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278A - 서로 다른 공간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공간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278A
KR20190052278A KR1020170147817A KR20170147817A KR20190052278A KR 20190052278 A KR20190052278 A KR 20190052278A KR 1020170147817 A KR1020170147817 A KR 1020170147817A KR 20170147817 A KR20170147817 A KR 20170147817A KR 20190052278 A KR20190052278 A KR 20190052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information
user terminal
indoor space
environmen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787B1 (ko
Inventor
김용엽
배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Priority to KR1020170147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78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Abstract

서로 다른 공간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환경동기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환경동기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택이나 사무실을 포함하는 제1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데이터를 일정 시간별로 수집하여 상기 환경동기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환경동기서버로부터 환경데이터에 대한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속한 공간 내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환경동기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연동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정시간별로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데이터에 대한 변경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패턴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신호가 있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다른 공간인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패턴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서로 다른 공간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Environment synchronization system in different spac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공간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좋아하는 최적의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환경 동기를 할 수 있는 서로 다른 공간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홈(smart home) 시스템은 TV, 에어컨,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을 비롯해 수도, 전기, 냉난방 등의 에너지 소비장치 및 도어락, 감시카메라 등의 보안기기 및, 이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모든 것을 통신망으로 연결해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하며,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자동 또는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의 일종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편리하고 안락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인간 중심의 생활환경 증진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생활의 편리화에 대한 욕구에 따라 실내에 설치된 가전기기들 즉, 조명기기, 에너지 장치, 전기장치, 보안장치, 가스장치 등 간의 홈 네트워크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들 가전기기들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통합적으로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홈오토메이션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일반적인 스마트 홈 기술은,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조명 온/오프, 가스 잠금, 보일러 온/오프 등의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다.
한편, 사용자는 특정 실내공간에 있는 경우, 자기의 습관이나 생활패턴에 따라 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게 된다. 특별한 경우 항상 일정 온도, 일정 습도 및 일정 조도를 유지하도록 설정해 놓기도 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장소를 바꾸는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이 머무는 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를 다시 설정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온도, 습도, 조도의 환경을 시간별, 일별, 월별로 자신에게 최적화되도록 변경하게 되는 경우에, 이 사용자가 이러한 최적화된 환경을 사무실이나 호텔 등 다른 실내공간에서도, 최적화된 환경을 가지도록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일일이 온도, 습도, 조도를 시간별, 일별, 월별로 변경해줘야 하는 불편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1507호(2016.11.16.)
본 발명의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서로 다른 공간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도, 습도, 조도 등의 환경데이터에 대한 변경 패턴정보를 통해 서로 다른 공간의 경우에도, 이전 실내공간과 동일한 환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서로 다른 공간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간이 다른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서로 다른 공간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공간에서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환경동기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택이나 사무실을 포함하는 제1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데이터를 일정 시간별로 수집하여 상기 환경동기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환경동기서버로부터 환경데이터에 대한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속한 공간 내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환경동기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연동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정시간별로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데이터에 대한 변경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패턴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신호가 있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다른 공간인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패턴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실내공간에 배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환경동기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하던 상기 제1실내공간의 위치범위를 벗어나, 일정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상기 제2실내공간을 위치범위로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패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환경동기서버는 상기 제1실내공간의 위치범위정보와 상기 제2실내공간의 위치범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경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환경동기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정시간별로 제공되는 상기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데이터의 시간별 변경패턴, 일별 변경패턴, 요일별 변경패턴, 월별 변경패턴, 연별 변경패턴을 분석한 상기 패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패턴정보에는 시간별, 일별, 요일별, 월별, 연별 등의 모든 변경패턴을 모두 평균하여 평균값으로 정해지며 평균모드에서 제공되는 평균값 패턴정보, 최근모드에서 제공되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최근패턴정보, 전일모드에서 제공되는 전일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일패턴정보, 전주모드에서 제공되는 전주 동일요일 및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주패턴정보, 전월모드에서 제공되는 전월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월 패턴정보, 및 전년모드에서 제공되는 전년 동일시간대의 전년패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환경동기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다른 공간인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평균모드, 최근모드, 전일모드, 전주모드, 전월모드, 전년모드 중 어느 하나의 환경제어를 위한 모드선택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모드에 해당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환경동기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패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환경동기서버는 상기 패턴정보의 생성시, 해당시간 또는 해당일의 날씨정보를 상기 패턴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모드선택 요청시 날씨모드를 추가하여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날씨모드가 선택되면, 현재 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날씨정보와 매칭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내공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일정 시간별로 수집하여 상기 환경동기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환경동기서버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별, 일별, 요일별, 월별 변경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제1실내공간의 상기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차이점이 발생되고, 그 차이점이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에 따른 서로 다른 공간에서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은, 제1실내공간의 환경을 제어하는 제1홈넷 서버, 제2실내공간의 환경을 제어하는 제2홈넷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홈넷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실내공간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에, 주택이나 사무실을 포함하는 상기 제1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데이터를 일정시간별로 수집하여, 상기 환경데이터에 대한 변경패턴을 분석하여 패턴정보로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시 상기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홈넷 서버를 통해 상기 패턴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홈넷 서버에 상기 패턴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제2홈넷 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제2홈넷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패턴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상기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제2실내공간 내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제1홈넷 서버는 내장되거나 상기 제1실내공간에 배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1홈넷 서버 및 상기 제2홈넷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인터넷 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홈넷 서버는 일정시간별로 