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040A -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040A
KR20190049040A KR1020170144458A KR20170144458A KR20190049040A KR 20190049040 A KR20190049040 A KR 20190049040A KR 1020170144458 A KR1020170144458 A KR 1020170144458A KR 20170144458 A KR20170144458 A KR 20170144458A KR 20190049040 A KR20190049040 A KR 20190049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u
fatc
input signal
controller
control lo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059B1 (ko
Inventor
권문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0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제어기에 각 제어 로직을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센서 추가 등 시스템의 변경사항 발생시 해당 제어기만을 변경하면 되도록 하여 전체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체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자체 제어 로직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제어기; 상기 제2 제어기에 연결되어 LIN 또는 PWM 방식으로 제어되는 부하; 및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 간을 통신 연결하는 CAN;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train and Air-Conditioning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제어기에 각 제어 로직을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센서 추가 등 시스템의 변경사항 발생시 해당 제어기만을 변경하면 되도록 하여 전체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은 EMS(Engine Management System) ECU 및 FATC(Full Auto Temperature Control) ECU를 중심으로 관련 센서 및 부하(전동 컴프레서, PTC 히터, 냉각팬, AAF 모터 등)가 연결 구성된 전기 전자 시스템이다.
종래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은 하나의 통합 제어기(EMS ECU 또는 FATC ECU)에서 각 제어기의 센서 입력들을 통신으로 전달받아 통합하여 처리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어 효율을 높이고 있으나(특허문헌 1), 각 제어 로직이 하나의 통합 제어기에 모두 구성됨에 따라 센서 추가나 제어기 추가 등 변경사항이 발생될 경우 해당 제어기와 함께 이를 통합 제어하는 제어기도 반드시 변경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1-0047301 A (2011.05.0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각각의 제어기에 각 제어 로직을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센서 추가 등 시스템의 변경사항 발생시 해당 제어기만을 변경하면 되도록 하여 전체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는 자체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자체 제어 로직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제어기; 상기 제2 제어기에 연결되어 LIN 또는 PWM 방식으로 제어되는 부하; 및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 간을 통신 연결하는 CAN;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제어기는 FATC ECU이며, 상기 제2 제어기는 EMS ECU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기는 EMS ECU이며, 상기 제2 제어기는 FATC ECU일 수 있다.
상기 FATC ECU는 외기 온도, 냉매 압력 및 에어컨 작동에 대한 신호를 자체 입력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EMS ECU는 냉각수 온도, 차량 속도에 대한 신호를 자체 입력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부하는 엔진룸 냉각팬, AAF 모터, 워터 펌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는 각각의 제어 로직에 의해 제어값을 출력하며, 상기 부하는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의 제어값들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최종 출력값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최종 출력값에 의한 상기 부하의 제어는 상기 제2 제어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부하에 따라 FATC ECU 또는 EMS ECU 중 어느 하나로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는 외기 온도, 냉매 압력 및 에어컨 작동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제1 제어 로직을 갖는 FATC ECU; 냉각수 온도, 차량 속도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제2 제어 로직을 갖는 EMS ECU; 상기 EMS ECU에 연결되어, 상기 제1, 2 제어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값들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상기 EMS ECU의 최종 출력값에 의해 LIN 또는 PWM 방식으로 제어되는 엔진룸 냉각팬; 및 상기 FATC ECU 및 상기 EMS ECU 간을 통신 연결하는 CAN;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는 외기 온도, 냉매 압력 및 에어컨 작동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제1 제어 로직을 갖는 FATC ECU; 냉각수 온도, 차량 속도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제2 제어 로직을 갖는 EMS ECU; 상기 EMS ECU에 연결되어, 상기 제1, 2 제어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값들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상기 EMS ECU의 최종 출력값에 의해 LIN 또는 PWM 방식으로 제어되는 AAF 모터; 및 상기 FATC ECU 및 상기 EMS ECU 간을 통신 연결하는 CAN;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는 냉각수 온도, 차량 속도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제1 제어 로직을 갖는 EMS ECU; 외기 온도, 냉매 압력 및 에어컨 작동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제2 제어 로직을 갖는 FATC ECU; 상기 FATC ECU에 연결되어, 상기 제1, 2 제어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값들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상기 FATC ECU의 최종 출력값에 의해 LIN 또는 PWM 방식으로 제어되는 워터 펌프; 및 상기 FATC ECU 및 상기 EMS ECU 간을 통신 연결하는 CAN;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시동 온(On) 확인 단계, 제1, 2 제어기 작동 온(On) 단계, CAN 통신 이상 유무 확인 단계, 제어 로직 출력 단계 및 최종 출력값 결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로직 출력 단계는 상기 제1, 2 제어기의 각 제어 로직에서 각 제어값을 출력하는 단계이다.
