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390A -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390A
KR20190047390A KR1020170141243A KR20170141243A KR20190047390A KR 20190047390 A KR20190047390 A KR 20190047390A KR 1020170141243 A KR1020170141243 A KR 1020170141243A KR 20170141243 A KR20170141243 A KR 20170141243A KR 20190047390 A KR20190047390 A KR 20190047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user information
service
us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찬
이정원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7390A/ko
Publication of KR20190047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링크시켜 저장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사용자로부터 식별 ID를 통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은 경우, 식별 ID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그 요청 결과에 따라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 정보 변경 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다양한 서비스 업체와 거래하고 있다. 즉, 현대인은 신용카드 서비스, 유선 통신 서비스, 무선 통신 서비스, 우편 서비스, 보험 서비스, 전력 서비스 등 생활에 편리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신용카드사, 유선 통신 사업자, 무선 통신 사업자, 우편 사업자, 보험사, 전력 공급자 등의 서비스 업체로부터 각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요금을 청구하는 청구서, 서비스의 이용에 편리한 정보를 담은 소식지 등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우편 또는 이메일 등을 통해 수신한다.
이와 같이, 각 서비스에 대한 청구서 또는 소식지 등의 서비스 정보를 가입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각 서비스 업체는 가입자의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 다양한 가입자의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한다.
한편, 가입자가 이사하여 주소가 변경되거나 전화번호가 변경되는 경우 또는 가입자의 이메일 주소가 변경되는 경우 등에는, 가입자는 각 서비스 업체에 연락을 취하여 변경된 주소,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 등의 변경된 정보를 알려주고 기존의 정보를 변경된 정보로 갱신할 것을 요청해야 한다.
만일, 가입자가 기존의 정보를 변경된 정보로 갱신할 것을 요청하지 않으면, 각 서비스 업체는 가입자의 기존의 정보가 변경된 것을 알지 못하므로, 서비스 정보를 가입자의 기존의 정보에 기록된 주소,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잘못 전달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가입자는 서비스 정보를 전달받지 못하게 되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정보가 이용 요금의 청구서라면 가입자는 청구서를 받지 못해 이용 요금을 연체하게 되어 연체 이자를 지불해야 할 것이고, 서비스 정보가 경품의 지급에 대한 소식지라면 가입자는 소식지를 받지 못해 경품을 지급받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가입자의 기존 정보는 수시로 변할 수 있고, 그 때마다 가입자가 거래하는 모든 서비스 업체에 변경된 정보를 일일이 알려 주어 갱신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일 뿐만 아니라 그 때마다 모든 서비스 업체에 빠짐없이 알려 주는 것도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입자의 정보 변경 시, 모든 서비스 업체에 정보 변경을 통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여 가입자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9611호(2011.08.09.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모든 서비스 업체에 사용자 정보 변경을 통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링크시켜 저장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 ID를 통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식별 ID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그 요청 결과에 따라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이름, 주소 및 연락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서비스 서버는, 암호화키를 통해 상기 식별 ID를 암호화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복호화키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식별 ID를 복호화한 후, 상기 복호화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ID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정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고 상기 수신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식별 ID에 따른 상기 사용자 정보 API의 호출 횟수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상기 사용자의 이름 및 연락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정보가 저장된 타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복수의 타 서비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타 사용자 단말은, 상기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타 서비스 서버의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타 서비스 서버가 선택된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정보와 링크된 식별 ID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는,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식별 ID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그 요청 결과에 따라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입력받는 단계,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링크시켜 저장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 ID를 통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식별 ID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은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링크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ID를 통해 상기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대한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정의 관리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사용자 정보 변경 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실제 주소가 아닌 소정의 식별 ID를 사용자의 실제 주소와 링크시켜 관리하는 방법을 통해 사용자 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본인뿐만 아니라 타 사용자도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확정성을 구축하여 그 수익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 관리 서버, 서비스 서버, 타 사용자 단말 및 타 서비스 서버 간의 상호 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관리 서버(200), 서비스 서버(300), 타 사용자 단말(400) 및 복수의 타 서비스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태블릿,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데스크탑 컴퓨터 등 사용자가 후술할 관리 서버(200) 및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하기 