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222A - 모터하우징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 Google Patents

모터하우징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222A
KR20190051222A KR1020170146625A KR20170146625A KR20190051222A KR 20190051222 A KR20190051222 A KR 20190051222A KR 1020170146625 A KR1020170146625 A KR 1020170146625A KR 20170146625 A KR20170146625 A KR 20170146625A KR 20190051222 A KR20190051222 A KR 20190051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heating
pipe
medium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호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6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1222A/ko
Publication of KR2019005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H01L35/3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5Devices for sensing temperature,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모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몸체에 하나, 둘 또는 3개의 배관을 매립 형성하고, 3개의 배관에 냉각매체 또는 가열루프를 유동시키거나, 하나의 배관에 진동흡수재를 충진하고 나머지 배관에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키도록 구성하여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현한다. 또는 본 발명은 냉각모드 이외에 가열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가열장치를 면상발열페이스크를 이용한 가열장치를 설치해 선택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모드로 제어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터하우징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Motor housing cooling device and Vehcile having same}
본 발명은 모터하우징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차에 적용되는 모터의 냉각효과를 향상시키고, 복수의 배관을 하우징 몸체에 매립 형성하여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한 모터하우징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차 또는 전기차의 주요 부품인 모터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하우징과, 하우징에 장착되는 고정자(stator)와, 고정자의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자(rotor)를 포함한다. 이러한 모터는 작동과정에서 회전자 및 고정자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모터 성능의 효율을 위해서는 모터 냉각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을 각각 별도로 주물 제작하고,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 사이에 냉각채널이 형성되도록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을 압입 및 실링(sealing)하거나, 용접하는 기술이 주로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모터의 냉각기술은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 간의 형합 갭(gap)이 발생하면서 냉각수가 누출(leak)되어 냉각효율이 저하되고, 또한 유로의 설계 자유도가 작음에 따라 입력단과 출력단의 유로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면서 써멀 크로스-토크(Thermal cross-talk)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331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가 중앙 내부에 삽입안착 되는 모터하우징 속에 배관을 3_레이어로 매립 구성하여 모터의 냉각, 가열 및 흡음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모터하우징 냉각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수소자동차(Fuel Cell Vehcile)의 동력원 모터를 냉각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모터하우징 냉각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모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를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모터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몸체 내에 냉각매체를 유동시킬 수 있는 제1,제2,제3배관이 3중(3_layer)배관으로 매립 설치된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 몸체 내에 매립된 3중배관은,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중 어느하나가 선택적으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하우징 몸체 내에 매립된 3중 배관은, 냉각매체가 유동되는 냉각배관, 열전달 매체가 유동되는 가열배관, 진동흡수재가 충진된 진동흡수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몸체의 수평 단면에 대해서 안쪽에서 외측으로 제1,제2,제3배관이 차례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구조로서, 하우징 몸체의 수평단면에 대해서 안쪽에 제1배관이, 제1배관의 외측에 제2, 제3배관이 상하로 적층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구조로서, 하우징 몸체의 수평단면에 대해서 안쪽에 제1, 2배관이 상하로 적층되고, 그 외측에 제3배관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구조로서, 하우징 몸체의 수평단면에 대해서 안쪽에 제1, 2, 3배관이 상하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2,3배관은 일체형으로 하우징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나선형상으로 매립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2,3배관은, 하나의 배관에 진동흡수재가 충진되고, 나머지 2개의 배관을 통해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가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제2,제3배관은, 하우징 몸체와 동일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일체형 3중배관으로 형성되고, 하우징 몸체 내에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제2,제3배관의 입출구에 별도의 개폐가 가능한 분기구조를 추가설치하여 각각 냉각매체 유동수단과, 가열매체 유동수단에 의해 분리제어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 하우징 냉각 장치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 몸체 내에 매립 설치된 제1,제2,제3 배관과;
상기 제1,제2,제3배관으로 유동시키는 냉각매체를 펌핑하는 냉각매체펌프 및 상기 제1,제2,제3배관으로부터 회수되는 냉각매체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각루프와;
상기 제1,제2,제3배관으로 유동시키는 가열매체를 펌핑하는 가열매체펌프 및 상기 제1,제2, 제3배관으로 유동시키는 가열매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가열루프와;
상기 냉각루프의 냉각매체 또는 상기 가열루프의 가열매체를 제1,제2,제3배관으로 선택적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배관선택수단과;
