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659A -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 - Google Patents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659A
KR20190049659A KR1020190046126A KR20190046126A KR20190049659A KR 20190049659 A KR20190049659 A KR 20190049659A KR 1020190046126 A KR1020190046126 A KR 1020190046126A KR 20190046126 A KR20190046126 A KR 20190046126A KR 20190049659 A KR20190049659 A KR 20190049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lastic
biomass
wastes
vege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2019004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9659A/ko
Publication of KR20190049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6Pow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0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폐기물과 플라스틱 폐기물의 혼합물을 밀폐된 압력용기 내에 수용하여 교반하면서, 압력용기의 내/외부로부터 생성한 포화증기를 사용하여 폐기물들에 대한 안정화 처리와 함께 식물성 폐기물에 열 용해한 플라스틱 폐기물을 담지케하여서 발열량이 높은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를 창출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는, 처리가 곤란한 식물성 폐기물과 플라스틱 폐기물을 동시에 재 자원화하는 것으로서, 지구를 환경적/생태계적인 면에서 보호하는데 공헌하고, 자원 순환형 사회를 구현하는데 일익이 되며, 부차적으로는 농/산림업 종사자에 대한 소득 증대에도 기여를 한다.

Description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Refuse Biomass and Plastic Mixed Fuel(RBPF)}
본 발명은 식물성 폐기물과 플라스틱 폐기물의 혼합물을 포화증기를 이용하여 안정화 처리와 담지처리를 하여서, 발열량이 높은 분말상과 팰릿상의 연료로 사용하는데 손색이 없는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에 관한 기술이다.
식물성 폐기물과 플라스틱 폐기물은 매년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으면서도 그대부분은 자원화하지 못하고 있고, 특히 플라스틱 폐기물의 경우에는 지구 환경적/생태계적 측면에서 많은 위협을 주고 있다.
매년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으면서 그 대부분을 자원화 하지 못하고 있는 식물성 폐기물의 대표적인 예로서, 곡물의 껍질과 초목이 있다.
곡물은 인간이 그 종자를 섭취하는 농작물로서, 콩과에 속하는 숙곡류(두류)와 곡식류인 화곡류를 총칭한다.
본 발명에서 곡물의 폐기물은, 그 종자를 감싸고 있던 외피와 각을 말한다. 즉 껍질류이다. 곡물의 껍질로서 대표적인 예로서는, 벼피(왕겨), 조피, 보리피, 메밀피, 수수피, 기장피, 율무피, 밀피, 깨(호마)피, 콩깍지,피너츠각 등, 다양하다.
그리고 초목의 폐기물로서 대표적인 예로서는, 골프장 등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는 제초 잔디(이하, 제초 잔디를 잔디라 한다.), 제선충에 오염되어서 베어낸 소나무 등을 포함하여 채벌재와 간벌재 및 (폐)목재 등으로부터 얻게 되는 톱밥과 우드칩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 식물성 폐기물에 있어서, 재활용하고 있는 것은 왕겨와 톱밥 및 우드칩 정도이다. 그 외의 대부분은 소각을 하거나 전답에 뿌리기도 하고 방치하기도 한다.
더욱이 이들 식물성 폐기물은 미생물에 의한 분해 속도가 매우 더디다. 그리고 C/N비도 매우 높아서 작물에 해를 주기도 한다. 게다가 저위발열량(이하, 저위발열량을 발열량이라고 한다.)도 대단히 낮다. 그 일 예로서, 톱밥과 우드칩을 사용해서 함수율을 10~15%로 제어한 고형연료(SRF 또는 RDF)라고 할지라도, 그 발열량은 3800kcal/kg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때문에 발전을 위한 보일러 연료 등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치가 않다. 발전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석탄(6000kcal/kg)이나 코크스(7000kcal/kg) 정도의 발열량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 들어와서 식물성 폐기물을 지구 환경보호적 측면에서 바이오 연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에 많은 투자도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경제성 등 많은 난재와 직면하고 있다.
