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781A - 단말 장치의 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의 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781A
KR20190049781A KR1020197009251A KR20197009251A KR20190049781A KR 20190049781 A KR20190049781 A KR 20190049781A KR 1020197009251 A KR1020197009251 A KR 1020197009251A KR 20197009251 A KR20197009251 A KR 20197009251A KR 20190049781 A KR20190049781 A KR 20190049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data
state
transmitted
acces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49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 상태를 확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단말 장치가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확정하고;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가 불필요한 상태 전환을 피할 수 있게 하여, 신호 지출을 절감하고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하여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장치의 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단말 장치의 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에 관련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 중에서 단말 장치는 두가지 기본 작동 모드가 있고 한가지는 아이들 모드, 즉 보통 말하는 대기 상태, 다른 한가지는 연결 모드이다. 이런 모드 하에서 해당 단말 장치와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접속망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사이에는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연결이 존재한다.
작동 모드가 아이들(Idle) 모드일 때 단말 장치는 데이터를 접수 또는 발송하고자 할 때, 상위 계층 신호 연결을 구축하는 연결 모드로 전환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가 데이터 전송할 때 처한 상태는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 및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고, 불필요한 상태 전환은 단말 장치의 신호 지출 및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신호 지출을 절약하고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하여 시스템 효율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 장치의 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방면에서,
단말 장치가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확정하며;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에서 제1 접속망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해당 단말 장치는 우선적으로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확정한 후에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가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자신이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을 통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여 불필요한 전환 절차를 피할 수 있고 신호 송출을 절감하며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하여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상태에서 해당 단말 장치와 제1 접속망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해당 단말 장치와 해당 제1 접속망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의 콘택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소속된 접속망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망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셀 재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접속망 장치를 전환하지 않고; 제2 상태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소속된 접속망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망 장치의 전환을 진행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해당 제1 상태에서 해당 단말 장치는 접속망 장치의 전환을 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접속망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망 장치 및 코어망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없고, 즉 해당 단말 장치의 이동성은 네트워크 측에서 알 수 없고; 해당 제2 상태에서 단말 장치가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때, 해당 단말 장치가 소속된 접속망 장치는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망 장치의 전환을 진행하고, 접속망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다른 접속망 장치의 커버 범위 사이에서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는 상술한 “비활성 상태” 와 “활성 상태” 일 수 있고, 또한 아이들 상태, 데이터 연결 상태 및 미래 통신 시스템 중 나타날 수 있는 기타 상태일 수 있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방면의 첫 번째 가능한 구현 방식 중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기 전에, 해당 방법은,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및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및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할 수 있고, 다음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과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한다.
이 때문에 제1 상태에 처한 단말 장치에 대하여, 만약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면 해당 단말 장치는 계속하여 제1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상태에 처한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전송될 데이터 전송에 부족하면 해당 단말 장치는 사용 가능한 제2 상태를 유지하여 불필요한 상태 전환을 피할 수 있고 신호 전환 지출을 절약할 수 있다.
제1 방면의 상기 구현 가능한 방식을 결합하여, 제1 방면의 구현 가능한 두 번째 방식 중에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및 해당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고; 해당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보다 작으면 해당 단말 장치는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할 수 있고, 해당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과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과 비교한다. 만약 해당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보다 작으면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이 1회에 이 전송될 데이터들을 베어링할 수 없다는 것을 설명하고, 해당 단말 장치는 자신이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1회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 완료할 수 있다.
제1 방면 또는 상기 임의의 한가지 실현 가능한 방식을 결합하여, 제1 방면의 세번째 구현 가능한 방식 중에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및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 확정하고;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전송 시간 및/또는 전송 횟수를 확정하고; 해당 전송 시간이 제1임계값보다 크고 및/또는 해당 전송 횟수가 제2임계값보다 크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렇게 단말 장치를 통하여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시간 및/또는 전송 횟수를 계산하고, 다시 해당 전송 시간 및/또는 해당 전송 횟수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면,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너무 많거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이 너무 적을 경우, 제1 상태에서의 전송 시간이 너무 길거나 전송 횟수가 너무 많은 것을 피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하는 동시에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방법은 또한, 만약 해당 전송 시간이 제1임계값보다 크지 않거나 해당 전송 횟수가 제2임계값보다 크지 않으면, 해당 단말 장치는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방면 또는 상기 임의의 구현 가능 방식을 결합하여, 제1 방면의 네번째 구현 방식 중에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는 것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 및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출력, 현재 전송 경로 손실, 사용 가능한 최고 변조 코딩 등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해당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방면 또는 상기 임의의 구현 가능 방식을 결합하여, 제1 방면의 다섯번째 구현 방식 중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전에, 해당 방법은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망 장치에 자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해당 자원 요청 메시지는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을 배정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것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망 장치의 배정에 따라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접속망 장치가 제1 상태에서 해당 단말 장치에 업링크 전송 자원을 미리 보류하지 않을 경우, 해당 단말 장치는 먼저 해당 제1 접속망 장치에 자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단말 장치를 위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을 배정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해당 제1 접속망 장치는 해당 자원 요청 메시지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배정하여,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채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방면 또는 상기 임의의 구현 가능한 방식을 결합하여, 제1 방면의 여섯번째 구현 방식 중에서, 해당 단말 장치는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은, 만약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3임계값보다 크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미리 설정된 제3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고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해당 제3임계값보다 큰 상황에서, 해당 단말 장치는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의 데이터 전송의 완성을 보증한다.