상기 냉각매체펌프와, 상기 가열매체 펌프, 상기 가열장치 및 상기 배관선택수단을 운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모터하우징의 냉각 또는 가열 을 제어하는 냉각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콘트롤러는,
상기 냉각루프 및 가열루프의 회수라인의 매체 온도를 검출하여 설정된 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제2제3배관에 선택적으로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가 유동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선택수단은,
상기 냉각루프의 냉각매체를 상기 제1,제2,제3배관의 유입구에 공통으로 공급하는 냉각매체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와;
상기 제1,제2제3배관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냉각매체를 상기 냉각루프로 회수하는 냉각매체 회수라인을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와;
상기 가열루프의 가열매체를 상기 제1,제2,제3배관의 유입구에 공통으로 공급하는 가열매체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제3개폐밸브와;
상기 제1,제2제3배관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가열매체를 상기 가열루프로 회수하는 가열매체 회수라인을 개폐하는 제4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콘트롤러에 의해 상기 제1,제2개폐밸브 또는 제,제4개폐밸브가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배관선택수단은,
상기 냉각루프와 가열루프의 공급라인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제2,제3배관 각각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3개의 유입구 개폐밸브와,
상기 냉각루프와 가열루프의 회수라인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제2,제3배관 각각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3개의 배출구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콘트롤러에 의해 각각 선택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배관선택수단은,
상기 제1,제2,제3배관 각각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3개의 유입구 개폐밸브와,
상기 제1,제2,제3배관 각각의 배출구를 공통으로 연결한 냉각루프 회수라인을 개폐하는 냉각루프 회수라인 개폐밸브와,
상기 제1,제2,제3배관 각각의 배출구를 공통으로 연결한 가열루프 회수라인을 개폐하는 가열루프 회수라인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콘트롤러가 상기 3개의 유입구 개폐밸브 및 상기 냉각루프 회수라인 개폐밸브와 가열루프 회수라인 개폐밸브를 매칭시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배관선택수단은,
상기 제1,제2,제3배관의 공통 유입구를 상기 냉각루프 또는 가열루프의 공급라인에 연결하는 제1쓰리웨이밸브와;
상기 제1,제2,제3배관의 공통 배출구를 상기 냉각루프의 회수라인 또는 상기 가열루프의 회수라인에 연결하는 제2쓰리웨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콘트롤러에 의해 각각 선택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배관선택수단은,
상기 제1배관의 유입구에는 상기 냉각루프의 공급라인을, 상기 제1배관의 배출구에는 상기 냉각루프의 회수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제2배관의 유입구에는 상기 가열루프의 공급라인을, 상기 제2배관의 배출구에는 상기 가열루프의 회수라인을 연결하며,
상기 제3배관에는 진동흡수재를 충진하고,
상기 냉각콘트롤러가 상기 냉각루프 또는 가열루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배관선택수단은,
상기 냉각루프 또는 상기 가열루프의 공급라인을 상기 제1배관과 제2배관의 유입구에 선택적 또는 공통으로 연결하는 제1선택밸브와;
상기 제1배관의 배출구를 상기 냉각루프 또는 가열루프의 회수라인으로 선택하여 연결하는 제2선택밸브와;
상기 제2배관의 배출구를 상기 냉각루프 또는 상기 가열루프의 회수라인으로 선택하여 연결하는 제3선택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3배관에는 진동흡수재를 충진하며,
상기 냉각콘트롤러가 상기 제1,제2,제3선택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전기자동차의 동력원 모터 하우징으로 설치하여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장치로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하우징 용 냉각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3중 배관을 모터 하우징 몸체 속에 매립 형성하고, 각 배관으로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터 하우징의 냉각뿐만 아니라 특수한 환경에서의 모터 기동시 모터 하우징을 가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3개의 배관으로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키는 냉각루프와 가열루프를 구성하고, 냉각 또는 가열 조건에 따라 3개의 배관으로 유동하는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급속 온도조절 및 온도조절 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3개의 배관중 2개는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선택적으로 유동하게하고, 하나의 배관에는 진동흡수재를 충진시켜 구성함으로써, 냉각 및 가열 모드의 선택적 제어와 아울러 모터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모터하우징 몸체내에 매립된 냉각배관의 유입구에 면상발열페이스트를 이용한 가열장치를 설치하고, 냉각루프의 냉각매체를 가열하여 냉각배관을 통과한후 배출되어 열교환 없이 다시 유입구로 순환시키는 가열루프를 형성함으로써, 독립적인 가열루프 없이 냉각루프를 활용하여 쉽게 가열 제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3중 배관 모터하우징 냉각장치의 구성 설명도.
도 2의 (가) 내지 (마)는 본 발명에 의한 3중배관의 서로 다른 배치 구조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3중 배관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의 계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3중 배관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의 계통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3중 배관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의 계통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3중 배관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의 계통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3중 배관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의 계통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면상 발열 페이스트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3중 배관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의 계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3중 배관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의 구성 설명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모터 안착홈이 형성된 인너 하우징 몸체(21)의 외벽에 3중배관(30)을 나선형으로 권회된 형태로 설치하고, 성형틀 속에 설치하고 용탕을 주입하여 아웃터 하우징 몸체(22)를 다이케이팅하여 하우징 몸체(20) 내부에 3중 배관이 매립된 형태로 하우징 몸체(20)를 제조한다. 도면의 10은 하우징 몸체(20)에 모터를 삽입설치한 후 덮개로 결합하는 하우징 커버이다.
