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594B1 - Mask including adhesion for disinfection and dustproof - Google Patents

Mask including adhesion for disinfection and dustpro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594B1
KR102347594B1 KR1020200043702A KR20200043702A KR102347594B1 KR 102347594 B1 KR102347594 B1 KR 102347594B1 KR 1020200043702 A KR1020200043702 A KR 1020200043702A KR 20200043702 A KR20200043702 A KR 20200043702A KR 102347594 B1 KR102347594 B1 KR 102347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ask
opening
adhesive
adhesi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7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6206A (en
Inventor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이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석 filed Critical 이용석
Priority to KR102020004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594B1/en
Publication of KR20210126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2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41D13/1169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us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2Assembling eyepieces, lenses or vision-correction means in or on gas-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점착부를 포함하는 방역 및 방진 마스크가 제공된다. 상기 마스크는 다층 구조를 갖는 마스크로서, 겉감을 구성하는 제1 층;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되고 개구를 갖는 제2 층; 상기 제2 층 상에 배치되고 개구를 가지며 안감을 구성하는 제4 층; 및 상기 제2 층의 개구 및 상기 제4 층의 개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점착부를 포함한다.A quarantine and dust-proof mask including an adhesive is provided. The mask is a mask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layer constituting an outer material; a second layer disposed on the first layer and having an opening; a fourth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layer and having an opening and constituting a lining; and an adhesive portion that at least partially overlaps the opening in the second layer and the opening in the fourth layer.

Description

점착부를 포함하는 방역 및 방진 마스크{MASK INCLUDING ADHESION FOR DISINFECTION AND DUSTPROOF}Prevention and dust mask including adhesive part

본 발명은 방역용 및/또는 방진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점착부를 포함하는 방역 및 방진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for prevention and/or dust protec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epidemic and dust-proof mask including an adhesive part.

일반적으로 마스크(mask)는 인간의 얼굴 등에 착용하여 얼굴을 부분적으로 가리거나 가릴 수 있는 도구를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마스크는 용도에 따라 크게 미용 마스크, 보온 마스크, 방역 마스크(보건용 마스크), 방진 마스크, 방독 마스크, 화재 마스크 등으로 대별될 수 있다.In general, a mask is used as a generic term for a tool that can be worn on a human face or the like to partially cover or cover the face. Mask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cosmetic masks, thermal masks, quarantine masks (health masks), dust masks, gas masks, fire masks,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use.

최근 미세먼지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특히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첫 사례가 발생하여 전세계적인 펜데믹(pandemic)을 일으키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의해 방역 마스크 및 방진 마스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Recently, the problem of fine dust has come to the fore, and in particular, the first case occurred in Wuhan, China in December 2019, causing a worldwide pandemic. importance is growing.

방역 마스크와 방진 마스크는 모두 미세 사이즈의 입자상 물질을 필터를 통해 걸러내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다. 현재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은 마스크에 대해 KF80, KF94, KF99로 나누어 입자 차단 성능 인증을 부여하고 있다. 예컨대 KF80 등급의 마스크는 평균 입도 0.6㎛ 크기의 미세 입자를 80% 이상 차단하고, KF94 및 KF99 등급의 마스크는 평균 입도 0.4㎛ 크기의 초미세 입자를 각각 94% 및 99% 이상 차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 외에도 각 국가 별로 다양한 입자 차단 성능 인증을 부여하고 있다.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은 기름(oil)의 저항 여부에 따라, 미세 입자의 차단능에 따라 여러 등급을 부여하고 있다. 예컨대 N95 등급의 마스크는 기름 성분에 대해 저항이 없고(Not resistant to oil) 1.0㎛ 크기의 미세 입자를 95% 이상 차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Both the quarantine mask and the dust mask have similarities in that they filter fine-sized particulate matter through a filter. Currentl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f the Republic of Korea grants particle blocking performance certification for masks approved as quasi-drugs by dividing them into KF80, KF94, and KF99. For example, a mask of KF80 grade blocks more than 80% of fine particles with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6 μm, and masks of KF94 and KF99 grades can block 94% and 99% or more of ultra-fine particles with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4 μm, respectively. do. In addition, various particle blocking performance certifications are granted for each country. The U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is giving various grades according to the resistance of oil and the blocking ability of fine particles. For example, an N95 grade mask means that it is not resistant to oil and can block more than 95% of fine particles with a size of 1.0 μm.

한편 코로나 바이러스의 크기는 대략 0.4㎛ 내지 0.6㎛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셀의 크기가 큰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 차단용 방진 마스크만으로도 방진 효과 뿐 아니라 상당한 방역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은 바이러스 차단을 위해서 N95 등급 이상의 방진 마스크를 착용하여도 전염병 예방에 효과적임을 발표한 바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corona virus is about 0.4 μm to 0.6 μm, which is known as a virus with a relatively large cell size. Therefore, only a dust mask for blocking fine dust can exhibit not only a dust-proof effect but also a significant anti-epidemic effect. For this purpose, the U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nnounced that even wearing a dust mask of N95 grade or higher to block the virus is effective in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9-0009814호 (2019.01.29.)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9-0123919호 (2019.11.04.)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591165호 (2016.02.18.) (특허문헌 4)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6-0028202호 (2016.03.11.) (특허문헌 5) 한국공개실용신안문헌 제20-2016-0003506호 (2016.10.1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09814 (2019.01.29.) (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23919 (2019.11.04.) (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Document 10 -1591165 (2016.02.18.) (Patent Document 4)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28202 (2016.03.11.) (Patent Document 5) Korean Utility Model Document No. 20-2016-0003506 (2016.10. .11.)

마스크에 의한 방역 특성 및/또는 방진 특성을 확실하게 담보하기 위해서는 호흡기 경로, 즉 입과 코를 완전히 가리고 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스크를 인간의 안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마스크의 좌우 단부에 인간의 귀에 걸 수 있는 고무줄 소재의 고리를 마련하여 귀 걸이식 마스크로 구현하거나, 인간의 두상에 걸 수 있도록 두상 걸이식 마스크로 구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t is important to completely cover the respiratory path, that is, the mouth and nose, and keep the condition stable in order to reliably guarantee the quarantine and/or dust-proof characteristics of the mask. In order to stably fix the mask to the human face, a rubber band material that can be hung on the human ear is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sk to be implemented as an ear-hung mask, or as a head-hung mask to be hung on the human head it is common to do

그러나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할 경우 고무줄 소재가 인간의 피부를 압박하여 불편함을 야기하고, 심할 경우 멍울이 생기거나 피부에 찰과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the mask is worn for a long time, the rubber band material compresses the human skin, causing discomfort, and in severe cases, there is a problem that a lump or abrasion occurs on the skin.

또한 사람마다 안면의 크기가 달라 고리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고리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별도로 필요한 실정이다. 그리고 귀 걸이식 마스크는 약한 충격에도 고리가 귀로부터 쉽게 벗겨질 수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 그 외에도 착용자의 귀걸이나 이어폰 등의 착용 여부에 따라 귀 걸이식 마스크 및 두상 걸이식 마스크는 여러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face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a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ing or fixing the ring is required separately. In addition, the ear-hung mask needs supplementation as the ring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ear even with a slight impact. In addi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wearer wears earrings or earphones, the ear-hung type mask and the head-hung type mask have several problems.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마스크가 연구개발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types of masks ar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마스크 본체 상부에 점착 테이프를 마련하여 안면과 마스크 간의 밀착력을 높이는 구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은 점착 테이프가 인간의 콧등 부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은 안면과 마스크 간의 밀착력을 높임으로써 마스크 상부로 기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안경의 김서림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음을 교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도 2 등을 참조하면 단순히 마스크의 안감 외부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구조에 불과하다.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face and the mask by providing an adhesive tap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sk body. Specifically, Patent Document 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dhesive tape is attached to the human nose bridge. In addition, Patent Document 1 teaches that by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face and the mask, it is possible to prevent gas from flowing over the mask and prevent problems such as fogging of glasses. However, referring to FIG. 2 of Patent Document 1, it is merely a structure for attaching an adhesive tape to the outside of the lining of the mask.

특허문헌 2 또한 특허문헌 1과 유사한 구조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2는 마스크 본체의 상부 뿐만 아니라 하부 및 양 측부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여 안면과 마스크 간의 밀착력을 높이는 구조를 개시한다. 또한 점착 테이프가 부착된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에 관한 특허문헌 2의 도 4를 참조하면, 마스크 본체를 제조 후 양면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구조에 불과하다. Patent Document 2 also disclose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Patent Document 1.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face and the mask by attaching an adhesive tape to the upper part as well as the lower part and both sides of the mask body.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of Patent Document 2 related to manufacturing a mask with an adhesive tape attached thereto, it is merely a structure in which a double-sided adhesive tape is attached after the mask body is manufactured.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도 앞선 특허문헌들과 마찬가지로 마스크의 내면 상에 점착 물질을 도포하여 점착 물질이 안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구조를 개시한다.Patent Document 3, Patent Document 4, and Patent Document 5 also disclose a structure configured such that the adhesive material is attached to the face by applying an adhesive materia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like the previous patent documents.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5에 개시된 마스크는 모두 마스크 본체의 내측면에 점착 테이프 등을 배치한다는 점에서 유사점이 있으며 전술한 귀 걸이식 마스크 및 두상 걸이식 마스크의 문제점을 다소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마스크는 점착부와 마스크 본체 간의 결합력이 약하고 안면과 마스크 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마스크 본체가 다층 부직포 구조 등을 가질 경우 이런 문제는 더욱 심화될 수 있다.All of the mask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to 5 have similarities in that an adhesive tape or the like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and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ear-hung mask and the head-hung type mask can be somewhat solved. However, the mask having this structure has a weak bonding force between the adhesive part and the mask body, and there is a limit in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face and the mask. In particular, when the mask body has a multi-layered non-woven fabric structure, this problem may be further exacerbated.

