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341A -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 Google Patents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341A
KR20190050341A KR1020170145637A KR20170145637A KR20190050341A KR 20190050341 A KR20190050341 A KR 20190050341A KR 1020170145637 A KR1020170145637 A KR 1020170145637A KR 20170145637 A KR20170145637 A KR 20170145637A KR 20190050341 A KR20190050341 A KR 20190050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electronic cigarette
solid material
cov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4154B1 (ko
Inventor
신종수
Original Assignee
신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수 filed Critical 신종수
Priority to KR1020170145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1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04Preliminary operations before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e.g. crimping, blooming
    • A24D3/0212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 A24D3/0216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the additive being in the form of capsules, bea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된 고체물질에 열을 가하여 연기를 생성 및 배출하는 흡입부와, 일단이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고체물질이 수납되는 공간인 캡슐수납부와, 상기 캡슐수납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고체물질을 저장하는 캡슐과, 상기 캡슐수납부 상에 형성되어 캡슐수납부의 상면을 덮는 커버가 수납되는 공간인 커버수납부와, 상기 캡슐수납부에 저장된 고체물질을 훈증시키는 가열부와, 훈증을 통해 생성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Electronic Cigarette Using Fumigation}
본 발명은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된 고체물질에 열을 가하여 연기를 생성 및 배출하는 흡입부와, 일단이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고체물질이 수납되는 공간인 캡슐수납부와, 상기 캡슐수납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고체물질을 저장하는 캡슐과, 상기 캡슐수납부 상에 형성되어 캡슐수납부의 상면을 덮는 커버가 수납되는 공간인 커버수납부와, 상기 캡슐수납부에 저장된 고체물질을 훈증시키는 가열부와, 훈증을 통해 생성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에 관한 것이다.
권련, 엽권련, 파이프 담배 등의 흡연식 담배 연기에는 타르,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등의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수없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폐암이나 순환기 질환 등과 같은 각종 질병을 유발하며, 흡연자의 건강뿐만 아니라, 흡연자가 흡연시 내뿜는 담배연기와 흡연한 장소에 잔류하는 유해성분들에 의해 주변 사람들에게까지 간접흡연으로 인한 피해를 주게 된다. 과거와 달리 흡연식 담배의 판매에 대하여 각종 규제가 강화되고 흡연장소를 제한하는 등의 흡연율을 낮추고 금연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이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담배에 포함된 니코틴 성분에 중독된 흡연자들이 하루아침에 담배를 끊어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흡연식 담배에 포함되어 있는 타르 등의 유해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니코틴을 포함한 용액을 기화시켜 연기를 생성하는 전자담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데, 이는 흡연자의 흡연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유해성이 적은 연기를 방출하게 되므로 흡연자 및 간접흡연자의 피해를 감소시켜, 금연을 원하는 흡연자들에게는 금연 보조수단으로까지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담배에 관한 사시도로, 이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556호(2015.10.19)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전자담배(9)는 크게, 액상물질을 저장하고 이를 기화시켜 사용자가 기화된 연기를 빨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91)와, 상기 흡입부(91)에 연결되어 액상물질의 기화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93)로 구분이 된다.
상기 흡입부(91)는, 액상물질이 저장되는 카트리지(911)와, 저장된 액상물질을 기화시키는 기화부(913)와, 사용자가 입으로 무는 부분인 마우스피스(915)를 포함한다. 상기 기화부(913)는 액상물질을 흡수하여 열을 가해 기화시키는 코일부(9131)를 포함하는데, 전자담배(9)는 상기 코일부(9131)의 위치에 따라서 상부 코일형과 하부 코일형으로 나뉜다. 상부 코일형은 코일부(9131)가 카트리지(911)의 상측에 위치한 것을 말하고, 하부 코일형은 코일부(9131)가 카트리지(911)의 하측에 위치한 것이다.
상기 상부 코일형의 경우 카트리지(911)에 액상물질(L)이 충분할 때에는 문제가 없지만, 액상물질(L)이 불충분할 경우 전자담배(9)의 코일부(9131) 내측으로 액상물질이 들어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바, 전자담배(9)의 사용자가 전자담배(9)를 수시로 뒤집거나 흔들어줘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고자 코일부(9131)를 카트리지(911)의 하측에 두어, 카트리지(911)에 남아 있는 액상물질(L)이 적더라도, 지속적으로 액상물질(L)이 코일부(9131)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이것이 하부 코일형 전자담배(9)이다. 하지만 종래의 하부 코일형 전자담배(9)의 경우 기화부(913)가 카트리지(911) 내에 위치하며 액상물질(L) 안에 잠겨 있는 형식이다 보니, 상부 코일형 전자담배(9)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또 다른 문제를 낳게 되었다.