수집되는 상기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데이터의 시간별 변경패턴, 일별 변경패턴, 요일별 변경패턴, 월별 변경패턴, 연별 변경패턴을 분석한 상기 패턴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며, 상기 패턴정보에는 시간별, 일별, 요일별, 월별, 연별 등의 모든 변경패턴을 모두 평균하여 평균값으로 정해지며 평균모드에서 제공되는 평균값 패턴정보, 최근모드에서 제공되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최근패턴정보, 전일모드에서 제공되는 전일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일패턴정보, 전주모드에서 제공되는 전주 동일요일 및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주패턴정보, 전월모드에서 제공되는 전월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월 패턴정보, 및 전년모드에서 제공되는 전년 동일시간대의 전년패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홈넷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패턴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평균모드, 상기 최근모드, 상기 전일모드, 상기 전주모드, 상기 전월모드, 상기 전년모드 중 어느 하나의 환경제어를 위한 모드선택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모드에 해당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홈넷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제2홈넷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제2홈넷 서버를 통해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제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홈넷 서버는 상기 패턴정보의 생성시, 해당시간 또는 해당일의 날씨정보를 상기 패턴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모드선택을 요청하는 경우에 날씨모드를 추가하여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날씨모드가 선택되면, 현재 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날씨정보와 매칭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홈넷 서버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일정 시간별로 수집하고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변경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제1홈넷 서버에서 제공된 상기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차이점이 발생되고, 그 차이점이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하고, 업그레이드된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홈넷 서버에 제공하여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온도, 습도, 조도 등의 환경데이터의 변경패턴에 대한 패턴정보를 통해 서로 다른 공간의 경우에도, 이전 실내공간과 동일한 환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항시 사용자의 환경데이터의 패턴변화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동기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환경동기시스템의 동작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드와 패턴정보간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경동기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환경동기시스템의 동작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드와 패턴정보간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동기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환경동기시스템의 동작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드와 패턴정보간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동기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동되는 환경동기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주택이나 사무실을 포함하는 제1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데이터를 일정 시간별로 수집하여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제공하고,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로부터 환경데이터에 대한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속한 제2실내공간 내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환경데이터에는 온도, 습도, 조도 이외에, 미세먼지 농도나 기타 생활에 필요한 환경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미세먼지 농도의 경우는 공기청정기 등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를 개선하거나 변경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와 유무선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서 제공된 환경동기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전용앱' 이라 함)이 설치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 등을 포함하여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모바일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수행되는 동작은 상기 전용앱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속한 공간 내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제어신호는 온도 및 습도조절을 위한 공조장치, 보일러, 제습기, 가습기 등의 실내공간 내의 가전기기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조명의 온오프 및 조도 제어를 위한 리모콘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상기 공조장치의 제어서버나 기타 제어장치에 접속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실내공간 내의 각종 공조장치나 조명 등을 제어하는 홈넷 시스템 등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보일러, 제습기, 가습기, 조명, 공조장치 등은 홈넷 시스템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 기술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나 홈넷시스템에서 제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원활한 제어 및 동작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환경동기시스템이 동작하기 위한 실내공간들 각각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공조장치나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1실내공간에서 일정기간 머물다가 서로 다른 공간인 제2실내공간으로 이동하였다고 가정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상기 제1실내공간에 머무는 동안 주택이나 사무실을 포함하는 제1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환경데이터를 일정 시간별로 수집하여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자신에 맞도록 온도, 습도, 조도 등을 조절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1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 등의 환경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제어될 수도 있고, 제1실내공간에 설치된 홈넷시스템을 통해 제어될 수도 있으며, 온도조절장치, 습도조절장치, 조도조절장치 각각에 의하여 의하여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환경데이터는 예를 들면, 온도의 경우는 어느 시간대에 몇 도를 유지하고, 몇시 몇분에 어느 온도로 변경되고 다시 어떤 시간대에 어느 정도의 온도로 변동되는지 여부 등의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습도의 경우도, 시간대별 습도 변동 상황이나 유지상황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조도의 경우도, 단순히 조명의 온오프 상태 뿐 아니라, 조도가 어떻게 변동되고 어떻게 유지되는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조명의 온/오프는 조도가 급격하게 변동되는 경우이므로, 조도 변화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제1실내공간에 배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로부터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내장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로부터 상기 제1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는 상기 환경데이터, 패턴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또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연동되어 동작하게 된다.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일정시간별로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데이터에 대한 시간별, 일별, 요일별, 월별, 연별 등으로 변경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패턴정보로 하여 저장하게 된다.
시간별 변경패턴은 시간별(1시간 또는 2시간 동안 등등)로 온도나 습도, 조도 등이 변하는 시간대를 분석한 정보, 어느 시간대에 어느 정도로 변동되었는지를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일별 변경패턴은 일을 기준으로 하루 동안 환경데이터가 어느 시간대에 어느 정도로 변하는지 등의 변동정보를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요일별 변경패턴은 요일을 기준으로 환경데이터가 변동되는 것을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월별 변경패턴은 계절의 변화나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취향 변화 등에 따라 월을 기준으로 환경데이터가 변동하는 것을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연별 변경패턴은 년을 기준으로 1년동안 환경데이터가 변화하는 것을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정보에는 모든 변경패턴을 모두 평균하여 평균값으로 정해진 평균값 패턴정보(온도 평균값 패턴정보, 습도 평균값 패턴정보, 조도 평균값 패턴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장 최근 저장된 패턴정보인 최근패턴정보, 전일(하루전)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일패턴정보, 현재요일을 기준으로 전주(일주일전)의 동일요일의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주패턴정보, 현재일이나 현재시간 기준으로 전월(한달전)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월패턴정보, 현재일이나 현재시간 기준으로 전년(1년전)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년패턴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최근패턴정보는, 제1실내공간에서 마지막으로 생성되어 저장된 패턴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실내공간에서 제2실내공간으로 이동하기 직전에 생성된 패턴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는 상기 패턴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신호가 있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다른 공간인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상기 패턴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최근패턴정보, 상기 전일패턴정보, 상기 전주패턴정보, 상기 전월패턴정보, 상기 전년패턴정보, 상기 평균값 패턴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패턴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평균모드, 최근모드, 전일모드, 전주모드, 전월모드, 전년모드 중 어느 하나의 환경제어를 위한 모드선택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모드에 해당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평균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평균값 패턴정보가 제공되며, 최근모드의 선택시엔 최근패턴정보, 전일모드의 경우에는 전일패턴정보, 전주모드의 경우에는 전주패턴정보, 전월모드의 경우에는 전월패턴정보, 전년모드의 경우에는 전년패턴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가 제1실내공간인지 또는 제2실내공간인지 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판단가능하다. 여기서 위치신호는 GPS 신호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접속되며 특정공간에 위치된 WIFI 단말기의 신호를 토대로 판단하는 방법 등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을 통해서 판단가능하다.