위한 매체가 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입력받아 후술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주소 및 연락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후술할 서비스 서버를 통해 배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를 가정하면, 사용자 정보는 배송 메시지 등 배송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식별 ID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도록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고유 ID 정보를 의미한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주소 등의 사용자 정보가 변경된 경우 모든 서버스 업체에 사용자 정보 변경을 통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사용자 정보를 식별 ID를 통해 관리하는 구성을 채용하며,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를 1회만 변경하더라도 변경된 사용자 정보는 식별 ID와 링크되어 관리되며, 각 서비스 업체는 식별 ID를 참조함으로써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서버스 업체에 사용자 정보 변경을 통지해야 하는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링크시켜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이름, 주소 및 연락처를 그대로 저장하는 것이 아닌, 식별 ID와 링크된 링크 정보의 형태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200) 및 후술할 서비스 서버(300)는 식별 ID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식별 ID를 통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은 경우, 식별 ID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그 요청 결과에 따라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300)는 관리 서버(200)와의 제휴 관계를 인증하기 위해 서비스 서버(300)의 고유 ID를 식별 ID와 함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신용카드 서비스, 유선 통신 서비스, 무선 통신 서비스, 우편 서비스, 보험 서비스, 전력 서비스 등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를 의미하며, 사용자 정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이 아닌, 식별 ID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전송한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3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 서버(300)에 주소를 등의 사용자 정보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없이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식별 ID만을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서비스 제공을 요청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300)는 전송받은 식별 ID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그 요청 결과에 따라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관리 서버(200) 및 서비스 서버(300)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관리 서버(200) 및 서비스 서버(300) 간 송수신되는 식별 ID가 외부로 유출되어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킹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관리 서버(200) 및 서비스 서버(300)에는 식별 ID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기 위한 암복호화 모듈이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300)는 암복호화 모듈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키를 통해 식별 ID를 암호화하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관리 서버(200)는 암복호화 모듈에 의해 생성된 복호화키를 통해 암호화된 식별 ID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식별 ID와 함께, 관리 서버(200) 및 서비스 서버(300) 간 송수신되는 사용자 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관리 서버(200)는 암복호화 모듈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키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암호화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300)는 암복호화 모듈에 의해 생성된 복호화키를 통해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복호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관리 서버(200) 및 서비스 서버(300)에 각각 탑재되는 암복호화 모듈은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인 SEED 보안 알고리즘,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인 RSAES-OAEP 보안 알고리즘, 또는 일방향 암호 알고리즘은 SHA 보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식별 ID 및 사용자 정보를 암복호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 서버(200)가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관리 서버(2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식별 ID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정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고, 수신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200)에는 식별 ID가 수신되면, 수신된 식별 ID(복호화를 거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반환하는 사용자 정보 API가 탑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 API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2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식별 ID에 따른 사용자 정보 API의 호출 횟수를 토대로 서비스 서버(300)에 대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300)가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요금을 산출하기 위해, 관리 서버(2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식별 ID에 따른 사용자 정보 API의 호출 횟수를 카운트하여 카운트 횟수에 따라 서비스 서버(300)에 대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200)에 탑재되는 사용자 정보 API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및 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관리 서버(200)에 의해 사용자 정보가 식별 ID에 의해 일괄적으로 관리되는 구성, 식별 ID 및 사용자 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 및 관리 서버(200)의 API의 기능을 설명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는 사용자 본인뿐만 아니라 타 사용자도 관리 서버(200)가 제공하는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구성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 사용자 단말(400) 및 복수의 타 서비스 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 사용자 단말(400)에는 관리 서버(200)가 제공하는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사용자의 이름 및 연락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정보는, 타 사용자 단말(400)에 통상적으로 저장되는 주소록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타 서비스 서버(5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휴 서비스 서버를 의미한다.
