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060A - Mask - Google Patents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060A
KR20190048060A KR1020170142550A KR20170142550A KR20190048060A KR 20190048060 A KR20190048060 A KR 20190048060A KR 1020170142550 A KR1020170142550 A KR 1020170142550A KR 20170142550 A KR20170142550 A KR 20170142550A KR 20190048060 A KR20190048060 A KR 20190048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layer
contact layer
skin
ski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선
김영웅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to KR1020170142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8060A/en
Publication of KR2019004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0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Provided by the disclosure is a mask which has micro performance for yellow dust and is formed in a flat corrugated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 includes: a main body unit which includes an outer layer, an inner layer, and a filter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layer and the inner layer; a ring unit which is attached to both si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main body unit; and a skin contact layer of an elastic material which is attached to the inner layer and has a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 main body unit has a plurality of creases corrugated to be able to spread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wearing the mask, the main body unit of a flat plate shape is changed into a three-dimensional form by unfolding a plurality of creases; at least one part of a respirator is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layer and the skin contact layer through a hole; and the skin contact layer is closely attached to the face by contracting.

Description

마스크{MASK}Mask {MASK}

본 개시는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입자성 유해 물질로부터 안면부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ask capable of protect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the face from particulate harmful substances such as dust and fine dust.

방한, 방진 또는 감염 방지 등을 위하여 안면부의 호흡기를 가릴 수 있는 마스크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마스크로는 방한대, 수술용 마스크, 황사용 마스크(또는 보건용 마스크), 방역용 마스크, 산업용 마스크 등이 있고, 각기 사용 목적에 맞는 성능을 갖추도록 디자인되고, 제조된다. 예를 들어, 황사용 마스크는 코와 입을 가릴 수 있는 본체부와, 본체부를 안면부에 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귀나 머리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끈으로 이루어진 고리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황사용 마스크는 본체부에 필터층을 구비하고 있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입자성 유해 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Various masks have been proposed to mask the respiratory system of the fac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cold, dust, or infection. These masks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meet the purpose of use, such as a cold room, a surgical mask, a sulfur mask (or a health mask), a mask for protection, and an industrial mask. For example, the sulfur-using mask includes a main body capable of covering the nose and mouth, and an annular ring made of a string that can be fixed to the ear or head to fix the main body to the face. Such a sulfur-using mask is provided with a filter layer in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particulate harmful substances such as yellow dust and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can be filtered out.

상술한 황사용 마스크는,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간단히 '식약처'라고 함)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제품으로서, 방한대와 같은 공산품과는 차별화된 성능을 가진다. 황사용 마스크의 성능과 관련하여, 식약처에서는 분집포집효율, 안면부 누설률, 안면부 흡기저항의 주요 항목들을 모두 만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The above-mentioned sulfur-use mask is a product which must be approved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has a performance different from that of industrial products such as a winter booth. With regard to the performance of the sulfur-using mask, the pharmacy department is required to satisfy all of the main items of collection efficiency, face leakage rate, and face air intake resistance.

그런데, 종래의 황사용 마스크를 살펴보면,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성능 관련 주요 항목들을 만족하기 위하여, 접이형이나 컵형과 같은 형상으로만 디자인 및 제조되어 시판되고 있다. 즉, 수술용 마스크와 같이 착용 시 입체 형태로 펼쳐질 수 있는 평판 형상(또는 평판 주름 형상)으로는 안면부에 대한 마스크의 밀착 정도가 낮아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주요 항목들, 특히 안면부 누설률을 만족하기 어려웠고, 이러한 이유로 황사용 마스크의 형태로는 채용되지 못하였다.However, in order to satisfy the performance-related main items required by the place of drug disposal, conventional sulfur-use masks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only in the shape of a folded-up or cup-shaped shape and are commercially available. That is, since the degree of adhesion of the mask to the face portion is low in a flat plate shape (or flat plate wrinkle shape) that can be spread in a three-dimensional form when worn like a surgical mask, the main items required by the place of drug delivery, And for this reason, it was not adopted in the form of a sulfur-using mask.

본 개시는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 주름 형상을 가지면서도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황사용 마스크의 성능을 만족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sk that has a flat wrinkle shape and satisfies the performance of a sulfur-using mask required by a dissolution site.

