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226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or unlock of door of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or unlock of door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226A
KR20190049226A KR1020170144839A KR20170144839A KR20190049226A KR 20190049226 A KR20190049226 A KR 20190049226A KR 1020170144839 A KR1020170144839 A KR 1020170144839A KR 20170144839 A KR20170144839 A KR 20170144839A KR 20190049226 A KR20190049226 A KR 20190049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oor
vehicle
stat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3710B1 (en
Inventor
손정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710B1/en
Publication of KR20190049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2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7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locking or unlocking of a vehicle door.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locking or unlocking of a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disposed in different areas of a door handle; a smart key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enabled or disabled according to a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and a state of the door, and controlling locking or unlocking of the vehicle door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an enabled sensor; and a drive control unit controlling operation of an actuator of a door locking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smart key unit.

Description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OR UNLOCK OF DOOR OF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door,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a vehicle door.

차량의 도어 핸들에는 차량 도어를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 또는 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도어 핸들의 버튼 또는 센서를 조작 또는 터치 함으로써 차량 도어를 락(LOCK) 또는 언락(UNLOCK)시킬 수 있었다. The door handle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button or a sensor for switching the vehicle door to the LOCK or UNLOCK state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door handle or the sensor to lock or unlock the vehicle door, I was able to unlock it.

최근, 차량의 도어 핸들에 하나의 버튼 또는 센서를 배치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 도어의 락(LOCK) 제어 및 언락(UNLOCK) 제어를 위한 센서를 각각 배치하였다.In recent years, a sensor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vehicle door has been arranged in order to prevent the user's operation convenience from being deteriorated by placing one button or sensor on the door handle of the vehicle.

또한, 최근에는 차량의 외관 향상을 위해 차량의 도어 핸들에 터치 타입의 센서 적용이 증대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a vehicle, application of a touch-type sensor to a door handle of a vehicle is increasing.

하지만, 도어 핸들에는 크롬 도금을 많이 적용하는데, 이 경우 도어 핸들에 배치된 하나의 센서를 터치할 경우 크롬 도금 특성상 전류 패스가 형성되어 다른 센서도 오감지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차량의 도어 핸들에 비정전 도장을 할 수는 있으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hrome plating is applied to the door handle. In this case, when one sensor disposed on the door handle is touched, a current path is formed due to the chromium plating characteristic, and other sensors may be erroneously detec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oor handle of the vehicle can be coated non-uniformly, but the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도어 핸들의 크롬 도금 방식을 유지하면서 두 개의 터치 센서의 오감지를 최소화하도록 한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a door of a vehicle that minimizes the sense of two touch sensors while maintaining the chrome plating of the door handl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는, 도어 핸들의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차량의 시동 상태 및 도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의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 상태를 결정하고, 인에이블 상태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스마트키 유닛, 및 상기 스마트키 유닛의 제어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츄에이터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ck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door, including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disposed in different areas of a door handle, A smart key unit for determining the enable or disable stat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nd controlling the lock or unlock of the door of the vehicle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the enabled sensor, And a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ctuator driving of the door lock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key unit.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1 센서 터치 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도어 락(LOCK)에 대응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2 센서 터치 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도어 언락(UNLOCK)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first sensor detects a change amount of a capacitance generated when the first sensor touches, and outputs a first signal corresponding to a door lock, and the second sensor detects a capacitance generated when the second sensor touch And outputs a seco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oor unlock (UNLOCK).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센서를 디세이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key unit may disable the second sensor when the door is changed from the start-off state of the vehicle to the closed state.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로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key unit outputs a lock control signal to the drive control unit based on the first signal inputted from the first sensor.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든 도어가 락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센서를 디세이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key unit may disable the first sensor when all the doors of the vehicle are changed to the locked state in the start-on state of the vehicle.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로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mart key unit outputs an unlock control signal to the drive control unit based on the second signal inputted from the second sensor.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및 도어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포브의 위치가 실내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mart key unit confirms whether the position of the pawls is changed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 outdoor proximity position when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re inputted in the start-off state and the door open state of the vehicle.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포브의 위치가 실내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을 확인하여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mart key unit is configured to detect a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from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when the position of the fob is changed from a room to a proximity position to an outdoor place, The control unit checks and changes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and controls locking or unlocking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이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구동 제어부로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key unit outputs a lock control signal to the drive control unit if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온 및 도어 언락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포브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mart key unit confirms whether the position of the pawl changes from the outdoor to the outdoor outdoor proximity position when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re inputted in the start-on state and the door unlock state of the vehicle.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포브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을 확인하여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mart key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detect a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from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when the position of the fob is changed from the outdoor to the outdoor close proximity position, The control unit checks and changes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and controls locking or unlocking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이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구동 제어부로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key unit outputs an unlock control signal to the drive control unit if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시동 상태 및 도어의 상태에 따라 도어 핸들의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포브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인에이블 상태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의 락 또는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츄에이터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lock of a door of a vehicle, including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disposed in different areas of a door handle according to a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and a state of the door,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an enable or disable state of a sensor; monitoring a change in position of the paw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Outputting a lock or unlock control signal of the door of the door lock device, and controlling the actuator drive of the door lock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control signal.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핸들의 크롬 도금 방식을 유지함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두 개의 터치 센서의 오감지를 최소화하고 차량 도어의 락 또는 언락 제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maintaining the chrome plating system of the door handle of the vehicle, minimizing the five senses of the two touch sensors, and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lock or unlock control of the vehicle door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가 적용된 차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system to which a lock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door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ock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6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lock of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of a computing system in which a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implement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가 적용된 차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system to which a lock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door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포브(Fob)(50) 및 차량(10)의 잠금 제어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vehic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ck control device 100 of a vehicle 10 and a fob 50.

