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998A - Membrane unit for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mbrane unit for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48998A KR20190048998A KR1020170144364A KR20170144364A KR20190048998A KR 20190048998 A KR20190048998 A KR 20190048998A KR 1020170144364 A KR1020170144364 A KR 1020170144364A KR 20170144364 A KR20170144364 A KR 20170144364A KR 20190048998 A KR20190048998 A KR 201900489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er
- coupled
- air
- module fixing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리막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이면서 구조도 단순한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경량 분리막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ion membrane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weight separation membrane unit for a submerged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that is light in weight and simple in construction.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분리막 유니트는 생물학적 공정이나 물리화학적 공정으로 오폐수나 하수에 포함된 용존 오염물질과 미생물 및 부유물질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여과함으로써 오폐수나 하수를 정화하는 장치이다.The separation membrane unit for the immersion membrane separator is a device for purifying the wastewater or sewage by filtering and filtering foreign matters such as dissolved pollutants and microorganisms and suspended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and sewage through a biological process or a physicochemical process.
분리막은 일반적으로 중공사막을 사용하는데, 한정된 공간내에서 처리용량을 높이고 집적화하기 위해 중공사막을 수백 내지 수천개씩 한데 모아서 묶은 중공사막모듈을 사용한다.The separation membrane is generally a hollow fiber membrane, and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used to collect and bundle hundreds to several thousands of hollow fiber membranes in order to increase the processing capacity and integrate within a limited space.
분리막 유니트를 경량화 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선택도 중요하지만 구조를 변화시켜 분리막 유니트를 이루는 구성요소를 상호 간섭없이 적절히 위치에 배치시켜야 하고, 특히 중공사막모듈이 설치되는 공간에 다른 구성요소들의 간섭을 제거해야 한다. 여기서 다른 구성요소들은 흡인헤더나 산기관의 위치 등을 의미한다.In order to lighten the separator unit,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material, bu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tructure so that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parator unit are appropriately disposed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do. Where the other components refer to the location of the suction header or diffuser.
중공사막모듈은 상하로 이격된 사이에 중공사막을 결합시켜 이루어지는데, 헤더 내부의 유로와 연통되는 연결구의 형성위치나 형태, 연결구의 돌출 방향 등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간의 간섭의 차이가 난다.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formed by joining the hollow fiber membran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paced apart portions. There is a difference in interference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depending on the forming position and shape of the connect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inside the header, and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hole.
이와 같이 분리막 유니트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간의 위치 및 형태 등 유기적 관계에 따라 경량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제작과정의 용이 및 구조의 단순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데, 지금까지는 분리막 유니트의 기능성에만 촛점이 맞춰져 있어 장치의 상업적인 경쟁력 측면에서 중요한 경량화 및 제작과정의 용이성을 크게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Thus, due to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the influence on the weight reduction is large,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the simplicity of the structure is greatly influenced. Up to now, only the functional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has been foc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weight saving and eas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which are important in terms of commercial competitiveness of the apparatus are not considered.
산기관은 중공사막모듈을 통해 정수를 흡인할 때 미세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압축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간헐적인 폭기를 시키므로 폭기가 되지 않는 시간에 공기구멍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고, 이물질 중에서도 모래와 같은 비중이 무거운 것들은 산기관 내부에 가라앉아 쌓여 산기관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특히 모래와 같은 이물질은 폭기시 공기와 같이 토출되면서 총알처럼 작용하여 중공사막을 손상시킨다. 그렇다고 산기관의 공기구멍으로 이물질을 들어가지 못하도록 밸브나 노즐처럼 폭기 시킬때만 열리게 할 경우 구성이 복잡해져 제작비용도 상승하지만 고장도 자주 일어나는 문제도 있다.The air diffuser functions to discharge the compressed air in order to prevent clogging of the micropores when the purified water is suck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Since the air diffuses intermittently, the foreign matter flows in through the air hole during the time of no aeration, Particularly heavy ones such as sand are piled up in the inside of the mountain organs, which causes degeneration of the organs. Particularly,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are discharged like air during aeration to damage the hollow fiber membrane. However, if it is opened only when it is augmented like a valve or a nozz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air hole of an engine, the construction become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but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frequent trouble occurs.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량화 및 단순화 될 수 있도록 특정 구성부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중공사막모듈의 구조와 형태도 크게 변화시켰으며, 산기관의 토출구에 비중이 큰 이물질이 유입되어도 바로 방출될 수 있는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경량 분리막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change the shape of a specific constituent part so as to be light and simple, and to greatly change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which can be discharged immediately even if the light-emitting diaphragm is separated from the light-emitting diaphragm.