한편, 플라스틱은 금속 및 세라믹과 함께 현대 산업에 있어서 3대 소재산업 중의 하나로 그 위치를 점하고 있다. 플라스틱은 화석연료로부터 제조하지만, 그 종류는 너무나 다종다양하다. 때문에 사용하고 난 후에는 재질별로 분류하여 회수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플라스틱의 재 활용율(34%. 환경부2018.5)을 낮추고 있는 원인이기도 하다. 때문에 사용이 끊난 플라스틱 폐기물의 대부분은 소각을 하거나 매몰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플라스틱을 소각하였을 때에는, 미세먼지와 다이옥신 및 유해가스 등을 대량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매립을 하여도 오랜 기간 분해 되지 아니하며, 여기에 흡착되어 축적된 오염물질과 가소제 등은 장기간에 걸쳐서 토양과 지하수 및 하천에 침출되기도 한다. 더욱이 비닐류와 포장지 및 용기류 등과 같이 그 두께가 얇은 플라스틱은 자연현상에 의해서도 분쇄/파쇄되는 것이 용이하여서, 하천과 해양을 넘나들며 식물 광합성을 저해하고 야생 동물과 해양 생물의 생태계 등을 교란시켜서 생물 순환에 악영향을 주기도 하고 있다.
현재, 플라스틱 폐기물을 안전하게 재처리하는 기술은 없다. 일부 열분해법을 이용하여서 발전용 디젤유와 가스 등으로 회수하기도 하지만, PVC와 PET 등이 혼합되어 있으면 대기중의 공기를 대량으로 오염시키고 발생된 부식성 염소 가스는 설비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하지만, 플라스틱은 그 발열량이 12000kcal/kg 정도로 대단히 높은 열량을 갖고 있는 에너지 자원이다.
특허 제10-0772008호 특허 제10-0736267호 특허 제10-1714043호
본 발명에서는, 대량으로 생산되면서도 폐기되는 저 발열량성의 식물성 폐기물과 고 발열량성의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을 적절히 혼합하고, 포화증기에 의한 안정화 처리와 담지 처리를 하여서, 식물성 폐기물의 발열량을 능가하고 석탄과 코크스 등의 화석연료와도 비교할 수 있을 정도의 4000~8000kcal/kg의 발열량이 있는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복합연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 폐기물과, 이 플라스틱 폐기물이 포화 수증기에 의해 열용해되어서 담지되기 위한 담체로서 식물성 폐기물을 사용한다.
식물성 폐기물은, 매년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으면서도 경제적 가치와 그 재활용도가 거의 없는 것을 사용한다. 종자를 감싸고 있던 곡물의 껍질류와 초목이다.
곡물의 껍질류는, 곡물의 장기 보존을 위해서 적도의 건조를 한 것에 대해서 탈곡과 도정 등을 할 때에 종자와는 별도로 작은 입자상으로 파쇄되면서 발생하는, 곡물의 종자를 감싸고 있던 외피와 각(殼)에 해당하는 부스러기를 말한다. 곡물 껍질류의 예로서는, 벼피(왕겨), 조피, 보리피, 메밀피, 수수피, 기장피, 율무피, 밀피, 깨피, 콩깍지, 피너츠각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가 있다. 물론 그 외에도 많다.
그리고 식물성 폐기물로서 또 하나인 초목은, 예를 들면 골프장이나 운동장 등에서 발생하는 잔디, 제선충에 의해 베어낸 소나무 등을 포함하여서 채벌재와 간벌재 및 목재 가공 시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톱밥과 우드칩 등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도입하는 식물성 폐기물은, 기술한 곡물의 껍질류와 초목류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단체만을 선별하여 사용하여도 좋고, 두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도입하는 식물성 폐기물의 함수율은 가능하면 20% 이하가 되도록 낮게 건조를 하거나 건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이하가 되면 더욱 좋다. 그렇다고 해서 수분 함량이 높은 것은 사용할 수가 없다는 뜻은 아니다. 함수량이 높으면 연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발열량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후처리를 필요로 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때는 쓰고 남은 폐증기를 이용하거나 자연 건조 방식 등을 도입하여서, 가능하면 수분 함량을 낮출 수 있도록 공정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 된다.
그리고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음식물류의 쓰레기도, 기술한 식물성 폐기물과 함께 일부 혼합하여 처리할 수가 있다. 이 때 첨가하는 음식물류 쓰레기는, 가능하면 탈수를 해서 그 함수량을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로 하면서 그 혼합의 양도 중량비로 식물성 폐기물의 50%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후처리 공정을 최소화 또는 단축시키면서 발열량이 높은 연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방법이 된다.
