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321A -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321A
KR20190051321A KR1020170146823A KR20170146823A KR20190051321A KR 20190051321 A KR20190051321 A KR 20190051321A KR 1020170146823 A KR1020170146823 A KR 1020170146823A KR 20170146823 A KR20170146823 A KR 20170146823A KR 20190051321 A KR20190051321 A KR 20190051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story information
distribution
terminal
distribution management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우
서영일
홍경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146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1321A/ko
Publication of KR20190051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의 유통 이력 정보를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여 상품 유통 거래의 안전성과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1 고유 ID 및 제2 고유 ID를 생성하고, 상품의 유통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유통 관리 서버와, 상품에 부착되는, 제1 고유 ID를 포함하는 제1 QR 코드와 제2 고유 ID를 포함하는 제2 QR 코드를 생성하는 생산자 단말과, 제1 QR 코드를 인식하여, 유통 관리 서버에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하는 유통자 단말과, 제1 QR 코드 및 제2 QR 코드를 인식하여, 유통 관리 서버에 저장된 유통 이력 정보를 제공 받는 소비자 단말을 포함하고, 유통 이력 정보는 블록 체인에 등록되어 유통 관리 서버, 생산자 단말, 유통자 단말 및 소비자 단말에 분산 공유되는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Produc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 소비자는 상품의 생산에서 소비자까지 유통 경로를 알기 어렵고, 상품이 위조품인지 정품인지 알아내기 어렵다.
심지어 제조 번호까지 위조하여 상품이 유통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처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궁극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농축수산식품과 관련하여 식품 표시 제도와 원산지 표시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가짜 또는 일부 위조 및 변조된 바코드가 사용되는 등 많은 속임수 및 혼란이 발생하고 있으며, 구제역이나 방사능 오염, 유전자 조작 등의 문제와 결부되어 소비자의 불안이 증폭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 발생시 해당 상품의 생산부터 가공, 포장, 운송, 입고, 소포장, 판매 및 급식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원인 확인, 상품 생산지 및 문제 발생지를 추적해 낼 수 있는 방안이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들의 근본적인 이유는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이 생산업체, 운송업체, 유통업체 등에서 각각 별도의 프로세스로 진행되어 상품 유통 이력에 대한 정보가 이들 업체간 서로 공유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최종 소비자 역시 상품 유통 이력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없고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품의 유통 이력 정보를 분산 공유하고, 유통 이력 정보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여 상품 유통 거래의 안전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는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제1 고유 ID 및 제2 고유 ID를 생성하고, 상품의 유통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유통 관리 서버와, 상품에 부착되는, 제1 고유 ID를 포함하는 제1 QR 코드와 제2 고유 ID를 포함하는 제2 QR 코드를 생성하는 생산자 단말과, 제1 QR 코드를 인식하여, 유통 관리 서버에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하는 유통자 단말과, 제2 QR 코드를 인식하여, 유통 관리 서버에 저장된 유통 이력 정보를 제공 받는 소비자 단말을 포함하고, 유통 이력 정보는 블록 체인에 등록되어 유통 관리 서버, 생산자 단말, 유통자 단말 및 소비자 단말에 분산 공유되는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유통 관리 서버는 제1 고유 ID 전부와 제2 고유 ID 중 일부를 생산자 단말로 제공하고, 제2 고유 ID 중 나머지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은 제1 QR 코드를 인식하여 유통 관리 서버로부터 제2 고유 ID 중 나머지를 제공 받고, 제2 QR 코드를 인식하여 제2 QR 코드에 포함된 제2 고유 ID 중 일부에 제2 고유 ID 중 나머지를 매칭하여 제2 고유 ID 를 완성하여 유통 이력 정보에 상기 상품의 소유자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1 QR 코드는 상품 외부에 부착되고, 제2 QR 코드는 상품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유통자 