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415B1 -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415B1
KR102362415B1 KR1020200137527A KR20200137527A KR102362415B1 KR 102362415 B1 KR102362415 B1 KR 102362415B1 KR 1020200137527 A KR1020200137527 A KR 1020200137527A KR 20200137527 A KR20200137527 A KR 20200137527A KR 102362415 B1 KR102362415 B1 KR 102362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session
information
broker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윤
안정욱
Original Assignee
(주)나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연테크 filed Critical (주)나연테크
Priority to KR102020013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2809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30/00IoT infra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04L67/145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avoiding end of session, e.g. keep-alive, heartbeats, resumption message or wake-up for inactive or interrupted s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방법이 개시된다. 본 구체적인 구현 예에 따르면, 중개 서버를 이용하여 수면 케어 서비스가 가능한 IoT 망으로 로밍됨에 따라 타겟 IoT 디바이스의 서비스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서비스 연결 해지 없이 수면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으로 수면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방법{Roaming system and method for sleepcare IoT devices in transit between networks}
본 발명은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 망에 대한 로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이후로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헬스케어와 같은 여러 스마트 서비스 분야에서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 활용되고 있어 스마트 IoT 서비스를 제공받을 기회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그 중 하나의 예로 스마트 수면 케어는 디바이스(뇌파센서, 소리센서, 움직임센서, 온습도센서)에서 수면 도중의 수면 상태를 측정하고 수면의 질을 분석하여 최적의 숙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수면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측정한 데이터가 최대한 많이 수집될수록 수면 분석의 정확도가 증가된다. 다시 말하면 정확하고 신속한 데이터의 수집과 처리가 숙면환경의 제어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일 례로, 수집된 환경 정보인 IoT 디바이스에서 실측한 온도의 측정값이 높은 경우 에어컨을 제어하여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면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와 IoT 디바이스 간의 거리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경우 다수의 라우팅을 경유하여야 하므로 지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되나, 엣지 컴퓨팅(브로커)의 플랫폼으로 지연 시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브로커에 설치된 IoT 서비스 망에서 IoT 디바이스가 다른 IoT 서비스 망을 이동하는 경우 서버와의 연결이 해지되고 이 후 IoT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진입된 IoT 서비스 망에 IoT 디바이스를 재등록 및 서버와 재 연결하여야 하는 한계에 도달하였다.
이에 본 출원인은 다수의 IoT 서비스 망에 설치된 각 브로커의 연결 정보를 토대로 타겟 IoT 디바이스의 이동 경로에 따라 IoT 서비스 망에 대한 로밍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926367호(공고일: 2018년12월03일, 발명의 명칭: 상이한 통신 방식의 호환성 처리를 수행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브로커 서버)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개 서버를 이용하여 수면 케어 서비스가 가능한 IoT 망으로 로밍됨에 따라 타겟 IoT 디바이스의 서비스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서비스 연결 해지 없이 수면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은,
다수의 IoT 망에 진입한 다수의 IoT 디바이스 중 타겟 IoT 디바이스로 브로커를 경유하여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IoT 서버; 및
이탈된 IoT 망의 브로커로부터 전달받은 타겟 IoT 디바이스의 연결 상태정보 와 타겟 IoT 디바이스의 이동으로 진입한 IoT 망의 브로커로부터 전달받은 타겟 IoT 디바이스의 연결 상태정보를 토대로 수면 케어 서비스가 가능한 IoT 망을 로밍하는 중개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IoT 서버는,
로밍된 IoT 망의 브로커에 의거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측정된 타겟 IoT 디바이스의 환경 정보를 로밍된 IoT 망의 브로커를 통해 전달받아 타겟 IoT 디바이스와 매칭되는 타겟 유저 단말로 수면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IoT 서버는,
다수의 IoT 망의 각 IP 정보 및 브로커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로밍된 IoT 망의 브로커를 통해 타겟 IoT 디바이스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개 서버는,
상기 타겟 IoT 디바이스에 대해 연결 해지된 IoT 망 내의 브로커의 연결 상태정보와 진입된 IoT 망 내의 브로커의 연결 상태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가능한 IoT 망으로 로밍하되,
상기 연결 상태정보는 IoT 디바이스 정보, IoT 디바이스 연결 정보, 세션 정보, IoT 망의 IP 정보, 및 브로커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정보이고,
상기 세션 정보는
세션 식별자, 세션 사용자 정보, IoT 디바이스 정보, 및 브로커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단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개 서버는,
상기 타겟 IoT 디바이스가 진입한 IoT 망 내의 브로커로부터 전달받은 세션 요청 문자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신청 메시지와 상기 IoT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세션 요청 문자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요청 메시지에 의거 세션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세션 정보, 진입된 IoT 망의 IP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통지 메시지를 상기 IoT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생성된 세션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세션 승인 메시지를 진입된 IoT 망 내의 브로커를 경유하여 타겟 IoT 디바이스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로커는 로밍 에이젼스를 포함하고,