본 개시는 안면부의 호흡기를 가려 보호하는 마스크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외피층, 내피층 및 외피층과 내피층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층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가로 방향으로의 양쪽에 부착되는 고리부 및 내피층에 부착되고 중앙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는 세로 방향으로 펼쳐짐이 가능하게 주름잡힌 복수의 주름을 구비한다. 마스크의 착용 시 복수의 주름이 펼쳐져 평판 형태의 본체부가 입체 형태로 변형되며, 구멍을 통해 내피층과 피부 접촉층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호흡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피부 접촉층은 신축함으로써 안면부에 밀착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embodiments of a mask that shields the face of a respiratory tract. The mas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body portion including a shell layer, an endothelial layer, and a filter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shell layer and the endothelial layer; a ring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skin contact layer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having pores formed therein. In this embodiment,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leats which are foldably exten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a part of the respirator is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endothelial layer and the skin-contacting layer through the hole, and the skin-contact layer is stretched and contracted to form a face-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접촉층은 가로 방향으로의 인장신도가 65% 이상이고, 세로 방향으로의 인장신도가 140% 이상인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skin contact layer is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having a tensile elonga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65% or more and a tensile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40% or more.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필터층은 25gsm 이상의 평량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filter lay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basis weight of 25 gsm or more.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리부는 외피층에 부착되는 한 쌍의 귀걸이끈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annulus includes a pair of earring straps attached to the shell lay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는 피부 접촉층을 향하는 내피층에 부착되는 코편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더하여, 마스크는 코편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내피층에 부착되고 내피층과 피부 접촉층 사이에 구비되는 코스펀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sk further comprises a nacelle attached to the endothelial layer facing the skin contact layer. In addition to these embodiments, the mask may further include a co-sponge attached to the endothelial layer and provided between the endothelial layer and the skin contact layer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nose.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는 복수의 주름에 의해 구분되는 형태 유지부, 형태 유지부로부터 순차적으로 하측 부분이 부분적으로 접힌 적어도 하나의 상측 전개부 및 형태 유지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측 부분이 부분적으로 접힌 적어도 하나의 하측 전개부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shape retaining portion that is divided by a plurality of corrugations, at least one upper side development portion in which the lower side portion is partially folded successively from the shape retaining portion, And one lower deployment por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집포집효율은 80%를 초과하고, 안면부 흡기저항은 60㎩ 미만이고, 안면부 누설률은 25% 미만이다.In one embodiment, the collecting collection efficiency is greater than 80%, the facial inspiratory resistance is less than 60Pa, and the facial portion leakage rate is less than 25%.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한 마스크는 착용 전 평판 주름 형태를 갖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부착되는 피부 접촉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마스크는, 착용 시 본체부의 개선된 주름 구조에 의해 입체 형태로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피부 접촉층은 본체부와 함께 안면부의 호흡기 일부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데, 피부 접촉층은 안면부에 밀착될 수 있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공기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피부 접촉층에 안면부의 호흡기 주변이 밀착된 상태로, 코와 입이 피부 접촉층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본체부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착용 방식에서는 코와 입이 마스크에 접촉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마스크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의한 마스크는 평판 형상을 갖지만, 접이형이나 컵형과 함께 황사 마스크의 일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취향이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마스크의 형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마스크의 선택의 폭을 넓히는 효과가 있다.Th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flat wrinkle shape before wearing and a skin contact layer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Such a mask can easily be chang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by an improved wrinkle structure of the main body when worn. The skin contact layer forms a space for inserting a part of the respiratory part of the face part together with the body part. The skin contact layer is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which can be adhered to the face part, so that air leakage can be minimized. The nose and mouth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inside the body portion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skin contact layer in a state in which the vicinity of the respiratory surface of the face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contact layer. In this wearing method, the inconvenience that the nose and the mouth come into contact with the mask is minimized, and the wearing feeling of the mask can be improved. Although th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has a flat plate shap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andy mask together with a contact type or a cup shape. In this case,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mask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various consumers, It has the effect of widening the width.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형태로 펼쳐진 마스크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마스크를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주름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배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착용예를 도시하며, 마스크의 내부 공간으로 안면부의 호흡기가 삽입되어 있다.
1 is a front view of a mas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 is a rear view of a mas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s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4 illustrates a mask that is deployed in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is a view of the mask shown in FIG. 4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6 shows a corrugation structure of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rear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of wearing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a respirator of a face portion is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a mask.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below 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embodiments.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e disclosure a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more clearly illustrating the disclosure and are not chosen to limit the scope of the rights under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expressions such as " comprising, " " having, " " having, " and the like, unless the context requires otherwise, (open-ended terms).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The expressions of the singular forms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may include plural meaning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same applies to the singular expressions described in the claims.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expressions such as " first ",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y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Or < / RTI >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ption of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However, even if a description of components is omitted, such components are not intended to be included in any embodiment.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100)를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100)는 사람의 안면부(10)의 호흡기[도 8에서, 코(1)와 입(2)]를 가려 보호할 수 있는 기구로서, 황사용 마스크 또는 보건용 마스크로 참조될 수 있다. 마스크(100)는 착용 전 평판 형태를 가지며, 착용을 위해 안면부(10)의 형상에 맞춰 입체 형태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주름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마스크(100)는 평판 주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도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황사용 마스크(보건용 마스크)로의 성능을 만족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The mas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The mas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a device that can protect the respiratory apparatus (the nose 1 and the mouth 2 in FIG. 8) of the face 10 of the person and protects the mask using a sulfur- Can be referenced. The mask 100 has a flat plate shape before it is worn and has a wrinkle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or fold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face portion 10 for wearing. The mask 100 has a flat wrinkle-like shape, and has a structure for satisfying the performance of a sulfur mask (health mask) required by a dissolution sit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마스크(100)는 외피층(111), 필터층(112) 및 내피층(113)을 포함하는 본체부(110)와, 내피층(113)의 내면(마스크 착용 시 안면부(10)를 향하는 표면)에 부착되는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마스크(100)는 본체부(110)의 가로 방향(X방향)에 있어 양쪽에 부착되는 고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리부(130)는 마스크(100)의 착용 시 착용자의 양 귀에 걸 수 있는 한 쌍의 귀걸이끈(131)을 포함한다. 고리부(130)는 한 쌍의 귀걸이끈(131)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머리에 걸거나 묶을 수 있는 머리끈을 포함할 수 있다. 귀걸이끈(131)은 고리 형상을 갖도록 본체부(110)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귀걸이끈(131)이 외피층(111)의 겉면에 부착되어 있어, 마스크(100)의 착용 시 한 쌍의 귀걸이끈(131)에 의해 마스크(100)의 양쪽이 안면부(10)의 뒤쪽으로 당겨지며, 이 경우 마스크(100)가 안면부(10)의 볼과 귀 주변 부위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마스크(100)를 안면부(10)에 밀착되도록 한다.1 to 3, the mask 100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10 including an outer shell layer 111, a filter layer 112, and an inner skin layer 113, And a skin contact layer 120 of a stretchable material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the surface facing the face portion 10 when the mask is worn). The mask 100 may further include an annular portion 130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in the lateral direction (X direction). In one embodiment, the ring 130 includes a pair of earrings 131 that can be worn on the wearer's double ear when the mask 100 is worn. The ring portion 130 is not limited to the pair of earring straps 131 but may include, for example, a head strap that can be hooked or tied to the head. The earring strap 131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110 so as to have an annular shape. The mask 100 is attached to the face 10 by a pair of earring straps 131 when the mask 100 is worn. In this embodiment, the earring straps 131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layer 111, In this case, the mask 100 is prevented from floating around the ball and the ear area of the face portion 10, so that the mask 1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rtion 10.