액상물질을 기화시키는 방식의 전자담배(9)는 사용자가 마우스피스(915)를 통해 기체를 빨아 들이려고 할 때는, 기화되지 않은 높은 온도의 액상물질(L)이 흡기관(9133)을 통해 그대로 빨려 올라가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 불쾌감은 물론, 심각한 경우에는 구강 내 화상을 일으키기까지 했다.
또한 전자담배(9) 사용 후 흡입되지 않은 잔량의 기체가 흡기관 내에 남아 다시 액체로 액화되어 흡기관(9133) 내벽면에 붙게 되고, 그 양이 점차 누적되어 많아지게 됨으로써, 전자담배(9) 사용시 흡기관(9133) 내벽면에 붙은 액체가 사용자의 입으로 그대로 들어가거나, 전자담배(9)의 이음부 곳곳으로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공기 중 수분은 물론, 전자담배(9)의 액상물질 자체 성분에도 물이 존재하여, 가열된 수증기가 냉각되어 물이 됨으로써, 전자담배(9)의 누수현상을 일으켰다.
이러한 전술한 문제들은 곧 전자담배(9)의 성능저하로 이루어져, 풍부한 무화량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만족을 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액상물질을 전자담배(9)의 기화 재료로 사용하는 기존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식의 전자담배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된 고체물질에 열을 가하여 연기를 생성 및 배출하는 흡입부와, 일단이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고체물질이 수납되는 공간인 캡슐수납부와, 상기 캡슐수납부에 저장된 고체물질을 훈증시키는 가열부와, 훈증을 통해 생성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마우스피스를 구성하여, 고체물질에 뜨거운 열을 가하여 훈증에 의해 쪄내어 연기를 발생시킴에 따라, 기존의 액상물질을 이용한 전자담배에 발생하는 액상누수, 액상물질의 흡입 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캡슐수납부는, 상기 흡입부에 대해 내외측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캡슐이 수납되는 캡슐수납부의 내측공간이 완전히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고체물질이 저장된 캡슐을 상기 내측공간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캡슐수납부는, 내측공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내측공간에 캡슐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반대로 삽입된 캡슐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캡슐수납부는, 내벽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내측공간에 삽입된 캡슐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돌기는, 전자담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캡슐수납부의 내벽면 상에 돌출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캡슐의 용이한 수직적 움직임은 유지하면서 수평적 움직임을 더욱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캡슐수납부는, 전자담배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전자담배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상기 캡슐수납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 상기 캡슐수납부가 외측회전을 완료하면 상기 캡슐수납부의 내측공간이 주변 구성에 의해 가려지는 것 없이 모두 노출되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흡입부는, 상기 캡슐수납부 상에 형성되어 캡슐수납부의 상면을 덮는 커버가 수납되는 공간인 커버수납부를 구성하여, 전자담배를 휴대하는 과정에서 전자담배가 뒤집어 지거나, 흔들리는 등의 상황에서 고체물질이 캡슐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흡기시 흡입력에 의해 고체물질이 빨려 올라가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커버수납부는, 상기 흡입부에 대해 내외측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커버수납부에 안착되는 커버의 청소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커버수납부는, 상기 마우스피스와 결합하는 상기 흡입부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이격 설치되어, 상기 커버수납부 상측에 냉각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가열부에 의해 강한 열이 전달되어 상기 캡슐수납부에 놓인 캡슐이 가열되게 되면, 캡슐 내측에 저장된 고체물질이 훈증되어 연기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때 발생한 연기는 비교적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는바, 발생한 연기의 온도를 식히는 구간을 마련하여 전자담배 사용자의 구강 화상 등의 위험을 방지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커버수납부는, 내벽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단턱을 구성하여, 상기 단턱 상에 커버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전자담배를 휴대하는 과정에서 전자담배가 뒤집어 지거나, 흔들리는 등의 상황에서 고체물질이 캡슐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흡기시 흡입력에 의해 고체물질이 빨려 올라가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캡슐수납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고체물질을 저장하는 캡슐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캡슐을 전자담배 캡슐수납부에 끼워 넣는 행위만으로도 용이하게 전자담배의 맛을 변경하고, 본연의 맛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며, 사용이 완료된 고체물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캡슐은, 성형가능한 재료를 가지고 고체물질 저장공간을 포함한 얇은 박막형태로 형성하여, 캡슐의 성형성을 높이고, 캡슐의 제작비용을 낮추며, 열 전도율을 높여 훈증을 통해 발생하는 연기의 양이 풍부한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성형가능한 재료는, 일회용으로 구성하여, 사용이 완료된 캡슐은 버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높아진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성형가능한 재료는, 알루미늄 포일 또는 한지로 구성하여, 캡슐의 성형성을 높이고, 사용이 완료된 캡슐은 버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높아진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캡슐은, 상기 캡슐수납부의 내측공간의 형상과 상보적인 외주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캡슐이 캡슐수납부의 내측공간 상에 정확히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캡슐부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여, 캡슐수납부에 안착된 캡슐에 가열부로부터의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관통홀은, 상기 캡슐부의 하면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가열부로부터의 열 전달 효율을 높이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장된 고체물질에 열을 가하여 연기를 생성 및 배출하는 흡입부와, 일단이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고체물질이 수납되는 공간인 캡슐수납부와, 상기 캡슐수납부에 저장된 고체물질을 훈증시키는 가열부와, 훈증을 통해 생성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캡슐수납부는, 상기 흡입부에 대해 내외측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캡슐수납부는, 내측공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캡슐수납부는, 내벽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돌기는, 전자담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캡슐수납부의 