또한,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하던 상기 제1실내공간의 위치범위를 벗어나, 일정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특정공간인 상기 제2실내공간을 위치범위로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제2실내공간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범위는 제1실내공간 또는 제2실내공간의 영역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는, 상기 제1실내공간의 위치범위정보와 상기 제2실내공간의 위치범위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기 제1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환경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상기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제2실내공간에서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로부터 환경데이터에 대한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속한 상기 제2실내공간 내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을 상기 제1실내공간과 동일하게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평균값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평균온도, 평균습도, 평균 조도가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최근패턴정보가 수신되면, 바로 직전의 제1실내공간과 동일시간대에 동일한 환경을 가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일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일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주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주의 동일한 요일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월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월의 동일날짜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년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년도 동월 동일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전에 최적화된 환경데이터에 따라 생활하던 제1실내공간과 동일한 환경조건이 제2실내공간에서 달성되게 되므로, 편리한 생활 및 자신에게 최적화된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경우에도, 환경데이터를 일정시간별로 수집하여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제2실내공간의 환경이 제1실내공간과 동일하게 제대로 제어가 수행되고 있는지 검증하는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변경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제1실내공간에 대한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차이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 경우 차이점이 있으면, 원래의 패턴정보에 대응되도록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여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가 변경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를 통한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의 변경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환경데이터를 별도로 변경하는 등의 수동변경절차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가 환경데이터를 수동으로 변경하는 등의 변경절차가 수행된 경우에는, 변경된 환경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 즉 제2실내공간의 수집된 환경데이터와 상기 패턴정보와의 차이점이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발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동조작에 의한 것인 경우에 변경된 환경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 이는 가장 최신의 사용자 맞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수동조작이 발생되는 경우, 그 때의 환경데이터를 바로 수집하여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패턴정보가 업그레이드되면, 실내공간이 다시 바뀌는 경우(예를 들면, 제2실내공간에서 다시 제1실내공간으로 바뀌는 경우, 또는 제2실내공간에서 별도의 제3실내공간으로 바뀌는 경우 등)에는 업그레이드된 패턴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제공되게 되므로, 가장 최신의 사용자 맞춤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환경동기시스템은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환경제어를 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맞춤환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상기 환경동기서버(200)가 상기 제1실내공간에서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해당시간대 또는 해당일의 날씨정보를 상기 패턴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날씨정보에는 강수량, 적설량, 구름량, 최저기온, 최고기온, 습도, 현재기온, 풍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씨정보는 기상청 서버나 날씨정보 제공서버에 접속하거나,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수신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기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는 현재의 날씨정보를 통해, 현재 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날씨정보와 매칭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는 제1실내공간의 패턴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과거의 날씨정보를 검색하여, 현재의 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과거의 날씨정보를 검색하게 된다. 이후 현재의 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과거의 날씨정보가 검색되면, 이와 매칭되어 저장된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현재의 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날씨정보가 복수로 검색되는 경우에는 가장 최근의 날씨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온도나 습도 등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거나 가중치를 부여하여 이전의 날씨정보와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온도, 습도 등으로 우선순위가 부여된 경우에, 온도비교를 통해 현재온도와 가장 동일하거나 유사한 온도를 가지는 과거 날씨정보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과거 날씨정보들 중에서 습도비교를 통해 현재 습도와 가장 동일하거나 유사한 습도를 가지는 과거의 날씨정보를 찾는 등의 방식으로, 각각의 날씨정보를 이루는 항목들을 순차적으로 대입하여 가장 동일한 하나의 과거 날씨정보를 검색하고 이에 대응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공되는 패턴정보를 이용하여 제2실내공간 내의 환경을 제어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외부환경변화에도 대응하여 최적의 환경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모드 선택을 요청할 때, 날씨모드를 추가하여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날씨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서 현재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날씨정보와 매칭되는 패턴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을 참고로 하고, 도 2의 동작순서도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공간에서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방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 단말기(100)가 제1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택이나 사무실을 포함하는 제1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데이터를 일정 시간별로 수집하여(S110), 수집된 환경데이터를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제공한다(S112). 사용자는 자신에 맞도록 온도, 습도, 조도 등을 조절하게 되므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에 대한 환경데이터를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환경데이터의 정보제공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10분주기 또는 1시간 주기 등으로 주기를 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초기 환경데이터를 제공하는 이후에는 환경데이터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환경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예로, 아침에는 온도 20도, 습도 50%, 조도 100룩스(lx) 상태였을 경우에, 이상태가 계속 유지되다가 특정시간에 온도가 23도로 변경되었다고 가정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환경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변경이 있는 경우인 온도가 변경된 시점의 환경데이터를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환경데이터는 예를 들면, 온도의 경우는 어느 시간대에 몇 도를 유지하고, 몇시 몇분에 어느 온도로 변경되고 다시 어떤 시간대에 어느 정도의 온도로 변동되는지 여부 등등,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습도의 경우도, 시간대별 습도 변동 상황이나 유지상황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조도의 경우도, 단순히 조명의 온오프 상태 뿐 아니라, 조도가 어떻게 변동되고 어떻게 유지되는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조명의 온/오프는 조도가 급격하게 변동되는 경우이므로, 조도 변화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여기서 환경데이터는 외부환경의 변화나 조명장치, 보일러나 에어컨, 가습기 등의 제어장치의 동작여부에 관계없이 수집될 수도 있으나, 외부환경의 변화, 즉 조명이 온 상태가 아닌데도 낮 동안에 햇빛에 의해 조도가 높아지는 상황을 고려하여 조명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조도에 대한 환경데이터는 수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보일러나 에어컨이 가동되지 않은 상태, 즉 오프상태에서의 온도에 대한 환경데이터는 수집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때의 시간 데이터는 수집하여,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를 통해 이 시간대인 특정일의 특정시간대의 실내환경은 외부환경에 의해 조절되는 시간대로 하여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의해 외부환경에 의해 조절되는 시간대로 지정된 경우에는, 이 시간대가 상기 패턴정보에 저장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2실내공간에서 패턴정보를 토대로 제2실내공간의 환경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의해 외부환경에 의해 조절되는 시간대로 지정된 시간대의 환경제어는 어떠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외부환경에 의해 제2실내공간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외부환경에 의해 자유롭게 실내환경이 조절되도록 어떠한 제어신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제1실내공간에 배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로부터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내장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로부터 상기 제1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환경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서는, 상기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데이터에 대한 시간별, 일별, 요일별, 월별 변경패턴, 년별 변경패턴을 분석하여 패턴정보로 저장하게 된다(S210).