단말은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한 후, 제1 QR 코드를 인식하여 유통 관리 서버에 저장된 유통 이력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은 유통 이력 정보를 확인하여 유통 이력 정보에 상품의 소유자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유통 이력 정보는 유통 이력 정보의 등록 일시, 상품 이미지, 상품 보증서, 배송자 인수인계증 및 상품 수령자 확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은 유통자 단말 보다 더 많은 유통 이력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은 유통자 단말이 등록한 유통 이력 정보와 다른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유통자 단말은 서로 다른 복수의 유통자 단말을 포함하고, 각 유통자 단말은 각자 등록한 유통 이력 정보만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은 각 유통자 단말이 등록한 유통 이력 정보를 모두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유통 이력 정보는 유통 이력 정보의 등록 일시에 따라 순차로 등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 체인 내 정보를 모든 참여자 즉, 생산자 단말, 유통 관리 서버, 유통자 단말 및 소비자 단말 모두에게 공개하는 동시에 보관 및 관리하게 함으로써, 유통 이력 정보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여 상품 유통 거래의 안전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가 부착된 상품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통 이력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가 부착된 상품의 예시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통 이력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은, 생산자 단말(100), 유통 관리 서버(200), 유통자 단말(300) 및 소비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산자 단말(100), 유통자 단말(300) 및 생산자 단말(400)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통신 기능 및 정보 처리 기능을 구비한 장치로서,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생산자 단말(100), 유통자 단말(300) 및 생산자 단말(400)은, 후술할 상품(도 2의 10)의 유통 이력 정보(도 3 참조)를 촬영하고, 후술할 QR 코드(도 2의 11, 12)를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생산자 단말(100), 유통자 단말(300) 및 생산자 단말(400)은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유통 관리 서버(200)는 후술할 상품(10)의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 저장, 관리 및 송수신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품의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생산자 단말(100)은, 상품(10)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단말로서, 유통 관리 서버(200)에 한 쌍의 제1 고유 ID 및 제2 고유 ID 제공을 요청한다.
여기서, 상품(10)은 공산품 및 농축수산식품을 포함하며, 거래 대상이 될 수 있는 모든 유형 또는 무형의 객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품(10)은 그 안에 상품(10)이 수용된 상품 포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한 쌍의 제1 고유 ID 및 제2 고유 ID는 유통 관리 서버(200)의 상품(10)의 유통 이력 정보에 접속할 수 있는 공개 키(Key) 및 개인 키(Key)이다.
여기서, 제1 고유 ID 및 제2 고유 ID는 RSA(Rivest Shamir Adleman) 알고리즘 또는 ECC(Elliptic Curve Cryptography)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된 고유한 문자열일 수 있다.
유통 관리 서버(200)는 생산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한 쌍의 제1 고유 ID 및 제2 고유 ID를 생성하고, 이를 생산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유통 관리 서버(200)는 제1 고유 ID 전부와 제2 고유 ID 중 일부를 생산자 단말(100)로 제공하고, 제2 고유 ID 중 나머지는 저장한다.
그리고, 유통 관리 서버(200)는 생산자 단말(100), 유통자 단말(300) 및 소비자 단말(400)에 의해 등록된 상품(10)의 유통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생산자 단말(100)은, 제1 고유 ID 전부를 포함하는 제1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QR code)(11)와 제2 고유 ID 중 일부를 포함하는 제2 QR 코드(12)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 QR 코드(11) 및 제2 QR 코드(12)를 인쇄한다. 여기서, 제1 QR 코드(11) 및 제2 QR 코드(12)에는 유통 관리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QR 코드(11, 12)는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이다.
이와 같은 QR 코드(11, 12)는 종횡으로 2차원 형태를 가져서 비교적 많은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사진, 동영상, 지도 및 명함 등 다양한 정보를 편리하게 담아낼 수 있다.
