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662A -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 Google Patents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662A
KR20190049662A KR1020190047377A KR20190047377A KR20190049662A KR 20190049662 A KR20190049662 A KR 20190049662A KR 1020190047377 A KR1020190047377 A KR 1020190047377A KR 20190047377 A KR20190047377 A KR 20190047377A KR 20190049662 A KR20190049662 A KR 20190049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fault
winding
current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태
김나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이
김나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이, 김나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이
Priority to KR102019004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9662A/ko
Publication of KR20190049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2Details particular to three-phase circuit breakers

Landscapes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상 3선식 또는 삼상 4선식 배전계통에서 전원 측의 누전, 단선, 결상, 접촉불량 시에 전기고장에 의한 고장전류를 고장출력기를 통해 발생하고, 상기 고장전류를 고장검출기가 검출하여 즉시 경보(통보) 또는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배전계통의 전기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는, 상기 배전계통의 전원 측의 누전, 단선, 결상, 접촉불량 시 상기 전원 측의 누전, 단선, 결상, 접촉불량 발생에 의한 전기고장으로 인한 고장전류를 발생하는 고장출력기와; 상기 고장출력기에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입력전원과 출력전원의 고장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고장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상 3선식의 고장출력기는, 제1 레그와; 제1 권선, 제2 권선과; 철심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은 각각 상기 제1 레그에서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이 전기적으로 연결 권취되고,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의 중간에는 중간 탭이 형성되어, 중성선에 연결되고, 전원 측 단선, 접촉불량을 실시간으로 복구하는 권선인 코일이 구비되고, 상기 삼상 4선식 고장출력기는, 제1 레그, 제2 레그, 제3 레그와; 제1 권선, 제2 권선, 제3 권선과; 철심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은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3 레그에 권취되고 상기 제3 권선은 상기 제1 권선과 상기 제2 권선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3 레그에서 지그재그로 권취되어 일단이 중성점에 연결되고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 배전계통에서 누전, 접촉불량, 단선, 결상, 불평형전류로 전기고장 시에 대지와 연결된 중성선에서 고장전류를 발생하며 상기 제2 레그는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3 레그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순환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기 제2 레그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Description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Electric fault master recovery device(breaker)}
본 발명은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상 3선식 또는 삼상 4선식 배전계통에서 전원 측의 누전, 단선(단상 3선식 (R0 또는 R1 또는 N), 삼상 4선식(R 또는 S 또는 T 또는 N)), 접촉불량에 의한 전기고장을 복구 또는 경보(통보) 또는 차단하기 위하여 고장출력기를 상기 배전계통에 연결하고 연결된 상기 고장출력기에서 상기 전기고장이 발생하면 중성선의 고장전류를 출력하고, 상기 고장전류를 검출하는 고장검출기를 구비한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압수용가의 전기시설물에는 배선용차단기(molded case circuit breaker) 또는 과부하보호겸용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며, 상기 배선용차단기는 배선에 흐르는 고장전류(전압)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과부하를 겸한 단락보호를 하고 상기 누전차단기(earth leakage circuit breaker)는 누전과 과부하 및 단락보호를 겸한 누전차단기로서, 차단기는 몰드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며, 배선용차단기와 누전차단기는 교류 600V 이하, 또는 직류 250V 이하의 저압 옥내전압의 회로에서 배선보호에 사용되는 몰드 케이스(Mold case)차단기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배선용차단기는 MCCB(쁘레커), 누전차단기는 ELCB(이엘비)의 명칭으로 호칭되기도 한다.
또한, 누전 차단기는 5-30mA 정도의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감전을 방지하지만 대부분의 퓨즈나 배선용차단기는 수 A 정도의 큰 전류에서 작동하여 작은 누설전류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누전차단기를 사용하여야 하며 전기 충격이 심장까지 전해져 감전사하지 않도록 5-30mA 정도의 누설전류를 25-40밀리초 시간 안에 회로를 차단하며 국가 및 지역에 따라서 차단 기준이 되는 누설전류가 다르고 우리나라에서는 정격전류의 2000분의 1로 제한하고 있으며 누전차단기의 정격전류가 100A라면 그 누설전류는 50mA이내이다.
일반적인 누전 차단기는, 전력선으로 나가는 전류와 중립선으로 들어오는 전류의 차이를 측정하여 나가는 전류와 들어오는 전류의 합이 0이 아니면 어딘가 누전이 되고 있다는 뜻으로 이 때 누전차단기가 작동하여 누설전류를 차단하게 되고 큰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기와는 서로 보완 관계이며, 누전전용 차단기만으로는 과부하나 단락을 방지할 수 없어 대부분 과전류(단락) 겸용인 누전차단기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누설차단 전류가 500mA 이상인 누전 차단기는 차단 전류가 낮을 때 사고로 가동될 수 있는 데이터센터 같은 환경에 설치된다. 이러한 누전 차단기는 감전보다는 화재 방지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전기화재는 매년 줄어들지 않고 발생하고 있으며 고압수용가보다 저압수용가의 열악한 전기시설 때문에 한전에서 중성선이 단선된 전기를 공급하거나, 결상된 전기를 공급하면 저압수용가는 이상전압 유입에 대한 아무런 대책을 세울 수가 없어 전기기기의 과열소손이나 전기화재가 발생한다.
또한, 계통에서 접촉불량이 발생하거나, 저압수용가 건물의 전기수용인입구부터 누전차단기가 시설된 분배전반까지는 누전감시의 사각지대로 이곳에서 누전사고가 발생하면 아무런 대책 없이 감전, 전기화재로 이어지고, 이러한 전기화재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으며, 그 중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합선으로, 전선의 껍질(피복)이 벗겨지거나 전선에 못, 핀 등으로 고정시키거나 움직일 수 있는 전선 위에 무거운 것을 올려놓아 전선의 두 가닥이 직접 또는 간접 저항으로 접촉되어 전류는 쉽게 흐를 수 있는 접촉부분으로 집중적으로 흘러 합선(단락)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때 도체 간 접촉에 의한 불꽃이 발생하면서 화재로 이어지게 된다.
과부하는, 정격용량보다 많은 양의 전기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나 불평형전류로, 전선이나 전기기기 자체 또는 배선기구의 접속부에서 열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화재로 발전하게 된다.
불평형전류는, 평형부하(삼상전동기 등)에서 결상, 단선, 부하기기의 고장과 불평형 단상부하의 중성선이 단선되거나, 부하기기의 고장으로 발생하며 삼상평형부하의 과전류는 전자식 과부하계전기(EOCR)로 어느 정도 계통의 보호가 가능하나 전동기초기 시동 시와 제어전원에 결상이상이 생기거나 중성선이 단선되면 그 보호가 수월하지 않다.
누전은, 전기가 통하는 전선 이외의 물체를 통해 전기가 외부로 흐르는 것으로, 누전 화재는 전류가 통로로 설계된 부분을 거치지 않고 건물 및 부대 설비 등으로 흘러 열이 축적되고 이것이 발열하여 화재를 일으킨다.
접촉불량은, 전선의 접속점(회로의 분기 등)에서 저항이 생겨 흐름의 장애가 일어난 것으로, 이러한 장애가 일정한 시간 이상 누적되면 전선의 피복이 탄화되어 전선의 도체인 +, - 전극이 부딪침으로써 불이 나게 된다.