예를 들어, 점착 테이프가 인간 안면과 너무 강하게 결합될 경우 점착 테이프가 마스크 본체로부터 탈락하는 문제가 있다. For example, when the adhesive tape is too strongly bonded to the human f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dhesive tape is detached from the mask body.

다른 예를 들어, 점착 테이프가 인간 안면 및 마스크 본체와 너무 강하게 결합될 경우, 다층 구조의 부직포들 사이의 공간이 벌어지며 미세 입자의 필터 특성이 저하되고, 심할 경우 부직포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if the adhesive tape is too strongly bonded to the human face and mask body, the space between the multi-layered nonwovens is widened, the filter properties of fine particles are deteriorated, and in severe cases, the nonwoven fabric may be torn. have.

또 다른 예를 들어, 다층 구조의 부직포들은 서로 간에 위치가 고정되지 않는 반면 점착 테이프는 오직 마스크 본체의 안감을 구성하는 부직포에 부착되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가 안면에 부착되더라도 마스크 본체의 실질적인 밀착력은 높지 않을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since the nonwoven fabrics of the multilayer structure are not fixed in position with each other, the adhesive tape is only attached to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lining of the mask body, so even if the adhesive tape is attached to the face, the actual adhesion of the mask body is not high. can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점착부를 포함하여 인간의 안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 가능하되,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고 안면과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된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capable of at least partially bonding to a human face, including an adhesive part,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further improving adhesion to the fa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점착부를 포함하여 인간의 안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 가능하되,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고 안면과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된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sk capable of being at least partially coupled to a human face, including an adhesive, but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improved adhesion to the fa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다층 구조를 갖는 마스크로서, 겉감을 구성하는 제1 층;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되고 개구를 갖는 제2 층; 상기 제2 층 상에 배치되고 개구를 가지며 안감을 구성하는 제4 층; 및 상기 제2 층의 개구 및 상기 제4 층의 개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점착부를 포함한다.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mask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layer constituting an outer material; a second layer disposed on the first layer and having an opening; a fourth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layer and having an opening and constituting a lining; and an adhesive portion that at least partially overlaps the opening in the second layer and the opening in the fourth layer.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점착부를 안면에 부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손쉽게 마스크를 탈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mask can be easily detached by a method such as attaching the adhesive to the face.

평면 시점에서,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제2 층의 개구 및 상기 제4 층의 개구 보다 더 크고,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In a plan view, the adhesive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opening of the second layer and the opening of the fourth layer, and the adhesive portion may be at least partiall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이를 통해 점착부를 상기 제1 층과 결합시킬 수 있고 마스크의 내구성과 안면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adhesive portion can be combined with the first layer, and durability and face adhesion of the mask can be improved.

또, 상기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점착부는 착용자의 볼에 상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점착부가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로 개재되는 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외곽부 방향으로 개재되는 폭은 상기 마스크의 중앙부 방향으로 개재되는 폭의 2배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sk is worn, the adhesive part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wearer's cheeks, and in the width where the adhesive part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the width inter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part of the mask is It may be more than twice the width inter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mask.

마스크의 안감 측에 점착부가 배치될 경우 내구성이 문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점착부와 마스크 본체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마스크 외곽부 방향이 마스크 중앙부 방향보다 취약함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If the adhesive portion is disposed on the lining side of the mask, durability may be a problem.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weakness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portion of the mask tha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mask in the bonding structure of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mask body.

또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닿고, 상기 제1 층과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닿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닿을 수 있다.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at least partially contact each other, the first layer and the adhesive portion may at least partially contact each other, and the second layer and the adhesive portion may at least partially contact each other.

이를 통해 점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durability of the mask including the adhesive part may be improved.

아울러,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상기 제4 층 및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중첩 부위에서,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상기 제4 층 및 상기 점착부는 서로 열 부착, 고주파 부착 또는 레이저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ayer, the second layer, the fourth layer, and the adhesive portion at least partially overlap, and in the overlapping portion, the first layer, the second layer, the fourth layer and the adhesive portion are heated with each other It can be affixed, radiofrequency affixed or laser affixed.

제1 층, 제2 층 및 제4 층 등을 포함하는 마스크와 점착부를 함께 결합시킴으로써 별도의 공정 추가 없이도 점착부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bonding the adhesive part together with the mask including the first layer, the second layer, and the fourth layer, the adhesive part can be firmly fixed without adding a separate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몇몇 실시예에서, 마스크는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4 층 사이에 개재되고 개구를 갖는 제3 층; 및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 사이에 개재된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ask comprises: a third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layer and the fourth layer and having an opening; and a wir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layer and the third layer.

점착부와 와이어를 서로 다른 층에 배치함으로써 마스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의 탈착 과정에서 점착부에 힘이 가해지며 점착부를 감싸는 두 개의 층 간의 사이가 벌어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점착부와 와이어가 동일 층에 위치할 경우 두 개의 층이 벌어지며 와이어를 고정하는 결합부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By disposing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wire on different layers, the durability of the mask can be improved.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mask, a force is applied to the adhesive part, and a gap between two layers surrounding the adhesive part may be widened. As a non-limiting example, wh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wire are located on the same layer, the two layers are spread apart and a problem such as damage to the bonding portion for fixing the wire may occur.

여기서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3 층의 개구와 중첩하고, 상기 제2 층의 개구, 상기 제3 층의 개구 및 상기 제4 층의 개구는 서로 중첩하고,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wherein the adhesive portion at least partially overlaps the opening in the third layer, the opening in the second layer, the opening in the third layer, and the opening in the fourth layer overlap each other, and the adhesive portion at least partially overlaps the opening in the fourth layer I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이를 통해 점착부를 상기 제1 층과 결합시킬 수 있고 마스크의 내구성과 안면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점착부를 마스크의 안감 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어 점착부와 착용자의 안면을 부착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adhesive portion can be combined with the first layer, and durability and face adhesion of the mask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part can be exposed to the lining side of the mask, the adhesive part can be attached to the wearer's face.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직 상기 제1 층과 중첩하되,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층, 상기 제3 층 및 상기 제4 층과 비중첩할 수 있다.The adhesive portion may at least partially overlap only the first layer, and the adhesive portion may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second layer, the third layer and the fourth layer.

이를 통해, 점착부를 마스크의 안감 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어 점착부와 착용자의 안면을 부착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adhesive part can be exposed to the lining side of the mask, so that the adhesive part and the wearer's face can be attached.

몇몇 실시예에서, 마스크는 상기 점착부를 커버하는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ask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film covering the adhesive part.

최초 상태에서 점착부는 이형 필름에 의해 커버되어 보호되고, 마스크를 사용할 경우 이형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점착부의 점착력을 담보할 수 있다.In the initial state, the adhesive part is covered and protected by the release film, and when using a mask,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part can be guaranteed by peeling the release film.

상기 점착부는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 보다 세로 방향의 최대 길이가 더 클 수 있다.The maximum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maximum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점착부를 가로 방향 보다 세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하여 점착부와 착용자의 안면 간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configuring the adhesive portion to be relatively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wearer's face may be improved.

또, 상기 마스크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스크의 중앙을 관통하는 접이선을 갖는 2단 접이식 마스크이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접이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여 짝수개이고, 상기 마스크가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상태에서, 대칭되는 위치의 2개의 점착부는 서로 맞닿아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is a two-stage foldable mask having a fold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mask, and the adhesive portion is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old line, and an even number of the mask is In the folded state along the fold line, the two adhesive portions at symmetrical positions may be configured to abut and attach to each other.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마스크가 2단 접이식으로 구성될 경우, 사용자가 마스크를 벗은 후 접이선을 따라 접어 보관하되, 이 때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점착부가 서로 맞닿아 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점착부의 점착력을 담보할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when the mask is configured as a two-stage foldable, the user takes off the mask and stores it by folding along the fold line, but at this time,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part is reduced by configuring the adhesive parts dispos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to contact each other and attach them. can be guaranteed

몇몇 실시예에서, 마스크는 상기 제4 층과 열 부착, 고주파 부착 또는 레이저 부착된 스트랩으로서, 양단이 상기 제4 층과 맞닿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가 접이선을 따라 접어지고 2개의 점착부가 맞닿아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펼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ask further comprises a strap thermally attached, radiofrequency attached, or laser attached to the fourth layer, wherein both ends abut the fourth layer, wherein the mask is folded along the fold line and has two adhesives. In a state in which the part is abutted and attached, it may be configured to unfold the mask using the strap.

마스크가 2단 접이식으로 구성될 경우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점착부가 서로 맞닿아 접어진 상태가 고정될 수 있고, 스트랩을 손잡이로 이용하여 마스크를 손쉽게 펼칠 수 있다.When the mask is configured in a two-fold fold, the folded state can be fixed by contacting the adhesive portions dispos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and the mask can be easily unfolded using the strap as a handle.

또, 상기 점착부는, 상기 마스크의 중앙부에서 외곽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portion may have a convexly curved shape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sk toward the outer portion.

이를 통해 복수 개의 안면 근육과 점착부가 결합될 수 있고, 사용자가 말을 하는 등의 동작으로 안면 근육이 움직임에도 점착부가 안정적으로 안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a plurality of facial muscles and the adhesive part may be coupled, and the adhesive part may be stably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part is coupled to the face even when the facial muscle moves due to an operation such as a user's speaking.

평면 시점에서, 상기 마스크의 외곽 가장자리로부터 2cm 이격된 영역 내에는 상기 점착부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In a plan view, the adhesive part may not be located in an area spaced apart by 2 cm from the outer edge of the mask.