이러한 마스크(100)에 있어서, 본체부(110)는 외피층(111)과 내피층(113) 사이에 필터층(112)이 개재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체부(110)를 구성하는 외피층(111), 필터층(112) 및 내피층(113)은 직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데, 가장자리가 서로 맞대어져 초음파 접합 방식 등으로 눌려 접합될 수 있다. 공기 중에 포함된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입자성 유해 물질은 외피층(111), 필터층(112) 및 내피층(112)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걸러진다. 본체부(110)는 마스크(100)의 착용 시 세로 방향(Y방향)으로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주름(L)을 구비한다.In the mask 100, the main body 1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lter layer 112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skin layer 111 and the inner skin layer 113. The skin layer 111, the filter layer 112 and the endothelial layer 113 constituting the body 110 have a rectangular shape or the like and the edges may be abutted against each other and pressed together by an ultrasonic bonding method or the like. Particulate harmful substances such as dust and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are filtered through the outer skin layer 111, the filter layer 112 and the endothelial layer 112 in order. The main body 110 has a plurality of corrugations L so that the mask 100 can be folded and 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direction) when the mask 100 is worn.

본체부(110)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필터층(112)은 멜트 블로운(melt blown) 방식으로 제조된 부직포로 형성되고, 유해 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정전 필터로 이루어진다. 피부 접촉층(120)은 밀착포로 참조될 수 있으며, 신축성 있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다. 피부 접촉층(120)은 신축성을 갖도록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formed of a nonwoven fabric. In particular, the filter layer 112 is formed of a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by a melt blown method, and is formed of an electrostatic filter capable of filtering harmful substances. The skin contact layer 120 can be referred to as a tight cloth and is formed of a stretchable nonwoven material. The skin contact layer 1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so as to have elasticity.

피부 접촉층(120)은 본체부(11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피부 접촉층(120)은 가장자리가 본체부(110)의 내피층(113)에 접합된다. 피부 접촉층(120)의 중앙 부분에는 구멍(H)이 형성되어 있어, 본체부(110)와 피부 접촉층(1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도 8 참조)에 안면부(10)에 구비되는 코(1)와 입(2)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멍(H)은 가로 방향(X방향)으로의 길이가 세로 방향(Y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타원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코(1) 부분이 삽입되는 세로 방향(Y방향)의 상측 가장자리의 일부가 확장된 형상을 가진다.The skin contact layer 1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portion 110. The skin contact layer 120 has an edge bonded to the endothelial layer 113 of the body portion 110. A hole H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skin contact layer 120 so that the space S is formed in the space S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skin contact layer 120 So that the nose 1 and the mouth 2 can be inserted. In one embodiment, the hole H is formed to have an elliptical shape or a similar shape whose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X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direction), and the nose portion 1 is inserted And a part of the upper edge of the vertical direction (Y direction) has an expanded shape.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00)는 착용 시 복수의 주름(L)이 펼쳐져 착용 전 평판 형태를 갖는 본체부(110)가 입체 형태로 변형된다. 이러한 마스크(100)에서는, 본체부(110)와 피부 접촉층(120)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며, 피부 접촉층(120)에 형성된 구멍(H)을 통해 호흡기의 적어도 일부(즉, 코(1)와 입(2)의 일부)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부 접촉층(120)은 입체 형태로 변형된 마스크(100)의 후방에 위치되며, 안면부(10)의 윤곽 형상에 맞춰 신축되어 안면부(10)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서 피부 접촉층(120)이 "밀착"된다고 하는 것은, 안면부(10)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하는 것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6, when the mask 100 is worn, a plurality of wrinkles L are spread, and the main body 110 having a flat plate shape before being worn is deform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mask 100, a space S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skin-contact layer 120, and at least a part of the respirator (that is, the skin- The nose 1 and a part of the mouth 2). The skin contact layer 120 is positioned behind the mask 100 de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can be stretched or shrunk in conformity with the outline shape of the face portion 10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rtion 10.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kin contact layer 120 in the present disclosure is " adhered " to include all of partially or wholly adhered to the face portion 10.