포브(50)는 차량(10)으로부터 정해진 범위 내에 진입하면 차량(10)에 구비된 LF 안테나(13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고, LF 안테나(135)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LF 안테나(135)로 신호를 출력한다. The fob 50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LF antenna 135 provided in the vehicle 10 when entering the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vehicle 10 and outputs the signal output from the LF antenna 135 135).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 핸들(15)에 배치되는 센서들을 포함하며, 포브(5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도어 핸들(15)에 배치된 센서들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포브(50)의 위치 변화 및 활성화된 센서들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각 센서를 이네이블(enable) 또는 디세이블(disable) 시키고, 이때 이네이블 상태의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도어 잠금 상태, 즉, 락(LOCK) 또는 언락(UNLOCK)을 제어할 수 있다.The lock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door includes sensors disposed on the door handle 15 of the vehicle 10 and is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15 of the vehicle 10 on the basis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pawl 50 Activate the deployed sensors. In addition, the lock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door may enable or disable each sensor according to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pod 50 and the input signals of the activated sensors, That is, a lock or an unlock (UNLOCK) of the vehicle 10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the vehicle controller 10, for example.

이에,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의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ck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do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of Fig.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내부 제어 유닛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별도의 연결 수단에 의해 차량(10)의 제어 유닛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The lock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side the vehicle 10. [ At this time, the lock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do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ternal control units of the vehicle 1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s of the vehicle 10 Lt; / RTI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ock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10), 센서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스마트키 유닛(150) 및 구동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2, the lock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door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sensor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 smart key unit 150, and a drive control unit 160. [ . ≪ / RTI > Here, the control unit 110 may process signals transmitted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lock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door.

센서부(120)는 차량(10)의 도어 핸들(150)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도어 핸들(150)의 외측에 배치된 제1 센서(121) 및 도어 핸들(150)의 내측에 배치된 제2 센서(12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two sensors disposed on the door handle 150 of the vehicle 10. [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sensor 121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door handle 150 and a second sensor 125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handle 150.

제1 센서(121)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감지되면 스마트키 유닛(150)으로 도어 락(LOCK)에 대응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센서(125)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감지되면 스마트키 유닛(150)으로 도어 언락(UNLOCK)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센서(121) 및/또는 제2 센서(125)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센서(Capacitive Touch Sensor)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ensor 121 outputs a first signal corresponding to a door lock to the smart key unit 150 when an input is sensed by a user and the second sensor 125 senses an input by a user And outputs a seco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oor unlock (UNLOCK) to the smart key unit 150. Here, the first sensor 121 and / or the second sensor 125 may be implemented as a capacitive touch sensor.