또한, 결상, 단선으로 인한 과전류, 과전압, 불평형 전력, 영상고조파 등도 전기화재를 야기하고 있지만 첨부한 선행기술이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접촉불량에 대해서만 설명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전기화재의 원인은 다양한데, 각 화재 원인들은 수반하는 물리 현상이 모두 상이하므로, 이들을 감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법 또한 모두 상이하고 보호계전기의 종류도 다양하다.
일례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력량계는 기계식 전력량계와 전자식 전력량계가 있으며, 양자 모두 구조가 전력량계의 본체에 단자부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단자부의 설치로 인하여 전력량계의 단자부 결선작업의 애로점, 단자부의 발열사고, 단자부 안전사고, 단자부 무단조작, 제조원가의 상승, 전력량계 소형화의 장애 등 많은 결점을 내재하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전력량계의 접촉불량, 즉 전력량계의 단자부와 전선의 접촉불량에 의한 전력량계 소손 건수가 예전에 비해 증가하고 있다.
접촉불량은, 전선의 접속점(회로의 분기 등)에서 저항이 생겨 흐름의 장애가 일어난 것으로, 이러한 장애가 일정시간 이상 누적되면 온도가 상승하고 전선의 피복(절연물)이 탄화, 연화되어 마침내 전선의 혼촉, 즉 전선의 도체인 +,- 전극이 부딪침으로써 전력량계의 소손, 나아가서 전기화재로까지 이어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선의 접촉불량으로 접촉면의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도체(전선) 접속면의 열이 상승하고, 상승된 고온의 열은 도체(전선) 간의 절연물을 손상시켜 도체간 단락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도체간 접촉으로 아크가 발생하고, 이 아크열에 의해 기기가 소손되고, 나아가 전기화재까지 확산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구의 열화로 인한 소손 및 전기화재의 주요 원인은 합선, 단선, 결상, 과전류, 누전, 접촉불량이다.
현재까지는 전원 측의 중성선 단선, 누전, 접촉불량, 부하 측의 결상, 불평형 전류를 제외한 전기화재의 발생을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전원 측의 이상전압, 결상과 부하 측의 합선, 과전류, 누전으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과 보급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다.
즉, 전원 측의 이상전압, 결상과 부하 측의 합선이나, 누전, 과부하 등을 감지하기 위한 기술은 많이 개발되고 있지만, 전원 측의 중성선 단선, 누전, 접촉 불량과 부하 측의 결상, 불평형 전류의 원인을 정확히 감지하고 이를 차단 또는 조치할 수 있는 기술은 개발되어 있지 않아 한전의 경우 접촉불량 배전선로를 찾기 위해서 적외선(열화상) 카메라로 많은 인원과 예산을 소요해 가며 배전선로를 일일이 점검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기존의 접촉불량 및 전기적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장치는 온도를 감지하거나, 전압 및 전류변화, 고조파 변화(VTHD, ITHD) 등을 감지하여 접촉불량을 검출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다양한 전기품질요소를 측정해야 하거나, 온도 감지장치 등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할 뿐더러 결정적으로 접촉불량시 나타나는 전기적 현상을 정확히 분석하고, 판별하지 못하고 있다.
즉, 고조파 변화를 통해 감지하는 종래의 기술은 고객이 용접기 및 아크성 부하를 사용하면 VTHD, ITHD가 심하게 증가하게 되며, 또한 경부하, 중부하, 피크부하에 따라 그 값이 정상상태에서도 심한 변동을 가져오기 때문에 접촉불량으로 인한 것인지를 확신하지 못한다.
또한, 전압값 또는 전류값 하나의 인자로부터 접촉불량을 감지하는 종래의 기술도 마찬가지로 전압과 전류 소스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PT, CT로 분리되어 공급되는 고객)는 접촉 불량을 판단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접촉불량에 대한 원인을 정확히 판단하여 전기기기의 소손 및 전기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접촉불량 및 결상, 단선, 불평형과전압, 과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04718호(2009.1.12.공개)(발명의 명칭: 접촉불량 감지장치 및 방법)(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09024호(2012.1.17.등록)(발명의 명칭: 전력량계의 접촉불량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20373호(2013.10.15.등록)(발명의 명칭: 변압기를 구비한 결상복구장치 및 그 설치공법)(이하 '종래기술3'이라 한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128124호(2015.11.18.공개)(발명의 명칭: 과전류계전기)(이하 '종래기술4'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기술1'은,
전류 실효값, 역률, 전류 순시치, 고조파 등의 변화를 지표로 접촉불량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를 화재의 위험에서 보호할 수 있으며, 접촉불량을 감지할 수 있는 다섯 가지 요인 중 두 가지 이상의 요인이 만족되었을 때 접촉불량으로 판정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접촉불량을 감지하고, 나아가, 접촉불량에 따른 차단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고지함으로써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도 용이하게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개시된 '종래기술2'는,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전압 및 전류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전압 및 전류의 값을 통해 기 설정된 총 측정시간 및 측정시간 단위로 역률값을 연산하는 역률연산부와 상기 기 설정된 총 측정시간 및 측정시간 단위로 연산된 역률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보다 작은 값의 범위에서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경우 접촉불량으로 판단하는 접촉불량판단부 및 상기 접촉불량판단부에서 접촉불량으로 판단된 경우 접촉불량 신호를 원격서버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전력량계의 접촉불량을 방지하여 접촉불량으로 인한 전기기기(전력량계)의 소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개시된 '종래기술3'은,
3상 4선식 배전 계통에서 전력선의 결상, 중성선의 단선 및 전력선과 중성선에 불평형 고장전류가 발생할 시 검출하여, 전력선의 결상, 중성선의 단선 및 전력 불평형의 발생을 정상으로 복구하고, 영상 고조파를 감소시켜 정상전력을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개시된 '종래기술4'는,
과전류계전기의 종래기술의 한계인 정상적인 부하 변동에 의한 계전 오동작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하에 변동이 있을 시 정상적인 부하 변동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부하 상태에 따라 계전 동작 여부를 판단하여 동작함으로써, 부하 상태에 따른 적절한 계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정상적으로 추가된 부하에 의해 발생되는 계전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선로 보호 및 계통 운영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도록 구성된다.
