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475A - 폴더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475A
KR20190052475A KR1020170148188A KR20170148188A KR20190052475A KR 20190052475 A KR20190052475 A KR 20190052475A KR 1020170148188 A KR1020170148188 A KR 1020170148188A KR 20170148188 A KR20170148188 A KR 20170148188A KR 20190052475 A KR20190052475 A KR 20190052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ortion
cover
display device
lay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8410B1 (ko
Inventor
최석
오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4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인 커버부를 포함하고, 폴딩 영역의 폴딩 축에서의 커버부의 두께는 일정하다. 따라서, 커버부를 적어도 일부를 곡면으로 구성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한 커버부의 크랙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표시 장치{FOR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더블 표시 장치의 커버부 엣지에서의 크랙 불량이 개선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모니터나 TV,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는 스스로 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등과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플렉서블(flexible) 소재인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기판에 표시부, 배선 등을 형성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제조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가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는 상부에 커버 윈도우를 배치하여 표시 패널, 편광판 등의 구성을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커버 윈도우는 단단한(rigid) 재질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짐으로써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커버 윈도우의 매우 얇은 두께로 인해, 커버 윈도우의 엣지는 외부의 충격에 취약하고, 커버 윈도우의 엣지에 크랙(crack)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커버 윈도우를 매우 얇은 두께로 구성할 시, 커버 윈도우의 엣지에서의 크랙 불량이 빈번함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얇은 두께의 커버 윈도우의 크랙 불량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더블 표시 장치가 폴딩될 때, 폴더블 표시 장치의 각 구성이 응력에 의해 이동하여 접착층이 늘어남에 따라, 접착층과 각 구성의 합착 불량이 발생함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접착층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커버 윈도우의 크랙 불량 및 합착 불량이 저감된 새로운 폴더블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부를 곡면 가공하여 엣지의 크랙 불량을 저감할 수 있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커버부와 접착층간의 접촉 면적을 넓혀 접착력을 제어할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인 커버부를 포함하고, 폴딩 영역의 폴딩 축에서의 커버부의 두께는 일정하다. 따라서, 커버부를 적어도 일부를 곡면으로 구성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한 커버부의 크랙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및 폴딩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에서 표시 패널을 덮도록 배치된 커버부를 포함하고, 폴딩 영역의 폴딩에 의한 커버부의 크랙을 저감하기 위해 커버부의 상면, 하면 또는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이다. 따라서, 커버부와 접착층과의 접촉 면적을 늘려, 표시 장치의 폴딩 시, 커버부의 탈착 및 크랙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서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의 충격에 취약한 커버부의 크랙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와 접착층 사이의 접촉 면적을 넓혀 커버부와 접착층 간의 합착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IIa-II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IIb-II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가 인 폴딩(in-folding)된 단면도이다.
도 2d는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가 아웃 폴딩(out-folding)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폴더블 표시 장치가 인 폴딩된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폴더블 표시 장치가 아웃 폴딩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폴더블 표시 장치의 커버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 요소 중 표시 패널(130)만을 도시하였다.
표시 패널(130)은 영상이 구현되는 패널로,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30)은 표시 영역(AA), 비표시 영역(NA),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F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A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다. 표시 영역(AA)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표시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100)인 것으로 가정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로부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부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등과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 영역(N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표시 영역(AA)의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A)에는 게이트 드라이버 IC,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다양한 IC 및 구동 회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IC 및 구동 회로는 표시 패널(130)의 비표시 영역(NA)에 GIP(Gate In Panel)로 실장되거나,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ilm) 등의 방식으로 표시 패널(130)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130)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으로도 정의될 수 있으나,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FA)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폴딩 영역(FA)은 표시 패널(130)이 폴딩되는 영역으로,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의 일부를 포함한다.
비폴딩 영역(FA)은 표시 패널(130)이 평면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이다. 비폴딩 영역(F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한다.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 각각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의 다른 일부를 포함한다.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폴딩 영역(FA)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즉,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30)이 폴딩될 때,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폴더블 표시 장치(1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2a 내지 도 2c를 함께 참조한다.