여기서, 정전용량 방식 터치센서는 사람의 몸을 통한 기전력을 기준으로 터치 여부를 검출하여, 사람의 손에 의해 센서를 터치했을 때 센서의 표면에 발생하는 기전력을 콘덴서의 충/방전을 통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제1 센서(121) 및/또는 제2 센서(125)는 센서 터치 시 발생한 정전용량을 검출하여 검출된 정전용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스마트키 유닛(150)으로 출력하게 된다. 물론, 제1 센서(121) 및/또는 제2 센서(125)는 실시 형태에 따라 정전용량 방식으로 입력을 감지하는 다른 형태의 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Here, the capacitive touch sensor detects the touch based on the electromotive force through the human body, and detects the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sensor when the sensor is touched by the human hand through charge / discharge of the capacitor Sensor. Therefore, the first sensor 121 and / or the second sensor 125 detects the capacitance generated when the sensor is touched, and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capacitance to the smart key unit 150. Of course, the first sensor 121 and / or the second sensor 125 may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sensors that sense the input in a capacitive manner, according to embodiments.

또한, 센서부(120)는 차량(10)의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door of the vehicle 10. [

통신부(130)는 포브(50)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차량(10)에 구비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LF 안테나(135)를 통해 포브(2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the Pob 50.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fob 20 via one or more LF antennas 135 provided in the vehicle 10.

또한, 통신부(130)는 차량(10)에 구비된 전장품 및/또는 제어유닛들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모듈은 차량(10)의 시동 온 또는 오프 상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차량(10) 내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스마트키 유닛(15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차량(10)의 도어 잠금 장치로 엑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플렉스레이(Flex-Ray) 통신 등의 차량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communication interfaces with electrical components and / or control units provided in the vehicle 10. [ As one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start-on or off-state of the vehicle 10,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door from the control system in the vehicle 10 and transmit it to the smart key unit 150. Further, the communication unit 130 can transmi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actuator to the door locking device of the vehicle 10. [ Her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module supporting vehicle network communication such as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and Flex-Ray communication.

저장부(140)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data and / or algorithms necessary for the lock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door to operate.

일 예로, 저장부(140)는 제1 센서(121) 및/또는 제2 센서(125)의 이네이블(enable) 또는 디세이블(disable)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조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제1 센서(121) 및/또는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10)의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및/또는 알고리즘 등이 저장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condition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enable or disable state of the first sensor 121 and / or the second sensor 125. The storage unit 140 may also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locking or unlocking of the door of the vehicle 10 based on signals input from the first sensor 121 and / Instructions and / or algorithms, and the like may be stored.

여기서, 저장부(14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b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스마트키 유닛(150)은 차량(10)의 시동 온 또는 오프 상태, 도어의 열림 또는 잠금 상태,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상태에 따라 제1 센서(121) 또는 제2 센서(125)의 디세이블(disable)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The smart key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121 or the second sensor 121 according to the starting ON or OFF state of the vehicle 10, the opening or locking state of the door, the LOCK or UNLOCK state of the door, 125 can be determined.

또한,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1 센서(121) 또는 제2 센서(125)의 디세이블(disable) 상태, 차량(10)의 시동 온 또는 오프 상태, 포브(50)의 위치 변화 상태,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의 정전용량 변화량에 따라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The smart key unit 150 may also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abling state of the first sensor 121 or the second sensor 125, the on or off state of the vehicle 10, The LOCK or UNLOCK state of the door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5. [

제1 실시예로서, 스마트키 유닛(150)은 차량(10)의 시동 온 상태에서 시동 오프 상태가 감지되고 도어의 닫힘 상태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하차 조건을 고려하여 제2 센서(125)가 디세이블(disable)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start-off state of the vehicle 10 is detected in the start-on state of the vehicle 10 and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is detected, the smart key unit 150 controls the second sensor 125 It can be controlled to be in a disable state.