그리고, QR 코드(11, 12)는, 데이터의 표현과 읽기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콰이어트 존, 위치 검출 패턴, 타이밍 패턴, 정렬 패턴, 포맷 정보, 버전 정보, 데이터 영역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QR 코드(11, 12)는 생산자 단말(100), 유통자 단말(300) 및 생산자 단말(3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쇄된 제1 QR 코드(11)는 상품(10) 외부에 부착되고, 제2 QR 코드(12)는 상품(10) 내부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포장(10) 외부에 제1 QR 코드(11)가 부착되고, 상품 포장(10) 내부에 제2 QR 코드(12)가 부착될 수 있다.
유통자는 일반적으로 상품 포장(10)을 개봉하지 않기 때문에, 상품 포장(10)이 개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QR 코드(1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유통자 단말(300)은 제1 QR 코드(11)만 인식할 수 있을 뿐 제2 QR 코드(12)는 인식할 수 없다.
그러나, 소비자는 상품을 확인하기 위해 상품 포장(10)을 개봉할 수 있고, 상품 포장(10)이 개봉된 상태에서 소비자 단말(400)은 제1 QR 코드(11)뿐만 아니라 제2 QR 코드(12)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소비자 단말은 제1 QR 코드(11) 및 제2 QR 코드(12)를 인식하여 유통 이력 정보를 제공 받거나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해 보면, 제1 QR 코드(11)는 유통자 단말(300)이 인식하기 위한 코드이고, 제1 QR 코드(11) 및 제2 QR 코드(12)는 소비자 단말(400)이 인식하기 위한 코드이다.
한편, 제1 QR 코드(11) 및 제2 QR 코드(12)가 부착된 상품(10)은 유통자를 통해 유통되어 소비자에게 최종 전달된다.
유통자 단말(300)은, 제1 QR 코드(11)를 인식하여, 유통 관리 서버(200)에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한다. 즉, 유통자 단말(300)이 제1 QR 코드(11)를 인식하면, 제1 QR 코드(11)에 포함된 유통 관리 서버(200)의 접속 주소를 통해 유통 관리 서버(200)에 접속되고, 제1 QR 코드(11)에 포함된 제1 고유 ID를 이용해 상품(10)의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접속된다. 그러면, 유통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유통 이력 정보는, 유통 이력 정보의 등록 일시, 상품 이미지, 상품 보증서, 배송자 인수인계증 및 상품 수령자 확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자 단말(100)은 상품 이미지 및 상품 보증서를 촬영하여 이를 유통 관리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고, 유통자 단말(300)은 상품 이미지 및 배송자 인수 인계증 및 상품 수령자 확인증을 촬영하여 이를 유통 관리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상품(10)이 유통자의 중개 없이 직접 생산자에서 소비자로 유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생산자 단말(100) 및 유통자 단말(300)은 동일한 하나의 단말로 취급될 수 있다.
유통자 단말(300)은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한 후, 전술한 유통 이력 정보 등록 방법과 마찬가지로, 제1 QR 코드(11)를 인식하여 유통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고, 유통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유통 이력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한편, 상품 유통 과정에서, 복수의 유통자가 관여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유통자 단말(300)은 서로 다른 복수의 유통자 단말(300)을 포함하게 되고, 각 유통자 단말(300)은 각자 등록한 유통 이력 정보만 제공 받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생산자 단말(100) 및 각 유통자 단말(400)이 등록한 유통 이력 정보는 유통 이력 정보의 등록 일시에 따라 순차로 등록될 수 있다.
