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452A - 이기종 IoT 플랫폼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서비스 탐색 기능적 절차 - Google Patents

이기종 IoT 플랫폼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서비스 탐색 기능적 절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452A
KR20190051452A KR1020170147154A KR20170147154A KR20190051452A KR 20190051452 A KR20190051452 A KR 20190051452A KR 1020170147154 A KR1020170147154 A KR 1020170147154A KR 20170147154 A KR20170147154 A KR 20170147154A KR 20190051452 A KR20190051452 A KR 20190051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service
iot service
common
heterogen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진
Original Assignee
(주)브로드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로드웨이브 filed Critical (주)브로드웨이브
Priority to KR1020170147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1452A/ko
Publication of KR20190051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7Integrating service provisioning from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 H04L67/28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IoT 플랫폼 간 이기종 IoT 환경에서의 공통 IoT 서비스 탐색 절차를 위하여,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과 같은 공통 서비스 탐색 플랫폼 기능을 통한 IoT 서비스 상호 운용성에 주된 의의가 있다.

Description

이기종 IoT 플랫폼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서비스 탐색 기능적 절차{Functional procedure of service discovery for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IoT platforms}
본 발명은 이기종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서비스 플랫폼 간 효율적인 상호 운용성 제공을 위하여, 보다 서비스 탐색 절차의 간소화를 위한 공통 IoT 서비스 탐색 플랫폼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공통 IoT 서비스 탐색 플랫폼 기능을 통하여 이기종 IoT 서비스 플랫폼간의 상호 연동을 도움으로써 공통으로 결합된 IoT 서비스 탐색을 위한 기능적인 구조 및 특성과 절차의 기술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하고자 하는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하며,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IoT 사물인터넷 환경은 폭넓은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IoT 서비스 플랫폼이 존재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를 제안하는 IoT 플랫폼들은 서비스 탐색 과정뿐만이 아니라 서로 다른 통신 방식, 고유 주소, 데이터 전송 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로 인해 상이한 IoT 서비스 플랫폼을 지니고 있는 IoT 디바이스 간의 상호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하여 IoT 게이트웨이를 스마트 홈 네트워크 내에 별도로 설치하여 다양한 연결성을 가지는 인프라를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각 IoT 게이트웨이마다 구성된 디바이스 관리 방법 및 프로토콜 형태가 상이하므로 이기종 IoT 서비스간의 인터페이스 제공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으므로 공통으로의 상호 운용성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IoT 플랫폼 간 이기종 IoT 환경에서의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을 통한 서비스 제공을 위함에 있으며,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 혹은 멀티 플랫폼{Multi-platform}과 같은 공통 IoT 서비스 탐색 플랫폼 기능으로부터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이질성을 최소화함에 주된 의의가 있다.
본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술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술의 특성을 통한 기능적 구조와 절차를 제안하여, 현재의 다양한 IoT 환경 속에서 존재하는 서비스간의 탐색 과정을 간소화하려는데 이해될 수 있다.
현재 IoT 서비스 환경은 상호간의 데이터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응용성, 의미론적인 분석, 그리고 관리와 제어 기능에 대해 서로 고립{Isolation}되어 있는 형태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크로스 플랫폼과 같은 공통 서비스 탐색 플랫폼 기능을 수단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기종 운영 체제 혹은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과 기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 기술로 IoT 서비스의 상호 운용을 돕는다. 