도 2a는 도 1의 IIa-II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IIb-II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30), 백 플레이트(140), 프레임(150), 편광판(120), 커버부(110) 및 복수의 접착층(16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30) 하부에 백 플레이트(140)가 배치된다. 표시 패널(130)이 포함하는 기판이 폴리이미드(PI)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기판 하부에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판이 배치된 상황에서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이 진행되고, 표시 패널(130) 상에 편광판(120) 등의 구성요소를 형성한 후 지지 기판이 릴리즈될 수 있다. 다만, 지지 기판이 릴리즈된 이후에도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필요하므로,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백 플레이트(140)가 기판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백 플레이트(140)는 표시 패널(130)을 외부의 습기, 열,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백 플레이트(140) 하부에 프레임(150)이 배치된다. 프레임(150)은 프레임(150) 상의 백 플레이트(140), 표시 패널(130) 등을 보호할 수 있다. 프레임(150)은 제1 프레임(151) 및 제2 프레임(152)을 포함한다. 프레임(150)은 폴딩 영역(FA)을 제외한 비폴딩 영역(FA)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제1 프레임(151)이 배치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제2 프레임(152)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프레임(151) 및 제2 프레임(152)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폴딩되지 않을 수 있고, 폴딩으로 인한 응력 또한 받지 않을 수 있다.
표시 패널(130) 상부에 편광판(120)이 배치된다. 편광판(120)은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시켜, 표시 패널(130)로 입사하는 외부 광의 반사를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30)은 박막 트랜지스터, 배선, 유기 발광 소자 등에 적용되는 다양한 금속 물질을 포함한다. 이에, 표시 패널(130)로 입사된 외광은 금속 물질로부터 반사될 수 있고, 외광의 반사로 인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시인성이 저감될 수 있다. 그러나, 편광판(120)이 배치되는 경우, 편광판(120)은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야외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도 1 및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며, 편광판(120)은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구현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a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편광판(120)과 표시 패널(130) 사이에 터치 패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폴더블 표시 장치(100)에 대한 화면 터치나 제스쳐 등과 같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로,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광학 방식 또는 전자기 방식일 수 있다.
편광판(120) 상부에 커버부(110)가 배치된다. 커버부(110)는 커버부(110) 아래의 편광판(120), 표시 패널(130) 등을 외부의 충격, 습기, 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커버부(110)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커버부(110)의 상면은 곡면이다.
한편, 도 2a를 참조하면, 폴딩 영역(FA)의 폴딩 축에서의 커버부(110)의 두께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또는 제2 비폴딩 영역(NFA2)에서의 커버부(110)의 두께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폴딩 영역(FA)에서 제1 비폴딩 영역(NFA1) 또는 제2 비폴딩 영역(NFA2) 방향으로 커버부(110)의 두께는 얇아질 수 있다. 즉, 커버부(110)는, 표시 패널(130)의 중심에서 커버부(110)의 두께가 가장 크고, 폴딩 영역(FA)에서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끝단에 가까워질수록 커버부(110)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끝단에서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본 커버부(110)의 절단면은 곡면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반면, 도 2b를 참조하면, 폴딩 영역(FA)의 폴딩 축에서의 커버부(110)의 두께는 일정하다. 그러므로, 폴딩 영역(FA)의 폴딩 축을 따라서 본 커버부(110)의 절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커버부(110) 상면의 곡면은 폴딩 영역(FA)의 폴딩 축을 따라 형성되어, 폴딩 축에서의 커버부(110)의 두께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2a에서는 커버부(110)의 상면이 모두 곡면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커버부(110)의 상면 중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엣지와 엣지 부근에 대응하는 부분만이 곡면이고, 커버부(110)의 상면 중 나머지 부분은 평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AA)에 중첩하는 커버부(110)의 상면은 평면이고, 비표시 영역(NA)에 중첩하는 커버부(110)의 상면은 곡면일 수 있다.
커버부(110)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크랙을 저감하기 위해, 영률(Young's modulus)가 큰 재질, 즉 고경도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영률이 큰 재질의 경우, 폴딩될 때, 휘어지지 않고 깨지게 되므로, 폴더블 표시 장치(100)에 적용되기 어렵다. 그러나, 영률이 큰 재질이라도 일정 두께 이하가 되면 폴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10)가 유리로 이루어진 경우, 커버부(110)는 0.1 mm 이하의 두께여야 폴더블 표시 장치(100)에 적용할 수 있다.
접착층(160)은 상술한 구성들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구성을 다른 구성과 접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접착층(160)은 커버부(110)와 편광판(120) 사이, 편광판(120)과 표시 패널(130) 사이, 표시 패널(130)과 백 플레이트(140) 사이, 백 플레이트(140)와 프레임(150)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접착층(160)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인 폴딩 및/또는 아웃 폴딩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되는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제1 프레임(151)의 상면 및 제2 프레임(152)의 상면이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서의 커버부(110)의 상면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서의 커버부(110)의 상면이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아웃 폴딩되는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제1 프레임(151)의 하면 및 제2 프레임(152)의 하면이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서의 커버부(110)의 하면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서의 하면이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된 상태 및 아웃 폴딩된 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c는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in-folding)된 단면도이다. 도 2d는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아웃 폴딩(out-folding)된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IF 방향을 따라 폴딩된 경우가 인 폴딩된 경우이고, 도 2a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OF 방향을 따라 폴딩된 경우가 아웃 폴딩된 경우이다. 그러므로, 도 2c는 도 2a에서 IF 방향을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된 단면도이고, 도 2d는 도 2a에서 OF 방향을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아웃 폴딩된 단면도이다.