1.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04718호(2009.1.12.공개) 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09024호(2012.1.17.등록) 3.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20373호(2013.10.15.등록) 4.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128124호(2015.11.18.공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단상 3선식(R0, N, R1) 배전계통에서 전원 측에서 누전, 접촉불량, 단선(R0 또는 N 또는 R1)이 발생 시에 상기 누전, 접촉불량, 단선의 고장전기의 복구에 대한 방법이 제시되지 않아 상기 단상 3선식에서는 상기 고장전기를 복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상 3선식(R0, N, R1) 배전계통에서 전원 측 누전, 단선(R0 또는 N 또는 R1), 접촉불량에 대한 발생을 실시간 복구 후 검출하여 경보하거나, 차단하는 방법이 제시되지 않아 전원 측 누전에 의한 감전, 단선에 의한 불평형 이상전압, 접촉불량에 의한 과열, 화재발생과 단선발생으로 불평형을 검출 후 경보,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삼상 4선식(R, S, T, N) 배전계통에서 전원 측 누전, 단선(R 또는 S 또는 T 또는 N), 접촉불량에 대한 발생을 실시간 복구 후 검출하여 경보하거나, 차단하는 간단한 방법이 제시되지 않아 전원 측 누전에 의한 감전, 단선에 의한 불평형 이상전압, 접촉불량에 의한 과열, 화재발생과 단선발생으로 불평형을 검출 후 경보,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배전계통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단상 3선식(R0, N, R1) 배전계통에서 전원 측의 누전, 단선(R0 또는 N 또는 R1), 접촉불량이 발생하면 전기고장에 대한 고장전류를 출력하여 누전, 단선(R0 또는 N 또는 R1), 접촉불량에 의해 이상 과전압, 이상 과전류가 발생되거나, 그 과전압, 과전류로 인해 감전, 기기소손, 화재 등의 전기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삼상 4선식(R, S, T, N)배전계통에서 전원 측의 누전, 단선(R 또는 S 또는 T 또는 N), 접촉불량이 발생하면 전기고장에 대한 고장전류를 출력하여 누전, 단선((R 또는 S 또는 T 또는 N), 접촉불량에 의해 이상 과전압, 이상 과전류가 발생되거나, 그 과전압, 과전류로 인해 감전, 기기소손, 화재 등의 전기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단상 3선식(R0, N, R1) 또는 삼상 4선식(R, S, T, N) 배전계통에 누전, 접촉불량, 단선으로 전기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전기고장을 실시간 유·무선으로 경보(통보)하여 감전, 화재, 기기소손, 과열 등으로 발생하는 전기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단상 3선식(R0, N, R1) 또는 삼상 4선식(R, S, T, N) 배전계통에 누전, 접촉불량, 단선으로 전기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전기고장을 즉시 차단하여 감전, 화재, 기기소손, 과열 등으로 발생하는 전기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단상 3선식, 삼상 4선식에서 전원측 단선, 접촉불량을 실시간 복구한 후에도 선로에 이상전력(과전류, 과전압)이 발생하면 상기 이상전력을 즉시 차단 후 경보(통보)하여 감전, 화재, 기기소손, 과열 등으로 발생하는 전기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는,
단상 3선식(R0, N, R1) 또는 삼상 4선식(A(R), B(S), C(T), N) 배전계통과 연계하고 배전선로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전원 측의 전기고장으로 유입되고 상기 전기고장을 복구하기 위해 유출되는 고장전류가 단상 3선식에서는 R0≠N 또는 R1≠N이거나, 삼상 4선식에서는A(R)+B(S)+C(T)≠0, A(R)+B(S)+C(T)≠N으로 발생시키는 고장출력기를 구비하고 상기 고장전류를 복구하거나, 검출하여 유·무선으로 통보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는,
상기 배전계통에 연결되어 상기 배전계통에서 전원 측의 누전, 결상, 단선, 접촉불량에 의한 전기고장을 감시하여 상기 전원 측의 누전, 결상, 단선, 접촉불량이 발생하면 중성선에서 상기 고장전류를 실시간 발생하는 고장출력기와; 상기 고장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고장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는,
상기 누전, 접촉불량, 결상, 단선, 불평형전류에 의한 전기고장을 상기 고장전기를 이용하여 고장전류를 발생하는 고장출력기와;
상기 고장출력기에서 출력되는 고장전류를 검출하여 그 검출 값을 차단기 또는 경보발생기에 전달하기 위한 고장검출기와;
상기 고장검출기에서 검출된 고장전류 검출 값을 제공받아 고장전력을 차단하거나 경보하기 위한 차단기 또는 경보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는,
단상 3선식의 배전계통과 연계하고, 제1 레그와; 제1 권선, 제2 권선과; 철심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은 각각 상기 제1 레그에서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이 전기적으로 연결 권취되어,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의 중간에는 중간 탭이 형성되고, 중성선에 연결되어, 전원 측에서 누전, 단선(R0 또는 N 또는 R1), 접촉불량 발생 시 전기고장에 대한 고장전류를 발생하고, 상기 단선, 접촉불량발생을 실시간 복구하는 고장출력기와, 상기 고장전류 검출을 위해 중성선과 R 또는 중성선과 R1을 검출하는 고장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장출력기는,
상기 단상 3선식(R0, N, R1) 일 때 전원 측의 상기 R0상이 단선되면 상기 R1상과 중성선(N)을 사용하여 상기 R0상을 복구하고, 상기 R1상이 단선되면 상기 R0상과 상기 중성선(N)을 사용하여 상기 R1상을 복구하며, 중성선(N)이 단선되면 상기 R0상과 상기 R1상을 사용하여 중성선(N)을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장출력기는,
상기 단상 3선식 일 때 제1 레그와; 제1 권선, 제2 권선과; 철심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은 각각 상기 제1 레그에서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이 전기적으로 연결 권취되고,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의 중간에는 중간 탭이 형성되어, 중성선에 연결되고, 전원 측의 단선(R0 또는 N 또는 R1), 접촉불량 발생시 고장전류를 발생시켜 실시간으로 복구하는 권선인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장출력기는,
상기 삼상 4선식 일 때 제1 레그, 제2 레그, 제3 레그와; 제1 권선, 제2 권선, 제3 권선과; 철심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은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3 레그에 권취되고 상기 제3 권선은 상기 제1 권선과 상기 제2 권선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3 레그에서 지그재그로 권취되어 일단이 중성점에 연결되어 누전, 단선, 결상, 불평형 시에 중성선 고장전류를 발생하며 상기 제2 레그는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3 레그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순환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기 제2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장출력기는,
상기 삼상 4선식 일 때 S상의 역 위상과 T상의 역 위상을 더하여 R상의 위상을 출력하거나, R상의 역 위상과 T상의 역 위상을 더하여 S상의 위상을 출력하거나, R상의 역 위상과 S상의 역 위상을 더하여 T상의 위상을 출력하여 누전, 단선, 결상, 접촉불량, 불평형전류를 복구하는 고장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장출력기는,
상기 삼상 4선식 일 때 S상의 역 위상 또는 T상의 역 위상과 R상의 정 위상을 더하여 R상의 위상을 출력하거나, R상의 역 위상 또는 T상의 역 위상과 S상의 정 위상을 더하여 S상의 위상을 출력하거나, R상의 역 위상 또는 S상의 역 위상과 T상의 정 위상을 더하여 T상의 위상을 출력하여 누전, 단선, 결상, 접촉불량, 불평형전류를 복구하는 중성선 고장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장출력기는,
상기 누전, 상기 결상, 상기 단선, 상기 접촉불량, 상기 삼상전동기의 전류불평형으로 고장전력 발생 시 각각의 레그에 권취된 각각의 권선이 1:1의 비율로 상호 전자기유도작용을 하여 상기 고장전력 경보 또는 차단용 중성선 고장전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장검출기는,
배전계통의 누전(지락), 단선, 결상, 접촉불량, 이상 과전류, 이상 과전압 이상 불평형으로부터 배전계통을 보호하기 위하여 고장출력기에서 출력하는 고장전류를 영상변류기 또는 전력검출기로 검출하여 트립회로 또는 누전차단기 또는 배선용차단기 또는 퓨즈 또는 회로보호용차단기 또는 경보발생기로 그 검출 값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검출기는,
상기 고장출력기의 입출력의 전압, 전류를 검출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는,
상기 전원 측의 누전, 결상, 단선, 접촉불량과 부하 측의 누전, 과전류, 삼상전동기의 불평형전류발생 시에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계통에서 전원 측의 단선, 결상, 접촉불량에 의한 전력이상을 실시간으로 복구한 후 전원 측 누전, 부하 측 누전, 과전류, 삼상평형부하 불평형 시 차단해줌으로써, 상기 전력이상 및 전력복구에 의해 감전, 전기기기 소손, 전기화재 등의 전기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계통에서 전원 측의 누전, 결상, 단선, 접촉불량과 부하 측의 누전, 삼상평형부하의 불평형전류에 의한 전기고장을 실시간으로 경보해줌으로써, 상기 전기고장에 의해 감전, 전기기기 소손, 전기화재 등의 전기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계통에서 전원 측의 누전, 결상, 단선, 접촉불량과 부하 측의 누전, 과전류, 삼상평형부하의 불평형전류에 의한 전기고장을 차단해줌으로써, 상기 전기고장에 의해 감전, 전기기기 소손, 전기화재 등의 전기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전력을 사용하는 평상시에도 불평형전력과 영상고조파의 발생을 배전계통에 연결된 3상용 고장출력기가 감쇄 또는 상쇄하고, 고장전류로 출력하여 줌으로써 검출, 통보하여 관리자가 보수하도록 하여 전기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삼상전동기 전원 측 선로에서 단선, 결상, 누전, 접촉불량 시나, 부하 측 선로에서 누전, 결상 및 전동기의 코일소손진행 시 시동시간설정, 시동전류설정, 운전전류설정 및 과전류량 설정치 감시 없이 과전류 또는 불평형 전기고장 발생 즉시 차단 및 통보하여 전동기소손, 과열, 감전, 화재 및 전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접촉불량으로 아크 발생시 전압, 전류의 변화 파형도.