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분리막 유니트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도록 세워지는 한쌍의 종프레임; 상기 종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는 좌상횡프레임, 우상횡프레임, 좌하횡프레임, 우하횡프레임; 상기 종프레임 상부의 중심에 상호 대향되어 한쌍의 바브라켓이 종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바브라켓 사이에 결합되며 그 가운데 부분에는 인용고리가 형성된 인양바;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상호 대향되어 한쌍의 헤더브라켓이 종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헤더브라켓 사이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흡인관이 형성된 흡인헤더; 상기 흡인헤더 저면에 결합되고,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공이 형성된 좌상모듈고정대; 상기 우상횡프레임 상면에 결합되고,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공이 형성된 우상모듈고정대; 상기 좌하횡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고,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공이 형성된 좌하모듈고정대; 상기 우하횡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고,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공이 형성된 우하모듈고정대; 상부헤더는 상기 좌상모듈고정대와 우상모듈고정대 사이게 결합되고, 하부 헤더는 상기 좌하모듈고정대와 우하모듈고정대 사이에 결합되는 중공사막모듈; 상기 횡프레임의 저부에 결합되고 다수의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펌프와 연결되어 공기구멍을 통해 압축공기를 폭기시킬 수 있는 산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장치템용 경량 분리막 유니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ion membrane unit separator for a submerged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pair of longitudinal frames erected to be supported on a bottom; An upper left transverse frame, an upper right transverse frame, a lower left transverse frame, and a lower right transverse frame that connect between the longitudinal frames; A bar lifting bar which is opposed to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frame and is formed so that a pair of bar brackets protrude upward from the longitudinal frame and are coupled between the pair of bar brackets, A pair of header brackets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ngitudinal frame, the pair of header brackets being coupled to each other between the pair of header brackets, a flow path formed in the pair of header brackets, and a suction header ; An upper left module holder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uction header and having a plurality of apertures formed at equal intervals; An upper right module fram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upper frame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apertures at equal intervals; A left lower module fixing tabl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eft lower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apertures formed at equal intervals; A lower right module fram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right transverse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apertures formed at equal intervals; A top header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left module holder and the upper right module holder, and a lower header is coupled between the lower left module holder and the lower right module holder; And an air diffuser coupled to a bottom portion of the transverse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air holes formed therein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air pump to aerate compressed air through an air hole, Lightweight separator unit.
또한, 상기 산기관을 구성하는 중공파이프에는 공기구멍이 다수 형성된 다수의 분배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분배파이프에는 분배파이프와 연통되면서 하향되어 연장되며 하부는 항상 열려 있는 이물질배출파이프가 형성되어, 상기 분배파이프에 공기가 공급되어 공기구멍을 통해 폭기될 때 수압 차이에 의해 공기구멍을 통해서는 공기가 토출되지만, 분배파이프와 연통된 이물질배출파이프로는 공기는 배출되지 않고 공기구공을 통해 유입된 상대적으로 비중이 물보다 큰 이물질은 분배파이프 내부에 적층되지 않고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공사막모듈은 상부헤더와 하부헤더 사이에 중공사막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되, 상부헤더와 하부헤더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수직연결구와 수평연결구는 서로간에 직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물질배출파이프에는 이물질배출파이프에 끼워져 밀어넣거나 잡아당기면 슬라이딩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파이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llow pipe constituting the air diffusing pip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each having a plurality of air holes, and the distribution pipe is formed with a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tribution pipe and extending downwardly,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hole due to the difference in water pressure when air is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pipe through the air hole, but air is not discharged to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tribution pipe, Wherei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a hollow fiber membrane between an upper header and a lower header, wherein the upper header and the lower head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nnectors formed at both end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s it is ranging, and include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length pipe which is variable is formed as a sliding insert or pull to push foreign matter sandwiched between the exhaust pipe.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사막모듈의 연결구와 결합되는 흡인헤더가 하나만 형성되어 있어서, 구조가 단순해지고 경량화에도 유리하다. 또한 지금까지는 분리막유니트에 채용된 연결구는 헤더의 양단이나 상단에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중 한 방향으로만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중공사막모듈에 형성되는 수직연결구와 수직연결구의 방향의 서로 수직과 수평으로 직각을 이루고 있어서, 중공사막모듈이 폭기압을 받아 요동치더라도 수직방향과 수평방향 모두 모듈고정대를 통해 단단히 잡아줄 수 있다. 게다가 산기관에 형성되는 공기구멍으로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들어가서 남아 있다가 폭기시 공기와 같이 토출되어 총알처럼 작용할 수 있지만, 토출시 공기 압력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하면서 공기구멍을 유입된 모래가 자중에 의해 다시 빠져나갈 수 있어 중공사막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one suction header is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connector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lightweigh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nnectors formed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ligned with respect to one another.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even i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swings due to the atmospheric pressure, both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held tightly through the module fixing frame. In addition,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are left in the air holes formed in the acid organs, and they can be discharged like air during the aeration to act as bullets. Howe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유니트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유니트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막모듈이 모듈고정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B"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막모듈이 모듈고정대에 결합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산기관을 나타낸 것이다.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eparation membra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separation membra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module fixing table.