제1 방면 또는 상기 임의의 구현 가능한 방식을 결합하여, 제1 방면의 일곱번째 구현 방식 중에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은, 만약 제1시간대 내의 각 시각마다의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해당 제3임계값보다 크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렇게 단말 장치를 통하여 제1시간대 내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하여 통계를 진행하고, 해당 제1 사간대의 전송될 데이터량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여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의 불안정으로 상태 전환을 반복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고 신호의 지출을 절감할 수 있다.
제1 방면 또는 상기 임의의 구현 가능한 방식을 결합하여, 제1 방면의 여덟번째 구현 방식 중에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하는 것은, 만약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4임계값보다 작으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4임계값보다 작을 때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한다. 이렇게 되면 단말 장치가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때 제1 상태에 있는 것을 보증할 수 있고, 관련 신호의 지출을 절감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4임계값은 상기 제3임계값과 같을 수 있다.
제1 방면 또는 상기 임의의 구현 가능한 방식을 결합하여, 제1 방면의 아홉번째 구현 방식 중에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은, 만약 제2시간대 내 각 시각마다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지속적으로 해당 제4임계값보다 작으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렇게 단말 장치를 통하여 제2시간대 내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하여 통계하고, 다시 해당 제2시간대의 전송될 데이터량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여,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의 불안정으로 인한 상태 전환이 반복되는 상황을 피하여 신호의 지출을 절감할 수 있다.
제1 방면 또는 상기 임의의 구현 가능한 방식을 결합하여 제1 방면의 열번째 구현 방식 중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한 후, 해당 방법은, 만약 해당 단말 장치가 현재 처해있는 상태와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하는 상태가 다르면 해당 단말 장치는 상태 전환을 진행할 것을 확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현재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고, 만약 해당 단말 장치가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하는 상태와 해당 단말 장치가 현재 처해 있는 상태가 다른 것이 확정되면, 해당 단말 장치는 상태 전환을 진행할 것을 확정할 수 있고, 즉 현재 상태에서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전환한다.
제1 방면 또는 상기 임의의 구현 가능한 방식을 결합하여 제1 방면의 열한번째 구현 방식 중 해당 단말 장치가 상태 전환을 진행할 것을 확정한 후, 해당 방법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망 장치에 전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전환 요청 메시지는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의 해당 상태 전환을 진행하는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전환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전송한 설정 완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설정 완성 메시지는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상태 전환의 설정을 완성함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설정 완성 메시지에 따라 해당 상태를 전환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가 상태 전환을 진행할 것을 확정한 후에, 제1 접속망 장치에 전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1 접속장 장치가 상태 전환을 진행하는 관련 설정을 요청할 수 있고, 해당 제1 접속망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에 대한 상태 전환에 대하여 설정을 완료한 후 해당 단말 창치에 설정 완료 메시지를 발송하며,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접속망 장치에서 전송된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태를 전환하며, 즉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거나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전환 요청 메시지가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상기 제4임계값보다 작은 사건을 휴대; 또는 해당 전환 요청 메시지가 해당 전송 시간이 상기 제2임계값보다 큰 사건을 휴대; 또는 해당 전환 요청 메시지는 해당 전송 횟수가 상기 제3임계값보다 큰 사건을 휴대한다.
제1 방면 또는 상기 임의의 구현 가능한 방식을 결합하여 제1 방면이 열두 번째 구현 방식 중에서, 해당 전송될 데이터는 해당 단말 장치가 물리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즌스 프로토콜(PDCP) 계층,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중 적어도 한 계층에 캐싱한 데이터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1 접속망 장치 사이에서 인터랙션 하는 메시지는 모두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메시지, MAC 메시지 또는 물리 계층 메시지일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제2 방면에서 상기 제1 방면 혹은 제1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 상태를 확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장치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임의의 구현 가능한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3 방면에서 단말 장치 상태를 확정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해당 장치는, 수신기, 송신기, 메모리, 프로세서와 버스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 중 해당 수신기, 해당 송신기, 해당 메모리와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해당 메모리는 명령 저장에 사용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여 수신기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기를 제어하여 신호를 전송하며,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프로세서가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임의의 구현 가능한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게 한다.
제4 방면에서 단말 장치 상태를 확정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해당 시스템은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임의의 구현 가능한 방식 중의 장치 및 접속망 장치를 포함하거나;
해당 시스템은 상기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임의의 구현 가능한 방식 중의 장치 및 접속망 장치를 포함한다.
제5 방면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은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임의의 구현 가능한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 지출을 절약하고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하여 시스템 효율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 실시예 또는 기존 기술 설명 중에 사용될 도면에 대하여 간단하게 소개할 것이고, 아래 설명 중의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고, 본 분야 일반 기술자에게 있어서 창조성 노동을 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 이런 도면들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상태를 확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상태를 확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상태를 확정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상태를 확인하는 장치의 구조 도면이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첨부 도면과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 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할 것이고, 설명한 실시예는 본 출원의의 일부 실시예일뿐 전부 실시예가 아니라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본 출원 중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분야 일반 기술인원이 창조성 노동을 하지 않은 전제 하에서 얻은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의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여러가지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로벌 모바일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통용 패킷 무선 업무(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유니버설 모바일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또는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 MAX) 통신 시스템 및 미래에 나타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등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에서 단말 장치를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단말 장치,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MS),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또는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등으로 부를 수 있다. 해당 단말 장치는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과 한 개 또는 여러 개 코어망을 거쳐 통신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단말기는 휴대폰(또는 “셀 룰러” 전화라고 부름) 또는 모바일 단말기 기능을 가진 컴퓨터 등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휴대용, 포켓형, 핸드 헬드형, 컴퓨터에 내장되거나 차량탑재 모바일 장치일 수 있고, 이들은 무선 접속망과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접속망 장치는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고, 접속망 장치는 글로벌 모바일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또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으며,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고 또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중의 에볼루션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중계국 또는 접근점 또는 차량 탑재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미래 5G네트워크 중의 접속망 장치일 수 있다.
