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132A - 가동 케이블 - Google Patents

가동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132A
KR20190051132A KR1020170146453A KR20170146453A KR20190051132A KR 20190051132 A KR20190051132 A KR 20190051132A KR 1020170146453 A KR1020170146453 A KR 1020170146453A KR 20170146453 A KR20170146453 A KR 20170146453A KR 20190051132 A KR20190051132 A KR 20190051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d
clamp
fixing
support member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1943B1 (ko
Inventor
제준호
Original Assignee
(주) 제이에이치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이에이치컴퍼니 filed Critical (주) 제이에이치컴퍼니
Priority to KR1020170146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9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단위관절이 결합되어 인접한 단위관절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동하여 기설정된 곡률의 굴절각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된 다수개의 단위관절 양 끝단에 결합되되,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다관절지지부재; 하나 이상의 다관절지지부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드(POD);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를 결합시켜 형성된 양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에 상기 포드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다관절지지부재와 상기 전선을 결속하며, 상기 다관절지지부재의 끝단을 고정하여 형성된 고정력이 상기 다관절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달되록 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면에 상기 포드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각각 끼워짐으로써, 상기 포드의 폭에 따라 상기 다관절지지부재의 고정 지지점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조절되도록 하여, 전선과 함께 다관절지지부재를 비롯한 악세사리 등이 설치될 때, 규격, 위치 등의 제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설치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홈이 기설정된 너비로 다시 분할되어 사용됨으로써, 다관절지지부재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가 케이블의 규격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규격화된 고정홈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다관절지지부재와 고정부재가 고정홈에 삽입될 때, 슬라이딩되지 않고 전후좌우 방향으로 고정되어 설치됨으로써, 설치 과정에서 흔들림이 경감되어 설치자가 용이하게 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동 케이블{Movable cable}
본 발명은 가동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공작 기계, 토목 기계, 반송 장치 등의 이동식 또는 가반(可搬)식의 이동체에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공압/유압식 장치에 해당 유체를 제공하는 공압/유압 케이블, 및 원재료의 필렛 또는 윤활유 등과 같은 소모품을 공급하는 공급 케이블 등이 연결되어 이동체의 경로를 따라 왕복 또는 반복된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케이블의 이러한 왕복 또는 반복된 동작은 기계 장치의 본체 또는 제작되는 제품과 상호 간섭을 하게 되어,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거나 제작 장치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문제와 함께, 케이블 자체의 꼬임, 뒤틀림, 또는 반복된 인장력에 의한 케이블의 피로 파괴 등을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최근 케이블을 지지하여 안내하는 보호 안내 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43953호, (공고일: 2017년06월07일), 발명의 명칭: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한 케이블 및 적층형 케이블』에는 다관절지지부재(211)가 복수의 전선(221)들과 함께 포드(200)에 삽입되어 전선(221)들에 지지력을 제공할 때, 상기 포드(200)를 수용하여 결속하며 다관절지지부재를 고정하여 지지력의 고정 지지점을 형성하는 클램프(310, 320)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특허 문헌에는 가이드홈(520)의 구성과 상기 가이드홈(52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지지부재연결수단(215), 및 고정부재(700)의 구성을 개시하여, 클램프(310, 320) 내의 다관절지지부재(211)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클램프(310, 3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되는 고정되는 가이드홈(520)의 구성은 클램프(310, 320) 내의 포드(200)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일체화되어 연장형성됨으로써, 전선(221) 또는 다관절지지부재(211)의 규격, 위치, 배열 등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성으로 여겨지나, 다만, 그 유연함으로 인하여 상하부 클램프(330, 340)가 결합되어 클램프(310, 320)을 형성하기 이전에는 지지부재연결수단(215)과 고정부재(700)가 가이드홈(520)에서 자유로이 유동되어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조립 시 설치자의 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지지부재연결수단(215)이 클램프(310, 320) 내에서 포드(200)의 길이방향으로만 고정될 뿐,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는 고정되지 않고 자유로이 유동되어, 외력에 의해 클램프(310, 320) 내에서 전선(221)이 한 쪽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케이블의 꼬임 현상이나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43953호, (공고일: 2017년06월07일), 발명의 명칭: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한 케이블 및 적층형 케이블』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과 함께 다관절지지부재를 비롯한 악세사리 등이 설치될 때, 규격, 위치 등의 제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가동 케이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다수개의 단위관절이 결합되어 인접한 단위관절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동하여 기설정된 곡률의 굴절각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된 