 500 formed inside the case 200 on the side of the second opening 24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lag unit 400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support unit 10 interposed therebetween. do.

또한, 플래그부(400, 500)들 각각에 서로 다른 형태의 플래그(450)들을 배치시켜 다양한 형태의 플래그(450)들을 게양이 필요한 날짜에 적합하도록 개별적으로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flags 450 of different types may be disposed in each of the flag units 400 and 500 to expose various types of flags 450 individually to suit the dates required for hoisting.

구동부(600)는 모터(620), 와이어(640), 롤러(660) 및 제1 전자석(680)을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600 includes a motor 620, a wire 640, a roller 660, and a first electromagnet 680.

구동부(600)는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플래그부(400, 500) 각각의 후방에 형성되고, 구동을 통해 플래그(450)들 각각을 제1 개구부(220) 또는 제2 개구부(240)를 통해 외부를 향해 노출시키거나 당기고 고정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600 is formed behind the flag units 400 and 500 in the case 200 and drives the flags 450 through the first opening 220 or the second opening 240 To expose it to the outside or to pull and fix it.

모터(620)는 플래그부(400, 500)들 각각이 형성된 공간의 후방에 상부의 통로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후방공간 하부에 형성되고, 모터(620)의 구동축에 감겨지도록 결합된 와이어(640)를 통해 제1 기어(440)의 상단에 돌출된 로드(420)의 타단과 결합된다.The motor 62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ar spac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space formed with the flag portions 400 and 500 through the upper passages and is wound around the driving shaft of the motor 620 640 to the other end of the rod 420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gear 440.

롤러(660)는 상기 통로에 형성되고, 와이어(640)를 로드(420)의 타단을 향해 가이드하여 로드(420)의 타단과 결합된 와이어(640)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 구동한다.The roller 660 is formed in the passage and rotatably drives the wire 640 to guide the other end of the rod 420 to allow smooth movement of the wire 640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rod 420.

제1 전자석(680)은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로드(420)의 타단 상부에 형성되고, 외부전력 또는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 내부의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제어부(800)의 제어를 통해 자성으로 로드(420)를 끌어당겨, 로드(420)가 케이스(200)의 외부로 탄성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first electromagnet 68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end of the rod 420 in the inside of the case 200 and receives power through external power or battery inside the automatic flag hoisting apparatus 100, Magnetically attracts the rod 420 to prevent the rod 420 from being elastically mov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200.

반대로, 로드(420)의 타단을 N극 또는 S극으로 제작하고, 제1 전자석(680)의 극성 변환을 통해 로드(420)의 타단을 끌어당겨 플래그(450)를 케이스(200)의 내부에 보관하거나 로드(420)의 타단을 밀어내어 플래그(450)를 게양할 수 있다.Conversely, the other end of the rod 420 is formed to be an N pole or an S pole, and the other end of the rod 420 is pulled through the polarity conversion of the first electromagnet 680, The flag 450 can be hoisted by holding or pushing the other end of the rod 420.

디스플레이부(700)는 케이스(200)의 양측면 및 배면에 형성되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나 도보를 걷는 보행자들에 대한 시인성이 높고,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광고 영상 또는 국가적인 스포츠 경기 관람에 효과적이다.The display unit 7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se 200 an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200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vehicle or the pedestrians walking on the road is high. It is effective in watching sports games.

디스플레이부(700)는 케이스(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어부(80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의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 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결제시스템을 포함하는 어플 또는 사이트를 통해 광고 송출이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700 displays images uploaded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by wire or wirelessly through a control unit 800 formed inside the case 200 and transmits advertisement through an application or a site including a payment system It is possible.

제어부(800)는 케이스(200)의 양측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플래그부(400, 500)들 각각에 설치된 서로 다른 형태의 플래그(450)들을 플래그부(400, 500)들 각각에 연결된 구동부(600)들을 통해 제어하여, 플래그(450)들 각각이 게양되는 날 또는 게양되는 날의 전후기간 동안 플래그(450)들을 게양시킨다.The control unit 800 controls the flags 450 of the flags 400 and 5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se 200 to correspond to the driving units 600 and 600 connected to the flag units 400 and 500, To hoist flags 450 during the day on which the flags 450 are hoisted or before and after the hoisted day, respectively.

