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072A - 동물 사료 보충물 - Google Patents

동물 사료 보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072A
KR20190052072A KR1020197010443A KR20197010443A KR20190052072A KR 20190052072 A KR20190052072 A KR 20190052072A KR 1020197010443 A KR1020197010443 A KR 1020197010443A KR 20197010443 A KR20197010443 A KR 20197010443A KR 20190052072 A KR20190052072 A KR 20190052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lysolecithin
animal feed
feed
di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젠슨
필립 누엔스
일스 마스트
Original Assignee
케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2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6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의 영양소 소화율, 흡수율 또는 활용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리소레시틴 또는 정제된 리소인지질-풍부 화합물,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합성 유화제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 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물 사료 보충물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7년 2월 3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2/454,311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고, 2016년 9월 16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2/395,449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둘 모두는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동물 사료 보충물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동물 사료로부터 지방 및 다른 영양소의 소화율 및 흡수율을 개선시키는 성분의 상승작용적 조합물인 동물 사료 보충물에 관한 것이다.
가능한 가장 저렴한 비용의 고품질의 사료로 가축을 기르기 위한 탐구는 현대의 축산업에 큰 도전이 되고 있다. 한편으로, 현대의 가축 품종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사료를 고기, 계란 또는 우유로 전환하는데 매우 효율적이다. 반면에, 효율적인 전환은 충분한 영양소의 공급을 필요로 한다. 사료 비용의 증가 및 대체 사료 원료의 이용 가능성은 축산업자가 보다 경제적인 재구성된 식이를 사용하도록 권고하지만, 또한 가축이 소화하기는 더 어렵다. 높은 에너지 집중으로 인해, 매일 증가하는 에너지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많은 양의 지방 및 오일이 일반적으로 사료에 첨가된다. 이러한 고지방 함량 사료는 전형적으로 가축에게 어려운 식이 조건을 제공한다. 따라서, 현대 축산업의 사료에서 지방 및 다른 영양소의 소화율 및 흡수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사료 첨가제가 필요하다.
리소레시틴은 사료에서 영양소, 특히 지방의 소화율 및 흡수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수년 동안 사용되어 왔다. 담즙 염과 함께 사료를 통해 보충된 리소레시틴은 지질 소화의 첫 번째 단계에서 유화제 역할을 한다고 가정된다(Zhang et al., 2011; AT4.1). 장관에서 지방의 표면-대-부피 비를 증가시킴에 의해, 리소레시틴은 리파제가 지방 액적 계면에 부착하기 위한 이용 가능한 총 표면적을 증가시켜 지질 가수분해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가로, 최근에는 리소레시틴이 혼합된 미셀의 형성에 참여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Jansen, 2015; AT4.2). 이러한 방식으로, 리소레시틴은 액적 계면으로부터 지질 가수분해의 생성물(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유리 지방산)을 전위시켜 지질 가수분해가 계속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리소레시틴은 지질 및 가능한 다른 영양소의 흡수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ansen, 2015; AT4.2). 지질 흡수가 미셀 형성에 의한 리소레시틴 간섭의 이차적 효과인지 또는 리소레시틴과 장세포 막 또는 장세포 막 단백질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의 결과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모노글리세라이드는 동물의 지질 가수분해 과정 중에 생성된다(Lairon, 2009; AT 4.3). 지방과 오일의 소화 과정 동안, 콜리파제-리파제-복합체는 먼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디글리세라이드 및 유리 지방산으로 가수분해한다. 다음 단계에서, 콜리파제-리파제-복합체는 디글리세라이드를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유리 지방산으로 가수분해한다. 이들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유리 지방산은 이후 혼합된 미셀로 배열되고, 후속하여 소장의 장세포에 의해 흡수된다. 모노글리세라이드는 매우 넓은 적용 범위를 갖는다. 식품 산업에서 이것은 제과류, 과자류, 마가린, 쥬스 및 낙농 제품에 사용되며 여기서 결합 화합물, 소포제, 착향제, 안정화제, 증점제, 윤활제 및 텍스처라이저로서 기능할 수 있다. 화장품 산업에서, 모노글리세라이드는 다양한 오일, 연고 및 및 보습 크림에 사용되며 여기서 확산제 및 (유중수형) 유화제로서 기능한다. 모노글리세라이드의 다른 용도는 PVC, 제약 및 섬유 산업을 포함한다.
사료 산업에서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사용은 제한적이다. 단쇄 지방산(<7개 탄소 원자)으로 에스테르화된 특정 모노글리세라이드는 항곰팡이제 및 항균제로서 사용된다(WO2010/106488; AT4.4). 보다 긴 사슬 길이(>7개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주로 제형을 물리적으로 안정화시키는 기술적인 보조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자들이 알기로는, 특정 모노글리세라이드(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고 동물에서 영양소 소화 및 흡수를 증가시킨다고 주장하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하나의 사료 첨가제가 존재한다(LipidMate; AT4.5). 그러나, 영양소 소화 및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모노글리세라이드가 사료에 첨가될 때 이들이 나타내는 작용 방식에 관해 이용 가능한 문헌은 존재하지 않는다. 추가로, 이러한 개선을 달성하기 위해 높은 포함 수준(사료 톤 당 80-100 그램)이 제조업체에 의해 제안되고 생성물은 리소레시틴 및/또는 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리시놀레에이트를 함유하지 않는다.
사료 산업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합성 유화제는 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리시놀레에이트이다(E484; Community Register of Feed Additives - EU Reg. No. 1831/2003). 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리시놀레에이트는 지방산이 산업 공정에서 에톡실화된 트리글리세라이드 백본으로 구성된다. 공정 조건에 따라, 에톡실화도는 8 내지 200개 에틸렌 옥사이드기로 다양할 수 있다. 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리시놀레에이트는 에톡실화된 피마자유의 주요 구성요소이다. 에톡실화된 피마자유는 동물의 영양소 소화를 증가시키는 사료 첨가제로 상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개선을 달성하기 위해 제조업체는 높은 포함 수준(사료 톤 당 200-500 그램)을 제안한다. 이러한 합성 유화제는 또한 지질 소화의 첫 단계에서 유화제 역할을 하여, 장관에서 지방의 표면-대-부피 비를 증가시킨다고 가정된다(Excential Energy Plus; AT4.6). 그러나, 지방의 증가된 유화 및 지질 액적 계면에 부착된 유화 성분의 입체 장애 사이에 균형(trade-off)이 존재한다. 지나치게 많은 합성 유화제가 지질 액적 계면에 부착되면, 상대적으로 큰 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리시놀레에이트 분자는 액적 계면에 대한 콜리파제-리파제 복합체의 부착을 물리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
발명의 개요
(1) 리소레시틴 또는 정제된 리소인지질-풍부 화합물, (2)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3) 합성 유화제 또는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로 구성된 생성물 공식이 발견된다. 생성물은 사료 첨가제로서 유용한데, 그 이유는 이것이 영양소 소화율, 흡수율 및 활용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더욱이, 상기 공식은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또는 합성 유화제 단독으로부터의 이익을 능가하는 몇 가지 긍정적인 생리학적 효과를 갖는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동물성 지방(대조군), 리소레시틴과 함께 동물성 지방, 리소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과 함께 동물성 지방(혼합물 A) 및 리소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의 동물성 지방(혼합물 B)의 시험관내 가수분해 동안 유리 지방산의 축적 차트이다; 실험 처리는 삼중으로 수행된다; 지질의 평균 농도(mg/ml)는 시간(분) 경과에 따라 제공되고, 오차 막대는 표준 오차 값을 나타낸다.
도 2는 동물성 지방(대조군), 리소레시틴과 함께 동물성 지방, 리소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과 함께 동물성 지방(혼합물 A) 및 리소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의 동물성 지방(혼합물 B)의 시험관내 가수분해 동안 겉보기 속도 상수(k)로 표현된 유리 지방산 방출 속도의 차트이다; 데이터는 처리 당 3회 관찰의 평균이고, 오차 막대는 표준 오차 값을 나타낸다.
도 3은 동물성 지방(대조군), 리소레시틴과 함께 동물성 지방, 리소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과 함께 동물성 지방(혼합물 A) 및 리소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의 동물성 지방(혼합물 B)의 시험관내 가수분해 동안 분화된 Caco-2 단층에 의해 생성되고 적용된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유리 지방산의 백분율로서 표현된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유리 지방산의 흡수 차트이다; 데이터는 처리 당 3회 관찰의 평균이고, 오차 막대는 표준 오차 값을 나타낸다.