시간별 변경패턴은 시간별(1시간 또는 2시간 동안 등등)로 온도나 습도, 조도 등이 변하는 시간대를 분석한 정보, 어느 시간대에 어느 정도로 변동되었는 지를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일별 변경패턴은 일을 기준으로 하루 동안 환경데이터가 어느 시간대에 어느 정도로 변하는 지 등의 변동정보를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요일별 변경패턴은 요일을 기준으로 환경데이터가 변동되는 것을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월별 변경패턴은 계절의 변화나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취향 변화 등에 따라 월을 기준으로 환경데이터가 변동하는 것을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연별 변경패턴은 년을 기준으로 1년동안 환경데이터가 변화하는 것을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정보에는 모든 변경패턴을 모두 평균하여 평균값으로 정해진 평균값 패턴정보(온도 평균값 패턴정보, 습도 평균값 패턴정보, 조도 평균값 패턴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장 최근 저장된 패턴정보인 최근패턴정보, 전일(하루전)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일패턴정보, 현재요일을 기준으로 전주(일주일전)의 동일요일의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주패턴정보, 현재일이나 현재시간 기준으로 전월(한달전)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월패턴정보, 현재일이나 현재시간 기준으로 전년(1년전)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년패턴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최근패턴정보는, 제1실내공간에서 마지막으로 생성되어 저장된 패턴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실내공간에서 제2실내공간으로 이동하기 직전에 생성된 패턴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신호가 있거나 제2실내공간의 위치신호가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로 제공되어(S114),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다른 공간인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사용자가 제2실내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S212).
이후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평균모드, 최근모드, 전일모드, 전주모드, 전월모드, 전년모드 중 어느 하나의 환경제어를 위한 모드선택을 요청하게 된다(S214).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면(S116),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모드선택신호가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제공되고(S118),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서는 선택된 모드에 해당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한다(S216).
예를 들어, 평균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평균값 패턴정보가 제공되며, 최근모드의 선택시엔 최근패턴정보, 전일모드의 경우에는 전일패턴정보, 전주모드의 경우에는 전주패턴정보, 전월모드의 경우에는 전월패턴정보, 전년모드의 경우에는 전년패턴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제2실내공간에서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로부터 환경데이터에 대한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속한 상기 제2실내공간 내의 온도, 습도 및 조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을 상기 제1실내공간과 동일하게 제어하게 된다(S120).
예를 들어, 상기 평균값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평균온도, 평균습도, 평균 조도가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최근패턴정보가 수신되면, 바로 직전의 제1실내공간과 동일시간대에 동일한 환경을 가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일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일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주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주의 동일한 요일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월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월의 동일날짜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년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년도 동월 동일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전에 최적화된 환경데이터에 따라 생활하던 제1실내공간과 동일한 환경조건이 제2실내공간에서 달성되게 되므로, 편리한 생활 및 자신에게 최적화된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의해 외부환경에 의해 조절되는 시간대로 지정된 경우가 있고, 제2실내공간에서 외부환경에 의해 조절되는 시간대가 포함된 패턴정보를 토대로 제2실내공간의 환경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의해 외부환경에 의해 조절되는 시간대로 지정된 시간대의 환경제어는 어떠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외부환경에 의해 제2실내공간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경우에도, 환경데이터를 일정시간별로 수집하여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제2실내공간의 환경이 제1실내공간과 동일하게 제대로 제어가 수행되고 있는지 검증하는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수집하여(S122),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 제공하게 된다(S124).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변경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제1실내공간에 대한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차이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218). 이 경우 차이점이 있으면, 원래의 패턴정보에 대응되도록 환경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여 환경데이터가 변경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환경동기서버(200)를 통한 환경데이터의 변경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환경데이터를 별도로 변경하는 등의 수동변경절차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가 환경데이터를 수동으로 변경하는 등의 변경절차가 수행된 경우에는, 변경된 환경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S220). 즉 제2실내공간의 수집된 환경데이터와 상기 패턴정보와의 차이점이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발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동조작에 의한 것인 경우에 변경된 환경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 이는 가장 최신의 사용자 맞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가 최적의 환경을 위해 수동으로 환경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경우에 따라 수시로 환경데이터를 수집하는 절차 없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조작이 발생되는 경우에만 그 때의 환경데이터를 바로 수집하여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패턴정보가 업그레이드되면, 실내공간이 다시 바뀌는 경우(예를 들면, 제2실내공간에서 다시 제1실내공간으로 바뀌는 경우, 또는 제2실내공간에서 별도의 제3실내공간으로 바뀌는 경우 등)에는 업그레이드된 패턴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제공되게 되므로, 가장 최신의 사용자 맞춤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환경동기서버(200)가 상기 제1실내공간에서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해당시간대 또는 해당일의 날씨정보를 상기 패턴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한 경우에,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모드 선택을 요청할 때, 날씨모드를 추가하여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날씨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환경동기서버(200)에서 현재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날씨정보와 매칭되는 패턴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경동기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경동기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환경동기시스템의 동작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드와 패턴정보간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경동기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와 연동되는 제1홈넷 서버(2000) 및 제2홈넷 서버(30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는, 주택이나 사무실을 포함하는 제1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를 통해 패턴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홈넷 서버(2000)에 상기 패턴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제2홈넷 서버(3000)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는 상기 제1홈넷 서버(2000) 및 상기 제2홈넷 서버(3000)와 무선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는 환경동기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전용앱' 이라 함)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 등을 포함하여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모바일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를 통해 수행되는 동작은 상기 전용앱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포함하여 제1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를 포함하는 환경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가 상기 제1실내공간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제1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데이터를 일정 시간별로 수집하고, 상기 환경데이터에 대한 변경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패턴정보로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의 요청시 상기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홈넷 서버(3000)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포함하여 상기 제1실내공간과 다른 공간인 제2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를 포함하는 환경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상기 패턴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상기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제2실내공간 내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환경데이터에는 온도, 습도, 조도 이외에, 미세먼지 농도나 기타 생활에 필요한 환경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미세먼지 농도의 경우는 공기청정기 등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를 개선하거나 변경하게 된다.