본 발명에서의 곡물의 껍질은, 종자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기계적으로 파쇄되어서 나온 작은 입자상의 배출물이다. 때문에 별도로 파쇄 공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매우 경제적이다. 잔디도 예를 들면 골프장 등을 운영함에 있어서 적당한 크기로 잘려져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이다. 골프장 1개소에서 년간 수백톤이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초해낸 생 잔디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건조를 해서 사용하면 더욱 좋다.
그렇다고 해서, 곡물에서 껍질을 제외한 타 부분, 예를 들면 줄기나 뿌리 등을 사용할 수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이들도 물론 초목처럼 파쇄를 해서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곡물의 껍질류도 폐기 처분하는 현실에 비추어서 파쇄 공정을 추가하면서까지 도입한다는 것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미립자상으로 파쇄된 식물성 폐기물에 플라스틱 폐기물을 포화증기를 이용해서 열용해하여 담지시킨 분말상의 혼합연료는 열효율이 비교적 높은 공간연소용의 연료로서 최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되고, 이를 압축해서 팰릿화한 혼합연료는 착지연소용의 연료로서 최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률은 34%(환경부.2018) 정도이다. 나머지는 소각을 하거나 매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예를 들면 기름이나 흙/먼지 또는 식품 잔여물 등에 오염되어 있어도 도입할 수가 있고, 심지어 병/의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배출되는 의료용 플라스틱 폐기물도 도입할 수가 있다.
플라스틱 폐기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열 가소성 수지 또는 열 경화성 수지를 원료로 하거나 주 원료로 해서 만들어낸 제품들로서, 여기에는 포장지류, 완충제, 컵, 식품/화장품 등의 용기류, 농사용 비닐 등의 필름류, 천막, 벽지와 장판지, 소파나 쿠션 등의 시트류, 피복/로프/침구 등으로 사용하는 섬유류, 기계/전기/전자/자동차제품 등의 부품과 가정/사무 용품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제조한 사출성형품 등, 모든 플라스틱 제품을 망라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 폐기물에 있어서 필름류와 시트류 등은, 일반적으로 두께는 얇으나 그 폭과 길이는 길다. 그리고 사출성형품의 경우에는 두께가 두텁고 부피도 있다.
그리고 처리하고자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사이즈가 조대하면 교반기와 각종 센서 등 장치 운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처리할 수 있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크기에 제한을 두고 있다. 포장지류, 비닐류, 시트류 및 섬유류 등과 같이 그 두께는 얇지만 폭과 길이가 있는 것에 대해서는 그 크기를 최대 A3사이즈 이하, 바람직 하게는 A4사이즈 이하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두께가 비교적 두터운 사출성형품 등의 경우에는 더욱 잘게 파쇄를 하여서, 그 표면적을 1.5dm2 이하, 바람직하게는 0.2dm2이하가 되도록 한다. 페트병이라면 파쇄하지 않고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성한 식물성 폐기물과 플라스틱 폐기물을, 중량비로 1:0.2~5의 비율로 혼합하여서(하면서) 압력용기 내로 수용한다. 여기서 식물성 폐기물에 혼합하는 플라스틱 폐기물량 비율이 0.2미만이면 발열량은 목표치 보다 낮게 되고, 5이상이면 덩어리져서 연료로서 사용하기가 부적합하다.
그리고 압력용기 내로 수용하는 파쇄된 식물성 폐기물과 플라스틱 폐기물을 외부에서 혼합하지 않고 따로따로 직접 투입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때 비산하기 쉬운, 예를 들면 포장지와 비닐류 등을 대량으로 따로 투입하다 보면 압력용기 내부에 설치한 온도계와 압력계 등의 측정센서는 물론 교반기와 히터 등에도 달라붙어서 폐기물을 처리하고 제어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열용해한 플라스틱의 폐기물은 식물성 폐기물에 골고루 담지되지도 아니할 수가 있다.