내벽면 상에 돌출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캡슐수납부는, 전자담배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전자담배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상기 캡슐수납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흡입부는, 상기 캡슐수납부 상에 형성되어 캡슐수납부의 상면을 덮는 커버가 수납되는 공간인 커버수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커버수납부는, 상기 흡입부에 대해 내외측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커버수납부는, 상기 마우스피스와 결합하는 상기 흡입부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이격 설치되어, 상기 커버수납부 상측에 냉각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커버수납부는, 고체물질의 흡입을 막는 커버가 안착되도록 내벽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자담배는, 상기 캡슐수납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고체물질을 저장하는 캡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캡슐은, 성형가능한 재료를 가지고 고체물질 저장공간을 포함한 얇은 박막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성형가능한 재료는, 일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성형가능한 재료는, 알루미늄 포일 또는 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캡슐은, 상기 캡슐수납부의 내측공간의 형상과 상보적인 외주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캡슐은,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관통홀은, 상기 캡슐의 하면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된 고체물질에 열을 가하여 연기를 생성 및 배출하는 흡입부와, 일단이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고체물질이 수납되는 공간인 캡슐수납부와, 상기 캡슐수납부에 저장된 고체물질을 훈증시키는 가열부와, 훈증을 통해 생성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마우스피스를 구성하여, 고체물질에 뜨거운 열을 가하여 훈증에 의해 쪄내어 연기를 발생시킴에 따라, 기존의 액상물질을 이용한 전자담배에 발생하는 액상누수, 액상물질의 흡입 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캡슐수납부는, 상기 흡입부에 대해 내외측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캡슐이 수납되는 캡슐수납부의 내측공간이 완전히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고체물질이 저장된 캡슐을 상기 내측공간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캡슐수납부는, 내측공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내측공간에 캡슐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반대로 삽입된 캡슐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캡슐수납부는, 내벽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내측공간에 삽입된 캡슐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돌기는, 전자담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캡슐수납부의 내벽면 상에 돌출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캡슐의 용이한 수직적 움직임은 유지하면서 수평적 움직임을 더욱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은, 상기 캡슐수납부는, 전자담배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전자담배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상기 캡슐수납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 상기 캡슐수납부가 외측회전을 완료하면 상기 캡슐수납부의 내측공간이 주변 구성에 의해 가려지는 것 없이 모두 노출되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흡입부는, 상기 캡슐수납부 상에 형성되어 캡슐수납부의 상면을 덮는 커버가 수납되는 공간인 커버수납부를 구성하여, 전자담배를 휴대하는 과정에서 전자담배가 뒤집어 지거나, 흔들리는 등의 상황에서 고체물질이 캡슐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흡기시 흡입력에 의해 고체물질이 빨려 올라가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수납부는, 상기 흡입부에 대해 내외측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커버수납부에 안착되는 커버의 청소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수납부는, 상기 마우스피스와 결합하는 상기 흡입부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이격 설치되어, 상기 커버수납부 상측에 냉각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가열부에 의해 강한 열이 전달되어 상기 캡슐수납부에 놓인 캡슐이 가열되게 되면, 캡슐 내측에 저장된 고체물질이 훈증되어 연기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때 발생한 연기는 비교적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는바, 발생한 연기의 온도를 식히는 구간을 마련하여 전자담배 사용자의 구강 화상 등의 위험을 방지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수납부는, 내벽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단턱을 구성하여, 상기 단턱 상에 커버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전자담배를 휴대하는 과정에서 전자담배가 뒤집어 지거나, 흔들리는 등의 상황에서 고체물질이 캡슐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흡기시 흡입력에 의해 고체물질이 빨려 올라가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캡슐수납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고체물질을 저장하는 캡슐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캡슐을 전자담배 캡슐수납부에 끼워 넣는 행위만으로도 용이하게 전자담배의 맛을 변경하고, 본연의 맛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며, 사용이 완료된 고체물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캡슐은, 성형가능한 재료를 가지고 고체물질 저장공간을 포함한 얇은 박막형태로 형성하여, 캡슐의 성형성을 높이고, 캡슐의 제작비용을 낮추며, 열 전도율을 높여 훈증을 통해 발생하는 연기의 양이 풍부한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성형가능한 재료는, 일회용으로 구성하여, 사용이 완료된 캡슐은 버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높아진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성형가능한 재료는, 알루미늄 포일 또는 한지로 구성하여, 캡슐의 성형성을 높이고, 사용이 완료된 캡슐은 버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높아진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캡슐은, 상기 캡슐수납부의 내측공간의 형상과 상보적인 외주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캡슐이 캡슐수납부의 내측공간 상에 정확히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캡슐부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여, 캡슐수납부에 안착된 캡슐에 가열부로부터의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관통홀은, 상기 캡슐부의 하면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가열부로부터의 열 전달 효율을 높이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전자담배에 관한 도면.