상기 제1홈넷 서버(2000) 및 상기 제2홈넷 서버(3000)는 제1실내공간 또는 제2실내공간 내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제어신호는 온도 및 습도조절을 위한 공조장치, 보일러, 제습기, 가습기 등의 실내공간 내의 가전기기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조명의 온오프 및 조도 제어를 위한 리모콘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상기 공조장치의 제어서버나 기타 제어장치에 접속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기술 등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원활한 제어 및 동작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환경동기시스템이 동작하기 위한 제1실내공간은 상기 제1홈넷 서버(2000)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공조장치나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상기 제2실내공간은 상기 제2홈넷 서버(3000)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공조장치나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1실내공간에서 일정기간 머물다가 서로 다른 공간인 제2실내공간으로 이동하였다고 가정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는 사용자가 상기 제1실내공간에 머무는 동안, 상기 제1홈넷 서버(2000)에 접속하여, 상기 제1홈넷 서버(2000)가 제1실내 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환경데이터를 일정 시간별로 수집하여 상기 패턴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가 상기 제1실내공간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환경데이터를 일정시간별로 수집하여, 상기 환경데이터에 대한 변경패턴을 분석한 패턴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의 위치가 제1실내공간인지 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의 위치신호나 접속신호를 통해 판단가능하다. 이외에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을 통해서 판단가능하다.
사용자는 자신에 맞도록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를 통해 제1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 등을 조절하게 되므로,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는 이에 대한 환경데이터를 수집하고 변경패턴을 분석하여 이를 패턴정보로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 등의 환경데이터는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를 통해 제어될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를 통해 제어될 수도 있으며, 온도조절장치, 습도조절장치, 조도조절장치 각각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환경데이터는 예를 들면, 온도의 경우는 어느 시간대에 몇 도를 유지하고, 몇시 몇분에 어느 온도로 변경되고 다시 어떤 시간대에 어느 정도의 온도로 변동되는지 여부 등을 포함하여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습도의 경우도, 시간대별 습도 변동 상황이나 유지상황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조도의 경우도, 단순히 조명의 온오프 상태 뿐 아니라, 조도가 어떻게 변동되고 어떻게 유지되는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조명의 온/오프는 조도가 급격하게 변동되는 경우이므로, 조도 변화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는 내장되거나 상기 제1실내공간에 배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내장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집된 상기 제1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공받아 제1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는 상기 환경데이터, 패턴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또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연동되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는 일정시간별로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환경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환경데이터에 대한 시간별, 일별, 요일별, 월별, 연별 등으로 변경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패턴정보로 하여 저장하게 된다.
시간별 변경패턴은 시간별(1시간 또는 2시간 동안 등등)로 온도나 습도, 조도 등이 변하는 시간대를 분석한 정보, 어느 시간대에 어느 정도로 변동되었는지를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일별 변경패턴은 일을 기준으로 하루 동안 환경데이터가 어느 시간대에 어느 정도로 변하는지 등의 변동정보를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요일별 변경패턴은 요일을 기준으로 환경데이터가 변동되는 것을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월별 변경패턴은 계절의 변화나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취향 변화 등에 따라 월을 기준으로 환경데이터가 변동하는 것을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연별 변경패턴은 년을 기준으로 1년동안 환경데이터가 변화하는 것을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정보에는 모든 변경패턴을 모두 평균하여 평균값으로 정해진 평균값 패턴정보(온도 평균값 패턴정보, 습도 평균값 패턴정보, 조도 평균값 패턴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장 최근 저장된 패턴정보인 최근패턴정보, 전일(하루전)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일패턴정보, 현재요일을 기준으로 전주(일주일전)의 동일요일의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주패턴정보, 현재일이나 현재시간 기준으로 전월(한달전)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월패턴정보, 현재일이나 현재시간 기준으로 전년(1년전)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년패턴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최근패턴정보는, 제1실내공간에서 마지막으로 생성되어 저장된 패턴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실내공간에서 제2실내공간으로 이동하기 직전에 생성된 패턴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는 상기 패턴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의 요청신호가 있는 경우,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가 다른 공간인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상기 패턴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최근패턴정보, 상기 전일패턴정보, 상기 전주패턴정보, 상기 전월패턴정보, 상기 전년패턴정보, 상기 평균값 패턴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패턴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평균모드, 최근모드, 전일모드, 전주모드, 전월모드, 전년모드 중 어느 하나의 환경제어를 위한 모드선택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모드에 해당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평균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평균값 패턴정보가 제공되며, 최근모드의 선택시엔 최근패턴정보, 전일모드의 경우에는 전일패턴정보, 전주모드의 경우에는 전주패턴정보, 전월모드의 경우에는 전월패턴정보, 전년모드의 경우에는 전년패턴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는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로부터 환경데이터에 대한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패턴정보를 상기 제2홈넷 서버(3000)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홈넷 서버(3000)는 제공된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가 속한 상기 제2실내공간 내의 온도, 습도 및 조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을 상기 제1실내공간과 동일하게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평균값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평균온도, 평균습도, 평균 조도가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최근패턴정보가 수신되면, 바로 직전의 제1실내공간과 동일시간대에 동일한 환경을 가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일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일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주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주의 동일한 요일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월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월의 동일날짜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년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년도 동월 동일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전에 최적화된 환경데이터에 따라 생활하던 제1실내공간과 동일한 환경조건이 제2실내공간에서 달성되게 되므로, 편리한 생활 및 자신에게 최적화된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2홈넷 서버(3000)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일정시간별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제2실내공간의 환경이 제1실내공간과 동일하게 제대로 제어가 수행되고 있는지 