점착부 부근에는 마스크의 탈착 과정에서 가장 강한 힘이 가해지는 부분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점착부가 마스크의 외곽에 지나치게 치우쳐 위치할 경우 점착부와 마스크 본체 간의 결합력으로 인해 마스크 본체의 다층 부직포가 찢어지거나 박리될 수 있다.The vicinity of the adhesive portion may be a portion to which the strongest force is applied during the detachment process of the mask. As a non-limiting example, when the adhesive part is positioned too far to the outside of the mask, the multilayer nonwoven fabric of the mask body may be torn or peeled due to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dhesive part and the mask bod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제1 두께를 갖는 제1 층;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두께 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갖는 제2 층; 상기 제2 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두께 보다 작은 제4 두께를 갖는 제4 층; 및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재되고, 상기 제1 두께 보다 큰 제5 두께를 가지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4 층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는 점착부를 포함한다.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first layer having a first thickness; a second layer disposed on the first layer and having a second thickness less than the first thickness; a fourth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layer and having a fourth thickness less than the first thickness; and an adhesive at least partiall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the adhesive having a fifth thickness greater than the first thickness, the adhesive being exposed at least partially uncovered by the second layer and the fourth layer includes wealth.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점착부를 안면에 부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손쉽게 마스크를 탈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mask can be easily detached by a method such as attaching the adhesive to the face.

몇몇 실시예에서, 마스크는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4 층 사이에 개재된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ask may further include a wir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layer and the fourth layer.

점착부와 와이어를 서로 다른 층에 배치함으로써 마스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의 탈착 과정에서 점착부에 힘이 가해지며 점착부를 감싸는 두 개의 층 간의 사이가 벌어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점착부와 와이어가 동일 층에 위치할 경우 두 개의 층이 벌어지며 와이어를 고정하는 결합부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By disposing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wire on different layers, the durability of the mask can be improved.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mask, a force is applied to the adhesive part, and a gap between two layers surrounding the adhesive part may be widened. As a non-limiting example, wh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wire are located on the same layer, the two layers are spread apart and a problem such as damage to the bonding portion for fixing the wire may occur.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간의 안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 가능하되,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고 안면과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된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sk capable of being coupled at least partially to a human face,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further improving adhesion to the fa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마스크의 겉감 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 및 B-B' 선을 따라 절개하여 비교한 비교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선 및 C-C' 선을 따라 절개하여 비교한 비교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 선 및 D-D' 선을 따라 절개하여 비교한 비교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마스크가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E-E'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의 단면도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arer wears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the mask of FIG. 2 as viewed from the outer fabric side.
4 is a comparative cross-sectional view by cutting along the line AA' and the line BB' of FIG. 3 .
5 is a comparative cross-sectional view by cutting along the line AA' and line CC' of FIG. 3 .
6 is a comparative cross-sectional view by cutting along the line AA' and the line DD' of FIG. 3 .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ask of FIG. 2 is folded along a fold lin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masks according to still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at is,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nd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thereto.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폭, 길이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thickness, width, length, etc.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form.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above', 'upper', 'on', 'below', 'beneath', 'lower', etc. As illustrated, it may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rrelation between one element or components and another device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when used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n element shown in the drawing is turned over,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of the other element.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down' may include both the direction of the bottom and the top.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the phrase specifically st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Numerical ranges indicated using 'to' indicate numerical ranges including the values stated before and after them as lower and upper limits, respectively. 'About' or 'approximately' means a value or numerical range within 20% of the value or numerical range recited thereaf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arer wears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마스크의 착용자(또는 사용자)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호흡기 경로, 즉 입 및 코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스크는 다층 구조를 갖는 마스크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층 또는 부재는 안감으로 정의되고,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층 또는 부재는 겉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마스크를 착용한 착용자를 바라볼 때 시인되는 측은 겉감 측을 구성하고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측은 안감 측을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wearer (or user) of the mask may completely seal the respiratory path, that is, the mouth and nose by using the mask. In some embodiments, the mask may be a mask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n this case, a layer or member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may be defined as a lining, and a layer or member in contact with external air may be defined as an outer material. That is, the side recognized when looking at the wearer wearing the mask may constitute the outer material side, and the side contacting the wearer's skin may constitute the lining side.

도 1은 마스크가 착용자의 입 및 코만을 가리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mask covers only the mouth and nose of the wear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여 마스크(10)의 다층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ultilayer structure of the mask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2 to 6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내부의 점착부(600) 및 와이어(700)를 투영하여 나타낸 투영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마스크(10)의 평면도로서, 마스크의 겉감 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s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rojec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adhesive portion 600 and the wire 700 by projecting. 3 is a plan view of the mask 10 of FIG. 2 , which is a plan view viewed from the outer fabric side of the mask.

또, 도 4는 도 3의 A-A' 선 및 B-B' 선을 따라 절개하여 비교한 비교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 선 및 C-C' 선을 따라 절개하여 비교한 비교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A-A' 선 및 D-D' 선을 따라 절개하여 비교한 비교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마스크의 겉감이 하측에 위치하고 안감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도시하였다.In addition, FIG. 4 is a comparative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line AA' and BB' of FIG. 3 and compared, and FIG. 5 is a comparative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line AA' and CC' of FIG. is a comparative cross-sectional view by cutting along the line AA' and DD' of FIG. 3 . 4 to 6 show that the outer material of the mask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the lining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도 2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는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및 제4 층(400)을 포함하고, 점착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스크(10)는 와이어(700) 및 스트랩(8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2 to 6 ,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layer 100 , a second layer 200 , a third layer 300 , and a fourth layer 400 , and ,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part 600 . In some embodiments, the mask 10 may further include a wire 700 and a strap 800 .

마스크(10)는 대략 중앙을 관통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접이선(FL)이 형성된 2단 접이식 마스크일 수 있다. 2단 접이식 마스크는 접이선(FL)을 기준으로 좌우로 한번만 접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마스크(10)는 가로 접이식 마스크일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크(10)는 접이선(FL)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mask 10 may be a two-stage foldable mask in which a fold line FL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through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The two-stage foldable mask may be configured to be folded only once to the left and right based on the fold line FL. That is, the mask 10 may be a horizontally foldable mask. In this case, the mask 10 may have a left-right symmetric shape with respect to the fold line F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및 제4 층(400)은 착용자의 호흡기를 밀폐하여 커버하는 마스크 본체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및 제4 층(400)은 다층 구조를 형성하며, 이들은 함께 착용자의 안면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and the fourth layer 400 may function as a mask body that seals and covers the wearer's respirator. That is,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and the fourth layer 400 form a multi-layered structure, which together can at least partially cover the wearer's face portion.

제1 층(100)은 겉감을 구성하는 층일 수 있다. 즉, 도 4 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스크 본체가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제1 층(100)은 최하층에 위치하며, 마스크(10)를 착용한 착용자를 바라볼 때 직접적으로 시인되는 층일 수 있다. 또 제1 층(100)은 가장 최외측에 위치하여 적어도 제1 필터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first layer 100 may be a layer constituting the outer fabric. That is, when the mask body has a multi-layer structure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layer 100 is located in the lowest layer, and may be a layer that is directly recognized when looking at the wearer wearing the mask 10 . In addition, the first layer 100 may be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and function as at least a first filter member.

제1 층(100)은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층(100)은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부직포(non woven fabir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재료의 예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e, PES) 및 나일론(nylon) 중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The first layer 100 may include a polymer material. For example, the first layer 100 may include a non-woven fabric using a polymer material. Examples of the polymer material include at least one of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PE), polyether sulfone (PES), and nylon (nylon). can

제1 층(100)이 부직포로 이루어질 경우 제1 층(100)은 멜트 블로운(melt blown), 스펀본드(spunbond), 스펀레이스(spunlace) 또는 니들펀칭(needle punching) 등의 공정을 통해 준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first layer 100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the first layer 100 is prepared through a process such as melt blown, spunbond, spunlace or needle punch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층(100) 상에는 제2 층(2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 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스크 본체가 4개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층(200)은 마스크 본체의 외측에서 시인되지 않는 개재층일 수 있다. 또, 제2 층(200)은 적어도 제2 필터 부재로서 기능하고, 및/또는 마스크 본체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체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The second layer 20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layer 100 . As shown in FIG. 4 , when the mask body includes four layers, the second layer 200 may be an intervening layer tha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mask body. Further, the second layer 200 may function as at least a second filter member and/or as a support for maintaining the overall shape of the mask body.

제2 층(200)은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층(200)은 제1 층(100)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층(200)은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제2 층(200)은 제1 층(100)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공정으로 준비될 수 있다.The second layer 200 may include a polymer material. The second layer 200 may include a polymer material that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layer 100 . For example, the second layer 200 may include a nonwoven fabric using a polymer material. In addition, the second layer 200 may be prepared in the same or different process as the first layer 100 .

제2 층(2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층(100)과 맞닿을 수 있다. 다만, 후술할 결합부(910, 920, 930, 940)를 제외하고 제1 층(100)과 제2 층(200) 간에 전면(全面)적으로 결합되지 않으며, 제1 층(100)과 제2 층(200) 사이에는 공기층이 개재될 수 있다.The second layer 200 may at least partially contact the first layer 100 . However, the entire surface is not coupled between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200 except for coupling portions 910 , 920 , 930 , and 9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An air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two layers 200 .

제2 층(200)은 제1 층(100)의 제1 두께(T1) 보다 작은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두께는 각 층의 적층 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하되,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임의의 부분에서의 최대 두께를 의미한다.The second layer 200 may have a second thickness T 2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T 1 of the first layer 100 . In this specification, the thickness means the length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each layer,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means the maximum thickness in any portion.