다수개의 단위관절 양 끝단에 결합되되,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다관절지지부재; 하나 이상의 다관절지지부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드(POD);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를 결합시켜 형성된 양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에 상기 포드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다관절지지부재와 상기 전선을 결속하며, 상기 다관절지지부재의 끝단을 고정하여 형성된 고정력이 상기 다관절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달되록 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면에 상기 포드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각각 끼워짐으로써, 상기 포드의 폭에 따라 상기 다관절지지부재의 고정 지지점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조절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선과 상기 다관절지지부재의 간격을 지지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선 상호 간의 간격을 지지하도록, 일면에 상기 고정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다관절지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폭 방향으로 단수개 또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홈에 각각 수용됨으로써, 상기 다관절지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폭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지지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에 의한 고정 지지점의 간격이 조밀해지도록, 내부 중단에 상기 클램프 인입 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분할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면에, 상기 포드가 상기 상부 클램프와 상기 하부 클램프의 결합력에 의해 압착되어 끼워질 때, 압력에 의해 변형된 상기 포드의 외피가 끼워져 고정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끼임홈 또는 끼임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임홈은, 상기 포드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포드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된 구조로 마련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을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으로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임돌기는, 상기 포드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연장형성되거나 일정 간격을 두고 끊어진 구조로 마련되되, 상기 포드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된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포드의 외피가 끼일 수 있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와 상기 포드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클램프와 상기 하부 클램프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포드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탄성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탄성패드를 수용하도록, 상기 탄성패드의 형상과 대응되는 인입된 형상의 패드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패드가 상기 포드의 인입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상부 클램프와 상기 하부 클램프의 맞닿는 면에 상기 포드의 인입방향을 따라 포드파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클램프와 상기 하부 클램프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포드의 돌출된 외피가 가압됨으로써, 상기 포드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관절지지부재 또는 고정부재를 비롯한 악세사리를 고정하는 고정홈이 포드의 폭을 따라 클램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전선의 규격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되어 설치될 수 있다.
둘째, 고정홈이 복수개로 사용되어 일정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다관절지지부재 및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악세사리들이 포드의 인입방향을 기준으로 전후좌우 고정되어 설치 과정에서 흔들림이 경감되어 설치가자 용이하게 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다.
셋째, 클램프 내의 여러 고정 구조가 마련되어 포드를 가압/고정함으로써, 포드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여 포드의 형태의 변형 또는 구조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케이블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지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홈을 이용한 포드와 클램프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드가 클램프에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지지부재의 위치 및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드 피복을 가압하여 고정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밴드를 이용하여 포드를 클램프에 고정시키는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드의 피복을 파지하여 포드를 클램프에 파지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가 적층되어 사용되는 가동 케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사상은 크게 포드 내의 다관절지지부재를 고정하여 클램프와 포드의 고정 구조를 형성하는 기술, 포드 내의 전선을 가압하여 클램프와 포드의 고정 구조를 형성하는 기술, 및 포드 자체를 고정하여 클램프와 포드의 고정 구조를 형성하는 기술로 구성된다.
우선, 포드 내의 다관절지지부재를 고정하여 클램프와 포드의 고정 구조를 형성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케이블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지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가동 케이블(100)은 왕복 또는 경로 상의 반복된 동작을 실시하는 이동체에 전력 및 소모되는 원료 또는 재료들을 공급하기 위해 이동체에 연결되어 유동하는 것으로, 포드(110) 및 클램프(120)로 구성된다.
포드(110)는 복수의 전선(111)을 수용하여, 수용된 전선(111)들이 동일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또는 유동하게 하는 것으로, 전선(111)의 피복 형상에 대응하는 전선(111)이 삽입되는 외피의 결합체이다.