검증하는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홈넷 서버(3000)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변경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실내공간에 대한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차이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 경우 차이점이 있으면, 원래의 패턴정보에 대응되도록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가 변경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제2홈넷 서버(3000)를 통한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의 변경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0)를 이용하여 환경데이터를 별도로 변경하는 등의 수동변경절차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를 통해 사용자가 환경데이터를 수동으로 변경하는 등의 변경절차가 수행된 경우에는, 변경된 환경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 즉 제2실내공간의 수집된 환경데이터와 상기 패턴정보와의 차이점이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발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동조작에 의한 것인 경우에 변경된 환경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 이는 가장 최신의 사용자 맞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수동조작이 발생되는 경우, 그 때의 환경데이터를 바로 수집하여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패턴정보가 업그레이드되면, 실내공간이 다시 바뀌는 경우(예를 들면, 제2실내공간에서 다시 제1실내공간으로 바뀌는 경우, 또는 제2실내공간에서 별도의 제3실내공간으로 바뀌는 경우 등)에는 업그레이드된 패턴정보가 제공되게 되므로, 가장 최신의 사용자 맞춤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환경동기시스템은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환경제어를 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맞춤환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상기 제1홈넷 서버(2000)가 상기 제1실내공간에서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해당시간대 또는 해당일의 날씨정보를 상기 패턴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날씨정보에는 강수량, 적설량, 구름량, 최저기온, 최고기온, 습도, 현재기온, 풍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씨정보는 기상청 서버나 날씨정보 제공서버에 접속하거나,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수신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가 상기 패턴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는 현재의 날씨정보를 통해, 현재 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날씨정보와 매칭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는 제1실내공간의 패턴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과거의 날씨정보를 검색하여, 현재의 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과거의 날씨정보를 검색하게 된다. 이후 현재의 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과거의 날씨정보가 검색되면, 이와 매칭되어 저장된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현재의 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날씨정보가 복수로 검색되는 경우에는 가장 최근의 날씨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온도나 습도 등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거나 가중치를 부여하여 이전의 날씨정보와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온도, 습도 등으로 우선순위가 부여된 경우에, 온도비교를 통해 현재온도와 가장 동일하거나 유사한 온도를 가지는 과거 날씨정보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과거 날씨정보들 중에서 습도비교를 통해 현재 습도와 가장 동일하거나 유사한 습도를 가지는 과거의 날씨정보를 찾는 등의 방식으로, 각각의 날씨정보를 이루는 항목들을 순차적으로 대입하여 가장 동일한 하나의 과거 날씨정보를 검색하고 이에 대응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홈넷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공되는 패턴정보를 통해 제2실내공간 내의 환경을 제어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외부환경변화에도 대응하여 최적의 환경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홈넷 서버(20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모드 선택을 요청할 때, 날씨모드를 추가하여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를 통해 상기 날씨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1홈넷 서버(2000)에서 현재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날씨정보와 매칭되는 패턴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을 참고로 하고, 도 5의 동작순서도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공간에서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 단말기(1000)가 제1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는 상기 제1홈넷 서버(2000)에 접속되게 된다(S1100).
이 경우 상기 제1홈넷 서버(2000)에서는 상기 제1실내 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데이터를 일정 시간별로 수집하여(S2100), 패턴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다(S2120). 사용자는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를 이용하여 자신에 맞도록 온도, 습도, 조도 등을 조절하게 되므로,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는 제1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 수집이 용이하다.
상기 환경데이터의 수집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10분주기 또는 1시간 주기 등으로 주기를 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초기 환경데이터를 제공하는 이후에는 환경데이터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만 환경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예로, 아침에는 온도 50도, 습도 50%, 조도 400룩스(lx) 상태였을 경우에, 이상태가 계속 유지되다가 특정시간에 온도가 22도로 변경되었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환경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변경이 있는 경우인 온도가 변경된 시점의 환경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환경데이터는 예를 들면, 온도의 경우는 어느 시간대에 몇 도를 유지하고, 몇시 몇분에 어느 온도로 변경되고 다시 어떤 시간대에 어느 정도의 온도로 변동되는지 여부 등등,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습도의 경우도, 시간대별 습도 변동 상황이나 유지상황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조도의 경우도, 단순히 조명의 온오프 상태 뿐 아니라, 조도가 어떻게 변동되고 어떻게 유지되는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조명의 온/오프는 조도가 급격하게 변동되는 경우이므로, 조도 변화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여기서 환경데이터는 외부환경의 변화나 조명장치, 보일러나 에어컨, 가습기 등의 제어장치의 동작여부에 관계없이 수집될 수도 있으나, 외부환경의 변화, 즉 조명이 온 상태가 아닌데도 낮 동안에 햇빛에 의해 조도가 높아지는 상황을 고려하여 조명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조도에 대한 환경데이터는 수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보일러나 에어컨이 가동되지 않은 상태, 즉 오프상태에서의 온도에 대한 환경데이터는 수집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때의 시간 데이터는 수집하여,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를 통해 이 시간대인 특정일의 특정시간대의 실내환경은 외부환경에 의해 조절되는 시간대로 하여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홈넷 서버(2000)에 의해 외부환경에 의해 조절되는 시간대로 지정된 경우에는, 이 시간대가 상기 패턴정보에 저장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2실내공간에서 패턴정보를 토대로 제2실내공간의 환경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홈넷 서버(2000)에 의해 외부환경에 의해 조절되는 시간대로 지정된 시간대의 환경제어는 어떠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외부환경에 의해 제2실내공간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외부환경에 의해 자유롭게 실내환경이 조절되도록 어떠한 제어신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는 상기 제1실내공간에 배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로부터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내장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로부터 상기 제1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는 수집된 상기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데이터에 대한 시간별, 일별, 요일별, 월별 변경패턴, 년별 변경패턴을 분석하여 패턴정보로 저장하게 된다(S2120).