일 실시예의 마스크(100)는 착용자의 코(1)에 마스크(100)가 걸리도록 하여 마스크(100)의 처짐이나 벗겨짐을 방지하고, 마스크(100)가 코 부분에 밀착되도록 하는 코편(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코편(140)은 본체부(11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부 접촉층(120)을 향하는 내피층(113)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The mask 100 of one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nose piece 140 for preventing the mask 100 from being sagged or peeled by allowing the mask 100 to be caught on the nose 1 of the wearer and for bringing the mask 10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nose portion, As shown in FIG. The nose 140 may be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110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ndothelial layer 113 facing the skin contact layer 120, for example.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00)는 코편(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내피층(113)에 부착되는 코스펀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스펀지(150)는 내피층(113)과 피부 접촉층(120) 사이에 구비되어 마스크(100)의 착용 시 코(1) 부위에 접촉된다. 이러한 코스펀지(150)는 쿠션 재질로 이루어져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코(1) 주변에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한다.7 and 8, the mask 100 may further include a co-sponge 150 attached to the endothelial layer 113 to cover some or all of the co- The co-sponge 150 is provided between the endothelial layer 113 and the skin-contact layer 120 and contacts the nose 1 when the mask 100 is worn. Such a co-sponge 150 is made of a cushion material to improve comfort and minimize leakage of air around the nose 1.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크(100)는 본체부(110)에 펼침 및 접힘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주름 구조를 가진다. 본체부(110)는 복수의 주름(L)에 의해 형태 유지부(110a), 적어도 하나의 상측 전개부(110b) 및 적어도 하나의 하측 전개부(110c)로 구분될 수 있다. 형태 유지부(110a)는 본체부(110)의 입체 형상으로의 변형 시 기준이 된다. 상측 전개부(110b)는 형태 유지부(110a)로부터 순차적으로 하측 부분이 부분적으로 접혀 형성된다. 또한, 하측 전개부(110c)는 형태 유지부(110a)로부터 순차적으로 상측 부분이 부분적으로 접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마스크(100)가 5단 주름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3개의 상측 전개부(110b)와 2개의 하측 전개부(110c)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주름(L)의 개수는 일 실시예의 주름(L)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나 4개의 주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6개 이상의 주름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mask 100 has an improved wrinkle structure to facilitate spreading and folding in the main body 110. The main body 110 may be divided into a shape holding portion 110a, at least one upper side developing portion 110b and at least one lower side developing portion 110c by a plurality of corrugations L. The shape retaining portion 110a serves as a reference when deforming the body portion 110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The upper spreading portion 110b is formed by partially folding the lower portion sequentially from the shape holding portion 110a. In addition, the lower side deploying portion 110c is formed by partially folding the upper portion sequentially from the shape retaining portion 110a. In one embodiment, the mask 100 has a five-fold pleat structure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three upper side deployments 110b and two lower side deployments 110c. The number of the corrugations L formed in the main body 110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corrugations L in the embodiment, and may be three corrugations or four corrugations or may be formed by six or more corrugations .

이하에서는,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황사용 마스크의 주요 항목들을 만족하는 마스크(100)의 성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황사용 마스크의 성능과 관련하여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주요 항목들로는 안면부 누설률, 분진포집효율, 안면부 흡기저항이 있으며, 25% 미만의 안면부 누설률, 80%를 초과하는 분집포집효율 및 60㎩ 미만의 안면부 흡기저항을 만족할 것을 황사용 마스크의 성능으로서 요구하고 있다.Hereinafter, the performance of the mask 100 that satisfies the main items of the sulfur-used mask required by the destination of dissolu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performance of sulfur-using mask, the major items required by the pharmacy are facial leakage rate, dust collection efficiency, facial air inspiration resistance, face leakage rate of less than 25%, bulk collection efficiency of more than 80% Which is required for the performance of the sulfur-using mask.

표 1은 안면부 누설률과 관련한 마스크의 제품별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1의 실험 데이터를 얻기 위해 호흡기 보호구 밀착도 시험기(예컨대, TSI사의 TSI8038 기기로 실험)가 사용되었다. 표 1에 있어서, 실시예 1은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120)을 구비한 마스크, 실시예 2는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120) 및 코스펀지(150)를 구비한 마스크 실험 샘플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1은 피부 접촉층(120) 및 코스펀지(150)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적인 평판형 마스크의 샘플을 나타낸다.Table 1 shows the experimental data of each product of the mask with respect to the leakage rate of the face portion. To obtain the experimental data in Table 1, a respiratory protection tightness tester (e.g., TSI 8038 instrument from TSI) was used. In Table 1, Example 1 is a mask having a skin contact layer 120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Example 2 is a mask test sample having a skin contact layer 120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a co- . In addition, Comparative Example 1 shows a sample of a general planar mask without the skin contact layer 120 and the co-sponge 150.