또, 제2 층(200)은 제1 층(100) 보다 더 큰 공기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층(100) 및 제2 층(200)은 섬유가 엉킨 구조를 가지고 나노 내지는 마이크로 수준의 다공성 구조를 가지며 소정의 공기 투과도를 가지되, 제1 층(100)의 압력 손실(pressure drop)은 제2 층(200)의 압력 손실 보다 클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lso, the second layer 200 may have greater air permeability than the first layer 100 . That is,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200 have a structure in which fibers are entangled, have a nano-to-micro-level porous structure, and have a predetermined air permeability, but the pressure loss of the first layer 100 (pressure drop) may be greater than the pressure loss of the second layer 20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층(200)은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구'는 평면 시점에서 보았을 때 폐곡선을 이루는 도형 형태로 개구된 것을 의미한다. 제2 층(200)의 개구는 후술할 점착부(600)와 적층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또, 제2 층(200)의 개구는 제1 층(100)과 적층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layer 200 may have an opening. In this specification, 'opening' means opening in the shape of a figure forming a closed curve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The opening of the second layer 200 may overlap the adhesive part 6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lamination direction. Also, the opening of the second layer 200 may overlap the first layer 100 in the stacking direct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제2 층(200) 상에는 제3 층(3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 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스크 본체가 4개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 제3 층(300)은 마스크 본체의 외측에서 시인되지 않는 개재층일 수 있다. 또, 제3 층(300)은 적어도 제3 필터 부재로서 기능하고, 및/또는 마스크 본체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체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A third layer 30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layer 200 . As shown in FIG. 4 , when the mask body includes four layers, the third layer 300 may be an intervening layer tha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mask body. In addition, the third layer 300 may function as at least a third filter member and/or as a support for maintaining the overall shape of the mask body.

제3 층(300)은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층(300)은 제1 층(100) 및/또는 제2 층(200)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3 층(300)은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제3 층(300)은 제1 층(100) 및/또는 제2 층(200)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공정으로 준비될 수 있다.The third layer 300 may include a polymer material. The third layer 300 may include a polymer material that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layer 100 and/or the second layer 200 . For example, the third layer 300 may include a nonwoven fabric using a polymer material. In addition, the third layer 300 may be prepared in the same or different process from the first layer 100 and/or the second layer 200 .

제3 층(3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층(200)과 맞닿을 수 있다. 다만, 후술할 결합부(910, 920, 930, 940)를 제외하고 제2 층(200)과 제3 층(300) 간에 전면(全面)적으로 결합되지 않으며, 제2 층(200)과 제3 층(300) 사이에는 공기층이 개재될 수 있다.The third layer 300 may at least partially contact the second layer 200 . However, the entire surface is not coupled between the second layer 200 and the third layer 300 except for the coupling portions 910 , 920 , 930 , and 9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layer 200 and the second layer 200 and the second layer 200 are not fully coupled. An air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three layers 300 .

제3 층(300)은 제1 층(100)의 제1 두께(T1) 보다 큰 제3 두께(T3)를 가질 수 있다. 또, 제3 층(300)은 제2 층(200) 보다 더 작은 공기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초기 상태에서, 제3 층(300)은 전하가 대전된 정전 필터층일 수 있다. 제3 층(300)은 정전기를 유도하여 미세한 입자상 물질과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층들(100, 200, 300, 400)의 나노 내지는 마이크로 사이즈의 기공을 통해 물리적으로 걸러지지 않는 미세 입자를 필터할 수 있다. 제3 층(300)에 전하를 대전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The third layer 300 may have a third thickness T 3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thickness T 1 of the first layer 100 . Also, the third layer 300 may have a smaller air permeability than the second layer 200 . In some embodiments, in an initial state, the third layer 300 may be a charged electrostatic filter layer. The third layer 300 may induce static electricity to generate attractive forces with fine particulate matt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ilter fine particles that are not physically filtered through the nano or micro-sized pores of each of the layers 100 , 200 , 300 , and 400 . A method of charging the third layer 300 may be performed through a known technique.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층(300)은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제3 층(300)의 개구는 제2 층(200)의 개구와 중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3 층(300)의 개구는 후술할 점착부(600)와 적층 방향으로 중첩하고, 제1 층(100)과 적층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third layer 300 may have an opening. The opening of the third layer 300 may overlap and connect with the opening of the second layer 200 . The opening of the third layer 300 may overlap the adhesive part 6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lamination direction, and may overlap the first layer 100 in the lamination direct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제3 층(300) 상에는 제4 층(4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층(400)은 안감을 구성하는 층일 수 있다. 즉, 도 4 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스크 본체가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제4 층(400)은 최상층에 위치하며, 마스크를 착용한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층일 수 있다. 또, 제4 층(400)은 가장 최내측에 위치하여 적어도 제4 필터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A fourth layer 400 may be disposed on the third layer 300 . The fourth layer 400 may be a layer constituting the lining. That is, as shown in FIG. 4 , when the mask body has a multi-layer structure, the fourth layer 400 is located on the uppermost layer, and may be a lay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wearer wearing the mask. In addition, the fourth layer 400 may be located at the innermost side and function as at least a fourth filter member.

제4 층(400)은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층(400)은 제1 층(100), 제2 층(200) 및/또는 제3 층(300)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4 층(400)은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제4 층(400)은 제1 층(100), 제2 층(200) 및/또는 제3 층(300)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공정으로 준비될 수 있다.The fourth layer 400 may include a polymer material. The fourth layer 400 may include a polymer material that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and/or the third layer 300 . For example, the fourth layer 400 may include a nonwoven fabric using a polymer material. In addition, the fourth layer 400 may be prepared in the same or different process from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and/or the third layer 300 .

제4 층(4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층(300)과 맞닿을 수 있다. 다만, 후술할 결합부(910, 920, 930, 940)를 제외하고 제3 층(300)과 제4 층(400) 간에 전면(全面)적으로 결합되지 않으며, 제3 층(300)과 제4 층(400) 사이에는 공기층이 개재될 수 있다.The fourth layer 400 may at least partially contact the third layer 300 . However, the entire surface is not coupled between the third layer 300 and the fourth layer 400 except for the coupling portions 910 , 920 , 930 , and 9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third layer 300 and the second layer An air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ourth layers 400 .

제4 층(400)은 제1 층(100)의 제1 두께(T1) 및 제3 층(300)의 제3 두께(T3) 보다 작은 제4 두께(T4)를 가질 수 있다. 또, 제4 층(400)은 제1 층(100) 보다 더 큰 공기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서, 제4 층(400)은 제2 층(20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두께 및 동일한 공기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The fourth layer 400 may have a fourth thickness T 4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T 1 of the first layer 100 and the third thickness T 3 of the third layer 300 . Also, the fourth layer 400 may have greater air permeability than the first layer 100 .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fourth layer 40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layer 200 , and may have the same thickness and the same air permeability.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4 층(400)은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제4 층(400)의 개구는 제2 층(200)의 개구 및 제3 층(300)의 개구와 중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4 층(400)의 개구는 후술할 점착부(600)와 적층 방향으로 중첩하고, 제1 층(100)과 적층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ourth layer 400 may have an opening. The opening of the fourth layer 400 may overlap and connect with the opening of the second layer 200 and the opening of the third layer 300 . The opening of the fourth layer 400 may overlap the adhesive part 6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lamination direction, and may overlap the first layer 100 in the lamination direct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제1 층(100)과 제2 층(200) 사이에는 점착부(60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여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착부(600)는 제2 층(200)의 개구, 제3 층(300)의 개구 및 제4 층(400)의 개구 보다 더 큰 평면상 면적을 가지고, 제2 층(200)의 개구, 제3 층(300)의 개구 및 제4 층(400)의 개구와 적층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점착부(600)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는 오직 제1 층(100)과 중첩하되 제2 층(200), 제3 층(300) 및 제4 층(400)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또, 점착부(600)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및 제4 층(400)과 동시에 중첩할 수 있다. 상기 개구들과 중첩하는 점착부(600)의 부분은 마스크(10)의 착용자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adhesive part 600 may at least partially overlap and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200 . Specifically, the adhesive part 600 has a larger planar area than the opening of the second layer 200 , the opening of the third layer 300 , and the opening of the fourth layer 400 , and the second layer 200 . The opening of , the opening of the third layer 300 and the opening of the fourth layer 400 may overlap in the stacking direction. In other words, at least a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adhesive portion 600 may overlap only the first layer 100 but not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and the fourth layer 400 . .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edge portion of the adhesive portion 600 may overlap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and the fourth layer 400 at the same time. A portion of the adhesive portion 600 overlapping the openings may be exposed toward the wearer of the mask 10 .

점착부(600)는 마스크(10)를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대략 착용자의 볼에 상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점착부(600)는 착용자의 좌우 볼에 부착, 점착, 접착 내지는 결합될 수 있다. 마스크(10)가 2단 접이식 마스크인 경우 점착부(600)는 접이선(FL)을 기준으로 좌우에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이에 따라 점착부(600)는 짝수개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wearer wears the mask 10, the adhesive part 600 may be positioned to approximately correspond to the wearer's cheeks. That is, the adhesive part 600 may be attached to, adhered to, adhered to, or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cheeks of the wearer. When the mask 10 is a two-stage foldable mask, the adhesive parts 600 are symmetrically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old line FL, and accordingly, an even number of the adhesive parts 600 may be provided.