또한, 제어부(800)는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에 인접한 사용자나 유선을 통해 원거리에서 제어부(800)에 연결된 사용자가 별도의 결제시스템이나 인증을 통해 원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어부(800)에 업로드 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사용자가 정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하여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가 설치된 지역에서 광고를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800 transmits data including a desired image or image to the control unit 800 through a separate payment system or authentication by a user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00 remotely via a user or wired line adjacent to the automatic flag lifting apparatus 100 800, the user can display a desired image or image on the display unit 70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the user to be effectively used for users who want to advertise in an area where the automatic flag lift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따라서,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는 원거리 또는 인접한 거리에서 원하는 광고를 주위에 나타낼 수 있고,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 주변에 인접한 사람들은 상기 광고를 통해 주위에서 원하는 소비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us, through the automatic flagging device 100, the user can present a desired advertisement around at a distance or an adjacent distance, and people nearby the automatic flagging device 100 can make a desired consumption around the advertisement There is an advantage.

도 4는 도 1의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을 도시한다.Figure 4 shows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drive of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of Figure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는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플래그부(400, 500)들 각각이 구동부(600)들 각각과 상기 통로를 지나가는 와이어(640)를 통해 연결되도록 형성된다.4, the automatic flag lifting apparatus 100 is configured such that each of the flag units 400 and 500 in the case 20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driving units 600 through a wire 640 passing through the passageway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로드(420)의 타단은 제1 전자석(680)을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로드(420)의 일단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제1 전자석(680)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면 제1 기어(440)가 정회전하며 제2 기어(46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한다.Specifically, the other end of the rod 420 is dispos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one end of the rod 420 while being fixed through the first electromagnet 680, and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first electromagnet 680 is interrupted The first gear 44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move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gear 460.

제1 기어(440)의 정회전 및 이동으로 로드(420) 주위에 감겨진 플래그(450)가 점진적으로 펼쳐지고, 제1 기어(440)가 제1 개구부(220)의 외부에 노출되고 모터(620)에 감겨진 와이어(640)가 최대한 풀리면, 로드(420) 타단의 이동은 정지한다.The forward rotation and movement of the first gear 440 progressively unfold the flag 450 wound around the rod 420 and the first gear 44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opening 220 and the motor 620 , Th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rod 420 is stopped.

로드(420)의 타단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정지하면, 플래그(450)는 제1 기어(440)의 회전에 의해 전체적인 형태를 가지도록 펼쳐지고, 외부에 노출되는 제1 기어(440)는 제1 개구부(220)의 전면 상부를 커버하는 구조(도면 미도시)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When the other end of the rod 420 is stopped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 flag 450 is unfolded to have an overall shape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440, and the first gear 440,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Not shown)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2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반대로, 모터(620)의 구동을 통해, 모터(620)의 구동축에 와이어(640)가 감겨지면, 제1 기어(440)는 제1 개구부(220)를 통해 케이스(200)의 내부로 이동하고, 제2 기어(460)와 맞물리며 방향으로 역회전한다.Conversely, when the wire 640 is wound around the driving shaft of the motor 620 through the driving of the motor 620, the first gear 440 moves to the inside of the case 200 through the first opening 220 And engages with the second gear 460 and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제1 기어(440)가 역회전하며 제1 전자석(680)을 향해 이동하면, 제1 기어(440)의 상단에 돌출된 로드(420)에 연결된 와이어(640)는 모터(620)의 구동축에 감겨지고, 로드(420)의 타단은 제1 전자석(680)의 제어를 통해 제1 전자석(680)과 자성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wire 640 connected to the rod 420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gear 44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motor 620 by the first gear 440, And the other end of the rod 420 is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first electromagnet 680 through the control of the first electromagnet 680 and fixed.

따라서,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는 스프링(480)의 탄성력과 제1 전자석(680)의 제어를 통해 편리하게 플래그부(400, 500)들 각각의 플래그(450)들을 게양시킬 수 있다.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100 can conveniently hoist the flags 450 of the flag portions 400 and 500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80 and the control of the first electromagnet 680. [

또한, 제1 기어(440) 및 제2 기어(460)를 통해 자동으로 플래그(450)들 각각이 펼쳐져 별도의 구동력이 필요없고, 게양된 플래그(450)들 각각을 회수하는 경우, 모터(620) 및 와이어(640)의 구동을 통해 플래그(450)들을 당기면, 플래그(450)들이 로드(420)에 자동으로 감겨지는 장점이 있다.Further, when each of the flags 450 is unfolded automatically through the first gear 440 and the second gear 460 so that no separate driving force is required and each of the hoisted flags 450 is recovered, the motor 620 And pulling the flags 450 through the driving of the wire 640, the flags 450 are automatically wound on the rod 420. [