구분division 적합 요소Fit factor 누설률Leakage rate 총 누설률Total leak rate 안면부 누설률
(식약처 기준)
Facial leak rate
(Based on the pharmacy)
비고Remarks
실시예 1Example 1 50~10050-100 1%~2%1% to 2% 12%12% 25% 미만 기준 만족Less than 25% satisfied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 구비Skin-contact layer with elastic material 실시예 2Example 2 200 이상200 or more 0.5%0.5% 10.5%10.5% 25% 미만 기준 만족Less than 25% satisfied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 및 코스펀지 구비Stretchable skin-contact layer and co-spong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52 to 5 50%50% 60%60% 25% 미만 기준 만족하지 못함Less than 25% Satisfied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 및 코스펀지 구비하지 않음No skin contact layer or co-sponge in elastic material

표 1에서, 적합 요소(Fit Factor)는 마스크가 안면부에 밀착되는 정도를 나타내고, 적합 요소가 클수록 밀착 정도가 높다. 또한, 누설률(Inward Leakage; IL)은 마스크와 안면부 사이에서 공기가 누설되는 정도를 나타내며, 총 누설률(Total Inward Leakage; TIL)은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본체부(110)에서의 공기가 누설되는 정도를 모두 반영한 전체 누설률을 나타낸다.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2에서는 총 누설률이 12%와 10.5%로 각각 측정되어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안면부 누설률의 조건 25% 미만의 조건을 만족한다. 이에 반해, 비교예 1은 총 누설률이 60%로 측정되어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안면부 누설률 25% 미만인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 즉, 일반적인 평판 형상의 마스크로는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황사용 마스크의 안면부 누설률의 조건을 만족할 수 없다.In Table 1, the Fit Factor indicates the degree to which the mas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rtion, and the larger the fitment factor, the higher the degree of contact. In addition, the leakage rate (IL) indicates the degree of leakage of air between the mask and the face portion, and the total leakage rate (Total Inward Leakage: TIL) indicates leakage of air from the main body 110, Of the total leak rate. As shown in Table 1, in Examples 1 and 2, the total leakage rate was measured as 12% and 10.5%, respectively, and the condition of the face leakage rate required by the hospital is less than 25%. On the contrary, Comparative Example 1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 that the total leakage rate is measured as 60% and the leakage rate of the face portion required by the hospital is less than 25%. That is, the general flat-plate type mask can not satisfy the condition of the leakage rate of the face portion of the sulfur-using mask required by the disinfecting destination.

표 2는 일 실시예의 마스크(100)에 사용되는 피부 접촉층(120)의 신축성과 관련한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다.Table 2 shows experimental data relating to the elasticity of the skin contact layer 120 used in the mask 100 of one embodiment.

구분division 인장신도(가로 방향)Tensile elongation (transverse direction) 인장신도(세로 방향)Tensile elongation (longitudinal direction) 신축성 재질Elastic material 65%~80%65% to 80% 140%~170%140% to 170% 비신축성 재질Non-stretchable material 55%~65%55% to 65% 35%~50%35% to 50%

일 실시예에서는, 가로 방향(Mask Machine Direction; MD)으로의 인장신도가 65% 이상이고, 세로 방향(Mask Cross Direction; CD)으로의 인장신도가 140% 이상인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피부 접촉층(120)을 마스크(100)에 구비한다. 피부 접촉층(120)의 가로 방향(예컨대, 도 1에서의 X방향)으로의 인장신도가 65% 미만이고, 세로 방향(예컨대, 도 1에서의 Y방향)으로의 인장신도가 140% 미만인 경우에는, 마스크(100)의 착용 시 피부 접촉층(120)이 안면부(10)의 윤곽 형상을 따라 원활하게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못해 피부 접촉층(120)이 안면부(10)에 밀착되지 못하고, 마스크(100)와 안면부(10) 사이에 공기가 누설될 수 있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skin contact layer (not shown)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having a tensile elongation to a Mask Machine Direction (MD) of 65% or more and a tensile elongation to a longitudinal direction (Mask Cross Direction; CD) 120 are provided on the mask 100. When the tensile elonga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or example, the X direction in FIG. 1) of the skin contact layer 120 is less than 65% and the tensile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the Y direction in FIG. 1) is less than 140% The skin contact layer 120 does not smoothly stretch or shrink along the contour of the face portion 10 when the mask 100 is worn and the skin contact layer 120 is not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rtion 10, And the face portion 10 can be formed with a gap through which air can leak.

표 3은 안면부 누설률과 관련한 마스크의 재료별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다. 즉, 표 3은 피부 접촉층(120)을 신축성 재질로 형성할 때와 비신축성 재질로 형성할 때의 안면부 누설률과 관련한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3의 실험 데이터를 얻는 데 있어서도, 표 1에서와 같은 호흡기 보호구 밀착도 시험기가 사용되었다. 표 3에서, 실시예 1은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120)을 구비한 마스크 샘플, 실시예 2는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120) 및 코스펀지(150)를 구비한 마스크 샘플을 각각 나타낸다. 비교예 1은 비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을 구비하고, 코스펀지(150)는 구비하지 않는 마스크 샘플을 나타낸다.Table 3 shows experimental data of the material of the mask with respect to the leakage rate of the face portion. That is, Table 3 shows experimental data relating to the leakage of the face portion when the skin contact layer 120 is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when the skin contact layer 120 is formed of a non-stretchable material. In order to obtain the experimental data of Table 3, respiratory protection tightness tester as shown in Table 1 was used. In Table 3, Example 1 shows a mask sample with a skin contact layer 120 of a stretchable material, Example 2 shows a mask sample with a skin contact layer 120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co-sponge 150, respectively . Comparative Example 1 shows a mask sample having a skin-contact layer of a non-stretchable material and not having a co-sponge 150.

