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793A - Latching Re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Latching Re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793A
KR20190048793A KR1020170144007A KR20170144007A KR20190048793A KR 20190048793 A KR20190048793 A KR 20190048793A KR 1020170144007 A KR1020170144007 A KR 1020170144007A KR 20170144007 A KR20170144007 A KR 20170144007A KR 20190048793 A KR20190048793 A KR 20190048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latch
metal plate
yoke
solenoid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0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7410B1 (en
Inventor
양선웅
김경환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410B1/en
Publication of KR20190048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7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4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01H47/32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42Auxiliary magnetic circuits, e.g. for maintaining armature in, or returning armature to, position of rest, for damping or accelerating mov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ching relay apparatus which is continuous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or cut off by initial power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ing relay device comprises: a fixed contact piece having at least one fixed contact point; a movable contact piece assembly having at least one movable contact point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xed contact point; and an actuator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movable contact piece assembly for conduction between the movable contact point and the fixed contact point, wherein the actuator includes: a solenoid coil; a yoke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olenoid coil and having magnetic properties of different polarities at both ends by a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solenoid coil; a latch positioned between both ends of the yoke and swinging by the magnetic properties of different polarities at both ends of the yoke; and a fixed magnet coupled to the latch to maintain a position of the latch after swinging.

Description

래칭 릴레이 장치{Latching Relay Apparatus}[0001] LATCHING RELAY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솔레노이트 코일에 일시적인 전원을 인가하여도 래칭 릴레이 장치의 온-오프(ON-OFF) 작동이 유지되는 래칭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tching relay device in which ON-OFF operation of a latching relay device is maintained even when temporary power is applied to a solenoid coil.

최근에는 에너지 고갈과 환경오염 문제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 같은 친환경 자동차가 주목받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그 충전 방식에 따라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크게 분류된다.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 기관에서 발생된 에너지의 일부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이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외부의 상용 전원으로부터 에너지를 받아 배터리를 충전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이다.Recently, eco-friendly automobiles such as hybrid cars and electric cars are attracting attention due to energy deple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Hybrid cars are largely classified as mild hybrid cars and plug-in hybrid cars depending on their charging method. A mild hybrid vehicle is a hybrid vehicle that charges a battery using a part of energy generated from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 plug-in hybrid vehicle is a hybrid vehicle that receives energy from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to charge the battery.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 엔진과 전기모터를 동식에 적용함으로서, 일반차량에 비해 연비와 배출가스를 줄인 차세대 차량 시스템이다. 48V라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으로 구동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비용 측면에서 우수할 뿐 아니라 고출력을 사용하는 전장 부품을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으로 최근 여러 자동차 제작사 및 전지 업체가 높은 관심을 갖고 있다. 특히,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시스템에 장착되어 메인 전력을 모터, 전장 부품에 공급하거나 전력을 차단하는 릴레이(relay)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A mild hybrid vehicle is a next-generation vehicle system that uses both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electric motors to reduce fuel consumption and emissions compared to conventional vehicles. The mild hybrid system, which operates at a relatively low voltage of 48V, is not only superior in terms of cost,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driving electric components using high output power. Particularly,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relays that are installed in the battery system of a mild hybrid vehicle to supply the main power to the motor, electrical components, or shut off the power.

한편, 종래 릴레이는 온-오프(ON-OFF) 작동을 유지하기 위해서 코일에 연속적인 컨트롤 전원이 인가되어야 하고, 이는 연비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부합하지 않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 conventional relays have to be supplied with continuous control power to the coils in order to maintain the ON-OFF operation, which is not compatible with the mild hybrid vehicle for the purpose of fuel efficiency reduction.