소비자 단말(400)은, 제1 QR 코드(11)를 인식하여 유통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2 고유 ID 중 나머지를 제공 받고, 제2 QR 코드(12)를 인식하여 상기 제2 QR 코드(12)에 포함된 제2 고유 ID 중 일부에 상기 제2 고유 ID 중 나머지를 매칭하여 상기 제2 고유 ID 전부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유통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유통 이력 정보를 제공 받고 유통 이력 정보에 상품의 소유자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400)이 제2 QR 코드(12)를 인식하면, 제2 QR 코드(12)에 포함된 유통 관리 서버(200)의 접속 주소를 통해 유통 관리 서버(200)에 접속되고, 완성된 제2 고유 ID를 이용해 상품(10)의 유통 이력 정보를 제공 받고 유통 이력 정보에 상품의 소유자로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접속된다. 그러면, 소비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유통 이력 정보를 제공 받고, 유통 이력 정보에 상품의 소유자로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자 단말(400)은 유통자 단말(300) 보다 더 많은 유통 이력 정보를 제공 받는다. 즉, 소비자 단말(400)은 생산자 단말(100) 및 각 유통자 단말(300)이 등록한 유통 이력 정보를 모두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400)은 유통자 단말(300)이 등록한 유통 이력 정보와 다른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400)은, 전술한 유통 이력 정보 제공 방법과 마찬가지로, 제2 QR 코드(12)를 인식하여 유통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고, 유통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유통 이력 정보를 확인하여 유통 이력 정보에 상품(10)의 소유자로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통자 단말(300)이 제1 QR 코드(11)를 인식하고 유통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제공 받은 유저 인터페이스와, 소비자 단말(400)이 제2 QR 코드(12)를 인식하고 유통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제공 받은 유저 인터페이스는 다른 환경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통자 단말(300)과 달리 소비자 단말(400)은 최종 고객 권한, 상품 소유권 관리, 에스크로(Escrow) 승인, 보증금 반환 및 제1 QR 코드(11) 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 단말(400)은, 유통 이력 정보를 확인하여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10)으로 판단되면, 상품(10)의 소유자로 등록하고, 에스크로 결제 승인을 하고 남는 보증금에 대해 반환 신청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유통 이력 정보는 블록 체인(Block chain)에 등록되어 유통 관리 서버(200), 생산자 단말(100), 유통자 단말(300) 및 소비자 단말(400)에 분산 공유된다.
여기서, 블록 체인(Block chain)이라 함은 개인과 개인 간 거래(P2P) 데이터가 기록되는 장부(Database)인 블록(Block)들을 사슬(Chain) 형태로 엮은 것을 의미한다. 즉, 블록 체인은 블록들이 형성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 사슬 구조를 가지게 되며, 거래 데이터가 기록된 블록들이 사슬로 이어져 하나의 거래 장부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모든 거래 장부는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 공개 및 분산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블록 체인은 중개자의 개입 없이 투명하고 안전한 직접 거래를 가능하게 하고, 시스템 자체가 안전하여 자율적 권한 위임이 가능하므로 중개자 없이 실시간 승인 또한 가능하다.
또한, 블록 체인 내 정보는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에게 공개되는 동시에 보관 및 관리되므로 특정 거래 정보를 조작하려면 모든 참여자의 컴퓨터를 해킹해 블록 체인 전체를 조작해야 하는 비현실적인 작업이 필요하므로 거래의 안전성과 투명성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의 경우, 생산자 단말(100) 및 유통 관리 서버(200) 간 접속되어 주고 받은 유통 이력 정보가 기록된 하나의 블록이 형성되고, 이 후 새롭게 유통 관리 서버(200) 및 유통자 단말(300) 간 접속되어 주고 받은 유통 이력 정보가 기록된 새로운 블록이 형성되면 이를 이전 형성된 블록에 덧붙이는 과정이 각 단말 간 접속될 때마다 반복된다.
또한, 블록 체인 내 정보는 모든 참여자 즉, 생산자 단말(100), 유통 관리 서버(200), 유통자 단말(300) 및 소비자 단말(400) 모두에게 공개되는 동시에 보관 및 관리되므로, 상품의 특정 유통 이력 정보를 조작하려면 모든 참여자의 단말을 해킹해 블록 체인 전체를 조작해야 하는 비현실적인 작업이 필요하므로 상품 유통 거래의 안전성과 투명성이 보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유통 관리방법을 설명하되,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겠다.