한편, 도 2c 및 도 2d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폴더플 표시 장치(100)의 외곽 부분, 즉,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엣지에 인접한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일부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먼저, 도 2c를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된 경우, 백 플레이트(140)와 프레임(150)을 제외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엣지는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이때, 백 플레이트(140)와 제1 프레임(151) 및 제2 프레임(152)의 엣지는 중첩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51) 및 제2 프레임(152)의 경우, 폴딩 영역(FA)과는 중첩하지 않으므로,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폴딩될 때, 응력을 받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1 프레임(151) 및 제2 프레임(152)은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평평한 상태일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엣지는 서로 중첩할 수 있다. 그러나,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되면, 응력에 의해 커버부(110)의 엣지가 최외측에 배치되고, 커버부(110) 하부에 배치된 편광판(120)의 엣지는 커버부(110)의 엣지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편광판(120) 하부에 배치된 표시 패널(130)의 엣지는 편광판(120)의 엣지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최상부에 배치된 커버부(110)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최하부에 배치된 프레임(150)으로 갈수록 엣지가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커버부(110), 편광판(120), 표시 패널(130), 백 플레이트(140) 및 프레임(150)의 엣지들이 폴딩 시 응력에 의해 이동하므로 접착층(160)이 늘어나게 된다. 이때, 엣지와 엣지간의 간격, 즉, 접착층(160)이 늘어난 길이를 슬립이라 정의할 수 있다.
슬립의 크기는 접착층(160)의 경도, 접착층(160)의 접착력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60)이 딱딱할수록 슬립의 최대 크기가 작아지고, 접착층(160)의 접착력이 강할수록 슬립의 최대 크기는 커질 수 있다.
만약, 슬립이 과도하게 커진 경우, 접착층(160)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수 있고, 접착층(160)으로 합착된 두 구성은 서로 탈착되거나,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립이 25μm 이상으로 커진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은 탈착되거나,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d를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아웃 폴딩된 경우, 백 플레이트(140) 및 프레임(150)을 제외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엣지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아웃 폴딩되면, 커버부(110)의 엣지가 최내측에 배치되고, 커버부(110) 하부에 배치된 편광판(120)의 엣지는 커버부(110)의 엣지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편광판(120) 하부에 배치된 표시 패널(130)의 엣지는 편광판(120)의 엣지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정리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최상부에 배치된 커버부(110)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최하부에 배치된 프레임(150)으로 갈수록 엣지가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아웃 폴딩된 경우와 인 폴딩된 경우에서 각 구성들의 엣지가 이동된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한편,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된 경우,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커버부(110) 상면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커버부(110) 상면은 서로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부(110) 상면, 특히 커버부(110) 상면의 엣지 부근은 폴딩되었을 때, 최외측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고, 크랙 불량에 취약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평평한 상태이거나, 아웃 폴딩 된 경우, 커버부(110) 상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의 충격을 그대로 전달받으므로, 크랙 불량에 취약할 수 있다. 그러나, 커버부(110) 상면, 특히 커버부(110) 상면의 엣지 부근이 곡면 형상을 갖는 경우, 커버부가 받는 외부의 충격이 완화되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종래의 평판 표시 장치는 폴딩되지 않고 평평한 형태로 유지되므로, 커버부는 폴딩 되지 않고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었다. 두꺼운 두께의 커버부는 내충격성이 강하므로, 크랙 불량이 저감되고, 표시 장치의 다른 구성을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폴더블 표시 장치에서는 커버부가 폴딩되기 위해, 매우 얇은 두께를 가져야 한다. 하지만, 커버부의 영률이 높더라도 커버부의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커버부의 내충격성이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두께가 얇은 폴더블용 표시 장치의 커버부는 공정이나 일상 생활 중 가해지는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특히, 커버부의 엣지 부근에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커버부(11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평평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또는 아웃 폴딩된 경우, 커버부(110)는 최외측에서 외부에 노출되고, 외부의 충격을 가장 먼저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10)는 폴딩을 위해 매우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므로, 외부의 충격에 취약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외부에 노출된 커버부(110), 특히 커버부(110)의 상면의 엣지 부근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커버부(110)가 받는 외부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으므로, 커버부(110)의 엣지 부근에서 크랙 불량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된 경우, 커버부(110)는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커버부(110)의 상면의 일부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지만, 커버부(110)의 상면의 엣지와 엣지 부근의 상면의 일부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는 충격을 받기 쉽고, 커버부에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커버부(110)의 상면의 엣지와 엣지 부근에서 상면의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커버부가 받는 외부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커버부의 엣지 부근에서 크랙 불량이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곡면으로 구성하여, 외부의 충격 및 간섭으로 인한 크랙 불량을 저감할 수 있고,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신뢰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의 폴더블 표시 장치(300)는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커버부(310) 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300)의 커버부(310)는 글라스층(311) 및 지문 방지층(312)을 포함한다.