상기 최종 출력값 결정 단계는 상기 부하에 따라 상기 제1, 2 제어기의 제어값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부하에 연결된 상기 제2 제어기의 최종 출력값으로 결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제1 제어기의 특정 입력 신호 변경시 제1, 2 제어기의 제어 로직을 모두 변경할 필요 없이 해당 제어기, 즉 제1 제어기만을 변경하면 되므로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입력 신호를 기준으로 해당 제어기의 제어 로직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제어기 간 통신 신호를 최소화하여 통신 버스 로드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의 구성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는 제1 제어기(10), 제2 제어기(20) 및 부하(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2 제어기(10, 20)는 EMS ECU와 FATC ECU이며 그 순서는 바뀔 수 있다. 상기 제1, 2 제어기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40)으로 통신 연결된다.
상기 부하(30)는 상기 제2 제어기(20)에 연결되어 LIN 또는 PWM(50) 방식으로 제어되는 엔진룸 냉각팬, AAF 모터, 워터 펌프 등이다.
상기 제1, 2 제어기(10, 20)는 각각의 입력 신호를 기준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제어 로직(15, 25)을 별도로 가지며, 각 제어기에 수신되는 센서의 입력 신호들로부터 각 제어 로직에 따라 각 제어값을 출력한다.
상기 부하(30)는 별도의 제어 로직을 가지지 않으며, 그 부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2 제어기(10, 20)의 제어값들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상기 제2 제어기(20)의 최종 출력값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시동 온(On) 확인 단계(S100), 제1, 2 제어기 작동 온(On) 단계(S200), CAN 통신 이상 유무 확인 단계(S300), 제1 제어 로직 출력 단계(S400), 제2 제어 로직 출력 단계(S500) 및 최종 출력값 결정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확인 단계(S100)는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1, 2 제어기 작동 온(On) 단계(S200)는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일 경우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제1, 2 제어기(10, 20)를 작동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CAN 통신 이상 유무 확인 단계(S300)는 상기 제1, 2 제어기(10, 20) 간의 통신이 정상적인지 확인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1, 2 제어기(10, 20) 간의 통신이 정상이면 상기 제1, 2 제어 로직 출력 단계(S400, S500)에서 상기 제1, 2 제어기(10, 20)의 제어값을 각각 출력하고, 상기 최종 출력값 결정 단계(S600)에서 상기 부하(30)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2 제어기(10, 20)의 제어값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부하(30)에 연결된 상기 제2 제어기(20)의 최종 출력값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종래기술에서는 제1 제어기(10)의 특정 입력 신호 변경시 제1, 2 제어기(10, 20)의 제어 로직(15, 25)을 모두 변경해야 했지만, 본 발명은 해당 제어기, 즉 제1 제어기(10)만을 변경하면 되므로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를 기준으로 해당 제어기의 제어 로직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제어기 간 통신 신호를 최소화하여 통신 버스 로드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부하(30)가 엔진룸 냉각팬, AAF 모터, 워터 펌프인 경우에 대한 실시예를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각 실시예는 종래기술과 함께 설명된다. 도 3 내지 5에서 '입력 신호'는 제어기가 최초로 수신한 신호를 의미하며, '통신 신호'는 타 제어기의 입력 신호가 통신을 통해 전달된 신호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상기 부하(30)가 엔진룸 냉각팬인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먼저, 도 3의 (a)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은 EMS ECU(20)만이 제어 로직(25)을 가지며, EMS ECU(20)가 자체 입력 신호인 냉각수 온도, 차량 속도 신호 외에 FATC ECU(10)의 입력 신호인 외기 온도, 냉매 압력, 에어컨 작동 신호를 CAN(40) 통신으로 전달받아 엔진룸 냉각팬(30)을 제어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은 FATC ECU(10)에 입력 신호 추가 필요시 FATC ECU(10) 뿐만 아니라 EMS ECU(20)의 제어 로직(25)도 함께 변경해야만 했다.