이 경우, 제2 센서(125)는 디세이블(disable) 상태이므로,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1 센서(121)로부터 입력되는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도어 락(LOCK)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1 신호에 대응하는 락(LOCK) 제어신호를 구동 제어부(160)로 출력한다.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sensor 125 is in the disable state, the smart key unit 150 detects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10 based on the first signal input from the first sensor 121, Can be controlled. At this time, the smart key unit 150 outputs a lock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gnal to the drive control unit 160.

따라서, 구동 제어부(160)는 스마트키 유닛(150)으로부터 출력된 락(LOCK)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도어가 락(LOCK) 상태가 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drive control unit 160 drives the actuator of the door lock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LOCK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mart key unit 150, thereby causing the door to be in the LOCK state.

제2 실시예로서, 스마트키 유닛(150)은 차량(10)의 시동 온 상태에서 시동 오프 상태가 감지된 상태에서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이 감지되면, 포브(50)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 한다. 이때, 실내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포브(50)의 위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차량(10)의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If the smart key unit 150 detects an input from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5 while the start-off state of the vehicle 10 is detected in the start-on state of the vehicle 10, Lt; RTI ID = 0.0 > 50 < / RTI > At this tim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pawl 50 has occurred in the vicinity of the outdoors in the room, the capacitance variation amounts of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5 are compared, (LOCK) or unlock (UNLOCK) state of the door of the vehicle.

여기서,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1 센서(121)의 정전용량 변화량이 제2 센서(125)의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도어의 락(LOCK)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1 센서(121)로부터 입력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락(LOCK) 제어신호를 구동 제어부(160)로 출력한다.Here, the smart key unit 150 can control the lock of the door if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first sensor 12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second sensor 125. At this time, the smart key unit 150 outputs a lock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gnal input from the first sensor 121 to the drive control unit 160. [

따라서, 구동 제어부(160)는 스마트키 유닛(150)으로부터 출력된 락(LOCK)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도어가 락(LOCK) 상태가 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drive control unit 160 drives the actuator of the door lock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LOCK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mart key unit 150, thereby causing the door to be in the LOCK state.

한편,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1 센서(121)의 정전용량 변화량이 제2 센서(125)의 정전용량 변화량 미만이면 도어의 언락(UNLOCK)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언락(UNLOCK) 제어신호를 구동 제어부(160)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 key unit 150 can control the unlock of the door if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first sensor 121 is less tha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second sensor 125. At this time, the smart key unit 150 outputs an UNLOCK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sensor 125 to the drive control unit 160.

따라서, 구동 제어부(160)는 스마트키 유닛(150)으로부터 출력된 언락(UNLOCK)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도어가 언락(UNLOCK) 상태가 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drive control unit 160 drives the actuator of the door lock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UNLOCK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mart key unit 150, so that the door is in the UNLOCK state.

제3 실시예로서, 스마트키 유닛(150)은 차량(10)의 시동 온 상태에서 전체 도어의 락(LOCK) 상태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승차 조건을 고려하여 제1 센서(121)가 디세이블(disable)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when the lock state of the entire door is detected in the start-on state of the vehicle 10, the smart key unit 150 disables the first sensor 121 in consideration of the riding condition of the user, (disable) state.

이 경우, 제1 센서(121)는 디세이블(disable) 상태이므로,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되는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도어의 언락(UNLOCK)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언락(UNLOCK) 제어신호를 구동 제어부(160)로 출력한다.In this case, since the first sensor 121 is in the disable state, the smart key unit 150 detects the unlock (UNLOCK) of the door of the vehicle 10 based on the second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sensor 125 Can be controlled. At this time, the smart key unit 150 outputs the UNLOCK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ignal to the drive control unit 160.

따라서, 구동 제어부(160)는 스마트키 유닛(150)으로부터 출력된 언락(UNLOCK)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도어가 언락(UNLOCK) 상태가 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drive control unit 160 drives the actuator of the door lock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UNLOCK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mart key unit 150, so that the door is in the UNLOCK state.

제4 실시예로서, 스마트키 유닛(150)은 차량(10)의 시동 온 상태에서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이 감지되면, 포브(50)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 한다. 이때,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포브(50)의 위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차량(10)의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The smart key unit 150 monitors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fob 50 when an input is detected from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5 in the start-on state of the vehicle 10, do. At this tim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pawl 50 is caused to occur at a position close to the outdoors outdoors, the capacitance variation of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5 is compared, (LOCK) or unlock (UNLOCK) state of the door of the vehicle.