편광판(120) 상부에 글라스층(311)이 배치된다. 글라스층(311)는 글라스층(311) 아래의 편광판(120), 표시 패널(130) 등을 외부의 충격, 습기, 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글라스층(311)은 유리로 이루어진다.
글라스층(311) 상부에 지문 방지층(312)이 배치된다. 지문 방지층(312)은 글라스층(311) 상면에 자국이 남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층(311)은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손가락이 글라스층(311)에 닿는 경우, 손의 이물질 등으로 인해 글라스층(311) 상면에 자국이 남게 된다. 이때 자국은 예를 들어, 지문 자국일 수 있다. 따라서 지문 방지층(312)은 글라스층(311) 상부에 위치하여 글라스층(311)을 덮음으로써, 글라스층(311)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문 방지층(312)은 글라스층(311)에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시인성 또한 저해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310)의 지문 방지층(312)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지문 방지층(312)은 폴더블 표시 장치(300)에서 최외측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만, 지문 방지층(312)의 상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커버부(310)가 받는 외부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으므로, 커버부(310)의 엣지 부근에서 크랙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지문 방지층(312)은 코팅 방식으로 글라스층(311)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문 방지층(312)은 표면 에너지가 낮아 다른 물질을 밀어내는 성질의 불소 화합물이 글라스층(311) 상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문 방지층(312)은 습식 코팅 방식 또는 건식 코팅 방식의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건식 코팅 방식은 진공 챔버 안에 글라스층(311)을 넣고, 지문 방지층(312)을 구성하는 물질을 증착한다. 건식 코팅 방식은 지문 방지층(312)을 얇게 형성할 수 있고, 균일도가 우수하다. 다만, 건식 코팅 방식으로 지문 방지층(312)을 형성하는 경우 제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대면적의 글라스층(311)에는 건식 코팅 방식의 공정 적용이 어렵다.
습식 코팅 방식은 스프레이처럼 불소 화합물을 분사하여 글라스층(311)에 지문 방지층(312)을 코팅한다. 습식 코팅 방식은 대면적의 글라스층(311)에 공정이 가능하고, 제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아울러, 습식 코팅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지문 방지층(312)이 다소 두껍게 코팅될 수 있고, 지문 방지층(312)이 두껍게 코팅됨에 따라 지문 방지층(312)의 상면을 곡면으로 형성하기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300)에서는 지문 방지층(312)이 습식 코팅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지문 방지층(312)이 일정 두께를 가져 곡면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만약, 지문 방지층(312)이 건식 코팅 방식으로 형성된 경우, 지문 방지층(312)의 두께가 매우 얇아, 지문 방지층(312) 상면에 곡면을 형성하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300)의 커버부(310)는 글라스층(311) 및 지문 방지층(312)을 포함하고, 지문 방지층(312)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글라스층(311) 상면에는 지문 방지를 위한 지문 방지층(312)이 배치될 수 있다. 글라스층(311)에 가해진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글라스층(311) 상면, 즉 지문 방지층(312)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글라스층(311)의 상면을 곡면으로 형성하는 대신, 글라스층(311) 상부의 지문 방지층(312)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이에 커버부(310)의 엣지 부근에서 크랙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의 폴더블 표시 장치(400)는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커버부(410) 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버부(410)는 고분자 수지층(411) 및 보호층(412)을 포함한다.