고유한 IoT 서비스 플랫폼에 구성되어진 서비스 탐색 프로토콜의 요소들을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을 통하여 집적시키며 매개 변수간의 상호 연동을 도움으로써 기존의 서비스 탐색 메커니즘이 도래하는 문제에 관한 해결 수단의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이기종 서비스 탐색 프로토콜이 크로스 플랫폼과 같은 공통 서비스 탐색 플랫폼 기능을 통하여 상호 운용 체제를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IoT 서비스 제공에 접근할 수 있는 절차를 간소화함으로써 통합적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특성들에 의하면, 크로스 플랫폼과 같은 교차 역할을 하는 플랫폼 기능을 통하여 이기종 IoT 서비스 탐색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불필요한 절차 및 탐색을 위한 특성 요소들을 간소화하여 이기종 IoT 서비스 탐색 프로토콜간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도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특성들에 따르면, 크로스 플랫폼과 같은 공통 서비스 탐색 기능이 다양한 IoT 환경에서 존재하는 플랫폼들의 탐색 절차를 대표로 프로세싱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효율적인 IoT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크로스 플랫폼 기능과 같은 공통 IoT 서비스 탐색 응용 기술을 통하여 불필요한 통신 및 관리자 개입의 탐색 절차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IoT 응용 서비스에서 서비스 실행 시 최소한의 설정 및 관리 측면이라는 효과를 불러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기종 IoT 환경에서의 IoT 서비스를 상호 운용하는 IoT 환경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통 IoT 서비스 탐색을 위한 크로스 플랫폼 기술과 같은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 기반의 IoT 서비스 상호 운용 모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통 서비스 탐색 절차를 위한 기능적 아키텍처 객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을 통한 공통 IoT 서비스 탐색 절차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일부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의 용어는 하나의 기능과 동작을 통합하여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 운영 체제, 컴퓨터 언어,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언어 등 여러 종류의 플랫폼에서 동작할 수 있는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과 상응하는 의미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을 통하여 이기종 IoT 서비스의 탐색 과정을 보다 간소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절차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IoT 서비스 플랫폼{스마트홈,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빌딩, 헬스 케어 등}과의 상호연동을 위한 IoT 서비스 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기종 IoT 환경에서의 IoT 서비스를 상호 운용하는 IoT 환경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 서비스 A(11)와 IoT 서비스 B(12)간의 상호 운용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공통 IoT 서비스 탐색 플랫폼(13)이 중계역할을 하게 되고 이를 통해 이기종 IoT 서비스를 통합한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는 IoT 환경을 나타낸다.
IoT 서비스 A를 의료 및 헬스 케어 분야의 서비스 플랫폼, 그리고 IoT 서비스 B를 운송 및 물류 분야의 서비스 플랫폼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각 고유의 IoT 서비스가 지니고 있는 기능적 특성을 서로 매치할 수 있게 된다. 가령, 데이터 프로세싱 처리(14, 14-1),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응용(15, 15-1), 체계적인 의미론적 분석 능력(16, 16-1), 전체적인 매니지먼트 및 컨트롤 기능(17, 17-1) 등 공통 IoT 서비스 탐색 플랫폼을 통하여 고유 기능의 파라미터(e.g. 서비스 프로토콜, 서비스 데이터 등)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고유의 IoT 서비스 플랫폼이 지니고 있는 서비스 탐색 프로토콜의 상호 운용을 기반으로 이종 IoT 서비스를 공통적으로 결합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공통 IoT 서비스 탐색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IoT 서비스 플랫폼 간의 서비스 운용을 중계하는 효과가 있다. 기술적이며 구체적인 실시 예들은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2는 공통 IoT 서비스 탐색을 위한 기능인 크로스 플랫폼 기술과 같은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 기반의 IoT 서비스 상호 운용 모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을 통하여 각 고유의 IoT 서비스 기능을 바탕으로 하는 프레임워크 환경을 구성하여 연동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매니지먼트, 보안성, 신뢰성, 최적화, 탐색, 자동화, 서비스 전송 수준, 의미론, 스케줄링 등의 프레임을 구축하여 서비스의 상호 운용을 실행한다(21). IoT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더불어 각 기능적 계층 간의 인터페이스를 도모할 수 있다(22). 예를 들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고유의 디바이스 계층, 네트워킹 방식, 미들웨어 기능,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간의 정보 교류를 상호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위에 기술한 프레임워크 및 서비스 기능 요소들의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으로부터의 IoT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23)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공통 IoT 서비스 탐색 절차를 위한 기능적 요구사항의 아키텍처 개체들을 나타낸다. 각 계층에는 고유의 인스턴스 값과 이를 이어주는 프로토콜이 존재하게 되고 공통적인 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고려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과정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간의 특성에 맞는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계층이 있어야 한다(31). 상기 기능적 계층은 의무적, 부가적 혹은 예외사항 등의 성격을 나타내며 접속하는 IoT 서비스 디바이스간의 우선적 순위로 구분하여 분리할 수 있다.
