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920A -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on - Google Patents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920A
KR20190048920A KR1020170144226A KR20170144226A KR20190048920A KR 20190048920 A KR20190048920 A KR 20190048920A KR 1020170144226 A KR1020170144226 A KR 1020170144226A KR 20170144226 A KR20170144226 A KR 20170144226A KR 20190048920 A KR20190048920 A KR 20190048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oil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2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9652B1 (en
Inventor
박현정
김기선
김연준
유권종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652B1/en
Publication of KR20190048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9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6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on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n acrylate copolymer and an oil adsorbing powder, which enables the skin to be exfoliated in a gommage type without skin irritation and has an excellent skin texture improving effect. Also,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xcellent moisturizing effect as well as an effect of removing skin impurities and makeup without using a separate cleansing oil by containing a high amount of oil components. Since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on has a specific form of spon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sually differentiated cosmetic composition.

Description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on}[0001]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on [0002]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And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skin exfoliation.

정상적인 피부 각화가 이루어 지지 않아서, 묵은 각질이 피부에 쌓일 수 있고 이로 인해 피부가 칙칙해지고 거칠어져 손상되기 때문에 적당한 물리적인 각질 관리는 필요하다. 물리적인 각질 관리 화장품에는 스크럽제를 포함하여 노후된 피부 각질 제거를 하게 된다.Proper skin keratinization is necessary because normal skin keratinization is not done, and old keratin may accumulate on the skin, causing the skin to become dull and rough and damaged. Physical exfoliation management Cosmetic products include aging skin exfoliation, including scrub agents.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럽으로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인공적인 스크럽이나 과실의 씨, 껍질을 갈아서 만든 살구씨앗, 호두 껍데기, 오렌지 껍질 등과 같은 천연 스크럽제가 사용되고 있다. 스크럽제가 함유된 제품들이 있는데, 5mm 이하의 고체 미세플라스틱은 현재 환경오염 원인으로 배합 금지를 권고하는 성분이며, 천연 스크럽제 성분은 제형 내에서 수분이나 특정 반응 성분과 반응하여 변색, 변취를 일으키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Natural scouring agents such as artificial scrubs such as polyethylene, seeds of fruit, apricot seeds, ground walnut shells, and orange peel are used as commonly used scrubs. There are products containing scrubbing agent. Solid micro-plastics less than 5mm are currently recommended to be prohibited as a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Natural scrubbing agents react with moisture or specific reaction components in the formulation, There is a problem.

스크럽제를 함유하지 않은 젤 성상 제품은 고분자 점증제를 고함량 함유하여 롤링 뒤에 때를 나오도록 하는데, 롤링해서 물리적인 각질 제거를 하는데 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각질 관리 효과가 미비하다. 또한, 젤 성상 각질 제거 제품의 경우 오일 성분을 고 함량으로 함유하면 제형이 무너져 안정도가 좋지 못하기 때문에 1% 이하로 에스테르 오일류를 함유하게 되는데, 제형 내에서 오일 성분을 고 함량 함유하지 못해서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고 각질 제거 효과가 부족한 부분이 있다. Gel-free products containing no scouring agent contain a high content of polymer thickener and come out after rolling. It takes a long time to remove physical exfoliation by rolling, and it has little effect on the control of keratin.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gel-like exfoliation product, when a high content of an oil component is contained, the formulation breaks down and the stability is poor. Therefore, the ester oil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 or less. It is easily dried and lacks the exfoliating effect.

오일이 고 함량 함유된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과 같은 제형은 피부의 노폐물을 녹여내고 피부 각질을 관리해 주는데 도움을 주지만 제형 경도와 안정도를 유지하기 위한 고급 알콜, 버터류와 같은 고체 원료가 포함되어 무거운 사용감이 느껴지는 것을 단점으로 꼽을 수 있고, 액상의 클렌징 오일의 경우에는 점도가 낮기 때문에 흘러내리는 불편함이 있고 물리적인 각질 관리가 되지 않아서 각질 관리 제품을 이중으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Formulations such as massage creams and cleansing creams containing high levels of oil help dissolve waste products from the skin and help manage the skin's keratin, but they contain solid ingredients such as high alcohol and butter to maintain the formulation hardness and stability, It is disadvantageous to feel a feeling of use, and in the case of liquid cleansing oil, since viscosity is low, it is inconvenient to flow down and it is not possible to manage the physical horny quality,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rny care product must be used in duplicat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43910호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5-0043910

일 양상은 보습감이 우수하면서 피부에 과도한 자극을 주지 않고 물리적인 각질 제거가 가능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horny type skin comprising an acrylate copolymer and an oil adsorbing powder capable of exerting physical exfoliation without giving excessive stimulation to the skin while having excellent moisturizing properties.