코어망 장치는 모바일 관리 실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로 약칭) 일 수 있고, 서비스 게이트 웨이(Serving Gateway, “S-GW” 로 약칭) 또는 패킷 데이터 게이트 웨이(PDN Gateway, “P-GW” 로 약칭) 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은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편리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본 출원의 실시예를 소개하기 전에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요소를 인입한다.
아이들 모드는 한 개 아이들(Idle) 상태만 있다. 아이들(Idle) 상태에서 사용자 장치의 모든 연결은 접속층에서 모두 차단된다. UTRAN 중에는 아이들 모드에 있는 사용자 장치를 위하여 콘택스트를 구축하지 않고, 만약 특정된 사용자 장치 어드레스를 찾으려면 한 개 셀 내에서 모든 사용자 장치 또는 동일 호출 시간대를 모니터링하는 여러 개의 사용자 장치에 호출 정보를 전송해야만 한다.
연결 모드는 모두 네가지 상태가 있다. CELL-PCH(셀 호출 채널 상태), URA-PCH(UTRAN등록 지역 호출 채널 상태), CELL-FACH(셀 포워드 접속 채널 상태) 와CELL-DCH(셀 전용 채널 상태) 이다. 그 중 CELL-DCH는 상위 계층 신호가 접속하는 접속 모드로서 “활성화 상태라 부를 수도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응용 장면의 도면이다. 도 1 중에서 단말 장치가 접속망 장치(Access Network, AN) 2의 셀 2중에 위치하고 단말 장치가 서비스 접속 요청을 개시할 때, AN2와 코어망 장치(Core Network, CN)는 연결을 구축한다. AN2는 동시에 설정된 콘택스트 정보를 CN에 전송하고, CN은 저장된 단말 장치의 접속 이력 정보에 따라 접속망 장치 집합을 확정하며, AN3이 접속망 장치 집합에 속한다는 것을 알면 CN은 AN3과 네트워크 연결을 구축하고 AN3에 단말 장치의 콘택스트 정보를 전송하며, AN3은 콘택스트 정보와 네트워크에 따라 통신을 진행한다. 이렇게 단말 장치는 AN3 커버 셀과 AN2 커버 셀 사이에서 심리스로 이동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단말 장치는 접속망 집합 내의 접속망 설비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접속망 장치의 전환이 필요 없이, 즉 네트워크에 통보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에서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한 개 접속망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망 장치 커버 범위 내에서 접속망 장치 전환이 없이 진행될 수 있는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 라 부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단말 장치의 RRC연결과 베어링이 해당 접속망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망 장치가 커버한 범위 내에서 모두 보류이고 단말 장치의 접속층에서의 행위는 코어망 장치에 통보하지 않는다.
또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해당 비활성화 상태의 명칭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속망 장치 집합에 한 개 접속망 장치만 있을 때 “아이들 상태”라 부를 수도 있다.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해당 단말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때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활성화 상태에서 데이터를 발송할 수 있고, 비활성화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채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처한 상태는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 및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치고, 불필요한 상태 전환은 단말 장치의 신호 지출 및 단말 장치의 비교적 큰 전력 소모를 초래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 상태를 확정하는 방법(2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단말 장치 상태를 확정하는 방법의 절차 또는 조작을 표시하지만, 이런 절차 또는 조작들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기타 조작을 실행하거나 도 2의 각 조작을 변형할 수 있으며, 해당 방법(200)은,
S210, 단말 장치는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확정하고;
S220, 해당 단말 장치는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상태에서 해당 단말 장치와 제1 접속망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해당 단말 장치와 해당 제1 접속망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의 콘택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소속된 접속망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망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셀 재 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접속망 장치를 전환하지 않고; 제2 상태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소속된 접속망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망 장치 전환을 진행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상태와 제2상태는 상기 “비활성화 상태” 와 “활성화 상태” 일 수 있고, 아이들 상태, 데이터 접속 상태 및 미래 통신 시스템 중 나타날 수 있는 기타 상태일 수도 있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에서 제1 접속망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해당 단말 장치는 우선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확정한 후에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가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스스로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을 통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필요한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을 하는데 편리를 도모하여, 불필요한 전환 절차를 피하고 신호 송출을 절감하여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할 수 있어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할 수 있는 실시예로서 해당 전송될 데이터는, 해당 단말 장치가 물리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즌스 프로토콜(PDCP) 계층,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중에서 적어도 한 개 계층의 데이터를 캐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전송될 데이터는 해당 단말 장치가 캐싱한 일부 데이터 또는 모든 데이터일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해당 단말 장치가 캐싱한 데이터는 각 계층에 분포되고, 계층 1은 기지국과 MS사이의 전송과 수신의 무선 링크를 제공하고, 물리 계층일 수 있으며; 계층 2는 신호 메시지의 정확한 전송과 수신을 제공하고, 일부 중복 검사가 포함되며, 패킷 데이터 컨버즌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등일 수 있다. 계층 3은 제어 메시지 전달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에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이 외에 해당 단말 장치는 여러가지 방식을 채용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할 수 있고, 선택할 수 있는 것은 해당 단말 장치는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만으로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할 수 있거나, 또는 해당 단말 장치는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과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할 수 있는 실시예로서, 해당 단말 장치에서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기 전에, 해당 방법은,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해당 단말 장치가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은,
해당 단말 장치가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및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제척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및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할 수 있고, 다음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과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1 상태는 해당 단말 장치가 현재 처해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상태에 처한 단말 장치에 대하여, 만약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면 해당 단말 장치는 계속하여 제1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2 상태에 처한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으면, 해당 단말 장치는 사용 가능한 제2 상태를 유지하여 불필요한 상태 전환을 피할 수 있고, 신호 전환 지출을 절약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해당 단말 장치는 여러가지 방식을 채용하여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및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한다.