먼저, 생산자 단말(100)은, 유통 관리 서버(200)에 한 쌍의 제1 고유 ID 및 제2 고유 ID 제공을 요청한다(S11).
다음, 유통 관리 서버(200)는 생산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한 쌍의 제1 고유 ID 및 제2 고유 ID를 생성하고(S12), 이를 생산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13).
여기서, 유통 관리 서버(200)는 제1 고유 ID 전부와 제2 고유 ID 중 일부를 생산자 단말(100)로 제공하고, 제2 고유 ID 중 나머지는 저장한다.
다음, 생산자 단말(100)은, 제1 고유 ID 전부를 포함하는 제1 QR 코드(11)와 제2 고유 ID 일부를 포함하는 제2 QR 코드(12)를 생성한다(S14). 그리고, 제1 QR 코드(11) 및 제2 QR 코드(12)를 인쇄한다(S15).
다음, 인쇄된 제1 QR 코드(11)는 상품(10) 외부에 부착되고, 제2 QR 코드(12)는 상품(10) 내부에 부착된다(S21).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포장(10) 외부에 제1 QR 코드(11)가 부착되고, 상품 포장(10) 내부에 제2 QR 코드(12)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제1 QR 코드(11) 및 제2 QR 코드(12)가 부착된 상품(10)은 유통자를 통해 유통되어 소비자에게 최종 전달된다.
다음, 유통자 단말(300)은, 제1 QR 코드(11)를 인식하여(S22), 유통 관리 서버(200)에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한다(S24). 그러면, 유통 이력 정보는 유통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다(S25).
여기서, 유통자 단말(300)은 상품 이미지 및 배송자 인수 인계증 및 상품 수령자 확인증을 촬영하여(S23) 이를 유통 관리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다음, 유통자 단말(300)은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한 후, 전술한 유통 이력 정보 등록 방법과 마찬가지로, 제1 QR 코드(11)를 인식하여(S31) 유통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고, 유통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유통 이력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즉, 유통자 단말(300)은 유통 관리 서버(200)에 유통 이력 정보를 요청하여(S32) 이를 전송 받을 수 있다(S33).
다음, 소비자 단말(400)은, 제1 QR 코드(11)를 인식하여 유통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2 고유 ID 중 나머지를 제공 받고, 제2 QR 코드(12)를 인식하여 제2 QR 코드(12)에 포함된 제2 고유 ID 중 일부에 제2 고유 ID 중 나머지를 매칭하여 상기 제2 고유 ID 를 완성하여 유통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유통 이력 정보를 제공받고 유통 이력 정보에 상품의 소유자를 등록한다.
즉, 소비자 단말(400)은 유통 관리 서버(200)에 유통 이력 정보를 요청하여(S42) 이를 전송 받을 수 있다(S43).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비자 단말(400)은 유통 이력 정보 제공 방법과 마찬가지로, 제2 QR 코드(12)를 인식하여 유통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고,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유통 관리 방법에 있어서, 유통 이력 정보는 블록 체인(Block chain)에 등록되어 유통 관리 서버(200), 생산자 단말(100), 유통자 단말(300) 및 소비자 단말(400)에 분산 공유된다.
여기서, 블록 체인(Block chain)이라 함은 개인과 개인 간 거래(P2P) 데이터가 기록되는 장부(Database)인 블록(Block)들을 사슬(Chain) 형태로 엮은 것을 의미한다. 즉, 블록 체인은 블록들이 형성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 사슬 구조를 가지게 되며, 거래 데이터가 기록된 블록들이 사슬로 이어져 하나의 거래 장부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모든 거래 장부는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 공개 및 분산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블록 체인은 중개자의 개입 없이 투명하고 안전한 직접 거래를 가능하게 하고, 시스템 자체가 안전하여 자율적 권한 위임이 가능하므로 중개자 없이 실시간 승인 또한 가능하다.