일 양상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One aspec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ng comprising an acrylate copolymer and an oil adsorbing powder.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고마쥬 타입인 것일 수 있다. 상기"고마쥬(gommage) 타입"은 피부에 도포한 후 문지르면 지우개로 지우는 듯 각질을 제거할 수 있는 타입을 의미할 수 있다. 고마쥬 타입의 각질 제거제는 스크럽제를 포함하는 각질 제거제에 비해 피부에 과도한 자극을 주지 않고 물리적인 각질 제거가 가능하다.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the exfoliating the skin may be a high-margin type. The " gommage type " may mean a type that can remove keratin as if it is applied to the skin and then rubbed with an eraser when rubbed. The gomaju type exfoliating agent is able to remove physical exfoliation without giving excessive stimulation to the skin as compared with the exfoliant containing the scrub agent.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3 중량%, 또는 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 안정성과 사용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수분산이 되지 않아 뭉침이 발생되어 제형 형성이 되지 않을 수 있다.The acrylate copolyme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3% by weight, or 1 to 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content of the acrylate copolymer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may be low, resulting in problems in stability and usability. If the content of the acrylate copolymer is more than 3% by weight, water dispersion may not be carried out, so that clumping may occur and the formulation may not be formed.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어 필름 형성용 폴리머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2종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중합되어 형성된 공중합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아크릴산 (acrylic acid), 메타크릴산 (methacryl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의 염, 에스터, 및 짝염기 (conjugate base)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종류로는 아크릴레이트 (Acrylates), 메타크릴레이트 (Methacrylates), 메틸 아크릴레이트 (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 (Ethyl acrylate), 2-클로로에틸 비닐 에테르 (2-Chloroethyl vinyl ether),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Ethylhexyl acrylate),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Hydroxyethyl meth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 (Butyl acrylate),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Butyl methacrylate),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염의 종류는 소듐염, 암모늄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acrylate copolymer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and act as a film-forming polymer. The acrylate copolymer may include all of copolymers formed by polymerization of two or more acrylate monomers. The acrylate-based monomer may include both salts, esters, and conjugate bases of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Examples of the acrylate monomer include acrylates, methacrylate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2-chloroethyl vinyl ether,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 butyl 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riacrylate: TMPTA),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sal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sodium salt, an ammonium salt, a calcium salt, a magnesium salt, and the like.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 단순 에스터 중 하나로 구성된 2종 이상의 단량체가 중합되어 형성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뿐만 아니라, 아크릴산 및 다른 단량체로 구성된 다양한 종류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아크릴산과 그 염의 중합체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Polyacrylate Crosspolymer-6),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Sodium Polyacrylate), 및 아크릴레이트/팔메스-25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Acrylate/Palmeth-25 Acrylat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crylate-based copolymer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copolymers composed of acrylic acid and other monomers as well as an acrylate copolymer formed by polymerizing two or more monomers composed of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or a simple ester thereof . In a broad sense, the acrylate-based copolymer may also include a polymer of acrylic acid and its salt. For example, the acrylate copoly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ethyl acrylate / 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polyacrylate crosspolymer-6, sodium acrylate /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crylate, sodium polyacrylate, and acrylate / palmeth-25 acrylate copolymer.

상기 오일 흡착성 파우더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4 중량%, 0.5 내지 3 중량%, 1 내지 4 중량%, 1 내지 3 중량%, 또는 2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오일 흡착성 파우더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 스크럽이 생성되지 않아 피부 각질 제거 효과가 좋지 못할 수 있다. 오일 흡착성 파우더의 함량이 4 중량%를 초과할 경우, 오일을 과량 흡착하여 제형 내에서 파우더 분산이 좋지 못하고 파우더가 뭉쳐서 제형 안정도가 나빠질 수 있으며, 뻣뻣한 감촉으로 마무리되어 사용감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The oil-absorbing powde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5 to 4 wt%, 0.5 to 3 wt%, 1 to 4 wt%, 1 to 3 wt%, or 2 to 3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oil-adsorbing powder is less than 0.5% by weight, scrub is not produced and the skin exfoliation effect may not be good. If the content of the oil-adsorbing powder is more than 4% by weight, the oil may be excessively adsorbed and the powder dispersion may be poor in the formulation, the powder may be aggregated to deteriorate the formulation stability, and the problem may be that the feeling of use is poor due to completion of the stiff texture have.

상기 오일 흡착성 파우더는 오일 성분을 흡착하는 성질을 갖는 파우더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 흡착성 파우더는 실리카 (Silica), 실리카디메틸실릴레이트 (Silica Demethyl Silylate), 및 실리카실릴레이트 (Silica Sil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oil-adsorbing powder may mean a powder having a property of adsorbing an oil component. For example, the oil adsorbing powd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silica dimethylsilylate, and silica sily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구체예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롤링하면 점차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오일 흡착성 파우더가 뭉쳐 지우개 때처럼 스크럽 즉, 고마쥬가 발생하여 피부의 손상을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피부 각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skin of the sk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n acrylate copolymer and an oil adsorbing powder, so that when the composition is rolled on the skin, the acrylate copolymer and the oil adsorbing powder are clump together and scrub, that 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horny portion of the skin while reducing the damage of the skin.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폰지 성상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포함함으로써 몽글거리는 스폰지 성상의 크림 또는 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이 제형은 타 화장료의 시각적으로 차별화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horny skin may be a sponge-like form.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have a creamy or gel form of a spongy form which includes an acrylate copolymer and an oil adsorbing powder. These specific formulations can be visually differentiated from other cosmetic ingredients.