선택할 수 있는 실시예로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및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고;
만약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보다 적으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할 수 있고, 해당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과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과 비교한다. 만약 해당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보다 작으면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이 1회에 이 전송될 데이터들을 베어링할 수 없다는 것을 설명하고, 이때 해당 단말 장치는 자신이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할 수 있고, 이래야만 1회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할 수 있는 실시예로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및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고;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전송 시간 또는 전송 횟수를 확정하고;
만약 해당 전송 시간이 제1임계값보다 크거나 해당 전송 횟수가 제2임계값보다 크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할 수 있고, 해당 단말 장치가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 및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이 전송될 데이터들의 전송 완료시의 전송 시간 및/또는 전송 횟수를 계산하며, 해당 전송 시간 및/또는 전송 횟수를 미리 설정한 임계값과 비교하고, 해당 전송 시간이 제1임계값보다 크고 및/또는 해당 전송 횟수가 제2임계값보다 크면 해당 단말 장치는 자신이 해당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할 수 있다.
이렇게 단말 장치를 통하여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시간 및/또는 전송 횟수를 계산하고, 다시 해당 전송 시간 및/또는 전송 횟수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면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너무 많거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이 너무 적은 상황에서 제1 상태에서의 전송 시간이 너무 길거나 전송 횟수가 너무 많은 것을 피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하는 동시에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해당 단말 장치는 전송 시간만 계산할 수 있고 해당 전송 시간이 제1임계값보다 큰 상황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고; 해당 단말 장치는 전송 횟수만 계산할 수 있고 해당 전송 횟수가 제2임계값보다 큰 상황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고; 해당 단말 장치는 전송 시간을 계산할 수도 있고 또 전송 횟수를 계산할 수 있으며 해당 전송 시간이 제1임계값보다 크고, 또한 해당 전송 횟수가 제2임계값보다 큰 상황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 이해해야 할 것은 해당 제1 임계값 및 해당 제2임계값은 제1 접속망 장치가 사전에 해당 단말 장치에 설정한 것일 수 있고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할 수 있는 실시예로서, 해당 방법은,
만약 해당 전송 시간이 해당 제1임계값보다 크지 않고 및/또는 해당 전송 횟수가 해당 제2임계값보다 크지 않으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만약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채용하여 전송할 때,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시간 및/또는 전송 횟수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보다 작으면, 해당 단말 장치는 여전히 해당 제1 상태에 처해 있는 것을 확정할 수 있고, 즉 해당 단말 장치는 상태 전환을 하지 않는 것을 확정하며, 해당 단말 장치는 기존 상태(즉 제1 상태)에서 상기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채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할 것이다.
선택할 수 있는 실시예로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는 것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 및 사용 가능한 최대 송신 출력, 현재 전송 경로 손실, 사용 가능한 최고 변조 코딩 등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할 수 있는 실시예로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전에 해당 방법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제1 접속망 장치에 자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해당 자원 요청 메시지는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을 배정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것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망 장치의 배정에 따라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에 업링크 전송 자원을 미리 보류하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단말 장치는 먼저 해당 제1 접속망에 자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을 배정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해당 제1 접속망 장치는 해당 자원 요청 메시지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배정하고,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채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할 수 있는 실시예로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하는 것은,
만약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3임계값보다 크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과 미리 설정한 제3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고,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해당 제3임계값보다 큰 상황에서 해당 단말 장치는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의 데이터 전송의 완성을 보증한다.
선택할 수 있는 실시예로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은,
만약 제1시간대 내 각 시각마다의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해당 제3임계값보다 지속적으로 크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해당 제3임계값을 초과할 때 타이머를 가동하여 제1시간대 내 각 시각마다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통계할 수 있고, 해당 제1시간대 내 각 시각마다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해당 제3임계값보다 지속적으로 크면, 해당 단말 장치는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너무 커서 제1 상태에서 전송하면 전송 효율이 열악할 수 있다는 것을 확정하고 해당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며 제2 상태에서 다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렇게 단말 장치를 통하여 제1시간대 내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 량에 대하여 통계를 진행하고, 다시 해당 제1 사간대의 전송될 데이터 량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여,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의 불안정으로 인한 상태 전환을 반복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고 신호의 지출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해당 제3임계값 및 해당 제1시간대는 제1 접속망 장치가 사전에 단말 장치에 설정한 것일 수 있고,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할 수 있는 실시예로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은,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4임계값보다 작으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4임계값보다 작을 때 해당 단말 장치는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말 장치가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때 제1 상태에 처해 있는 것을 보증할 수 있고 관련 신호의 지출을 절감할 수 있다.