구체적으로, 포드(110)는 전선(111)뿐만 아니라 전선(111)에 지지력을 부가하는 다관절지지부재(112)를 함께 수용하여 유동함으로써, 다관절지지부재(112)를 통해 전선(111)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여 전선(111)의 내구력을 보강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다관절지지부재(112)의 기술적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관절지지부재(112)는 단위관절(112a) 및 지지부재연결수단(112b)을 포함한다.
단위관절(112a)은 양단에 각각 원통형이 중공된 돌기홈과, 그 돌기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힌지 결합함으로써, 각 단위관절(112a)은 인접한 단위관절(112a)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다만, 전선(111)의 굴곡 각도를 고려하여 각 단위관절(112a)의 회동 각도는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할 수 없도록 설정되어, 각 단위관절(112a)이 형성하는 전체적인 곡률에 의해 전선(111)이 굴곡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재연결수단(112b)은 다수개로 이루어진 단위관절(112a) 결합체의 양 단에 각각 마련되어 클램프(120)에 고정됨으로써, 클램프(120) 상에 다관절지지부재(112)의 고정 지지점을 형성한다. 이때, 클램프(120)와 다관절지지부재(112)의 고정 구조는 지지돌기(112c)와 고정홈(123)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클램프(120)는 내부에 포드(110)를 수용하여 포드(110)의 고정 구조 또는 가압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전선(111)과 다관절지지부재(112) 사이에 결속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클램프(120a)와 하부 클램프(120b)의 결합을 통해 포드(110)의 길이방향의 끝단 또는 중단을 감싸는 구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클램프(120)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결합볼트(121), 연결부재(122), 고정홈(123), 및 고정부재(124)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홈을 이용한 포드와 클램프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드가 클램프에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지지부재의 위치 및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결합볼트(121)는 클램프(12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공(112a)과 나사결합하여 상부 클램프(120a)와 하부 클램프(120b)에 결합력을 제공한다. 이때, 결합볼트(121)의 나사결합되는 길이를 이용하여 상하부 클램프(120b)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나사 결합되는 회전수에 의해 상하부 클램프(120b)의 결합을 위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연결부재(122)는 상술한 결합볼트(121)의 나사 길이에 의해 상하부 클램프(120b)의 간격을 조절할 때, 상하부 클램프(120b) 사이에 끼워져 상하부 클램프(120b)의 일정 간격 유지를 위한 공간을 채운다.
고정홈(123)은 상술한 지지부재연결수단(112b)의 지지돌기(112c)가 안착 및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인입홈으로 마련되어,
상술한 다관절지지부재(112)의 지지돌기(112c)가 끼워져 형성된 고정 구조를 통해 다관절지지부재(112)를 클램프(120)에 고정시킨다. 고정홈(123)의 가로/세로 크기는 지지부재연결수단(112b)이 폭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포드(110)의 전선 삽입홀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홈(123)은 포드(11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형성되어 여러 군데의 각기 다른 고정 지지점을 제공함으로써, 전선(111), 다관절지지부재(112), 및 악세사리의 규격, 위치, 배열에 의한 설치 제약을 경감할 수 있다.
고정부재(124)는 지지부재연결수단(112b)이 고정홈(123)에 끼워져 고정될 때, 지지부재연결수단(112b)의 고정력을 포드(11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지지부재연결수단(112b)과 그에 인접한 전선(111) 사이에 끼워지거나, 복수의 전선(111) 사이에 끼워져 고정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24)의 저면에는 지지돌기(112c)와 같은 형태의 고정돌기(124a)가 구비되어 고정홈(123)에 끼워짐으로써, 상술한 고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홈(123)은 각각의 모서리가 각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보다 일정곡률을 갖는 라운드진 형태로 마련되어 고정홈(123)의 사각을 최소화함으로써, 고정홈(123) 내부에 외부 유입물에 의한 고정 경로의 간섭을 경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홈(123)은 전선(111), 다관절지지부재(112), 및 악세사리의 고정을 위해 그 간격이 보다 조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고정홈(123) 내부에 분할턱(123a)이 마련될 수 있다.