일 구체예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젤 성상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의 경우 오일 성분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면 제형이 무너져 안정도가 좋지 못하기 때문에 1 중량% 이하로 오일을 함유하여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일 구체예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여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제형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클렌징 오일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상기 고 함량의 오일 성분에 의해 피부의 노폐물 제거 및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comprise an oil. In the case of a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on of existing gel form, if the oil component is contained in a high content, the formulation breaks down and the stability is not good, so that the oil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 by weight or less and the skin is easily dried. However,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the skin of the sk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high amount of oil, so that the skin moisturizing effect is excellent and the formulation stability is excellent. In addition, even if the cleansing oil is not used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waste matter of the skin and makeup cleansing effect by the high-content oil component.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 내지 30 중량%, 10 내지 30 중량%, 또는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오일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오일 흡착성 파우더에 흡착되는 오일의 양이 부족하여 스폰지 형태를 형성하지 못하고 스크럽이 나오지 않아 각질 제거 효과를 주기 어려울 수 있다. 오일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오일량 때문에 스크럽이 자연스럽게 생성되지 않아 각질 제거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고온에서 오일이 분리되어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oi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30% by weight, 10 to 30% by weight, or 20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oil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amount of oil adsorbed on the oil adsorbing powder is insufficient to form a sponge form, and scrub may not occur. When the content of the oil is more than 30% by weight, scrub is not naturally produced due to an excessive amount of oil, which may result in deterioration of the exfoliation effect, and separation of oil at high temperature may cause problems in formulation stability.

상기 오일은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Isononyl Isononano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Hydrogenated Polydecene), 헥실라우레이트 (Hexyl Laurate),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Octyldodecyl Myristate),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Cethyl Ethylhexanoate), 디카프릴릴에테르 (Dicaprylyl Ether), 및 올리브 오일 (Olive Oi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oi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nonyl isononanoate, Hydrogenated Polydecene, Hexyl Laurate, Octyldodecyl Myristate, Cethyl Ethylhexanoate, ), Dicaprylyl ether (Dicaprylyl ether), and olive oil (Olive o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일 구체예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moisturizing agent.

상기 보습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2 내지 12 중량%, 또는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보습제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인 경우, 저온에서 오일이 배어 나와 저온 안정도를 좋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보습제의 함량이 1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수분 증발력을 떨어뜨려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오일 흡착성 파우더가 스크럽 즉, 고마쥬를 생성하는데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The humecta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 to 12% by weight, or 5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moisturizing agent is less than 2% by weight, the oil may escape at a low temperature and the low-temperature stability may be deteriorated. If the content of the moisturizing agent is more than 12% by weight, the water evaporation ability may be lowered, which may interfere with the formation of scrubs, i.e., gummage, by the acrylate copolymer and the oil adsorbing powder.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Glycerine), 디프로필렌글리콜 (Dipropylene Glycol), 1,3-부틸렌글리콜 (1,3-Butylene Glycol), 프로판디올 (Propanediol), 메틸프로판디올 (Methylpropanediol), 메틸글루세스-20 (Methyl Gluceth-20), 및 소르비톨 (Sorbit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moisturizing ag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erine, diprop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propanediol, methylpropanediol, methylglucose-20 (Methyl Gluceth-20), sorbitol (sorbitol), and the like.

일 구체예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comprise an emulsifier.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유화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유화 안정도가 떨어지고 경도 형성이 되지 않아 제형 형성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유화제의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뻑뻑한 왁스와 같은 사용감을 형성하여 사용감이 좋지 못할 수 있고, 스크럽이 생성되는 것을 방해하여 각질 제거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The emulsifi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emulsifier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stability of emulsification is lowered and the hardness is not formed and the formulation may not be formed. If the content of the emulsifier is more than 5% by weight, a feeling of use similar to a stiff wax may be formed, which may result in poor feeling of use, and scrub formation may be inhibited.

상기 유화제는 C14-C22알콜/C12-20알킬글루코시드 (C14-C22 Alcohol/C12-20 Alkyl Glucoside), 아라키딜글루코시드/베헤닐알콜/아라키딜알콜 (Arachidyl Glucoside/Behenyl Alcohol/Arachidyl Alcohol), 및 세테아릴글루코시드 (Cetearyl Gluc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emulsifi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14-C22 alcohol / C12-20 alkyl glucoside (C14-C22 Alcohol / C12-20 Alkyl Glucoside), arachidyl glucoside / behenyl alcohol / arachidyl alcohol, And Cetearyl Glucos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정제수, 방부제, 색소, 향료, 충전제, 보존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also contain additional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s such as, for example, purified water, preservatives, coloring matters, flavoring agents, fillers, preservatives, neutralizing agents, sunscreen agents, sweeteners, vitamins, free-radical scavengers, , ≪ / RTI > and mixtures thereof.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select any additional components and / or amounts thereof so that the benefici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adversely affected or substantially not affected by the anticipated addition.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horny skin may be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일 구체예에서,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및 보습제를 포함하는 수상부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오일 흡착성 파우더, 오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skin of the skin may be prepared by mixing an aqueous phase containing purified water and a moisturizing agent and an oil phase including an acrylate copolymer, an oil adsorbing powder, an oil and an emulsifier.

용어, "약 (about)", 또는 대략 (approximately)" 등의 표현은 언급하는 값이 어느 정도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값은 10%,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상기 값은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5 (about 5)"는 4.5 및 5.5 사이, 4.75 및 5.25 사이, 또는 4.9 및 5.1 사이, 또는 4.95 및 5.05 사이의 임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term " about " or " approximately " means that the value referred to may vary to some extent. For example, the value may be 10%, 5%, 2% For example, " about 5 " may be between 4.5 and 5.5, between 4.75 and 5.25, and more preferably between < RTI ID = 0.0 > , Or between 4.9 and 5.1, or between 4.95 and 5.05.