다른 한편, 릴레이의 높은 신뢰성과 수명연장은 제품 특성에 중요한 요소인데, 릴레이를 개폐할 때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유발되는 열을 신속히 방출시킬 수 있는 아크 소호 능력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해 접점 간 거리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제품의 크기가 커져 소형화가 요구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igh reliability of the relay and the extension of its life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product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realized by the arc extinguishing ability which can quickly release the heat caused by the arc generated when the relay is opened and closed. However, conventionally, a method of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points is used to extinguish the arc.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mild hybrid system in which the size of the product is increased, which requires miniaturiz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1221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용 충전장치"Korean Patent No. 10-1241221, " Charging Device for Mild Hybrid Vehicle "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전원인가로 지속적인 통전이나 차단 상태가 유지되어 저전력 운영 가능하며 차량의 연비개선에 기여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tching relay device which is capable of operating with low power by maintaining a constant energization or interruption state by initial power supply and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fuel economy of a vehicle.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접촉 압력을 높여 안정적인 통전 성능을 갖는 래칭 릴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tching relay device having a stable current carrying capability by increasing a contact pressure between a movable contact and a fixed contact.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간 개폐 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릴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xtinguishing an arc generated upon opening and closing between a fixed contact and a movable conta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and will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the combination shown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embodi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일 측면에 따른 초기 전원인가로 래칭 릴레이 장치의 온-오프를 유지하는 저전력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솔레노이드 코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양끝단에 다른 극성의 자성을 띠는 요크; 상기 요크의 양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요크의 양끝단의 다른 극성의 자성에 의해 스윙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에 결합하여 스윙 이후의 상기 래치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고정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low-power actuator for maintaining the on-off state of a latching relay device by an initial power supply according to one side, the actuator comprising: a solenoid coil; A yoke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olenoid coil and magnetized at opposite ends thereof by magnetic fields formed on the solenoid coil; A latch which is positioned between both ends of the yoke and swings by magnetic forces of opposite polarities at both ends of the yoke; And a fixed magnet coupled to the latch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latch after the swing.

상기 래치는, 상단부에 결합하는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하단부에 결합하는 제2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제2 금속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atch includes: a first metal plate coupled to an upper end; And a second metal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metal plate, wherein the first metal plate and the second metal plate have magnetizations of different polarities.

반대 극성의 자성을 띄는 상기 요크의 양끝단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양끝단과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의 양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동일 극성을 띠는 금속 플레이트의 끝단을 끌어당기고 다른 극성을 띠는 금속 플레이트는 밀어내어 상기 래치를 스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both ends of the yoke having magnetism of opposite polarity are locat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metal plate and the opposite ends of the second metal plate so as to attract the ends of the metal plate having the same polarity, And the plate is pushed out to swing the latch.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전원인가 방향에 따라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면 상기 요크의 양끝단에 형성된 자성도 반대로 전환되어 끌어당기던 금속 플레이트는 밀어내고 밀어내던 금속 플레이트는 끌어당겨 상기 래치를 재스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on the solenoid coil is reversely reversed, the magnetism formed at both ends of the yoke is reversely reversed so that the attracted metal plate is pushed out And the metal plate being pushed is pulled to re-swing the latch.

다른 측면에 따른 초기 전원인가로 지속적인 통전 유지 또는 차단되는 래칭 릴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칭 릴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을 가지는 고정접편; 상기 고정접점과 대항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접점을 가지는 가동접편 어셈블리; 및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 간의 통전을 위하여 상기 가동접편 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솔레노이드 코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양끝단에 다른 극성의 자성을 띠는 요크; 상기 요크의 양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요크의 양끝단의 다른 극성의 자성에 의해 스윙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에 결합하여 스윙 이후의 상기 래치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고정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latching relay device comprises: a fixed contact piece having at least one fixed contact point; A movable contact assembly having at least one movable contact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ng the fixed contact; And an actuator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movable contact assembly for energization betwe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wherein the actuator comprises: a solenoid coil; A yoke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olenoid coil and magnetized at opposite ends thereof by magnetic fields formed on the solenoid coil; A latch which is positioned between both ends of the yoke and swings by magnetic forces of opposite polarities at both ends of the yoke; And a fixed magnet coupled to the latch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latch after the swing.

상기 가동접편 어셈블리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가동접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 Wherein the movable contact piece assembly includes first and second movable contact piec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actuator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래칭 릴레이 장치는, 상기 래치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의 스윙 또는 재스윙에 따라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atching re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lever coupled to the latch and moving to a top dead center or a bottom dead center according to a swing or a re-swing of the latch.

상기 래칭 릴레이 장치는, 상기 레버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을 위로 밀어내거나 아래로 당기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atching re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lider that pushes up or pulls down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contact pieces as the lever moves to the top dead center or the bottom dead center.

상기 레버가 상사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을 위로 밀어내어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이 통전되고, 상기 레버가 하사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을 아래로 당겨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이 개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lever moves to the top dead center, the slider pushes up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contact pieces upward to energize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and when the lever moves to the bottom dead center, The two movable contact pieces are pulled down so that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are opened.

상기 래칭 릴레이 장치는,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의 통전시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의 하단에서 텐션을 가하는 오티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atching re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tic spring for applying tension at a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contact pieces when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are energized.

상기 래칭 릴레이 장치는,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 개리 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키기 위한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tching re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side magnet members for extinguishing an arc generated wh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are opened.