분할턱(123a)은 고정홈(123)의 고정 구조가 보다 조밀하게 형성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보다 세부적인 고정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설치되는 고정 구조물의 형상, 배치, 위치(도 5 참조) 등에 따른 제약을 경감하여 보다 유연하게 대응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분할턱(123a)은 고정홈(123)의 깊이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분할턱(123a)에 의해 형성된 고정홈(123)의 구조와 분할턱(123a)이 형성되지 않았을 때의 고정홈(123)의 구조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돌기(112c)는 분할턱(123a)이 없는 고정홈(123)의 크기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고정홈(123)에 삽입될 수 있고, 고정돌기(124a)는 분할턱(123a)이 있는 고정홈(123)의 크기의 절반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지지돌기(112c) 즉, 다관절지지부재(112)는 외력에 의해 클램프(120)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있어 지지돌기(112c)는 일정 폭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정돌기(124a), 고정부재(124)는 클램프(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외력에 의한 이탈보다는 전선(111) 사이사이 또는 전선(111)과 다관절지지부재(112) 사이사이에 끼워져 간격을 형성하는 적용성 내지 범용성에 주안점을 두어, 각 돌기의 크기가 달리 사용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다음으로, 포드 내의 전선을 가압하여 클램프와 포드의 고정 구조를 형성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드 피복을 가압하여 고정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밴드를 이용하여 포드를 클램프에 고정시키는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20)의 수용면에는 앞서 설명한 고정홈(123)의 위치의 반대편 즉, 포드(110)가 인입되는 부분에 끼임홈(125) 또는 끼임돌기(126)가 형성되어 포드(110)를 가압 및 클램프(120)가 포드(110)를 파지함으로써, 포드(110)가 클램프(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전선(111)의 유동이 다관절지지부재(112)의 유동 내에 구속되게 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클램프(120)의 수용면에는 포드(11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함몰된 구조의 끼임홈(125)이 형성되거나, 원형 또는 타원 형태의 끼임홈(125)이 수용면 내 기설정된 간격으로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클램프(120) 내에 수용되는 포드(110)는 클램프(120)의 파지 구조에 의해 가압되어 압착될 때, 함몰된 형태의 끼임홈(125)에 피복의 일부가 눌려 삽입됨으로써, 포드(110)의 피복이 마찰을 위한 돌기로 작용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클램프(120)의 수용면에는 도 6a와 유사한 구조의 끼임돌기(1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역시, 클램프(120) 내에 수용되는 포드(110)는 클램프(120)의 파지 구조에 의해 가압되므로, 끼임돌기(126)를 형성하여 포드(110)의 피복이 끼임돌기(126)에 의해 함몰과 융기함으로써, 도 6a의 끼임홈(125)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다만, 도 6b의 끼임돌기(126)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만들어질 필요는 없으나, 대신 포드(11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거나, 기설정된 길이만큼 끊어진 형태 즉, 중간중간 단절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교차하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전선(111)들끼리 모이거나 벌어지게 형성하여, 포드(110) 내에 삽입된 전선(111) 간의 고정 구조를 공고히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6c를 참조하면, 클램프(120)의 수용면에 마찰면(127)을 형성하여 포드(110)가 클램프(120) 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하부 클램프(120b)의 가압 구조는 포드(110)의 피복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어, 큰 가압력 대신 작은 가압력이 작용하더라도 고정 구조가 형성될 수 있도록, 클램프(120)의 수용면 전체에 마찰 돌기 또는 마찰 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수용면 전체의 분산된 작은 마찰력을 이용하여 포드(110)의 고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클램프(120)의 구조가 함몰 또는 융기하지 않고, 포드(110)와 상하부 클램프(120b) 사이에 탄성패드(128)를 끼워넣어 포드(110)의 고정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패드(128)가 포드(110)와 상하부 클램프(120b)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상하부 클램프(120b)의 결합에 따른 가압력에 의해, 상하부로 압착되어 포드(110)를 가압함은 물론, 탄성에 의해 찌그러져 포드(110) 또는 전선(111)의 구석구석과 접해 늘어난 마찰면(127)적을 형성함으로써 클램프(120)에서의 포드(110)의 고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포드(110)의 구석구석에 마찰면(127)을 형성하기 위해서, 탄성 재질의 패드가 사용되어, 가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어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부분에도 패드가 침투 또는 침입하여 마찰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가압력에 의한 마찰력을 형성하여, 보다 견고한 고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탄성패드(128)가 수용될 수 있는 패드수용홈(128a)이 클램프(120)의 수용면에 형성되어 탄성패드(128)를 수용함으로써, 포드(110)의 길이방향의 유동을 크게 경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포드 자체를 고정하여 클램프와 포드의 고정 구조를 형성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드의 피복을 파지하여 포드를 클램프에 파지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드(110)가 전선(111)의 피복 또는 다관절지지부재(112)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때, 폭 방향의 양 단에는 포드(110) 접합면의 연장부가 형성된다.
