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735A - 문서 출력 및 획득 방법과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문서 출력 및 획득 방법과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735A
KR20190051735A KR1020170147676A KR20170147676A KR20190051735A KR 20190051735 A KR20190051735 A KR 20190051735A KR 1020170147676 A KR1020170147676 A KR 1020170147676A KR 20170147676 A KR20170147676 A KR 20170147676A KR 20190051735 A KR20190051735 A KR 20190051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code
dimensional barcode
inform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이트코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이트코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이트코튼
Priority to KR1020170147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1735A/ko
Publication of KR20190051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35Transforming generic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48Generation of the printable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문서출력 시스템과 문서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문서의 프린트 요청이 있으면, 그 문서 또는 관련문서의 식별정보와 저장위치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2차원 바코드가 상기
문서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문서 및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프린트용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파일을 프린터 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서 출력 방법을 일 실시예로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서 정보가 저장된 2차원 바코드를 생성하고 문서 내에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삽입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문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인터넷서버를 통해 상기 2차원 바코드에 대응하는 문서를 사용자 단말에 저장하여 문서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문서 출력 및 획득 방법과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Method for Document Printing and Acquiring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문서 출력 및 획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문서 출력시 2차원 바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문서 내에 삽입하여 인쇄하는 방법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하여 문서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차원 바코드 대비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복원율이 높은 2차원 바코드 기술이 안정화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2차원 바코드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2차원 바코드의 종류로는 매트릭스형으로 3단계의 오류 검증 및 복원 기능을
가지는 QR(Quick Response)코드와 연속형 및 다층형으로 8단계의 오류 검증 및 복
원 기능을 가지는 PDF417와 매트릭스형으로 13단계의 오류 검증 및 복원 기능을
가지는 데이터매트릭스(Datamatrix) 등이 있다.
특히 QR코드의 경우 인식율이 빠르며 다량의 정보 저장이 가능하다는 점에
서 기업이나 제품의 로고,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설명서, 가상스토어, 지도, 잡지광고, 신문기사, 포스터 등과 같은 광고와 마케팅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명함, 낙관과 같은 개인 홍보 수단이나 금융기관의 결제 수단 및 학습자료를 제공하는 이러닝(e-learning)과 같은 학습 수단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QR코드의 제작 및 인식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QR코드의 활용 범위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QR코드의 활용이 대부분 광고와 마케팅 및 유통 분야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QR코드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데 활용범위가 한정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로 홍보효과를 목적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QR코드를 제공하는 기업 및 개인의 경우 QR코드의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는 반면 다수의 기업 및 개인에 의해 무분별하게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QR코드를 수용하는 실제 사용자의 경우 QR코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으며 이로 인하여 QR코드 사용자에 의한 QR코드 활용도 역시 낮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문서의 식별정보와 저장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2차원 바코드를 생성하여 문서 내에 삽입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문서 내에 삽입된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하고 인터넷서버에 저장된 문서를 사용자 단말에 저장 및 수정할 수 있는 문서 획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문서 정보가 저장된 2차원 바코드를 생성하고 문서 내에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삽입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문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인터넷서버를 통해 상기 2차원 바코드에 대응하는 문서를 사용자 단말에 저장하여 문서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출력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가 삽입되어 출력되는 문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획득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2차원 바코드 인식 및 문서 획득 화면을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출력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의 문서출력 시스템은 문서의 출력을 요청하는 문서출력 요청부(10)와, 상기 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 QR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생성하는 QR코드 생성부(20)와, 상기 문서와 관련정보를 