반면에,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는 FATC ECU(10)와 EMS ECU(20)가 각각 별도의 제어 로직(15, 25)을 가지며, 상기 각 제어기(10, 20)의 각 제어 로직(15, 25)은 타 제어기로부터의 통신 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각각의 입력 신호로만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는 FATC ECU(10)에 입력 신호 추가 필요시 EMS ECU(20)는 변경없이 FATC ECU(10)만 변경하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 부하(30)가 AAF 모터인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먼저, 도 4의 (a)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은 AAF 모터(30)만이 제어 로직(35)을 가지며, AAF 모터(30)가 EMS ECU(20)의 입력 신호인 냉각수 온도, 차량 속도 신호와 FATC ECU(10)의 입력 신호인 외기 온도, 냉매 압력, 에어컨 작동 신호를 CAN(40) 통신으로 전달받아 AAF 모터(30)를 제어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은 FATC ECU(10)나 EMS ECU(20)에 입력 신호 추가 필요시 해당 제어기 뿐만 아니라 AAF 모터(30)의 제어 로직(35)도 함께 변경해야만 했다.
반면에,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는 FATC ECU(10)와 EMS ECU(20)가 각각 별도의 제어 로직(15, 25)을 가지며 AAF 모터(30)는 제어 로직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는 제어 로직(15, 25)에 통신 신호를 포함하지 않으며, FATC ECU(10)나 EMS ECU(20)에 입력 신호 추가 필요시 해당 제어기만을 변경하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기 부하(30)가 워터 펌프인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먼저, 도 5의 (a)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은 EMS ECU(20)만이 제어 로직을 가지며, EMS ECU(20)가 자체 입력 신호인 냉각수 온도, 차량 속도 신호 외에 FATC ECU(10)의 입력 신호인 외기 온도, 냉매 압력, 에어컨 작동 신호를 CAN(40) 통신으로 전달받아 워터 펌프(30)를 제어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은 FATC ECU(10)에 입력 신호 추가 필요시 FATC ECU(10)뿐만 아니라 EMS ECU(20)의 제어 로직(25)도 함께 변경해야만 했다.
반면에,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는 FATC ECU(20)와 EMS ECU(10)가 각각 별도의 제어 로직(25, 15)을 가지며, 상기 각 제어기(10, 20)의 각 제어 로직(15, 25)은 타 제어기로부터의 통신 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각각의 입력 신호로만 구성된다. 또한, 부하(30)를 최종 제어하는 제어기를 EMS ECU(10)가 아닌 FATC ECU(20)로 변경하여 워터 펌프(30) 제어의 효율성을 높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은 FATC ECU(20)에 입력 신호 추가 필요시 EMS ECU(10)는 변경없이 FATC ECU(20)만 변경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입력 신호의 추가 또는 변경시 해당 제어기만을 변경하면 되므로 시스템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입력 신호를 기준으로 해당 제어기의 제어 로직을 사용하므로 통신 신호를 최소화하여 통신 버스 로드를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일 뿐,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제1 제어기
15: 제어 로직
20: 제2 제어기
25: 제어 로직
30: 부하
35: 제어 로직
40: CAN
50: LIN 또는 PWM
S100: 차량의 시동 온(On) 확인 단계
S200: 제1, 2 제어기 작동 온(On) 단계
S300: CAN 통신 이상 유무 확인 단계
S400: 제1 제어 로직 출력 단계
S500: 제2 제어 로직 출력 단계
S600: 최종 출력값 결정 단계

Claims (15)

  1. 자체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자체 제어 로직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제어기;
    상기 제2 제어기에 연결되어 LIN 또는 PWM 방식으로 제어되는 부하; 및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 간을 통신 연결하는 CAN;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FATC ECU이며, 상기 제2 제어기는 EMS E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EMS ECU이며, 상기 제2 제어기는 FATC E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FATC ECU는 외기 온도, 냉매 압력 및 에어컨 작동에 대한 신호를 자체 입력 신호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EMS ECU는 냉각수 온도, 차량 속도에 대한 신호를 자체 입력 신호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엔진룸 냉각팬, AAF 모터, 워터 펌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는 각각의 제어 로직에 의해 제어값을 출력하며, 상기 부하는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의 제어값들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최종 출력값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최종 출력값에 의한 상기 부하의 제어는 상기 제2 제어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부하에 따라 FATC ECU 또는 EMS ECU 중 어느 하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10. 외기 온도, 냉매 압력 및 에어컨 작동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제1 제어 로직을 갖는 FATC ECU;
    냉각수 온도, 차량 속도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제2 제어 로직을 갖는 EMS ECU;
    상기 EMS ECU에 연결되어, 상기 제1, 2 제어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값들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상기 EMS ECU의 최종 출력값에 의해 LIN 또는 PWM 방식으로 제어되는 엔진룸 냉각팬; 및
    상기 FATC ECU 및 상기 EMS ECU 간을 통신 연결하는 CAN;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11. 외기 온도, 냉매 압력 및 에어컨 작동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제1 제어 로직을 갖는 FATC ECU;
    냉각수 온도, 차량 속도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제2 제어 로직을 갖는 EMS ECU;
    상기 EMS ECU에 연결되어, 상기 제1, 2 제어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값들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상기 EMS ECU의 최종 출력값에 의해 LIN 또는 PWM 방식으로 제어되는 AAF 모터; 및