도 2는, 정상전력의 전압, 전류의 변화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200) 단상 3선식의 구성 및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200) 삼상 4선식의 구성 및 회로도.
도 5는, 고장출력기의 여러 실시 예의 회로도 및 누설전력복구벡터도.
도 6는, 고장출력기의 여러 실시 예의 회로도.
도 7은, 한국전기연구원에서 각 상의 전원을 단선시켜 시험한 전원 측과 부하측 연결 회로도와 시험결과표{결상(A, B, C상 OFF) 시 전원 측 중성선 전류를 보면 부하 측 전력을 복구하기 위해 전원 측 중성선에서 고장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상술한 선행기술3의 제품으로 시험한 결과 치입니다.}
도 8은, 3상 4선식에서 중성선(N)에 연결하여 삼상부하 측 결상 시 전원 측을 평형방향으로 복구하면서 고장출력기가 중성선(N)에 연결된 중성점에서 고장전류를 검출하게 되는 도면.
도 9는, 삼상 3선식에서 대지(E, ET)에 고장출력기의 중성점(N)을 연결할 때 고장출력기의 각각 권선의 중성점에서 고장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고장검출기의 위치회로도.
도 10은, 고장검출기(210)의 검출위치에 따라 검출이 가능한 전기고장을 명시하기 위한 회로도.
도 10의 210-1은, 전원 측의 단선, 누전, 결상, 접촉불량, 불평형을 검출
도 10의 210-2는, 전원 측의 단선, 누전, 결상, 접촉불량과 부하 측의 누전, 불평형을 검출
도 10의 210-3은, 전원 측의 단선, 결상, 접촉불량과 삼상 평형(전동기)부하 측 선로의 결상, 삼상전동기코일 불평형(소손), 부하 불평형을 검출
도 10의 210-4는, 부하 측의 누전과 불평형 과전류를 검출
도 10의 240은, 차단기로써, 부하 측의 단락, 누전, 과전류 차단
도 11은, 경보발생기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200)의 단상 3선식과 삼상 4선식의 구성 및 회로도로서, 배전계통(100)에 연결되어 있는 고장출력기(220-1, 220)와 상기 배전계통(100)에 고장전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장전류를 검출하는 고장검출기(210)와, 고장에 대한 경보 또는 차단 트립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기(230)와, 전기고장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200)는 하나의 모듈로 구현하여 제품화하면, 휴대하여 전기고장(전원 측의 누전, 결상, 단선, 접촉불량과 부하 측의 누전, 과전류, 불평형전류)을 점검하거나, 분배전반에 구비하여 경보하거나, 차단기에 내장하여 전력이상 시 전력을 차단하거나, 기존에 설치된 전력공급용 기기에도 쉽게 적용하여 이상전력을 경보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배전계통(100)은 단상 3선식(R0, N, R1) 또는 3상 4선식(R, S, T, N 또는 A, B, C, N)으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일반적인 배전계통을 의미한다.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200)는, 배전계통(100)의 전기설비에 연결되어, 상기 배전계통(100)에서 누전, 접촉불량, 결상, 단선, 불평형전류 발생 시 발생한 전기고장을 감지하기 위한 고장전류를 단상용 고장출력기(22)와 3상용 고장출력기(220)에서 고장전기를 사용하여 출력해주며, 상기 누전, 접촉불량, 결상, 단선, 불평형전류 발생 시 고장검출기(210)중 하나인 영상변류기가 고장출력기(220-1, 220)에서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고장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누전, 접촉불량, 결상, 단선, 불평형전류에 의한 전기고장을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출력하여주거나, 검출한 고장전류로 경보발생기(230)를 동작하거나, 차단기(240)에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주고, 상기 전기고장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200)는, 상기 전기고장의 발생 시 상기 전기고장을 입력받아 상기 전기고장을 감지하기 위한 고장전류를 입력받거나, 출력하여 고장전류를 발생하는 고장출력기(220-1, 220)와 상기 전기고장을 복구 또는 차단 또는 경보하기 위해 고장출력기(220-1, 220)에서 발생하는 상기 고장전류를 검출하는 고장검출기(210)를 구비하고, 상기 고장출력기(220-1, 220)에 의해 동작하여 발생된 전기고장 여부를 외부에서 판단하도록 경보발생기(230)로 전달하거나, 상기 전기고장 발생 시 상기 전기고장과 부하에 흐르는 과전류를 차단기(240)를 구비하여 자체 차단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단상 3선식(R0, N, R1)의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200)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단상용 고장출력기(22)는 배전계통(100)의 전선로(R0, N, R1)에 연결되어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전원 측에서 R0상이 단선(접촉불량)되거나, R1상이 단선(접촉불량)되거나, 중성선(N)이 단선(접촉불량)이 되면, 실시간으로 복구하는 기능과 상기 전원 측에서 누전(지락)이 발생하더라도 누전지점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고장검출기(210)는 상기 고장출력기(22)에서 발생하는 고장전기 복구 및 누전에 대한 고장전류를 검출하게 된다.