축적된 데이터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IoT 서비스 디바이스가 타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32). 관리자 기능 및 특정 권한에 대한 서비스 기능 제어를 위해서는 일부의 IoT 서비스 디바이스만이 허가를 가져야 하므로 특정한 제한 범위 또한 포함한다.
이종 IoT 서비스간의 취합된 데이터를 통하여 보안적 요소를 설정하는 계층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명시한다(33). 상기 기능적 계층은 보안과 함께 허가된 IoT 서비스 디바이스의 인증을 동시에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IoT 서비스 디바이스 인증은 디바이스의 프로파일 신원과 함께 허가된 개체인지를 확인한다.
권한 식별과 명명 처리가 끝난 IoT 서비스들은 각각의 개별적인 IoT 서비스 디바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공유하게 된다(34). 하지만 IoT 서비스 디바이스는 고유의 서비스 탐색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호의 의미론적 중재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의미를 파악할 수 없는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수집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공통 IoT 서비스 탐색을 돕는다. IoT 서비스 디바이스에서 송/수신 하는 데이터와 더불어 상기에서 기술한 보안, 사용자 인증, 권한, 그 외의 기능을 부가적으로 모니터한다.
공통 IoT 서비스 탐색을 위한 권한 설정 및 프로파일 기반의 데이터 교류가 끝나게 되면, 단일한 IoT 서비스 디바이스의 신원을 최종적으로 확인한다(35). 상기 기능이 부재되면, 예를 들어 특정한 IoT A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찾고자 할 때, 그 신원이 중첩되게 되는 경우 IoT A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어떠한 디바이스를 우선적으로 이용해야 하는지 모호해진다. 구체적인 신원을 고유하게 만들 수 있는 특정 인스턴스 값이 제공되어야 한다.
도 4는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을 통한 공통 IoT 서비스 탐색의 과정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크로스 플랫폼과 같은 공통 서비스 탐색 기능(41)이 이기종 IoT 서비스간의 중계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가령, IoT 서비스 A의 실행이 끝나는 대로 관리자의 특정한 개입이 없이 IoT 서비스 B가 자동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적 개념도를 나타내었다. IoT 서비스 A는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에게 서비스 탐색 프로토콜에 대한 요소들을 전송하게 되고(42), IoT 서비스 B 또한 중계 역할을 하는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으로 서비스 탐색 프로토콜 데이터를 송부한다(43). 이 때,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은 서비스 탐색 에이전시(46)로 취합된 탐색 요소 데이터들을 전송하게 된다(46). 데이터를 수신한 서비스 탐색 에이전시는 IoT 서비스 A와 IoT 서비스 B로부터 받은(44, 45) 이기종 서비스 탐색 파라미터에 대한 조합을 처리한다. 서비스 자동화를 위한 탐색 과정 후, 서비스 탐색 에이전시는 상위 기능인 서비스 탐색 매니지먼트로 각각의 IoT 서비스 탐색 요소들을 보낸다(47). 이를 통하여, 이기종 IoT 서비스 A와 서비스 B 사이의 서비스 탐색 요소들을 총괄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12 : 이기종 IoT 서비스
13, 41 : 공통 IoT 서비스 탐색을 위한 공통 IoT 서비스 탐색 플랫폼
14, 14-1 : 고유 IoT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기능
15, 15-1 : 고유 IoT 서비스의 데이터 응용 처리 능력
16, 16-1 : 고유 IoT 서비스 탐색 의미론적 분석 능력
17, 17-1 : 고유 IoT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및 제어 기능
21 : 공통 IoT 서비스 탐색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성 개체
22 : 공통 IoT 서비스 상호 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요소
23 : 공통 IoT 서비스 기능 요소를 통한 응용 및 서비스
31 : 이기종 IoT 서비스 파라미터 수집을 위한 프로파일 계층
32 : 이기종 IoT 서비스 디바이스 권한 부여 계층
33 : 공통 IoT 서비스 탐색을 위한 IoT 서비스 데이터 보안 및 인증 기능
34 : 이기종 IoT 서비스 데이터 전송을 통한 공통 IoT 서비스 탐색
35 : 이기종 IoT 서비스 디바이스의 상호 운용을 위한 신원 확인 기능
42, 43 : 고유 IoT 서비스가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교류하는 기능
44, 45 :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과 데이터 송신이 끝난 고유 IoT 서비스가 서비스 탐색 에이전시와 상호 운용하는 기능
46 : 고유 IoT 서비스 탐색 데이터를 취합한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이 서비스 탐색 에이전시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출판하는 절차
47 : 공통 IoT 서비스 탐색 절차를 수행하는 에이전시로부터의 취합된 데이터를 상위 제어 매니지먼트 기능으로 전송