여기서,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2 센서(125)의 정전용량 변화량이 제1 센서(121)의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도어의 언락(UNLOCK)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언락(UNLOCK) 제어신호를 구동 제어부(160)로 출력한다.Here, the smart key unit 150 can control the unlock of the door if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second sensor 125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first sensor 121. At this time, the smart key unit 150 outputs an UNLOCK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sensor 125 to the drive control unit 160.

따라서, 구동 제어부(160)는 스마트키 유닛(150)으로부터 출력된 언락(UNLOCK)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도어가 언락(UNLOCK) 상태가 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drive control unit 160 drives the actuator of the door lock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UNLOCK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mart key unit 150, so that the door is in the UNLOCK state.

한편,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2 센서(125)의 정전용량 변화량이 제1 센서(121)의 정전용량 변화량 미만이면 도어의 락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1 센서(121)로부터 입력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락(LOCK) 제어신호를 구동 제어부(160)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 key unit 150 can control the lock of the door if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second sensor 125 is less tha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first sensor 121. [ At this time, the smart key unit 150 outputs a lock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gnal input from the first sensor 121 to the drive control unit 160. [

따라서, 구동 제어부(160)는 스마트키 유닛(150)으로부터 출력된 락(LOCK)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도어가 락(LOCK) 상태가 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drive control unit 160 drives the actuator of the door lock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LOCK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mart key unit 150, thereby causing the door to be in the LOCK state.

상기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메모리와 각 동작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하드웨어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로서 구현될 수 있다. The locking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hardware device including a memory and a processor for processing each operation, Or other hardware devices, such as the same. Also, the control unit 110 of the lock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processo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flow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S. 3 to 6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lock of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lock of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이 시동 온 상태에서 시동 오프 상태로의 변화가 감지되면(S110), 사용자의 하차 조건을 고려하여 락(LOCK) 플래그를 설정한다(S120). 일 예로, 'ㄴ120' 과정에서 'LOCK Flag=1'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a change of the vehicle 10 from the start-up state to the start-off state is sensed (S110), the lock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door detects a lock flag (S120). For example, 'LOCK Flag = 1' in the 'b 120' process.

이후,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의 변화가 감지되면(S130), 제2 센서(125)를 디세이블(disable) 시킨다(S140). 따라서,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가 모두 인에이블 상태에 됨에 따라 발생하는 오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after, the lock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door disables the second sensor 125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10 is chang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S130) (S140) . Accordingly, the lock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door can minimize the erroneousness that occurs when both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5 are in the enabled state.

따라서,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제1 센서(121)의 입력만을 감지하게 된다.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제1 센서(121)로부터 입력이 감지되면(S150), 차량(10)의 도어를 락(LOCK) 시킨다(S160). 이때,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가 락(LOCK) 상태가 되었으므로, 락(LOCK) 플래그를 해제한다(S170).Accordingly, the lock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door detects only the input of the first sensor 121. [ The lock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door locks the door of the vehicle 10 when an input is sensed from the first sensor 121 (S150) (S160). At this time, the lock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door releases the LOCK flag since the door of the vehicle 10 is in the LOCK state (S170).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lock of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S130' 과정에서 차량(10)의 도어의 닫힘 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도 4의 A이후 과정을 수행한다.If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of the vehicle 10 is not detected in the process of 'S130' of FIG. 3, the lock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door performs the process after A in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이 감지되면(S210), 포브(50)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 한다(S220). ‘S220' 과정에서,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포브(5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포브(50)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포브(50)의 위치를 비교하며 포브(50)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4, when the input from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5 is sensed in the start-off state of the vehicle 10 (S210), the lock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door (S 220). The lock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door detects the position of the fob 50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ob 50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detects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fob 50 And monitor the change in position of the fob 50.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포브(50)의 위치 변화 모니터링 결과, 포브(50)의 위치가 실내에서 실외 근접 위치로 변화된 것으로 감지되면(S230), 제1 센서(121)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1) 및 제2 센서(125)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2)을 비교한다(S240). ‘S240' 과정의 비교 결과, 제1 센서(121)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1)이 제2 센서(125)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2) 이상이면(S250),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를 락(LOCK) 시킨다(S260).The lock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door detects that the position of the pod 50 is changed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 proximity position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pod 50 at step S230,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C1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125 and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C2 sensed by the second sensor 125 are compared (S240). If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C1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12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C2 sensed by the second sensor 125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step S240, The lock control device 100 locks the door of the vehicle 10 (S260).