4 is an enlarged view of " A " i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 B "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module fixture.
7 shows a diffuser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지지 되도록 세워지는 한쌍의 종프레임(110)이 이격되어 구비된다. 종프레임(110)은 재료가 수중에서 녹슬지 않도록 스테인레스 강판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프레임(110)은 사각형 강판인데, 종프레임(110)의 높이와 종프레임 사이의 이격 거리가 분리막 유니트의 크기를 결정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pair of
종프레임(110)의 상부는 종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좌상횡프레임(120)과 우상횡프레임(130)이 결합된다. 좌상횡프레임(120)은 종프레임(110)의 좌측 상부를 서로 연결하고, 우상횡프레임(120)은 종프레임(110)의 우측 상부를 서로 연결하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분리막 유니트를 구성하면서 구조를 강화시킨다. The upper portion of the
종프레임(110)의 하부는 종프레임(110)을 상호 연결하는 좌하횡프레임(140)과 우하횡프레임(150)이 결합된다. 좌하횡프레임(140)은 종프레임(110)의 좌측 하부를 서로 연결하고, 우하횡프레임(150)은 종프레임(110)의 우측 하부를 서로 연결하면서 일체로 결합 되어 구조를 강화시킨다.A lower portion of the
종프레임(110)의 상단 가운데에는 기중기와 같은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분리막 유니트를 들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인용고리(165)가 형성되는데, 인용고리(165)를 형성할 수 있도록 대향 되는 종프레임(110) 사이에 인양바(160)가 결합 된다. 인양바(160)는 종프레임(110) 내부 쪽에 위치되면 후술하는 중공사막모듈의 설치공간을 간섭하므로 종프레임(110)에 강판으로 이루어진 바브라켓(bbk)을 각각 형성하여 바브라켓(bbk) 사이에 인양바(160)를 결합한다. 따라서 인양바(160)는 종프레임(110)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있게 되고, 그 가운데에 인양고리(165)가 형성된다. 인용고리(165)는 무게 중심점에 형성되므로 분리막 유니트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기울어지지 않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종프레임(110) 상단 한쪽에는 횡방향으로 흡인헤더(170)가 결합된다. 흡인헤더(170)는 분리막 유니트 외부의 흡입펌프와 연결되어 부압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내부에는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흡인헤더(270)도 종프레임(110)의 내부 쪽에 위치되면 중공사막모듈의 설치공간을 간섭하므로 종프레임(110) 상단에 강판으로 이루어진 헤더브라켓(hbk)을 각각 형성하여 헤더브라켓 (hbk)사이에 흡인헤더(170)를 결합한다. 흡인헤더(170)의 일측에는 흡인헤더 내부의 유로와 연통되는 흡인관(172)이 형성되어 있어서 부압을 형성시키는 외부의 펌프와 연결된다.A
흡인헤더(170) 저면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공이 형성된 좌상모듈고정대(180)가 결합된다. 구공(bh)은 후술하는 중공사막모듈(230)의 상부측 수직연결구(vc)가 끼워지는 곳으로, 흡인헤더 저면에 구공에 대응되는 유로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 구공(bh)과 흡인헤더(17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좌상모듈고정대(180)의 구공(bh)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An upper left
우상횡프레임(130)의 상부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공(bh)이 형성된 우상모듈고정대(190)가 결합된다. 구공(bh)은 중공사막모듈(230)의 상부측 수평연결구(lc)가 끼워지는 곳이다. 우상모듈고정대(190)의 구공(bh)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상모듈고정대(190)에 다수의 중공사막모듈(230)이 끼워지면 사용중 중공사막모듈(23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요동치거나 들뜰 수 있으므로 우상모듈고정대(190)를 위에서 눌러주는 누름바(bar)를 결합한다. 누름바(bar)의 양단은 종프레임(110)에 용접으로 결합하고, 누름바 중간 중간에 볼트공을 형성하고 우상모듈고정대(190)에도 구공을 피해서 대응되는 볼트공을 형성한 후 우상횡프레임(130)에도 대응되는 볼트공을 형성하여 볼트 체결함으로써 누름바(bar)가 우상모듈고정대(190)를 단단히 눌러 주도록 한다.An upper
좌하횡프레임(140)의 상부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공이 형성된 좌하모듈고정대(210)가 결합된다. 구공은 중공사막모듈(230)의 하부측 수직연결구(vc)가 끼워지는 곳이다. 좌하모듈고정대(210)의 구공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A lower left