발명의 설명
리소레시틴은 레시틴의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해 제조된다. 리소레시틴은 전형적으로 45 내지 180 g/kg의 리소인지질의 총 양을 갖고 그 중 20 내지 80 g/kg는 리소포스파티딜콜린, 10 내지 40 g/kg는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10 내지 40 g/kg는 리소포스파티딜이노시톨 및 5 내지 20 g/kg는 리소포스파티드산이다(WP-08-00120; AT4.8). 동물 사료에서 리소레시틴의 포함 비율은 전형적으로 사료 톤 당 50 내지 250 그램의 범위지만, 식이 조건 및 동물 종에 따라 다른 포함율이 사용될 수 있다. 요망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에톡실화된 피마자유에 기반한 사료 첨가제의 포함 비율은 전형적으로 동물 사료 톤 당 200 내지 500 그램의 범위이다. 유사하게, 모노글리세라이드에 기반하여 사료 첨가제에 대한 동물 사료 톤 당 100 내지 150 그램의 포함 비율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은 리소레시틴의 통상적인 포함 비율, 예를 들어, 사료 톤 당 150 그램에 미량의 모노글리세라이드, 예를 들어, 톤 당 25 그램, 및 합성 유화제, 예를 들어, 톤 당 2.5 그램을 보충하여 리소레시틴으로 얻은 개선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고 기재한다. 본 발명에서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포함 수준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포함 비율보다 훨씬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조합물은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또는 합성 유화제 단독으로부터의 이익을 능가하는 긍정적인 생리학적 효과를 제공하는 예상치 못한 상승적인 반응을 발생시켰다.
상승작용적 사건의 예상치 못한 성질로 인해,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의 정확한 작용 방식은 본 발명 당시에 알려지지 않았다. 지질 유화에 대한 리소인지질의 알려진 영향 이외에, 소량의 합성 유화제 분자가 사료의 지질 유화를 더 최적화하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또한, 합성 유화제의 양호한 유화 특성은 공급 매트릭스로부터 지질의 방출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첨가제 내의 리소인지질에 의한 사료 중 지질의 대상 범위 및 비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십이지장 내로의 지질 액적의 유입을 동반하는 환경 조건의 변화(예를 들어, 담낭으로부터 담즙 염의 방출)는 액적 계면으로부터 혼합된 미셀의 형성쪽으로 리소인지질의 전위를 개시한다. 소량의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존재는 "초기" 미셀 형성을 위한 이러한 전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리소인지질 및 담즙 염 이외에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지방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소량의 유리 지방산은 일반적으로 지질 소화의 십이지장-전 단계에서 트리글리세리드의 디글리세라이드 및 유리 지방산으로의 가수분해에 의해 이미 생성된다. 그러나, 모노글리세라이드는 동물의 소장에서 전형적으로 발생하는 디글리세라이드의 가수분해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초기 미셀 형성 동안 리소인지질 및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상승작용을 통해,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이에 따라 가수분해 생성물을 계면으로부터 전위시켜 지질 가수분해가 계속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담즙 염이 액적 계면으로 들어갈 때 리소레시틴으로부터의 리소인지질 및 모노글리세라이드 사이의 또 다른 상호작용이 액적 계면에서 나타날 수 있다. (리소)인지질 및 모노글리세라이드와 같은 표면 활성 분자의 극성 헤드그룹 및 담즙 염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Dreher et al., 1967; AT4.9). 상기 상호작용은 담즙 염의 소수성 표면이 회전하여 계면과 더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한다. 리소인지질 및 모노글리세라이드와 담즙 염의 조합된 상호작용은 지질 액적에 대한 담즙 염의 부착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는 차례로 가수분해 속도를 개선시킬 것이다.
마지막으로, 리소인지질에 대해 기술된 대로, 지질 및 가능한 다른 영양소의 흡수는 미셀 형성에 의한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리소인지질의 간섭의 2차 효과로서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다양한 사료 중 지질의 양이 크게 달라질 수 있고 영양소의 개선 및 흡수를 목표로 하는 화합물의 포함 비율이 전형적으로 사료 중 지질의 양과 관련이 있음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은 사료 톤 당 15 내지 1500 그램의 포함 비율의 리소레시틴, 톤 당 2.5 내지 250 그램의 포함 비율의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톤 당 0.25 내지 25 그램의 포함 비율의 합성 유화제의 조합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는 단일 프리믹스 또는 프리믹스의 제조물로서 조합하여 사료 배치(feed batch)에 별도로 적용될 수 있다. 생성물은 별도로 또는 조합하여 액체로서 적용되거나 적합한 담체(예시적인 실리카 또는 식물성 섬유 분획)에 담아 건조 생성물로서 적용될 수 있다.
리소인지질은 리소레시틴의 활성 성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리소레시틴 대신에, 리소인지질이 또한 정제되거나 농축된 성분으로서 예비혼합물 또는 사료에 첨가될 수 있었다.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위치 sn-1, sn-2 또는 sn-3에서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글리세롤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중 결합이 없거나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갖는, 1 내지 24개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갖는 지방산을 함유하는 모노글리세라이드 또는 모노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모노글리세라이드에서 이중 결합의 수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모노글리세라이드는 0 내지 200 g I2/100g의 요오드 값을 갖는 것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합성 유화제는 구체적으로 8 내지 200개 에틸렌 옥사이드기를 함유하는 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리시놀레에이트(E484)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든 유화제로의 연장에 관한 것이고, 콩기름으로부터의 지방산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E487) 및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E493)와 같은 Community Register of Feed Additives (EU Reg. No. 1831/2003)에서 승인된 유화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화제의 분자 구조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유화제는 2 내지 20의 친수성-친유성 균형(HLB-값)을 갖는 것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1: 시험관내 지질 가수분해를 개선시키기 위한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조합물.
Kemin Europa NV 연구 시설(Herentals, Belgium)에서 시험관내 지질 가수분해 모델을 사용하여 시험관내 지질 가수분해 샘플에 대한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재료 및 방법
동물성 지방,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 동물 사료에 사용하기로 예정된 동물성 지방 샘플은 Institute for Agricultural and Fisheries Research(ILVO, Merelbeke, Belgium)에서 제공받았다. 리소레시틴(124.9 g/kg의 총 리소인지질 함량을 갖는 가수분해된 대두 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18개 탄소 원자 및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갖는 지방산; 요오드 값 75.8 g I2/100g),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18개 탄소 원자를 갖고 이중 결합이 없는 지방산; 요오드 값 0.6 g I2/100g) 및 합성 유화제(평균 40개 에틸렌 옥사이드기를 함유하고 HLB 값이 12.5인 에톡실화된 피마자유)를 사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 혼합물 A 및 혼합물 B(표 1)로 표시된 2개의 혼합물은 모든 성분을 함께 정확하게 칭량하여 제조되었다. 다음으로, 혼합물 A를 자기 교반기를 사용하여 약 250 RPM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점도의 차이로 인해, 혼합물 B를 먼저 60℃로 가열한 다음 약 250 RPM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표 1 - 혼합물 A 및 혼합물 B의 함량 개요
Figure pct00001
실험용 처리제. 1.20 g의 리소레시틴, 1.42 g의 혼합물 A 및 1.42 g의 혼합물 B를 100.00 g의 동물성 지방에 각각 분산시켜 스톡 지방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3회 실험용 처리제의 최종 리소레시틴 함량은 동일하다(표 2). 또한, 혼합물 A 및 혼합물 B 처리제는 포함된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유형만이 다르다(표 1 및 표 2).
표 2 - 지질 가수분해의 평가를 위한 스톡 지방 분산액의 개요
Figure pct00002
지질 가수분해 모델. Jansen 등(2015)에 의해 이전에 기술된 지질 가수 분해 모델을 사용하여 지질 가수분해에 대한 성분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2.24 g의 공복 상태로 시뮬레이션된 장액(FaSSIF) 분말(Biorelevant.com Ltd, Croydon, United Kingdom)을 106 mM NaCl을 함유하는 1 L의 포스페이트 완충액(35 mM, pH 6.5)에 첨가함에 의해 FaSSIF를 제조하였다. 각각 0.25 g의 개개 스톡 지방 처리제(표 2)의 분취량 및 14.75 ml의 FaSSIF를 50 ml 원심분리 튜브에 첨가하였다. 각 튜브의 내용물을 고 전단 혼합기(24000 RPM; IKA ULTRA-TURRAX T18, Staufen, Germany)로 30초 동안 혼합하였다. 그 다음, 24 mg의 판크레아틴(P7545, Sigma Aldrich)을 각 튜브에 첨가하고 이들을 40℃에서 진탕시키며(250 RPM)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소화물의 최종 내용물은 106 mM NaCl, 1.6 g/L 판크레아틴, 1.6 g/L 담즙 염 및 16.7 g/L 동물성 지방이었다. 인큐베이션 0, 15, 30, 60, 90 및 120분에, 각 소화물의 0.5 ml 샘플을 취하여 9.5 ml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HPLC 등급, VWR International, Leuven, Belgium)에 희석시킴으로써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지질 분석을 위한 적절한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소화는 삼중으로 수행되었다. 인큐베이션의 끝에, 대조 처리제, 혼합물 A 처리제 및 혼합물 B 처리제의 가수분해 샘플을 액체 질소에 침지시키고 -80℃에서 저장하였다(실시예 2 참조).