한편, ‘S250' 과정에서, 제1 센서(121)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1)이 제2 센서(125)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2) 미만인 경우,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를 언락(UNLOCK) 시킨다(S270).On the other hand, whe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C1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121 is less tha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C2 sensed by the second sensor 125 in the process of 'S250' The controller 100 unlocks the door of the vehicle 10 (S270).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lock of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이 시동 온 상태에서(S310), 모든 도어의 락(LOCK) 상태가 감지되면(S320), 사용자의 승차 조건을 고려하여 제1 센서(121)를 디세이블(disable) 시킨다(S330). 이 경우,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가 모두 인에이블 상태에 됨에 따라 발생하는 오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lock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doo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lock condition of the vehicle 10 is in a start-up state (S310) And disables the first sensor 121 (S330). In this case, the lock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door can minimize the erroneousness that occurs when both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5 are enabled.

따라서,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인에이블(enable) 상태의 제2 센서(125)의 입력만을 감지하게 된다.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이 감지되면(S340), 차량(10)의 도어를 언락(UNLOCK) 시킨다(S160).Accordingly, the lock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door detects only the input of the second sensor 125 in an enabled state. The lock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door detects the input from the second sensor 125 in step S340 and unlocks the door of the vehicle 10 in step S160.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lock of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S320' 과정에서 차량(10)의 모든 도어의 락(LOCK) 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도 6의 B 이후 과정을 수행한다.If the lock state of all the doors of the vehicle 10 is not detected in the process of 'S320' of FIG. 5, the lock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door performs the process after B of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시동 온 상태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가 언락(UNLOCK)인 상태에서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이 감지되면(S410), 포브(50)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 한다(S420). ‘S420' 과정에서,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포브(5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포브(50)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포브(50)의 위치를 비교하며 포브(50)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6, the lock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door includes a first sensor 121 and a second sensor (not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10 is turned on and at least one door is in an unlocked state (S410),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fob 50 is monitored (S420). The lock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door detects the position of the fob 50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ob 50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detects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fob 50 And monitor the change in position of the fob 50.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포브(50)의 위치 변화 모니터링 결과, 포브(50)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 근접 위치로 변화된 것으로 감지되면(S430), 제1 센서(121)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1) 및 제2 센서(125)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2)을 비교한다(S440). ‘S440' 과정의 비교 결과, 제2 센서(125)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1)이 제1 센서(121)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2) 이상이면(S450),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를 언락(UNLOCK) 시킨다(S460).When the position of the fob 50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fob 50 from outdoor to the outdoor close position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fob 50 at step S430,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C1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125 and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C2 sensed by the second sensor 125 are compared (S440). If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C1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125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C2 sensed by the first sensor 121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step S440, The lock control device 100 unlocks the door of the vehicle 10 (S460).

한편, ‘S450' 과정에서, 제2 센서(125)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2)이 제1 센서(121)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1) 미만인 경우,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를 락(LOCK) 시킨다(S470)On the other hand, whe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C2 sensed by the second sensor 125 is less tha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C1 sensed by the first sensor 121 in the process of S450, The controller 100 locks the door of the vehicle 10 (S470)

이상에서 살펴본 제1 실시예 및/또는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상태에 따라 제1 센서(121) 또는 제2 센서(125)를 디세이블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도어 핸들(150)을 잡는 경우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로부터 동시에 입력이 감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센서 오감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lock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door may be provided with the first sensor 121 or the second sensor 125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ehicle 10, as in the first and / By disabling the door handle 150,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simultaneously sensing input from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5, thereby minimizing the sensor sense.