상기 로밍 에이젼스는
상기 타겟 IoT 디바이스와 타겟 유저 단말로부터 제공된 세션 요청 메시지를 중개 서버로 전달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메시지 핸들러; 및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세션 승인 메시지를 타겟 IoT 디바이스와 유저 단말로 전달하는 세션을 처리하는 세션 핸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개 서버는 로밍 매니저를 포함하고,
상기 로밍 매니저는,
세션 데이터베이스;
상기 브로커로부터 전달받은 세션 신청 메시지를 디바이스 메시지 핸들러에서 전달받아 세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세션을 세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세션 생성기에서 생성된 세션 정보를 상기 브로커의 로밍 에이젼스로 전달하는 디바이스 메시지 모듈; 및
상기 IoT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세션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메시지 핸들러에 의거 처리하고 세션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세션 통지기에 의거 생성된 세션 통지 메시지를 상기 IoT 서버로 전달하는 서비스 세션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거한, 본 발명의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방법은,
(a) 중개 서버에서 타겟 IoT 디바이스가 이탈된 IoT 망의 연결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타겟 IoT 디바이스의 이동으로 진입된 IoT 망의 연결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b) 상기 중개 서버에서, 타겟 IoT 디바이스가 진입된 IoT 망으로 로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의 연결 상태정보는
상기 중개 서버에서, IoT 디바이스 정보, IoT 디바이스 연결 정보, 세션 정보, IoT 망의 IP 정보, 및 브로커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정보이고,
상기 세션 정보는 세션 식별자, 세션 사용자 정보, IoT 디바이스 정보, 및 브로커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단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b-1) 타겟 IoT 디바이스가 진입된 IoT 망 내의 브로커로부터 전달받은 세션 요청 문자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신청 메시지와 IoT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세션 요청 문자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요청 메시지에 의거 세션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b-2) 생성된 세션 정보, 진입된 IoT 망의 IP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통지 메시지를 상기 IoT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b-3) 생성된 세션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세션 승인 메시지를 진입된 IoT 망 내의 브로커를 경유하여 타겟 IoT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개 서버를 이용하여 수면 케어 서비스가 가능한 IoT 망으로 로밍됨에 따라 타겟 IoT 디바이스의 서비스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서비스 연결 해지 없이 수면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으로 수면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있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타겟 IoT 디바이스와 중개 서버 간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의 중개 서버와 IoT 서버 간의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브로커 및 중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시스템의 중개 과정을 보인 전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있는 IoT 디바이스는 센서 등의 실측된 측정값을 IoT 망을 통해 전달하는 장치이고, 유저 단말은 측정값인 환경 정보에 의거 IoT 서버로부터 제공된 수면 케어 서비스를 제공받은 단말이다.
일 실시예는 중개 서버를 이용하여 수면 케어 서비스가 가능한 IoT 망으로 로밍됨에 따라 타겟 IoT 디바이스의 서비스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서비스 연결 해지 없이 수면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으로 수면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의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있는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S)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타겟 IoT 디바이스(D2)와 중개 서버(400) 간의 메시지의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IoT 서버(300)와 중개 서버(400) 간의 메시지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브로커(210) 및 중개 서버(400)의 구성도이며, 도 5는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보인 전체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S)은 타겟 IoT 디바이스의 이동으로 이탈된 IoT 망(100)에 의거한 브로커(110)와 타겟 IoT 디바이스(D2)와의 연결 상태정보와 이동 진입한 IoT 망(200)의 브로커(210)와 타겟 IoT 디바이스(D2)와의 연결 상태정보를 토대로 수면 케어 서비스 가능한 IoT 망의 브로커로 데이터 요청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며 이에 일 실시예의 시스템(S)는 다수의 IoT 망(100)(200), IoT 서버(300), 및 중개 서버(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IoT 망(100)(200) 각각은 IoT 디바이스(D1~Dn)과 유저 단말(U1 ~ Un) 다수개와 하나의 브로커(110)(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단말(U1)은 IoT 디바이스(D1)와 매칭되며, IoT 디바이스(D1)의 측정값에 의거 수면 케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브로커(110)(210)은 다수의 IoT 망(100)(200) 중 하나의 다수의 IoT 망에 진입한 IoT 디바이스(D1~Dn)과 유저 단말(U1 ~ Un) 중 타겟 IoT 디바이스(D1) 및 타겟 유저 단말(U1)에 IoT 서버(300)의 데이터 요청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IoT 망(110) 내의 마련된 브로커(110)와 IoT 망(110) 내에 진입한 다수의 IoT 디바이스(D1~ Dn) 중 타겟 IoT 디바이스(D2) 간의 각 통신은 네트워크 망으로 수행되고, 브로커(110)와 IoT 서버(300) 및 IoT 서버(300)와 중개 서버(400) 간의 통신은 인터넷 망으로 수행된다.