지질 분석. 시험관내 지질 소화 동안 수득된 각 샘플에서, 지질 가수분해의 정도를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유리 지방산은 증발식 광 산란 검출기(ELSD 85, VWR International)가 구비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컬럼 PL 1110-6520, 5 μm 100A 300 x 7.5 mm, Agilent Technologies, Diegem, Belgium)에 의해 결정되었다. THF를 0.5 ml/분의 유량의 이동상으로서 사용하였다.
계산 및 통계적 분석. 소화율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Jansen 등(2015)에 의해 이전에 사용된 다음의 1차 동역학 모델을 시험관내 소화 동안 유리 지방산 방출에 대해 얻은 데이터에 적용하였다: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k(min-1)는 유리 지방산 방출에 대한 겉보기 속도 상수이고, Ct는 주어진 소화 시간 t(분)에 방출된 유리 지방산의 양(mg/ml)이고, Cmax는 방출된 유리 지방산의 최대 양(mg/ml)이다. 겉보기 속도 상수(k)를 결정하기 위해, ln((Cmax - Ct)/Cmax)를 t에 대해 플롯팅하였다.
유리 지방산 방출에 대한 겉보기 속도 상수를 분산 분석(ANOVA)에 적용하였다. 실험 처리의 ANOVA는 STATGRAPHICS Centurion XVI 소프트웨어(Statpoint Technologies Inc., Warrenton, V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고, 평균은 최소 유의차(LSD) 절차에 의해 분리되었다. 유의성의 모든 진술은 0.05 이하의 P-값을 기반으로 하였다.
결과
지질 가수분해. 동물성 지방, 1.2% 리소레시틴과 함께 동물성 지방, 2% 리소레시틴과 함께 동물성 지방, 혼합물 A와 함께 동물성 지방 및 혼합물 B와 함께 동물성 지방의 시험관내 가수분해 동안 유리 지방산의 축적은 도 1에 도시된다. 120분의 전체 인큐베이션 기간 동안, 혼합물 A 및 혼합물 B 둘 모두에서 축적된 유리 지방산의 양은 동물성 지방 및 리소레시틴과 함께 이용된 동물성 지방보다 현저히 높았다.
유리 지방산 방출의 겉보기 1차 속도 상수(k)는 동물성 지방(대조군), 리소레시틴과 함께 동물성 지방, 리소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과 함께 동물성 지방(혼합물 A) 및 리소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의 동물성 지방(혼합물 B)의 시험관내 가수분해 동안 각각 10.00 × 10-3 min-1, 14.12 × 10-3 min-1, 15.06 × 10-3 min-1 및 15.84 × 10-3 min-1이었다. 각 처리제에 대한 유리 지방산의 축적에 대한 겉보기 1차 속도 상수의 비교는 도 2에 제시된다.
리소레시틴의 첨가, 혼합물 A의 첨가 및 혼합물 B의 첨가는 유리 지방산 방출 속도에 유의한(P < 0.05) 영향을 주었다. 리소레시틴의 첨가는 유리 지방산 방출 속도를 41%만큼 증가시켰다. 동일한 양의 리소레시틴을 첨가하여도, 혼합물 A 및 혼합물 B는 유리 지방산 방출 속도를 증가시키는데 더욱 성공적이었다. 혼합물 A 및 혼합물 B의 첨가는 유리 지방산 방출 속도를 각각 50% 및 58%만큼 증가시켰다.
실시예 2: 시험관내 지질 흡수를 개선시키기 위한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드 및 합성 유화제의 조합물.
Kemin Europa NV 연구 시설(Herentals, Belgium)에서 시험관내 지질 흡수에 대한 다양한 화합물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세포 배양 기반 모델을 개발하였다. 시험관내 지질 흡수에 대한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가수분해 샘플(실시예 1 참조)을 분화된 Caco-2 단층에 적용하였다.
재료 및 방법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 리소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혼합물 A, 표 1) 및 리소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혼합물 B, 표 1)을 본 실험에서 평가하였다(실시예 1 참조).
실험용 처리제. 동물성 지방(대조군), 혼합물 A와 함께 동물성 지방 및 혼합물 B와 함께 동물성 지방의 시험관내 가수분해의 끝에 수득된 가수분해 샘플(실시예 1 참조)을 액체 질소에 침지시키고, 흡수 실험까지 -80℃에서 저장하였다.
세포 배양. 인간 결장 선암종 세포(Caco-2)를 European Collection of Cell Cultures(Public Health England, Porton Down, Salisbury, UK)로부터 얻었다. Caco-2 세포 작업 스톡은 54 내지 60회 계대로 사용되었다. 세포를 10% 열-불활성화된 우태아 혈청(Hyclone, Thermo scientific, Leuven, Belgium), 1% 비필수 아미노산, 100 U/ml의 페니실린 및 100 U/ml의 스트렙토마이신이 보충된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5% CO2의 가습 대기에서 37℃로 유지하고, 일상적으로 계대배양하였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세포 배양 배지 및 보충물은 Westburg(Leusden, The Netherlands)에 의해 제공되었다.
지질 흡수 모델. Caco-2 세포를 콜라겐-코팅된 Transwell-COL 삽입물(1.12 cm2, 포어 크기 0.4 μm, Corning Costar Corporation, Cambridge, MA) 상에 24-웰 플레이트에서 삽입물 당 2.5 x 105개 세포의 밀도로 시딩하고, 21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켜 세포가 분화되도록 하였다. 인큐베이션 동안, 배지(정점 및 기저)를 일주일에 3회 바꾸어 상피-통과 전기 저항(TEER)을 모니터링하였다(Millicell-ERS, Millipore, Overijse, Belgium). 다음으로, 지질 가수분해 모델로 수득된 상이한 가수분해 샘플(실시예 1)을 FaSSIF에서 25배 희석하고 단층의 정점 측에 적용하였다. 동시에, 단층의 기저 측에 5% 열-불활성화된 우태아 혈청, 2% L-글루타민 및 1% 비필수 아미노산을 가진 Eagle의 최소 필수 배지(EMEM)를 적용하였다. 인큐베이션의 시작과 60분 후에, 정점 유체의 샘플을 취하여 THF에서 2배로 희석하고 지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흡수 실험을 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지질 분석. 시험관내 지질 흡수 동안 얻어진 각 샘플에서,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유리 지방산의 양을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유리 지방산은 증발식 광 산란 검출기(ELSD 85, VWR International)가 구비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컬럼 PL 1110-6520, 5 μm 100A 300 x 7.5 mm, Agilent Technologies, Diegem, Belgium)에 의해 결정되었다. THF를 0.5 ml/분의 유량의 이동상으로서 사용하였다.
계산 및 통계적 분석. 각 웰에서의 모노글리세라이드의 흡수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되었다: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MG 0 MG 60 은 인큐베이션 전과 60분 후의 개개 모노글리세라이드 함량(mg/ml)이다. 상응하게, 개개 유리 지방산 함량으로부터 유리 지방산 흡수율(%)을 계산하였다.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유리 지방산 흡수율 값을 분산 분석(ANOVA)에 적용하였다. 실험 처리의 ANOVA는 STATGRAPHICS Centurion XVI 소프트웨어(Statpoint Technologies Inc., Warrenton, V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고, 평균은 최소 유의차(LSD) 절차에 의해 분리되었다. 유의성의 모든 진술은 0.05 이하의 P-값을 기반으로 하였다.
결과
지질 흡수. 동물성 지방(대조군), 리소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과 함께 동물성 지방(혼합물 A) 및 리소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와 함께 동물성 지방(혼합물 B)의 시험관내 가수분해 동안 생성된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유리 지방산의 흡수는 도 3에 제시되어 있다. 모노글리세라이드의 흡수는 대조군(14.5%)에서 보다 혼합물 A 및 혼합물 B에서 현저하게 더 높았다(P < 0.01)(각각 35.0% 및 40.6%). 유사하게, 유리 지방산의 흡수는 대조군(13.3%)에서 보다 혼합물 A 및 혼합물 B에서 현저하게 더 높았다(P < 0.05)(각각 23.5% 및 28.7%).
따라서, 혼합물 A 및 혼합물 B는 모노글리세라이드의 흡수를 2배 넘게(그리고 혼합물 B의 경우 거의 3배) 증가시켰다. 추가로, 혼합물 A 및 혼합물 B는 유리 지방산의 흡수를 75% 넘게 증가시켰다.
실시예 3: 생체내 영양소 소화 및 흡수를 개선시키기 위한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조합물.
Kemin Europa NV가 주문한 육계의 성능 시험은 Banat's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 and Veterinary Medicine "King Michael I of Romania" from Timisoara에 속하는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학부 실험실의 실험용 가금류 우리에서 2015년 10월 28일부터 2015년 12월 9일까지 수행되었다. 제시된 연구의 목적은 기초 식이,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도록 제형화된 기초 식이를 급여한 새 및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두 상이한 혼합물이 보충된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도록 제형화된 식이를 급여한 새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동시에 이 연구는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이 조류의 도체(carcass)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었다.