또한, 블록 체인 내 정보는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에게 공개되는 동시에 보관 및 관리되므로 특정 거래 정보를 조작하려면 모든 참여자의 컴퓨터를 해킹해 블록 체인 전체를 조작해야 하는 비현실적인 작업이 필요하므로 거래의 안전성과 투명성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유통 관리 방법의 경우, 생산자 단말(100) 및 유통 관리 서버(200) 간 접속되어 주고 받은 유통 이력 정보가 기록된 하나의 블록이 형성되고, 이 후 새롭게 유통 관리 서버(200) 및 유통자 단말(300) 간 접속되어 주고 받은 유통 이력 정보가 기록된 새로운 블록이 형성되면 이를 이전 형성된 블록에 덧붙이는 과정이 각 단말 간 접속될 때마다 반복된다.
또한, 블록 체인 내 정보는 모든 참여자 즉, 생산자 단말(100), 유통 관리 서버(200), 유통자 단말(300) 및 소비자 단말(400) 모두에게 공개되는 동시에 보관 및 관리되므로, 상품의 특정 유통 이력 정보를 조작하려면 모든 참여자의 단말을 해킹해 블록 체인 전체를 조작해야 하는 비현실적인 작업이 필요하므로 상품 유통 거래의 안전성과 투명성이 보장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상품
11: 제1 QR 코드
12: 제2 QR 코드
100: 생산자 단말
200: 유통 관리 서버
300: 유통자 단말
400: 소비자 단말

Claims (11)

  1. 한 쌍의 제1 고유 ID 및 제2 고유 ID를 생성하고, 상품의 유통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유통 관리 서버;
    상기 상품에 부착되는, 상기 제1 고유 ID를 포함하는 제1 QR 코드와 상기 제2 고유 ID를 포함하는 제2 QR 코드를 생성하는 생산자 단말;
    상기 제1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유통 관리 서버에 상기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하는 유통자 단말; 및
    상기 제1 QR 코드 및 상기 제2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유통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유통 이력 정보를 제공 받는 소비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유통 이력 정보는
    블록 체인에 등록되어 상기 유통 관리 서버, 생산자 단말, 유통자 단말 및 소비자 단말에 분산 공유되는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고유 ID 전부와 상기 제2 고유 ID 중 일부를 상기 생산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제2 고유 ID 중 나머지는 저장하는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단말은
    상기 제1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유통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2 고유 ID 중 나머지를 제공 받고, 상기 제2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제2 QR 코드에 포함된 상기 제2 고유 ID 중 일부에 상기 제2 고유 ID 중 나머지를 매칭하여 상기 제2 고유 ID 전부를 완성하여 상기 유통 이력 정보에 상기 상품의 소유자를 등록하는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QR 코드는 상기 상품 외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2 QR 코드는 상기 상품 내부에 부착되는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자 단말은
    상기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한 후, 상기 제1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유통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유통 이력 정보를 제공 받는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 이력 정보는
    상기 유통 이력 정보의 등록 일시, 상품 이미지, 상품 보증서, 배송자 인수인계증 및 상품 수령자 확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단말은
    상기 유통자 단말 보다 더 많은 상기 유통 이력 정보를 제공 받는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단말은
    상기 유통자 단말이 등록한 상기 유통 이력 정보와 다른 상기 유통 이력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자 단말은
    서로 다른 복수의 유통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각 유통자 단말은 각자 등록한 상기 유통 이력 정보만 제공 받는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단말은
    상기 각 유통자 단말이 등록한 상기 유통 이력 정보를 모두 제공 받는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 이력 정보는
    상기 유통 이력 정보의 등록 일시에 따라 순차로 등록되는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KR1020170146823A 2017-11-06 2017-11-06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KR20190051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823A KR20190051321A (ko) 2017-11-06 2017-11-06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823A KR20190051321A (ko) 2017-11-06 2017-11-06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321A true KR20190051321A (ko) 2019-05-15

Family