편광판(120) 상부에 고분자 수지층(411)이 배치된다. 고분자 수지층(411)은 고분자 수지층(411) 아래의 편광판(120), 표시 패널(130) 등을 외부의 충격, 습기, 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고분자 수지층(411)은 가볍고 깨지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PI(Poly imide), PC(Poly Carbon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Cyclo Olefin Polymer), TAC(Tri-Acetyl Cellulos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분자 수지층(411) 상에 보호층(412)이 배치된다. 보호층(412)은 고분자 수지층(411)을 스크래치, 습도, 열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고분자 수지층(411)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보호층(412)은 고분자 수지층(411)보다 단단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P(Poly propylene), PA(Poly Aramid)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호층(412)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층(412)은 고분자 수지층(411)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 고분자 수지층(411)보다 단단할 수 있다. 다만, 보호층(412)은 단단하므로 충격을 완충하는 것이 어려워, 외부의 충격에 의해 깨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보호층(412)은 폴더블 표시 장치(400)에서 최외측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크랙될 수도 있으나, 상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크랙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400)의 커버부(410)는 고분자 수지층(411) 및 보호층(412)을 포함하고, 보호층(412)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고분자 수지층(411)은 가볍고 깨지지 않는 특성을 가지나, 열, 습도, 스크래치 등에 취약해 고분자 수지층(411) 상면에 보호층(412)이 배치된다. 그러나, 보호층(412)은 단단한 재질로, 외부의 충격에 깨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보호층(412)의 상면을 곡면으로 구성함으로써, 공정이나 일상 생활 중에서 받는 외부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보호층(412)의 크랙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폴더블 표시 장치가 인 폴딩된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폴더블 표시 장치가 아웃 폴딩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a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500)가 IF 방향을 따라 폴딩된 경우가 인 폴딩된 경우이고, 도 5a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500)가 OF 방향을 따라 폴딩된 경우가 아웃 폴딩된 경우이다. 그러므로, 도 5b는 도 5a에서 IF 방향을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500)가 인 폴딩된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5a에서 OF 방향을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500)가 아웃 폴딩된 단면도이다.
한편, 도 5a의 폴더블 표시 장치(500)는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커버부(510)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편광판(120) 상부에 커버부(510)가 배치된다. 커버부(510)는 커버부(510) 아래의 편광판(120), 표시 패널(130) 등을 외부의 충격, 습기, 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커버부(510)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커버부(510)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이다.
커버부(510)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커버부(510)의 하면과 접착층(160)의 접촉 면적은 더 커질 수 있다. 접착층(160)과의 접촉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접착층(160)의 접착력이 증가하고, 접착층(160)이 감당할 수 있는 슬립의 최대 크기 또한 커질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500)가 인 폴딩 된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500)의 최상부에 배치된 커버부(510)의 엣지가 최외측에 배치되고, 폴더블 표시 장치(500)의 최하부에 배치된 프레임(150)의 엣지가 최내측에 배치된다. 폴더블 표시 장치(500)가 인 폴딩 되며, 백 플레이트(140)와 프레임(150)의 엣지는 중첩하나, 커버부(510), 편광판(120), 표시 패널(130), 백 플레이트(140)의 엣지는 이격 되어 배치된다.
한편, 커버부(510)의 하면과 접착층(160) 상면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접착력이 증가하고, 슬립의 최대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500)의 폴딩 시, 커버부(510)의 탈착이나 크랙 등의 불량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폴더블 표시 장치(500)가 인 폴딩된 경우, 커버부(510)의 엣지가 최외측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가장 영향을 받기 쉽다. 그러나, 커버부(510)의 하면의 엣지 및 엣지 부근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을 가짐으로써 외부의 충격이 저감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500)가 아웃 폴딩 된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500)의 최상부에 배치된 커버부(510)의 엣지가 최내측에 배치되고, 폴더블 표시 장치(500)의 최하부에 배치된 프레임(150)의 엣지가 최외측에 배치된다. 폴더블 표시 장치(500)가 아웃 폴딩 되며, 백 플레이트(140)와 프레임(150)의 엣지는 중첩하나, 커버부(510), 편광판(120), 표시 패널(130), 백 플레이트(140)의 엣지가 일직선상이 아닌 서로 이격 되어 배치되고, 접착층(160) 또한 늘어나게 된다.
이때, 커버부(510)의 하면과 접착층(160)의 상면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슬립의 최대 크기가 커질 수 있고, 이에 폴더블 표시 장치(500)가 아웃 폴딩 되며 접착층(160)이 늘어나도, 커버부(510)와 접착층(160)간의 탈착이나 크랙 등의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500)는 커버부(510)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커버부(510)의 하면과 접착층(160)의 상면 간의 접촉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접착력이 증가하고, 슬립의 최대 크기 또한 커질 수 있다. 접착력이 증가함에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500)가 인 폴딩 또는 아웃 폴딩 될 때, 커버부(510)와 접착층(160) 간의 탈착이나 크랙 등의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표시 장치(500)가 인 폴딩 된 경우, 커버부(510)의 엣지가 최외측에 배치되어 외부의 충격에 영향을 받기 쉽다. 그러나, 외부에 노출된 커버부(510)의 엣지 및 엣지 부근의 하면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커버부(510)가 받는 외부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으므로, 커버부(510)의 엣지 부근에서 크랙 불량이 감소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의 폴더블 표시 장치(600)는 도 5a의 폴더블 표시 장치(500)와 비교하여 커버부(610)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버부(610)는 고분자 수지층(611), 제1 보호층(612) 및 제2 보호층(613)을 포함한다.