저장하는 인터넷서버(30) 및 상기 QR코드를 삽입하여 문서를 출력하는 문서 출력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문서출력 요청부(10)은 사용자의 문서 프린트 명령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문서는 사용자에 의해 새로 생성된 문서이거나 별도의 저장부(도1에 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로 문자와 이미지 등을 통해 표현되는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QR코드 생성부(20)는 상기 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QR코드를 생성하여 인터넷서버(30)로 전송하며, 문서정보 생성부(21)와 옵션 설정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문서정보 생성부(21)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문서 또는 관련문서의 식별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문서의 요약, 작성자, 작성일자, 발행처, 목차정보, 문서의 종류, 상기 문서의 전체 페이지 정보 및 기타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서 또는 관련문서의 식별정보는 사용자를 통해 직접 입력받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문서정보 생성부(21)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문서의 인터넷 상의 저장위치 즉,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문서 또는 관련문서의 인터넷 상의 저장위치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옵션 설정부(22)는 상기 문서 또는 관련문서의 식별정보와 저장위치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옵션을 설정하고 QR코드를 생성한다.
옵션 설정부(22)에서는 QR코드의 제목을 입력하거나 배경색, QR코드색, 테두리색 및 QR코드의 크기와 같은 제작 옵션을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상기 QR코드에 로고 및 이미지를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옵션 설정부(22)는 상기 문서 전체를 위한 QR코드를 생성하거나 상기
문서의 각 페이지 정보를 저장한 페이지별 QR코드를 생성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옵션들은 문서 프린트 요청시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본값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인터넷서버(30)는 QR코드 생성부(20)에서 전송된 상기 문서 또는 관련문서를 저장한다.
인터넷서버(30)는 QR코드 리더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및 전용 스캐너 등을 통해 QR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QR코드에 대응하는 문서를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노트북, 개인 컴퓨터 등)로 전송하거나 사용자의 이메일로 전송한다.
문서 출력부(40)는 QR코드 생성부(30)를 통해 생성된 QR코드를 상기 문서내에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문서 및 상기 QR코드를 프린트용 파일로 변환한
다.
문서 출력부(40)는 QR코드를 문서의 상하좌우 여백 중 원하는 위치에 삽입하거나 문서 내에 QR코드의 삽입 위치가 별도로 지정된 경우 지정된 위치에 삽입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서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QR코드와 상기 문서를 프린트용 파일로 변환하여 프린터 큐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가 삽입되어 출력되는 문서를 도시한다.
도 2에서 보듯, 문서(논문)의 우측 하단 여백에 QR코드를 삽입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QR코드에는 상기 논문이 저장된 URL 주소 정보와 상기 논문의 서지정보(논문명, 출판년도, 저자 등)에 해당하는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문서출력 요청부(10)를 통해 문서의 프린트 요청이 접수되면(S101) QR코드 생성부(20)에서 상기 문서 또는 관련문서의 식별정보를 생성한다(S102).
또한 상기 문서 또는 관련문서의 저장 위치정보를 입력한다(S103).
이때 상기 문서 또는 관련문서의 식별정보 및 저장 위치정보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문서 또는 관련문서를 인터넷서버(30)로 전송하여 저장하고(S104),생성하고자 하는 QR코드의 제작 옵션을 설정한다.
상기 제작 옵션은 QR코드의 제목, 배경색, QR코드색, 테두리색, QR코드의 크기 및 이미지 삽입 여부 등 QR코드 생성을 위한 기본값을 의미한다.
QR코드 생성부(20)를 통해 QR코드 생성이 완료되면 문서 출력부(40)를 통해 상기 문서 내에 상기 QR코드의 삽입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문서 및 상기 QR코드를 프린트용 파일로 변환한다(S105).
이후 상기 프린트용 파일을 프린터 큐로 전송하여 문서를 출력한다(S106).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획득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문서에 삽입된 QR코드를 인식한다(S201).
이때 사용자 단말은 QR코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인터넷서버(30)와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스마트폰 또는 전용 스캐너를 구비한 노트북 및 개인 컴퓨터 등을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을 통해 QR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QR코드 이미지로부터 상기 문서 또는 관련문서의 식별정보와 인터넷 상의 저장위치정보를 추출한다(S202).
이후 상기 인터넷 상의 저장위치정보에 따라 인터넷 서버(30)에 접속하고 상기 문서 또는 관련문서를 검색한다(S203).
이후 상기 문서 또는 관련문서를 사용자 단말에 저장하거나 사용자 이메일로 전송한다(S20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2차원 바코드 인식 및 문서 획득 화면을 도시한다.
도 5에서 보면,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인쇄물 하단의 QR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QR코드에 저장된 상기 문서 또는 관련문서의 식별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인터넷서버(30)에 접속하여 상기 QR코드에 대응하는 문서 또는 관련문서를 사용자 단말에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며 타인의 이메일로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그래밍 관련 서적을 출판할 경우 테스트용 소스코드가 저장된 QR코드를 삽입하여 사용자가 쉽게 소스코드를 다운로드하여 학습하거나 세미나 진행 전 발표자료가 저장된 QR코드가 포함되는 인쇄물을 공유함으로써 청강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발표자료를 개인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작업 권한 및 접근 권한을 부여하여 인터넷서버에 저장된 문서를 수정할 수 있으며 상기 문서의 공유 대상을 한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QR코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PDF417 코드와 데이터매트릭스(Datamatrix) 및 맥시코드(MaxiCode) 등과 같은 2차원 바코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문서 출력 요청부 20 : QR코드 생성부
21 : 문서정보 생성부 22 : 옵션 설정부
30 : 인터넷 서버 40 : 문서 출력부