또한, 제2 실시예 및/또는 제4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로부터 동시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에 의해 감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에 따라 어느 하나의 센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제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lso, as in the second and / or the fourth embodiment, even when input is simultaneously detected from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5,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5 The accuracy of the LOCK or UNLOCK control of the door can be improved by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sensor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amount of the capacitance sensed by the senso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of a computing system in which a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7, a computing system 1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00, a memory 1300, a user interface input device 1400, a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1500, (1600), and a network interface (1700).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10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memory device 1300 and /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performs processing for instructions stored in the storage 1600. Memory 1300 and storage 160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1300 may include a ROM (Read Only Memory) and a RAM (Random Access Memor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Thus, 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directly in hardware,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processor 1100, or in a combination of the two. The software module may reside in a storage medium (i.e., memory 1300 and / or storage 1600) such as a RAM memory, a flash memory, a ROM memory, an EPROM memory, an EEPROM memory, a register,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You may. 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the processor 1100, which can read information from, and write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l to the processor 1100. [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withi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The ASIC may reside within the user terminal. Alternatively,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as discrete components in a user termina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차량 15: 도어 핸들
50: 포브 100: 잠금 제어 장치
110: 제어부 120: 센서부
121: 제1 센서 125: 제2 센서
130: 통신부 135: LF 안테나
140: 저장부 150: 스마트키 유닛
160: 구동 제어부
10: vehicle 15: door handle
50: Pov 100: Lock control device
110: control unit 120: sensor unit
121: first sensor 125: second sensor
130: communication unit 135: LF antenna
140: Storage unit 150: Smart key unit
160:

Claims (19)

도어 핸들의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차량의 시동 상태 및 도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의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 상태를 결정하고, 인에이블 상태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스마트키 유닛; 및
상기 스마트키 유닛의 제어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츄에이터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disposed in different areas of the door handle;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enabled or disabled according to the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state of the doo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of the vehicle is locked or unlocked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the enabled state sensor A smart key unit for controlling the smart key unit; And
And a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ctuator driving of the door lo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mart key unit,
And a lock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ock of the vehicle do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1 센서 터치 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도어 락(LOCK)에 대응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2 센서 터치 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도어 언락(UNLOCK)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ensor comprises:
Detects a change amount of capacitance generated when the first sensor touch occurs, outputs a first signal corresponding to a door lock (LOCK)
Wherein the second sensor comprises:
And detects a change amount of a capacitance generated when the second sensor touches, and outputs a second signal corresponding to a door unlock (UNLOCK).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센서를 디세이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mart key unit comprises:
And when the door is changed from the start-off state of the vehicle to the closed state, the second sensor is controlled to be disabl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로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mart key unit comprises:
And outputs a lock control signal to the drive control section based on the first signal inputted from the first sens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든 도어가 락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센서를 디세이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mart key unit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sensor to be disabled when all the doors of the vehicle are changed to the locked state in the start-on state of the vehicl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로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mart key unit comprises:
And outputs an unlock control signal to the drive control unit based on the second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sens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및 도어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포브의 위치가 실내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mart key unit comprises:
Wherein when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re inputted in the start-off state and the door open state of the vehicle, it is confirmed whether the position of the paw changes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 close posi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포브의 위치가 실내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을 확인하여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smart key unit comprises:
A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and a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are checked from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when the position of the fob is changed from a room to an outdoor close position And controls locking or unlocking of the door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comparis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이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구동 제어부로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mart key unit comprises:
And outputs the lock control signal to the drive control unit if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Lt; / RTI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온 및 도어 언락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포브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mart key unit comprises:
Wherein when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re inputted in the starting ON state and the door unlocking state of the vehicle, it is confirmed whether the position of the paw changes from the outdoor to the outdoor outdoor proximity posi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포브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을 확인하여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smart key unit comprises:
A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and a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are checked from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when the position of the fob is changed from the outdoor to the outdoor close position And controls locking or unlocking of the door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comparis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이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구동 제어부로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smart key unit comprises:
And outputs an unlock control signal to the drive control unit if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Lt; / RTI >
차량의 시동 상태 및 도어의 상태에 따라 도어 핸들의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포브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인에이블 상태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의 락 또는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츄에이터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
Determining an enabling or disabling stat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disposed in different areas of the door handle according to the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state of the door;
Monitoring a change in position of the paw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Outputting a lock or unlock control signal of the door of the vehicle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an enabled sensor;
Controlling the actuator driving of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output control signal
And controlling the lock of the vehicle door.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센서를 디세이블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determining the enable or disable stat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comprises:
And disabling the second sensor when the door is changed from the start-off state of the vehicle to the closed stat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든 도어가 락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센서를 디세이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determining the enable or disable stat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sensor to be disabled when all the doors of the vehicle are changed to the locked state in the startup ON state of the vehicl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및 도어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포브의 위치가 실내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re inputted in the start-off state and the door open state of the vehicle, confirming that the position of the pob is changed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 outdoor proximity position Lock control method.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의 락 또는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포브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을 확인하여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이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step of outputting the lock or unlock control signal of the door of the vehicle includes:
Comparing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and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when the position of the fob is changed from the outdoor to the outdoor proximity position; And
And outputting an unlock control signal if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and outputting the lock control signal if not. / RTI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온 및 도어 언락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포브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re inputted in the starting ON state and the door unlocking state of the vehicle, confirming that the position of the paw is changed from the outdoor to the outdoor outdoor proximity position Lock control method.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의 락 또는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포브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을 확인하여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이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tep of outputting the lock or unlock control signal of the door of the vehicle includes:
Comparing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and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when the position of the fob is changed from the outdoor to the outdoor proximity position; And
And outputting an unlock control signal if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and outputting the lock control signal if not. / RTI >
KR1020170144839A 2017-11-01 2017-11-0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or unlock of door of vehicle KR1024637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839A KR102463710B1 (en) 2017-11-01 2017-11-0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or unlock of door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839A KR102463710B1 (en) 2017-11-01 2017-11-0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or unlock of door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226A true KR20190049226A (en) 2019-05-09
KR102463710B1 KR102463710B1 (en) 2022-11-07