용어,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또는 성분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expression "having," "having," "including," or "including" may refer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eg, a component such as a numerical value or a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existence.

용어,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The term " and / or "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entioned.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문맥상 지시된 것이 아니라면 단수형은 복수형도 또한 포함한다. 다른 식으로 정의된 것이 아니라면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이 발명이 속한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보통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모순이 될 경우, 본 명세서가 조절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case of contradiction, this specification will control.

일 양상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포함함으로써 피부 자극 없이 고마쥬 타입으로 피부 각질 제거가 가능하며, 우수한 피부 결 개선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고 함량의 오일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클렌징 오일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피부의 노폐물 제거 및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폰지 성상의 특이 제형을 가지므로, 시각적으로 차별화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skin of the skin contains an acrylate copolymer and an oil adsorbing powder, and thus can remove keratin from the skin without stimulation of the skin and has excellent skin texture improving effect. Also, by containing a high amount of oil component, it is possible to obtain a cleansing effect of removing skin and make-up of the skin without using cleansing oil separately, and is excellent in moisturizing effect. Since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ng has a specific form of spon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sually differentiated cosmetic composition.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스폰지 외관 형태를 갖는 제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오일 흡착 특성을 갖는 건식 실리카 입자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후의 피부 최외각층 각질 개선 평가 결과에 해당하는 Charm view (X700)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후의 피부 결 개선 결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후의 피부 결 개선 결과를 거칠기 척도 Ra 및 Rq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a formulation having a sponge appearance form of a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horny skin according to Example 1. FIG.
2 is a photograph of dry silica particles having oil adsorption characteristics.
Fig. 3 is a photograph of a Charm view (X700) corresponding to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the outermost layer of the skin before and after u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skin of the skin according to Example 1. Fig.
Fig. 4 shows the results of skin texture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u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skin of the skin according to Example 1. Fig.
Fig. 5 is a graph showing roughness scales Ra and Rq of skin texture improvement results before and after u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ng according to Example 1. Fig.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4: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Examples 1 to 4: Preparation of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Exfoliating Skin

보습제, 유화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오일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보습제로 글리세린 및 프로판디올을 사용하였다. 유화제로 C14-22알콜/C12-20알킬글루코시드 또는 아라키딜글루코시드/베헤닐알콜/아라키딜알콜을 사용하였다.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오일로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을 사용하였다. 오일 흡착성 파우더로 실리카를 사용하였다.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ng comprising a moisturizer, an emulsifier, an acrylate copolymer, an oil and an oil-absorbing powder was prepared. Glycerin and propanediol were used as moisturizing agents. C14-22 alcohol / C12-20 alkyl glucoside or arachidyl glucoside / behenyl alcohol / arachidyl alcohol were used as emulsifiers. Hydroxyethyl acrylate / sodium acryloyldimethyltaurate copolymer or sodium polyacrylate was used as the acrylate copolymer. As the oil, isononyl isonicotate and hydrogenated polydecene were used. Silica was used as the oil adsorbing powder.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수상 원료와 유상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수상 원료와 유상 원료를 각각 70~75℃의 온도에서 디스퍼(disper)를 사용하여 1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교반하여 수상부 및 유상부를 준비하였다. 유상부에는 유화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오일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가 포함되도록 하였다. 상기 준비된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 후 호모게나이저 (homogenizer) 2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기포를 제거하고 냉각하여 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The specific manufacturing method is as follows. First, each of the water-based raw materials and the oil-based raw materials were weighed in a beaker, and then the water-based raw materials and the oil-based raw materials were homogeneously stirred at a temperature of 70 to 75 ° C for 5 minutes at 1000 rpm using a disper, Prepared. In the oil phase, emulsifier, acrylate copolymer, oil and oil adsorbing powder were included. The oil phase was placed in the upper part of the prepared water and homogenized at a homogenizer of 2000 rpm for 5 minutes. Each of the cosmetic compositions was then prepared by removing air bubbles and cooling them.

하기 표 1에 실시예 1~4에 따라 제조된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Table 1 below shows specific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on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 to 4. Unless otherwise stated herein, the component content is by weight.

성분ingredient 함량 (중량%)Content (% by weight)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3Example 3 실시예4Example 4 정제수Purified water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글리세린glycerin 5.05.0 5.05.0 5.05.0 5.05.0 프로판디올Propanediol 5.05.0 5.05.0 5.05.0 5.05.0 C14-22알콜/C12-20알킬글루코시드C14-22 alcohol / C12-20 alkyl glucoside 3.03.0 3.03.0 -- -- 아라키딜글루코시드/베헤닐알콜/아라키딜알콜Arachidyl glucoside / behenyl alcohol / arachidyl alcohol -- -- 3.03.0 3.03.0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Hydroxyethyl acrylate / sodium acryloyldimethyltaurate copolymer 1.51.5 -- 1.51.5 --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 1.51.5 -- 1.51.5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Isononyl is sononanoate 20.020.0 20.020.0 20.020.0 20.020.0 실리카Silica 2.52.5 2.52.5 2.52.5 2.52.5 올리브오일Olive oil 5.05.0 5.05.0 5.05.0 5.05.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2.02.0 2.02.0 2.02.0 2.02.0 향료Spices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방부제antiseptic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색소Pigme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비교예 1~7: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s 1 to 7: Preparation of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ng Skin

비교예 1은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Comparative Example 1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oil-adsorbing powder was not used.