우하횡프레임(150)의 상부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공(bh)이 형성된 우하모듈고정대(220)가 결합된다. 구공은 중공사막모듈(230)의 하부측 수평연결구(lc)가 끼워지는 곳이다. 우하모듈고정대(220)의 구공(bh)은 수평 방향이다. 우하모듈고정대(220)에 다수의 중공사막모듈(230)이 끼워지면 사용중 중공사막모듈(23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요동치거나 들뜰 수 있으므로 우하모듈고정대(220)를 위에서 눌러주는 누름바(bar)를 결합한다. 누름바(bar)의 양단은 종프레임(110)에 용접으로 결합하고, 누름바(bar) 중간중간에 볼트공을 형성하고 우하모듈고정대(220)에도 구공을 피해서 대응되는 볼트공을 형성 한후 우하횡프레임(150)에도 대응되는 볼트공을 형성하여 볼트 체결함으로써 누름바(bar)가 우하모듈고정대(220)를 단단히 눌러 주도록 한다.A lower right module fixing table 220 having a plurality of holes bh formed at equal intervals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ight lower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상모듈고정대(180)와 좌하모듈고정대(210), 우상모듈고정대(190)와 우하모듈고정대(220) 사이에는 중공사막모듈(230)이 결합된다. 중공사막모듈(230)은 상부헤더(232)와 하부헤더(234) 사이에 중공사막(236) 여러가닥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부헤더(232)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좌측단에는 수직연결구(vc)가 형성되고, 우측단에는 수평연결구(lc)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연결구(vc)의 중심에는 유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유공은 상부헤더(232)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와 연통되어 있다.3 through 6, the hollow
상부헤더(232)에 형성되는 수직연결구(vc)는 좌상모듈고정대(180)의 구공(bh)에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흡인헤더(170)의 유로와 연통된다. 수직연결구(vc)의 외주에는 구공에 삽입되었을 때 흡인시 작용하는 유체압력에도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무링과 같은 탄성재질의 오링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연결구(vc)에는 수중에서 폭기압으로 중공사막모듈(230)이 요동칠 때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를 강화시키는 보강편(rf)이 수직연결구(vc)의 길이 방향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다.The vertical connector vc formed in the
상부헤더(232)의 우측단에 형성된 수평연결구(lc)에는 우상모듈고정대(190)의 구공(bh)에 삽입되어 결합 된다. 수평연결구(lc)에는 유공이 없으므로 수밀이 유지되지 않아도 상관이 없지만, 중공사막모듈(230)이 폭기압에 의해서 요동칠 때 충격력에 의해서 손상될 수 있으므로 고무링과 같은 쿠션이 있는 오링을 형성하여 그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And is inserted into the hole bh of the upper right module fixing table 190 and joined to the horizontal connecting hole lc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하부헤더(234) 좌측단에 형성된 수직연결구(vc)는 좌하모듈고정대(210)의 구공(bh)에 삽입되어 결합 된다. 하부헤더(234)에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하부헤더(234)에 형성된 수직연결구(vc)에도 유공이 없으므로 수밀을 유지할 필요는 없지만, 요동시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연결구(vc)의 외주에 탄성재질의 오링을 형성한다.The vertical connector vc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하부헤더(234)의 우측단에는 수평연결구(lc)가 형성된다. 하부헤더(134) 우측단에 형성된 수평연결구(lc)에는 우하모듈고정대(220)의 구공에 삽입되어 결합 된다. 수평연결구(lc)에는 유공이 없으므로 수밀이 유지되지 않아도 상관이 없지만, 중공사막모듈(230)이 폭기압에 의해서 요동칠 때 충격력에 의해서 손상될 수 있으므로 고무링과 같은 쿠션이 있는 오링을 형성하여 그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A horizontal connector lc is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상부헤더(132)와 하부헤더(134)에 형성된 수직연결구(vc)는 수직 방향이고 수평연결구(lc)는 수평방향으로써 서로 다른데, 둘다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 등 한쪽방향(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으면, 중공사막모듈(230)이 폭기압에 의해 요동칠 때 한쪽방향으로 요동을 방지하기 유리하지만 다른 한쪽 방향으로 취약해진다. 중공사막모듈에 수직방향의 수직연결구(vc)와 수평방향의 수평연결구(lc)가 형성되어 있으면, 수직방향으로 요동칠 때는 상부헤더와 하부헤더에 형성된 수직연결구(vc)가 좌상모듈고정대(180)와 좌하모듈고정대(210)에 의해 요동이 제한되어, 그 요동을 크게 감소시키고, 수평방향으로 요동칠 때는 우상모듈고정대(190)와 우하모듈고정대(220)에 의해 요동이 제한되어 그 요동을 크게 감소시킨다. The vertical connector vc formed in the upper header 132 and the lower header 134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connector lc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both of them are formed in one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r horizontal direction) It is advantageous to prevent the hollow