상기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는,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 사이에는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air of side magnet members are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a different polarity, and the movable contact and the stationary contact ar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ide magnet members.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초기 전원인가로 지속적인 통전이나 차단 상태가 유지되어 저전력 운영 가능하여 차량의 연비개선에 기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fuel efficiency of a vehicle by being able to operate with low power by maintaining the constant energization or interruption state by the initial power supply.

본 발명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접촉 압력을 높여 안정적인 통전 성능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stationary contact to provide stable energiz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간 개폐 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여 릴레이의 높은 신뢰성과 수명연장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structure capable of extinguishing an arc generated when the movable contact is opened and closed between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thereby providing a high reliability and a life extension effect of the relay as well as miniaturiza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래칭 릴레이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은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레버가 상사점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레버가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과 같이 레버가 상사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점이 통전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와 같이 레버가 하사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점이 개리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latching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moves to the top dead cent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moves to the bottom dead poin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tching relay device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is energized as the lever moves to the top dead center as shown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tching relay device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is opened as the lever moves to the bottom dead center as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urthermore,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have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not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s " and / or " comprising "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taken to specify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ons.

그러면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래칭 릴레이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atching re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래칭 릴레이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latching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래칭 릴레이 장치(1)는, 실시예에 따라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mild hybrid vehicle)의 48V 배터리 시스템에 장착되어 배터리의 메인 전력을 모터, 전장부품에 공급하거나 전력을 차단하는 계전기이다. 실시예에 따른 래칭 릴레이 장치(1)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원을 일시적으로 한 번만 인가하더라도 래칭 릴레이 장치(1)의 온오프(ON/OFF) 작동을 유지할 수 있어 지속적인 전원공급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래칭 릴레이 장치(1)가 장착된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연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The latching relay device 1 is a relay mounted on a 48V battery system of a mild hybri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supply main electric power of a battery to a motor, electrical parts or cut off electric power. The latching relay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maintain ON / OFF operation of the latching relay apparatus 1 even if power is temporarily applied to the solenoid coil only once, so that continuous power supply is not required. Therefore, the fuel consumption of the mild hybrid vehicle equipped with the latching re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effectively improved.

도 1을 참고하면, 래칭 릴레이 장치(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501)을 가지는 고정접편(50); 상기 고정접점(501)과 대항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접점(401)을 가지는 가동접편 어셈블리(41, 42); 상기 가동접점(401)과 상기 고정접점(501) 간의 통전을 위하여 상기 가동접편 어셈블리(41, 4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10); 하우징(20); 및 커버(30);를 포함한다. 1, the latching relay apparatus 1 includes a fixed contact piece 50 having at least one fixed contact 501; A movable contact assembly (41, 42) having at least one movable contact (401)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ng the fixed contact (501); An actuator (1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movable contact assembly (41, 42) for energization between the movable contact (401) and the fixed contact (501); A housing (20); And a cover (30).

상기 가동접편 어셈블리(41, 42)는, 상기 액츄에이터(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 각각은 상기 고정접점(501)과 대항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접점(401)을 포함한다. The movable contact piece assemblies 41 and 42 include a first movable contact piece 41 and a second movable contact piece 42 which are disposed facing each other with the actuator 10 interposed therebetween. Each of the first movable contact piece 41 and the second movable contact piece 42 includes at least one movable contact point 401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xed contact point 501.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버스바(61) 및 제2 버스바(62)는 상기 액츄에이터(10)의 구동력으로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이 상승하여 상기 가동접점(401)과 상기 고정접점(501)이 저촉하여 통전되면, 상기 제1 가동접편(41), 고정접편(50) 및 제2 가동접편(42)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제1 버스바(61)에서 제2 버스바(62)로 전류가 흐르면 래칭 릴레이 장치(1)는 턴-온한다.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5에서 설명한다. The first movable contact piece 41 and the second movable contact piece 42 are lif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10 to move the first bus bar 61 and the second bus bar 62 apart from each other, 401 and the fixed contact 50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movable contact piece 41, the fixed contact piece 50 and the second movable contact piece 42, The current flows to the second bus bar 62, and the latching relay device 1 is turned on.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3 은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레버가 상사점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레버가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2 is a parti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moves to the top dead cent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is moved to the bottom dead center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actuator; Fig.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액츄에이터(10)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보빈(16)과, 상기 보빈(16)에 감겨 있는 솔레노이드 코일(13);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양끝단(141, 142)에 다른 극성의 자성을 띠는 요크(14); 상기 요크(14)의 양끝단(141, 14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요크(14)의 양끝단(141, 142)의 다른 극성의 자성에 의해 스윙 또는 재스윙하는 래치(12); 상기 래치(12)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12)의 스윙 또는 재스윙에 따라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레버(19); 상기 래치(12)에 결합하여 스윙 이후의 상기 래치(12)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고정자석(15);을 포함한다. 2, the actuator 10 includes: a bobbin 16 having a hollow therein; a solenoid coil 13 wound on the bobbin 16; Yokes (14)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solenoid coil (13) and magnetized at opposite ends (141, 142) by magnetic fields formed on the solenoid coil (13); A latch 12 which is located between both ends 141 and 142 of the yoke 14 and swings or re-swings by the magnetic poles of the opposite ends 141 and 142 of the yoke 14; A lever 19 coupled to the latch 12 to move to a top dead center or a bottom dead center according to the swing or re-swing of the latch 12; And a fixed magnet 15 coupled to the latch 12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latch 12 after the swing.