이때 타겟 IoT 디바이스(D1)은 각 종 센서로 구비되며 센서의 측정값인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각 측정값은 IoT 망(100) 내의 브로커(110)를 경유하여 IoT 서버(300)로 전달된다. 이때 브로커(110)는 IoT 디바이스(D1~Dn)과 유저 단말(U1 ~ Un) 중 타겟 IoT 디바이스(D2)와 브로커(100) 간의 연결 상태정보를 중개 서버(400)로 전달한다.
한편, 타겟 유저 단말(U2) 및 타겟 IoT 디바이스(D2)가 IoT 망(100)을 이탈하여 서비스 음영 지역을 통과한 후 IoT 망(200)에 진입하여 IoT 망(200) 내의 브로커(210)와 타겟 IoT 디바이스(D2)가 연결되면 IoT 망(200)의 브로커(210)은 연결 상태정보를 중개 서버(400)로 전달한다.
이때 중개 서버(400)는 IoT 망(200)의 브로커(210)은 연결 상태정보를 토대로 로밍을 수행하기 위한 세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세션 정보를 IoT 서버(300) 및 브로커(210)를 경유하여 타겟 IoT 디바이스(D2)로 전달한다.
이에 IoT 서버(300)는 IoT 망(200)의 브로커(210)를 경유하여 데이터 요청신호를 타겟 IoT 디바이스(D2)로 전달한다. 이에 새로 진입한 IoT 망(200) 및 브로커(210)에 의거 수면 케어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하 진입한 IoT 망(200) 및 브로커(210)에 의거 수면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가능한 IoT 망(200)을 로밍하는 중개 서버(4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중개 서버(400)는 타겟 IoT 디바이스(D2)와 브로커(210) 및 중개 서버(400)에 세션을 신청하는 디바이스 메시지 Device message와 IoT 서버(300)와 중개 서버(400) 간에 질의하고 질의에 대해 응답하는 서비스 메시지 service messag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메시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IoT 디바이스(D2)에서 브로커(210)를 경유하여 중개 서버(400)로 전달되는 세션 신청 메시지(SESSION_APPLY) 및 중개 서버(400)에서 브로커(210)를 경유하여 IoT 디바이스(D2)로 전달되는 세션 승인 메시지(SESSION_GRANT)를 포함한다.
세션 신청 메시지(SESSION_APPLY)는 고정형 해더의 MQTT 메시지 타입 MT 및 메시지 길이 RM와 가변형 해더의 메시지 식별자 MI, 메시지 옵션 OPT 및 사용자 정보 RI를 포함한다.
그리고 세션 승인 메시지(SESSION_GRANT)는 고정형 해더의 MQTT 메시지 타입 MT 및 메시지 길이 RM와 가변형 해더의 메시지 식별자 MI, 메시지 옵션 OPT, 사용자 정보 RI 및 세션 정보 SI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메시지는 도 3을 참조하면, IoT 서버(300)에서 중개 서버(400)로 전달되는 세션 요청 메시지(SESSION_REQ)와 중개 서버(400)에서 IoT 서버(300)로 전달되는 세션 통지 메시지(SESSION_NOTIFY)를 포함하며, 세션 요청 메시지(SESSION_REQ)는 고정형 해더의 MQTT 메시지 타입 MT 및 메시지 길이 RM와 가변형 해더의 메시지 식별자 MI, 메시지 옵션 OPT 및 사용자 정보 RI를 포함한다.