종프레임의 저부에는 외부의 공기펌프와 연결되어 중공사막모듈에 압축공기를 폭기시키는 산기관(250)이 설치된다. 산기관은 중공파이프(260)에 공기구멍(ah)을 다수 형성하여 중공파이프(26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공기구멍(ah)을 통해 공기가 주기적으로 폭기 되도록 한 것이다.At the bottom of the longitudinal frame, an air diffuser 25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air pump to aerate the compressed air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기관의 중공파이프(260) 저부에 분배파이프(270)를 다수 형성되고, 분배파이프(270)에 다수의 공기구멍(ah)을 형성한다. 분배파이프는 보조분배파이프(272)를 통해 중공파이프(260)와 연통되도록 연결한 것으로, 중공파이프(260)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분배파이프(270)를 거치고 공기구멍(ah)을 통해 폭기 되도록 한것이다. 분배파이프이 양단이나 저면에는 수개의 이물질배출파이프(280)가 형성된다. 이물질배출파이프(280)는 분배파이프(270)와 연통 되어 있으면서 하향 되어 형성되고 그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7, a plurality of
분배파이프(280)에는 분배파이프 내부에 삽입 조립되어 필요에 따라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파이프(282)를 결합한다. 가변파이프(282)는 낚싯대와 같이 잡아빼거나 밀어 넣어서 길이를 가변시키도록 한 것이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분리막 유니트를 처리해야 할 하폐수가 있는 수중에 설치하고, 외부의 흡인펌프를 흡인헤더(170)의 흡인관(172)에 연결한 후 흡인펌프를 작동시키면 부압에 의해 중공사막(232)의 미세공을 통해 정수만 빨려나온다.When the suction pump is operated after connecting the
중공사막을 통해 정수가 빠져나오는 과정이 장시간 지속되면 미세공이 막힐 수 있으므로, 이때는 산기관(250)을 통해 압축공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불어 넣으면 공기구멍(ah)을 통해 압축된 공기가 폭기 된다. 폭기된 압축공기는 중공사막(236)의 미세공에 달라붙은 오염물질을 털어내어 미세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If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purified water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continued for a long time, the fine pores may be clogged. In this case, when the compressed air is blown through the air diffuser 25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ompressed air is aerated through the air hole ah. The aerated compressed air heats out th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micropores of the
폭기된 공기는 유체에 강한 유동성을 제공하므로 중공사막(236)은 물론이고 중공사막모듈(230) 전체와 분리막 유니트 전체를 요동치게 한다. 중공사막모듈(230)이 요동치면 그 충격력이 수평연결구(lc)와 수직연결구(vc)에 전달되어 피로파괴가 일어날 수 있지만, 수직연결구(vc)는 좌상모듈고정대(180)와 좌하모듈고정대(210)에 의해 유동이 제한된다. 수평연결구(lc)는 우상모듈고정대(190)와 우하모듈고정대(220)에 의해 요동이 제한된다. 즉 과도한 요동을 제한하여 피로파괴를 방지한다.The aeration air provides strong fluidity to the fluid, thus oscillating the entire hollow
중공파이프(260)의 공기구멍(ah)을 통해 공기가 토출될 때에는 공기구멍(ah)을 통해 하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중공파이프(260) 내부로 유입되지 않지만, 일정한 간격마다 토출되므로 공기가 토출되지 않을 동안에는 이물질이 공기구멍(ah)을 통해 중공파이프(260) 내부로 유입된다. 특히 모래와 같이 비중이 큰 이물질은 중공파이프(260)에 한번 유입되면 폭기시에도 잘 배출되지 않아 중공파이프에 적층되어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산기관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중공파이프 내부로 유입되었던 모래가 폭기 될때 공기와 함께 토출되면 탄환처럼 고속으로 중공사막에 충돌하고, 반복되면 결국에는 중공사막이 손상될 수 있는데, 도 ?와 같이 분배파이프를 형성하고, 아래로 연장된 이물질배출파이프가 있으므로 공기구멍을 통해 유입된 모래가 적층되지 않고 바로바로 빠져나간다.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tewater does not flow into the