재료 및 방법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 리소레시틴(124.9 g/kg의 총 리소인지질 함량을 갖는 가수분해된 대두 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18개 탄소 원자 및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갖는 지방산; 요오드 값 75.8 g I2/100g),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18개 탄소 원자를 갖고 이중 결합이 없는 지방산; 요오드 값 0.6 g I2/100g) 및 합성 유화제(평균 40개 에틸렌 옥사이드기를 함유하고 HLB 값이 12.5인 에톡실화된 피마자유)를 사용하여 혼합물 A 및 혼합물 B(표 3)로 표시된 2개의 혼합물을 제조하였고, 이들은 먼저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를 함께 정확하게 칭량함에 의해 제조되었다. 다음에, 액체 혼합물을 60℃로 가열하고 약 250 RPM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건조 담체에 적용하였다(표 3).
표 3 - 실험용 사료 첨가제의 개요
Figure pct00005
식이 및 식이 처리제. 식이는 주요 곡물로서 옥수수 및 주요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콩가루와 함께 제형화되었다. 2개의 기초 식이가 제형화되었다: 모든 식이 요건을 충족하는 기초 식이(T1; 양성 대조군) 및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는 기초 식이(T2; 음성 대조군, 스타터(starter)에서 60 kcal/kg 더 낮은 대사 에너지 및 그로우어(grower) 및 피니셔(finisher)에서 80 kcal/kg 더 낮은 대사 에너지). 기초 스타터(0-14일), 그로우어(15-35일) 및 피니셔(35-42일) 식이의 전반적 조성은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모든 식이는 또한 피타제(KEMZYME® Plus P Dry 500 g/ton, Kemin Europa NV, Herentals, Belgium)와 함께 상용성 효소 블렌드를 함유하였다.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는 기초 식이의 경우, 실험용 식이의 정량적 조성이 처리제 T2, T3 및 T4에 대해 정확히 동일하도록 먼저 사료의 단일 배치(스타터, 그로우어 및 피니셔 모두)를 제조하였다(표 5). 다음으로,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는 기초 식이를 각각 동일한 배치로 나누고, 소형 혼합기에서 상이한 프리믹스와 연속적으로 혼합하여 식이 처리제를 생산하였다: T2, 음성 대조군; T3, 상부에 500 ppm의 혼합물 A를 갖는 음성 대조군; T4, 상부에 500 ppm의 혼합물 B를 갖는 음성 대조군.
표 4 - 실험용 스타터, 그로우어 및 피니셔 식이의 성분 및 영양소 조성
Figure pct00006
표 5 - 식이 처리제의 개요
Figure pct00007
새 및 관리. 육계의 성능 시험은 Banat's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 and Veterinary Medicine(Timisoara, Romania)에서 수행되었다. 새들은 이용 가능한 각 면적이 800 cm²인 36개 계방의 가금류 실험 시설에 수용되었다. 총 288일령 수컷 Ross 308마리 육계를 펜 당 8마리로 수용하였다. 각 식이 처리는 9회 반복되었다. 방 내에서 처리제의 균일한 분배를 위해 중복물(펜)을 처리제에 할당하였다. 도착 직후에, 동물 복지를 담당하는 수의사는 새들을 조사하고 무게에 의해 선택하고 처리제에 할당하여 각 그룹 내에서 가능한 최대 동질성 및 모든 시험 그룹 간의 최소 차이를 달성하였다. 동적 환기 및 난방 시스템은 최적의 가금류 우리 온도 및 환기를 제공하였다. 전체 시험 기간 동안 23시간 광 및 1시간 암의 조명 계획이 사용되었다. 사료는 사료통에 의해 임의로 제공되었다(펜 당 1통). 새들에게 3단계 사료공급 시스템(스타터, 그로우어 및 피니셔)으로 매쉬 식이(mash diets)를 급여하였다. 식수는 내부 용수 시스템 네트워크에 의해 임의로 제공되었다. 새들은 권고 526/2007 CE에 따라 사육되었다. 매일 2회, 동물 및 수용 시설은 일반적인 건강 상태, 일정한 사료 및 급수 뿐만 아니라 온도 및 환기, 죽은 새들, 및 예상치 못한 사건에 대해 점검되었다.
측정 및 기록. 성능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시작 및 14일령 후에 각 펜의 평균 체중(ABW)을 기록하고, 사료 섭취를 0 내지 14일 동안 기록하였다. 일당 사망률 및 도태를 펜 당 기록하였다.
사육 기간(42일령)이 끝나면, 처리제 T1, T2 및 T3(각각 양성 대조군, 음성 대조군 및 혼합물 A)로부터 펜 당 2마리의 닭을 희생시켰다. 새들의 생체중을 처음 기록하였다. 이후 새들을 표준 도축 절차에 따라 처리하고 전도체(내장 제거), 가슴(뼈 포함) 및 복부 지방체의 무게를 기록하였다.
계산 및 통계적 분석. 평균 일당 증체량(ADG) 및 사료 요구율(FCR)을 0-14일(스타터 기간) 동안 계산하였다. 측정 기간의 시작에서의(0일) 방의 평균 체중을 그 측정 기간의 끝에서의(14일) 평균 체중으로부터 빼고 이 값을 그 측정 기간의 일 수(14일)로 나누어 ADG(g/새/일)를 계산하였다. FCR은 그 기간의 평균 사료 섭취(g/새/일)를 그 기간의 ADG(g/새/일)로 나누어 계산되었다. 도체 수율, 가슴 수율 및 복부 지방체 함량은 도체, 가슴 및 복부 지방체의 무게를 새의 생체중으로 나누어 각기 계산되었다.
성능 데이터(ABW, ADG, FCR), 도체 수율, 가슴 수율 및 복부 지방체 함량을 분산 분석(ANOVA)에 적용하였다. 실험 처리의 ANOVA는 STATGRAPHICS Centurion XVI 소프트웨어(Statpoint Technologies Inc., Warrenton, V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고, 평균은 최소 유의차(LSD) 절차에 의해 분리되었다. 유의성의 모든 진술은 0.05 이하의 P-값을 기반으로 하였다.
결과
성능. 양성 대조군 식이, 음성 대조군 식이, 혼합물 A 식이 또는 혼합물 B 식이를 급여한 새의 ABW, ADG 및 FCR은 표 6에 제시되어 있다. ABW 및 ADG는 음성 대조군 식이를 급여한 새보다 양성 대조군, 혼합물 A 또는 혼합물 B 식이를 급여한 새에서 현저하게 더 높았다. 혼합물 A 또는 B의 첨가는 ADG를 각각 1.3 및 1.5 g/새/일만큼 증가시킬 수 있었다. 더욱이, ABW 및 ADG는 양성 대조군 식이를 급여한 새보다 혼합물 B 식이를 급여한 새에서 현저하게 더 높았다(각각 16 g/새 및 1.1 g/새/일). FCR은 음성 대조군 식이를 급여한 새보다 혼합물 A 식이 또는 혼합물 B 식이를 급여한 새에서 현저하게 더 낮았다. 혼합물 A 또는 B의 첨가는 FCR을 각각 7 및 8 포인트만큼 감소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더 나은 영양소 소화 및 흡수로 인해,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이 보충된 식이를 급여한 새들은 식이에서의 60 kcal/kg의 에너지 갭을 회복할 수 있었다.
표 6 - 평균 체중, 평균 일당 증체량 및 사료 요구율
Figure pct00008
도체 수율, 가슴 수율 및 복부 지방체. 양성 대조군 식이, 음성 대조군 식이 또는 혼합물 A 식이를 급여한 새의 도체 수율, 가슴 수율 및 복부 지방체 함량은 표 7에 제시되어 있다. 도체 수율 및 가슴 수율은 음성 대조군 식이를 급여한 새보다 양성 대조군 식이 또는 혼합물 A 식이를 급여한 새에서 현저하게 더 높았다. 더욱이, 혼합물 A 식이를 급여한 새의 복부 지방체 함량은 양성 또는 음성 대조군 식이를 급여한 새들보다 현저하게 더 낮았다. 후자는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의 첨가가 육생산을 위한 흡수된 영양소의 양호한 이용으로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표 7 - 도체 수율(%), 가슴 수율(%) 및 복부 지방체 함량(%)
Figure pct00009
실시예 4: 생체내 성능, 영양소 소화 및 흡수를 개선시키기 위한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조합물.