이를 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단상 3선식(R0, N, R1)의 전원전압이 100/200V라고 가정하고 상기 R0상이 단선되면, 중성선(N)과 R1에 유기되어 있는 전압 100V가 상기 단상용 고장출력기(22)의 레그(120-1)에 권취된 코일 L2에 투입되고 코일 L2는 같은 레그(120-1)에 권취된 코일 L1을 전자기유도하여 코일 L1에서도 전압이 발생되는 것을 도 3에서 보면 알 수 있으며, 중성선(N)이 단선되면 전력선 R0와 R1연결된 코일 L1과 코일 L2에는 전압 200V가 유기되어 상기 코일 L1과 상기 코일 L2의 중간 탭과 연결된 중성선(N)을 복구하게 되며, 상기 R1이 단선되더라도 상기 R0가 단선되어 복구되는 것과 유사하게 복구되어 정상적인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를 정확하게 복구가 되도록 상기 고장출력기(22)에 권취된 코일권선(L1, L2)의 변압비는 1:1로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고장출력기(22)는 각각의 상을 단선 복구하거나, 중성선(N) 단선을 복구할 때 복구하기 위한 고장전류를 흘려서 복구하게 되는데 가령 R1상과 중성선(N)에 연결된 단상부하에서 전류 100이 흐르는 상태에서 전원 측 R1상이 단선되어, 상기 R1상을 100복구한다면 건전한 R0상과 중성선(N)에서 복구전류 100을 R1상이 가져오게 되고 또한, 중성선(N)은 R1상과 같이 연결된 선로의 단상부하에도 상기 고장출력기(22)에서 전류를 공급하게 되어 고장출력기(22)에서 전류가 인입 인출되는 중성선(N)에는 200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불평형 전류를 고장전류로 고장검출기(210) 중에 하나인 영상변류기는 간단하게 검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R0, N, R1선로를 다 검출하게 되면 R0의 전류는 100이 들어가고 R1의 전류는 100이 나가지만 180도 위상이 다른 둘(R0, R1)이 더해져서 합성전류 200이 되어 중성선(N)과 같은 전류 200으로 전류가 상쇄되어 검출을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고장검출기(210)에서 고장전류를 검출할 때는 R1상과 중성선(N) 또는 R0상과 중성선(N)을 따로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중성선(N)이 단선되면 전원 측의 R0상과 R1상은 변압비가 1:1인 고장출력기(22)에 공평하게 전류를 공급하게 되고 복구된 중성선(N)은 R0상과 R1상에 같이 연결된 부하에 전류를 공급하게 되어 결국 고장출력기(22)에서 R0상과 R1상의 부하전류도 같이 공급하게 되며, 상기 R0상과 R1상은 단선된 중성선을 복구하기 위한 전류와 부하에 공급하는 전류가 더해져 단상부하가 평형부하라 하더라도 R1상과 중성선(N) 또는 R0상과 중성선(N)에는 불평형이 발생되고 결국 고장검출기(210)는 불평형 전류를 검출하여 경보 또는 차단동작을 하도록 검출 값을 경보발생기(23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며, 부하가 불평형 단상 부하일 때도 마찬가지 이유로 불평형이 검출되고, 전원 측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고장출력기는 아무런 일도 하지 않아 불평형 고장전류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고장출력기(22)는 고장이 발생할 때만 실시간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단상 3선식에서 전원 측에서 누전이 발생하거나, 접촉불량이 발생하여도 상술한 이유에서 누전지점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접촉불량을 복구하게 되지만, 아래부터 설명할 삼상 4선식에서 자세한 설명이 있어 단상 3선식에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는 삼상용의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2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도면이며, 도 5를 가지고 삼상 4선식발명내용을 설명하면, 상기 고장출력기(220)는, 배전계통(100)의 전원 측에서 상기 누전, 단선, 결상, 접촉불량으로 전기고장이 발생하면, 상과 상간의 전위차와 위상차, 중성점과 상간의 전위차와 위상차를 이용해 전자기유도를 하여, 상기 누전, 단선, 결상, 접촉불량으로 인한 고장상황을 고장검출기(210)에 공급하고자 철심인 레그(120, 130, 140)와 코일인 권선(P1, P2, P3, P4)을 구비하며, 제1 레그(120)에는 제1 권선(P1)과 제3 권선(P2)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고, 제3 레그(140)에는 제2 권선(P2)과 제3 권선(P4)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어, 상기 제1 권선과 상기 제2 권선(P2)과 상기 제3 권선(P2, P4)의 일단이 중성선(N)에 연결되고, 특히, 상기 제3 권선(P2, P4)은 상기 제1 레그(120)와 상기 제3 레그(140)에 각각 권취 연결되어 전원 측의 누전, 단선, 결상, 접촉불량과 부하 측의 누전, 삼상부하 측의 결상전류불평형 전기고장에 대한 고장전류발생을 위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레그는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3 레그에서 유도되는 서로 다른 자속을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고장출력기(220)의 간략한 구성회로도와 위상벡터도(220-1)를 보면, 전원입력 측에 입력 A, 입력 B, 입력 C, 입력N과 부하 측의 사이에 연결된 고장출력기(220)를 볼 수 있으며, 만일에 상기 고장출력기(220)의 입력 A가 지락 또는 단선 또는 결상 또는 접촉불량이 되면 입력 A는 사라지거나 위상이 변형되어, 입력 B, 입력 C의 전원만 공급되게 되고, 도 4에 포함된 벡터도면(810)에 도시된 입력 A가 단선, 결상 시 복구방법의 벡터도(810-1, 810-2, 810-3)의 순서대로 실시간으로 전원입력 A의 복구가 가능하고, 상기 고장출력기(220)가 전원입력 A를 복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장전류가 고장출력기(220)에 입력되는 중성선(N)에서 발생한다.