Claims (1)

  1. 문서의 프린트 요청이 있으면, 그 문서 또는 관련문서의 식별정보와 저장위치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바코드가 상기 문서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문서 및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프린트용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파일을 프린터 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서 출력 방법.

KR1020170147676A 2017-11-07 2017-11-07 문서 출력 및 획득 방법과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90051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676A KR20190051735A (ko) 2017-11-07 2017-11-07 문서 출력 및 획득 방법과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676A KR20190051735A (ko) 2017-11-07 2017-11-07 문서 출력 및 획득 방법과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735A true KR20190051735A (ko) 2019-05-15

Family

ID=6657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676A KR20190051735A (ko) 2017-11-07 2017-11-07 문서 출력 및 획득 방법과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17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5042B2 (en) Document management method using barcode to store access history information
US7798417B2 (en) Method for data interchange
US10282410B2 (en) Assistive technology for the impaired
US10504556B2 (en) Intelligent print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KR20160013520A (ko) 광고- 및 정보 매체의 정보를 호출 가능하게 저장, 검출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74853A (ko) 바코드 문서의 생성 및 획득 방법
US20130159396A1 (en) System for storing and retrieving data
Pathak et al. Use of QR code technology for providing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a case study
KR100858103B1 (ko)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pdf 출판 시스템
KR102234172B1 (ko) 디지털 트윈 책장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063738B2 (en) Digital content access using a machine-readable link
US201301829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nd routing electronic copies of documents
Siderits et al. Embedding QR codes in tumor board presentations, enhancing educational content for oncology information management
KR101477642B1 (ko) 오프라인 노트를 이용한 전자책 서비스 방법
KR20190051735A (ko) 문서 출력 및 획득 방법과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24230A (ko) Qr코드 타입 각주를 가진 서적 및 이를 이용한 각주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20005988A (ko)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02614A (ko) 종이책과 전자책의 연동 활용방법
Sree et al. QR Codes: Use in Library Services
CN210742938U (zh) 一种基于二维码的应用系统
TWI783659B (zh) 個人資料管理系統
KR20130012157A (ko) 다차원 코드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의 정보와 오프라인 상의 정보를 매칭하는 서버 시스템 및 다차원 코드 처리 방법 그리고 다차원 코드 제공 시스템 및 다차원 코드 제공 방법
KR20170135249A (ko)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 및 이의 방법
JP2019021981A (ja) 書類生成装置、書類生成方法、および、書類生成装置用のプログラム
KR102587023B1 (ko)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