포드(110) 접합면의 연장부는 포드(110) 내의 전선(111) 및 피복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포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력을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포드(110)의 가장자리에 지지력을 전달함으로써, 포드(110) 내 전선(111) 및 다관절지지부재(112)가 용이하게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하부 클램프(120b)가 접하는 부분에는 포드파지홈(129)이 포드(110) 인입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상하부 클램프(120b)의 결합력에 의해 상하부 클램프(120b)에 포드(110) 접합면의 연장부가 파지됨으로써, 포드(110)에 고정 지지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포드파지홈(129)에는 도 5c에서 설명한 마찰면(127)이 형성되어 포드(110) 접함면 연장부의 고정력을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연결부재(122)에도 포드파지홈(129)이 형성되어 클램프(120)의 수용 공간이 변화에 따라 연결부재(122)가 사용될 때에도 상하부 클램프(120b)에 형성된 포드파지홈(129)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가 적층되어 사용되는 가동 케이블(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드(110) 및 클램프(120)는 복수개가 적층되어 사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개의 클램프(120)는 다수의 결합볼트(121) 및 연결부재(122)를 사용하여, 적층 구조를 형성하고, 전선(111)의 규격에 따라 지지부재연결수단(112b) 및 고정부재(124)를 배치하여 규격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가동 케이블
110 : 포드
111 : 전선
112 : 다관절지지부재
112a : 단위관절
112b : 지지부재연결수단
112c : 지지돌기
120 : 클램프
120a : 상부 클램프
120b : 하부 클램프
121 : 결합볼트
121a : 결합공
122 : 연결부재
123 : 고정홈
123a : 분할턱
124 : 고정부재
124a : 고정돌기
125 : 끼임홈
126 : 끼임돌기
127 : 마찰면
128 : 탄성패드
128a : 패드수용홈
129 : 포드파지홈

Claims (8)

  1. 다수개의 단위관절이 결합되어 인접한 단위관절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동하여 기설정된 곡률의 굴절각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된 다수개의 단위관절 양 끝단에 결합되되,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다관절지지부재;
    하나 이상의 다관절지지부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드(POD);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를 결합시켜 형성된 양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에 상기 포드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다관절지지부재와 상기 전선을 결속하며, 상기 다관절지지부재의 끝단을 고정하여 형성된 고정력이 상기 다관절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달되록 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면에 상기 포드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각각 끼워짐으로써, 상기 포드의 폭에 따라 상기 다관절지지부재의 고정 지지점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과 상기 다관절지지부재의 간격을 지지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선 상호 간의 간격을 지지하도록, 일면에 상기 고정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다관절지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폭 방향으로 단수개 또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홈에 각각 수용됨으로써, 상기 다관절지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폭 변화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케이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지지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에 의한 고정 지지점의 간격이 조밀해지도록, 내부 중단에 상기 클램프 인입 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분할턱;을 포함하는
    가동 케이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면에, 상기 포드가 상기 상부 클램프와 상기 하부 클램프의 결합력에 의해 압착되어 끼워질 때, 압력에 의해 변형된 상기 포드의 외피가 끼워져 고정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끼임홈 또는 끼임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케이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홈은,
    상기 포드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포드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된 구조로 마련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을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으로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케이블.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돌기는,
    상기 포드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연장형성되거나 일정 간격을 두고 끊어진 구조로 마련되되, 상기 포드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된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포드의 외피가 끼일 수 있는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케이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와 상기 포드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클램프와 상기 하부 클램프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포드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탄성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탄성패드를 수용하도록, 상기 탄성패드의 형상과 대응되는 인입된 형상의 패드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패드가 상기 포드의 인입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케이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상부 클램프와 상기 하부 클램프의 맞닿는 면에 상기 포드의 인입방향을 따라 포드파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클램프와 상기 하부 클램프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포드의 돌출된 외피가 가압됨으로써, 상기 포드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케이블.