이에 기초하여 타 사용자 단말(400), 관리 서버(200) 및 타 서비스 서버 간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타 사용자 단말(400)은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 정보가 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예: 타 사용자 단말(400)에 저장된 주소록 상의 사용자 이름 선택), 복수의 타 서비스 서버(500)의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복수의 타 서비스 서버(500)의 리스트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타 서비스 서버가 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타 사용자 단말(4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 정보와 링크된 식별 ID를 수신하여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는 타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수신한 식별 ID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그 요청 결과에 따라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은, 이를테면 사용자의 주소를 모르는 타 사용자가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타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예: 배달 서비스)를 선택하면 타 서비스 서버가 관리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의 주소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배달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하기 위한 비용을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지불받아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고, 타 서비스 서버는 서비스 제공 비용을 타 사용자로부터 지불받아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 단말(100), 관리 서버(200), 서비스 서버(300), 타 사용자 단말(400) 및 복수의 타 서비스 서버(500)의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각 주체 간 상호 동작의 시계열적 구성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 관리 서버, 서비스 서버, 타 사용자 단말 및 타 서비스 서버 간의 상호 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입력받는 S100 단계,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링크시켜 저장하는 S20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00 단계 및 S200 단계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가 링크된 링크 정보가 각각의 사용자 별로 누적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서비스 서버(300)가 사용자로부터 식별 ID를 통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은 경우, 식별 ID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S300 단계, 관리 서버(200)가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는 S400 단계, 서비스 서버(300)가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S500 단계, 관리 서버(200)가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식별 ID에 따른 사용자 정보 API의 호출 횟수를 토대로 서비스 서버(300)에 대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는 S60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타 사용자 단말(400)이 관리 서버(200)가 제공하는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의 이름 및 연락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정보를 출력하는 S700 단계, 타 사용자 단말(400)이 사용자 단말 정보가 선택된 경우, 관리 서버(200)로부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복수의 타 서비스 서버(500)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S800 단계, 타 사용자 단말(400)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타 서비스 서버가 선택된 경우, 관리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 정보와 링크된 식별 ID를 수신하여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S900 단계,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가 타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수신한 식별 ID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S1000 단계, 및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정보를 요청한 결과에 따라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S110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S300 단계 내지 S600단계와, S700 단계 내지 S1100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시계열적 구성이 아닌,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병렬적 구성으로서, 그 동작 순서가 상기한 기재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S100 단계 내지 S500 단계의 시계열적 구성을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입력받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S100).
이어서,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링크시켜 저장한다(S200).
이어서,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식별 ID를 통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은 경우(S310), 식별 ID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한다(S330).
이어서, 관리 서버(2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S430)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440).
이어서, 서비스 서버(3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S500).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S300 단계, S400 단계 및 S600 단계의 구체적인 시계열적 구성을 설명한다.
S300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식별 ID를 통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은 경우(S310), 암호화키를 통해 식별 ID를 암호화하고(S320)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한다(S330).
이후, 관리 서버(200)는 복호화키를 통해 암호화된 식별 ID를 복호화한 후(S410), 복호화된 식별 ID를 토대로 사용자 정보 API를 호출하고(S420)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S430)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440).
이후, 관리 서버(2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식별 ID에 따른 사용자 정보 API의 호출 횟수를 토대로 서비스 서버(300)에 대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S610)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620).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S700 단계 내지 S1100 단계의 구체적인 시계열적 구성을 설명한다.
S700 단계에서, 타 사용자 단말(400)은 관리 서버(200)가 제공하는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S710) 사용자의 이름 및 연락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정보를 출력한다(S720).
이어서, S720 단계에서 출력된 사용자 단말 정보가 선택된 경우(S810), 타 사용자 단말(4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복수의 타 서비스 서버(500)의 리스트를 출력한다(S820).
이어서, S820 단계에서 출력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타 서비스 서버가 선택된 경우(S910), 타 사용자 단말(400)은 선택된 사용자 단말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S920), 이에 따라 관리 서버(200)에 의해 사용자 단말 정보와 링크된 식별 ID가 추출되어(S930) 타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됨으로써(S940) 타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 정보와 링크된 식별 ID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식별 ID를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S950).
이어서, S910 단계에서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는 타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수신한 식별 ID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한다(S1000).
이어서, 관리 서버(200)에 의해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가 추출되고(S1110)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며(S1120),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S1130).