구분division 적합 요소Fit factor 누설률Leakage rate 총 누설률Total leak rate 안면부 누설률
(식약처 기준)
Facial leak rate
(Based on the pharmacy)
비고Remarks
실시예 1Example 1 50~10050-100 1%~2%1% to 2% 12%12% 25% 미만 기준 만족Less than 25% satisfied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 구비Skin-contact layer with elastic material 실시예 2Example 2 200 이상200 or more 0.5%0.5% 10.5%10.5% 25% 미만 기준 만족Less than 25% satisfied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 및 코스펀지 구비Stretchable skin-contact layer and co-spong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5~105 to 10 10%~20%10% to 20% 20%~30%20% to 30% 25% 미만 기준 만족하지 못함Less than 25% Satisfied 비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 구비, 코스펀지 구비하지 않음Non-stretchable skin-contact layer, no co-sponge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는 총 누설률이 12%, 10.5%로 각각 측정되어 식약처의 안면부 누설률의 조건을 만족한다. 그러나, 비교예 1에서와 같이 비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피부 접촉층이 구비되고, 코스펀지(150)는 구비되지 않는 마스크인 경우에는, 실시예 1 및 2에 비해 안면부(10)에 밀착되지 못해 총 누설률이 20~30%로 높게 측정된다. 이 경우, 식약처의 안면부 누설률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수 있어, 비교예 1과 같은 마스크는 황사용 마스크로서 성능을 만족하지 못한다.As can be seen in Table 3, in Examples 1 and 2, the total leakage rate was measured as 12% and 10.5%, respectively, and satisfied the condition of the facial leakage rate of the plant. However, in the case of a mask not provided with the co-sponge 150, a skin contact layer made of a non-stretchable material is provided as in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mask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rtion 10 as compared with Embodiments 1 and 2, Leakage rate is measured as high as 20 ~ 30%. In this case, the condition of the facial portion leakage rate of the destination can not be satisfied, and the mask of Comparative Example 1 does not satisfy the performance as a sulfur-using mask.

표 1에서와 같이, 표 3에서도 마스크에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120)에 더하여 코스펀지(150)를 구비하는 경우에 총 누설률이 작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in Table 3, it can be seen that the total leakage rate is small when the mask is provided with the cohesion 150 in addition to the skin contact layer 120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표 4는 분집포집효율과 관련한 마스크의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표 4는 마스크의 필터층과 관련한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4의 실험 데이터는 포집효율 시험기(예컨대, TSI사의 TSI8130 기기, NaCl 95LPM인 조건에서 실험)로 측정하여 얻은 데이터이다. 비교예 1은 20gsm의 평량을 갖는 필터층을 구비한 마스크 샘플을 나타내고, 실시예 1은 25gsm의 평량을 갖는 필터층을 구비한 마스크 샘플을 나타내고, 실시예 2는 40gsm의 평량을 갖는 필터층을 구비한 마스크 샘플을 나타낸다.Table 4 shows the experimental data of the mask related to the collection efficiency. Specifically, Table 4 shows experimental data relating to the filter layer of the mask. The experimental data in Table 4 are data obtained by measuring with a collection efficiency tester (for example, TSI 8130 instrument of TSI, experiment under the condition of NaCl 95LPM). Comparative Example 1 shows a mask sample with a filter layer having a basis weight of 20 gsm, Example 1 shows a mask sample with a filter layer having a basis weight of 25 gsm, Example 2 shows a mask with a filter layer having a basis weight of 40 gsm, Samples are shown.

구분
(측정 횟수)
division
(Number of measurements)
분집포집효율Collection efficiency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1회1 time 70.1%70.1% 99.4%99.4% 100.0%100.0% 2회Episode 2 71.0%71.0% 99.2%99.2% 99.9%99.9% 3회3rd time 71.0%71.0% 99.0%99.0% 99.9%99.9% 4회4 times 70.8%70.8% 98.8%98.8% 99.9%99.9% 5회5 times 72.0%72.0% 98.8%98.8% 99.8%99.8% 분집포집효율
80% 초과
(식약처 기준)
Collection efficiency
More than 80%
(Based on the pharmacy)
만족하지 못함Not satisfied 만족satisfied 만족satisfied

표 4에서와 같이,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필터층(112)이 20gsm인 평량을 갖는 경우에는, 분집포집효율(Filtration Efficiency)이 모두 80% 미만으로 측정된다. 또한,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필터층(112)이 25gsm, 40gsm인 평량을 갖는 경우에는 분집포집효율이 모두 80%를 초과하여 측정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필터층(112)을 25gsm 이상의 평량을 가진 재료로 형성하여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분집포집효율 80%를 초과하는 조건을 안정적으로 만족하도록 하였다.As shown in Table 4, when the filter layer 112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has a basis weight of 20 gsm,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measured to be less than 80%. In the case where the filter layer 112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has a basis weight of 25 gsm and 40 gsm, the collecting collecting efficiency is measured in excess of 80%. In one embodiment, the filter layer 112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basis weight of 25 gsm or more to stably satisfy a condition exceeding 80% of the collecting efficiency required by the destination.