편광판(120) 상에 고분자 수지층(611)이 배치된다. 고분자 수지층(611)은 고분자 수지층(611) 아래의 편광판(120), 표시 패널(130) 등을 외부의 충격, 습기, 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고분자 수지층(611)은 가볍고 깨지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PI(Poly imide), PC(Poly Carbon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Cyclo Olefin Polymer), TAC(Tri-Acetyl Cellulos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분자 수지층(611) 상면에 제1 보호층(612)이 배치되고, 고분자 수지층(611) 하면에 제2 보호층(613)이 배치된다. 제1 보호층(612) 및 제2 보호층(613)은 고분자 수지층(611)을 스크래치, 습도, 열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고분자 수지층(611)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1 보호층(612) 및 제2 보호층(613)은 고분자 수지층(611)보다 단단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P(Poly propylene), PA(Poly Aramid)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제2 보호층(613)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제2 보호층(613)의 하면의 곡면으로 인해, 제2 보호층(613)의 하면과 접착층(160)의 상면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제2 보호층(613)과 접착층(160)간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면 접착력이 증가하고, 슬립의 최대 크기 또한 늘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600)의 커버부(610)는 고분자 수지층(611), 제1 보호층(612) 및 제2 보호층(613)을 포함하고, 제2 보호층(613)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제2 보호층(613)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2 보호층(613)의 하면과 접착층(160)의 상면 간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 접착력이 증가할 수 있다. 접착력이 증가함에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600)가 인 폴딩 또는 아웃 폴딩 될 때, 커버부(610)와 접착층(160) 간의 탈착 또는 크랙 등의 파손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표시 장치(600)가 인 폴딩 된 경우, 커버부(610)의 엣지가 최외측에 배치되어 외부의 충격에 영향을 받기 쉬우며, 특히 커버부(610)의 제2 보호층(613)의 하면이 외부의 충격에 영향을 받기 쉽다. 그러나, 외부에 노출된 제2 보호층(613)의 하면의 엣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분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이에 커버부(610)의 크랙 불량 또한 저감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폴더블 표시 장치의 커버부의 단면도이다. 도 7a의 폴더블 표시 장치(700)는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커버부(710)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편광판(120) 상부에 배치된 커버부(710)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버부(710)의 상면의 곡면 및 하면의 곡면은 비대칭이다. 구체적으로, 커버부(710) 상면의 곡면의 곡률 반경은 커버부(710) 하면의 곡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다. 여기서 곡률 반경이란 곡면의 만곡의 정도를 표시하는 값으로, 곡률 반경이 클수록 만곡은 완만하다. 예를 들어, 평면에서는 곡률 반경이 무한대이다. 따라서, 커버부(710) 상면의 곡면의 곡률 반경이 하면의 곡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으므로, 커버부(710) 상면의 곡면이 하면의 곡면보다 더 가파르다.
도 7b를 참조하면, 커버부(710) 상면의 중심(OP1)과 커버부(710) 상면의 엣지(EP) 사이의 각도를 제1 각도(α)라 정의하고, 커버부(710) 하면의 중심(OP2)과 커버부(710) 하면의 엣지(EP) 사이의 각도를 제2 각도(β)라 정의하면, 제1 각도(α)는 제2 각도(β)보다 더 크다. 따라서, 커버부(710) 상면의 곡면은 하면의 곡면과 비교하여 더 가파르고, 커버부(710) 하면의 곡면은 상면의 곡면과 비교하여 더 완만하다.
커버부(710)는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면만 곡면 가공이 용이할 수 있다. 만약 커버부(710)의 상면 및 하면 모두를 곡면으로 가공하는 경우, 상면과 하면의 곡면을 대칭적으로 가공하기 어렵다. 이에, 커버부(710)의 상면 및 하면을 곡면 가공할 때, 상면의 곡면과 하면의 곡면을 비대칭으로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710)의 상면의 곡면보다 커버부(710) 하면의 곡면이 완만하도록 가공할 수 있다.
