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426A - 피복 장착형 카메라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피복 장착형 카메라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426A
KR20190050426A KR1020170145816A KR20170145816A KR20190050426A KR 20190050426 A KR20190050426 A KR 20190050426A KR 1020170145816 A KR1020170145816 A KR 1020170145816A KR 20170145816 A KR20170145816 A KR 20170145816A KR 20190050426 A KR20190050426 A KR 20190050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ixed
pivoting
leve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충기
홍대건
Original Assignee
홍충기
홍대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충기, 홍대건 filed Critical 홍충기
Priority to KR102017014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0426A/ko
Publication of KR2019005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복 장착형 카메라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끼 등의 피복에 설치되어 카메라의 지지대를 장착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피복에 장착된 상태에서 좌우 흔들림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카메라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착용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자세 변화 과정에서 그에 맞게 형상이 변화하여 항시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 기술이다.
또한 피복에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피복으로부터 분리시켜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Description

피복 장착형 카메라 장착장치{Devices with multifunction camera to be taken}
본 발명은 피복 장착형 카메라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끼 등의 피복에 설치되어 카메라를 장착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피복에 장착된 상태에서 좌우 흔들림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카메라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착용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자세 변화 과정에서 그에 맞게 형상이 변화하여 항시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 기술이다.
또한 피복에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피복으로부터 분리시켜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기타 카메라가 동시에 장착되어 동시에 촬영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게 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사용할 때 반드시 손으로 카메라를 잡은 상태로 카메라 전체를 들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카메라 외에 들어야 하는 짐이 많을 경우 이동하기가 불편하고 이동 중에는 카메라 촬영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 외에도 야외에서의 사진촬영 등을 할 때 카메라와 기타 물품을 동시에 잡아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사진촬영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방끈에 클립구조를 설치하고 카메라손잡이 자체도 클립구조로 제작하여 각 클립간 체결을 통해 카메라가 가방끈 상에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카메라의 최 하단에서 체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카메라가 쉽게 흔들리게 되고 흔들림 과정에서 하중이 집중되어 체결부위가 쉽게 파손될 우려가 크다.
또한 위 기술은 손잡이가 클립구조의 카메라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카메라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조끼 등의 피복에 설치되어 카메라의 지지대를 장착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피복에 장착된 상태에서 좌우 흔들림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카메라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착용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자세 변화 과정에서 그에 맞게 형상이 변화하여 항시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피복에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피복으로부터 분리시켜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스마트폰에 의한 촬영과 기타 카메라가 함께 동시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 범위 등이 다양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된 피복 상에 부착고정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본체, 상기 고정본체를 관통하고 있는 회동축, 상기 고정본체와 마주본 상태에서 상기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회동 과정에서 상기 고정본체와의 간격이 벌어졌다 오므라드는 회동본체,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하고 단부가 상기 고정본체에 나사체결되어 있는 레버를 포함하고 카메라의 지주가 상기 고정본체와 회동본체 사이 간격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본체의 회동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피복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사용자 상체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고정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축 상에 설치되어 단부가 상기 회동본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본체가 회동하여 고정본체와의 간격이 오므라들었을 때 벌어지는 방향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되는 자동복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의 측부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관통한 후 단부가 상기 회동본체 또는 고정본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나사체결되어 있는 각도조절 레버, 상기 베이스판 중 상기 각도조절과 레버와 반대방향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본체를 관통하고 있는 메인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본체와 회동본체는 상기 메인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구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조끼 등의 피복에 설치되어 카메라의 지지대를 장착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피복에 장착된 상태에서 좌우 흔들림 등의 현상이 방지되어 카메라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항시 안정적인 착용감을 얻을 수 있으며 자세 변화 과정에서 그에 맞게 형상이 변화하여 항시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피복에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피복으로부터 분리시켜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고정본체와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에서 카메라 지주를 간격내에 삽입한 뒤 레버를 회전시켜 회동본체가 회동되면서 고정본체와의 간격이 좁혀짐에 따라 고정본체와 회동본체가 카메라지주를 물고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카메라지주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흔들림 현상등이 최소와 되어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카메라손잡이가 아닌 카메라 지주를 물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카메라손잡이의 구조 변화가 필요없기 때문에 모든 카메라의 적용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비롯해 타 카메라가 함께 동시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기능이 발휘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전체 사시도
도2는 전체 분해사시도
도3은 장착부의 사시도
도4는 스마트폰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5는 도4의 상태에서 타 카메라가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도5의 상태에서 피복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 개략도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카메라장착 장치는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판(100)과 고정본체(200), 회동본체(400), 회동축(500), 레버(600)를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판(100)은 본 발명의 전체 뼈대 역할, 즉 각 구성요소가 설치됨과 동시에 본 발명과 피복을 연결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평판 형태의 밀착편(110) 및 밀착편(110) 양측부에 대칭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편(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일측 가이드편(120)에는 곡선 형태의 가이드레일(122)이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양 가이드편(120) 사이에는 후술하는 고정본체(200)와 회동본체(400)가 위치될 공간부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판(100)은 밀착편(110)이 사용자 피목의 전면 상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는데, 이때 베이스판(100)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피복 내부에는 별도의 고정패널(2)이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패널(2)은 기다란 판재 형태로 피복(1) 내부에 위치되되 피복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한쪽 어깨 전체를 감쌀 수 있는 구조로 위치된다.