도 2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캡슐수납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C-C' 단면도.
도 7은 캡슐의 관통홀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캡슐이 캡슐수납부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캡슐이 캡슐수납부에서 이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2의 커버수납부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 및 이동은 각 도면에 화살표로 표현된 방향에 따라 정의되며, 필요에 따라 본문 내에서 별도로 정의된다.
도 2는 본 발명인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캡슐수납부 분해사시도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1)는 기존의 액상물질을 기화시키는 방식에서 벗어나, 고체물질(M)에 뜨거운 열을 가하여 훈증에 의해 쪄내어 연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기존의 액상물질을 이용한 전자담배에 발생하는, 액상누수, 액상물질의 흡입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1)는 흡입부(10)와, 전원공급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10)는, 저장된 고체물질(M)에 열을 가하여 연기를 생성 및 배출하는 구성으로, 고체물질(M)을 저장하고, 저장된 고체물질(M)에 열을 가하며, 가해진 열에 의해 고체물질(M)로부터 연기가 발생하면, 발생한 연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고, 전자담배에서 사용자가 입으로 물고 흡기하는 부분 등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상기 흡입부(10)의 형상과 관련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가열된 공기가 상승운동을 한다는 점과, 상기 흡입부(10)를 컴팩트하게 구성한다는 점 등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들을 수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흡입부(10)는, 캡슐수납부(11), 캡슐(13), 커버수납부(15), 커버(17), 가열부(18) 및 마우스피스(19)를 포함한다.
상기 캡슐수납부(11)는, 고체물질(M)이 저장된 후술할 캡슐(13)이 수납되는 공간을 말한다. 고체물질(M)이란, 일정한 모양과 부피가 있으며 쉽게 변형되지 않는 상태의 물질로서, 액체인 액상물질과는 크게 구별이 된다. 액상물질의 경우 열을 얻어 액체를 기체로 상태 변화시킴으써 연기를 생성하는 반면에, 고체물질(M)의 경우 열을 통해 더운 연기를 쐬거나 쪄짐으로써 연기를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고체물질(M)은 젤(Gel)과 같이 유동성을 잃고 약간의 탄성과 견고성을 가진 반고체 상태의 물질 등도 포함된 광의의 개념이다. 이러한 고체물질(M)이 담긴 캡슐(13)이 특정 위치에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부(10) 상에 공간을 마련해 주는 구성이 상기 캡슐수납부(11)라고 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부(10)의 구성들은 수직배치될 수 있는바, 상기 흡입부(10)의 내측에 캡슐(13)을 삽입하는 것은 상기 캡슐수납부(11) 주변의 구성들을 간섭이 제거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불필요한 분해 등을 막기 위해 상기 캡슐수납부(11)는 결합이 완료된 상기 흡입부(10)의 수직 배치 라인 상에서 벗어나는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슐수납부(11)가 상기 흡입부(10)의 수직 배치 라인 상에 위치할 때는 후술할 가열부(18)를 통해 열을 전달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회전 운동을 통해 수직 배치 라인 상에서 벗어나게 되면 캡슐수납부(11)에 삽입된 캡슐(13)을 교체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만일 캡슐수납부(11)에 캡슐(13)이 삽입되기 전이라면, 상기 캡슐수납부(11)를 회전시켜 상기 흡입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캡슐수납부(11)가 만드는 내측 빈 공간에 캡슐(13)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캡슐수납부(11)의 형상과 관련하여 이를 어느 특정한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흡입부(10)의 구성이 수직 배치된다는 점과, 전자담배(1) 사용자의 파지감을 향상시킨다는 점과, 상기 캡슐수납부(11)가 내외측회전운동을 한다는 점 등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슐수납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측에서 고체물질(M)이 담긴 캡슐(13)을 수용하고, 하측에서 후술할 가열부(18)를 통해 열을 전달받기 위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캡슐수납부(11)는, 회전축(111) 및 돌기(113)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로,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111)은, 전자담배(1)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캡슐수납부(11)의 내외측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말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담배(1)의 상기 흡입부(10)는 온도에 따른 기체의 움직임과, 공간 활용적 측면에 의해 구성 요소들의 수직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러한 수직 배치가 만드는 전자담배(1)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회전축(111)은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상기 캡슐수납부(11)는 회전운동이 가능해 진다. 여기서 외측회전이란, 상기 캡슐수납부(11)가 상기 흡입부(10)의 수직 배치 라인 상에서 벗어나도록, 상기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운동 하는 것을 말한다. 