상기 래치(12)는, 상단부에 결합하는 제1 금속 플레이트(111); 및 하단부에 결합하는 제2 금속 플레이트(112);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111) 및 제2 금속 플레이트(112)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을 갖는다. The latch (12) includes: a first metal plate (111) coupled to an upper end; And a second metal plate 112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metal plate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metal plate 111 and the second metal plate 112 have different polarities of magnetism.

실시예에 따라, 다른 극성의 자성을 띄는 상기 요크(14)의 양끝단(141, 142)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111) 양끝단과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112)의 양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동일 극성을 띠는 금속 플레이트(11)를 끌어당기고 다른 극성을 띠는 금속 플레이트(11)는 밀어내어 상기 래치(12)를 스윙 또는 재스윙시킨다. 즉, 상기 래치(12)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111) 및 제2 금속 플레이트(112)가 상기 요크(14)의 양끝단(141, 142)과 서로 자기력이 작용할 때 래치 중심고정부(121)를 기준으로 스윙한다. Both ends 141 and 142 of the yoke 14 having magnetic properties of different polarities are position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metal plate 111 and both ends of the second metal plate 112 So that the metal plate 11 having the same polarity is pulled and the metal plate 11 having the other polarity is pushed out to swing or re-swing the latch 12. That is, when the first metal plate 111 and the second metal plate 112 are magnetically coupled to both ends 141 and 142 of the yoke 14, the latch 12 is engaged with the latch center fixing portion 121).

실시예에 따라, 고정자석(15)은, 자기력으로 스윙 이후의 상기 래치(12)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코일(13)에 초기 전원이 인가되어 래치(12)가 스윙하면 고정자석(15)에 의해 래치(12)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솔레노이드 코일(13)에 추가적인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도 접점의 통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최소전력으로 래칭 릴레이 장치(1)를 운영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ationary magnet 15 can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latch 12 after the swing with magnetic force. Therefore, since the position of the latch 12 is fixed by the stationary magnet 15 when the initial power is applied to the solenoid coil 13 and the latch 12 swings, the solenoid coil 13 can be operated without applying additional power. The energized state can be maintained and the latching relay apparatus 1 can be operated with the minimum power.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전자석이 되는 요크(14)는,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에 인가되는 전원 방향에 따라 양끝단(141, 142)의 자성의 극이 달라질 수 있다(N<->S, S<->N). The magnetic poles of the both ends 141 and 142 of the yoke 14 which becomes the electromagnet by the magnetic field formed on the solenoid coil 13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wer source direction applied to the solenoid coil 13 <-> S, S <-> N).

도 3을 참고하면, 일시적으로 요크(14)의 좌측 끝단(141)이 S극, 요크(14)의 우측 끝단(142)이 N극을 띠고,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111)는 N극의 자성 그리고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112)는 S극의 자성을 띠는 경우, 요크(14)의 좌측 끝단(141)과 제1 금속 플레이트(111)는 인력이 작용하고 제2 금속 플레이트(112)와는 척력이 작용한다. 또한, 요크(14)의 우측 끝단(142)과 제1 금속 플레이트(111)는 척력이 작용하고 제2 금속 플레이트(112)와는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래치(12)는, 스윙하고 상기 래치(12)의 스윙에 따라 레버(19)는 상사점(Top Dead Center, TDC)으로 이동한다. 실시예에 따라, 고정자석(15)은, 자기력으로 스윙 이후의 상기 래치(12)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3, the left end 141 of the yoke 14 temporarily has an S pole, the right end 142 of the yoke 14 has an N pole, and the first metal plate 111 has an N pole Magnetic attraction and attraction between the left end 141 of the yoke 14 and the first metal plate 111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second metal plate 112 when the second metal plate 112 has the S- And the repulsive force acts. The right end 142 of the yoke 14 and the first metal plate 111 are acted upon by the repulsive force and the attraction force acts on the second metal plate 112. [ Accordingly, the latch 12 swings, and the lever 19 moves to the top dead center (TDC) according to the swing of the latch 1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ationary magnet 15 can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latch 12 after the swing with magnetic force.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은, 3상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되어 전원인가 방향에 따라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로 전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에 형성된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면 상기 요크(14)의 양끝단에 형성된 자성도 반대로 전환되어 끌어당기던 금속 플레이트는 밀어내고 밀어내던 금속 플레이트는 끌어당겨 상기 래치(12)를 재스윙시킨다. A three-phase wir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coil 13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s reverse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application direction. When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on the solenoid coil 13 is reversed, the magnetism formed at both ends of the yoke 14 is reversely reversed so that the metal plate that has been pulled out is pulled out and pulled out, .