이를 위해 고정패널(2)은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크게에 따라 형태가 변형될 수 있도록하여 항시 사용자의 한쪽 어깨에 밀착된 상태로 감싸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베이스판(100)은 밀착편(110)이 피복(1) 중 고정패널(2)이 위치된 지점에 밀착된 상태에서, 별도의 볼트(710)를 통해 고정패널(2)에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피폭이 구겨지거나 주름지더라도 베이스판이 흔들리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고정본체(200)는 후술하는 회동본체(400)와 더불어 카메라지주를 고정하는 집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블록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후측면이 베이스판(100)의 밀착편(110)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고정본체(200)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움푹파인 형태의 제1요홈(201)이 고정본체(200)의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별도의 메인회전축(300)이 양 가이드편(120)과 고정본체(200)의 하측 단부를 동시에 관통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고정본체(200)는 메인회전축(300)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고정본체(200)의 내측면 중간지점에는 후술하는 레버(600)의 결합을 위한 나사공(222)이 형성되는데, 나사공(222)은 내측면으로 부터 아래를 향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본체(400)는 고정본체(200)와 더불어 카메라지주의 고정역할을 하되, 실질적으로 카메라지주에 가압력 적용 및 해제 기능을 하는 것으로, 고정본체와 동일한 길이의 블록구조이고 고정본체(200) 중 제1요홈(201)이 형성된 면과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이때 회동본체(400) 중 고정본체(200)와 마주보는 면에는 제1요홈(201)과 대칭구조의 제2요홈(401)이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제1요홈(201)과 제2요홈(401) 사이에는 삽입공간(S)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본체(400)는 상하단부가 고정본체의 상하단부를 감싸듯이 위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회동축(500)이 회동본체(400)와 고정본체(200)의 상하단부를 동시에 관통함에 따라 고정본체(200)와 연결됨은 물론, 회동축(50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회동본체(400)의 회동구조에 의해 회동과정에서 제1요홈(201)과 제2요홈(401) 간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게 되어, 결국 삽입공간(S)의 면적이 늘거나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설치된 회동본체(400)의 일측 둘레면에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410)이 형성는데, 가이드공은 회동본체(400)의 둘레면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사선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본체(200)의 나사공(222)과 동일한 각도 및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또한 고정본체(200)의 일측 둘레면 중 베이스판(100)의 가이드레일(122)과 동일선상의 지점에는 체결공(402)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600)는 회동본체(400)의 회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회동본체(400)를 통해 카메라 지주로 가압력을 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기다란 볼트핀(610) 단부에 회전손잡이(620)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레버(600)는 볼트핀(610)이 회동본체(400)의 가이드공(410)을 관통하여 고정본체(200)의 나사공(222)에 나사체결된다.
이러한 나사체결구조에 의해 레버(600)를 회전시키면 볼트핀을 비롯한 레버 전체가 나사공(222) 길이구간 내에서 사선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그리고 볼트핀(610)과 회전손잡이(620)간 연결지점에는 별도의 와셔(W)가 설치되어 레버(600)의 직선이동과정에서 회동본체(400)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함과 동시에 회동본체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회동본체의 외곽 곡선면이 와셔(W)와 미끌림 됨에 따라 회동본체가 쉽게 회동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서 고정본체(200) 및 회동본체(4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레버(700)가 더 설치되는데, 각도조절레버(700)는 볼트(710) 단부에 회전판(720)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 구조에서 볼트(710)가 베이스판(100)의 가이드레일(122)을 관통한 후 회동본체(400)의 체결공(402)에 체결된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회전판(720)을 회전시키면 나사체결구조에 의해 각도조절레버(700) 전체가 전후 직선이동되면서 회전판이 베이스판(100)을 가압하거나 이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볼트핀은 베이스판(100)의 가이드레일의 형성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와 더불어 회동축(500) 상에는 토션스프링 형태의 자동복귀부재(800)가 설치되는데, 자동복귀부재(800)는 레버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회동본체(400)가 자동으로 회동하여 고정본체(200)과의 간격이 자동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회동축(500)이 관통된 상태로 위치되고 단부는 회동본체(400)에 연결되어 회동본체가 고정본체(200)를 향해 회동될때에는 압축되도록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 및 [도 5]처럼 베이스판(100)에 타 구성요소가 모두 설치된 상태에서 베이스판(100)을 피복 표면에 밀착시킨 뒤 볼트를 통해 고정패널(2)과 고정연결한다.
카메라를 장착하기 전 상태에서는 [도 3]처럼 회동본체(400)가 외측을 향해 회동하여 제1요홈(201)과 제2요홈(401)간 간격이 벌어져 있는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 카메라를 장착하고자 할 경우, [도 3]과 [도 5]와 같이 카메라지주(3)를 제1요홈(201)과 제2요홈(401) 사이로 밀어넣은 뒤 [도 7]과 같이 회전손잡이(620)를 통해 레버(600)를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레버(600)의 볼트핀(610)은 나사체결구조에 의해 고정본체(200)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와셔(W)가 회동본체(400)를 밀어냄에 따라 회동본체(400)는 회동축(500)을 중심으로 고정본체(200)를 향해 회동된다.