선택할 수 있는 것은 해당 제4임계값은 상기 제3임계값과 같을 수 있다.
선택할 수 있는 실시예로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은,
만약 제2시간대 내 각 시각마다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해당 제4임계값보다 지속적으로 작으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해당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해당 제4임계값을 초과할 때 타이머를 가동하여 제2시간대 내 각 시각마다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통계할 수 있고, 해당 제2시간대 내 각 시각마다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해당 제4임계값보다 지속적으로 작으면 해당 단말 장치는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너무 작아서 해당 단말 장치가 제2 상태를 계속 유지할 필요가 없으면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상태에 처해야 할 것을 확정한다.
이렇게 단말 장치를 통하여 제2시간대 내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하여 통계하고, 다시 해당 제2시간대의 전송될 데이터량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여,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의 불안정으로 인한 상태 전환이 반복되는 상황을 피하며 신호의 지출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해당 제4임계값 및 해당 제2시간대는 제1 접속망 장치가 사전에 해당 단말 장치에 설정한 것일 수 있고, 프로토콜에 약정된 것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할 수 있는 실시예로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한 후, 해당 방법은,
만약 해당 단말 장치가 현재 처해 있는 상태와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가 다르면 해당 단말 장치는 상태 전환하는 것을 확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현재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고, 만약 해당 단말 장치가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하는 상태와 해당 단말 장치의 현재 상태가 다른 것이 확정되면, 해당 단말 장치는 상태 전환할 것을 확정할 수 있고, 따라서 현재 상태에서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선택할 수 있는 실시예로서 해당 단말 장치는 상태 전환할 것을 확정한 후 해당 방법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망 장치에 전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전환 요청 메시지는 해당 제1 접속망 장치에 해당 단말 장치의 상태 전환하는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전환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전송한 설정 완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설정 완성 메시지는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상태 전환을 완성하는 설정을 표시하고;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설정 완료 메시지에 따라 해당 상태를 전환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가 상태 전환하는 것을 확정한 후, 제1 접속망 장치에 전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1 접속장 장치에게 상태 전환하는 관련 설정을 요청할 수 있고, 해당 제1 접속망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에 대한 상태 전환에 대한 설정을 완료한 후, 해당 단말 장치에 설정 완료 메시지를 발송하며,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접속망 장치에서 전송된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태를 전환하며, 즉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거나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에 대해 상태 전환을 진행하는 설정은 두가지 상황으로 나눌 수 있다. 만약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할 것을 요청하면 해당 제1 접속망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의 콘택스트 정보를 확정하고, 해당 단말 장치와 구축된 상위 계층 신호 연결을 확인하고, 관련 측정 정보의 설정을 진행하고; 만약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상태에서 해당 제1 상태로 전환 할 것을 요청하면, 해당 제1 접속망 장치는 제2 상태에서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고 해당 단말 장치에 통보하며, 해당 제1 접속망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 신호 연결, 베어링 및 관련 콘택스트 정보를 보류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채용하여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선택할 수 있는 실시예로서 해당 전환 요청 메시지가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상기 제1임계값보다 크거나 상기 제4임계값보다 작은 사건을 휴대, 또는 해당 전환 요청 메시지가 해당 전송 시간이 상기 제2임계값보다 큰 사건을 휴대, 또는 해당 전환 요청 메시지가 해당 전송 횟수가 상기 제3임계값보다 큰 사건을 휴대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1 접속망 장치 사이의 인터랙션 메시지는 모두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 MAC 메시지 또는 물리 계층 메시지일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 상태를 확정하는 장치(3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표시된 것과 같이 해당 장치(300)는,
단말 장치의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확정하는 확정유닛(310)을 포함하고,
해당 확정유닛(310)은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상태에서 해당 단말 장치와 제1 접속망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해당 단말 장치와 해당 제1 접속망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의 콘택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소속된 접속망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망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이동할 때, 셀 재 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접속망 장치를 전환하지 않으며, 제2 상태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소속된 접속망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망 장치의 전환을 진행한다.