평면 시점에서, 점착부(600)는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세로 방향의 최대 길이가 더 큰 형상일 수 있다. 또, 점착부(600)는 평면 시점에서, 마스크(10)의 중앙부에서 외곽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점착부(600)는 착용자의 볼에 부착될 수 있다. 인간의 볼 부근에는 횡 방향(대략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복수개의 근육이 존재하며, 점착부(600)가 전술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짐에 따라 착용자의 볼 근육이 움직이는 경우에도 점착부(600)가 착용자의 안면 피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점착부(600)에 의해 대략 밀폐되거나 둘러싸이는 착용자의 호흡기 부근에 충분한 공기 개재 영역을 확보함으로써 착용자의 호흡 불편을 완화할 수 있다.In a plan view, the adhesive part 60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maximum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maximum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adhesive portion 600 may have a convexly curved shape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sk 10 toward the outer portion in a plan view.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part 600 may be attached to the wearer's cheeks. In the vicinity of the human cheek, there are a plurality of muscles transverse to the transverse direction (approximate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s the adhesive part 600 has the same shape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wearer's ball muscles move, the adhesive part 600 may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from the wearer's facial skin. In addition, the wearer's breathing discomfort can be alleviated by securing a sufficient air intervening area in the vicinity of the wearer's respiratory tract, which is substantially sealed or surrounded by the adhesive part 600 .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점착부(6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층(100)과 제2 층(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부(600)가 제1 층(100)과 제2 층(200) 사이로 개재되는 폭에 있어서, 마스크(10)의 외곽부 방향으로 개재되는 폭(L1)은 마스크(10)의 중앙부 방향으로 개재되는 폭(L2)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외곽부 방향은 착용자의 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중앙부 방향은 착용자의 입 또는 코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part 600 may be at least partiall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200 . In this case, in the width where the adhesive part 60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200 , the width L 1 inter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portion of the mask 10 is the mask 10 . It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L 2 inter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 The outer portion direction means a direction toward the wearer's ears, and the central portion direction means a direction toward the wearer's mouth or nose.

비제한적인 일례로서, 점착부(600)가 제1 층(100) 및 제2 층(200) 사이에 개재되지 않고 안감을 구성하는 제4 층(400)과 결합할 경우, 점착부(600)와 마스크 본체의 제4 층(400) 간의 결합력으로 인해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부(600)와 제4 층(400) 간의 결합력이 그리 크지 않을 경우 점착부(600)가 제4 층(400)으로부터 탈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점착부(600)가 착용자의 안면 피부와 강하게 결합할 경우 마스크를 탈착하는 과정에서 다층 구조의 부직포들 사이가 벌어지며 필터 특성이 저하되고, 심지어 부직포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다층 구조의 부직포들이 서로 간에 전면(全面)적으로 결합되지 않을 경우 서로의 평면상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이에 따라 점착부(600)가 착용자의 피부와 결합한다 하더라도 겉감을 구성하는 제1 층(100)이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것을 보장해주지 못할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when the adhesive part 600 is combined with the fourth layer 400 constituting the lining without being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200, the adhesive part 600 Various problems may occur due to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mask body and the fourth layer 400 of the mask body. For example, whe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dhesive part 600 and the fourth layer 400 is not so great, the adhesive part 600 may fall off from the fourth layer 400 . For another example, when the adhesive portion 600 is strongly coupled to the wearer's facial skin, i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mask, the multi-layered nonwoven fabrics are separated and the filter properties are deteriorated, and even the nonwoven fabric may be torn. have. For another example, when the nonwoven fabrics of the multilayer structure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over the entire surface, the positions of each other in a plane are not fixed, and accordingly, even if the adhesive part 600 is coupled to the wearer's skin, The constituting first layer 100 may not ensure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뿐만 아니라 제3 층(300)이 대전된 전하를 갖는 정전 필터층인 경우, 점착부(600)가 제3 층(300)과 맞닿을 경우 제3 층(300)의 전하 손실이 발생하고 마스크(10)의 수명이 저하되거나, 정전 필터층의 미세 입자 차단능이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hird layer 300 is an electrostatic filter layer having a charged charge, when the adhesive portion 6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hird layer 300 , a charge loss occurs in the third layer 300 and the mask 10 ) may decrease, or the ability to block fine particles of the electrostatic filter layer may decrease.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는 점착부(600)가 제1 층(100)과 제2 층(200)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전술한 문제를 해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마스크(10)를 이용할 때 일반적으로 마스크(10)의 외곽부부터 중앙부 방향으로 탈착이 이루어지며, 이 때 점착부(600)의 마스크 외곽측에 마스크 중앙측 보다 더 큰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mas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s the adhesive part 60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200 . In addition, when the wearer uses the mask 10, detachment is generally performed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mask 10 toward the center, and at this time, a greater stress is applied to the outer side of the mask of the adhesive part 600 than the center of the mask.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paying attention to what was added.

즉, 착용자가 마스크(10)를 반복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점착부(600)와 마스크 본체(예컨대, 제1 층(100) 및/또는 제2 층(200)) 간의 결합 부위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점착부(600)가 외곽 방향으로 개재되는 폭(L1)을 중앙부 방향으로 개재되는 폭(L2) 보다 더 크게 구성하여 마스크(10) 내구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점착부(600)가 외곽 방향으로 개재되는 폭(L1)은 중앙부 방향으로 개재되는 폭(L2)의 약 1.5배 이상, 또는 약 2배 이상, 또는 약 2.5배 이상, 또는 약 3배 이상일 수 있다.That is, as the wearer repeatedly uses the mask 10, damage may occur to the bonding portion between the adhesive portion 600 and the mask body (eg, the first layer 100 and/or the second layer 200). , so that the width L 1 at which the adhesive part 600 is interposed in the outer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L 2 interposed in the central direction,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mask 10 can be further improved.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width L 1 at which the adhesive portion 600 is interposed in the outward direction is at least about 1.5 times, or at least about 2 times, or at least about 2.5 times the width L 2 , interposed in the central direction. , or about 3 times or more.

한편,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제4 층(400) 및 점착부(600)는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직접 결합의 예로는 열 부착, 고주파 부착 또는 레이저 부착을 들 수 있다. 상기 직접 결합의 다른 예로는 섬유를 이용한 재봉 부착을 들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the fourth layer 400 , and the adhesive part 600 may be directly coupled. Examples of the direct bonding include thermal bonding, radio frequency bonding, or laser bonding. Another example of the direct bonding may be sewing attachment using fibers.

구체적으로,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제4 층(400) 및 점착부(6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층 방향으로 중첩하며, 상기 중첩 위치에서 제1 결합부(910)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부착을 예로 들 경우, 서로 맞닿은 위치에서 열이 발생하며 인접한 층 내지는 부재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부(600)는 그와 맞닿는 제1 층(100) 및 제2 층(200) 부분과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910)에 의해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제4 층(400) 및 점착부(600) 간의 평면상 위치가 대략 고정될 수 있다. 제1 결합부(910)는 점착부(600)와 중첩하며 점착부(6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복 배열된 점 접착부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the fourth layer 400 and the adhesive part 600 at least partially overlap in the stacking direction, and at the overlapping position A first coupling part 910 may be formed. In the case of laser attachment as an example, heat is generat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may be directly bonded to an adjacent layer or member. For example, the adhesive part 600 may be directly coupled to portions of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200 that are in contact with them. A position in a plane between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the fourth layer 400 and the adhesive part 600 may be approximately fixed by the first coupling part 910 . can The first coupling part 910 may be a point adhesive part overlapping the adhesive part 600 and repeatedly arranged along the edge of the adhesive part 600 .

제1 결합부(910) 부근은 수축되거나, 압착되며 적층 방향으로의 두께가 대략 감소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층(100)과 제2 층(200) 사이에 개재된 점착부(600)의 가장자리부는 압착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층(100)과 제2 층(200) 사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기층(AG)이 개재될 수 있다. 반면, 개구들과 중첩하여 커버되지 않는 점착부(600)의 중앙부는 최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점착부(600)의 최대 두께(예컨대, 제5 두께)는 제1 두께(T1), 제2 두께(T2), 제3 두께(T3) 및 제4 두께(T4)의 합 보다 클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vicinity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910 may be contracted or compressed, and the thickness in the stacking direction may be approximately reduced. In some embodiments, the edge portion of the adhesive portion 60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200 may be compress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thickness. Accordingly, the air layer AG may be at least partiall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200 .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adhesive portion 600 overlapping the openings and not covered may have a maximum thickness. The maximum thickness (eg, fifth thickness) of the adhesive part 600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first thickness T 1 , the second thickness T 2 , the third thickness T 3 , and the fourth thickness T 4 . It may be larg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점착부(600)는 실리콘 고분자를 포함하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점착부(600)는 인간 피부와 접촉하여 강한 부착력, 점착력 내지는 접착력을 가지고 중력에도 불구하고 피부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점착부(600)는 비닐기를 갖는 폴리알킬비닐실록산 및 하이드로실록산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점착부(600)가 폴리알킬비닐실록산을 포함할 경우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진 제1 층(100) 및 제2 층(200) 간의 레이저 접착 내지는 열 접착이 용이할 수 있다.The adhesive part 600 may include a material including a silicone polymer. The adhesive part 60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slide from the skin despite gravity, having a strong adhesive force, adhesive force, or adhesive force in contact with human skin.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dhesive part 600 may be formed of a copolymer of polyalkylvinylsiloxane having a vinyl group and hydrosiloxane. When the adhesive part 600 includes polyalkylvinylsiloxane, laser bonding or thermal bonding between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200 made of polypropylene or the like may be easy.

몇몇 실시예에서, 점착부(600)의 일면(도 4 기준 상면)과 타면(도 4 기준 하면)은 요철 표면을 갖거나,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즉, 점착부(600)를 포함하는 마스크(10)의 벤딩 중심선은 점착부(6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점착부(600) 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제1 층(100)의 일면과 타면은 아래로 볼록하게 그루브될 수 있다. 반면에 점착부(600)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층(200), 제3 층(300) 및 제4 층(400)의 일면과 타면은 위로 볼록하게 그루브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ne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FIG. 4 ) and the other surface (the lower surface of FIG. 4 ) of the adhesive part 600 may have an uneven surface or a groove. That is, the bending center line of the mask 10 including the adhesive part 600 may be located within the adhesive part 600 . Accordingly,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100 positioned below the adhesive part 600 may be convexly grooved downward. On the other hand,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and the fourth layer 400 positioned above the adhesive part 600 may be convexly grooved upward.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점착부(600)가 실리콘 고분자를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가지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및 제4 층(400)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지고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마스크(10)가 벤딩될 경우 부직포 층에 비해 점착부(600)에 더 큰 벤딩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벤딩 중심선을 점착부(600)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마스크(10)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the adhesive part 6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arge thickness and elasticity including a silicone polymer, and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and the third layer 300 . ) and the fourth layer 400 have a relatively small thickness and are made of a nonwoven material, when the mask 10 is bent, a greater bending stress may be applied to the adhesive portion 600 compared to the nonwoven layer. Therefore, the durability of the mask 10 may be further improved by configuring the bending center line to be positioned within the adhesive portion 600 .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초기 상태에서, 노출된 점착부(600) 상에는 이형 필름(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마스크(10)의 사용자는 이형 필름을 제거한 후 점착부(600)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고, 노출된 점착부(600)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볼에 점착부(600)를 부착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an initial state, a release film (not shown)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exposed adhesive part 600 . The user of the mask 10 may partially expose the adhesive part 600 after removing the release film, and attach the adhesive part 600 to the cheek of the wearer us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exposed adhesive part 600 .