ID=6657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823A KR20190051321A (ko) 2017-11-06 2017-11-06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132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483B1 (ko) * 2019-07-05 2020-04-14 이광열 블록 체인을 이용한 식품 유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00133964A (ko) * 2019-05-21 2020-12-01 이욱희 블록체인을 이용한 패브릭 프리사이클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2914A (ko) * 2019-06-14 2020-12-23 권형준 복수 초점을 동시 인식하는 비전식 코드 리더, 이를 이용한 물류 시스템 및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17121B1 (ko) 2020-01-29 2021-02-18 서성원 특별 주류세 증명(PoSLT, Proof-of-Special-Liquor-Tax)을 합의 알고리즘으로 가지는 맥주 유통 블록체인 시스템 및 시스템
KR20210125801A (ko) * 2020-04-09 2021-10-19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제품의 소유권을 거래하기 위한 방법
WO2022002246A1 (zh) * 2020-07-03 2022-01-06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投保的校验方法和装置
WO2023128238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우경정보기술 블록체인 기반 1차상품 이력관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964A (ko) * 2019-05-21 2020-12-01 이욱희 블록체인을 이용한 패브릭 프리사이클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2914A (ko) * 2019-06-14 2020-12-23 권형준 복수 초점을 동시 인식하는 비전식 코드 리더, 이를 이용한 물류 시스템 및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85483B1 (ko) * 2019-07-05 2020-04-14 이광열 블록 체인을 이용한 식품 유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1006506A1 (ko) * 2019-07-05 2021-01-14 이광열 블록 체인을 이용한 식품 유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217121B1 (ko) 2020-01-29 2021-02-18 서성원 특별 주류세 증명(PoSLT, Proof-of-Special-Liquor-Tax)을 합의 알고리즘으로 가지는 맥주 유통 블록체인 시스템 및 시스템
KR20210125801A (ko) * 2020-04-09 2021-10-19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제품의 소유권을 거래하기 위한 방법
WO2022002246A1 (zh) * 2020-07-03 2022-01-06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投保的校验方法和装置
WO2023128238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우경정보기술 블록체인 기반 1차상품 이력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1321A (ko) 블록 체인 기반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CN109544160B (zh) 一种基于区块链和智能合约的交易真实性验证方法及系统
US20200364817A1 (en) Machine type communication system or device for recording supply chain information on a distributed ledger in a peer to peer network
US201600987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Verification of Goods
US201600987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verification of goods
US20190164174A1 (en) Internet-based multi-level two-dimensional code anti-counterfei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1903420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roduct and providing verified product information and consumer rewards
CN109906584A (zh) 用于指定电子通信的接收者的基于区块链的方法和系统
CN109711858A (zh) 经由区块链防止欺诈性礼品卡的方法和系统
RU2700395C2 (ru) Система для гарантирования подлинности брендовых товаров
US202003741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lized provenance solution for blockchain supply chain applications
US11418336B2 (en) Digital ledger for unique item IDs with ownership
JP2016507835A (ja) 無認可製品検出技法
CN101901437A (zh) 一种线下体验门店管理系统和方法
TW201626301A (zh) 電子憑證產生裝置及其系統
US115160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lized provenance solution for blockchain supply chain applications
CN111275449A (zh) 一种商品溯源方法和系统
JP2016522948A (ja) 製造物認証システム及び製造物認証方法
Jayaprasanna et al. A block chain based management system for detecting counterfeit product in supply chain
JP2017511548A (ja) 商品の偽造防止検証システム
WO2016155159A1 (zh) 一种基于微信id实现验证全条码的防伪方法
Mhatre et al. BCPIS: Blockchain-based counterfeit product identification system
EP34305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products
KR20160038451A (ko) 물품의 진위 인증용 코드를 포함하는 라벨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되는 라벨, 상기 라벨을 포함하는 물품 및 상기 라벨의 관리방법
JP2020197937A (ja) 真贋判定装置、真贋判定システムおよび真贋判定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