반대로 내측회전이란, 상기 캡슐수납부(11)가 상기 흡입부(10)의 수직 배치 라인 상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수직 배치 라인 상에 위치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흡입부(10)의 안쪽방향으로 회전운동 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상기 회전축(111)은, 상기 전자담배(1)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상기 캡슐수납부(1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상기 회전축(111)은 전자담배(1)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있어, 상기 캡슐수납부(11)가 외측회전을 완료하면 상기 캡슐수납부(11)의 내측공간(S)이 가려지는 것없이 모두 노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만일 상기 회전축(111)이 전자담배(1)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캡슐수납부(11)가 외측회전을 완료한 상태에서도 내측공간(S)이 상기 흡입부(10)의 수직 배치 라인 밖으로 모두 노출되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내측공간(S)을 통한 후술할 캡슐(13)의 삽입은 어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11)은 상기 캡슐수납부(11)의 외측회전이 완료되면 내측공간(S) 모두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즉 전자담배(1)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캡슐수납부(11)의 내측공간(S)의 형태가 원형을 이룬반면에,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캡슐수납부(11)의 내측공간(S)의 형태가 타원형을 이룬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캡슐수납부(11)의 내측공간(S)은 캡슐(13)을 안착시키는 것인바, 그 형태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슐수납부(11)의 내측공간(S)의 외주를 감싸는 부분(R)은 가열부(18)를 통해 전달되는 열이 전자담배의 외측으로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체로는 세라믹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C-C' 단면도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캡슐수납부(11)는, 내측공간(S)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 의하면, 상기 캡슐수납부(11)는 바람직하게는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혔다. 하지만, 상기 캡슐수납부(11)가 만드는 내측공간(S)까지 원통형으로 구성할 경우, 수납되는 고체물질(M)의 양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을 수 있겠으나, 상기 내측공간(S)에 삽입되는 고체물질(M)을 포함한 캡슐(13)이, 훈증 후 내측공간(S)에 강하게 밀착되어 용이하게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캡슐수납부(11)의 내측공간(S)의 형태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후술할 캡슐(13)의 용이한 삽입은 물론이거니와, 훈증 후 캡슐(13)을 교체할 경우, 캡슐(13)의 용이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113)는, 상기 캡슐수납부(11)의 내벽면(11a)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상기 내측공간(S)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구조를 택할 경우, 캡슐(13)의 용이한 제거에는 이로울 수 있으나, 내측에 포함된 캡슐(13)의 고정이라는 측면에서는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축경되는 구조를 가지는 상기 캡슐수납부(11)의 내벽면(11a) 상에 상기 돌기(113)를 구성함으로써, 후술할 캡슐(13)과 맞닿는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걸리는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내측공간(S)에 안착되는 캡슐(13)의 안정적인 파지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111)의 형상과 관련하여,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겠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담배(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캡슐수납부(11)의 내벽면(11a) 상에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사진 내벽면(11a)을 따라 대략 수직하게 구성된 상기 돌기(111)를 통해, 상기 캡슐수납부(11)에 안착되는 캡슐(13)의 수평적 움직임이 제어될 수 있으며, 수직적 움직임에는 비교적 자유로워 캡슐(13)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돌기(113)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슐수납부(11)의 내벽면(11a)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캡슐(13)의 용이한 수직적 움직임은 유지하면서 수평적 움직임을 더욱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캡슐(13)은, 상기 캡슐수납부(11)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고체물질(M)을 저장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캡슐(13)은 상기 캡슐수납부(11) 상에 안착되기 때문에, 상기 캡슐(13)은, 상기 캡슐수납부(11)의 내측공간(S)의 형상과 상보적인 외주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슐수납부(11)의 내측공간(S)은 상하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형태로 구성되는바, 상기 캡슐(13)의 외주형상 역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캡슐(13)의 내측에는 고체물질(M)이 저장될 수 있어야 하기에, 상기 캡슐(13)은 고체물질(M)이 삽입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13)은 일회용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이 완료되어 교체가 필요한 캡슐(13)을 버릴 수 있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캡슐(13)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알루미늄 포일, 한지 등 일회용 성형이 가능한 다양한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캡슐(13)은, 돌기수용홈(131) 및 