만약, 커버부(710)의 하면의 곡면이 상면의 곡면보다 가파른 경우, 접착층(160)의 상면과 커버부(710) 하면의 엣지와의 높이차가 커지게 되고, 접착층(160)과 커버부(710) 하면과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격 공간으로 인해 커버부(710)와 접착층(160)간의 합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커버부(710) 또한 크랙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710) 하면의 곡면은 접착층(160)과의 합착을 위해 커버부(710) 상면의 곡면보다 완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700)는 커버부(710)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커버부(710)의 상면은 폴더블 표시 장치(700)의 최외측에 배치되어, 공정 및 일상 생활에서의 충격에 가장 많이 노출된다. 또한, 폴더블 표시 장치(700)가 인 폴딩 되는 경우, 커버부(710)의 엣지가 최외측에 배치되고, 아웃 폴딩 되는 경우에도 커버부(710)의 상면이 외측에 배치되어 외부의 충격에 영향을 받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700)의 커버부(710) 상면은 상면의 엣지 및 엣지 부근의 적어도 일부 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고, 크랙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아울러, 커버부(710)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져 커버부(710)의 하면과 접착층(160)의 상면간의 접촉 면적이 커지고, 접착력이 증가할 수 있다. 커버부(710)와 접착층(160)간의 접착력이 증가함에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700)의 폴딩 시 커버부(710)의 탈착 또는 크랙 등의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표시 장치(700)가 인 폴딩 되는 경우, 커버부(710)의 엣지가 최외측에 배치됨에 따라 커버부(710)의 하면의 엣지 및 엣지 부근의 하면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고, 외부의 충격에 영향을 받기 쉽다. 이에, 커버부(710) 하면은 하면의 엣지 및 엣지 부근의 적어도 일부 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고, 크랙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710)의 하면은 곡면은 커버부(710)의 상면의 곡면보다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710)는 매우 얇은 두께로 인해 커버부(710) 상면의 곡면 및 하면의 곡면을 비대칭적으로 형성하고, 이때, 하면의 곡면이 상면의 곡면보다 완만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710) 상면 및 하면 둘 다 곡면을 가짐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커버부(710)의 하면의 곡면이 완만하게 형성됨에 따라 커버부(710)의 하면과 접착층(160) 간의 이격 공간을 최소화하여, 커버부(710)와 접착층(160) 간의 합착 불량 및 크랙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인 커버부를 포함하고, 폴딩 영역의 폴딩 축에서의 커버부의 두께는 일정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커버부의 적어도 일면은 상면, 하면 또는 상면 및 하면 둘 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의 적어도 일면은 상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는, 유리로 이루어진 글라스층 및 글라스층 상의 지문 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는, 고분자 수지층 및 고분자 수지층 상에 배치된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의 적어도 일면은 하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는, 고분자 수지층 및 고분자 수지층 하에 배치된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의 적어도 일면은 상면 및 하면이고, 커버부 상면의 곡면 및 커버부 하면의 곡면은 비대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 상면의 곡면의 곡률반경은 커버부 하면의 곡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는, 고분자 수지층, 고분자 수지층 상에 배치된 제1 보호층 및 고분자 수지층 하에 배치된 제2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 하에 배치되는 백 플레이트 및 백 플레이트 하에서 폴딩 영역의 양측에 배치된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폴더블 표시 장치는 제1 프레임의 하면 및 제2 프레임의 하면이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폴더블 표시 장치는 제1 프레임의 상면 및 제2 프레임의 상면이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과 커버부 사이에 배치된 편광판 및 커버부와 편광판 사이, 편광판과 표시 패널 사이, 표시 패널과 백 플레이트 사이, 백 플레이트와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각각 배치된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및 폴딩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에서 표시 패널을 덮도록 배치된 커버부를 포함하고, 폴딩 영역의 폴딩에 의한 커버부의 크랙을 저감하기 위해 커버부의 상면, 하면 또는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는 폴딩 축에서의 두께가 비폴딩 영역에서의 두께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는 폴딩 영역에서 비폴딩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는 유리로 이루어진 글라스층 및 글라스층 상에 배치된 지문 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는, 고분자 수지층, 고분자 수지층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배치된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인 경우, 커버부 상면의 중심과 커버부 상면의 엣지 사이의 각도는 커버부 하면의 중심과 커버부 하면의 엣지 사이의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300, 400, 500, 600, 700 : 폴더블 표시 장치
110, 310, 410, 510, 610, 710 : 커버부
120 : 편광판
130 : 표시 패널
140 : 백 플레이트
150 : 프레임
151 : 제1 프레임
152 : 제2 프레임
160 : 접착층
311 : 글라스층
312 : 지문 방지층
411, 611 : 고분자 수지층
412 : 보호층
612 : 제1 보호층
613 : 제2 보호층
AA : 표시 영역
NA : 비표시 영역
FA : 폴딩 영역
NFA1 : 제1 비폴딩 영역
NFA2 : 제2 비폴딩 영역
EP : 상면 및 하면의 엣지
OP1 : 상면의 중심
OP2 : 하면의 중심
α : 제1 각도
β : 제2 각도

Claims (20)

  1.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인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폴딩 축에서 상기 커버부의 두께는 일정한, 폴더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일면은 상면, 하면 또는 상면 및 하면 둘 다인, 폴더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면은 상면인, 폴더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유리로 이루어진 글라스층; 및
    상기 글라스층 상의 지문 방지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고분자 수지층; 및
    상기 고분자 수지층 상에 배치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면은 하면인, 폴더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고분자 수지층; 및
    상기 고분자 수지층 하에 배치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면은 상면 및 하면 둘 다이고,
    상기 상면의 곡면 및 상기 하면의 곡면은 비대칭인, 폴더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의 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커버부 하면의 곡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폴더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고분자 수지층;
    상기 고분자 수지층 상에 배치된 제1 보호층; 및