즉, 중공파이프(260)에 이물질 및 모래가 쌓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토출될 때 탄환처럼 작용하지 않게 된다. 분배파이프와 연통되는 이물질배출파이프가 하부가 항상 열려 있으므로 모래와 같은 이물질을 유입될 때 굴러다니다가 중력에 의해 바로 바로 배출될 수 있지만, 공기 압력도 이곳으로 빠져나가 폭기시킬 수 없어 산기관의 기능을 할 수 없지만, 이물질배출파이프 아래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분배파이프(270)와 이물질배출파이프(280)의 하단 사이의 높이 만큼의 수압차이가 발생하므로 그 수압에 의해 이물질배출파이프(280)를 통해 공기는 빠져나가지 않는다. 압력이 상대적으로 고압이 되면 높이 차이에 따른 수압을 이기고 빠져나갈 수 있지만, 이때는 가변파이프(290)를 잡아빼서 분배파이프(270)와 이물질배출파이프(실제로는 가변파이프) 하단과의 높이차이를 크게 하면 된다.That is, foreign matter and sand are not accumulated in the
110 : 종프레임 120 : 좌상횡프레임
130 : 우상횡프레임 140 : 좌하횡프레임
150 : 우하횡프레임 160 : 인양바
165 : 인양고리 170 : 흡인헤더
172 : 흡인관 180 : 좌상모듈고정대
190 : 우상모듈고정대 210 : 좌하모듈고정대
220 : 우하모듈고정대 230 : 중공사막모듈
232 : 상부헤더 234 : 하부헤더
236 : 중공사막
250 : 산기관 260 : 중공파이프
270 : 분배파이프 280 : 이물질배출파이프
290 : 가변파이프110: longitudinal frame 120: upper left transverse frame
130: Right upper frame 140: Left lower frame
150: right lower frame 160: lifting bar
165: lifting ring 170: suction header
172: suction pipe 180: upper left module fixing table
190: upper right module holder 210: lower left module holder
220: Lower right module holder 230: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232: upper header 234: lower header
236: hollow fiber membrane
250: diffuser pipe 260: hollow pipe
270: distribution pipe 280: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290: variable pipe
Claims (4)
바닥에 지지되도록 세워지는 한쌍의 종프레임(110);
상기 종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는 좌상횡프레임(120), 우상횡프레임(130), 좌하횡프레임(140), 우하횡프레임(150);
상기 종프레임 상부의 중심에 상호 대향되어 한쌍의 바브라켓이 종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바브라켓 사이에 결합되며 그 가운데 부분에는 인용고리가 형성된 인양바(160);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상호 대향되어 한쌍의 헤더브라켓이 종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헤더브라켓 사이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흡인관이 형성된 흡인헤더(170);
상기 흡인헤더 저면에 결합되고,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공이 형성된 좌상모듈고정대(180);
상기 우상횡프레임 상면에 결합되고,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공이 형성된 우상모듈고정대(190);
상기 좌하횡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고,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공이 형성된 좌하모듈고정대(210);
상기 우하횡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고,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공이 형성된 우하모듈고정대(220);
상부헤더는 상기 좌상모듈고정대와 우상모듈고정대 사이게 결합되고, 하부 헤더는 상기 좌하모듈고정대와 우하모듈고정대 사이에 결합되는 중공사막모듈(230);
상기 횡프레임의 저부에 결합되고 다수의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펌프와 연결되어 공기구멍을 통해 압축공기를 폭기시킬 수 있는 산기관(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장치템용 경량 분리막 유니트.A separation membrane unit for an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device,
A pair of longitudinal frames (110) raised to be supported on the floor;
An upper left transverse frame 120, an upper right transverse frame 130, a lower left transverse frame 140, and a lower right transverse frame 150 which connect between the longitudinal frames;
A lifting bar 160 having a pair of bar brackets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center of an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longitudinal frame and are coupled between the pair of bar brackets and have a crown ring at a center thereof;