도 3에서는 솔레노이드 코일(13)에 인가된 전원에 의해 일시적으로 요크(14)의 좌측 끝단(141)이 S극, 요크(14)의 우측 끝단(142)이 N극을 띠었으나, 도 4에서는, 솔레노이드 코일(13)에 인가된 전원이 반대로 전환되어 자기장의 방향도 반대고 전환되고, 이 경우, 요크(14)의 좌측 끝단(141)은 N극, 요크(14)의 우측 끝단(142)은 S극으로 전환된다. 3, the left end 141 and the right end 142 of the yoke 14 are formed as S poles and N poles, respectively, temporarily by the power source applied to the solenoid coil 13, The left end 141 of the yoke 14 is connected to the N pole and the right end 142 of the yoke 14, Is switched to the S-pole.

도 4를 참고하면, 요크(14)의 좌측 끝단(141)은 제1 금속 플레이트(111)와 사이에서 자기력이 변경(인력->척력)되어 끌어당기던 제1 금속 플레이트(111)를 밀어내고, 척력이 작용하여 밀어내던 제2 금속 플레이트(112)는 인력으로 변경되므로 끌어당기게 된다. 또한, 요크(14)의 우측 끝단(142)은 밀어내던 제1 금속 플레이트(111)는 인력이 작용하여 끌어당기고, 끌어당기던 제2 금속 플레이트(112)는 척력이 작용하여 밀어내게 된다. 다라서, 따라서, 상기 래치(12)는, 재스윙하고, 상기 래치(12)의 재스윙에 따라 레버(19)는 상사점(TDC)에서 하사점(Botton Dead Center, BDC)으로 이동한다. 4, the left end 141 of the yoke 14 pushes out the first metal plate 111 pulled by the magnetic forc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first metal plate 111 and the first metal plate 111 The second metal plate 112, which is pushed by the repulsive force, is pulled because it is changed into the attractive force. In addition, the first metal plate 111, which is pushed by the right end 142 of the yoke 14, is pulled by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second metal plate 112 pulled by the yoke 14 is repulsively acted. Accordingly, the latch 12 re-swings, and the lever 19 moves from the TDC to the BDC as the latch 12 re-swings.

도 5는 도 3과 같이 레버가 상사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점이 통전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tching relay device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is energized as the lever moves to the top dead center as shown in FIG.

도 3을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라, 서로 반대 극성의 자성을 띠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111) 및 제2 금속 플레이트(112)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요크(14)의 양끝단(141, 142)이 솔레노이드 코일(13)에 인가된 전류로 유발되어 자성을 띠게 되면 래치(12)는 스윙하고 상기 래치(12)의 스윙으로 상기 레버(19)는 상사점(TDC)으로 이동한다. 3, both ends 141 and 142 of the yoke 14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etal plate 111 and the second metal plate 112, which have magnetism of mutually opposite polarities, 142 are caused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coil 13 and become magnetized, the latch 12 swings and the lever 19 moves to the TDC due to the swing of the latch 12.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레버(19)가 상사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18)가 상기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을 위로 밀어내어 상기 고정접점(501)과 상기 가동접점(401)이 통전된다. 5, when the lever 19 moves to the top dead center, the slider 18 pushes up the first movable contact piece 41 and the second movable contact piece 42 upward, The movable contact 401 is energized.