육계에 대한 성능 및 영양소 소화율 시험은 Aristotle University of Thessaloniki의 수의학 학부에 속한 Laboratory of Animal Husbandry의 실험용 가금류 우리에서 수행되었다. 제시된 연구의 목적은 모든 식이 요건을 충족하는 기초 식이,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도록 제형화되고 리소레시틴이 보충된 식이 또는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도록 제형화되고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이 보충된 식이를 급여한 새의 성능 및 영양소 소화율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재료 및 방법
리소레시틴 및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 리소레시틴(가수분해된 대두 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18개 탄소 원자 및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갖는 지방산; 요오드 값 75.8 g I2/100g) 및 합성 유화제(평균 40개 에틸렌 옥사이드기를 함유하고 HLB 값이 12.5인 에톡실화된 피마자유)를 사용하여 2개의 처리제 생성물을 제조하였고, 추가로 건조 리소레시틴 및 건조 혼합물로서 나타내었다(표 8). 건조 혼합물의 제조를 위해, 먼저 액체 예비-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본원에서,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를 먼저 정확하게 함께 칭량하고, 60℃로 가열하고, 약 250 RPM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리소레시틴 또는 예비-혼합물을 건조 담체(표 8)에 적용시켜 개개 최종 처리제 생성물을 생산하였다(각각 건조 리소레시틴 및 건조 혼합물).
표 8 - 실험용 사료 첨가제의 개요
Figure pct00010
식이 및 식이 처리제. 식이는 주요 곡물로서 밀 및 옥수수 및 주요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콩가루와 함께 제형화되었다. 2개의 기초 식이가 제형화되었다: 모든 식이 요건을 충족하는 기초 식이(T1; 양성 대조군) 및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는 기초 식이(약 80 kcal/kg 더 낮은 대사 에너지). 기초 스타터(0-14일), 그로우어(15-35일) 및 피니셔(35-42일) 식이의 전반적 조성은 표 9에 제시되어 있다. 모든 식이는 또한 소화율 실험을 위해 소화되지 않는 마커로서 피타제(KEMZYME® Plus P Dry 500 g/ton, Kemin Europa NV, Herentals, Belgium) 및 티타늄 옥사이드(TiO2, 사료 kg 당 3 g)를 갖는 상용성 효소 블렌드를 함유하였다.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는 기초 식이의 경우, 실험용 식이의 정량적 조성이 처리제 T2 및 T3에 대해 정확히 동일하도록 먼저 사료의 단일 배치(스타터, 그로우어 및 피니셔 모두)를 제조하였다(표 10). 다음으로,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는 기초 식이를 동일한 배치로 나누고, 소형 혼합기에서 상이한 프리믹스와 연속적으로 혼합하여 식이 처리제 T2; 상부에 500 ppm의 리소레시틴을 갖는 음성 대조군 및 T3; 상부에 500 ppm의 혼합물을 갖는 음성 대조군을 생산하였다. 리소레시틴 및 건조 리소레시틴 및 건조 혼합물 중 혼합물의 농도를 고려하여, 이와 같이 T2와 T3는 사료 톤 당 250 g의 리소레시틴 및 177.5 g의 혼합물을 각각 전달하였다.
표 9 - 실험용 스타터, 그로우어 및 피니셔 식이의 성분 및 영양소 조성.
Figure pct00011
표 10 - 식이 처리제의 개요
Figure pct00012
새, 식이 및 관리. 육계의 성능 및 소화율 시험은 Aristotle University of Thessaloniki(Thessaloniki, Greece)에서 수행되었다. 새들은 이용 가능한 각 면적이 2.0 m2인 24개 계방의 가금류 시설에 수용되었다. 총 408일령 혼합 성별(부화됨) Ross 308마리 육계를 펜 당 17마리로 수용하였다(m2 당 8.5 마리의 새). 각 식이 처리를 8회 반복하였다. 방 내에서 처리제의 균일한 분배를 위해 중복물(펜)을 처리제에 할당하였다. 동적 환기 및 난방 시스템은 최적의 가금류 우리 온도 및 환기를 제공하였다. 전체 시험 기간 동안 23시간 광 및 1시간 암의 조명 계획이 사용되었다. 사료는 임의로 제공되었다. 새들에게 3단계 사료공급 시스템(스타터, 그로우어 및 피니셔)으로 매쉬 식이를 급여하였다. 식수는 자유롭게 제공되었다. 매일 2회, 동물 및 수용 시설은 일반적인 건강 상태, 일정한 사료 및 급수 뿐만 아니라 온도 및 환기, 죽은 새들, 및 예상치 못한 사건에 대해 점검되었다.
샘플링 및 기록. 각 완성된 식이의 샘플을 사료 생산 직후에 취하였다. 34일에, 각 펜에 두꺼운 나일론 매트를 배설물 수집을 위해 베딩 재료 위에 놓았다. 나일론 매트에서 배설물을 긁어 냄으로써 약 8시간 동안 배설물을 수집하였다. 배설물을 모으기 전에 비-배설물(예를 들어, 깃털 및 사료 입자)을 손으로 제거하였다. 각 펜으로부터 유지된 배설물의 균질한 샘플을 즉시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시켰다. 시작 및 14, 28 및 42일령 후 각 펜의 평균 체중(ABW)을 기록하고, 사료 섭취를 0 내지 14일, 14 내지 28일 및 28 내지 42일령에 기록하였다. 일당 사망률 및 도태를 펜 당 기록하였다.
사료 및 배설물의 화학적 분석. 모든 분석은 Aristotle University of Thessaloniki(Thessaloniki, Greece)에 의해 수행되었다. 사료 및 배설물 샘플을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AOAC, 2003)의 방법에 따라 건조 물질(DM), 미정제 단백질(CP, N x 6.25) 및 미정제 지방(CF)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총 에너지(GE)는 단열 봄베 열량계(Calorimeter System C 5000 Control, IKA®, Staufen, Germany)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티타늄 디옥사이드의 측정은 van Brussel의 절차에 따라 유도 결합 플라즈마 광 방출 분광계(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에 의해 수행되었다(van Bussel W., Kerkhof F., van Kessel T., Lamers H., Nous D., Verdonk H., Verhoeven B. (2010) Accurate Determination of Titanium as Titanium Dioxide for Limited Sample Size Digestibility Studies of Feed and Food Matrices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With Real-Time Simultaneous Internal Standardization. Atom. Spectrosc. 31: 81-88).
계산 및 통계적 분석. 평균 일당 증체량(ADG) 및 사료 요구율(FCR)을 0 내지 14일(스타터 기간), 15 내지 28일(그로우어 기간), 29 내지 42일(피니셔 기간) 및 0 내지 42일(전체 사육 기간) 동안 계산하였다. 측정 기간의 시작에서의(예를 들어, 0일) 각 펜의 ABW를 그 측정 기간의 끝에서의(예를 들어, 14일) 평균 체중으로부터 빼고 이 값을 그 측정 기간의 일 수(예를 들어, 14일)로 나누어 ADG(g/새/일)를 계산하였다. FCR은 그 기간의 평균 사료 섭취(g/새/일)를 그 기간의 ADG(g/새/일)로 나누어 계산되었다. 도체 수율, 가슴 수율 및 복부 지방체 함량은 도체, 가슴 및 복부 지방체의 무게를 새의 생체중으로 나누어 계산되었다.
영양소 소화율(DM, CP 및 CF)은 배설물 및 사료 중 티타늄 디옥사이드 트레이서의 농도를 사용하여 결정되었고 방정식 1에 따라 계산되었다. 실험용 식이의 겉보기 대사 에너지(AME) 함량은 방정식 2에 제시된 대로, 이들의 개개 티타늄 디옥사이드 비 및 상응하는 GE 함량으로부터 계산되었다. 그 결과는 8.22 kcal/질소 g의 보유된 에너지 당량을 사용하여 제로 질소 보유량에 대해 보정되어 식이의 AMEn-값을 제공하였다.
Figure pct00013
방정식 1. 명백한 분변 영양소 소화율의 계산. 영양소식이영양소배설물은 식이 및 배설물 샘플에서 분석된 개개 영양소(건조 물질, 미정제 단백질, 미정제 지방)의 농도이고(g/kg), TiO 2 식이TiO 2 배설물은 식이 및 배설물 샘플에서 분석된 티타늄 디옥사이드의 농도이다(g/kg).
Figure pct00014
방정식 2. 실험용 식이의 겉보기 대사 에너지 함량의 계산. GE식이GE배설물은 식이 및 배설물 샘플의 분석된 총 에너지 값이다(kcal/kg).
성능(ABW, ADG, FCR) 및 소화율 데이터(DM, CP 및 CF 소화율 및 AMEn) 도체 수율, 가슴 수율 및 복부 지방체 함량을 분산 분석(ANOVA)에 적용하였다. 실험 처리의 ANOVA는 STATGRAPHICS Centurion XVI 소프트웨어(Statpoint Technologies Inc., Warrenton, V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고, 평균은 최소 유의차(LSD) 절차에 의해 분리되었다. 17마리의 동물이 있는 펜이 실험 단위였고 3개의 치료제 각각을 8회 반복하였다(치료제 당 8개 펜). 유의성의 모든 진술은 0.05 이하의 P-값을 기반으로 하였다.