시간별 변경패턴은 시간별(1시간 또는 2시간 동안 등등)로 온도나 습도, 조도 등이 변하는 시간대를 분석한 정보, 어느 시간대에 어느 정도로 변동되었는 지를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일별 변경패턴은 일을 기준으로 하루 동안 환경데이터가 어느 시간대에 어느 정도로 변하는 지 등의 변동정보를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요일별 변경패턴은 요일을 기준으로 환경데이터가 변동되는 것을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월별 변경패턴은 계절의 변화나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취향 변화 등에 따라 월을 기준으로 환경데이터가 변동하는 것을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연별 변경패턴은 년을 기준으로 1년동안 환경데이터가 변화하는 것을 분석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정보에는 모든 변경패턴을 모두 평균하여 평균값으로 정해진 평균값 패턴정보(온도 평균값 패턴정보, 습도 평균값 패턴정보, 조도 평균값 패턴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장 최근 저장된 패턴정보인 최근패턴정보, 전일(하루전)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일패턴정보, 현재요일을 기준으로 전주(일주일전)의 동일요일의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주패턴정보, 현재일이나 현재시간 기준으로 전월(한달전)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월패턴정보, 현재일이나 현재시간 기준으로 전년(1년전)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년패턴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최근패턴정보는, 제1실내공간에서 마지막으로 생성되어 저장된 패턴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실내공간에서 제2실내공간으로 이동하기 직전에 생성된 패턴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0)가 상기 제1실내공간을 벗어나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의 패턴정보 요청신호가 있는 경우에(S1120),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평균모드, 최근모드, 전일모드, 전주모드, 전월모드, 전년모드 중 어느 하나의 환경제어를 위한 모드선택을 요청하게 된다(S2140).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면(S1140), 상기 제1홈넷 서버(2000)에서는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제공한다(S2160).
예를 들어, 평균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평균값 패턴정보가 제공되며, 최근모드의 선택시엔 최근패턴정보, 전일모드의 경우에는 전일패턴정보, 전주모드의 경우에는 전주패턴정보, 전월모드의 경우에는 전월패턴정보, 전년모드의 경우에는 전년패턴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는 상기 제2실내공간에서 상기 제1홈넷 서버(2000)로부터 환경데이터에 대한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패턴정보를 상기 제2홈넷 서버(3000)에 제공하게 된다(S1160).
상기 제2홈넷 서버(3000)에서는 수신된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가 속한 상기 제2실내공간 내의 온도, 습도 및 조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을 상기 제1실내공간과 동일하게 제어하게 된다(S3100).
예를 들어, 상기 평균값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평균온도, 평균습도, 평균 조도가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최근패턴정보가 수신되면, 바로 직전의 제1실내공간과 동일시간대에 동일한 환경을 가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일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일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주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주의 동일한 요일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월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월의 동일날짜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년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전년도 동월 동일의 동일시간대의 제1실내공간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전에 최적화된 환경데이터에 따라 생활하던 제1실내공간과 동일한 환경조건이 제2실내공간에서 달성되게 되므로, 편리한 생활 및 자신에게 최적화된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홈넷 서버(2000)에 의해 외부환경에 의해 조절되는 시간대로 지정된 경우가 있고, 제2실내공간에서 외부환경에 의해 조절되는 시간대가 포함된 패턴정보를 토대로 제2실내공간의 환경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홈넷 서버(2000)에 의해 외부환경에 의해 조절되는 시간대로 지정된 시간대의 환경제어는 어떠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외부환경에 의해 제2실내공간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경우에도, 상기 제2홈넷 서버(3000)를 통해 환경데이터를 일정시간별로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제2실내공간의 환경이 제1실내공간과 동일하게 제대로 제어가 수행되고 있는지 검증하는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홈넷 서버(3000)는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수집하여(S3140), 변경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제1실내공간에 대한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차이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160). 이 경우 차이점이 있으면, 원래의 패턴정보에 대응되도록 환경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가 변경되도록 한다.
그러나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의 변경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0) 또는 상기 제2홈넷 서버(3000)를 이용하여 환경데이터를 별도로 변경하는 등의 수동변경절차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되고, 사용자 단말기(1000) 또는 상기 제2홈넷 서버(3000)를 통해 사용자가 환경데이터를 수동으로 변경하는 등의 변경절차가 수행된 경우에는, 변경된 환경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S3180). 즉 제2실내공간의 수집된 환경데이터와 상기 패턴정보와의 차이점이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발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동조작에 의한 것인 경우에 변경된 환경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 이는 가장 최신의 사용자 맞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가 최적의 환경을 위해 수동으로 환경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제2홈넷 서버(3000)는 업그레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제공하고(S3200), 사용자 단말기(1000)는 이를 상기 제1홈넷 서버(2000)에 제공하여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 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수시로 환경데이터를 수집하는 절차 없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조작이 발생되는 경우에만 그 때의 환경데이터를 바로 수집하여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패턴정보가 업그레이드되면, 실내공간이 다시 바뀌는 경우(예를 들면, 제2실내공간에서 다시 제1실내공간으로 바뀌는 경우, 또는 제2실내공간에서 별도의 제3실내공간으로 바뀌는 경우 등)에는 업그레이드된 패턴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를 통해 제공되게 되므로, 가장 최신의 사용자 맞춤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홈넷 서버(2000)가 상기 제1실내공간에서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해당시간대 또는 해당일의 날씨정보를 상기 패턴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한 경우에, 상기 제1홈넷 서버(20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모드 선택을 요청할 때, 날씨모드를 추가하여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를 통해 상기 날씨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1홈넷 서버(2000)에서 현재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날씨정보와 매칭되는 패턴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습도, 조도 등의 환경데이터에 대한 변경 패턴정보를 통해 서로 다른 공간의 경우에도, 이전 실내공간과 동일한 환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항시 사용자의 환경데이터의 패턴변화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환경동기서버
1000 : 사용자 단말기
2000 : 제1홈넷 서버
3000 : 제2홈넷 서버

Claims (15)

  1. 서로 다른 공간에서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환경동기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환경동기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택이나 사무실을 포함하는 제1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데이터를 일정 시간별로 수집하여 상기 환경동기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환경동기서버로부터 환경데이터에 대한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속한 공간 내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환경동기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연동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정시간별로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데이터에 대한 변경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패턴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신호가 있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다른 공간인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패턴정보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동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실내공간에 배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수집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동기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경동기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하던 상기 제1실내공간의 위치범위를 벗어나, 일정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상기 제2실내공간을 위치범위로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패턴정보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동기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경동기서버는, 상기 제1실내공간의 위치범위정보와 상기 제2실내공간의 위치범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경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동기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경동기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정시간별로 제공되는 상기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데이터의 시간별 변경패턴, 일별 변경패턴, 요일별 변경패턴, 월별 변경패턴, 연별 변경패턴을 분석한 상기 패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패턴정보에는 시간별, 일별, 요일별, 월별, 연별 등의 모든 변경패턴을 모두 평균하여 평균값으로 정해지며 평균모드에서 제공되는 평균값 패턴정보, 최근모드에서 제공되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최근패턴정보, 전일모드에서 제공되는 전일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일패턴정보, 전주모드에서 제공되는 전주 동일요일 및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주패턴정보, 전월모드에서 제공되는 전월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월 패턴정보, 및 전년모드에서 제공되는 전년 동일시간대의 전년패턴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동기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환경동기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다른 공간인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평균모드, 상기 최근모드, 상기 전일모드, 상기 전주모드, 상기 전월모드, 상기 전년모드 중 어느 하나의 환경제어를 위한 모드선택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모드에 해당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환경동기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패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제어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동기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환경동기서버는 상기 패턴정보의 생성시, 해당시간 또는 해당일의 날씨정보를 상기 패턴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모드선택의 요청시 날씨모드를 추가하여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날씨모드가 선택되면, 현재 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날씨정보와 매칭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동기시스템.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실내공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일정 시간별로 수집하여 상기 환경동기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환경동기서버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변경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제1실내공간의 상기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차이점이 발생되고, 그 차이점이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동기시스템.