한편, 식물성 폐기물과 플라스틱 폐기물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압력용기를 이용하여서 처리하기 위한 처리장치와 처리방법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기 개발 등록한 특허문헌 1~3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플라스틱의 탄화는, 일반적으로 1,000~1,200℃에서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약 300℃의 낮은 온도에서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의 식물성 폐기물과 플라스틱 폐기물을 혼합한 혼합 폐기물의 처리는, 0.5~3.5MPa(152~243℃)의 포화증기하에서 이루어 진다. 때문에,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탄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대신에, 가수분해와 열에 의한 용해와 분해 및 사멸화 등이 식물성 폐기물과 플라스틱 폐기물을 안정화하고 연료화하는 기구가 된다.
본 발명에서 0.5~3.5MPa(152~243℃)의 포화증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폐기물에 부착될 수도 있을 전염성 병원균을 사멸화 하고 섞여 있을 수도 있을 외래 종자의 불임화 등을 고려함과 동시에 플라스틱 폐기물을 경제적으로 열용해 하기 위해서이다. 물론 상기 범위 이외에서도 처리할 수는 있다. 이때는 처리시간을 더욱 필요로 하기도 하고, 에너지 손실을 감수해야 하기도 하며, 압력용기의 수명단축 등도 고려하지 아니하면 안 된다.
한편, 플라스틱에 대한 1.86MPa의 압력하에서의 열변형 온도는 잘 알려져 있다. 플라스틱에 대한 열변형 온도의 일 예로서, 폴리에틸렌(PE)은 50~72℃, 폴리프로필렌(PP)은 69~77℃이나 유리섬유가 40%충진되어 있으면 128~167℃이다. 그리고 폴리스틸렌(PS)은 104℃, 스틸렌아크릴로코폴리머(AS수지)는 87~104℃, ABS수지는 유리섬유가 충진된 것을 포함하여서 90~115℃, PET는 37.7~41℃, 아세탈 수지(POM)는 유리섬유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서 123~157℃, 폴리카보네이트(PC)는 129~149℃ 등이다. 압력이 가중되면 그 열변형 온도는 낮아지고, 압력이 낮으면 반대로 열변형 온도는 높아진다.
그리고 플라스틱은, 물분자에 의해서도 가수분해반응이 일어나서 분해되기도 한다. 이들 플라스틱의 특징은 에스텔결합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트(PB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우레탄(PUR), PET 등이다.
그리고 식물성 폐기물도 그 세포막은 가수분해에 의해서 파괴된다.
본 발명에서는 0.5~3.5MPa, 바람직하게는 1.0~2.5MPa의 포화증기를 5~60분, 바람직하게는 10~20분 처리한다. 이와 같은 처리조건에 의해서 식물성 폐기물에 대한 세포막 파괴가 용융 플라스틱 폐기물의 담체로서의 새로운 작용 출현을 유도하게 되고, 아울러서 멸균화, 종자 무해화, 분해 가속화 및 부분 탄화 등도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때문에, 그 결과 본 발명의 폐바이오매스―폐스플라스틱 혼합연료는 종래의 RDF(폐기물 고형연료)에 비해서 자연 발화나 폭발의 위험성이 없고, 안전성(위생)도 대단히 높게 되는 특징이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1) 0.5~3.5MPa(152~243℃)의 포화증기를 이용하여서 처리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는 다이옥신과 휘발성 가스 및 연소 가스 등 유해가스를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2) 플라스틱으로서 재활용이 불가능하게 혼합된 재질(예, 플라스틱에 금속/유리 등이 부착)이라도, 이들(금속과 유리 등)을 후공정에서 선별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발명에서는 도입해서 연료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3) 본 발명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는, 인류가 곡물과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한 안정적으로 저렴하게 생산 공급할 수가 있으면서 발열량 조절과 연료로 사용 시 배기가스 대책도 용이하고, 화석연료의 대체연료로서 발전/제지/철강/시멘트 공장 등에 도입 시에는 연료비 절감이 되고, 농/산림업 종사자에게는 소득 증대도 기대된다.
(4) 폐자원을 활용하기 때문에 자원 순환형 사회를 구현하는데 일익이 되고, 지구를 환경적/생태계적인 측면에서 보호하는 데도 공헌한다.
(5) 식물성 폐기물을 에너지 자원으로 유효하게 활용함으로써, 카본뉴트럴(carbon neutral: 식물 연소 시 발생하는 CO2는 식물이 성장 중에 공기중의 것을 흡수한 량과 동일하다는 탄소 중립성의 개념)에 의해 본 발명의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를 도입하는 기업체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삭감에도 유익한 수단이 된다.