이와 같이 하우징 몸체(20) 내부에 냉각매체를 유동시키는 배관이 매립된 형태를 다이케스팅 방식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은 냉각배관으로 3중배관(31 - 33)을 매립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중 배관(31 - 33)은, 3개의 배관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나선형으로 매립 설치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에는 냉각매체를 유동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배관(31)에는 냉각매체를 유동시켜 모터하우징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하고, 제2배관(32)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켜 모터하우징을 가열시키는 기능을 하며, 제3배관(33)에는 진동흡수재를 충진시켜 소음발생을 줄이는 기능을 하게 할 수 있다. 물론, 3개의 배관을 모두 냉각매체를 유동시키는 용도로 사용가거나, 가열매체를 유동시키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2개의 배관을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 유동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를 진동흡수재를 충진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극지방과 같이 혹한 지역에서 운용되는 모터는, 극저온 환경에서 정상적인 출력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예열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모터 냉각장치에서는, 하나의 배관이 설치된 구조로서 주로 냉각매체만을 유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터를 예열시키기 위한 가열장치를 별도로 부설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3중배관(31 - 33)이 매립 설치된 구조이므로, 3중 배관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관으로 가열매체를 유동시켜 예열할 수 있다. 물론 운전모드를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냉각모드에서는 냉각매체를 유동시키고, 가열모드에서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3중 배관을 이용하게 되면, 배관내로 가열매체, 예를 들어 가열된 온수를 유동시킬 수 있어서 빠르고 고르게 모터를 예열시킬 수 있다. 3개의 배관을 서로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가열매체, 냉각매체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공통으로 가열매체 유동 후 모드 변환에 의해 냉각매체를 유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어서, 냉각성능 및 가열성능을 필요에 따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2의 (가) 내지 (마)는 본 발명에 의한 3중배관을 서로 다른 형태로 배치하여 형성한 예시도이다.
도 2의 (가)와 같이 3개의 배관(31)(32)933)을 수평방향으로 차례로 배열한 구조이다. 3개의 배관을 수평으로 나란히 배열하여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의 유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키는 배관수를 조절하여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의 (나)는 제1배관(31)을 내측에 배치하고, 제2배관(32)과 제3배관(33)을 상기 제1배관(31)의 외측에 적층형으로 배열 형성한 구조이다. 이는 제1배관(31)을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키는 용도로 사용하고, 외측의 제2배관(32) 및 제3배관(33)은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의 유동량을 확장할때 사용하는 용도 또는 제2,제3배관중 하나는 진동흡수재를 충진한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제1배관은 냉각매체를, 제2배관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키는 전용배관으로 설계하고 제3배관에는 진동흡수재를 충진할 수도 있다.
도 2의 (다)는 제1,제2배관(31)(32)을 내측에 적층형으로 배치하고, 그 외측에 제3배관(33)을 배치한 구조이다. 이는 제1,제2배관(31)(32)에는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키고, 제3배관에는 진동흡수재를 충진시키는 구조로 이용할 수 있고, 제1,2배관에는 각각 냉각매체와 가열매체를 전용으로 유동시키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의 (라)는 제1,제2,제3배관(31, 32, 33)을 수직방향으로 적층시킨 구조로 구성한 것이다. 이는 수직배열이기 때문에 모터측과의 거리가 더 가깝게 구성하여 열전도 효율은 좋게 할 수 있으나, 길이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권회된 횟수가 줄어들어 배관 길이가 짧아지므로 외부의 열교환을 빠르게 순환시킬 수 있다.
도 2의 (마)는 제1,제2,제3배관(31, 32, 33)을 가로배열 할때 서로 어긋진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이는 모터측으로부터의 열전도가 외측의 제2,제3배관에도 하우징 몸체를 통해 직접 전도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제1,제2,제3배관을 통해 유동시키는 매체들의 열전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3중배관의 배치구조를 다양한 구조로 배치하여 형성함으로써, 모터를 설치하여 운용하는 환경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배치구조를 선택하고, 각각의 배관에 유동시키는 매체를 선택적으로 설계하여 환경에 적합한 냉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모터 하우징 몸체 내에 매립된 3중 배관은 냉각매체와 가열매체를 유동시키거나 또는 진동흡수재를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구현한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의 구성을 보인 계통도이다.
모터 하우징 냉각 장치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 몸체(20) 내에 매립 설치된 제1,제2,제3 배관(31, 32, 33)과;
상기 제1배관(31)으로 유동시키는 냉각매체를 펌핑하는 냉각매체펌프(112) 및 상기 제1배관(31)으로부터 회수되는 냉각매체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11)를 포함하는 냉각루프(110)와;
상기 제2배관(32)으로 유동시키는 가열매체를 펌핑하는 가열매체펌프(122) 및 상기 제2배관(32)으로 유동시키는 가열매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121)를 포함하는 가열루프(120)와;
상기 제3배관(33)에 충진시켜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재와;
상기 냉각매체펌프(112)와, 상기 가열매체 펌프(122), 상기 가열장치(121)를 운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모터하우징의 냉각 또는 가열을 제어하는 냉각콘트롤러(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과 같은 냉각 장치는, 제1배관(31)과 제2배관(32)에 각각 냉각루프(110)와 가열루프(120)가 연결되고, 제3배관(33)에는 진동흡수재를 충진시킨 것이다. 따라서 제1배관(31)에는 냉각매체를 유동시키며, 제2배관(32)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킨다. 냉각매체와 가열매체는 동일한 매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매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데 냉각매체는 냉매를 사용하고, 가열매체는 일반 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냉각루프(110)나 가열루프(120)는, 냉각콘트롤러(100)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즉, 동시에 냉각루프와 가열루프를 구동시키 않고, 가열루프를 구동시켜 제2배관(32)으로 가열매체를 유동시키면, 제1배관(31)속의 냉각매체에게도 열이 전도되고, 모터하우징 전체를 가열하게 된다. 가열루프(120)의 회수라인에 설치된 온도센서(T2)를 통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장치(121)를 구동시켜 가열매체를 가열하고, 적정 온도가 되면 종료한다.