관통홀(133)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돌기수용홈(131)은, 상기 캡슐수납부(11)의 내벽면(11a) 상에 형성된 돌기(113)를 수용하도록 함입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돌기수용홈(131)은 상기 돌기(113)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기(113)가 복수 개로 구성될 경우, 상기 돌기수용홈(131) 역시 복수 개로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상기 돌기수용홈(131)은 상기 돌기(113)에 따라 그 형태와 개수 등이 정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113)는 상기 캡슐수납부(11)의 경사진 내벽면(11a)을 따라 대략 수직하게 구성되는바, 상기 돌기수용홈(131)은 경사진 외벽면을 따라 대략 수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33)은, 상기 캡슐(13)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캡슐(13)은 상기 캡슐수납부(11)에 안착되어, 후술할 가열부(18)로부터 열을 전달받아야 하는바, 열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 상기 캡슐(13) 상에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구멍인 상기 관통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33)의 형태와 관련하여 이를 어느 특정한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관통홀(133)을 통해 상기 캡슐(13) 내측에 포함된 고체물질(M)이 빠져나올 수 있는바, 상기 관통홀(133)의 크기는 고체물질(M)의 이탈 방지와 열 전달 효율을 높인다는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홀(133)을 통해 기대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관통홀(131)은 상기 캡슐(13)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부(10) 구성의 배치가 수직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과, 상대적으로 뜨거워진 공기는 상승한다는 점과, 후술할 가열부(18)는 상기 캡슐수납부(11)의 하측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상기 관통홀(13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슐(13)의 하면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캡슐이 캡슐수납부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캡슐이 캡슐수납부에서 이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1)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캡슐수납부(11)를 외측 회전시켜 상기 캡슐수납부(11)의 내측공간(S)이 완전 노출되도록 한다. 이후 돌기수용홈(131)이 형성된 캡슐(13)을 돌기(113)에 맞게 끼워 상기 캡슐수납부(11) 내측공간(S)에 안착시키게 되고, 안착이 완료되면, 상기 캡슐수납부(11)를 내측 회전시켜 상기 흡입부(10) 배치 라인에 일치시키고, 전원을 인가해 전자담배를 사용하게 된다. 전자담배(1)의 거듭된 사용으로 캡슐(13)의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캡슐수납부(11)를 외측 회전시키고 전자담배(1)를 뒤집어 사용이 완료된 캡슐(13)을 캡슐수납부(11)로부터 용이하게 뺄 수 있다.
도 10은 도 2의 커버수납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수납부(15)는, 상기 캡슐수납부(11) 상에 형성되어 캡슐수납부(11)의 상면을 덮는 후술할 커버(17)가 수납되는 공간을 말한다. 상기 캡슐수납부(11)가 만드는 내측공간(S)에는 고체물질(M)이 저장된 캡슐(13)이 안착되고, 상기 캡슐(13)은 후술할 가열부(18)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담배연기를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캡슐(13) 내측에는 고체물질(M)이 저장되어 있는바, 바람직하게는 고체물질(M)을 삽입하기 위해 상면이 개방된 캡슐(13) 구조상 저장된 고체물질(M)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캡슐(13) 밖으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전자담배(1)를 휴대하는 과정에서 전자담배(1)가 뒤집어 지거나, 흔들리는 등의 상황에서 고체물질(M)이 캡슐(13) 밖으로 이탈할 수 있으며, 전자담배(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흡기시 흡입력에 의해 고체물질(M)이 빨려 올라가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는 문제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수납부(15) 상에는 후술할 커버(17)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고체물질(M)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함이 중요하다. 즉, 상기 커버수납부(15)는 이러한 커버(17)가 위치할 수 있도록 흡입부(10) 내에 마련된 공간을 말한다.
상기 커버수납부(15)의 회전 여부에 관하여 살펴보면, 상기 캡슐수납부(11)가 캡슐(13)의 교체 등을 이유로 내외측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처럼, 상기 커버수납부(15) 역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캡슐수납부(11)에 안착되는 캡슐(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회용으로 구성될 수 있는바, 사용에 따라 지속적인 교체작업을 요하게 된다. 상기 커버수납부(15)는 고체물질(M)의 이탈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후술할 커버(17)가 안착되는 곳이며, 커버(17)가 재활용될 수 있지만, 전자담배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상기 커버(17)에 이물질 등이 끼어 연기의 배출을 어렵게 할 수 있는바, 주기적인 청소 또는 오래 사용된 커버(17)의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청소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수납부(15) 역시, 전자담배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내외측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커버수납부(15)는 단턱(151)을 포함한다.