이에 따라, 관리 서버는 사용자 정보를 식별 ID를 통해 일괄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 정보 변경 상의 번거로움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및 타 사용자 단말) 및 서비스 서버(및 복수의 서비스 서버) 간 식별 ID 및 사용자 정보 교환을 보안성이 유지되도록 중계함으로써 그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소정의 관리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사용자 정보 변경 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실제 주소가 아닌 소정의 식별 ID를 사용자의 실제 주소와 링크시켜 관리하는 방법을 통해 사용자 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본인뿐만 아니라 타 사용자도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확정성을 구축하여 그 수익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관리 서버
300: 서비스 서버
400: 타 사용자 단말
500: 복수의 타 서비스 서버

Claims (18)

  1.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링크시켜 저장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 ID를 통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식별 ID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그 요청 결과에 따라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이름, 주소 및 연락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암호화키를 통해 상기 식별 ID를 암호화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복호화키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식별 ID를 복호화한 후, 상기 복호화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ID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정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고 상기 수신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식별 ID에 따른 상기 사용자 정보 API의 호출 횟수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상기 사용자의 이름 및 연락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정보가 저장된 타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복수의 타 서비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 사용자 단말은, 상기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타 서비스 서버의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타 서비스 서버가 선택된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정보와 링크된 식별 ID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는,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식별 ID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그 요청 결과에 따라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9.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입력받는 단계;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링크시켜 저장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 ID를 통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식별 ID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이름, 주소 및 연락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암호화키를 통해 상기 식별 ID를 암호화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복호화키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식별 ID를 복호화한 후, 상기 복호화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ID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정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고 상기 수신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식별 ID에 따른 상기 사용자 정보 API의 호출 횟수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타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이름 및 연락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타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 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복수의 타 서비스 서버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타 사용자 단말이,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타 서비스 서버가 선택된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정보와 링크된 식별 ID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가,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식별 ID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ID와 링크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타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요청한 결과에 따라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16.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 및 식별 ID를 링크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ID를 통해 상기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대한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ID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정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고 상기 수신한 식별 ID와 링크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식별 ID에 따른 상기 사용자 정보 API의 호출 횟수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KR1020170141243A 2017-10-27 2017-10-27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7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243A KR20190047390A (ko) 2017-10-27 2017-10-27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243A KR20190047390A (ko) 2017-10-27 2017-10-27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390A true KR20190047390A (ko) 2019-05-08

Family

ID=6658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243A KR20190047390A (ko) 2017-10-27 2017-10-27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73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005B1 (ko) * 2020-08-04 2021-05-27 주식회사 케이와케이 하이브리드 무선 동작감지형 차임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005B1 (ko) * 2020-08-04 2021-05-27 주식회사 케이와케이 하이브리드 무선 동작감지형 차임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4498B2 (en) Method and service-providing server for secure transmission of user-authenticating information
EP1452027B1 (en) Access to encrypted broadcast content
US8543091B2 (en) Secure short message service (SMS) communications
US8499156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encryption an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nd system thereof
US20080137861A1 (en) Security Code Production Method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nd Programmable Device Thereof
JP2002503354A (ja) 装置へのアクセスを管理する方法
US8156340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system content by automated device authentication
TWI227984B (en) Method, communication-system and mobile receive-device for the calculation of access-controlled program and/or date of broadcast senders
CN1636353A (zh) 通信设备中保证票据安全的方法、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KR20010013260A (ko)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세계에 걸친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
JP2013138508A (ja) Ota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07516196A (zh) 一种移动支付系统及其移动支付方法
CN101720071A (zh) 基于安全sim卡的短消息两阶段加密传输和安全存储方法
GB2387505A (en) Method of securely coupling communications devices
US8099762B2 (en) Secure digital content trading systems and methods
KR20190047390A (ko)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1658004B (zh) 用于提供rel令牌的方法和系统
US8819431B2 (en) Methods and device for electronic entities for the exchange and use of rights
EP1351466B1 (en) A method of exchanging secured data through a network
KR100763756B1 (ko) Sms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3157366A (ja) 個人情報管理方法、管理装置、流通装置及び物品流通システム
KR101129167B1 (ko) 모바일 안전 결제 방법 및 시스템
Dass et al. Security framework for addressing the issues of trust on mobile financial services
JP4864566B2 (ja) 属性認証方法、鍵管理装置、サービス提供先装置、サービス提供元装置、及び属性認証システム
KR101129168B1 (ko) 모바일 안전 결제 방법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