이후 모터가 정상 구동되어 열을 발생하게되면, 냉각루프(110)를 구동하여 냉각매체를 유동시킨다. 냉각매체는 제1배관(31)을 통해 모터하우징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흡수된 열을 열교환기(111)에서 열교환하게 된다. 열교환기(111)는 냉각루프의 냉각매체가 흡수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들어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상기 냉각매체의 열을 흡수한 냉각수를 라이에이터를 통해 방열하여 순환시키도록 구성하여 열교환 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배관(33)에 충진된 진동흡수재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소멸시킴으로써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처럼 3중 배관을 설치한 본 발명은, 하나의 배관은 냉각매체를, 다른 하나의 배관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켜 가열모드와 냉각모드를 선택적으로 운전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배관에 진동흡수재를 충진시켜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의 구성을 보인 계통도이다.
모터 하우징 냉각 장치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 몸체(20) 내에 매립 설치된 제1,제2,제3 배관(31, 32, 33)과;
상기 제1,제2,제3배관(31, 32, 33)으로 유동시키는 냉각매체를 펌핑하는 냉각매체펌프(112) 및 상기 제1,제2,제3배관(31, 32, 33)으로부터 회수되는 냉각매체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11)를 포함하는 냉각루프(110)와;
상기 제1,제2,제3배관(31, 32, 33)으로 유동시키는 가열매체를 펌핑하는 가열매체펌프(122) 및 상기 제1,제2, 제3배관(31, 32, 33)으로 유동시키는 가열매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121)를 포함하는 가열루프(120)와;
상기 냉각루프(110)의 냉각매체 또는 상기 가열루프(120)의 가열매체를 제1,제2,제3배관(31, 32, 33)으로 선택적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배관선택수단(130)과;
상기 냉각매체펌프(112)와, 상기 가열매체 펌프(122), 상기 가열장치(121) 및 상기 배관선택수단(130)을 운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모터하우징의 냉각 또는 가열을 제어하는 냉각콘트롤러(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콘트롤러(100)는,
상기 냉각루프(110) 및 가열루프(120)의 회수라인의 매체 온도를 온도센서(T1)(T2)를 통해 검출하여 설정된 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제2,제3배관(31, 32, 33)에 선택적으로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가 유동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선택수단(130)은,
상기 냉각루프(110)의 냉각매체를 상기 제1,제2,제3배관(31, 32, 33)의 유입구에 공통으로 공급하는 냉각매체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V1)와;
상기 제1,제2,제3배관(31, 32, 33)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냉각매체를 상기 냉각루프(110)로 회수하는 냉각매체 회수라인을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V2)와;
상기 가열루프(120)의 가열매체를 상기 제1,제2,제3배관(31, 32, 33)의 유입구에 공통으로 공급하는 가열매체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제3개폐밸브(V3)와;
상기 제1,제2제3배관(31, 32, 33)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가열매체를 상기 가열루프(120)로 회수하는 가열매체 회수라인을 개폐하는 제4개폐밸브(V4)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콘트롤러(100)에 의해 상기 제1,제2개폐밸브(V1)(V2) 또는 제3,제4개폐밸브(V3)(V4)가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의 실시에서는, 3개의 배관(31, 32, 33)의 유입구를 공통으로 연결하여 냉각루프(110)와 가열루프(120)의 공급라인에, 배출구를 공통으로 연결하여 냉각루프(110)와 가열루프(120)의 회수라인에 연결한다. 그리고 냉각루프(110)의 공급라인과 회수라인에 제1개폐밸브(V1)와 제2개폐밸브(V2)를 설치하고, 가열루프(120)의 공급라인과 회수라인에 각각 제3개폐밸브(V3)와 제4개폐밸브(V4)를 설치한 구조이다.
따라서, 제1,제2,제3배관(31, 32, 33)에 냉각루프(110) 또는 가열루프(120)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3개의 배관에 냉각매체를 유동시키거나 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키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냉각매체나 가열매체의 유동량을 최대로 유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의 구성을 보인 계통도이다.