도 1은, 식물성 폐기물의 대상물로 톱밥을 사용해서 2.0MPa(212℃)에서 20분간 처리하였을 때의 전자현마경 사진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a)는 외표면, (b)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식물성 폐기물로서 톱밥과 음식물 쓰레기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폐기물과 혼합하여 2.0MPa(212℃)에서 20분간 처리하였을 때의 전자현미경 사진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톱밥의 표면에는 각종 유기물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 예 1>
도 1에는, 식물성 폐기물로서 톱밥을 사용하였을 때, 처리 후의 전자현마경 사진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포화증기를 이용한 처리 조건은, 밀폐한 압력용기 내에서 2.0MPa(212℃)에서 20분이다.
사진에서 보여주고 있듯이, 톱밥은 가수분해와 열분해 및 부분탄화 등이 일어나서 세포막은 파괴되어서 보다 미세화한 분말상으로 변하였고, 그 색상은 흙과 같은 흑색~갈색으로 변하였다(동도 a). 그리고 톱밥의 단면은 벌집이나 숯과 같이 섬유방향에 따라서 공동을 형성하여서 다공질의 포어구조를 형성하였다(동도 b).
이와 같은 다공질의 구조는, 수증기와 유해 가스 및, (유해)물질 등을 흡착하는 성질이 있는 것으로서, 숯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실시 예 2>
도 2는, 식물성 폐기물로서 톱밥(50wt%)과 음식물류 쓰레기(20wt%)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의, 처리 후의 전자현마경 사진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플라스틱 폐기물로서는 도시락 용기와 포장지, 1회용 컵 등(30wt%)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포화증기를 이용한 처리 조건은, 밀폐한 압력용기 내에서 2.0MPa(212℃)에서 20분이다.
사진에서 보여주고 있는 것과 같이, 다공질화한 톱밥의 표면 골에는 처리한 음식물류 쓰레기와 플라스틱 폐기물의 변성체와 융해물 등이 담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저 발열량성의 식물성 폐기물과 고 발열량성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적절히 혼합을 하여 처리를 하면, 적어도 식물성 폐기물의 발열량을 상회하고 석탄과 코크스와도 동등할 정도의 발열량이 있는, 4000~8000kcal/kg의 범위내에서 발열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타입과 이 분말 타입을 압축 성형한 팰릿타입의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의 출현을 가능케 한다고 지적할 수가 있게 된다.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의 발열량 조성 일 예의 구성>
(1)식물성 폐기물 1kg: 수분25% 톱밥3,300kcal/kg
(2)플라스틱 폐기물 2kg: 10,000kcal/kg
취득 가능한 폐바이오매스―폐스플라스틱 혼합연료 3kg: 7,700kcal/kg
본 발명 실시 예에서는, 식물성 폐기물로서 톱밥과 음식물류 쓰레기를 들어서 기술하였으나, 그 외에 언급하고 있는 곡물의 껍질류와 초목(잔디, 우드칩) 등에 대한 결과도 대등소이하다고 판단해서, 그에 대한 개별적인 예는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식물성 폐기물에 플라스틱 폐기물을 담지한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는, 지구 환경적 생태계적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발열량 조절이 용이하고 기존의 RDF에 비해서도 자연 발화/폭발과 위생적인 면 등에서 안전성이 높으며 저렴하게 생산도 가능하기 때문에, 화석연료의 대체연료로서 손색이 없으면서 CO2발생량 저감(카본 뉴트럴)에 기여를 하고, 회사의 수익향상과 농/산림업 종사자의 소득 향상에도 이바지할 수가 있다.