비교예 2 및 3은 보습제인 글리세린 또는 프로판디올의 함량이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glycerin or propanediol as a moisturizer was high.

비교예 4는 오일 중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의 함량이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Comparative Example 4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isononyl and sononanoate in the oil was high.

비교예 5는 오일 중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의 함량이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Comparative Example 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2 except that the content of isononyl and sononanoate in the oil was high.

비교예 6은 오일 흡착성 파우더의 함량이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Comparative Example 6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oil adsorbing powder was high.

비교예 7은 오일 흡착성 파우더의 함량이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Comparative Example 7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oil adsorbing powder was high.

하기 표 2에 비교예 1~7에 따라 제조된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을 나타내었다.Table 2 shows the specific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on prepa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7.

성분ingredient 함량 (중량%)Content (% by weight)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6Comparative Example 6 비교예7Comparative Example 7 정제수Purified water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글리세린glycerin 5.05.0 10.010.0 5.05.0 5.05.0 5.05.0 5.05.0 5.05.0 프로판디올Propanediol 5.05.0 5.05.0 10.010.0 5.05.0 5.05.0 5.05.0 5.05.0 C14-22알콜/C12-20알킬글루코시드C14-22 alcohol / C12-20 alkyl glucoside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03.00 아라키딜글루코시드/베헤닐알콜/아라키딜알콜Arachidyl glucoside / behenyl alcohol / arachidyl alcohol -- -- -- -- -- -- --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Hydroxyethyl acrylate / sodium acryloyldimethyltaurate copolymer 1.51.5 1.51.5 1.51.5 1.51.5 -- 1.51.5 --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 -- -- -- 1.51.5 -- 1.51.5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Isononyl is sononanoate 20.020.0 20.020.0 20.020.0 30.030.0 30.030.0 20.020.0 20.020.0 실리카Silica -- 2.52.5 2.52.5 2.52.5 2.52.5 5.05.0 5.05.0 올리브오일Olive oil 5.05.0 5.05.0 5.05.0 5.05.0 5.05.0 5.05.0 5.05.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2.02.0 2.02.0 2.02.0 2.02.0 2.02.0 2.02.0 2.02.0 향료Spices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방부제antiseptic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색소Pigme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실험예 1: 제형 형성, 스크럽 생성 및 제형 안정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1 Formulation Formation, Scrub Creation and Formulation Stability Evaluation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7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스폰지 제형감의 제형이 형성되는지, 자연스럽게 롤링하여 스크럽이 생성 가능한지, 제형이 안정한지를 평가하는 실험을 하였다.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a sponge-type cosmetic composition was formed on the skin exfoliating cosmetic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and whether natural scrub was formed by rolling and whether the formulation was stable.

제형 형성은 스폰지 제형감의 제형이 형성되었는가를 평가하였다. ○는 스폰지 제형감 형성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고, Ⅹ는 스폰지 제형감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었다.Formulation assessed whether a formulation of sponge formulation was formed. &Amp; cir & indicates that the sponge formulation was formed, and " X "

스크럽 생성은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롤링한 후 스크럽이 발생되는지를 평가하였다. ○는 스크럽이 생성되어 각질 제거가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Ⅹ는 스크럽이 생성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었다.Scrub production was evaluated by applying each cosmetic composition to the skin and rolling to see if scrubbing occurred. A circle indicates that scrub is generated to exfoliate, and X indicates that no scrub is generated.

안정성은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25 ℃ 또는 45 ℃ 항온조에 6주간 보관한 후, 매주 확인하여 상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는 유화 안정도가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Ⅹ는 유화 안정도가 좋지 못한 것을 나타내었다.For stability, each cosmetic composition was stored in a constant temperature bath at 25 DEG C or 45 DEG C for 6 weeks, and checked every week to check the phase stability. The symbol ◯ indicates that the emulsion stability is excellent, and the symbol χ indicates that the emulsion stability is poor.

하기 표 3에 실시예 1~4 및 비교예 1~7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형성, 스크럽 생성 및 안정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Table 3 shows formulation formation, scrub formation and stability evaluation resul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 exfoliating according to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항목Item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22 33 44 1One 22 33 44 55 66 77 제형 형성Formulation X X X 스크럽 생성Scrub creation X 안정성(25℃)Stability (25 ℃) X X 안정성(45℃)Stability (45 ℃) X X X X X X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스폰지 외관 형태를 갖는 제형을 나타낸 사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a formulation having a sponge appearance form of a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horny skin according to Example 1. FIG.

도 2는 오일 흡착 특성을 갖는 건식 실리카 입자 사진이다.2 is a photograph of dry silica particles having oil adsorption characteristics.