이 때문에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의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게 하며, 불필요한 전환 절차를 피하고 신호 지출을 절감하며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하여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확정유닛(310)은 또한,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기 전에 해당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및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확정유닛(310)은 또한,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고;
만약 해당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보다 작으면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확정유닛(310)은 또한,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고;
해당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의 전송 시간 및/또는 전송 횟수를 확정하고;
만약 해당 전송 시간이 제1임계값보다 크고 및/또는 해당 전송 횟수가 제2임계값보다 크면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확정유닛(310)은 또한,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 및 사용 가능한 최대 송신 출력, 현재 전송 경로 손실, 사용 가능한 최고 변조 코딩 등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해당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전에, 해당 제1 접속망 장치에 자원 요청 메시지 전송하는 제1 송신유닛을 더 포함하고, 해당 자원 요청 메시지는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 배정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확정유닛(310)은 또한,
해당 제1 접속망 장치의 배정에 따라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확정유닛(310)은 또한,
만약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3임계값보다 크면 해당 단말 장치가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확정유닛(310)은 또한,
만약 제1시간대 내 각 시각마다의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해당 제3임계값보다 지속적으로 크면, 해당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확정유닛(310)은 또한,
만약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4임계값보다 작으면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확정유닛(310)은 또한,
만약 제2시간대 내 각 시각마다의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해당 제4임계값보다 지속적으로 작으면,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확정유닛(310)은 또한,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한 후, 만약 해당 단말 장치가 현재 처해있는 상태와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가 다르면 상태를 전환할 것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상태 전환할 것을 확정한 후 해당 제1 접속망 장치에 전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송신유닛, 해당 전환 요청 메시지는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의 상태 전환을 진행하는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전환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전송한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해당 설정 완료 메시지는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상태 전환 완료의 설정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설정 완료 메시지에 따른 상태 전환을 진행하는 전환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전송될 데이터는 해당 단말 장치가 물리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즌스 프로토콜(PDCP) 계층,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계층에 캐싱한 데이터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여기의 장치(300)는 기능 모듈의 형식으로 표현된다. 여기의 전문 용어 “유닛” 은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전자 회로, 하나 또는 여러 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 실행에 사용하는 프로세서(예를 들면 공유 프로세서, 전용 프로세서 또는 패킷 프로세서 등)와 메모리, 통합 논리 회로 및/또는 기타 설명한 기능을 지원하는 적합한 컴포넌트를 가리킬 수 있다. 선택할 수 있는 한 예에서, 본 분야 기술인원은 장치(300)가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로 이해할 수 있고 장치(300)는 상기 방법 실시예 중 단말 장치와 대응되는 각 프로세스 또는 절차에 사용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장치 상태를 확정하는 시스템(4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4에 표시된 것과 같이 해당 통신 시스템(400)에는 장치(300)와 제1 접속망 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 장치(300)는 상기 방법 시행 실시예 중 단말 장치와 대응되는 각 프로세스 또는 절차를 실행하는 것이고,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할 수 있는 한 예에서 본 분야 기술인원은 장치(300)는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한 단말 장치 상태를 확정하는 장치(500)를 표시하였고, 장치(500)는 수신기(510), 프로세서(520), 송신기(530), 메모리(540)와 버스 시스템(550)이 포함된다. 그 중수신기(510), 프로세서(520), 송신기(530)와 메모리(540)는 버스 시스템(55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해당 메모리(540)는 명령 저장에 사용되고, 프로세서(520)는 메모리(540)에 저장된 명령의 실행하여 해당 수신기(510)의 신호 수신을 제어하고 해당 송신기(530)의 명령 전송을 제어한다.
그 중 프로세서(520)는 해당 단말 장치의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확정하고;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상태에서 해당 단말 장치와 제1 접속망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해당 단말 장치와 해당 제1 접속망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의 콘택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소속된 접속망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망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셀 재 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접속망 장치를 전환하지 않으며; 제2 상태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소속된 접속망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망 장치를 전환한다.
이 때문에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의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여, 불필요한 전환 절차를 피하고 신호 지출을 절감하며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하여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20)는 또한,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기 전에 해당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및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20)는 또한,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고;
만약 해당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보다 작으면 해당 단말 장치는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20)는 또한,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고;
해당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의 전송 시간 및/또는 전송 횟수를 확정하고;
만약 해당 전송 시간이 제1임계값보다 크고 및/또는 해당 전송 횟수가 제2임계값보다 크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20)는 또한,
해당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 및 사용 가능한 최대 송신 출력, 현재 전송 경로 손실, 사용 가능한 최고 변조 코딩 등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해당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송신기(530)는 또한,
해당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전에 해당 제1 접속망 장치에 전송 자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자원 요청 메시지는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단말 장치를 위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의 배정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프로세서(520)는 또한, 해당 제1 접속망 장치의 배정에 따라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프로세서(520)는 또한,
만약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3임계값보다 크면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프로세서(520)는 또한,
만약 제1시간대 내 각 시각마다의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해당 제3임계값보다 지속적으로 크면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프로세서(520)는 또한,
만약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4임계값보다 작으면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프로세서(520)는 또한,
만약 제2시간대 내 각 시각마다의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해당 제4임계값보다 지속적으로 작으면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프로세서(520)는 또한,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한 후, 해당 단말 장치가 현재 처해있는 상태와 해당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가 다르면 상태 전환할 것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신기(530)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상태 전환할 것을 확정한 후, 해당 제1 접속망 장치에 전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전환 요청 메시지는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의 해당 상태를 전환을 진행하는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수신기(510)는,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전환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전송한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설정 완료 메시지는 해당 제1 접속망 장치가 해당 상태 전환 완료의 설정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프로세서(520)는 설정 완료 메시지에 따라 해당 상태를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전송될 데이터는
해당 단말 장치가 물리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즌스 프로토콜(PDCP)계층,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중 적어로 한 계층에 캐싱한 데이터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장치(500)는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일 수 있고, 상기 방법 실시예 중 단말 장치와 대응하는 각 절차 및/또는 프로세스를 실행에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메모리(540)는 롬(ROM)과 램(RAM)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에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의 일부분은 또 비휘발성 램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는 장치 유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520)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프로세서는 상기 방법 실시예 중 단말 장치와 대응하는 각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에서 프로세서(52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일 수 있고, 프로세서(520)는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반도체(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소자, 분립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소자, 분립 하드웨어 소자 등일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해당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용의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문 중 전문 용어 ”와/ 또는” 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할 뿐이고, 이는 세가지 관계가 존재함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A와/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함, A와 B가 동시에 존재함, B가 단독으로 존해함의 세가지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그외 본 문 중 부호 ”/” 은 보통 전후 관련 대상이 일종의 “또는” 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의 각 실시예 중에서 상기 각 과정의 순위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고, 각 과정의 집행 순서는 기능과 내재적 로직으로 확정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어떠한 제한도 두어서는 안된다.