    상기 고분자 수지층 하에 배치된 제2 보호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하에 배치되는 백 플레이트; 및
    상기 백 플레이트 하에서 상기 폴딩 영역의 양측에 배치된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면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면이 마주하도록 폴딩된, 폴더블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이 마주하도록 폴딩된, 폴더블 표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된 편광판;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편광판 사이, 상기 편광판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플레이트 사이, 상기 백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각각 배치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5.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덮도록 배치된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폴딩에 의한 상기 커버부의 크랙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커버부의 상면, 하면 또는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인,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폴딩 영역의 폴딩 축에서의 두께가 상기 비폴딩 영역에서의 두께와 상이한,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비폴딩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표시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유리로 이루어진 커버 글라스; 및
    상기 커버 글라스 상에 배치된 지문 방지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고분자 수지층;
    상기 고분자 수지층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배치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인 경우,
    상기 커버부 상면의 중심과 상기 커버부 상면의 엣지 사이의 각도는 상기 커버부 하면의 중심과 상기 커버부 하면의 엣지 사이의 각도보다 큰, 표시 장치.
KR1020170148188A 2017-11-08 2017-11-08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40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188A KR102408410B1 (ko) 2017-11-08 2017-11-08 폴더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188A KR102408410B1 (ko) 2017-11-08 2017-11-08 폴더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475A true KR20190052475A (ko) 2019-05-16
KR102408410B1 KR102408410B1 (ko) 2022-06-10

Family

ID=6667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188A KR102408410B1 (ko) 2017-11-08 2017-11-08 폴더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4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4191A (zh) * 2020-05-18 2020-08-1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贴合装置及贴合方法
CN114120814A (zh) * 2020-08-27 2022-03-0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组件及其制备方法
WO2022169305A1 (ko) * 2021-02-05 2022-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유전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15625B2 (en) 2021-01-22 2024-02-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546A (ko) * 2012-08-28 2014-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20160035146A (ko) * 2014-09-22 2016-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9190A (ko) * 2015-01-19 2016-07-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KR20170122554A (ko) * 2016-04-27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546A (ko) * 2012-08-28 2014-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20160035146A (ko) * 2014-09-22 2016-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9190A (ko) * 2015-01-19 2016-07-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KR20170122554A (ko) * 2016-04-27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4191A (zh) * 2020-05-18 2020-08-1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贴合装置及贴合方法
CN114120814A (zh) * 2020-08-27 2022-03-0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组件及其制备方法
CN114120814B (zh) * 2020-08-27 2024-02-2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组件及其制备方法
US11915625B2 (en) 2021-01-22 2024-02-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2169305A1 (ko) * 2021-02-05 2022-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유전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410B1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4117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0943971B2 (en) Display device
US20200051881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541453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90052475A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20200152895A1 (en) Display pane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746907B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35434B1 (ko) 윈도우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US11301071B2 (en) Display device
US20140049892A1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KR20150033461A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4120822A (zh) 显示装置
KR20190078226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90030241A (ko)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90070740A (ko) 폴더블 표시 장치
CN113672131A (zh) 显示设备
KR20180081654A (ko) 표시 장치
US11068104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37614B1 (ko) 윈도우 기판의 제조 방법
US11284520B2 (en) Input device
US20130335347A1 (en) Touch display devices, cover lens thereof and bonding equipment for fabricating touch display device
US11968854B2 (en) Folding display device including detachable protective film
KR10265466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20210050552A1 (en) Display device
KR102356723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