표 5는 분집포집효율과 관련한 마스크의 제품별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5의 실험 데이터는 표 4와 같은 포집효율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표 5에서, 실시예 1은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120)을 구비하는 마스크, 실시예 2는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120) 및 코스펀지(150)를 구비하는 마스크를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1은 피부 접촉층(120) 및 코스펀지(150)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적인 평판형 마스크를 나타낸다.Table 5 shows the experimental data of each product of the mask in relation to the collection efficiency. The experimental data in Table 5 were measured using a collecting efficiency tester as shown in Table 4. In Table 5, Example 1 shows a mask having a skin contact layer 120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Example 2 shows a mask having a skin contact layer 120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a co-sponge 150. In addition, Comparative Example 1 shows a general planar mask without the skin contact layer 120 and the co-sponge 150.

구분division 분집포집효율Collection efficiency 분집포집효율
(식약처 기준)
Collection efficiency
(Based on the pharmacy)
비고Remarks
실시예 1Example 1 98.4%98.4% 80% 초과 기준 만족Satisfies over 80% criteria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 구비Skin-contact layer with elastic material 실시예 2Example 2 98.4%98.4% 80% 초과 기준 만족Satisfies over 80% criteria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 및 코스펀지 구비Stretchable skin-contact layer and co-spong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65.3%65.3% 80% 초과 기준 만족하지 못함Not satisfied with over 80% criterion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 및 코스펀지 구비하지 않음No skin contact layer or co-sponge in elastic material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에서는 분집포집효율이 모두 98.4%로 측정되어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분집포집효율을 80% 초과하는 조건을 만족한다. 반면, 비교예 1은 분집포집효율이 65.3%로 측정되어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분집포집효율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 즉, 일반적인 평판 형상의 마스크로는 80%를 초과하는 분집포집효율을 만족할 수 없다.As can be seen in Table 5, in Examples 1 and 2,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collecting was measured to be 98.4%, which satisfies the condition that the collecting efficiency required by the destination is 80% or more.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collecting was measured to be 65.3%, and thus the condition of collecting collecting efficiency required by the receiving place is not satisfied. That is, a general flat plate type mask can not satisfy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collecting more than 80%.

표 6은 안면부 흡기저항과 관련한 마스크의 제품별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1의 실험 데이터는 흡기저항 시험기(30LPM 조건)로 측정하여 얻은 데이터이다. 실시예 1은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120)을 구비한 마스크, 실시예 2는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120) 및 코스펀지(150)를 구비한 마스크를 각각 나타낸다.Table 6 shows experimental data of each product of the mask with respect to the intake air resistance of the face. The experimental data in Table 1 are data obtained by measuring with an intake resistance tester (30 LPM condition). Example 1 shows a mask having a skin contact layer 120 of a stretchable material, Example 2 shows a mask having a skin contact layer 120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a co-sponge 150, respectively.

구분division 흡기저항Intake resistance 안면부 흡기저항
(식약처 기준)
Face suction resistance
(Based on the pharmacy)
비고Remarks
실시예 1Example 1 19.6㎩19.6 Pa 60㎩ 미만 기준 만족Satisfies below 60 Pa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 구비Skin-contact layer with elastic material 실시예 2Example 2 20.6㎩20.6 Pa 60㎩ 미만 기준 만족Satisfies below 60 Pa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 및 코스펀지 구비Stretchable skin-contact layer and co-sponge

표 6을 살펴보면, 실시예 1 및 2는 흡기저항이 60㎩ 미만으로 측정된다. 즉, 황사용 마스크의 주요 항목들 중 안면부 흡기저항의 경우, 적어도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120)을 구비하면, 코스펀지(150)의 유무와 관계없이 그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Referring to Table 6, in Examples 1 and 2, the intake resistance was measured to be less than 60 Pa. That is, in the case of the face air intake resistance among the main items of the sulfur-using mask, it is confirmed that the skin contact layer 120 having at least a stretchable material can satisfy the criteria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sponge 150.