이로 인해 제1요홈(201)과 제2요홈(401) 간 간격이 좁혀지다가 결국 제1요홈(201)과 제2요홈(401)이 카메라지주(3)를 물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레버(600)를 더 회전시켜 회동레버(600)를 더 회동시킴에 따라 회동본체(400)는 레버의 가압력에 의해 카메라지주(3)를 강하게 물게 된다.
이때 카메라지주(3)는 고정본체(200)와 회동본체(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회동본체(400)와 고정본체(200)가 카메라지주(3)를 물고 있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결국 안정적인 물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물림구조에 의해 카메라가 흔들리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레버(600)를 반대로 회전시켜 외부를 향해 직선이동되도록 하면 회동본체(4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자동복귀부재(800)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본체는 자동으로 회동하여 고정본체와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상체를 굽힌 상태가 오래지속될 경우 [도 10]과 같이 각도조절레버(700)를 회전시키면 각도조절레버(700)가 나사체결구조에 의해 외부를 향해 직선이동됨에 따라 회전판(720)이 가이드편(120)으로 부터 분리된다.
이로 인해 회동본체(400)와 고정본체(200)는 메인회전축(30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데, 회동과정에서 각도조절레버(700)의 볼트(710)가 가이드레일(122)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회동본체와 고정본체의 회동각도는 가이드레일의 길이구간 내로 한정된다.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각도조절레버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반대로 직선이동되다가 가압판이 가이드편(120)가 접촉되면서 가압함으로써 회동본체(400)와 고정본체(200)의 회동이 차단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개념에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Claims (1)

  1. 사용자 신체에 착용된 피복 상에 부착고정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본체, 상기 고정본체를 관통하고 있는 회동축, 상기 고정본체와 마주본 상태에서 상기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회동 과정에서 상기 고정본체와의 간격이 벌어졌다 오므라드는 회동본체,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하고 단부가 상기 고정본체에 나사체결되어 있는 레버,
    상기 피복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사용자 상체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고정패널,
    상기 회동축 상에 설치되어 단부가 상기 회동본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본체가 회동하여 고정본체와의 간격이 오므라들었을 때 벌어지는 방향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되는 자동복귀부재,
    상기 베이스판의 측부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관통한 후 단부가 상기 회동본체 또는 고정본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나사체결되어 있는 각도조절 레버, 상기 베이스판 중 상기 각도조절과 레버와 반대방향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본체를 관통하고 있는 메인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장착형 카메라 장착장치.
KR1020170145816A 2017-11-03 2017-11-03 피복 장착형 카메라 장착장치 KR20190050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816A KR20190050426A (ko) 2017-11-03 2017-11-03 피복 장착형 카메라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816A KR20190050426A (ko) 2017-11-03 2017-11-03 피복 장착형 카메라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426A true KR20190050426A (ko) 2019-05-13

Family

ID=6658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816A KR20190050426A (ko) 2017-11-03 2017-11-03 피복 장착형 카메라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04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1143A (zh) * 2022-06-30 2022-09-09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儋州供电局 用于电力工程安全纠察管理的移动执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1143A (zh) * 2022-06-30 2022-09-09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儋州供电局 用于电力工程安全纠察管理的移动执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5073B2 (en) Multi-configuration clamp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US10437137B2 (en) Removable lenses for mobile devices with on-board camera
US9695977B2 (en) Electronic device holder with tripod mount and hand grip
US10053890B2 (en) Holder
US9022673B2 (en) Device support and trigger apparatus
RU2015132165A (ru) Фиксирующее ремн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дивидуального защи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9033217A (ja) 撮像装置用保持装置
KR20190050426A (ko) 피복 장착형 카메라 장착장치
KR970011866A (ko) 스냅부재의 플럭저항측정기
KR20180112422A (ko) 피복용 우산 장착장치
KR101533540B1 (ko) 자동 수평 유지장치가 구비된 셀프 촬영 보조장치
KR20190050429A (ko) 피복용 다기능 카메라 장착장치
US3852788A (en) Camera outfit for connecting a flash unit to a photographic camera
KR100910704B1 (ko) 각도 조절장치
JP2016109893A (ja) レンズ鏡胴およびカメラ本体を同時に支持可能なカメラバランサ
KR101268159B1 (ko) 우산장착장치
EP3241710A1 (en) Load carrier foot
KR20030039208A (ko) 화상카메라 고정장치
CN108189953B (zh) 无夹子自行车踏板
KR910008289Y1 (ko) 비디오 카메라의 삼각대 고정장치
JPH07277091A (ja) 乗物に撮影機又は表示器を取り付ける装置
KR0139557Y1 (ko) 카메라에 부착되는 체스트 패드의 미세 조절장치
JPS58163808A (ja) 軸の支持機構
CA3135434A1 (en) Net holder and table tennis net set comprising a net holder
KR20180138118A (ko) 광학기기용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