상기 도 1 및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4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폰지 질감의 몽글거리는 불투명 크림 겔 형태의 조성물이 얻어졌으므로, 전반적으로 스폰지 제형의 형성이 가능하였다. 특히,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유화제인 C14-22알콜/C12-20알킬글루코시드의 겔링거리는 특성의 영향으로 실시예 3 및 4 대비 스폰지 제형감이 더 잘 형성되었다. 또한, 실시예 1~4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크럽 생성이 잘 되어 각질 제거 화장료로서의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6주간 유화 안정도도 우수하였다.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 exfoliating according to Examples 1 to 4 were able to form a sponge formulation as a whole, since a composition in the form of an opaque cream gel, which is spongy in texture, was obtained. In particular, in Examples 1 and 2, the sponge formulation was better formed compared to Examples 3 and 4 due to the property of the gelling distance of the emulsifier C14-22 alcohol / C12-20 alkyl glucoside. 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skin exfoliation of Examples 1 to 4 was excellent in scrub formation, quality as an exfoliating cosmetic composition, and excellent in emulsion stability for 6 weeks.

반면, 실리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흡착이 되지 않아 스폰지 제형 성상으로 제조되지 않고 매끈한 표면의 일반 크림으로 제조되었다. On the other hand,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not containing silica was not made into a sponge form due to no oil adsorption, and was made into a general cream having a smooth surface.

비교예 2~5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폰지 제형 형성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비교예 4 및 5의 경우 오일 함량이 높아 경도가 낮게 형성되어 흐름성이 있고 스크럽이 생기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크림 겔을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2~5는 보습제와 오일이 고 함량 함유되어 유화 안정도를 떨어뜨려 안정성이 좋지 않았다. The 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 exfoliation of Comparative Examples 2 to 5 were formed into sponge formulations. However, in Comparative Examples 4 and 5, since the oil content was high and the hardness was low, a cream gel having flowability and long scrubbing time was formed. In addition, Comparative Examples 2 to 5 contained a high amount of a moisturizing agent and oil, which deteriorated the emulsion stability and were poor in stability.

비교예 6~7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고 함량 포함된 실리카의 영향으로 오일 흡착도가 높아 분산이 안되어 덩어리가 생기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그에 따라 안정적인 스폰지 제형 형태를 이루지 못하였으며, 피부 도포 시 롤링이 잘 되지 않아 피부에서 겉돌아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유화 안정도도 좋지 못하였다.The 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 exfoliation of Comparative Examples 6 to 7 had a high degree of oil adsorption due to the high silica content and were not dispersed to form lumps. As a result, they did not form a stable sponge form, It was difficult to use the skin on the skin because of the poor rolling time and the emulsion stability was not good.

실험예 2: 사용감 평가Experimental Example 2: Evaluation of feel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2~5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비교예 1은 스폰지 형태의 제형 형성이 되지 못하고 스크럽(고마쥬)도 형성하지 못하여 사용감 평가를 진행하지 않았다. 비교예 6 및 7은 고 함량의 실리카가 함유되어 오일 흡착도가 높아 파우더가 뭉쳐져 피부에 잘 도포되지 않고 덩어리지고 뭉치는 현상이 발생되어 사용감 평가를 진행하지 않았다.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eeling of u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 exfoliation of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2 to 5. Comparative Example 1 failed to form a sponge-type formulation and did not form a scrub (gummyjuice), and thus did not proceed with the feeling evaluation. Comparative Examples 6 and 7 contained a high amount of silica and had a high degree of oil adsorption, so that the powder was aggregated and was not easily applied to the skin, resulting in a phenomenon of agglomeration and agglomeration, and the feeling of use was not evaluated.

구체적으로,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24~40세 여성 20명에게 제공하고 얼굴 양쪽 부위에 사용하게 하였다. 각 제품을 일반적인 각질 제거용 제품의 사용방법에 따라 얼굴에 마사지 한 후, 발림성, 마사지 용이성 및 보습감에 대해 우수하다, 나쁘다 중 한 가지를 선택하도록 하였고, 사용 후의 만족도는 전반적인 제형의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하기 표 4에 실시예 1~4 및 비교예 2~5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Specifically, each cosmetic composition was applied to 20 women aged 24 to 40 years old and used on both sides of the face. Each product was massaged on the face according to the general use method of exfoliation product, and then one of excellent or bad was selected for easiness, ease of massage and moisturizing feeling, and satisfaction after use was evaluated to evaluate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formulation Respectively. Table 4 below show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feeling of u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ng according to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2 to 5.

<평가기준><Evaluation Criteria>

15명 이상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More than 15 women judged to be excellent: ◎

10-15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10-15 women judged to be excellent: ○

5-10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5-10 women judged to be excellent: △

5명 이하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XJudged as superior by less than five women: X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3Example 3 실시예4Example 4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발림성Brittle 마사지
용이성
massage
Ease
보습감Moisturizing 만족도satisfaction XX XX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4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발림성, 마사지 용이성, 보습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가 비교예 2~5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실시예 1은 전반적인 사용감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4 및 5의 경우 오일 함량이 높아 마사지 용이성은 우수한 편이었으나, 스크럽이 잘 생성되지 않아 각질 제거 효과는 미비하였고, 롤링 시 오일이 피부에서 흐르는 듯한 불편함이 발생하여 만족도가 낮게 평가되었다.As shown in Table 4, it was found that the spreadability, ease of massage, moisturizing effect and overall satisfac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s for removing skin of Examples 1 to 4 were superior to those of Comparative Examples 2 to 5. Among them, Example 1 showed the best overall feeling. In Comparative Examples 4 and 5, although the ease of massage was excellent due to the high oil content, scrub was not generated well and the exfoliation effect was insufficient, and the satisfaction of the oil was evaluated to be low due to inconvenience that the oil flowed through the skin during rolling.