실시예에 따라, 래치 릴레이 장치(1)는, 상기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의 하단에서 텐션(tension)을 가하는 오티 스프링(70a, 70b);을 더 포함한다. 제1 오티 스프링(70a)은 제1 가동접편(41)을 하단에서, 제2 오티 스프링(70b)은 제2 가동접편(42)을 하단에서 부가적인 텐션을 가하여 상기 슬라이더(18)와 함께 상기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을 강하게 지지하여 상기 고정접점(501)과 상기 가동접점(401)의 접촉 압력을 높여 통전 성능을 안정시킨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atch relay device 1 further includes dead springs 70a and 70b for applying a tension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movable contact piece 41 and the second movable contact piece 42 . The first offset spring 70a applies additional tension to the first movable contact piece 41 at the lower end and the second offset spring 70b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movable contact piece 42, The first movable contact piece 41 and the second movable contact piece 42 are strongly supported and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stationary contact 501 and the movable contact 401 is increased to stabilize the electrification performance.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버스바(61) 및 제2 버스바(62)는 상기 액츄에이터(10)의 구동력으로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이 상승하여 상기 가동접점(401)과 상기 고정접점(501)이 접촉하여 통전되면, 상기 제1 가동접편(41), 고정접편(50) 및 제2 가동접편(42)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제1 버스바(61)에서 제2 버스바(62)로 전류가 흘러 래칭 릴레이 장치(1)는 턴-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버스바(62)에서 제1 버스바(61)로 전류가 흘러 래칭 릴레이 장치(1)가 턴-온 될 수 있다. The first movable contact piece 41 and the second movable contact piece 42 are lif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10 to move the first bus bar 61 and the second bus bar 62 apart from each other, 401 and the fixed contact 50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movable contact piece 41, the fixed contact piece 50 and the second movable contact piece 42, The current flows from the first bus bar 62 to the second bus bar 62 so that the latching relay device 1 is turned 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urrent flows from the second bus bar 62 to the first bus bar 61 so that the latching relay device 1 can be turned on.

도 6은 도 4와 같이 레버가 하사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점이 개리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tching relay device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is opened as the lever moves to the bottom dead center as shown in FIG.

실시예에 따라, 솔레노이드 코일(13)에 전류인가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면 상기 요크(14)의 양끝단에 형성된 자성도 반대로 전환되어 끌어당기던 금속 플레이트는 밀어내고 밀어내던 금속 플레이트는 끌어당겨 상기 래치(12)를 재스윙시킨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current application direction is reversely switched to the solenoid coil 13, the magnetism formed at both ends of the yoke 14 is also reversed so that the metal plate pulled out is pulled out, (12).

도 4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래치(12)의 재스윙에 따라 상기 레버(19)가 하사점(BDC)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18)가 상기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을 아래로 끌어당겨 상기 고정접점(501)과 상기 가동접점(401)이 개리된다. 상기 가동접점(401)과 상기 고정접점(501)이 개리되면, 상기 제1 가동접편(41), 고정접편(50) 및 제2 가동접편(42)은 서로 분리되고, 제1 버스바(61)에서 제2 버스바(62)로 흐르던 전류는 차단되어 래칭 릴레이 장치(1)는 턴-오프한다. 4 and 6, when the lever 19 is moved to the bottom dead center BDC according to the re-swing of the latch 12, the slider 18 moves in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contact pieces 41 and 42, The movable contact piece 42 is pulled down so that the fixed contact point 501 and the movable contact point 401 are opened. When the movable contact point 401 and the fixed contact point 501 are opened, the first movable contact piece 41, the fixed contact piece 50 and the second movable contact piece 4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bus bar 61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second bus bar 62 to the second bus bar 62 is cut off and the latching relay device 1 is turned off.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정접점(501)과 상기 가동접점(401)이 상호 개리되면 아크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래칭 릴레이 장치(1)는 상기 가동접점(401)과 상기 고정접점(501) 개리 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키기 위한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81, 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f the stationary contact 501 and the movable contact 401 are mutually opened, an arc may be generated. 6, the latching relay apparatus 1 further includes a pair of side magnet members 81 and 82 for extinguishing an arc generated when the movable contact 401 and the stationary contact 501 are opened can do.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81, 82)는,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81, 82) 사이에는 상기 가동접점(401)과 상기 고정접점(501)이 바람직하게, 각각 4개 이상씩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고정접점(501)과 상기 가동접점(401) 사이에서 발생된 아크는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81, 82) 사이에 형성된 자기장의 자기력에 의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의 방향으로 편향됨으로써 소호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81, 82) 사이에 2개 이상의 접점이 위치할 경우에는 접점들에서 발생하는 아크의 방향이 동일하여 제품의 극성이 없는 장점이 있다. The movable contact point 401 and the stationary contact point 501 ar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ide magnet members 81 and 82. The pair of side magnet members 81 and 82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a different polarity, Preferably, four or more are disposed in each case. The arc generated between the stationary contact 501 and the movable contact 401 is generated by a magnetic force of a magnetic field formed between the pair of side magnet members 81 and 8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when two or more contact points are located between the pair of side magnet members 81 and 82, the direction of the arc generated at the contact points is the same, so that there is no polarity of the product.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specification contains many features, such featur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or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individual embodiments herein may be combined and implemented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singular &lt; Desc / Clms Page number 5 &gt; embodiments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as appropriat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1: 래칭 릴레이 장치 10: 액츄에이터
11: 금속 플레이트 111: 제1 금속 플레이트
112: 제2 금속 플레이트 12: 래치
13: 솔레노이드 코일 14: 요크
15: 고정자석 16: 보빈
17: 와이어 18: 슬라이더
19: 레버 20: 하우징
30: 커버 40: 가동접편 어셈블리
41: 제1 가동접편 42: 제2 가동접편
401: 가동접점 50: 고정접편
501: 고정점점 60: 버스바
70: 오티 스프링 81, 82: 측면 자석부재
1: latching relay device 10: actuator
11: metal plate 111: first metal plate
112: second metal plate 12: latch
13: solenoid coil 14: yoke
15: stationary magnet 16: bobbin
17: wire 18: slider
19: lever 20: housing
30: cover 40: movable contact assembly
41: first movable contact piece 42: second movable contact piece
401: movable contact point 50: fixed contact piece
501: Fixed Increasing 60: Bus Bar
70: natural spring 81, 82: side magnet member