A pair of header brackets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ngitudinal frame, the pair of header brackets being coupled to each other between the pair of header brackets, a flow path formed in the pair of header brackets, and a suction header (170);
An upper left module fixture 180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uction header and having a plurality of apertures formed at equal intervals;
An upper right module fixing table 19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upper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apertures formed at equal intervals;
A left lower module fixing table 210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left transverse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apertures at equal intervals;
A lower right module fixing table 220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right lower transverse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apertures formed at equal intervals;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230) coupled between the upper left module holder and the upper right module holder, the lower header coupled between the lower left module holder and the lower right module holder;
And an air diffuser (250) coupled to a bottom of the transverse frame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holes, the air diffuser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air pump to aerate the compressed air through an air hole Lightweight separator unit for membrane separation equipment.
상기 산기관을 구성하는 중공파이프에는 공기구멍이 다수 형성된 다수의 분배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분배파이프에는 분배파이프와 연통되면서 하향되어 연장되며 하부는 항상 열려 있는 이물질배출파이프가 형성되어, 상기 분배파이프에 공기가 공급되어 공기구멍을 통해 폭기될 때 수압 차이에 의해 공기구멍을 통해서는 공기가 토출되지만, 분배파이프와 연통된 이물질배출파이프로는 공기는 배출되지 않고 공기구공을 통해 유입된 상대적으로 비중이 물보다 큰 이물질은 분배파이프 내부에 적층되지 않고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경량 분리막 유니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air distribution pipes are formed in the hollow pipe constituting the air diffusing pipe and the distribution pipe is formed with a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tribution pipe and extending downwardly and being always open at the bottom,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hol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when the air is supplied through the air hole, but the air is not discharged to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tribution pipe, but the relative specific gravity And the foreign matter larger than the water can be discharged without being stacked in the distribution pipe.
상기 중공사막모듈은 상부헤더와 하부헤더 사이에 중공사막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되, 상부헤더와 하부헤더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수직연결구와 수평연결구는 서로간에 직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경량 분리막 유니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formed by connecting a hollow fiber membrane between an upper header and a lower header, wherein a vertical connector and a horizontal connector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header and the lower header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Lightweight separator unit for separator.