실험예 3: 피부 각질 개선 효능 평가Experimental Example 3: Assessment of skin horny improving effect

상기 실시예 1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각질 제거 및 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xfoliation and improving effec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skin of the skin of Example 1 above.

구체적으로, 25~35세 패널 10명에게 시험 부위(얼굴)를 물 세안 후 10분간 항온 항습실에서 대기하도록 하였다. 피시험자의 뺨 상악 부위의 각질을 각질테이프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실시예 1의 제품을 동일 부위에 펴 바르고 3분간 마사지한 다음 미온수로 세안 후 각질을 다시 채취하였다. Image Pro Analyzer를 사용하여 각질테이프에 탈락된 각질 면적을 분석한 뒤 제품 사용 전, 후를 비교하여 각질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하기 표 5에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 대비 사용한 후의 각질 감소량(%)을 나타내었다.Specifically, the test site (face) was allowed to stan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room for 10 minutes after water washing to 10 panelists aged 25 to 35 years. The keratin of the upper part of the cheek of the subject was sampled using an exfoliation tape. The product of Example 1 was spread on the same site, massaged for 3 minutes, washed with lukewarm water, and then re-extracted. Using the Image Pro Analyzer, the area of dead skin cells was analyzed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kin texture was checked before and after using the product. Table 5 shows the amount of dead skin (%) after using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ng according to Example 1 before use.

패널panel AA BB CC DD EE FF GG HH II JJ 각질 감소량(%)Reduced amount of keratin (%) 132132 102102 7676 122122 8888 9696 108 108 9292 126126 115115

또한, Charm view (MORITEX, Japan)를 통해 제품 사용 전, 후의 각질 상태를 촬영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후의 피부 최외각층 각질 개선 평가 결과에 해당하는 Charm view (X700) 사진이다.In addition, the horny condition was taken before and after using the Charm view (MORITEX, Japan). Fig. 3 is a photograph of a Charm view (X700) corresponding to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the outermost layer of the skin before and after u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skin of the skin according to Example 1. Fig.

표 5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결과 매우 우수한 각질 제거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났다.As shown in Table 5 and FIG. 3, using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on according to Example 1, the excellent exfoliation effect was immediately obtained.

실험예 4: 피부 결 개선 효능 평가Experimental Example 4: Assessment of Skin Efficacy

상기 실시예 1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 결 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The ski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ng in Example 1 was subjected to an experiment for evaluating skin texture improving effect.

구체적으로, 25~35세 패널 10명에게 시험 부위(얼굴)를 물 세안 후 10분간 항온 항습실에서 대기하도록 한 뒤, 피부 결(전)을 촬영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얼굴에 도포한 후 3분간 마사지하고 미온수로 세안 후 항습실에서 10분간 대기하도록 한 후, 동일한 부위의 피부 결(후)을 촬영하였다. 피부 결 개선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측정 부위 전면의 동일 면적을 지정한 뒤, 거칠기 Ra, Rq 값을 분석하여 피부 결 개선 정도를 수치화 하였다. 측정 기기는 Antera 3D (miravex, UK)를 사용하였다.Specifically, 10 panelists aged 25 to 35 years were allowed to stan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room for 10 minutes after water washing, and skin texture (front) was photographed. Next, the ski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ng of Example 1 was applied to the face, followed by massaging for 3 minutes, cleansing with lukewarm water, and waiting in a humidity chamber for 10 minutes.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kin texture improvement, the same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measurement site was designated, and then the roughness Ra and Rq values were analyzed to quantify the improvement of the skin texture. The measuring instrument used was Antera 3D (miravex, UK).

- Roughness Ra (거칠기 척도 I): 피부단면을 파장화 하여 수치화한 피부 높낮이의 절대값 산술평균.- Roughness Ra: Absolute value arithmetic mean of the skin height, digitized by wavelength cross-sectioning the skin.

- Roughness Rq (거칠기 척도 II): 피부단면을 파장화 하여 수치화한 피부 높낮이의 제곱평균.- Roughness Rq (root roughness scale II): The root mean square of the skin height, which is obtained by quantifying the skin cross section by wavelength.

하기 표 6에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대비 사용 후의 Ra 및 Rq 값 감소율(%)을 나타내었다.Table 6 below shows the percent reduction (%) of the values of Ra and Rq after using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ng according to Example 1 before use.

패널panel AA BB CC DD EE FF GG HH II JJ Ra
(감소율%)
Ra
(% Reduction rate)
20.620.6 15.315.3 10.510.5 16.316.3 9.89.8 12.112.1 14.914.9 11.611.6 18.818.8 17.117.1
Rq
(감소율%)
Rq
(% Reduction rate)
21.121.1 18.218.2 10.210.2 16.816.8 10.610.6 11.311.3 17.717.7 16.316.3 17.317.3 16.416.4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후의 피부 결 개선 결과를 나타낸 결과이다.Fig. 4 shows the results of skin texture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u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skin of the skin according to Example 1. Fig.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후의 피부 결 개선 결과를 거칠기 척도 Ra 및 Rq로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5 is a graph showing roughness scales Ra and Rq of skin texture improvement results before and after u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ng according to Example 1. Fig.