상기 단턱(151)은, 고체물질(M)의 흡입을 막는 커버(17)가 안착되도록 커버수납부(15)의 내벽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구성을 가리킨다. 상기 단턱(151)의 형상과 관련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커버(17)를 위치설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상기 단턱(151) 상에 커버(17)가 놓이게 됨을 알 수 있다. 도시된 내용에 따르면 커버(17)는 상기 단턱(151)이 그 하면을 떠받들고 있는데, 이 경우, 전자담배의 사용 또는 휴대과정에서 전자담배가 뒤집어 지는 일이 발생하게 되면 커버(17)가 정위치를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상기 단턱(151)에는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이 마련됨으로써 커버(17)의 위치설정은 물론이거니와 설정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수납부(15)는, 후술할 마우스피스(19)와 결합하는 상기 흡입부(1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이격 설치되어, 상기 커버수납부(15) 상측에 냉각공간(L)을 형성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후술할 가열부(18)에 의해 강한 열이 전달되어 상기 캡슐수납부(11)에 놓인 캡슐(13)이 가열되게 되면, 캡슐(13) 내측에 저장된 고체물질(M)이 훈증되어 연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발생한 연기는 비교적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는바, 이 연기를 사용자가 곧바로 흡입하게 되면 뜨거운 연기에 의해 화상 위험이 있다. 따라서 발생한 연기는 그 온도를 식히는 시간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간이 상기 냉각공간(L)에 해당한다. 상기 커버수납부(15)는 고체물질(M)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상기 캡슐(13) 상측에서 상기 캡슐(13)의 상면과 대략 이격공간 없이 위치해 있어야 하고, 상기 커버수납부(15)를 통과한 공기는 후술할 마우스피스(19)를 향해 이동하게 되는바, 커버수납부(15)와 캡슐수납부(11)의 간격을 멀리할 수 없으니, 연기의 온도 강하를 위해서는 마우스피스(19)와 결합한 흡입부(10)의 일단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커버수납부(15)를 떨어뜨려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커버(17)는, 상기 커버수납부(15)의 단턱(151) 상에 안착되어 고체물질(M)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커버(17)의 형상과 관련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상기 커버수납부(15) 내측 공간에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커버(17)는 캡슐(13)에 저장된 고체물질(M)로부터 발생한 연기는 통과시키고, 대신 고체물질(M)의 이탈은 방지해야 하기에, 상기 커버(17) 상에는 다수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극의 크기는 연기를 통과시킨다는 측면과, 고체물질(M)의 이탈을 방지한다는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얼마든지 다양하게 정해지게 된다. 앞서도 언급하였지만, 상기 캡슐(13)은 일회용으로 구성되어 사용이 완료되면 폐기할 수 있도록 함이 전자담배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라 하겠으나, 상기 커버(17)는 고체물질(M)과 같이 소모성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18)는, 상기 캡슐수납부(11)에 저장된 고체물질(M)을 훈증시키는 구성으로, 후술할 전원공급부(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켜 고체물질(M)의 훈증에 필요한 열을 생산하는 구성을 말한다. 구체적인 가열부(18)의 구성과 관련하여서는 이를 어느 특정한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또는 공지될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19)는, 훈증을 통해 생성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가열부(18)를 통해 열이 전달되면, 상기 캡슐(13)에 저장된 고체물질(M)이 훈증되어 기체가 발생하게 되고, 고열의 기체는 상기 냉각공간(L)을 지나면서 온도가 내려가 적정한 온도가 되며, 상기 마우스피스(19)를 통해 전자담배 사용자의 흡기시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상기 마우스피스(19)는 사용자가 입으로 무는 부분으로 입으로의 파지가 용이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마우스피스(19)는 내측도관(191)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도관(191)은, 상기 마우스피스(19)의 일단에서 타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훈증을 통해 생성된 기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훈증을 통해 생성된 기체는 상기 내측도관(191)의 일단으로 통해 유입이 되며, 상기 내측도관(191)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내측도관(191)의 타단을 통해 유출되면서, 상기 내측도관(191)의 타단이 형성된 마우스피스(19)를 물고 있는 사용자의 흡기에 의해, 생성된 담배연기가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내측도관(191)의 형태와 관련하여 이를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직선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30)는, 일단이 상기 흡입부(10)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을 가리킨다. 공간의 활용 측면과, 온도에 따른 기체의 운동 및 사용자의 파지감 향상 등을 이유로 상기 흡입부(10)를 이루는 구성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30)는 이러한 흡입부(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인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면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는 상기 전원공급부(30)가 상기 흡입부(10)의 수직 배치 라인 상에 연결되어 긴 원통형의 전자담배(1)가 구성되도록 하고 있으나, 본원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개념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원공급부(30)가 상기 흡입부(10)와 나란하게 위치되어 있는 등 다양한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물론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전원공급부(30)가 상기 흡입부(10)에 전원을 공급해야 한다는 점에서 상기 전원공급부(30)의 일단은 상기 흡입부(3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1)의 사용자는 상기 캡슐수납부(11)에 고체물질(M)이 저장된 캡슐(13)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가열부(18)를 통해 전달되는 열로 고체물질(M)을 훈증시키고, 고체물질(M)에 포함된 수분 등이 기체가 되면서 발생한 연기를, 마우스피스(19)를 물고 흡기하는 사용자에 의해 내측도관(191)으로 이동시켜, 사용자가 연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높은 온도의 발생 기체는 냉각공간(L)을 지나면서 온도가 어느정도 낮아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화상 등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전자담배(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부(10) 내에는 커버(17)가 수납되는 커버수납부(15)가 구성되는바, 고체물질(M)이 흡기시 빨려 올라가거나, 전자담배(1) 휴대시 본 위치를 벗어나 이탈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10: 흡입부 11: 캡슐수납부
11a: 내벽면 111: 회전축