상기 이물질배출파이프에는 이물질배출파이프에 끼워져 밀어넣거나 잡아당기면 슬라이딩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파이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경량 분리막 유니트.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is formed with a variable pipe which is inserted into a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and is slidable when being pushed or pulled, thereby varying the length of the variable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4364A KR102055679B1 (en) | 2017-11-01 | 2017-11-01 | Membrane unit for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4364A KR102055679B1 (en) | 2017-11-01 | 2017-11-01 | Membrane unit for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8998A true KR20190048998A (en) | 2019-05-09 |
KR102055679B1 KR102055679B1 (en) | 2019-12-13 |
Family
ID=6654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4364A KR102055679B1 (en) | 2017-11-01 | 2017-11-01 | Membrane unit for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567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7420B1 (en) | 2019-06-20 | 2019-10-28 | 김성종 | Membrane frame advanced in efficiency of membrane application and immersion type membrane module unit using the same |
KR20210004100A (en) | 2019-07-03 | 2021-01-13 | (주)엠비티 | Pivotable membrane frame and immersion type membrane module unit using the same |
KR20220159545A (en) * | 2021-05-25 | 2022-12-05 | 씨제이대한통운 (주) | Membrane unit for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07091A (en) * | 2001-04-16 | 2002-10-22 | Kubota Corp | Cleaning method of diffuser |
KR20050116566A (en) | 2004-06-08 | 2005-12-13 |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High flux membrane unit for the wastewater treatment |
KR20060007874A (en) | 2004-07-22 | 2006-01-26 |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Easy assembly type of submerged membrane unit for the wastewater treatment |
KR20120133601A (en) | 2011-05-31 | 2012-12-11 | 최송휴 | Membrane unit |
KR101554924B1 (en) | 2015-04-01 | 2015-09-22 | 씨제이대한통운 (주) | Membrane unit for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
-
2017
- 2017-11-01 KR KR1020170144364A patent/KR10205567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07091A (en) * | 2001-04-16 | 2002-10-22 | Kubota Corp | Cleaning method of diffuser |
KR20050116566A (en) | 2004-06-08 | 2005-12-13 |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High flux membrane unit for the wastewater treatment |
KR20060007874A (en) | 2004-07-22 | 2006-01-26 |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Easy assembly type of submerged membrane unit for the wastewater treatment |
KR20120133601A (en) | 2011-05-31 | 2012-12-11 | 최송휴 | Membrane unit |
KR101554924B1 (en) | 2015-04-01 | 2015-09-22 | 씨제이대한통운 (주) | Membrane unit for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7420B1 (en) | 2019-06-20 | 2019-10-28 | 김성종 | Membrane frame advanced in efficiency of membrane application and immersion type membrane module unit using the same |
KR20210004100A (en) | 2019-07-03 | 2021-01-13 | (주)엠비티 | Pivotable membrane frame and immersion type membrane module unit using the same |
KR20220159545A (en) * | 2021-05-25 | 2022-12-05 | 씨제이대한통운 (주) | Membrane unit for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5679B1 (en) | 2019-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48998A (en) | Membrane unit for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 |
CN101820981B (en) |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o frame structure | |
US9446970B2 (en) | Membrane module unit and assembly method, disassembly method, and maintenance method for same, and water-treatment apparatus | |
KR20010092783A (en) | Immersed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overflow process | |
KR101281642B1 (en) | Membrane unit | |
JPWO2007122839A1 (en) | Membrane element, membrane unit and multi-stage stacked membrane unit | |
WO2007049246A3 (en) | A well fluid separator tank for separation of fluid comprising water, oil and gas, use of such a tank, and a method for separating a well fluid including water, oil, and gas | |
CN101842151A (en) | Filtering membrane module and fil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CN100448515C (en) | Submerg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
CN101541405A (en) | Cartridge module of hollow fiber membranes | |
KR101461048B1 (en) | Membrane unit for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 |
KR20190141629A (en) | Air diffusion header, air diffusion apparatus, membrane module unit, and water treatment method | |
JP3536466B2 (en) | Membrane separation device with hollow tubular membrane | |
JP3562066B2 (en) | Membrane separation device with hollow tubular membrane | |
CN104780998A (en) | Open bottom multiple channel gas delivery device for immersed membranes | |
JP6060762B2 (en) | 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100856385B1 (en) | Separation membrane module supporting frame for mbr | |
KR102354511B1 (en) |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which lower part open type diffuser is included | |
KR102503715B1 (en) | Membrane unit for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 |
JP4143453B2 (en) |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treatment equipment | |
WO2015092835A1 (en) | Membrane separation device | |
KR20190000688U (en) | Tandem automatic drain device in use both as Differential pressure type and Flot type for Comprssed air filter | |
KR20190090460A (en) | Membrane unit for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 |
CN209906559U (en) | Active biomembrane processing device | |
CN212283578U (en) | But milipore filter subassembly of backwas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