KR1020170146453A 2017-11-06 2017-11-06 가동 케이블 KR102001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53A KR102001943B1 (ko) 2017-11-06 2017-11-06 가동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53A KR102001943B1 (ko) 2017-11-06 2017-11-06 가동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132A true KR20190051132A (ko) 2019-05-15
KR102001943B1 KR102001943B1 (ko) 2019-07-23

Family

ID=66579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453A KR102001943B1 (ko) 2017-11-06 2017-11-06 가동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9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625A1 (ko) * 2019-07-31 2021-02-04 주식회사 성엔지니어링 원포드 지퍼락용 클램프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021B1 (ko) * 2016-02-23 2016-07-15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다목적 공간부를 갖는 케이블
KR20160121936A (ko) * 2015-04-13 2016-10-21 성문규 케이블류 지지 보호유닛
KR20160125774A (ko) * 2015-04-22 2016-11-01 성문규 호스를 이용한 케이블 지지 보호유닛
KR101743953B1 (ko) 2017-01-23 2017-06-07 성호철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한 케이블 및 적층형 케이블
KR101765509B1 (ko) * 2016-11-21 2017-08-07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태양광 설비 제조에 사용되는 다목적 공간부를 갖는 케이블 및 다목적 공간부를 갖는 적층형 케이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936A (ko) * 2015-04-13 2016-10-21 성문규 케이블류 지지 보호유닛
KR20160125774A (ko) * 2015-04-22 2016-11-01 성문규 호스를 이용한 케이블 지지 보호유닛
KR101640021B1 (ko) * 2016-02-23 2016-07-15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다목적 공간부를 갖는 케이블
KR101765509B1 (ko) * 2016-11-21 2017-08-07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태양광 설비 제조에 사용되는 다목적 공간부를 갖는 케이블 및 다목적 공간부를 갖는 적층형 케이블
KR101743953B1 (ko) 2017-01-23 2017-06-07 성호철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한 케이블 및 적층형 케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625A1 (ko) * 2019-07-31 2021-02-04 주식회사 성엔지니어링 원포드 지퍼락용 클램프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943B1 (ko) 201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2654B2 (en) Flat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43953B1 (ko)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한 케이블 및 적층형 케이블
US10311999B2 (en) Cable having multipurpose space area
KR101555279B1 (ko)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한 케이블
CN101855786B (zh) 马镫式电力应用电连接器组件
KR101703496B1 (ko) 호스를 이용한 케이블 지지 보호유닛
KR10181568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내진 장치
US7819706B2 (en) Wedge tap connector
KR101703495B1 (ko) 케이블류 지지 보호유닛
US9557507B2 (en) Device for fixing wires
KR102001943B1 (ko) 가동 케이블
WO2011027614A1 (ja) ケーブル固定構造及び現金自動預払機
EP1513228B1 (en) Connector having an engaging member for holding a cable
EP3352314B1 (en) Cables and stacked cables including multi-joint supporting member
KR101873114B1 (ko)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CA2922175C (en) Fastening device
JP2018115714A (ja) 配線・配管材の横ずれ防止構造、横ずれ防止具、横ずれ防止装置及び横ずれ防止方法
JP2018011495A (ja) 掴線器
KR101177840B1 (ko) 케이블 접지 장치
KR100522081B1 (ko) 접속용 정착구 및 긴장재
KR102412326B1 (ko) 철근연결구
KR200451493Y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239486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CA3022610A1 (en) Coupling device for releasably connecting conduit portions
KR20220147417A (ko) 케이블 포드용 클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