모터 하우징 몸체(20)속에 매립된 제1,제2,제3배관(31, 32, 33)과;
상기 3개의 배관으로부터 회수되는 냉각매체를 펌핑하는 냉각매체펌프(112) 및 펌핑된 냉각매체를 열교환하여 상기 3개의 배관으로 공급하는 열교환기(111)로 이루어진 냉각루프(110)와;
상기 3개의 배관으로부터 회수되는 가열매체를 펌핑하는 가열매체펌프(122) 및 펌핑된 가열매체를 가열하여 상기 3개의 배관으로 공급하는 가열장치(121)로 이루어진 가열루프(120)와;
상기 냉각루프(110)의 냉각매체 또는 상기 가열루프(120)의 가열매체를 제1,제2,제3배관(31, 32, 33)으로 선택적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배관선택수단(130)과;
상기 냉각매체펌프(112)와, 상기 가열매체 펌프(122), 상기 가열장치(121) 및 상기 배관선택수단(130)을 운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모터하우징의 냉각 또는 가열을 제어하는 냉각콘트롤러(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의 또 다른 실시예는, 냉각루프(110)와 가열루프(120)의 펌프를 각각 회수라인에 설치하여 열교환기 또는 가열장치로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제1,제2,제3배관(31 - 33)의 유입구를 공통으로 연결하여 냉각루프(110)와 가열루프(120)의 공급라인에 연결하고, 배출구를 공통으로 연결하여 냉각루프(110)와 가열루프(120)의 회수라인에 연결한 것이다.
상기 배관선택수단(130)은,
상기 냉각루프(110)와 가열루프(120)의 공급라인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제2,제3배관(31)(32)(33) 각각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3개의 유입구 개폐밸브(V1)(V2)(V3)와,
상기 제1,제2,제3배관(31, 32, 33) 각각의 배출구를 공통으로 연결한 냉각루프 회수라인을 개폐하는 냉각루프 회수라인 개폐밸브(V4)와,
상기 제1,제2,제3배관(31, 32, 33) 각각의 배출구를 공통으로 연결한 가열루프 회수라인을 개폐하는 가열루프 회수라인 개폐밸브(V5)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콘트롤러(100)가 상기 3개의 유입구 개폐밸브(V1, V2, V3) 및 상기 냉각루프 회수라인 개폐밸브(V4)와 가열루프 회수라인 개폐밸브(V5)를 매칭시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의 구성에 의하면, 3개의 배관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공통으로 냉각루프 및 가열루프에 연결하고, 3개의 배관의 유입구에 각각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키는 배관 및 배관 수를 선택할 수 있고, 회수라인에 설치된 밸브를 선택하여 냉각매체 유동 또는 가열매체 유동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수를 선택해 유동되는 매체 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서, 급속한 온도조절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냉각루프(110)와 가열루프(120)에 연결되는 3개의 배관 각각의 유입구와 각각의 배출구에 각각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또한 3개의 배관들을 개별선택하여 매체를 유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의 구성을 보인 계통도이다.
3개의 배관(31,32,33)이 모터하우징 몸체(20)에 매립형성되고, 냉각루프(110)와 가열루프(120)를 3개의 배관에 연결하고, 배관선택수단을 설치하여 냉각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3개의 배관(31-33)으로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키도록 구성된 모터하우징 냉각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모터하우징 냉각장체에서 3개의 배관을 선택하여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배관선택수단(130)으로서,
상기 제1,제2,제3배관(31, 32, 33)의 공통 유입구를 상기 냉각루프(110) 또는 가열루프(120)의 공급라인에 연결하는 제1쓰리웨이밸브(131)와;
상기 제1,제2,제3배관(31, 32, 33)의 공통 배출구를 상기 냉각루프(110)의 회수라인 또는 상기 가열루프(120)의 회수라인에 연결하는 제2쓰리웨이밸브(132)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콘트롤러(100)에 의해 각각 선택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의 구성에 의하면, 3개의 배관의 공통유입구와, 공통 배출구에 각각 쓰리웨이밸브를 설치하고, 냉각 콘트롤러(100)가 제어하여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3개의 배관으로 선택하여 유동시킬 수 있다. 쓰리웨이밸브를 사용함으로써, 각 배관의 유입구와 배출구에 개별밸브를 설치하는 것에 비해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의 구성을 보인 계통도이다.
3개의 배관(31,32,33)이 모터하우징 몸체(20)에 매립형성되고, 냉각루프(110)와 가열루프(120)를 제1,제2배관(31, 32)에 연결하고, 제3배관(33)에는 진동흡수재를 충진하며, 배관선택수단(130)을 설치하여 냉각콘트롤러(100)의 제어에 의해 2개의 배관(31, 32)으로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키도록 모터하우징 냉각장치가 구성된다.