Claims (1)

  1. 이기종 IoT 환경에서 다양한 IoT 플랫폼 간의 서비스 상호 운용을 위하여 공통 IoT 서비스 탐색 플랫폼을 통한 공통 IoT 서비스 탐색 절차 과정; 및
    공통 IoT 서비스 탐색 기능을 통한 이기종 IoT 서비스 상호 운용 모델과 기능적 아키텍처 객체들.
KR1020170147154A 2017-11-07 2017-11-07 이기종 IoT 플랫폼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서비스 탐색 기능적 절차 KR20190051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154A KR20190051452A (ko) 2017-11-07 2017-11-07 이기종 IoT 플랫폼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서비스 탐색 기능적 절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154A KR20190051452A (ko) 2017-11-07 2017-11-07 이기종 IoT 플랫폼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서비스 탐색 기능적 절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452A true KR20190051452A (ko) 2019-05-15

Family

ID=6657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154A KR20190051452A (ko) 2017-11-07 2017-11-07 이기종 IoT 플랫폼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서비스 탐색 기능적 절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14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415B1 (ko) * 2020-10-22 2022-02-15 (주)나연테크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415B1 (ko) * 2020-10-22 2022-02-15 (주)나연테크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awar et al. Fog computing: An overview of big IoT data analytics
Derhamy et al. A survey of commercial frameworks for the internet of things
Gazis A Survey of Standards for Machine-to-Machine and the Internet of Things
Hatzivasilis et al. The Interoperability of Things: Interoperable solutions as an enabler for IoT and Web 3.0
Silva et al. Management platforms and protocols for internet of things: A survey
Jara et al. Semantic web of things: an analysis of the application semantics for the iot moving towards the iot convergence
US20210168132A1 (en) Cloud-to-device mediator service from services definition
KR102646526B1 (ko) 기기간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자동화된 서비스 등록
Le Vinh et al. Middleware to integrate mobile devices, sensors and cloud computing
CN110463164A (zh) 装置凭证管理
Bekri et al. Internet of things management based on software defined networking: a survey
Pliatsios et al. A review on iot frameworks supporting multi-level interoperability—the semantic social network of things framework
US20180152313A1 (en) Box for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of devices
Jabraeil Jamali et al. IoT architecture
US20180191858A1 (en) System for managing data of user devices
CN114338287A (zh) 一种基于主动标识的工业边缘网关数据管理方法
KR101587500B1 (ko)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디바이스 협업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Lakka et al. End-to-end semantic interoperability mechanisms for IoT
KR102094041B1 (ko) IoT 단말 간 실시간으로 자율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RDF 그래프 기반의 Semantic 엔진을 구비한 시스템
CN108683702B (zh) 一种物联设备接入互联网的即插即用的驱动方法
KR20190051452A (ko) 이기종 IoT 플랫폼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서비스 탐색 기능적 절차
CN111201804A (zh) 启用数据连续性服务的方法
CN101283540A (zh) 在数字权限管理中共享权限对象的方法及其装置和系统
US11438191B2 (en) Interconnection box for user devices
CN114885012B (zh) 物联网平台的系统接入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