또한, 상기 고장출력기(220)의 입력 B가 지락 또는 단선 또는 결상 또는 접촉불량이 되면 입력 B는 사라지거나, 위상이 변형되어, 상기 고장출력기(220)에는 입력 A와 입력 C의 전원만 공급되게 되고, 도 5에 포함된 도면(820)에 도시된 입력 B가 단선 시 복구방법의 백터도(820-1, 820-2, 820-3)의 순서대로 실시간으로 전원입력 B의 복구가 가능하며 복구전력에 의한 고장전류가 고장출력기(220)에 입력되는 중성선(N)에서 발생하며,
또한, 상기 고장출력기(220)의 입력 C가 지락 또는 단선 또는 결상 또는 접촉불량이 되면 입력 C는 사라지거나 위상이 변형되어, 상기 고장출력기(220)에는 입력 A와 입력 B의 전원만 공급되게 되고, 도 5에 포함된 도면(830)에 도시된 입력 C가 단선 시 복구방법의 벡터도(830-1, 830-2, 830-3)의 순서대로 실시간으로 전원입력 C의 복구가 가능하게 되어 상기 고장출력기(220)가 전원입력 C를 복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장전류가 상기 고장출력기(220)에 입력되는 중성선(N)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를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고장출력기(220)는, 전압비가 각각 1:1로 권취된 권선(P1, P2, P3, P4)과 레그(120, 130, 140)를 구비하고, 벡터도(810-1)에서와 같이 상기 입력 A가 소멸된 상태가 되면, 서로 위상각 120도를 유지하는 입력 B, 입력 C와 중성선만 전원이 입력되게 되어, 일단이 중성점(N)과 연결된 권선(코일) P2의 타단에 입력 B의 전압이 투입되게 되고, 상기 권선 P2가 권취된 제3 레그(140)와 동일한 레그(140)에 상기 권선 P2의 반대방향으로 권취된 권선 P4에도 중성점(N)을 기준으로 상기 권선 P2에 유기된 전압과 위상의 180도 반대방향의 위상 전압이 상기 권선 P4에 전자기유도로 발생되어, 도면(810-1)상태의 위상벡터가 나타나게 되고, 한편, 상기 입력 B와 120도의 위상차와 380V전위차 및 중성선(N)과 220V전위차를 갖는 상기 입력 C는 권선 P3의 일단에 연결되어 전원이 투입되어 있고, 상기 권선 P4에서 발생된 위상의 전압은 상기 권선 P3와 연결된 타단에 입력 C와 위상차를 갖는 입력 B의 반대방향의 전원을 투입하게 되어, 결국은 상기 권선 P3에도 소멸된 입력 A의 위상과 같은 전압이 유기되어 도 5의 도면(810-2) 상태의 위상벡터가 나타나게 되며, 상기 권선 P3는 권선 P3가 권취된 동일한 레그(120)에서 반대방향으로 권취된 권선 P1에 권선 P3가 갖는 위상의 반대위상전압을 발생하는 전자기유도를 실시하게 되어서, 상기 중성점(N)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던 상기 권선 P1은 중성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권선 P3위상의 180도 반대위상인 소멸된 전원 입력 A를 발생하게 되면 입력 A를 복구하기 위한 중성선의 전류는 도 7의 시험성적서에서 기재되어 있듯이 입력 B와 입력 C의 약
Figure pat00001
배(부하출력전류를 A+B+C더한 값)에 해당하는 중성선 전류가 고장출력기에 입력되어 A+B+C≠N으로 으로 출력되고 전류법칙에 반하는 고장전류가 출력, 검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고장전류에 대해 설명하자면 문헌상 삼상의 벡터에 의한 전기 이론은 단상 3선식 단상부하의 합성전류는 R0+R1=N이고, 삼상 3선식 삼상부하의 합성전류는 A(R)+B(S)+C(T)=0, 삼상 4선식 부하의 전류는 A(R)+B(S)+C(T)=N이며 이것은 A(R), B(S), C(T)에 100이라는 평형전류가 흐르면 삼상을 더한 값이 0이거나 N선에 흐르는 전류는 0이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평형전류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삼상부하의 R상 한상이 결상되어 불평형이라고 가정 하더라고 결상이 되어 단상으로 변한 S상과 T상의 전류 합은 0이 되고 불평형의 삼상 4선식에서는 N상에 불평형에 합당한 전류가 흘러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에 위배됨이 없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에 반하는 고장전류를 R0+R1=N 또는 A(R)+B(S)+C(T)≠0 또는 A(R)+B(S)+C(T)≠N으로 정하고 전류법칙에 반하는 고장전류를 건전상과 중성선(접지)을 이용하여 고장출력기에 전기고장에 대한 고장전류를 입력하거나, 출력하고, 고장검출기는 상기 고장출력기에서 발생된 고장전류를 검출하여 배전계통의 전기고장을 판정하고 그 계통을 차단하거나, 경보하거나, 고장구간을 특정하여 알려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A상의 부하용량이 100일 때 단선되거나 결상되면 삼상벡터는 사라진 고장출력기가 A상을 복구하기 위해 B, C상과 N상의 전력을 사용하여 A상에 전기를 공급하려면 B와 C상은 자기 출력전류보다 A상 복구를 위한 50이상씩과 N상은 삼상벡터는 사라진 A상, B상, C상의 출력전류를 더한 전류만큼 더 흐르게 되어 A상의 100을 복구하게 되고 결국 N상에는 A상, B상, C상의 부하의 출력전류를 더한 값의 고장전류가 발생되며 삼상부하 측 선로에서 A상, B상, C상의 한선이 단선되면 부하 측에 불평형 과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전원 측을 평형방향으로 복구하기 위해 전원 측의 A(R), B(S), C(T)상은 상기 고장출력기의 입력A, 입력B, 입력C와 중성선(접지) 사용하여 불평형 전류를 보정하게 되어 상기 고장출력기는 전원 측 중성선(N)에서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와 같은 원리로 중성선(N)에 고장전류가 발생되고 삼상의 전동기 부하가 A상이 단선되거나 결상이 되면 고장출력기는 부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원리로 B, C상과 중성선(N)의 전류를 사용하게 되어 결국은 중성선에서 고장전류가 발생되는 것이며, 전원 측과 부하 측의 누전발생도 복구하기 위해 같은 원리로 중성선(N)에서 고장전류가 발생하거나 누전이 발생된 자체 누설전류가 발생되어 고장전류가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고장출력기(220)에서 삼상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고장출력기(220)의 중성점을 연결한 대지(E, ET) 또는 중성선(N)에 연결된 권선에서 고장전류가 발생하면 고장검출기(210)는 즉시 누설된 전류를 검출하여 경보발생기(230) 또는 누전차단기의 트립회로에 고장전류 검출 값을 전달하게 되면 경보발생기(230)나 누전차단기는 동작을 하게 되나, 특히, 대지와 권선의 중성점이 연결된 상기 고장출력기(220)는 고장전류 검출을 위해 도 8과 같이 삼상권선으로 분할된 각각의 삼상의 중성점 전류를 검출하여야 고장고장전류가 검출되며, 대지와 연결된 한선에서는 전류검출이 안 된다.(기존의 전기설비에서는 결상을 검출하기 위해 UVR(저전압계전기)이나 POR(결상계전기)을 사용하여 결상을 검출하지만 가격이 고가이고 전원 측의 중성선단선 시에는 검출하는 것이 어려우며, 특히 접촉불량은 정확하게 검출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어서, 입력 B가 단선 시 복구되는 것을 설명하면, 도 5의 벡터도(820)에서 상기 입력 B가 사라진 도(820-1)를 보면 상기 입력 B가 소멸되면, 입력 A와, 입력 C에만 전원이 입력되어, 상기 입력 A는 일단이 중성점(N)과 연결되어 있는 권선(코일) P1의 타단에 입력 A의 전원이 투입되게 되고, 상기 권선 P1은 상기 권선 P1이 권취된 레그(120)와 동일한 레그(120)에 상기 권선 P1의 반대방향으로 권취된 권선 P3에 전자기유도를 하게 되고, 상기 권선 P3는 일단에 전원 입력C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권선 P3는 입력 A와 중성점을 기준으로 입력전원 C가 갖는 전위차로 전기적인 위치가 상기 권선 P3의 기준 위상이 되고, 상기 전원 입력 A가 상기 권선 P1에 유기된 위상과 전압의 180도 반대의 위상과 전압이 상기 권선 P3에 발생하여, 도면(820-1)상태의 벡터가 나타나게 되고, 상기 P3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권선 P4에 상기 P3의 유도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도면(820-2)상태의 벡터가 생성되며, 상기 권선 P4는 상기 권선 P4가 권취된 레그(140)와 동일한 레그(140)에서 상기 권선 P4의 반대방향으로 권취된 권선 P2에 중성점을 기준으로 전자기유도를 하게 되어, 결국은 상기 권선 P2에도 입력 중성선(N)을 사용한 고장출력기(220)의 복구전압이 유기되어 도 5의 도면(820-3)상태의 벡터가 나타나게 되며, 소멸된 전원 입력 B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입력 C가 전원공급이 안 되더라도 상기 입력 A가 사라지거나, 상기 입력 B가 사라져도 삼상의 위상차와 전위차 및 각 상과 중성점의 위상차와 전위차를 이용하여 전자기유도로 상기 입력 A나 상기 입력 B가 복구되는 방법과 같은 이유로 입력 C는 복구된다. 굳이 입력 C가 복구되는 것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도 5의 (830)은 입력 C가 공급되지 않는 벡터도이며, 전원 입력 C가 없어져서, 전원 입력 A와 전원 입력 B가 중성점에 각각 연결된 권선 P1과 권선 P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권선 P1과 상기 권선 P2는 중성점을 기준으로 V결선의 형태를 하게 되고, 상기 권선 P2는 권선 P4를 180도 반대방향의 위상과 전압으로 전자기유도하게 되고, 상기 권선 P1은 권선 P3를 180도 반대방향의 위상과 전압으로 전자기유도를 하여, 도 5의 도면(830-3)과 같이 입력된 중성선(N)을 사용하여 전원 입력 C가 복구되어 발생된다.