  9. 서로 다른 공간에서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환경동기시스템은 제1실내공간의 환경을 제어하는 제1홈넷 서버, 제2실내공간의 환경을 제어하는 제2홈넷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홈넷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실내공간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에, 주택이나 사무실을 포함하는 상기 제1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데이터를 일정시간별로 수집하여, 상기 환경데이터에 대한 변경패턴을 분석하여 패턴정보로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시 상기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홈넷 서버를 통해 상기 패턴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제2실내공간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홈넷 서버에 상기 패턴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제2홈넷 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제2홈넷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패턴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상기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제2실내공간 내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제어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동기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홈넷 서버는 내장되거나 상기 제1실내공간에 배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환경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수집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동기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홈넷 서버 및 상기 제2홈넷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인터넷 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동기시스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홈넷 서버는, 일정시간별로 수집되는 상기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데이터의 시간별 변경패턴, 일별 변경패턴, 요일별 변경패턴, 월별 변경패턴, 연별 변경패턴을 분석한 상기 패턴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며,
    상기 패턴정보에는 시간별, 일별, 요일별, 월별, 연별 등의 모든 변경패턴을 모두 평균하여 평균값으로 정해지며 평균모드에서 제공되는 평균값 패턴정보, 최근모드에서 제공되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최근패턴정보, 전일모드에서 제공되는 전일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일패턴정보, 전주모드에서 제공되는 전주 동일요일 및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주패턴정보, 전월모드에서 제공되는 전월 동일시간대의 패턴정보인 전월 패턴정보, 및 전년모드에서 제공되는 전년 동일시간대의 전년패턴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동기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홈넷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패턴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평균모드, 상기 최근모드, 상기 전일모드, 상기 전주모드, 상기 전월모드, 상기 전년모드 중 어느 하나의 환경제어를 위한 모드선택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모드에 해당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홈넷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제2홈넷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제2홈넷 서버를 통해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제어를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동기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홈넷 서버는 상기 패턴정보의 생성시, 해당시간 또는 해당일의 날씨정보를 상기 패턴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모드선택을 요청하는 경우에 날씨모드를 추가하여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날씨모드가 선택되면, 현재 날씨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해당 날씨정보와 매칭되는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동기시스템.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홈넷 서버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일정 시간별로 수집하고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변경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제1홈넷 서버에서 제공된 상기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차이점이 발생되고, 그 차이점이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환경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하고, 업그레이드된 패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홈넷 서버에 제공하여 패턴정보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동기시스템.
KR1020170147817A 2017-11-08 2017-11-08 서로 다른 공간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 KR102029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817A KR102029787B1 (ko) 2017-11-08 2017-11-08 서로 다른 공간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817A KR102029787B1 (ko) 2017-11-08 2017-11-08 서로 다른 공간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278A true KR20190052278A (ko) 2019-05-16
KR102029787B1 KR102029787B1 (ko) 2019-10-08

Family

ID=6667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817A KR102029787B1 (ko) 2017-11-08 2017-11-08 서로 다른 공간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7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816A (ko) * 2011-01-12 2012-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트 장치의 제어방법
KR20150118275A (ko) * 2014-04-11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20160131507A (ko) 2015-05-07 2016-11-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외 환경 감지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 건강관리 시스템
KR20170022819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816A (ko) * 2011-01-12 2012-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트 장치의 제어방법
KR20150118275A (ko) * 2014-04-11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20160131507A (ko) 2015-05-07 2016-11-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외 환경 감지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 건강관리 시스템
KR20170022819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787B1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713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to optimize an energy management system
US10584892B2 (en) Air-conditioning control method, air-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900100B2 (ja) 温度調節方法及び装置
CN107250928B (zh) 对建筑物的能耗进行优化和控制
US10012407B2 (en) Heating controls and methods for a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US105848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to optimize an energy management system
CA2885868C (en) Radiant heating controls and methods for a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US201501680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ture-based thermostat control
WO2009036764A2 (en) Distance regulated energy consuming devices
WO2014175041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220146134A1 (en) Hvac controller with sensor priority screen
KR102095990B1 (ko)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11095469B2 (en) Wireless occupancy sensor with controllable light indicator
KR20130088485A (ko) 전기 기기의 에너지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2242143A1 (zh) 用于空调控制的方法、装置和空调
US20200116375A1 (en) Conditions based scheduling in an hvac system
US20180017274A1 (en) Hvac controller with streamlined setup
US11067307B2 (en) Thermostat user interface with smart menu structure
EP3919824A1 (en) Remote sensor with improved occupancy sensing
KR102029787B1 (ko) 서로 다른 공간의 환경 동기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
US10859281B2 (en) Thermostat assembly with removable trim ring
US10895397B2 (en) Wire detection for an HVAC controller
US11708991B2 (en) Automatic changeover mode in an HVAC controller with reversible deadband enforcement
KR102142860B1 (ko) 동일 실내공간에서의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
CN111025932B (zh) 基于边缘计算的多住宅情景共享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