그리고, 세션 통지 메시지(SESSION_NOTIFY)는 고정형 해더의 MQTT 메시지 타입 MT 및 메시지 길이 RM와 가변형 해더의 메시지 식별자 MI, 메시지 옵션 OPT, 사용자 정보 RI 및 세션 정보 SI를 포함한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로커(110)(210) 각각은 메시지 핸들러(111)(211)와 세션 핸들러(112)(212)를 포함하는 로밍 에이젼스 ISR Roaming Agent를 더 포함한다. 즉, 로밍 에이젼스(ISR Roaming Agent)는 IoT 디바이스(D1) 및 유저 단말(U1)로부터 전달되는 메시지를 메시지 핸들러(111)(211)에 의거 관리하고, 중개 서버(400)로부터 전달받은 세션을 세션 핸들러(112)(212)에 의거 관리한다.
한편 중개 서버(400)는 IoT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세션을 관리하도록 구비되며, 이에 중개 서버(400)는 세션 데이터베이스(410), 디바이스 세션 모듈(420) 및 서비스 세션 모듈(430)을 포함하는 로밍 매니저(ISR Roaming Manager)를 포함하고, 디바이스 세션 모듈(420)은 IoT 서버(300)의 세션 요청 메시지(SESSION_REQ)에 의거 세션을 생성하는 세션 발생기(421) 및 디바이스 메신저 핸들러(4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서비스 세션 모듈(430)은 생성된 세션을 IoT 서버(430)로 전달하기 위해 세션 통지기(431) 및 서비스 메신저 핸들러(432)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생성된 세션을 통해 타겟 IoT 디바이스(SD01), 브로커(210), IoT 서버(300) 및 중개 서버(400)간에 세션을 생성하고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을 타겟 IoT 디바이스(SD01)가 IoT 망(100)에서 IoT 서비스 망(200)으로 이동한 일 례로 설명한다.
즉, 일 례에서 IoT 망(100)의 브로커(110)는 타겟 IoT 디바이스(SD01)의 연결 해지되고(S11) IoT 망(200)의 타겟 IoT 디바이스(SD01)은 IoT 서비스 망(200)의 브로커(210)에게 접속을 요청하고(S21) 브로커(210)은 타겟 IoT 디바이스(SD01)과 접속된다(S22). 이때 타겟 IoT 디바이스(SD01)은 유저 식별데이터(User01) 및 디바이스 식별데이터(SD01)를 브로커(210)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타겟 IoT 디바이스(SD01)은 세션 요청 문자열 SRS와 사용자 정보 User01을 포함하는 세션 신청 메시지(SESSION_APPLY)를 브로커(210)를 경유하여 중개 서버(400)로 전달된다(S23). 이때 브로커(210)는 타겟 IoT 디바이스(SD01)로부터 수신된 세션 요청 문자열 SRS과 사용자 식별데이터 User01을 포함하는 세션 신청 메시지(SESSION_APPLY)를 수신한 다음 브로커 식별데이터 B01의 사용자 정보 RI에 추가하여 중개 서버(400)로 전달한다.
이에 중개 서버(400)는 IoT 서버(300)의 세션 요청 메시지 SESSION_REQ 와 브로커(210)의 세션 신청 메시지 SESSION_APPLY를 수신한 다음(S31)(S23) 세션 정보를 생성하고(S24) 생성된 세션 정보 SI 및 사용자 정보 RI를 포함하는 세션 승인 메시지 SESSION_GRANT를 브로커(210)로 전달한다(S25)(S26). 여기서, 세션 승인 메시지 SESSION_GRANT의 세션 정보 SI는 세션 식별데이터 session_id 및 상태 데이터 status를 포함하고 사용자 정보 RI는 브로커 식별데이터 B01및 유저 식별 데이터 User01를 포함한다.
한편 중개 서버(400)는 생성된 세션 요청 메시지에 의거 생성된 세션 정보를 통지하는 세션 통지 메시지 SESSION_NOTIFY를 생성하고 생성된 세션 통지 메시지 SESSION_NOTIFY를 IoT 서버(300)로 전달한다(S32). 여기서, 세션 통지 메시지 SESSION_NOTIFY는 세션 정보 SI 및 사용자 정보 RI를 포함한다.
이 후 세션 통지 메시지 SESSION_NOTIFY를 수신된 IoT 서버(300)는 데이터 신호를 브로커(210)를 경유하여 타겟 IoT 디바이스(SD01)로 전달하고, 이에 타겟 IoT 디바이스(SD01)는 실측된 측정값을 브로커(210)를 경유하여(S27) IoT 서버(300)로 전달하고 IoT 서버(300)는 수신된 측정값을 토대로 수면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유저 단말(User01)로 전달한다.