Claims (12)

초기 전원인가로 래칭 릴레이 장치의 온-오프를 유지하는 저전력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코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양끝단에 다른 극성의 자성을 띠는 요크;
상기 요크의 양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요크의 양끝단의 다른 극성의 자성에 의해 스윙 또는 재스윙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에 결합하여 스윙 이후의 상기 래치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고정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A low-power actuator for maintaining on-off of a latching relay device by initial power application,
Solenoid coil;
A yoke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olenoid coil and magnetized at opposite ends thereof by magnetic fields formed on the solenoid coil;
A latch which is located between both ends of the yoke and swings or re-swings by magnetic forces of opposite polarities at both ends of the yoke; And
And a fixed magnet coupled to the latch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latch after the sw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단부에 결합하는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하단부에 결합하는 제2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제2 금속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tch
A first metal plate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And a second metal plate coupled to the lower end
Wherein the first metal plate and the second metal plate have magnetizations of different polarities.
제2항에 있어서,
반대 극성의 자성을 띄는 상기 요크의 양끝단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양끝단과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의 양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동일 극성을 띠는 금속 플레이트의 끝단을 끌어당기고 다른 극성을 띠는 금속 플레이트는 밀어내어 상기 래치를 스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3. The method of claim 2,
At both ends of the yoke having magnetic properties of opposite polarity,
Wherein the metal plate is position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metal plate and the opposite ends of the second metal plate and pulls the end of the metal plate having the same polarity and pushes the metal plate having the other polarity to swing the latch Actua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전원인가 방향에 따라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면 상기 요크의 양끝단에 형성된 자성도 반대로 전환되어 끌어당기던 금속 플레이트는 밀어내고 밀어내던 금속 플레이트는 끌어당겨 상기 래치를 재스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solenoid coil includes: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s reverse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application direction,
Wherein when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on the solenoid coil is reversed, the magnetism formed at both ends of the yoke is reversely reversed so that the metal plate that has been pulled out is pulled out and the metal plate that is pushed out is pulled to re- swing the latch. .
초기 전원인가로 지속적인 통전 유지 또는 차단되는 래칭 릴레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을 가지는 고정접편;
상기 고정접점과 대항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접점을 가지는 가동접편 어셈블리; 및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 간의 통전을 위하여 상기 가동접편 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솔레노이드 코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양끝단에 다른 극성의 자성을 띠는 요크; 상기 요크의 양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요크의 양끝단의 다른 극성의 자성에 의해 스윙 또는 재스윙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에 결합하여 스윙 이후의 상기 래치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고정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
1. A latching relay device in which continuous energization is maintained or cut off by initial power application,
A fixed contact piece having at least one fixed contact;
A movable contact assembly having at least one movable contact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ng the fixed contact; And
And an actuator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movable contact assembly for energization betwe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The actuator includes:
Solenoid coil; A yoke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olenoid coil and magnetized at opposite ends thereof by magnetic fields formed on the solenoid coil; A latch which is located between both ends of the yoke and swings or re-swings by magnetic forces of opposite polarities at both ends of the yoke; And a fixed magnet coupled to the latch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latch after the sw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 어셈블리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가동접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ovable contact piece assembly includes:
And first and second movable contact piece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actuator interposed therebetwee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의 스윙 또는 재스윙에 따라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레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lever coupled to the latch to move to a top dead center or a bottom dead point according to swing or re-swing of the latch;
Further comprising: a latching unit for latching the latch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을 위로 밀어내거나 아래로 당기는 슬라이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slider that pushes up or down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contact pieces as the lever moves to the top dead center or the bottom dead center;
Further comprising: a latching unit for latching the latch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사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을 위로 밀어내어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이 통전되고,
상기 레버가 하사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을 아래로 당겨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이 개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lever is moved to the top dead center, the slider pushes up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contact pieces so that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are energized,
Wherein when the lever moves to the bottom dead point, the slider pulls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contact pieces down so that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are open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의 통전시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의 하단에서 텐션을 가하는 오티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 otic spring for applying tension at a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contact pieces when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are energized;
The latch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 개리 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키기 위한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0,
A pair of side magnet members for extinguishing an arc generated wh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are opened;
Further comprising: a latching unit for latching the latching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는,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 사이에는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air of side magnet members comprise:
And the movable contact and the stationary contact ar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ide magnet members.
KR1020170144007A 2017-10-31 2017-10-31 Latching Relay Apparatus KR1025074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007A KR102507410B1 (en) 2017-10-31 2017-10-31 Latching Re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007A KR102507410B1 (en) 2017-10-31 2017-10-31 Latching Re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793A true KR20190048793A (en) 2019-05-09
KR102507410B1 KR102507410B1 (en) 2023-03-06