Claims (4)

  1. 식물성 폐기물과 플라스틱 폐기물을 중량비로 1:0.2~5의 비율로 혼합하여서 밀폐된 압력용기 내에 수용을 하고, 이들을 교반하면서 상기 압력용기의 내/외부로부터 생성한 0.5~3.5MPa(152~243℃)의 포화증기를 사용해서 상기 폐기물들에 대한 안정화 처리와 함께 상기 식물성 폐기물에 열 용해된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이 담지되어, 발열량이 4000~8000kcal/kg이고 그 형상은 분말타입 또는 팰릿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폐기물은, 종자를 감싸고 있던 곡물의 껍질(외피 또는 각)류에 있어서 그 단일체(單一體)나 혼합체, 제초 잔디, 톱밥 및 우드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는,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폐기물에는, 수분 함량 70%이하의 음식물류성 폐기물을 중량비로 50%이하 더 포함하는,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은, 열 가소성 수지 또는 열 경화성 수지를 원료로 하거나 또는 주 원료로 해서 만든 제품 중에서 폐기되어 재활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두께가 얇은 포장재, 농/공업용 비닐류, 시트류, 섬유류들은 그 크기를 A3사이즈 이하로 절단하고, 기계나 전기/전자 부품, 가정 용품, 사무 용품용들로 사출된 성형품은 그 표면적을 1.5dm2 이하로 파쇄하여서 구성하는,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
KR1020190046126A 2019-04-19 2019-04-19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 KR20190049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126A KR20190049659A (ko) 2019-04-19 2019-04-19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126A KR20190049659A (ko) 2019-04-19 2019-04-19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659A true KR20190049659A (ko) 2019-05-09

Family

ID=6654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126A KR20190049659A (ko) 2019-04-19 2019-04-19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96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7946A4 (en) * 2019-08-20 2023-09-13 Chairman, Defence Research&Development Organisation PROCESS FOR SYNTHESIS OF HIGH FLUOROSCENCE CONTENT, HIGH CALORIFIC VALUE MATERIAL FROM WASTE PLASTIC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267B1 (ko) 2006-03-31 2007-07-06 김현수 증기를 사용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0772008B1 (ko) 2006-01-04 2007-10-31 김현수 증기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714043B1 (ko) 2010-08-17 2017-03-09 김현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와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008B1 (ko) 2006-01-04 2007-10-31 김현수 증기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736267B1 (ko) 2006-03-31 2007-07-06 김현수 증기를 사용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714043B1 (ko) 2010-08-17 2017-03-09 김현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와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7946A4 (en) * 2019-08-20 2023-09-13 Chairman, Defence Research&Development Organisation PROCESS FOR SYNTHESIS OF HIGH FLUOROSCENCE CONTENT, HIGH CALORIFIC VALUE MATERIAL FROM WASTE PLASTI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asertsan et al. Biomass residues from palm oil mills in Thailand: an overview on quantity and potential usage
KR101315807B1 (ko) 미생물제재를 이용한 무방류시스템에 의한 유기성폐기물 처리방법 및 고형연료(퇴비)생산방법과 그 장치
KR101539224B1 (ko) 바이오메스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CN101758059B (zh) 垃圾与污泥的高压热解处理方法与系统及其应用
US9758738B2 (en) Green renewable liquid fuel
Noor et al. Temperature effect on biochar properties from slow pyrolysis of coconut flesh waste
CA2464090C (en) A method for preparing a homogenous cellulosic product from cellulosic waste materials
CN115103895A (zh) 固态生物质燃料的生产方法
KR20150093073A (ko) 매립장의 가연성 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KR101533053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srf 제조방법
KR20190049659A (ko)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
KR100741696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
CS226724B2 (en) Method of preparing compositions for land reclaiming
Sukiran et al. Upgrading of oil palm biomass by torrefaction process: A preliminary study
US74226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osting-free disposal of organic wastes
Triyono et al. Experimental study on utilization of indonesian non-recycled organic waste as renewable solid fuel using wet torrefaction process
Balasubramani et al. Treatment of waste
KR101296043B1 (ko) 폐기물을 이용한 성형탄 및 그 제조 방법
JP2012219239A (ja) 従来の固形燃料の外周を廃プラスチックで含浸コーティングする事により、初期火力の安定と、燃焼特性の安定、製造時または保管時の性状の安定が可能となる固形燃料の製造技術
KR20000041940A (ko)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및 그 제조방법
ES2898723T3 (es) Complejo de equipos y procedimiento de procesamiento sin residuos de residuos municipales biodegradables
KR101530552B1 (ko) 왕겨분말과 제지슬러지를 혼합하여 제조된 고형연료
KR20160097163A (ko) 농축산 폐기물을 활용한 우드펠릿 제조방법
KR101957726B1 (ko) 유기성 폐기물을 포함하는 고형 연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874062B1 (ko) 음식물류 폐기물을 이용한 퇴비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