이에 일 실시예는 중개 서버를 이용하여 수면 케어 서비스가 가능한 IoT 망으로 로밍됨에 따라 타겟 IoT 디바이스의 서비스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서비스 연결 해지 없이 수면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으로 수면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다수의 IoT 망에 진입한 다수의 IoT 디바이스 중 타겟 IoT 디바이스로 브로커를 경유하여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IoT 서버; 및
    이탈된 IoT 망의 브로커로부터 전달받은 타겟 IoT 디바이스의 연결 상태정보 와 타겟 IoT 디바이스의 이동으로 진입한 IoT 망의 브로커로부터 전달받은 타겟 IoT 디바이스의 연결 상태정보를 토대로 수면 케어 서비스가 가능한 IoT 망을 로밍하는 중개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중개 서버는,
    상기 타겟 IoT 디바이스가 진입한 IoT 망 내의 브로커로부터 전달받은 세션 신청 메시지와 상기 IoT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세션 요청 메시지에 의거 세션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세션 정보, 진입된 IoT 망의 IP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통지 메시지를 상기 IoT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IoT 서버는,
    상기 생성된 세션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세션 승인 메시지를 진입된 IoT 망 내의 브로커를 경유하여 타겟 IoT 디바이스로 전달하며, 로밍된 IoT 망의 브로커로부터 전달받은 타겟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측정된 타겟 IoT 디바이스의 환경 정보를 로밍된 IoT 망의 브로커로 전달하고,
    상기 타겟 IoT 디바이스는
    상기 로밍된 IoT 망의 브로커를 통해 상기 IoT 서버의 환경 정보를 토대로 이동 중인 타겟 유저 단말에게 상기 IoT 서버의 수면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IoT 망의 로밍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세션 신청 메시지 및 세션 승인 메시지 각각은 고정형 해더의 MQTT 메시지 타입 및 메시지 길이와, 가변형 해더의 메시지 식별자, 메시지 옵션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서버는,
    다수의 IoT 망의 각 IP 정보 및 브로커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로밍된 IoT 망의 브로커를 통해 타겟 IoT 디바이스로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서버는,
    상기 타겟 IoT 디바이스에 대해 연결 해지된 IoT 망 내의 브로커의 연결 상태정보와 진입된 IoT 망 내의 브로커의 연결 상태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가능한 IoT 망으로 로밍하되,
    상기 연결 상태정보는 IoT 디바이스 정보, IoT 디바이스 연결 정보, 세션 정보, IoT 망의 IP 정보, 및 브로커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정보이고,
    상기 세션 정보는
    세션 식별자, 세션 사용자 정보, IoT 디바이스 정보, 및 브로커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커는 로밍 에이젼스를 포함하고,
    상기 로밍 에이젼스는
    상기 타겟 IoT 디바이스와 타겟 유저 단말로부터 제공된 세션 요청 메시지를 중개 서버로 전달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메시지 핸들러; 및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세션 승인 메시지를 타겟 IoT 디바이스와 유저 단말로 전달하는 세션을 처리하는 세션 핸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서버는 로밍 매니저를 포함하고,
    상기 로밍 매니저는,
    세션 데이터베이스;
    상기 브로커로부터 전달받은 세션 신청 메시지를 디바이스 메시지 핸들러에서 전달받아 세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세션을 세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세션 생성기에서 생성된 세션 정보를 상기 브로커의 로밍 에이젼스로 전달하는 디바이스 메시지 모듈; 및
    상기 IoT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세션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메시지 핸들러에 의거 처리하고 세션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세션 통지기에 의거 생성된 세션 통지 메시지를 상기 IoT 서버로 전달하는 서비스 세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7. (a) 중개 서버에서 타겟 IoT 디바이스가 이탈된 IoT 망의 연결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타겟 IoT 디바이스의 이동으로 진입된 IoT 망의 연결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b) 상기 중개 서버에서, 타겟 IoT 디바이스가 진입된 IoT 망으로 로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타겟 IoT 디바이스가 진입한 IoT 망 내의 브로커로부터 전달받은 세션 신청 메시지와 IoT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세션 요청 메시지에 의거 세션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세션 정보, 진입된 IoT 망의 IP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통지 메시지를 IoT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IoT 서버에 의해 상기 생성된 세션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세션 승인 메시지를 진입된 IoT 망 내의 브로커를 경유하여 타겟 IoT 디바이스로 전달하며,
    상기 로밍된 IoT 망의 브로커로부터 전달받은 타겟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측정된 타겟 IoT 디바이스의 환경 정보를 로밍된 IoT 망의 브로커로 전달하고,
    상기 로밍된 IoT 망의 브로커를 통해 상기 IoT 서버의 환경 정보를 토대로 이동 중인 타겟 유저 단말에게 수면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IoT 망의 로밍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세션 신청 메시지 및 세션 승인 메시지 각각은 고정형 해더의 MQTT 메시지 타입 및 메시지 길이와, 가변형 해더의 메시지 식별자, 메시지 옵션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연결 상태정보는
    상기 중개 서버에서, IoT 디바이스 정보, IoT 디바이스 연결 정보, 세션 정보, IoT 망의 IP 정보, 및 브로커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정보이고,
    상기 세션 정보는 세션 식별자, 세션 사용자 정보, IoT 디바이스 정보, 및 브로커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방법.