표 6 및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 보다 사용한 후에 Ra 및 Rq 값이 모두 감소하여 피부 결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Table 6 and Figs. 4 to 5, it was confirmed that both of Ra and Rq values were reduced after u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exfoliating of Example 1 before use,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excellent effect on improvement of skin texture.

Claims (11)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Acrylate copolymer and an oil-adsorbing pow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rylate copoly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팔메스-25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3. 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acrylate copoly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ethyl acrylate / sodium acryloyldimethyltaurate copolymer, polyacrylate crosspolymer-6, sodium polyacrylate, and acrylate / palmese- Wherei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pyrrolidone, and copolyme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 흡착성 파우더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4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il-absorbing powd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5 to 4%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 흡착성 파우더는 실리카, 실리카디메틸실릴레이트, 및 실리카실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il-absorbing powd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silica dimethylsilylate, and silica sily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 내지 30 중량%의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인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5 to 30% by weight of the oil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디카프릴릴에테르,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7. The composition of claim 6, wherein the oi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nonylsononanoate, hydrogenated polydecene, hexyl laurate, octyldodecyl myristate, cetyl ethylhexanoate, dicaprylyl ether, and olive oil Wherei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t least one kind of cosmetic com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2 내지 12 중량%의 보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2 to 12 wt% of a moisturizing ag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메틸프로판디올, 메틸글루세스-20,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9]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humecta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erin, diprop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propanediol, methylpropane diol, methylglucose- A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skin exfoli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5 중량%의 유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1 to 5% by weight of an emulsifi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C14-C22알콜/C12-20알킬글루코시드, 아라키딜글루코시드/베헤닐알콜/아라키딜알콜, 및 세테아릴글루코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11. The composition of claim 10, wherein the emulsifi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14-C22 alcohol / C12-20 alkyl glucoside, arachidyl glucoside / behenyl alcohol / arachidyl alcohol, and cetearyl glucos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skin exfoliating marjou type.
KR1020170144226A 2017-10-31 2017-10-31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on KR1020296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226A KR102029652B1 (en) 2017-10-31 2017-10-31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226A KR102029652B1 (en) 2017-10-31 2017-10-31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920A true KR20190048920A (en) 2019-05-09
KR102029652B1 KR102029652B1 (en) 2019-10-08

Family

ID=6654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226A KR102029652B1 (en) 2017-10-31 2017-10-31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6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098B1 (en) * 2021-06-04 2022-02-08 주식회사 더마밀 Sherbet Type Composition for Face Wash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868A (en) * 2001-09-28 2003-04-09 Kose Corp Gommerge cosmetic
KR100570498B1 (en) * 2003-09-15 2006-04-13 한국콜마 주식회사 The cosmetic product of skin exfoliation containing film-forming fabrics and powders
KR20140055689A (en) * 2012-11-01 2014-05-09 코웨이 주식회사 Gommage type cosmetic compostion for exfoliating skin having low irritant
KR20150043910A (en) 2013-10-15 2015-04-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ng skin
KR20150124643A (en) * 2014-04-29 2015-11-06 주식회사 한국코러스제약 Bio cellulose mask pack sheet containing scrub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868A (en) * 2001-09-28 2003-04-09 Kose Corp Gommerge cosmetic
KR100570498B1 (en) * 2003-09-15 2006-04-13 한국콜마 주식회사 The cosmetic product of skin exfoliation containing film-forming fabrics and powders
KR20140055689A (en) * 2012-11-01 2014-05-09 코웨이 주식회사 Gommage type cosmetic compostion for exfoliating skin having low irritant
KR20150043910A (en) 2013-10-15 2015-04-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ng skin
KR20150124643A (en) * 2014-04-29 2015-11-06 주식회사 한국코러스제약 Bio cellulose mask pack sheet containing scrub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098B1 (en) * 2021-06-04 2022-02-08 주식회사 더마밀 Sherbet Type Composition for Face Was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652B1 (en)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4084B2 (en) Finishing composition comprising silicone fine particles and non-volatile oil
JP5780623B2 (en) Rinsable mask-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are
KR102127674B1 (en) Water-drop solid type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water-in-oil emulsion of silicone-free and peg-free,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40055689A (en) Gommage type cosmetic compostion for exfoliating skin having low irritant
EP1877490B1 (en) Silicone elastomer exfoliting compositions
KR102342905B1 (en) Water-dispersible stick type cosmetic compostion for Gommage type peeling
JP6853846B2 (en) Gel-like cosmetics
KR101960286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ng skin
KR102029652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on
US8357355B2 (en) Silicone elastomer exfoliating compositions
KR101984165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Peeling and Cleansing
CN105992582B (e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WO2019188795A1 (en) Gel cosmetic
WO201811480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amps polymer, montmorillonite, silica and kaolin
JP3479048B2 (en) Cosmetics and non-woven fabric impregnated cosmetics
JP2006022047A (en) Skin care cosmetic high in closing effect
JP2006008520A (en) Moisture-retaining cosmetic
JP2963285B2 (en) Gel cosmetics
US20220071859A1 (en) Gel-type cosmetic
EP3501491A1 (en) Cosmetic anti-blemish composition, use of the composition and anti-blemish treatment method
JP6426355B2 (en) Hair and skin cosmetics
CN112512487B (en) Hair cosmetic
KR101280089B1 (en) Cosmetic compositon for exfoliating skin
CN108136233B (en) Cosmetic composition
JP6715044B2 (en) Solid powder cosme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