본 분야의 일반 기술인원은 본 문 중 공개된 실시예를 결합하여 설명한 각 예시의 단계 및 알고리즘 절차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기능들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할 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디자인 제약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 기술인원은 특정된 애플리케이션마다에 대하여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런 구현은 본 출원의의 범위를 벗어났다고 볼 수 없다.
소속 분야의 기술인원은 설명의 편리와 간결을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 작업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 과정을 참고할 수 있고 여기에서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에서 제공한 몇 개 실시예 중에서,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기타 방식을 통하여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예를 들면 유닛의 구분은 한가지 논리 기능의 구분일 뿐, 실제 실현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고, 예를 들면 여러 개 유닛 또는 소자는 결합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에 집적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을 생략할 수 있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또는 논의한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일 수 있고,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 또는 기타의 형식일 수 있다.
여기서 분리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 혹은 아닐 수도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 유닛 혹은 물리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하거나 여러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이중 부분 혹은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외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한 개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고, 각 유닛이 단독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개 또는 두개 이상 유닛이 한 개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해당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실현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런 이해에 근거하여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 또는 기존 기술에 대하여 공헌한 부분 또는 기술 방안의 일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메모리 매체에 저장되며 약간의 명령을 포함하여 컴퓨터 장치(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제1 접속망 장치 등일 수 있음 )가 본 출원의 각 실시예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절차를 실행하게 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에는 USB메모리, 외장 하드,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다양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매체가 포함된다.
이상 본 출원의 구체적 실시 방식일 뿐,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하지 않고 본 기술 분야에 익숙한 임의의 기술인원은 본 출원에 밝혀진 기술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대체를 쉽게 생각할 수 있으며,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여야 한다. 이 때문에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항에서 요구하는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300: 장치 310: 확정유닛
400: 시스템 500: 장치
510: 수신기 520: 프로세서
530: 송신기 540: 메모리
550: 버스 시스템

Claims (28)

  1. 단말 장치가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확정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상태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제1 접속망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접속망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콘택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접속망 장치가 소속된 접속망 장치 집합중의 모든 접속망 장치의 커버 범위내에서 이동할 때, 셀 재선정과정을 실행하고 접속망 장치의 전환을 진행하지 않으며; 제2 상태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소속된 접속망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망 장치의 전환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기 전에,
    상기 단말 장치는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은,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및 상기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및 상기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은,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고;
    만약 상기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및 상기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은,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의 전송 시간 및/또는 전송 횟수를 확정하고;
    만약 상기 전송 시간이 제1임계값보다 크고 및/또는 상기 전송 횟수가 제2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는 것은,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 및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출력, 현재 전송 경로 손실, 사용 가능한 최고 변조 코딩 등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
  7. 제 3 항 내지 제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전에,
    상기 단말 장치는 제1 접속망 장치에 자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원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접속망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를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배정하도록 하는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것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접속망 장치의 배정에 따라 상기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은,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3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은,
    만약 제1시간대 내 각 시각마다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상기 제3임계값보다 지속적으로 크면,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
  10.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은,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4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은,
    만약 제2시간대 내 각 시각마다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상기 제4임계값보다 지속적으로 작으면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
  12. 제 1항 내지 제1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한 후에,
    만약 상기 단말 장치가 현재 처해 있는 상태와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가 다르면 상기 단말 장치는 상태 전환할 것을 확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태 전환할 것을 확정한 후에, 상기 단말 장치는 제1 접속망 장치에 전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전환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접속망 장치에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상태 전환 설정을 진행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접속망 장치가 상기 전환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전송한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접수하되, 상기 설정 완료 메시지는 상기 제1 접속망 장치가 상기 상태 전환의 설정을 완료하였음을 표시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설정 완료 메시지에 따라 상기 상태를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1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물리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즌스 프로토콜(PDCP) 계층,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중에서 적어도 한 계층에 캐시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
  15. 단말 장치의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확정하는 확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확정유닛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더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제1 상태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제1 접속망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접속망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콘택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접속망 장치가 소속된 접속망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망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셀 재선정 과정을 실행하고, 접속망 장치의 전환을 진행하지 않으며; 제2 상태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소속된 접속망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망 장치의 전환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장치.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유닛은 또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기 전에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및 상기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유닛은 또한,
    상기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고;
    만약 상기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유닛은 또한,
    상기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고;
    상기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 전송 시간 및/또는 전송 횟수를 확정하고;
    만약 상기 전송 시간이 제1임계값보다 크고 및/또는 상기 전송 횟수가 제2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장치.
  20. 제 18 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유닛은 또한,
    상기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 및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출력, 현재 전송 경로 손실, 사용 가능한 최고 변조 코딩 등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1회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장치.
  21. 제 17 항 내지 제2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전에 제1 접속망 장치에 자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송신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자원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접속망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를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배정하도록 하는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확정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접속망 장치의 배정에 따라 상기 사용 가능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장치.
  22.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유닛은 또한,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3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단말 장치가 제2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유닛은 또한,
    만약 제1시간대 내 각 시각마다의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상기 제3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장치.
  24.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유닛은 또한,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4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유닛은 또한,
    만약 제2시간대 내 각 시각마다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상기 제4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상태에 처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장치.