도 7의 배관선택수단(130)은,
상기 냉각루프(110) 또는 상기 가열루프(120)의 공급라인을 상기 제1배관(31)과 제2배관(32)의 유입구에 선택적 또는 공통으로 연결하는 제1선택밸브(133)와;
상기 제1배관(31)의 배출구를 상기 냉각루프(110) 또는 가열루프(120)의 회수라인으로 선택하여 연결하는 제2선택밸브(134)와;
상기 제2배관(32)의 배출구를 상기 냉각루프(110) 또는 상기 가열루프(120)의 회수라인으로 선택하여 연결하는 제3선택밸브(135)를 포함하고,
상기 제3배관(33)에는 진동흡수재를 충진하며,
상기 냉각콘트롤러(100)가 상기 제1,제2,제3선택밸브(133, 134, 135)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제3배관(33)에 진동 흡수재를 충진하여 소음억제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1배관(31)과 제2배관(32)을 냉각루프(110) 및 가열루프(120)에 연결하여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2개의 배관 또는 하나의 배관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배관으로 매체를 유동시킬때 제1배관으로만 유동시킬 수 있고, 제2배관으로만 유동시킬 수도 있다. 즉, 제1선택밸브(133)는, 냉각루프(110)의 공급라인을 제2배관(32)에 연결하여 제1,제2배관(31)(32)을 냉각루프에 연결할 수 있고, 가열루프(120)의 공급라인을 제1,제2배관(31)(32)으로 공통 연결하거나, 제1배관(31) 또는 제2배관(32)중 어느하나로만 연결할 수 있다. 제2,제3선택밸브(134)(135)는, 냉각모드 또는 가열모드에 따라 냉각루프 또는 가열루프의 회수라인으로 선택하여 연결한다.
따라서, 도 7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제2배관(31)(32)에 선택적으로 또는 공통으로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킬 수 있고, 제3배관(33)은 진동흡수재를 충진하여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서, 제1,제2,제3배관(31, 32, 33)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공통 연결하여 선택수단에 의해 냉각루프 또는 가열루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4 내지 도 6의 구성에서 각각 제3배관(33)에 진동흡수재를 충진하고, 제1,제2배관(31)(32)만 배관선택수단(130)에 의해 냉각루프(110) 또는 가열루프(120)와 공통 또는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냉각, 가열, 진동 흡수 기능을 모두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면상 발열 페이스트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구성도.
도 1 내지 도 7의 가열루프(120)에는 가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가 필요하다. 그런데 통상의 가열장치로는, 히터형(코일형) 가열장치나, 열전소자모듈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코일형 가열장치나 열전소자 모듈 가열장치는, 전력소모도 크지만 응답성이 늦다는 단점이 있다. 즉 가열매체를 적정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시간이 길다. 그렇기 때문에 극지방과 같이 추운 곳이나, 한 겨울 야외에서 사용하는 경우 모터를 가열해야 하는데 이때 응답성이 늦으면 기동시간이 길어지고 모터의 성능과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응답성이 빠르면서도 전력소모도 적은 면상발열페이스트를 이용한 가열장치를 제안한다.
면상발열페이스트는, 한국특허 10-1447478호의 탄소나노튜브 또는 탄소나노튜브-급속 복합체를 이용한 세라믹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전성 필름에서 제안된 세라믹 페이스트를 이용한다. 즉, 탄소나노튜브 또는 탄소나노튜브-금속 복합제와 실리콘 접착제를 포함하는 세라믹 페이스트를 면상발열페이스트로 사용한 것이다.
면상발열페이스트를 이용한 가열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의 소정 길이의 외표면에 도포한 절연층(201)과, 상기 절연층(201) 위에 도포한 면상발열페이스트층(202)과, 상기 면상발열 페이스트층(202)의 양단에 형성된 양단 전극부(203)와, 상기 전극부(203)를 포함하여 발열페이스트층(202)을 덮는 절연 및 보온성을 갖는 하우징부재(204)와, 상기 양단 전극부(203)에 연결된 도선을 통해 전류를 공급하여 발열제어를 하는 전원공급장치(2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열장치(121)는, 모터하우징 몸체(20)에 매립된 배관(31 - 33)의 유입구에 설치하여 배관 속으로 공급되는 가열매체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원리는 전원공급장치(205)를 통해 양단 전극부(202)로 전류를 가하게 되면, 면상발열페이스트층(202)이 발열하게되고, 발생된 열이 배관(1)으로 전도되어 배관속의 가열매체를 가열하는 것이다. 이러한 면상발열페이스트를 이용하는 가열장치는, 급속가열 및 고온 가열이 가능하여 일반 히터형 가열장치나 열전소자모듈을 이용한 가열장치에 비해 월등히 빠른 시간내에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어서, 가열매체를 빠르게 적정온도로 가열해 모터의 기동을 위한 예열기능을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계통도이다.