또한, 전원 측 중성선이 단선 되더라도 상기 입력 A, 상기 입력 B, 상기 입력 C에 삼상 전원이 투입되면 각각의 상들이 120도를 유지하게 되고 삼상전력의 중심이 자연적으로 생성되어 권선(P1, P2, P3, P4)에 의해 중성선이 나타나게 되며 단상 부하의 불평형에 의해 중성선의 출력으로 전류를 공급하게 되어 R+S+T≠N의 고장전류가 발생하며 배전계통의 전원 측에서 지락, 단선, 결상으로 인해 하나의 선로 고장으로 입력 전원이 투입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부하 측에서는 삼상의 전류를 정상적으로 사용하여 비정상적으로 중성선 전류가 출력되므로 중성선의 전류는 고장전류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선행기술3과 첨부한 도 6의 실시 예에 의해서도 고장전류가 출력되며 배전계통에 이상이 발생하여 비정상적인 불평형전류의 삼상전동기 전원이 공급될 시에는 결상된 부하전류를 고장출력기에서 전원 측 불평형을 보충하여 평형으로 전원을 보정하게 되고 이에 따른 중성선의 고장전류가 발생되어 고장검출기를 가동하게 되고 배전계통에 비정상적인 전력이 유입되지 않도록 조치한다.(고장검출기의 고장전류검출은 고장출력기의 용량에 의하여 설정하며 고장검출기는 영상변류기, 전력검출기 또는 누전차단기 또는 배선용차단기 또는 퓨즈 또는 회로보호차단기 등으로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계통(100)에서 전기설비의 전원 측 누전, 접촉 불량, 전력선의 결상, 중성선의 단선, 부하 측의 누전, 삼상부하의 불평형전류로 전력이상이 발생하면 고장출력기(220-1, 220)는 전력이상을 입력받아 전력이상을 보충하는 고장전류를 실시간 출력하여 상기 전력이상이 발생한 배전계통(100)에 공급하고, 발생된 상기 고장전류를 고장검출기(210)가 검출하면 경보발생기(230)에 전달하여 외부에 유·무선으로 알리거나 전력이상을 차단기(240)가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차단기(240)를 차단하기 위해 트립하는 장치는 기존의 누전차단기의 트립회로를 사용하여 차단하거나 기존에 구비된 누전경보기를 사용하면 차단접점기능과 통신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전력이상의 발생을 바로 외부로 유·무선으로 고장통보를 발생하여 관리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하며, 이후 관리자가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이상 발생으로 인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감전, 시스템 고장, 전기화재, 국민 신체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배전계통(배전계통의 전기설비)
120 - 제1 레그(단상용 120-1), 130 - 제2 레그, 140 - 제3 레그
200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210 - 고장검출기
22 - 단상용 고장출력기
220 - 삼상용 고장출력기(220-A, 220-B)
230 - 경보발생기(누전경보기)
240 - 차단기(MCCB, ELCB, ACB, VCB, LBS, MG/SW, SSR 등)
L1 - 제1 레그에 권취된 제1 권선(단상용)
L2 - 제1 레그에 권취된 제2 권선(단상용)
P1 - 제1 레그에 권취된 제1 권선(3상용)
P2 - 제3 레그에 권취된 제2 권선(3상용)
P3 - 제1 레그에 권취된 제3 권선(3상용)
P4 - 제3 레그에 권취된 제3 권선(3상용)
R0, R1 - 단상전력선
A(R), B(S), C(T) - 삼상전력선,
N - 중성선
E 또는 ET - 접지(대지)단자

Claims (13)

  1. 배전계통과 연계하고 배전선로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전원 측의 전기고장으로 유입되고 상기 전기고장을 복구하기 위해 유출되는 고장전류가 R0≠N 또는 R1≠N이거나, A+B+C≠0 또는 A+B+C≠N으로 발생시키는 고장출력기를 구비하고 상기 고장전류가 발생하면 정상전류로 복구하거나, 검출하여 유·무선으로 통보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는,
    상기 배전계통에 연결되어 상기 배전계통에서 전원 측의 누전, 결상, 단선, 접촉불량에 의한 전기고장을 감시하여 상기 전원 측의 누전, 결상, 단선, 접촉불량이 발생하면 중성선에서 상기 고장전류를 실시간 발생하는 고장출력기와; 상기 고장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고장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는,
    상기 누전, 접촉불량, 결상, 단선, 불평형전류에 의한 전기고장을 중성선을 사용하여 고장전류를 발생하는 상기 고장출력기와;
    상기 고장출력기에서 출력되는 고장전류를 검출하여 그 검출 값을 전원 측과 부하 측 고장구간을 구분하여 경보발생기 또는 차단기에 전달하기 위한 상기 고장 검출기와;
    상기 고장검출기에서 검출된 고장전류 검출 값을 제공받아 고장전력을 차단하거나 경보하기 위한 차단기 또는 경보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고장 만능복구(차단)기.