결과
성능. 표 11은 기초 식이(대조군), 리소레시틴만이 보충된 감소된 대사 에너지 함량을 갖는 기초 식이(리소레시틴, 상부에 250 g/톤) 또는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이 보충된 감소된 대사 에너지 함량을 갖는 식이(혼합물, 상부에 177.5 g/톤)를 급여한 새의 0, 14, 28 일 42일령의 평균 체중(g/새)을 제공한다. 대조군 식이와 비교하여 리소레시틴 및 혼합물 식이의 감소된 에너지 함량에도 불구하고(사료 kg 당 74 내지 95 kcal, 표9), 육계의 중간 및 최종 ABW에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표 11). 가장 높은 최종 ABW는 혼합물 식이를 급여한 새들에서 관찰되었다(2856 g/새 대 2849 g/새).
표 11 - 0, 14, 28 및 42일령의 평균 체중(g/새)
Figure pct00015
기초 식이(대조군), 리소레시틴만이 보충된 감소된 대사 에너지 함량을 갖는 기초 식이(리소레시틴, 상부에 250 g/톤) 또는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이 보충된 감소된 대사 에너지 함량을 갖는 식이(혼합물, 상부에 177.5 g/톤)를 급여한 새의 스타터(0-14일), 그로우어(15-28일), 피니셔(29-42일) 및 전체 사육(0-42일) 기간 동안의 평균 일당 증체량(g/새/일)은 표 12에 제시되어 있다. 기초 식이(대조군), 리소레시틴만이 보충된 감소된 대사 에너지 함량을 갖는 기초 식이(리소레시틴, 상부에 250 g/톤) 또는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이 보충된 감소된 대사 에너지 함량을 갖는 식이(혼합물, 상부에 177.5 g/톤)를 급여한 새의 스타터(0-14일), 그로우어(15-28일), 피니셔(29-42일) 및 전체 사육(0-42일) 기간 동안의 사료 요구율은 표 13에 제시되어 있다. 새의 ABW 결과에 따르면, 임의의 처리제 간에 ADG 또는 FCR에서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리소레시틴 및 혼합물 식이의 감소된 에너지 함량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식이를 급여한 새들은 여전히 대조군 식이로 설정된 엄격한 성능 표준을 충족시킬 수 있었다.
표 12 - 평균 일당 증체량(g/새/일)
Figure pct00016
표 13 - 사료 요구율(FCR)
Figure pct00017
영양소 소화율. 기초 식이(대조군), 리소레시틴만이 보충된 감소된 대사 에너지 함량을 갖는 기초 식이(리소레시틴, 상부에 250 g/톤) 또는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이 보충된 감소된 대사 에너지 함량을 갖는 식이(혼합물, 상부에 177.5 g/톤)를 급여한 새의 35일령에 측정된 영양소 소화율 계수(%)(DM, CP, CF) 및 제로 질소 보유량에 대해 보정된 겉보기 대사 에너지(AMEn, kcal/kg)는 표 14에 제시되어 있다. 성능 파라미터와 대조적으로, 처리제 간에 DM 및 CP 소화율 뿐만 아니라 AMEn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DM 소화율은 대조군 식이 또는 리소레시틴 식이를 급여한 새와 비교하여 혼합물 식이를 급여한 새에서 현저히 높았다. CP 소화율은 리소레시틴 식이와 비교하여 혼합물을 급여한 새에서 현저히 높았다. 유의하지는 않지만, CF 소화에 대해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혼합물 식이를 급여한 새에서 가장 높은 CF 소화가 관찰되었고(89.68%), 그 다음이 각각 리소레시틴 식이(87.57%) 및 대조군 식이(85.52%)를 급여한 새였다. 영양소의 개선된 소화율은 또한 대조군 식이 또는 리소레시틴 식이를 급여한 새와 비교하여(각각 3,220 및 3,255 kcal/kg) 혼합물 식이(3,513 kcal/kg)를 급여한 새에서 관찰된 현저히 높은 AMEn에 반영되었다.
표 14 - 소화율 계수(%) 및 겉보기 대사 에너지(kcal/kg)
Figure pct00018
성능 데이터로부터 반영되듯이, 리소레시틴 및 혼합물은 이들의 식이에서 에너지 갭(사료 kg 당 74 내지 95 kcal)을 회복할 수 있었고, 이는 저 에너지 식이를 급여한 새의 동일한 성능으로 이어졌다. 관찰된 개선된 영양소 소화율에 의해 성능이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더 많은 양의 리소레시틴이 리소레시틴 식이에 공급되었지만(리소레시틴 및 혼합물 식이에 대해 각각 사료의 톤 당 250 g 대 150 g 리소레시틴), 혼합물은 DM 및 CP 소화율을 개선시키는데 더 성공적이었다. DM 및 CP 소화율은 리소레시틴 식이를 급여한 새와 비교하여 혼합물 식이를 급여한 새에서 각각 5.85% 및 12.65% 더 높았다. 유의하지는 않지만, CF 소화도 리소레시틴 또는 대조군 식이를 급여한 새와 비교하여 혼합물 식이를 급여한 새에서 각각 2.11% 및 4.16% 더 높았다. 또한, AMEn도 리소레시틴 또는 대조군 식이를 급여한 새와 비교하여 혼합물 식이를 급여한 새에서 각각 258 및 293 kcal/kg 더 높았다. 식이의 이미 감소된 에너지 함량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이 혼합물은 육계의 영양소 및 에너지 사용을 개선시키는데 매우 성공적이었으므로, 리소레시틴만을 보충하는 것의 이익을 능가하였다.
실시예 5: 육량(Meat yield ) 을 개선시키기 위한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조합물
육계의 실험은 Kemin Industries South Asia Private Limited의 실험용 가금류 우리에서 수행되었다. 제시된 연구의 목적은 모든 식이 요건을 충족하는 기초 식이,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도록 제형화된 식이 또는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도록 제형화되고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이 보충된 식이를 급여한 새의 육량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재료 및 방법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 리소레시틴(가수분해된 대두 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18개 탄소 원자 및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갖는 지방산; 요오드 값 75.8 g I2/100g) 및 합성 유화제(평균 40개 에틸렌 옥사이드기를 함유하고 HLB 값이 12.5인 에톡실화된 피마자유)를 사용하여 "건조 혼합물"로서 표 15에 제시된 처리제 생성물을 제조하였다. 건조 혼합물의 제조를 위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를 먼저 정확하게 함께 칭량하고, 60℃로 가열하고, 약 250 RPM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킨 액체 예비-혼합물을 먼저 제조하였다. 이후 예비-혼합물을 역시 표 15에 제시되어 있는 건조 담체에 적용하여, 건조 혼합물을 생산하였다.
표 15 - 실험용 사료 첨가제의 개요
Figure pct00019
식이 및 식이 처리제. 식이는 주요 곡물로서 옥수수 및 주요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콩가루와 함께 제형화되었다. 2개의 기초 식이가 제형화되었다: 모든 식이 요건을 충족하는 기초 식이(T1; 양성 대조군) 및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는 기초 식이(약 100 kcal/kg 더 낮은 대사 에너지). 기초 스타터(0-14일), 그로우어(15-28일) 및 피니셔(29-42일) 식이의 전반적 조성은 표 16에 제시되어 있다. 모든 식이는 또한 독소 결합제(Toxfin™, 1 kg/ton, Kemin Industries South Asia Private Limited, Gummudipoondi, Tamil, India), 프로바이오틱(CLOSTAT™, 500 g/ton, Kemin Industries South Asia Private Limited, Gummudipoondi, Tamil, India) 및 상용성 효소 블렌드(KEMZYME® XPF, 250 g/ton, Kemin Industries South Asia Private Limited, Gummudipoondi, Tamil, India)를 함유하였다.
표 16 - 실험용 스타터, 그로우어 및 피니셔 식이의 성분 및 영양소 조성
Figure pct00020
CP: 미정제 단백질; AMEn: 겉보기 대사 에너지;
a 다른 성분들: 사료 산미제(0.5 g/kg), 항곰팡이제(1.0 g/kg), 베타인(0.5 g/kg), 비타민 및 미네랄 프리믹스(0.5 g/kg), 리버토닉(Liver tonics)(0.5 g/kg), 항-콕시디얼(0.5 g/kg), 미량 무기물(0.5 g/kg), 항생제 성장 프로모터(0.5 g/kg), 항산화제(0.1 g/kg) 및 피타제(0.1 g/kg)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는 기초 식이의 경우, 실험용 식이의 정량적 조성이 표 17에 제시된 처리제 T2 및 T3에 대해 정확히 동일하도록 먼저 사료의 단일 배치(스타터, 그로우어 및 피니셔 모두)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는 기초 식이를 동일한 배치로 나누고, 소형 혼합기에서 상이한 프리믹스와 연속적으로 혼합하여 식이 처리제 T2; 음성 대조군 및 T3; 상부에 500 ppm의 건조 혼합물을 갖는 음성 대조군을 생산하였다.