모터 하우징 몸체(20) 내에 매립 형성되는 제1,제2,제3배관(31)(32)(33)과;
상기 제1,제2배관의 공통 유입구에 설치되는 가열장치(121)와;
상기 가열장치(121)를 통과하여 상기 제1,제2배관으로 유동시키는 매체를 펌핑하는 펌프(112)와;
상기 제1,제2배관(31)(32)의 공통 배출구를 통해 회수되는 냉각매체를 열교환하여 상기 펌프(112)로 공급하는 열교환기(111)와;
상기 제1,제2배관(31)(32)의 공통 배출구를 통해 회수되는 매체를 상기 열교환길(111)를 거치지 않고 상기 펌프(112)로 공급하거나 열교환기(11)로 공급하도록 절환시키는 쓰리웨이밸브(136)와;
상기 펌프(112), 가열장치(121) 및 쓰리웨이밸브(136)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2배관(31)(32)으로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키도록 제어하는 냉각콘트롤러(100)를 포함하고,
상기 제3배관(33)에는 진동흡수재를 충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도면의 137은 가열모드에서 가열된 매체가 열교환기(111)측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역류방지 밸브이고, T1은 회수라인의 온도센서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가열루프의 가열매체 펌프를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펌프만으로 가열모드와 냉각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먼저 가열모드는, 펌프(112)와, 가열장치(121)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쓰리웨이밸브(136)를 제어하여 회수라인의 매체를 펌프(112)의 유입측으로 직접 연결한다. 이에 따라 펌프(112)에 의해 유동매체가 펌핑되어 가열장치(121)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가열된 매체가 제1,제2배관(31)(32)을 유동하여 상기 쓰리웨이밸브(136)로 회수되어 순환되는 루프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가열장치(121)는 도 8에서 예시된면상발열 페이스트를 이용한 가열장치를 이용한다. 따라서, 펌핑된 매체과 공급라인을 통과할때 고온 급속가열이 가능해져 제1,제2배관으로 가열된 매체를 유동시킬 수 있다.
냉각모드에서는 가열장치(121)를 오프시키고, 쓰리웨이밸브(136)를 회수라인으로 회수된 매체를 열교환기(111)로 흐르도록 절환시킴으로써, 제1,제2배관(31)(32)을 유동한 냉각매체가 열교환기(111)로 회수되어 열교환된 후 펌프(112)에서 펌핑되어 다시 제1,제2배관(31)(32)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도 9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펌프를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펌프만으로 냉각모드와 가열모드를 선택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배관 즉 3중배관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중배관 또는 단일 배관에서도 동일한 구성으로 냉각모드 또는 가열모드로의 선택 운전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모터 하우징 몸체내에 3중 배관을 매립형성하고, 냉각매체를 유동시키는 냉각루프와, 가열매체를 유동시키는 가열루프를 구성하여 상기 3중 배관으로 유동시켜 모터 하우징을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혹한기나 극지방에서의 모터 운전시 기동시에 적정온도로 가열하여 초기기동을 시키고, 이후 적정온도 이상일때 냉각모드로 전환하여 냉각매체를 유동시켜 냉각장치로서 운전 가능하다.
또한, 3개의 배관에 모두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킬 수도 있으며, 배관별로 냉각매체, 가열매체를 유동하게 할 수도 있고, 복수배관으로 매체를 유동시킬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배관에 진동흡수재를 충진시켜 소음억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장치를 면상발열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배관의 외표면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고온 급속 가열이 가능해져 가열모드에서 빠르게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면상발열페이스트를 이용한 가열장치를 구성하고, 하나의 펌프를 설치해 회수라인의 매체를 펌프로 직접 공급하거나 열교환기로 공급하게 선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열루프를 위한 가열매체 펌프를 구비하지 않고도 냉각모드와 가열모드 운전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단일 펌프를 이용하는 구성은 하우징 몸체내에 매립되는 배관이 단일 배관, 이중 배관 또는 3중배관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모터하우징 덮개 20 : 하우징 몸체
21 : 인너 하우징 몸체 22 : 아웃터 하우징 몸체
30 : 배관 31, 32, 33 : 제1, 제2, 제3배관
100 : 냉각콘트롤러 110 : 냉각루프
111 : 열교환기 112 : 냉각매체 펌프
120 : 가열루프 121 : 가열장치
122 : 가열매체펌프 130 : 배관선택수단
131,132 : 제1,제2쓰리웨이밸브 133, 134, 135 : 선택밸브
V1 - V5 : 개폐밸브 T1, T2 : 온도센서
201 : 절연층 202 : 면상발열페이스트층
203 : 전극부 204 : 하우징 부재

Claims (14)

  1. 모터 하우징 냉각 장치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 몸체 내에 매립 설치된 제1,제2,제3 배관과;
    상기 제1배관으로 유동시키는 냉각매체를 펌핑하는 냉각매체펌프 및 상기 제1배관으로부터 회수되는 냉각매체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각루프와;
    상기 제2배관으로 유동시키는 가열매체를 펌핑하는 가열매체펌프 및 상기 제2배관으로 유동시키는 가열매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가열루프와;
    상기 제3배관에 충진시켜 진동소음을 흡수하는 진동흡수재와;
    상기 냉각매체펌프와, 상기 가열매체 펌프, 상기 가열장치를 운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냉각루프 및 가열루프의 회수라인 온도센서를 통해 회수되는 매체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 범위로 유지되도록 운전을 제어하는 냉각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중 배관은,
    상기 하우징 몸체의 수평 단면에 대해서 안쪽에서 외측으로 제1,제2,제3배관이 차례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중 배관은,
    하우징 몸체의 수평단면에 대해서 안쪽에 제1배관이, 제1배관의 외측에 제2, 제3배관이 상하로 적층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중 배관은,
    하우징 몸체의 수평단면에 대해서 안쪽에 제1, 2배관이 상하로 적층되고, 그 외측에 제3배관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중 배관은,
    하우징 몸체의 수평단면에 대해서 안쪽에 제1, 2, 3배관이 상하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배관은 일체형으로 하우징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나선형상으로 매립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제3배관은,
    하우징 몸체와 동일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일체형 3중배관으로 형성되고, 하우징 몸체 내에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콘트롤러는,