제2 층(200)과 제3 층(300) 사이에는 와이어(700)가 개재될 수 있다. 와이어(700)는 착용자의 코 부근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700)는 유연성을 가지고 인간의 힘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되, 구부러진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700)가 착용자의 콧등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마스크(10)와 착용자의 안면 간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A wire 70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layer 200 and the third layer 300 . The wire 700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near the wearer's nose. The wire 700 has flexibility and is easily bent by human force, but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 bent shape. By configuring the wire 700 to be bent along the wearer's nose, the adhesion between the mask 10 and the wearer's face can be increased.

와이어(700)는 점착부(600)와 다른 층에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와이어(700)는 매우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와이어(700)가 점착부(600)와 동일층에 배치, 예컨대 와이어(700)가 제1 층(100)과 제2 층(200) 사이에 개재될 경우, 와이어(700)가 갖는 두께로 인해 점착부(600)가 제1 층(100) 및 제2 층(200)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하여 제1 결합부(910) 등이 파괴될 수 있다. 즉, 종래의 다층 구조를 갖는 마스크에 있어서 본 발명과 같이 점착부(600)를 더 개재하는 경우, 점착부(600)와 와이어(700)를 서로 다른 층에 배치하여 마스크(10)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와이어(700) 및 점착부(600)는 마스크(10)를 사용함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벤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와이어(700)와 점착부(600)를 서로 다른 층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wire 700 may be preferably interposed in a layer different from the adhesive part 600 .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wire 700 can have a very large thickness. If the wire 700 is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adhesive portion 600 , for example, the wire 70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ckness of the wire 700 is As a result, the adhesive part 600 may not stably maintain a stat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200 , and thus the first coupling part 910 may be destroyed. That is, when the adhesive part 600 is further interpos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ventional mask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the adhesive part 600 and the wire 700 are disposed in different layers to lower the durability of the mask 10 . can prevent In particular, since the wire 700 and the adhesive part 600 are configured to be repeatedly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ask 10,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wire 700 and the adhesive part 600 on different layers. can

와이어(700)는 마스크 본체, 즉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및 제4 층(400)과 직접 결합되지 않고 제2 결합부(920)에 의해 트랩되어 평면상 위치만이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700) 부근에서,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및 제4 층(40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층 방향으로 중첩하며, 상기 중첩 위치에서 제2 결합부(9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920)를 형성하는 방법의 예로는 열 부착, 고주파 부착 또는 레이저 부착을 들 수 있다. 제2 결합부(920)를 형성하는 다른 예로는 섬유를 이용한 재봉 부착을 들 수 있다. 제2 결합부(920)는 와이어(700)와 적층 방향으로 중첩하지 않으며, 와이어(700)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반복 배열된 점 접착부일 수 있다. 제2 결합부(920) 부근은 수축되거나, 압착되며 적층 방향으로의 두께가 대략 감소하며, 이에 따라 제2 층(200)과 제3 층(300) 사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기층(AG)이 개재될 수 있다.The wire 700 is not directly coupled to the mask body, that is,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and the fourth layer 400 by the second coupling part 920 . It is trapped and only the position on the plane may be in a fixed state. Specifically, in the vicinity of the wire 700 ,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and the fourth layer 400 at least partially overlap in the stacking direction, the overlapping position A second coupling portion 920 may be formed in the . Examples of a method of form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920 may include thermal bonding, high-frequency bonding, or laser bonding. Another example of forming the second coupling part 920 may be sewing attachment using fibers. The second coupling part 920 does not overlap the wire 700 in the stacking direction, and may be a point bonding part repeatedly arrang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wire 700 . The vicinity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920 is contracted or compressed, and the thickness in the lamination direction is approximately reduced, and accordingly, an air layer AG is at least partially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layer 200 and the third layer 300 . can be

안감을 구성하는 제4 층(400) 상에는 스트랩(800)이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트랩(800)은 마스크(10)의 겉감 측이 아니라 안감 측과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스트랩(800)은 마스크 본체와 대략 두 군데에서 제3 결합부(930)를 형성하며 직접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랩(800) 부근에서,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제4 층(400) 및 스트랩(80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층 방향으로 중첩하며, 상기 중첩 위치에서 제3 결합부(9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부(930)를 형성하는 방법의 예로는 열 부착, 고주파 부착 또는 레이저 부착을 들 수 있다. 제3 결합부(930)를 형성하는 다른 예로는 섬유를 이용한 재봉 부착을 들 수 있다. 제3 결합부(930) 부근은 수축되거나, 압착되며 적층 방향으로의 두께가 대략 감소할 수 있다.A strap 800 may be disposed on the fourth layer 400 constituting the lining.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trap 800 may be coupled to the lining side of the mask 10 by abutting against the outer side. In addition, one strap 80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mask body by forming the third coupling portion 930 at approximately two locations. Specifically, in the vicinity of the strap 800 ,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the fourth layer 400 , and the strap 800 at least partially overlap in the stacking direction. and a third coupling portion 930 may be formed at the overlapping position. Examples of a method of forming the third coupling portion 930 may include thermal adhesion, radio frequency adhesion, or laser adhesion. Another example of forming the third coupling part 930 may be sewing attachment using fibers. The vicinity of the third coupling part 930 may be contracted or compressed, and the thickness in the stacking direction may be approximately reduc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랩(800)은 그 양단이 제4 층(400)과 맞닿아 직접 결합되며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스트랩(800)이 형성하는 고리의 최대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아 착용자의 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예컨대, 고리를 늘렸을 경우 고리의 최대 길이는 약 5cm, 또는 약 4cm, 또는 약 3cm, 또는 약 2cm일 수 있다. 스트랩(800)이 형성하는 고리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s described above, both ends of the strap 80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fourth layer 400 to form a ring. The maximum size of the ring formed by the strap 800 may not reach the wearer's ear because it is relatively small. For example, when the ring is elongated, the maximum length of the ring may be about 5 cm, or about 4 cm, or about 3 cm, or about 2 cm. The ring formed by the strap 800 may serve as a handl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여 마스크(10)가 접어진 상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2의 마스크(10)가 접이선(FL)을 따라 접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는 도 7의 E-E'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로서, 마스크의 겉감이 외측에 위치하고 안감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나타내며, 마스크의 중앙측이 좌측에 위치하고 마스크의 외곽측이 우측에 위치하도록 나타낸 단면도이다.Hereinafter, the folded state of the mask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7 and 8 .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ask 10 of FIG. 2 is folded along the fold line FL.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7, showing that the outer fabric of the mask is located on the outside and the lining is located on the inside, and the center side of the mask is on the left and the outer side of the mask is on the right to be.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면, 2단 접이식 마스크는 접이선(FL)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접어질 수 있다. 착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등의 이유로 마스크(10)를 탈착하고자 하는 경우 마스크(10)를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7 and 8 , the two-stage foldable mask may be fol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fold line FL. When the wearer wants to detach the mask 10 for reasons such as ingestion of food, the mask 10 may be stored in a folded state.

이 경우 접이선(FL)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점착부(600)는 서로 맞닿아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점착부(600)의 표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점착부(600)의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의도치 않게 접어진 마스크(10)가 펼쳐지며 마스크(10)의 안감이 노출될 경우 마스크(10)가 오염되어 재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는 점착부(600)에 의해 접어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adhesive parts 600 existing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old line FL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being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dhesive part 600 and to maintain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part 600 . In addition, when the mask 10 that is unintentionally folded is unfolded and the lining of the mask 10 is exposed, the mask 10 may be contaminated and reuse may be difficult.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tably maintaining the folded state by the adhesive portion 600 .

한편 착용자가 마스크(10)를 펼치고자 할 때 점착부(600)가 갖는 강한 점착력으로 인해 펼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이 때 마스크(10)의 내측에 결합된 스트랩(800), 즉 제4 층(400)과 직접 결합된 스트랩이 형성하는 고리를 손잡이로 이용하여 마스크(10)를 손쉽게 펼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wearer wants to unfold the mask 10 , it may be difficult to unfold it due to the strong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part 600 . At this time, the mask 10 can be easily unfolded by using the ring formed by the strap 800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sk 10, that is, the strap directly coupled to the fourth layer 400, as a handle.

몇몇 실시예에서, 점착부(600)는 평면상 마스크(10)의 외곽 가장자리로부터 2cm 이격된 영역 내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점착부(600)는 마스크(10)의 외곽 가장자리로부터 2cm 이상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마스크(10)의 외곽 가장자리로부터 점착부(600)의 이격 거리(D1, D2, D3)는 2cm 이상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adhesive part 600 may not be located in a region spaced 2 cm from the outer edge of the mask 10 on a plane. That is, the adhesive portion 600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edge of the mask 10 by 2 cm or more. In other words, the separation distances D 1 , D 2 , and D 3 of the adhesive part 600 from the outer edge of the mask 10 may be 2 cm or more.