  26. 제 15항 내지 제2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유닛은 또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를 확정한 후, 만약 상기 단말 장치가 현재 처해있는 상태와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해야 할 상태가 다르면 상태 전환을 진행할 것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태 전환을 진행하는 것을 확정한 후, 제1 접속망 장치에 전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 송신유닛, 상기 전환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접속망 장치에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상태 전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접속망 장치가 전환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전송한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접수하는 수신유닛, 상기 설정 완료 메시지는 상기 제1 접속망 장치가 상기 상태 전환 설정의 완성을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설정 완료 메시지에 따라 상기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장치.
  28. 제 15항 내지 제2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물리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즌스 프로토콜(PDCP) 계층,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중에서 적어도 한 계층에 캐시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상태 확정 방법.
KR1020197009251A 2016-09-07 2016-09-07 단말 장치의 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1900497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98351 WO2018045513A1 (zh) 2016-09-07 2016-09-07 确定终端设备状态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781A true KR20190049781A (ko) 2019-05-09

Family

ID=6156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251A KR20190049781A (ko) 2016-09-07 2016-09-07 단말 장치의 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813022B2 (ko)
EP (1) EP3462777B1 (ko)
JP (1) JP6947809B2 (ko)
KR (1) KR20190049781A (ko)
CN (1) CN109479227B (ko)
TW (1) TWI739897B (ko)
WO (1) WO2018045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0565B (zh) * 2019-06-26 2021-11-23 中信科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接入层上下文管理方法和装置
CN112752318B (zh) * 2019-10-30 2023-08-22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网络切换方法、装置、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1586893B (zh) * 2020-04-15 2022-03-1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终端rrc状态切换方法及装置
US11832165B2 (en) * 2020-11-24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State-based sensing procedure
CN114286411A (zh) * 2021-12-10 2022-04-05 西安广和通无线软件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方法、通信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0335B (en) * 1993-07-22 1997-05-28 Northern Telecom Ltd Mobile communications
EP1670266B1 (en) * 2003-09-30 2009-07-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CN100496003C (zh) * 2006-04-28 2009-06-03 华为技术有限公司 长期演进网络中状态迁移方法及其系统
EP2519052B1 (en) * 2007-04-23 2016-12-2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Handover failure handling
US8744534B2 (en) * 2010-04-30 2014-06-0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battery resour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939052B1 (ko) * 2012-03-19 2019-0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선 자원 할당 장치
CN102711216A (zh) * 2012-05-08 2012-10-0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传输资源的选择方法及用户设备、确定方法及接入网设备
EP2701406A1 (en) * 2012-08-23 2014-02-26 ST-Ericsson SA Communication state setting based on expected downlink data amount
CN103891340B (zh) * 2012-10-09 2018-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推送方法,装置及系统
JP2014123347A (ja) * 2012-11-22 2014-07-03 Panasonic Corp クライアント端末、サーバ、及び分散処理方法
US9008023B2 (en) * 2013-01-22 2015-04-14 Apple Inc. Fast transition from PCH to DCH for UMTS
GB2513313A (en) * 2013-04-22 2014-10-29 Sony Corp Infrastructure equipmen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US9538439B2 (en) * 2013-05-10 2017-01-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n achievable link throughput based on assistance information
EP3025540A4 (en) 2013-07-26 2017-03-15 Intel IP Corporation Signaling interference information for user equipment assistance
CN103927960B (zh) * 2013-12-30 2016-04-20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栅极驱动装置和显示装置
CN103763748A (zh) * 2014-01-23 2014-04-30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5992288A (zh) * 2015-03-05 2016-10-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切换程序中传输数据的方法、装置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5513A1 (zh) 2018-03-15
US10813022B2 (en) 2020-10-20
JP6947809B2 (ja) 2021-10-13
US20200413313A1 (en) 2020-12-31
CN109479227B (zh) 2022-02-08
JP2019532529A (ja) 2019-11-07
EP3462777A1 (en) 2019-04-03
TW201813439A (zh) 2018-04-01
EP3462777B1 (en) 2022-06-15
CN109479227A (zh) 2019-03-15
US20190124574A1 (en) 2019-04-25
TWI739897B (zh) 2021-09-21
EP3462777A4 (en) 2019-05-01
US11272411B2 (en)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2863B2 (en) Dual connection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network, apparatus, and system
US10070430B2 (en) Method for configuring resource to data radio bearer DRB, and apparatus
US108130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ate of terminal device
EP3509361B1 (en) Uplink signal responding method and device
EP3056059B1 (en) Devices and method for protocol mode switching
US8594646B2 (en) Wireless devic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device
US20150189560A1 (en) Mobility Management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CN109691223B (zh) 非连续接收的方法和装置
US20140204820A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160021591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communications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EP3547761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continuous reception
KR101781967B1 (ko) 2차 셀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호스트
CN110708720A (zh) 切换方法、分布单元、终端、集中单元及计算机存储介质
EP3749048A1 (en) Methods and terminal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WO2019210813A1 (zh) 一种无线网络的通信方法及设备
US11297566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6070437A1 (zh) 状态迁移的方法、用户设备和无线网络控制器
GB2493332A (en) A wireless device synchronously transitions to a lower power state if data has not been transmitted or received for a period of time
WO2018201451A1 (zh) 一种设备接入方法、用户设备及网络设备
WO2014100999A1 (zh) 小区切换时扇区选择的方法和基站控制器
GB2501931A (en) Wireless devices an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therefor
CN114145037A (zh) 信息段传输
JP2018152908A (ja) プロトコルモード切り替えのためのモバイル端末、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4112918A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