    상기 FATC ECU 및 상기 EMS ECU 간을 통신 연결하는 CAN;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12. 냉각수 온도, 차량 속도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제1 제어 로직을 갖는 EMS ECU;
    외기 온도, 냉매 압력 및 에어컨 작동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제2 제어 로직을 갖는 FATC ECU;
    상기 FATC ECU에 연결되어, 상기 제1, 2 제어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값들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상기 FATC ECU의 최종 출력값에 의해 LIN 또는 PWM 방식으로 제어되는 워터 펌프; 및
    상기 FATC ECU 및 상기 EMS ECU 간을 통신 연결하는 CAN;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13. 청구항 1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차량의 시동 온(On) 확인 단계, 제1, 2 제어기 작동 온(On) 단계, CAN 통신 이상 유무 확인 단계, 제어 로직 출력 단계 및 최종 출력값 결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 출력 단계는 상기 제1, 2 제어기의 각 제어 로직에서 각 제어값을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최종 출력값 결정 단계는 상기 부하에 따라 상기 제1, 2 제어기의 제어값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부하에 연결된 상기 제2 제어기의 최종 출력값으로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170144458A 2017-11-01 2017-11-01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29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458A KR102429059B1 (ko) 2017-11-01 2017-11-01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458A KR102429059B1 (ko) 2017-11-01 2017-11-01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040A true KR20190049040A (ko) 2019-05-09
KR102429059B1 KR102429059B1 (ko) 2022-08-04

Family

ID=6654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458A KR102429059B1 (ko) 2017-11-01 2017-11-01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0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301A (ko) 2009-10-30 2011-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통합 제어 시스템
KR20110064380A (ko) * 2009-12-08 2011-06-15 한라공조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공조 제어방법
KR20120002314A (ko) * 2010-06-30 201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압축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N202402126U (zh) * 2011-11-30 2012-08-29 凯迈(洛阳)机电有限公司 发动机热管理系统
US20170217287A1 (en) * 2014-12-24 2017-08-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301A (ko) 2009-10-30 2011-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통합 제어 시스템
KR20110064380A (ko) * 2009-12-08 2011-06-15 한라공조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공조 제어방법
KR20120002314A (ko) * 2010-06-30 201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압축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N202402126U (zh) * 2011-11-30 2012-08-29 凯迈(洛阳)机电有限公司 发动机热管理系统
US20170217287A1 (en) * 2014-12-24 2017-08-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059B1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1218B2 (en) Univers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ably controlling a heating or cooling system
CN108340771B (zh) 冷却风机和主动格栅百叶窗控制
US9550421B2 (en) DC-to-DC converter with variable set-point control
KR101904253B1 (ko) 스마트 솔레노이드
KR101846722B1 (ko) 차량의 냉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2253495A3 (en) Vehicle air conditioner
US11249543B2 (en) In-vehicle control device
US20100187318A1 (en) Vav solid state vav fan series and parallel fan controller
KR20070085335A (ko) 자동차용 통풍시스템
CN102650461B (zh) 车辆用空调控制系统
US784315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tor control signals
KR20190049040A (ko) 차량의 파워트레인 및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00062077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gateway device, method for setting a parameter of an air conditioning device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N106576063B (zh) 总线系统和总线系统控制方法
US673632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US9994086B2 (en) Main semiconductor device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EP3441698B1 (en) Hybrid tandem compressor system and control method
US10823185B2 (en) Motor interface assembly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70028683A (ko) 엔진룸 쿨링팬 제어기 및 그 제어 방법
JP5101171B2 (ja) 圧縮機制御装置
KR100411106B1 (ko) 차량의 에어 컨디셔너 제어 시스템
JP2010002062A (ja) ファンフィルターユニット制御システム
JP2020535060A (ja) 車両空調システムの操作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用内部温度感知ユニット
US202400938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motor
JP4483534B2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