한편, 플래그부(500)는 케이스(200) 내부공간에서 플 래그부(500)의 후방에 설치된 구동부(600)를 통해 플래그부(400)와 구동부(600) 사이의 구동과 동일한 플래그 게양 구동을 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lag unit 500 is driven by the same flag driving as the driving between the flag unit 400 and the driving unit 600 through the driving unit 600 provided in the rear of the flag unit 500 in the space inside the case 200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5는 도 1 내지 4들의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들의 구동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Fig. 5 show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riving of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s of Fig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는 서로 간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이 가능하고, 별도의 서버(20)를 통해 안정적으로 단말기(30)에서 공급되는 데이터를 송수신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5, the automatic flag lifting apparatus 100 is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with each other,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supplied from the terminal 30 stably through a separate server 20.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는 원거리 또는 근거리 사용자가 단말기(3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20) 또는 제어부(8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하면, 결제시스템 또는 인증을 통해 디스플레이부(700)에 사용자가 송신한 데이터와 관련된 영상을 표시한다.The automatic flag lifting apparatus 100 transmits the data including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0 via the terminal 30 to the server 20 or the control unit 800 either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 Displays an image related to the data transmitted by the user to the display unit 700 through the payment system or authentication.

반대로,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는 원거리 또는 근거리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30)에 다른 사용자가 송신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단말기(30)를 통해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로 전송된 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flag hoisting apparatus 100 transmits data transmitted by another user to the terminal 30 used by a user at a remote or near range, and transmits data transmitted to the automatic flag hoisting apparatus 100 via the terminal 30 .

또한,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들 각각은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원거리에 설치될 수 있는 서버(20)와 연결이 지연되거나 단절되는 경우, 서로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최초에 서버(20) 또는 단말기(30)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공유하여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데이터에 관련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automatic flag lifting apparatuse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server 20 that is installed at a remote place is delayed or disconnected, 20 or the terminal 30 to display an image related to the data through the display unit 700. [

제어부(800)는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에 설치된 플래그(450)들 각각의 게양 날짜가 저장되어 자동으로 플래그(450)들을 구동부(600)를 통해 게양시키고, 다양한 이유로 플래그(450)들 각각의 게양 날짜가 변동되는 경우 서버(20)를 통해 게양 날짜가 변경된다.The control unit 800 stores the lifting date of each of the flags 450 installed in the automatic flag lifting apparatus 100 and automatically hoists the flags 450 through the driving unit 600 and for each of the flags 450 The server 20 changes the lifting date.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6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20)는 구동부(9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5들의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100 of Figs. 1 to 5 except for the driving portion 900, and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are used, Is omitted.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20)는 구동부(900)를 포함한다.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120 includes a driving portion 900.

구동부(900)는 모터(920), 무게추(940), 제2 전자석(960), 와이어(640) 및 롤러(660)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900 includes a motor 920, a weight 940, a second electromagnet 960, a wire 640, and a roller 660.

모터(920)는 플래그부(400)와 구동부(900) 사이의 공간을 연결하는 상기 통로에 배치되어 구동축을 통해 롤러(660)와 결합되며, 구동부(900)의 구동을 통해 롤러(660)가 회전한다.The motor 920 is disposed in the passage connecting the space between the flag unit 400 and the driving unit 900 and is coupled to the roller 660 through a driving shaft. The driving unit 900 drives the roller 660 Rotate.

와이어(640)는 롤러(660)의 상단과 상기 통로 상의 케이스(20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롤러(660)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640)가 이동하며 플래그(450)를 당길 수 있다.The wire 64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roller 66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200 on the passage so that the wire 640 is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roller 660 and can pull the flag 450.

무게추(940)는 와이어(640)를 통해 로드(420)의 타단과 연결되고, 롤러(660)를 사이에 두고 플래그부(400)와 이격되도록 플래그부(400)의 후방 공간에 배치된다.The weight 94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420 through the wire 640 and is disposed in the rear space of the flag portion 4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ag portion 400 with the roller 660 therebetween.

무게추(940)의 상단에는 로드(420)의 타단이 롤러(660)와 이격되며 플래그(450)를 펼친 후 무게추(940)가 상기 통로로 이동하여 롤러(66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이 형성된다.The other end of the rod 420 is spaced apart from the roller 660 at the upper end of the weight 940 to prevent the weight 940 from moving into the passage and colliding with the roller 660 after the flag 450 is opened A bust is formed.