113: 돌기 13: 캡슐
131: 돌기수용홈 133: 관통홀
15: 커버수납부 151: 단턱
17: 커버 18: 가열부
19: 마우스피스 191: 내측도관
30: 전원공급부 L: 냉각공간
M: 고체물질 S: 내측공간

Claims (17)

  1. 저장된 고체물질에 열을 가하여 연기를 생성 및 배출하는 흡입부와, 일단이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고체물질이 수납되는 공간인 캡슐수납부와, 상기 캡슐수납부에 저장된 고체물질을 훈증시키는 가열부와, 훈증을 통해 생성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수납부는, 상기 흡입부에 대해 내외측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수납부는, 내측공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수납부는, 내벽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전자담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캡슐수납부의 내벽면 상에 돌출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수납부는, 전자담배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전자담배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상기 캡슐수납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캡슐수납부 상에 형성되어 캡슐수납부의 상면을 덮는 커버가 수납되는 공간인 커버수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납부는, 상기 흡입부에 대해 내외측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납부는, 상기 마우스피스와 결합하는 상기 흡입부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이격 설치되어, 상기 커버수납부 상측에 냉각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납부는, 고체물질의 흡입을 막는 커버가 안착되도록 내벽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담배는, 상기 캡슐수납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고체물질을 저장하는 캡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성형가능한 재료를 가지고 고체물질 저장공간을 포함한 얇은 박막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가능한 재료는, 일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가능한 재료는, 알루미늄 포일 또는 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상기 캡슐수납부의 내측공간의 형상과 상보적인 외주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캡슐의 하면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KR1020170145637A 2017-11-03 2017-11-03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KR102014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637A KR102014154B1 (ko) 2017-11-03 2017-11-03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637A KR102014154B1 (ko) 2017-11-03 2017-11-03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341A true KR20190050341A (ko) 2019-05-13
KR102014154B1 KR102014154B1 (ko) 2019-08-27

Family

ID=6658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637A KR102014154B1 (ko) 2017-11-03 2017-11-03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1358A1 (en) * 2019-03-11 2020-09-17 Selby Ryan Daniel Improved smoking art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892B1 (ko) 2019-11-21 2021-11-19 홍성우 연초를 연소시키는 전자 금연 파이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9227A (ko) * 2005-09-30 2008-06-2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기흡연시스템
KR20160105391A (ko) * 2013-12-31 2016-09-0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캡슐
KR20160109073A (ko) * 2015-03-09 2016-09-21 봉동환 전자담배용 필터
KR20170110566A (ko) * 2014-06-27 2017-10-11 제이티 인터내셔널 이피 디벨롭먼츠 리미티드 전자 증기 흡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9227A (ko) * 2005-09-30 2008-06-2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기흡연시스템
KR20160105391A (ko) * 2013-12-31 2016-09-0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캡슐
KR20170110566A (ko) * 2014-06-27 2017-10-11 제이티 인터내셔널 이피 디벨롭먼츠 리미티드 전자 증기 흡입기
KR20160109073A (ko) * 2015-03-09 2016-09-21 봉동환 전자담배용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1358A1 (en) * 2019-03-11 2020-09-17 Selby Ryan Daniel Improved smoking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154B1 (ko)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3417B2 (ja) エアロゾル生成機器
JP7163474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充電システム
JP6737849B2 (ja) たばこ用電子装置
RU2664376C1 (ru) Картридж, компоненты и способы генерирования вдыхаемой среды
KR101635340B1 (ko) 전자담배용 기화장치
KR200456814Y1 (ko) 조립식 연소부를 갖는 전자담배
AU2013382371B2 (en) An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a replacable mouthpiece cover
KR101186229B1 (ko) 전자담배
US10857316B2 (en) Personal vaporizer
JP2016515392A (ja) 電子喫煙代用装置
US20100031968A1 (en)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electronic smoking-substitute devices
JP2009213428A (ja) ニコチン気吸引パイプ
UA124389C2 (uk) Пристрій доставки аерозолю з вузлом резервуара й елемента, що транспортує рідину, який містить пористий моноліт, і спосіб, що до нього належить
US10813386B1 (en) Transportable mouthpiece
KR101399103B1 (ko) 전자담배
KR10214605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충전 시스템
KR20190050341A (ko) 훈증을 이용한 전자담배
EA037832B1 (ru) Ароматический ингалятор нагревательного типа
KR20100006995U (ko) 액체 기화 흡입 장치
KR20190051666A (ko) 전자담배용 캡슐 및 그 제조방법
US20200397059A1 (en) Lava2 Vaporizer Device and Cartridge System
KR101522699B1 (ko) 전자 담배
KR20100032662A (ko) 휴대용 흡입기
RU2815301C1 (ru) Лоток с прокалывающим элементом для применения с кальян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US20160324214A1 (en) Electronic Cigarette Liquid Samp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