    상기 냉각루프 및 가열루프의 회수라인의 매체 온도를 검출하여 설정된 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제2배관에 선택적으로 냉각매체 또는 가열매체가 유동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코일형 히터장치 또는 열전소자모듈을 이용한 가열장치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도체배관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탄소나노튜드 또는 탄소나노튜브-금속 복합제와 실리콘 접착제를 포함하는 세라믹 페이스트로 이루어진 면상발열페이스트층과;
    상기 면상발열체페이스트층 양단에 형성되는 양단 전극부와;
    상기 양단 전극부와 면상발열체페이스트층을 포함하는 외표면을 절연체로 감싸는 하우징부재와;
    상기 양단 전극부에 전류를 공급하여 면상발열체페이스트를 발열시키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면상발열페이스트를 이용한 가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가열매체를 유동시키는 배관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콘트롤러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가 제어되어 가열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12. 모터 하우징 몸체에 냉각배관을 설치하고, 냉각배관으로 냉각매체를 유동시켜 모터를 냉각시키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의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항의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하여 전기자동차의 동력원 모터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13. 모터 하우징 몸체에 냉각배관을 설치하고, 냉각배관으로 냉각매체를 유동시켜 모터를 냉각시키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의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항의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하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원 모터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14. 모터 하우징 몸체에 냉각배관을 설치하고, 냉각배관으로 냉각매체를 유동시켜 모터를 냉각시키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한 수소자동차(Fuel Cell Vehcile)에 있어서,
    상기 수소자동차의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항의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하여 수소자동차의 동력원 모터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한 수소자동차.
KR1020170146625A 2017-11-06 2017-11-06 모터하우징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KR20190051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25A KR20190051222A (ko) 2017-11-06 2017-11-06 모터하우징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25A KR20190051222A (ko) 2017-11-06 2017-11-06 모터하우징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222A true KR20190051222A (ko) 2019-05-15

Family

ID=66579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625A KR20190051222A (ko) 2017-11-06 2017-11-06 모터하우징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12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698B1 (ko) * 2021-10-22 2022-02-14 주식회사 하이스트코리아 리모트 콘트롤용 모터냉온(冷溫)면접촉식 스마트 서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14A (ko) 2014-08-22 2016-03-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접촉식 냉각 채널 구조의 하우징을 갖는 모터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14A (ko) 2014-08-22 2016-03-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접촉식 냉각 채널 구조의 하우징을 갖는 모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698B1 (ko) * 2021-10-22 2022-02-14 주식회사 하이스트코리아 리모트 콘트롤용 모터냉온(冷溫)면접촉식 스마트 서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640B2 (en) Exhaust gas waste heat recovery
US20080292948A1 (en) Battery cooling system and methods of cooling
US11808362B2 (en) Apparatus for handling fluid within an at least partially electrically driven vehicle
KR20190051234A (ko) 모터 하우징 가열/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KR101764598B1 (ko) 냉각수 히터
JP2006067793A (ja) 液体冷却式スイッチドリラクタンス電気機械
KR20210056729A (ko) 차량 통합 열관리 멀티포트 밸브
JP2013095409A (ja) バッテリ暖機装置およびバッテリ暖機方法
US20120125593A1 (en) Cooling system for vehicle
JP2013119259A (ja) 車載用バッテリ温度調整装置
WO2008062810A1 (fr) Système de stockage thermique pour véhicule
US20080292945A1 (en) Battery heating system and methods of heating
CN218489420U (zh) 热管理集成模块、热管理系统和车辆
CN201561667U (zh) 一种组合散热器
RU2633109C1 (ru) Устройство жидкост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агрегатов электромобиля
JP2008530499A (ja) 生活用水加熱ユニットおよび生活用水を加熱する方法
KR20190051222A (ko) 모터하우징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KR20190051220A (ko) 3중 배관 모터하우징 냉각장치
CN103847503B (zh) 电动汽车冷却系统及电动汽车
KR20190051227A (ko) 모터하우징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KR20190051229A (ko) 모터하우징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KR20190051236A (ko) 모터 하우징 가열/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JP3756502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冷却装置
JP2010196626A (ja) 車両用暖機システム、これに用いる蓄熱器及び暖機用熱交換器
KR101724751B1 (ko) 이중관이 적용된 연료전지 차량의 스택용 라디에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