구체적으로, 마스크(10)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제1 이격 거리(D1) 만큼 이격된 영역 내에는 점착부(600)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마스크(10)의 좌우 가장자리로부터 제2 이격 거리(D2) 만큼 이격된 영역 내에는 점착부(600)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마스크(10)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제3 이격 거리(D3) 만큼 이격된 영역 내에는 점착부(600)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이격 거리(D1), 제2 이격 거리(D2) 및 제3 이격 거리(D3)는 각각 약 2cm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adhesive part 600 may not be located in a region spaced apart by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 1 from the upper edge of the mask 10 . In addition, the adhesive part 600 may not be located in a region spaced apart by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 2 from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mask 10 . In addition, the adhesive part 600 may not be located in a region spaced apart by the third separation distance D 3 from the lower edge of the mask 10 .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 1 ,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 2 , and the third separation distance D 3 may each be about 2 cm.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configuration to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this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0)의 단면도로서, 도 5에 대응되는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sk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FIG.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0)는 제3 층이 생략되어 마스크 본체가 3개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인 점이 도 5 등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와 상이한 점이다.Referring to FIG. 9 , the mask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in that the third layer is omitted so that the mask body has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three layers. to be.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층(100) 상에는 제2 층(200)이 직접 맞닿아 배치되고, 제2 층(200) 상에는 제4 층(400)이 직접 맞닿아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층(100)과 제2 층(200) 사이에는 점착부(600)가 부분적으로 개재되고, 제2 층(200)과 제4 층(400) 사이에는 와이어(700)가 개재될 수 있다. 즉, 마스크(20)가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점착부(600)와 와이어(700)는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layer 200 may be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layer 100 , and the fourth layer 400 may be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layer 200 . In this case, the adhesive part 600 is partiall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200 , and the wire 700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layer 200 and the fourth layer 400 . can That is, even when the mask 20 is formed of three layers, the adhesive part 600 and the wire 700 may be located on different layers.

또, 제1 층(100), 제2 층(200), 제4 층(400) 및 점착부(600)는 함께 제1 결합부(910)를 형성하고, 제1 층(100), 제2 층(200) 및 제4 층(400)은 함께 제2 결합부(920)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fourth layer 400 , and the adhesive part 600 together form a first coupling part 910 , and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The layer 200 and the fourth layer 400 may form a second coupling portion 920 together.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층(200)은 전하가 대전된 정전 필터층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layer 200 may be a charged electrostatic filter layer.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30)의 단면도로서, 도 5에 대응되는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sk 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FIG.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30)는 제5 층(500)을 더 포함하여 마스크 본체가 5개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인 점이 도 5 등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와 상이한 점이다.Referring to FIG. 10 , the mask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fifth layer 500 so that the mask body has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five layers. ) is different from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층(300)과 제4 층(400) 사이에는 제5 층(500)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제5 층(500)은 제3 층(300) 및 제4 층(400)과 직접 맞닿아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스크 본체가 5개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 제5 층(500)은 마스크 본체의 외측에서 시인되지 않는 개재층일 수 있다. 또, 제5 층(500)은 적어도 제5 필터 부재로서 기능하고, 및/또는 마스크 본체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체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초기 상태에서, 제5 층(500)에는 전하가 대전된 정전 필터층일 수도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a fifth layer 500 may be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third layer 300 and the fourth layer 400 . The fifth layer 500 may be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third layer 300 and the fourth layer 400 . As shown in FIG. 10 , when the mask body includes five layers, the fifth layer 500 may be an intervening layer tha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mask body. In addition, the fifth layer 500 may function as at least a fifth filter member and/or as a support for maintaining the overall shape of the mask body. In some embodiments, in an initial state, the fifth layer 500 may be an electrostatic filter layer charged with electric charge.

제5 층(500)은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5 층(500)은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및/또는 제4 층(400)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5 층(500)은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층(500)은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및/또는 제4 층(400)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공정으로 준비될 수 있다.The fifth layer 500 may include a polymer material. The fifth layer 500 may include the same or different polymer material from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and/or the fourth layer 400 . For example, the fifth layer 500 may include a nonwoven fabric using a polymer material. The fifth layer 500 may be prepared in the same or different process from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and/or the fourth layer 400 .

제5 층(500)은 인접한 제3 층(300) 및 제5 층(500)과 맞닿을 수 있다. 다만, 후술할 결합부(910, 920)를 제외하고 인접한 층 간에 전면(全面)적으로 결합되지 않으며, 인접한 층 사이에는 공기층이 개재될 수 있다. 제5 층(500)은 제3 층(300)의 두께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제5 층(500)은 제3 층(300) 보다 더 큰 공기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The fifth layer 500 may contact adjacent third and fifth layers 300 and 500 . However, except for coupling portions 910 and 920 to be described later, they are not completely coupled between adjacent layers, and an air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adjacent layers. The fifth layer 500 may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third layer 300 . Also, the fifth layer 500 may have greater air permeability than the third layer 300 .

제5 층(500)은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제5 층(500)의 개구는 제2 층(200), 제3 층(300) 및 제4 층(400)의 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제5 층(500)의 개구는 점착부(600)의 적층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The fifth layer 500 may have an opening. The opening of the fifth layer 500 may be connected to the openings of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and the fourth layer 400 . The openings of the fifth layer 500 may overlap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part 600 .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점착부(6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층(100)과 제2 층(200) 사이에 개재되고, 와이어(700)는 제2 층(200)과 제3 층(3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와이어(700)는 제3 층(300)과 제5 층(500)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즉, 마스크(30)가 5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점착부(600)와 와이어(700)는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adhesive portion 600 is at least partiall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200 , and the wire 70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ayer 200 and the third layer 300 . ) can be interposed between In another embodiment, the wire 70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third layer 300 and the fifth layer 500 . That is, even when the mask 30 is formed of five layers, the adhesive part 600 and the wire 700 may be located on different layers.

또,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제5 층(500), 제4 층(400) 및 점착부(600)는 함께 제1 결합부(910)를 형성하고,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제5 층(500) 및 제4 층(400)은 함께 제2 결합부(920)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the fifth layer 500 , the fourth layer 400 , and the adhesive part 600 are together the first coupling part 910 . ), and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the fifth layer 500 , and the fourth layer 400 together form a second bonding portion 920 . can do.

다른 실시예에서, 마스크(30)는 6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일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mask 30 may be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six or more layers.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40)의 단면도로서, 도 5에 대응되는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sk 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FIG.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40)는 제2 층(200)과 제3 층(300)의 적층 순서가 상이한 점이 도 5 등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와 상이한 점이다.Referring to FIG. 11 , the mask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in that the stacking order of the second layer 200 and the third layer 300 is different. to be.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3 층(300)은 정전 필터층이고, 제3 층(300)은 제2 층(200)에 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고, 더 작은 공기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또, 제2 층(200)은 전하가 대전되지 않은 부직포층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층(100) 상에 제3 층(300)을 배치하고, 제3 층(300) 상에 제2 층(200)을 배치하고, 제2 층(200) 상에 제4 층(400)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점착부(600)와 와이어(700)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점은 앞선 실시예들과 동일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hird layer 300 is an electrostatic filter layer, and the third layer 300 may have a greater thickness than that of the second layer 200 and have a smaller air permeability. In addition, the second layer 200 may be a non-woven fabric layer that is not charg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layer 300 is disposed on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is disposed on the third layer 300 , and the second layer 200 is disposed on the second layer 200 . Four layers 400 may be arranged. In this case, the point in which the adhesive part 600 and the wire 700 are located on different layers is the sam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s.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50)의 단면도로서, 도 5의 A-A'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sk 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region A-A' of FIG. 5 .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50)는 제4 결합부(940)를 더 포함하는 점이 도 5 등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와 상이한 점이다.Referring to FIG. 12 , the mask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fourth coupling part 940 .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제4 층(400) 및 점착부(6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층 방향으로 중첩하며, 상기 중첩 위치에서 제1 결합부(9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910)에 의해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제4 층(400) 및 점착부(600) 간의 평면상 위치가 대략 고정될 수 있다. 제1 결합부(910)는 점착부(600)와 중첩하며, 점착부(6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복 배열된 점 접착부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the fourth layer 400 , and the adhesive part 600 at least partially overlap in the stacking direction, and the overlapping position A first coupling portion 910 may be formed in the . A position in a plane between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the fourth layer 400 and the adhesive part 600 may be approximately fixed by the first coupling part 910 . can The first coupling part 910 overlaps the adhesive part 600 and may be a point adhesive part repeatedly arranged along the edge of the adhesive part 600 .