  4. 단상 3선식의 배전계통과 연계하고, 제1 레그와; 제1 권선, 제2 권선과; 철심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은 각각 상기 제1 레그에서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이 전기적으로 연결 권취되어,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의 중간에는 중간 탭이 형성되고, 중성선에 연결되어, 전원 측에서 누전, 단선(R0 또는 N 또는 R1), 접촉불량 발생 시 전기고장에 대한 고장전류를 발생하고, 상기 단선, 접촉불량 발생을 실시간 복구하는 고장출력기와, 상기 고장전류 검출을 위해 중성선과 R0 또는 중성선과 R1을 검출하는 고장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5. 청구항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출력기는,
    상기 단상 3선식(R, N, R1) 일 때 전원 측의 상기 R상이 단선되면 상기 R1상과 중성선(N)을 사용하여 상기 R상을 복구하고, 상기 R1상이 단선되면 상기 R상과 상기 중성선(N)을 사용하여 상기 R1상을 복구하며, 중성선(N)이 단선되면 상기 R상과 상기 R1상을 사용하여 중성선(N)을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6. 청구항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출력기는,
    상기 단상 3선식 일 때 제1 레그와; 제1 권선, 제2 권선과; 철심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은 각각 상기 제1 레그에서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이 전기적으로 연결 권취되고,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의 중간에는 중간 탭이 형성되어, 중성선에 연결되고, 전원 측의 단선(R 또는 N 또는 R1) 접촉불량을 고장전류를 발생시켜 실시간으로 복구하는 권선인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7. 청구항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출력기는,
    제1 레그, 제2 레그, 제3 레그와; 제1 권선, 제2 권선, 제3 권선과; 철심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권선, 상기 제2 권선은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3 레그에 권취되고 상기 제3 권선은 상기 제1 권선과 상기 제2 권선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3 레그에서 지그재그로 권취되어 일단이 중성점에 연결되고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 배전계통에서 누전, 접촉불량, 단선, 결상, 불평형전류로 전기고장 시에 대지와 연결된 중성선에서 고장전류를 발생하며 상기 제2 레그는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3 레그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순환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기 제2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8. 청구항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출력기는,
    S상의 역 위상과 T상의 역 위상을 더하여 R상의 위상을 출력하거나, R상의 역 위상과 T상의 역 위상을 더하여 S상의 위상을 출력하거나, R상의 역 위상과 S상의 역 위상을 더하여 T상의 위상을 출력하여 누전, 단선, 결상, 접촉불량, 불평형전류를 복구하는 중성선의 고장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9. 청구항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출력기는,
    S상의 역 위상 또는 T상의 역 위상과 R상의 정 위상을 더하여 R상의 위상을 출력하거나, R상의 역 위상 또는 T상의 역 위상과 S상의 정 위상을 더하여 S상의 위상을 출력하거나, R상의 역 위상 또는 S상의 역 위상과 T상의 정 위상을 더하여 T상의 위상을 출력하여 누전, 단선, 결상, 접촉불량, 불평형전류를 복구하는 중성선의 고장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10. 청구항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출력기는,
    누전, 결상, 단선, 접촉불량, 삼상부하의 전류불평형으로 상기 전기고장 발생 시 각각의 레그에 권취된 각각의 권선이 1:1의 비율로 상호 전자기유도작용을 하여 상기 전기고장에 대한 복구 또는 경보 또는 차단을 하기 위한 고장전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11. 청구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기는,
    배전계통의 누전(지락), 단선, 결상, 접촉불량, 이상 과전류, 이상 과전압 이상 불평형으로부터 배전계통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고장출력기에서 출력하는 고장전류를 영상변류기 또는 전력검출기로 검출하여 트립회로 또는 누전차단기 또는 배선용차단기 또는 퓨즈 또는 회로보호용차단기 또는 SSR 또는 MG/SW 또는 경보발생기로 그 검출 값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12. 청구항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검출기는,
    상기 고장출력기의 입출력의 전압, 전류을 검출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13. 청구항 1항 또는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출력기는,
    상기 배전계통에 구비된 전원 측의 지락, 결상 또는 접촉불량 시에 지락, 결상, 접촉불량에 의한 고장 위상전력을 중성선과 건전상을 사용하여 공급하고, 중성선 단선시는 삼상을 사용하여 중성선을 복구하여 부하 측으로 공급하고, 전원 측의 불평형 전력(전압, 전류)와 부하 측의 불평형 전력을 중성선을 사용하여 평형으로 개선하며, 누전 시에도 중성선을 사용하거나, 누전된 고장선로에 전력을 공급하며, 삼상부하의 부하 측 결상 시에도 중성선과 건전상을 사용하여 삼상전원 측을 평형방향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KR1020190047377A 2019-04-23 2019-04-23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KR20190049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377A KR20190049662A (ko) 2019-04-23 2019-04-23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377A KR20190049662A (ko) 2019-04-23 2019-04-23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231A Division KR20180082844A (ko) 2017-01-11 2017-01-11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662A true KR20190049662A (ko) 2019-05-09

Family

ID=6654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377A KR20190049662A (ko) 2019-04-23 2019-04-23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96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095B1 (ko) 2021-08-26 2022-06-28 태성전기산업주식회사 비정상 접속시 차단 기능을 갖는 3상 4선식 스마트 누전 차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분배전반
WO2023085485A1 (ko) 2021-11-12 2023-05-19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단일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차단기 운전전류 및 사고전류 측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718A (ko) 2007-07-03 2009-01-12 (주)제일피앤피 접촉불량 감지장치 및 방법
KR101109024B1 (ko) 2010-11-25 2012-02-20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의 접촉불량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KR101320373B1 (ko) 2013-03-21 2013-10-23 (주)계도건설 변압기를 구비한 결상복구장치 및 그 설치공법
KR20150128124A (ko) 2014-05-08 2015-11-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과전류 계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718A (ko) 2007-07-03 2009-01-12 (주)제일피앤피 접촉불량 감지장치 및 방법
KR101109024B1 (ko) 2010-11-25 2012-02-20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의 접촉불량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KR101320373B1 (ko) 2013-03-21 2013-10-23 (주)계도건설 변압기를 구비한 결상복구장치 및 그 설치공법
KR20150128124A (ko) 2014-05-08 2015-11-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과전류 계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095B1 (ko) 2021-08-26 2022-06-28 태성전기산업주식회사 비정상 접속시 차단 기능을 갖는 3상 4선식 스마트 누전 차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분배전반
WO2023085485A1 (ko) 2021-11-12 2023-05-19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단일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차단기 운전전류 및 사고전류 측정장치
KR20230069750A (ko) 2021-11-12 2023-05-19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단일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차단기 운전전류 및 사고전류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8324B2 (en) Electrical fault detection and recovery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803431B1 (ko) 단상전원선로 고장 시 실시간복구변압시스템 및 그 공사 방법
KR102277716B1 (ko) 배전계통 전원선로 고장시 실시간 탐지/복구시스템 및 그 공사방법
CA2236283C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system with uncommitted contacts
US6810069B2 (en) Electrical arc furnace protection system
US6940702B2 (en) Electrical protection system
JP7263251B2 (ja) 配電系統電源線路故障時のリアルタイム探知/復旧システム及びその工事方法
KR101440492B1 (ko) 전기화재 예방 및 과부하 차단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2005080B1 (ko) 고장전원 탐지 및 복구가 가능한 자동제어시스템
KR101320373B1 (ko) 변압기를 구비한 결상복구장치 및 그 설치공법
KR20080063405A (ko) 3-상 전력 시스템용 접지 결함 회로 차단기 시스템
KR20190067564A (ko) 배전계통 전원선로 고장시 실시간 탐지/복구시스템 및 그 공사방법
KR101799954B1 (ko) 과열로 인한 사고 확산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2068625B1 (ko) 전기고장 마스터 탐지기
KR101612488B1 (ko) 하이브리드 변압기
KR20190049662A (ko)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KR20150013105A (ko) 전력계통의 결상 시 결상복구장치
KR20150134563A (ko) 전력계통에서 고장전력 발생 시 복구장치
AU2003247885B2 (en) Electrical network protection system
KR20170051984A (ko) 사용전 전기단락저항 측정기 장치를 적용한 수배전반
KR20180082844A (ko) 전기고장 만능 복구(차단)기
KR101976372B1 (ko) 마스터 차단기
KR20170042070A (ko) 전력계통에서의 단락 발생시 재해 방지장치 및 방법
IE20150433A1 (en) Safety breaker
KR20240067138A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부하과열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