Family

ID=6654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839A KR102463710B1 (en) 2017-11-01 2017-11-0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or unlock of door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7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5837A (en) * 2019-08-26 2019-11-22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Knob, automobile and the control method for car do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5329A (en) * 2006-09-21 2008-04-03 Mitsubishi Electric Corp On-vehicle device remote controller
KR20120124296A (en) * 2011-05-03 2012-1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smartkey system for door lo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5329A (en) * 2006-09-21 2008-04-03 Mitsubishi Electric Corp On-vehicle device remote controller
KR20120124296A (en) * 2011-05-03 2012-1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smartkey system for door lo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5837A (en) * 2019-08-26 2019-11-22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Knob, automobile and the control method for car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710B1 (en)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6000B2 (en) Touch and gesture pad for swipe/tap entry verification system
US9696783B2 (en) Method of sensing connection of USB device in power save mod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3552985B2 (en) Electronic closure system
JP5106533B2 (en) Control device
JP4530087B2 (en) Vehicle contact detection device and vehicle security device
US20130033362A1 (en) Approach and/or a contact detection device, associated method and vehicle door handle
US20190071898A1 (en) Access system for a vehicle
US201500771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roximity detection according to capacitive sensing output and status output
US2022007827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mode in mobile device
CN109677358B (en) Sensor-controlled key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energy-saving surroundings monitoring of a motor vehicle
JP2007060348A (en) Operation control system of movable electronic device
CN105635483A (e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US20120049651A1 (en) Power switch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1900492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or unlock of door of vehicle
US9707889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door lock system
US20190035189A1 (en)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opening-closing control method, and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CN104234535A (en) Door lock provided with double lock cylinders
KR100484814B1 (en) Internet Refrigerator with Sensoring the fingerprint of user and its method
JP2020051034A (en) Vehicle control device
KR101742001B1 (en) Safe opening or closing system based on the sound signal and safe opening or closing method therefor
KR202100740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CN109849844B (en) Method and device for avoiding false start of back door
US20060065751A1 (en) Method for locking a wake-up signal
JP4305365B2 (en) Capacitance switch control device
KR101831588B1 (en) Device for electronic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