또, 점착부(600) 부근에서, 제1 층(100), 제2 층(200), 제3 층(300) 및 제4 층(40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층 방향으로 중첩하며, 상기 중첩 위치에서 제4 결합부(9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결합부(940)를 형성하는 방법의 예로는 열 부착, 고주파 부착 또는 레이저 부착을 들 수 있다. 제4 결합부(940)를 형성하는 다른 예로는 섬유를 이용한 재봉 부착을 들 수 있다. 제4 결합부(940)는 점착부(600)와 중첩하지 않으며, 점착부(600)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반복 배열된 점 접착부일 수 있다. 즉, 제4 결합부(940)는 점착부(600)와 중첩하지 않는 점이 제1 결합부(910)와 상이한 점이다. Further, in the vicinity of the adhesive portion 600 , the first layer 100 , the second layer 200 , the third layer 300 , and the fourth layer 400 at least partially overlap in the stacking direction, and the overlapping position A fourth coupling portion 940 may be formed in the . Examples of a method of forming the fourth coupling portion 940 include thermal bonding, radio frequency bonding, or laser bonding. Another example of forming the fourth coupling part 940 may be sewing attachment using fibers. The fourth coupling part 940 does not overlap the adhesive part 600 and may be a point adhesive part repeatedly arrang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adhesive part 600 . That is, the fourth coupling part 940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910 in that it does not overlap the adhesive part 600 .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4 결합부(940)는 점착부(600)의 마스크 외곽부 방향 일측(도 12 기준 좌측)에만 위치하고, 점착부(600)의 마스크 중앙부 방향 타측(도 12 기준 우측)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fourth coupling part 940 is located only on one side (left side of FIG. 12 ) of the adhesive part 600 in the direction of the mask outer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adhesive part 600 toward the center of the mask (right side of FIG. 12 ). may not be located in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착용자가 마스크(50)를 탈착할 경우 마스크 외곽 방향에서부터 점착부(600)와 피부 간의 박리가 일어나며, 이 때 점착부(600)의 외곽 방향 측에 큰 힘이 걸린다. 따라서 점착부(600)의 외곽 방향 측에만 제4 결합부(940)를 추가로 구비하여 마스크 제조 비용의 상승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마스크(50)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점착부(600)와 비중첩하는 제4 결합부(940)가 점착부(600)의 일측과 타측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general, when the wearer detaches the mask 50 , peeling occurs between the adhesive part 600 and the skin from the outer direction of the mask, and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outer side of the adhesive part 600 at this time. Accordingly, by additionally providing the fourth coupling part 940 only on the outer side of the adhesive part 600 , an increase in mask manufacturing cost can be minimized and durability of the mask 50 can be improved. In another embodiment, the fourth coupling part 940 that does not overlap the adhesive part 600 may be located on bo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dhesive part 600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exemplified above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of the technical idea exemplified abo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 And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마스크
100: 제1 층
200: 제2 층
300: 제3 층
400: 제4 층
500: 제5 층
600: 점착부
700: 와이어
800: 스트랩
910: 제1 결합부
920: 제2 결합부
930: 제3 결합부
940: 제4 결합부
10: mask
100: first floor
200: second floor
300: 3rd floor
400: fourth floor
500: 5th floor
600: adhesive
700: wire
800: strap
910: first coupling part
920: second coupling part
930: third coupling part
940: fourth coupling part

Claims (10)

다층 구조를 갖는 마스크로서,
겉감을 구성하는 제1 층;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되고 개구를 갖는 제2 층; 상기 제2 층 상에 배치되고 개구를 가지며 안감을 구성하는 제4 층; 및 상기 제2 층의 개구 및 상기 제4 층의 개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점착부를 포함하되,
평면 시점에서,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제2 층의 개구 및 상기 제4 층의 개구 보다 더 크고,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점착부는 착용자의 볼에 상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점착부가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로 개재되는 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외곽부 방향으로 개재되는 폭은 상기 마스크의 중앙부 방향으로 개재되는 폭의 2배 이상인 마스크.
A mask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layer constituting the outer material; a second layer disposed on the first layer and having an opening; a fourth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layer and having an opening and constituting a lining; and an adhesive portion that at least partially overlaps the opening in the second layer and the opening in the fourth layer;
In a plan view, the adhesive portion is larger than the opening in the second layer and the opening in the fourth layer, the adhesive portion being at least partiall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When the mask is worn, the adhesive portion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wearer's cheeks,
In the width where the adhesive por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the width inter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portion of the mask is at least twice the width inter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mask.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층 구조를 갖는 마스크로서,
겉감을 구성하는 제1 층;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되고 개구를 갖는 제2 층; 상기 제2 층 상에 배치되고 개구를 가지며 안감을 구성하는 제4 층; 및 상기 제2 층의 개구 및 상기 제4 층의 개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점착부를 포함하되,
평면 시점에서,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제2 층의 개구 및 상기 제4 층의 개구 보다 더 크고,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닿고, 상기 제1 층과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닿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닿고,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상기 제4 층 및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중첩 부위에서,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상기 제4 층 및 상기 점착부는 서로 열 부착, 고주파 부착 또는 레이저 부착되는 마스크.
A mask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layer constituting the outer material; a second layer disposed on the first layer and having an opening; a fourth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layer and having an opening and constituting a lining; and an adhesive portion that at least partially overlaps the opening in the second layer and the opening in the fourth layer;
In a plan view, the adhesive portion is larger than the opening in the second layer and the opening in the fourth layer, the adhesive portion being at least partiall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t least partially contact, the first layer and the adhesive portion at least partially contact, the second layer and the adhesive portion at least partially contact, the first layer and the The second layer, the fourth layer, and the adhesive portion at least partially overlap,
In the overlapping portion, the first layer, the second layer, the fourth layer and the adhesive portion are thermally attached, radiofrequency attached, or laser attached to each other.
순차 적층된 제1 층 내지 제4 층, 점착부 및 와이어를 포함하는 마스크로서,
상기 제1 층은 겉감을 구성하고, 상기 제4 층은 안감을 구성하고, 제2 층 내지 제4층 은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층의 개구, 상기 제3 층의 개구 및 상기 제4 층의 개구는 서로 중첩하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제2 층의 개구 내지 상기 제4 층의 개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직 상기 제1 층과 중첩하되,
상기 점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층, 상기 제3 층 및 상기 제4 층과 비중첩하는 마스크.
A mask comprising sequentially stacked first to fourth layers, an adhesive part, and a wire,
the first layer constitutes an outer material, the fourth layer constitutes a lining, and the second to fourth layers have openings;
the opening in the second layer, the opening in the third layer and the opening in the fourth layer overlap each other;
the adhesive portion at least partially overlaps the opening in the second layer to the opening in the fourth layer, the wire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layer and the third layer, and the adhesive portion at least partially overlaps the opening in the first layer and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layer,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at least partially overlaps only the first layer,
The adhesive portion at least partially overlaps the second layer, the third layer and the fourth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를 커버하는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점착부는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 보다 세로 방향의 최대 길이가 더 크고,
상기 마스크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스크의 중앙을 관통하는 접이선을 갖는 2단 접이식 마스크이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접이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여 짝수개이고,
상기 마스크가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상태에서, 대칭되는 위치의 2개의 점착부는 서로 맞닿아 부착되도록 구성된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lease film covering the adhesive portion,
The maximum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maximum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The mask is a two-stage foldable mask having a fold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mask,
An even number of the adhesive parts are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old line,
The mask is configured such that, in a state in which the mask is folded along the fold line, the two adhesive portions at symmetrical positions abut and attach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층과 열 부착, 고주파 부착 또는 레이저 부착된 스트랩으로서, 양단이 상기 제4 층과 맞닿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스크의 중앙을 관통하는 접이선을 갖는 2단 접이식 마스크이고,
상기 마스크가 접이선을 따라 접어지고 2개의 점착부가 맞닿아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펼치도록 구성된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strap attached to the fourth layer by heat, radio frequency, or laser, and further comprising a strap having both ends in contact with the fourth layer,
The mask is a two-stage foldable mask having a fold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mask,
A mask configured to unfold the mask using the strap in a state in which the mask is folded along the fold line and the two adhesive par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 보다 세로 방향의 최대 길이가 더 크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마스크의 중앙부에서 외곽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갖는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maximum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maximum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The adhesive portion may have a shape convexly curved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mask to an outer portion of the mask.
제1항에 있어서, 평면 시점에서, 상기 마스크의 외곽 가장자리로부터 2cm 이격된 영역 내에는 상기 점착부가 위치하지 않는 마스크.The mask of claim 1 , wherein the adhesive part is not located in a region spaced apart by 2 cm from an outer edge of the mask in a plan view. 삭제delete
KR1020200043702A 2020-04-10 2020-04-10 Mask including adhesion for disinfection and dustproof KR1023475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702A KR102347594B1 (en) 2020-04-10 2020-04-10 Mask including adhesion for disinfection and dustpro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702A KR102347594B1 (en) 2020-04-10 2020-04-10 Mask including adhesion for disinfection and dustpro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206A KR20210126206A (en) 2021-10-20
KR102347594B1 true KR102347594B1 (en) 2022-01-06

Family

ID=7826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702A KR102347594B1 (en) 2020-04-10 2020-04-10 Mask including adhesion for disinfection and dustpro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59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8892B2 (en) * 1993-11-30 2001-10-15 東レ株式会社 Propeller shaft
JP2007020983A (en) * 2005-07-20 2007-02-01 Showa Yakuhin Kako Kk Face-worn covering implement
KR101878890B1 (en) * 2018-04-05 2018-07-16 조설학 Mas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56608U (en) * 2017-09-08 2018-03-11 Winresp Inc Nano thin film mask
KR20190009814A (en) 2019-01-09 2019-01-29 양현기 Mask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8892B2 (en) * 1993-11-30 2001-10-15 東レ株式会社 Propeller shaft
JP2007020983A (en) * 2005-07-20 2007-02-01 Showa Yakuhin Kako Kk Face-worn covering implement
KR101878890B1 (en) * 2018-04-05 2018-07-16 조설학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206A (en)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2893A1 (en) Flat-Fold Respirator
JP3129053U (en) Multilayer mask
KR102631508B1 (en) Respirator valve
JP4594182B2 (en) 3D mask
ES2929388T3 (en) Maintenance-free flat-fold respirator that includes an attachment tab
JP2019031771A (en) Tab for breathing mask
US20060201513A1 (en) Flat-foldable face-mask and process of making same
JP2007021031A5 (en)
PL184221B1 (en) Multiple-partite head band and respirator mask assembly as well as manufacturing process for making the both
KR20170090488A (en) Respirator nosepiece
KR20180004270A (en) Respiratory tab
KR200493359Y1 (en) Disposable medical mask
JP4717538B2 (en) mask
EP3691486B1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KR102347594B1 (en) Mask including adhesion for disinfection and dustproof
KR20180054008A (en) Mask
JP2007021026A (en) Mask
JP2007021026A5 (en)
KR102402996B1 (en) Disposable mask
KR20180080861A (en) Mask
KR20220146175A (en) Z-folding type face mask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210154319A (en) Mask improved wearing and part component of the same
JP2022116653A (en) mask and filter package
KR20220012500A (en) Mask Filter and Mask including the same
KR20220019337A (en)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