따라서, 로드(420)의 타단이 롤러(660)와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플래그(450)가 펼쳐지는 상태에서 무게추(940)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이동이 차단되어 로드(42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Accordingly, the other end of the rod 420 is moved away from the roller 660, and in the state where the flag 450 is deployed, the weight 940 is stopped by the latching jaw to stop the movement of the rod 420 .

제2 전자석(960)들 각각은 무게추(940)의 후방에서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일부는 무게추(940)의 저면 직하방에 위치한 곳에 배치된다.Each of the second electromagnets 960 is arranged to be spaced from the rear of the weight 9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a part of the second electromagnets 960 is disposed at a position directly below the bottom of the weight 940.

제2 전자석(960)들 각각은 제어부(800)를 통해 제어되고, 무게추(940)의 배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자성을 발생하여 무게추(940)를 끌어당긴다.Each of the second electromagnets 960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800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back surface of the weight 940 to generate magnetism when power is supplied to attract the weight 940. [

따라서, 로드(420)의 이동으로 플래그(450)가 펼쳐진 상태에서 무게추(940)가 케이스(200) 내부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무게추(940)와 인접한 제2 전자석(960)부터 전력을 공급하여 무게추(940)를 끌어당긴다.Therefore, when the weights 940 are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200 in the state in which the flag 450 is unfold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rod 420, the second electromagnets 960 adjacent to the weights 940 Power is supplied to pull the weight 940.

그리고 제2 전자석(960)의 배치 방향을 따라 하부에 인접한 제2 전자석(960)들 각각을 향해 순차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면, 무게추(940)의 중량, 롤러(660)의 회전 및 제2 전자석(960)들 각각이 발생시키는 자성의 이동에 의해 로드(420)는 케이스(200)의 내부공간을 향해 이동한다.When power is sequentially supplied to each of the second electromagnets 960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magnet 960, the weight of the weight 940, the rotation of the roller 660, The rod 420 moves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case 200 by the movement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each of the arms 960.

예를 들어, 무게추(940)와 인접한 제2 전자석(960)들 중 어느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여 무게추(940)를 끌어당기고, 무게추(940)를 끌어당긴 제2 전자석(960)에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한 후 전력이 차단된 제2 전자석(960)의 하부에 위치한 제2 전자석(960)에 전력을 공급하면, 무게추(940)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전자석(960)의 자성에 의해 당겨져 하강한다.For example, by supplying power to any one of the second weight 940 and the second electromagnets 960 to attract the weight 940 and to attract the weight 940 to the second electromagnet 960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electromagnet 960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magnet 960 whose power is interrupted after the power to be supplied is cut off and the weight 9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magnet 960 It is pulled down by magnetism.

따라서,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120)는 무게추(940)의 중량, 롤러(660)의 회전 및 제2 전자석(960)들의 자성을 이용하여 로드(420)를 케이스(200)의 외부를 향해 밀어내는 스프링(48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당기는 장점이 있다.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120 pushes the rod 420 toward the outside of the case 200 using the weight of the weight 940, the rotation of the roller 660 and the magnetism of the second electromagnets 960 There is an advantage of pulling out the spring 480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8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substituted for those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 concept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120: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 200: 케이스
400, 500: 플래그부 600, 900: 구동부
700: 디스플레이부 800: 제어부
100, 120: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200: case
400, 500: flag unit 600, 900:
700: display unit 800:

Claims (8)