표 17 - 식이 처리제의 개요
Figure pct00021
새, 식이 및 관리. 육계 시험은 Kemin Industries South Asia Private Limited (Gummudipoondi, Tamil, India)의 실험용 가금류 우리에서 수행되었다. 새들은 18개 계방의 가금류 시설에 수용되었다. 총 408일령 혼합 성별(부화됨) Vencobb 430마리 육계를 펜 당 12마리의 새로 수용하였다. 각 식이 처리는 6회 반복되었다. 방 내에서 처리제의 균일한 분배를 위해 중복물(펜)을 처리제에 할당하였다. 가금류 시설은 환경의 온도 및 조명에 따라 개방형 수용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사료는 임의로 제공되었다. 새들에게 3단계 사료공급 시스템(스타터, 그로우어 및 피니셔)으로 매쉬 식이를 급여하였다. 식수는 자유롭게 제공되었다. 매일 2회, 동물 및 수용 시설은 일반적인 건강 상태, 일정한 사료 및 급수 뿐만 아니라 온도 및 환기, 죽은 새들, 및 예상치 못한 사건에 대해 점검되었다.
샘플링 및 기록. 40일에, 각 펜으로부터 무작위 선택된 수컷 육계를 희생시켰다. 각 새의 무게를 기록하였다. 이후 각 새를 표준 도축 절차에 따라 처리하였고 육조직의 무게를 기록하였다.
계산 및 통계적 분석. 육량은 육조직의 무게를 새의 개개 생체중으로 나누어 계산되었다. 이후 육량 데이터를 분산 분석(ANOVA)에 적용하였다. 실험 처리의 ANOVA는 STATGRAPHICS Centurion XVI 소프트웨어(Statpoint Technologies Inc., Warrenton, V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고, 평균은 최소 유의차(LSD) 절차에 의해 분리되었다. 12마리의 동물이 있는 펜이 실험 단위였고 3개의 치료제 각각을 6회 반복하였다(치료제 당 6개 펜). 유의성의 모든 진술은 0.05 이하의 P-값을 기반으로 하였다.
결과
육량. 표 18은 기초 식이(양성 대조군), 감소된 대사 에너지 함량을 갖는 기초 식이(음성 대조군) 또는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이 보충된 감소된 대사 에너지 함량을 갖는 식이(혼합물)을 급여한 새의 40일령의 육량(%)을 제공한다.
표 18 - 40일령의 육량(체중의 %)
Figure pct00022
감소된 대사 에너지 함량을 갖는 기초 식이(T2, 음성 대조군)를 급여한 새는 기초 식이(T1, 양성 대조군)를 급여한 새와 비교하여 수치적으로 낮은 육량을 가졌다. 그러나, 혼합물(T3)을 급여한 새는 음성 대조군 식이(T2)를 급여한 새와 비교하여 현저히 높은 육량을 가졌다. 또한, 혼합물(T3)을 급여한 새에서 가장 높은 육량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감소된 에너지 함량에도 불구하고, 혼합물 식이를 급여한 새는 건조 혼합물의 첨가에 의해 가장 높은 육량을 생산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사료 요구율을 개선시키는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조합물
육계에 대한 성능은 Southern Poultry Research, Athens, Georgia (USA)의 실험용 가금류 우리에서 수행되었다. 제시된 연구의 목적은 모든 식이 요건을 충족하는 기초 식이,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도록 제형화된 식이 또는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도록 제형화되고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이 보충된 식이를 급여한 새의 증체량 및 사료 요구율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재료 및 방법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 리소레시틴(가수분해된 대두 레시틴),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18개 탄소 원자 및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갖는 지방산; 요오드 값 75.8 g I2/100g) 및 합성 유화제(평균 40개 에틸렌 옥사이드기를 함유하고 HLB 값이 12.5인 에톡실화된 피마자유)를 사용하여 건조 혼합물로서 표 19에 추가로 제시된 처리제 생성물을 제조하였다. 건조 혼합물의 제조를 위해, 먼저 액체 예비-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본원에서,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를 먼저 정확하게 함께 칭량하고, 60℃로 가열하고, 약 250 RPM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예비-혼합물을 역시 표 19에 제시되어 있는 건조 담체에 적용하여, 건조 혼합물을 생산하였다.
표 19 - 실험용 사료 첨가제의 개요
Figure pct00023
식이 및 식이 처리제. 식이는 주요 곡물로서 옥수수 및 주요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콩가루와 함께 제형화되었다. 2개의 기초 식이가 제형화되었다: 모든 식이 요건을 충족하는 기초 식이(T1; 양성 대조군) 및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는 기초 식이(약 120 kcal/kg 더 낮은 대사 에너지). 기초 스타터(0-21일), 그로우어(22-35일) 및 피니셔(36-42일) 식이의 전반적 조성은 표 20에 제시되어 있다. 모든 식이는 또한 상용성 효소(Hostazym® X 1.0, Huvepharma Inc., St. Louis, USA) 및 피타제(Ronozyme® HiPhos 2700 GT, DSM Nutritional Products, Ames, USA), 항-콕시디얼(coccidial) 약물(Bio-Cox®, Alpharma LLC, New Jersey, USA) 및 바시트라신(BMD® 50, Zoetis Inc., Kalamazoo, USA)을 함유하였다.
표 20 - 실험용 스타터, 그로우어 및 피니셔 식이의 성분 및 영양소 조성
Figure pct00024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는 기초 식이의 경우, 실험용 식이의 정량적 조성이 표 21에 제시된 처리제 T2 및 T3에 대해 정확히 동일하도록 먼저 사료의 단일 배치(스타터, 그로우어 및 피니셔 모두)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더 낮은 대사 에너지를 갖는 기초 식이를 동일한 배치로 나누고, 소형 혼합기에서 상이한 프리믹스와 연속적으로 혼합하여 식이 처리제 T2; 음성 대조군 및 T3; 상부에 500 ppm의 건조 혼합물을 갖는 음성 대조군을 생산하였다.
표 21 - 식이 처리제의 개요
Figure pct00025
새, 식이 및 관리. 육계 성능 시험은 Southern Poultry Research, Inc. (Brock Road, Georgia, USA)의 실험용 가금류 시설에서 수행되었다. 육계용 계사는 중앙 통로를 따라 배열된 동등한 크기의 펜으로 나뉘어져 있다. 새들은 48개의 계방에 수용되었다. 총 2496일령 수컷 Cobb 500마리 육계를 펜 당 52마리의 새로 수용하였다(m2 당 ±11마리 새). 각 식이 처리는 16회 반복되었다. 방 내에서 처리제의 균일한 분배를 위해 무작위 블록 설계를 사용하여 중복물(펜)을 처리제에 할당하였다. 사료 및 식수는 자유롭게 제공되었다. 새들에게 3단계 사료공급 시스템(스타터, 그로우어 및 피니셔)으로 식이를 급여하였다. 새들은 스타터 단계에 부스러뜨린 식이를 먹었고 그로우어 및 피니셔 단계에 펠렛화된 식이를 먹었다. 1일부터 7일까지, 각 펜의 깔짚에 놓인 트레이에 사료를 공급하였다. 이후, 식이는 펜 당 하나의 튜브 공급기로부터 제공되었다. 매일 2회, 동물 및 수용 시설은 일반적인 건강 상태, 일정한 사료 및 급수 뿐만 아니라 온도 및 환기, 죽은 새들, 및 예상치 못한 사건에 대해 점검되었다.
기록. 시험의 개시 첫날(0일)과 마지막 날(42일)에 펜당 평균 새 무게(g/새)를 기록하였다. 전체 사육 기간 동안 펜 당 사료 섭취량(g)을 기록하였다.
계산 및 통계적 분석. 전체 사육 기간 동안(0일에서 42일) 평균 일당 증체량(ADG; g/새/일) 및 사료 요구율(FCR)을 계산하였다. ADG 및 FCR 데이터는 이후 JMP® 소프트웨어 패키지(SAS Inc., Cary, NC, USA)를 사용하여 스튜던트 t에 의한 평균 비교에 의해(P < 0.05) 분산 분석되었다(ANOVA). 54마리의 동물이 있는 펜이 실험 단위였고 3개의 치료제 각각을 16회 반복하였다(치료제 당 16개 펜). 유의성의 모든 진술은 0.05 이하의 P-값을 기반으로 하였다.
결과
성능. 표 22는 기초 식이(T1; 양성 대조군), 감소된 대사 에너지 함량을 갖는 기초 식이(T2, 음성 대조군) 또는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이 보충된 감소된 대사 에너지 함량을 갖는 식이(T3; 혼합물)를 급여한 새의 전체 사육 기간 동안의 평균 일당 증체량(g/새/일) 및 FCR을 제공한다. 감소된 대사 에너지 함량을 갖는 기초 식이(T2, 음성 대조군)를 급여한 새의 ADG는 기초 식이(T1, 양성 대조군)를 급여한 새의 ADG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감소된 에너지 함량에도 불구하고, 혼합물(T3)을 급여한 새의 ADG는 양성 대조군 식이(T1)를 급여한 새의 ADG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지 않았다. 더욱이, 음성 대조군 식이(T2)를 급여한 새는 양성 대조군 식이를 급여한 새보다 유의하게 높은 FCR을 가졌다. 대조적으로, 감소된 에너지 함량에도 불구하고, 혼합물(T3)을 급여한 새의 FCR은 양성 대조군 식이(T1)를 급여한 새의 FCR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지 않았다.