  9. 삭제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에서 판단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137527A 2020-10-22 2020-10-22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방법 KR102362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527A KR102362415B1 (ko) 2020-10-22 2020-10-22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527A KR102362415B1 (ko) 2020-10-22 2020-10-22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415B1 true KR102362415B1 (ko) 2022-02-15

Family

ID=8032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527A KR102362415B1 (ko) 2020-10-22 2020-10-22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4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788A (ko) * 2015-11-23 2017-05-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26367B1 (ko) 2017-11-30 2018-12-07 주식회사 주빅스 상이한 통신 방식의 호환성 처리를 수행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브로커 서버
KR20190051452A (ko) * 2017-11-07 2019-05-15 (주)브로드웨이브 이기종 IoT 플랫폼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서비스 탐색 기능적 절차
KR102074916B1 (ko) * 2018-08-01 2020-02-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Rpl 기반 분산 mqtt 브로커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788A (ko) * 2015-11-23 2017-05-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51452A (ko) * 2017-11-07 2019-05-15 (주)브로드웨이브 이기종 IoT 플랫폼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서비스 탐색 기능적 절차
KR101926367B1 (ko) 2017-11-30 2018-12-07 주식회사 주빅스 상이한 통신 방식의 호환성 처리를 수행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브로커 서버
KR102074916B1 (ko) * 2018-08-01 2020-02-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Rpl 기반 분산 mqtt 브로커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5419B1 (ko) 가입 및 통지 서비스
KR101820198B1 (ko) 위치 정보 기반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5409248B (zh) 用于增强发现的系统和方法
US201402295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atabase in data distribution service
KR101999780B1 (ko) 가상 챗봇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CN105409188A (zh) 用于将针对用户设备的互联网协议(ip)地址、介质访问控制(mac)地址和位置进行关联的方法和系统
KR101317178B1 (ko) 지그비 게이트웨이 및 이의 메시지 동일화 방법
KR20120123203A (ko) 푸쉬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JP2015518204A (ja) オンラインq&aの方法、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CN109040017B (zh) 一种基于mqtt和http的智能客服系统及实现方法
CN105281941B (zh) 一种数据传输方法、第一cse、中间cse和第二cse
KR102470122B1 (ko) 사물인터넷에서 멀티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 연동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62415B1 (ko) 이동중인 수면케어용 IoT 단말기를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방법
CN104753933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客户端及服务器
KR20180080410A (ko)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CN105119977A (zh) 基于地理坐标和时间间隔的信息传递的方法及系统
KR101935014B1 (ko) 토픽 가상화를 통한 매쉬업 콘텐츠를 제공하는 발행/구독 기반의 콘텐츠 전달 플랫폼 시스템, 매쉬업 서버 및 콘텐츠 전달 방법
KR20190015456A (ko) 미디어 중심 사물 인터넷 기반의 미디어 사물 및 이의 동작 방법
US10362014B2 (en) Proxy authent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0771123B (zh) 用于分发发布-订阅消息的方法和装置
KR20190027104A (ko)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 iec61850 요청-응답 통신 방법 및 플랫폼
CN115052003B (zh) 数据同步方法、相关装置和介质
CN111382215B (zh) 一种对象轨迹跟踪展示方法以及系统
KR101966434B1 (ko) 언어 교환 서비스를 기반으로 통역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KR101885962B1 (ko) 로봇에 대한 통합 프레임워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