가로등 또는 전봇대에 형성된 지지대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고, 플래그를 포함하는 플래그(flag)부;
구동을 통해 상기 플래그를 당기거나 고정시키는 구동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외부의 단말기들과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을 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여 상기 영상을 광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
A case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a street lamp or a support formed on the electric lamp;
A flag formed inside the case and including a flag;
A driving unit for pulling or fixing the flag through driv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external terminals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d a display unit for starting an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data includ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display unit to advertise the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래그부 내부에 배치된 상기 플래그에 해당하는 게양 날짜 또는 게양 날짜와 인접한 날짜에 상기 구동부 및 플래그부를 제어하여 상기 플래그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탄성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and the flag unit to move the flag to the outside of the case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the flag unit at a date close to the date of the lift or the date of the lift corresponding to the flag disposed inside the fla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통해 상기 와이어를 당겨 외부에 노출된 상기 플래그를 상기 케이스에 삽입시키고, 상기 플래그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감겨진 후 자성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flag is inserted into the case by being pulled out by driving the driving unit to insert the flag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lag is fixed by magnetic force after being wound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cas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접한 위치에 있는 상기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가 포함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an image or an image included in the data when the data is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terminals located adjacent there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부는,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타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케이스 전면의 제1 개구부를 통해 외부를 향해 이동하는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하강 곡선을 이루며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rod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gea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so as to be rotatable; And
And a second gear which is formed to have a downwardly curving line and to extend toward the first opening so as to engage with the first gear moving toward the outside through a first opening of the case front surface,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로드에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로드의 타단이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해 탄성 이동하면 정회전하는 상기 제1 기어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리면서 외부에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n the other end of the rod is elastically moved toward the first opening in a state of being wound on the rod inside the case, the forward rotation is gradually releas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gear, and is released from the outside.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기어를 관통하여 상부에 돌출되는 상기 로드의 타단과 결합되는 와이어; 및
상기 로드의 타단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로드의 타단을 당기거나 밀어내는 제1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A motor coupled to the case;
A wire coupled at one en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and at the other en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projecting upwardly through the first gear; And
And a first electromagnet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rod and pulling or pushing the other end of the ro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로드의 타단과 와이어를 통해 결합되고, 자성이 형성된 무게추; 및
상기 무게추에 인접한 위치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부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전자석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석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를 통해 상기 무게추를 상기 로드와 이격시키거나 상기 로드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플래그 게양 장치.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A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through a wire and formed with magnetism; And
And second electromagnets dispos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weigh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Wherein the weight is moved away from the rod or moved toward the rod through control for sequentially supplying electric power to each of the second electromagnets.


















KR1020170148620A 2017-11-09 2017-11-09 Automatic apparatus for raising flag KR1020358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620A KR102035804B1 (en) 2017-11-09 2017-11-09 Automatic apparatus for raising fl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620A KR102035804B1 (en) 2017-11-09 2017-11-09 Automatic apparatus for raising fl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845A true KR20190052845A (en) 2019-05-17
KR102035804B1 KR102035804B1 (en) 2019-10-23

Family

ID=6667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620A KR102035804B1 (en) 2017-11-09 2017-11-09 Automatic apparatus for raising fl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80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5289A (en) * 2012-05-01 2012-06-20 주식회사 태진테크 Flagpole device for street lamp
KR101393073B1 (en) * 2013-11-26 2014-05-09 (주)하이큐브시스템 Folding type national flag bar
KR101513832B1 (en) * 2014-02-14 2015-04-20 이선일 Flag hoist system
KR20160134628A (en) * 2016-11-15 201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5289A (en) * 2012-05-01 2012-06-20 주식회사 태진테크 Flagpole device for street lamp
KR101393073B1 (en) * 2013-11-26 2014-05-09 (주)하이큐브시스템 Folding type national flag bar
KR101513832B1 (en) * 2014-02-14 2015-04-20 이선일 Flag hoist system
KR20160134628A (en) * 2016-11-15 201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804B1 (en)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1024865C2 (en) Device provided with an engagement surface for wind.
KR102030061B1 (en) Hanging apparatus for placard
US9007533B2 (en) Moving display system
WO2022104564A1 (en) Intelligently fabricated display stand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 that facilitates observation
KR20190052845A (en) Automatic apparatus for raising flag
CN205557381U (en) Advertisement banister that can display many pictures
US20130208193A1 (en) Moving display system
KR20100055697A (en) Screen hanging device
KR101302322B1 (en) Flagpole device for street lamp
CN110097824A (en) A kind of intelligent publicity board of industrial and commercial administration teaching
CN205582440U (en) LED propagates ball
CN101596366B (en) Toy eye
CN210378370U (en) Employment information bulletin board
CN211040190U (en) Intelligent display device
JP5680776B1 (en) Outdoor / traffic advertising equipment
KR101773449B1 (en) Magnetic levitation type billboard
CN203444718U (en) Device for alternately displaying display screen and advertising poster
KR20100013109A (en) Up/down type placard supporting apparatus
CN205376017U (en) Intelligence eye -catcher tablet
KR101664838B1 (en) Portable Smart Roadsign
CN214671528U (en) Flag raising device
CN208208177U (en) Leaflet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CN214424134U (en) Bus booth
CN215518518U (en) Advertisement lamp box barrier gate
KR20090016941A (en) Hanging screen advertizement apparatus for skyscr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