표 22 - 평균 일당 증체량(ADG; g/새/일) 및 사료 요구율(FCR)
Figure pct00026
따라서, 더 나은 영양소 소화 및 흡수로 인해,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이 보충된 식이를 급여한 새들은 식이에서 120 kcal/kg의 에너지 갭을 회복할 수 있었다.
상기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상기 구체예 및 방법은 당업자의 능력, 경험 및 선호를 기초로 하여 변화될 수 있다. 단지, 특정 순서로 방법의 단계를 목록화시키는 것은 방법의 단계의 순서에 대한 임의의 제한을 두는 것이 아니다. 상기 설명 및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고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단지 청구범위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개시를 미리 숙지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원에서 변형 및 변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리소레시틴 또는 정제된 리소인지질-풍부 화합물,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합성 유화제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 보충물.
  2. 제1항에 있어서, 보충물이 사료의 영양소 소화율, 흡수율 또는 활용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동물 사료에 첨가되는 동물 사료 보충물.
  3. 제 1항에 있어서, 조합물이 사료의 톤 당 15 내지 1500 그램 범위의 양으로 리소레시틴 또는 정제된 리소인지질-풍부 화합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 보충물.
  4. 제3항에 있어서, 조합물이 사료의 톤 당 2.5 내지 250 그램 범위의 양으로 모노글리세라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동물 사료 보충물.
  5. 제4항에 있어서, 조합물이 사료의 톤 당 0.25 내지 25 그램 범위의 양으로 합성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동물 사료 보충물.
  6. 제1항에 있어서, 동물 사료 보충물이 동물 사료의 적어도 60 kcal/kg의 에너지 결핍을 대체할 수 있는 동물 사료 보충물.
  7. 제1항에 있어서, 동물 사료 보충물이 동물 사료의 적어도 75 kcal/kg의 에너지 결핍을 대체할 수 있는 동물 사료 보충물.
  8. 제1항에 있어서, 동물 사료 보충물이 동물 사료의 적어도 100 kcal/kg의 에너지 결핍을 대체할 수 있는 동물 사료 보충물.
  9. 동물 사료 보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사료의 영양소 소화율, 흡수율 또는 활용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리소레시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합성 유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동물 사료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동물 사료 보충물을 사료 배치에 적용하거나 동물 사료 보충물을 프리믹스 또는 프리믹스의 제조물에 조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동물 사료 보충물이 액체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동물 사료 보충물이 적합한 담체에 적용되고 건조 생성물로서 투여되는 방법.
KR1020197010443A 2016-09-16 2017-09-15 동물 사료 보충물 KR201900520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95449P 2016-09-16 2016-09-16
US62/395,449 2016-09-16
US201762454311P 2017-02-03 2017-02-03
US62/454,311 2017-02-03
PCT/US2017/051813 WO2018053286A1 (en) 2016-09-16 2017-09-15 Animal feed supp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072A true KR20190052072A (ko) 2019-05-15

Family

ID=6161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443A KR20190052072A (ko) 2016-09-16 2017-09-15 동물 사료 보충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80077951A1 (ko)
EP (1) EP3512349A4 (ko)
KR (1) KR20190052072A (ko)
AU (1) AU2017326435B2 (ko)
BR (1) BR112019004989B1 (ko)
GB (1) GB2569073B (ko)
RU (1) RU2731643C1 (ko)
WO (1) WO2018053286A1 (ko)
ZA (1) ZA2019014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51940A1 (en) * 2018-08-30 2021-08-19 Can Technologies, Inc. Monoglyceride use in animals
EP4233552A1 (en) * 2022-02-25 2023-08-30 Oleon N.V. Emulsifier mixtu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426211T3 (da) * 1989-09-29 1994-01-31 Unilever Plc Næringsmiddelprodukt indeholdende tørret lyso-phospholipoprotein
EP0580778B1 (en) * 1991-04-19 1999-08-11 LDS Technologies, Inc. Convertible microemulsion formulations
ES2249995B1 (es) * 2004-09-22 2007-06-01 Norel, S.A. Procedimiento de produccion de jabones calcicos, sodicos o magnesicos de acidos grasos o de oleinas de grasas vegetales o animales y su uso como nutrientes en alimentacion de animales monogastricos.
FR2918846B1 (fr) * 2007-07-20 2013-07-26 Isl Innovation Sante Lipides Composition alimentaire pour ameliorer la digestibilite des lipides alimentaires
US8603568B2 (en) * 2010-01-15 2013-12-10 Kemin Industries, Inc. Hydrolyzed lecithin product to improve digestibility
WO2012101931A1 (ja) * 2011-01-24 2012-08-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経口用組成物
ES2554756T3 (es) * 2011-10-25 2015-12-23 Unilever N.V. Producto comestible y su uso para incrementar la biodisponibilidad de los micronutrientes comprendidos en frutas o verduras
CN103976150B (zh) * 2014-05-05 2016-01-20 潍坊柯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饲用脂肪乳化剂、制备方法及其应用
CN104839508B (zh) * 2015-06-09 2016-05-18 广州市优百特饲料科技有限公司 一种仔猪脂肪粉及其制备方法
CN105029096B (zh) * 2015-08-27 2018-08-17 广州市优百特饲料科技有限公司 一种幼禽脂肪粉及其制备方法
CN105053696B (zh) * 2015-08-27 2018-08-31 广州市优百特饲料科技有限公司 一种犊牛脂肪粉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04989B1 (pt) 2023-04-04
WO2018053286A1 (en) 2018-03-22
GB2569073B (en) 2022-04-27
AU2017326435B2 (en) 2021-07-22
US20180077951A1 (en) 2018-03-22
BR112019004989A2 (pt) 2019-06-04
EP3512349A1 (en) 2019-07-24
EP3512349A4 (en) 2020-07-08
BR112019004989A8 (pt) 2022-10-25
GB2569073A (en) 2019-06-05
ZA201901458B (en) 2022-04-28
RU2731643C1 (ru) 2020-09-07
GB201904607D0 (en) 2019-05-15
AU2017326435A1 (en)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erończyk et al. Infectious and non-infectious factors associated with leg disorders in poultry–a review
Abdulrahim Effect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zinc bacitracin as dietary additives for broiler chickens
Attia et al. Effect of feed form, pellet diameter and enzymes supplementation on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blood plasma constituents and stress indicators of broilers
DK2371226T3 (en) BILD SALT ADJUSTMENT TO ANIMALS TO IMPROVE THE FAT USE EFFECTIVENESS OF ANIMAL ORGANIZATIONS
Boontiam et al. Effects of lysophospholipid supplementation to reduced energy, crude protein, and amino acid diet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profiles in broiler chickens
Serpunja et al. The effect of sodium stearoyl-2-lactylate (80%) and tween 20 (20%) supplementation in low-energy density diet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meat quality, relative organ weight, serum lipid profiles, and excreta microbiota in broilers
RU2577364C1 (ru) Комбикорм для кур-несушек
Ahmad et a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 of additives present in broiler chicken feed and meat and their implications for human health
KR20190052072A (ko) 동물 사료 보충물
EP2858513B1 (en) Pumpable fat compositions, use in feed and method for reducing their viscosity.
WO2008115055A2 (en) Rhodospirillum and phaeospirillum in animal fe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food products with a reduced cholesterol level
Senköylü et al. Performance and egg weight of laying hens fed on the diets with various by-product oils from the oilseed extraction refinery
Yalcın et al. Effects of the usage of dried brewing yeast in the diets on the performance, egg traits and blood parameters in quails
Jankowski et al. Whole grain in turkey nutrition. Part 2: Production results in different feeding systems
Taher Effects of feeding flaxseed oil on performance and some blood biochemical traits of broiler
Shoaib et al. Production efficiency, nutrient digestibility, and meat quality of broilers reared ondifferent fat sources and emulsifiers
RU2534276C1 (ru) Способ кормления откармливаемых на мясо гусят
Blume et al. Effects of alfalfa leaf mass as a part of organic feeding strategies on growth and slaughtering performance of dual-purpose roosters: a preliminary study.
RU2792900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переваримости питательных веществ
JPH07255387A (ja) 食用家禽用飼料及び該飼料を用いる食用家禽の飼養方 法
Islam et al. Effects of locally produced bacterial phytase on humoral immunity, live body weight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broilers vaccinated against Newcastle disease
Al-Rakhawi et al. Comparative effect of probiotic and/or canola seed, canola meal and canola oil dietary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component, antioxidant status and immune response in growing rabbits.
Ovseychik et al. Encapsulated Phytase Produced by Recombinant Yarrowia lipolytica Exhibits High Efficiency on Quails at Low Doses
Ganna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ome Emulsifier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Lipid Peroxidation and Some Nutrients Digestibility in Broiler Chickens
Shahid et al. The effect of adding different levels of local grass pea on some qualitative traits of Japanese quail eg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