Family

ID=6654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007A KR102507410B1 (en) 2017-10-31 2017-10-31 Latching Re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4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2918A (en) * 2021-11-17 2022-02-18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检修分公司 Relay performance testing device with state simulation fun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221B1 (en) 2010-12-06 2013-03-13 주식회사 이지트로닉스 Charging system for mild hybrid vehicle
KR20130111566A (en) * 2010-11-30 2013-10-10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Latching relay
KR101362901B1 (en) * 2013-11-20 2014-02-13 주식회사 와이엠텍 Latch relay
JP2016194984A (en) * 2015-03-31 2016-11-17 オムロン株式会社 Electromagnetic relay
KR20170009124A (en) * 2015-07-15 2017-01-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Latch Rela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566A (en) * 2010-11-30 2013-10-10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Latching relay
KR101241221B1 (en) 2010-12-06 2013-03-13 주식회사 이지트로닉스 Charging system for mild hybrid vehicle
KR101362901B1 (en) * 2013-11-20 2014-02-13 주식회사 와이엠텍 Latch relay
JP2016194984A (en) * 2015-03-31 2016-11-17 オムロン株式会社 Electromagnetic relay
KR20170009124A (en) * 2015-07-15 2017-01-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Latch Re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2918A (en) * 2021-11-17 2022-02-18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检修分公司 Relay performance testing device with state simulation function
CN114062918B (en) * 2021-11-17 2023-12-22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检修分公司 Relay performance inspection device with state simula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410B1 (en)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1951B2 (en) Bistable magnetic actuators
US11120961B2 (en) Electromagnetic relay and coil terminal
US3914723A (en) Positive action magnetic latching relay
US20160141132A1 (en) Contact device
CN102683116A (en) Electromagnetic contractor
US20150091395A1 (en) Electro-mechanical Reciprocating Magnetic Piston Engine
JP4667664B2 (en) Power switchgear
KR20170008047A (en) Relay for electric vehicle
US8901445B2 (en) Magnetic contactor
US10269520B2 (en) Permanent magnet contactor
CN104303251A (en) Line protection switch
KR20190048793A (en) Latching Relay Apparatus
JPH0344010A (en) Electromagnetically operating actuator
US20070025046A1 (en) Electromagnetic dual-coil valve actuator with permanent magnet
CN201274237Y (en) Permanent magnet lock type circuit breaker operation mechanism without friction obstacle during switching on and switching off
CN101901723B (en) Electromagnet for an electrical contactor
KR102323604B1 (en) Relay device
CN220381942U (en) Switch
KR102574587B1 (en) Electromagnet contact device
RU2331130C1 (en) Electric magnet with polarising winding
US202200685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elf-Shorting Bi-Stable Solenoid
JPH06283088A (en) Electromagnetic relay
RU86037U1 (en) ELECTROMAGNETIC DRIVE
JP2003016882A (en) Operating device for power switchgear
US20080036560A1 (en) Electromagne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