이와 같은 여러 실험들을 통해,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황사용 마스크로의 주요 항목들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마스크(100)는 25% 미만의 안면부 누설률, 80%를 초과하는 분집포집효율 및 60㎩ 미만의 안면부 흡기저항을 만족한다. 실시예의 마스크(100)는 착용 전 평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지만, 피부에 닿는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120)을 구비하고 있어 일반적인 평판형 마스크와는 달리 공기의 누설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가지며,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황사용 마스크의 주요 항목들을 모두 만족하는 성능을 가진다. 이러한 마스크는 황사용 마스크의 일 형태로 디자인되어 제조가 가능하다.Through such experimen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as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atisfies all of the main items of the sulfur mask required by the sink. That is, the mask 100 satisfies a facial portion leakage rate of less than 25%, a collecting collection efficiency of more than 80%, and a face air intake resistance of less than 60Pa. The mask 100 of the embodiment i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before being worn, but has a skin contact layer 120 of a stretchable material touching the skin. Therefore, unlike a general planar mask, the mask 100 has a structure for minimizing leakage of air, Which is required by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mask can be manufactured by designing as a form of a sulfur-using mask.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permuta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 마스크 110: 본체부
110a: 형태 유지부 110b: 상측 전개부
110c: 하측 전개부 111: 외피층
112: 필터층 113: 내피층
120: 피부 접촉층 130: 고리부
140: 코편 150: 코스펀지
100: mask 110:
110a: shape retaining portion 110b: upper side development portion
110c: lower side development part 111: outer shell layer
112: filter layer 113: endothelial layer
120: skin contact layer 130:
140: COSMO 150: COSSON

Claims (8)

안면부의 호흡기를 가려 보호하는 마스크로서,
외피층, 내피층 및 상기 외피층과 상기 내피층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층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가로 방향으로의 양쪽에 부착되는 고리부 및
상기 내피층에 부착되고 중앙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신축성 재질의 피부 접촉층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세로 방향으로 펼쳐짐이 가능하게 주름잡힌 복수의 주름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의 착용 시 상기 복수의 주름이 펼쳐져 평판 형태의 상기 본체부가 입체 형태로 변형되며,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내피층과 상기 피부 접촉층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호흡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피부 접촉층은 신축함으로써 상기 안면부에 밀착되는,
마스크.
As a mask for covering the respiratory apparatus of the face portion,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n outer skin layer, an inner skin layer, and a filter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skin layer and the inner skin layer;
An annular portion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skin contact layer attached to the endothelial layer and having a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has a plurality of corrugated pleats so as to be able to be sprea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respirator is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endothelial layer and the skin contact layer through the hole, Wherein the skin contact layer is in contact with the face portion by stretching and shrinking,
Ma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층은 상기 가로 방향으로의 인장신도가 65% 이상이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인장신도가 140% 이상인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kin contact layer is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having a tensile elonga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65% or more and a tensile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40%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층은 25gsm 이상의 평량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lay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basis weight of 25 gsm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외피층에 부착되는 한 쌍의 귀걸이끈을 포함하는,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aid ring portion including a pair of earring straps attached to said shell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층을 향하는 상기 내피층에 부착되는 코편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nose that is attached to the endothelial layer facing the skin contact lay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편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내피층에 부착되고 상기 내피층과 상기 피부 접촉층 사이에 구비되는 코스펀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co-sponge attached to the endothelial layer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nose and being provided between the endothelial layer and the skin-contact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복수의 주름에 의해 구분되는 형태 유지부, 상기 형태 유지부로부터 순차적으로 하측 부분이 부분적으로 접힌 적어도 하나의 상측 전개부 및 상기 형태 유지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측 부분이 부분적으로 접힌 적어도 하나의 하측 전개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shape retaining portion that is divided by the plurality of corrugations, at least one upper expanding portion in which the lower portion is partially folded in order from the shape retaining portion, and at least one upper expanding portion that sequentially sequentially folds the upper portion from the shape retaining portion And a lower deploymen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분집포집효율은 80%를 초과하고, 안면부 흡기저항은 60㎩ 미만이고, 안면부 누설률은 25% 미만인,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lecting collection efficiency is greater than 80%, the face suction resistance is less than 60Pa, and the face portion leakage rate is less than 25%.
KR1020170142550A 2017-10-30 2017-10-30 Mask KR201900480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550A KR20190048060A (en) 2017-10-30 2017-10-30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550A KR20190048060A (en) 2017-10-30 2017-10-30 Ma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060A true KR20190048060A (en) 2019-05-09

Family

ID=6654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550A KR20190048060A (en) 2017-10-30 2017-10-30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806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296A (en)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 퍼플글로벌 Mask with oxygen generation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296A (en)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 퍼플글로벌 Mask with oxygen genera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1618B2 (en) Medical face mask with clear portion
CN106659257B (en) Respirator including equivalent beds
US20140326255A1 (en) Medical Face Mask with Sealing Strip
US20190069615A1 (en) Face mask having transparent plastic piece
US20140326245A1 (en) Medical Face Mask with Sealing Strip
CN110101148A (en)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with nose buffer component
CN206062218U (en) A kind of variable plane cavate medical protective mask
JP2012512702A (en) Extendable face mask with engageable stiffening elements
US20210316165A1 (en) Face mask
TWI790455B (en) Face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TW201318665A (en) Foldable 3D mask
KR20170093560A (en) Mask
KR20190048060A (en) Mask
CN211960990U (en) Antifog type respirator
JP2015009151A (en) Medical face mask
KR20210059836A (en) Mask
RU182435U1 (en) MASK OF MEDICAL ANATOMIC FORM
RU175021U1 (en) 3D medical protective mask
RU2642399C1 (en) Filtering medical 3d mask
KR102624660B1 (en) Mask
CN213045334U (en) Breathable mask
CN219593782U (en) Mask capable of being transversely folded
CN215013825U (en) Medical mask
JP3232483U (en) Folding face mask
KR102347594B1 (en) Mask including adhesion for disinfection and dustp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