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355A - Antenna equipment - Google Patents

Antenna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355A
KR20190047355A KR1020170141158A KR20170141158A KR20190047355A KR 20190047355 A KR20190047355 A KR 20190047355A KR 1020170141158 A KR1020170141158 A KR 1020170141158A KR 20170141158 A KR20170141158 A KR 20170141158A KR 20190047355 A KR20190047355 A KR 20190047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output
switching unit
antenna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1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4567B1 (en
Inventor
전찬익
정해영
전종연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7014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567B1/en
Publication of KR20190047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3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5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3/00Antennas with active circuits or circuit elements integrated within them or attached to them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apparatus which comprises: an antenna conductor; and a first switching unit having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one side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nd having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connected to different communication modules. One of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is connected to an FM module.

Description

안테나 장치{ANTENNA EQUIPMENT}ANTENNA EQUIPMENT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추가적인 안테나 설치 없이 FM 라디오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FM radio signal without installing an additional antenna.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몇 지구 온난화로 인한 태풍, 폭우, 지진, 쓰나미 등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므로, 재해 예측과 더불어 일반 국민에게 재해 발생 전/후에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전달이 중요해지고 있다.Global Climate Change Because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heavy rains, earthquakes and tsunamis, which are caused by global warming, it is becoming important for the general public to communicate quickly and accurately before and after a disaster.

국내의 초기 재난 경고 방송 시스템은 아날로그 TV 시스템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져 있으므로, 아날로그 TV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VBI: Vertical Blanking Interval)을 이용해서 재난경고 방송 메시지 신호를 부호화한 후 부가시켜 송신하였다. Since the initial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system in Korea is based on the analog TV system, the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message signal is encoded us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VBI) of the analog TV signal, and then added and transmitted.

또한, 재난경고 방송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재난경고 방송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는 별도의 수신기를 지역별로 배포하고 지역에 재난이 발생할 경우 해당 지역의 수신기로 재난발생 상황을 전달해 해당 수신기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재난경고 방송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해당 지역의 가정으로 재난 경고 방송 메시지 신호를 2차적으로 다시 전송하는 방법을 구축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receive the disaster alarm broadcasting message signal, a separate receiver for receiving the disaster alarm broadcasting message signal is distributed to each region. When a disaster occurs in the region, the disaster occurrence situ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of the corresponding region, After receiving the disaster alert broadcast message signal, a method of secondarily transmitting the disaster alarm broadcast message signal to the home of the corresponding region is constructed.

하지만, 국가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일 경우, 재난방송에 대한 관리 및 방송의 주체가 모호하고 인식이 부족했으며 수신기 등의 보급도 한계가 있어, 재난 경고 방송의 실효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었다.However, in case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and broadcasting of disaster broadcasting were ambiguous and lacked awareness, and the distribution of receivers was limited.

2009년 이후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같은 모바일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단말기의 보급이 활발히 이루지면서 DMB를 이용한 재난 경고 방송의 표준제정과 구축이 이루어지게 되었다.Since 2009, mobile terminals such as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have been widely used, and standards for disaster alert broadcasting using DMB have been established and established.

하지만, 예전과 달리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경우 DMB 안테나가 내장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어폰(ear phone)과 같은 별도의 액세서리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 DMB 방송을 청취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재난 경고 방송 역시 청취할 수 없고 재난 경고에 효과가 미미하다.However, unlike the case of the past,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s not equipped with a DMB antenna. Therefore, if the user does not have an accessory such as an earphone, This makes it impossible to listen to disaster warning broadcasts and has little effect on disaster warning.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는 FM 라디오 신호 수신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고 있으나 조만간 휴대 단말기로도 FM 라디오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여 FM 방송을 청취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럴 경우, FM 라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재난 경고 방송을 실시할 경우, 재난 경고 방송을 확인하는 인원의 수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currently available mobile terminal does not have the function of receiving the FM radio signal, the FM radio signal can be received by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near future, so that it becomes possible to listen to the FM broadcast. In this case, In case of warning broadcasting, the number of people who confirm the disaster warning broadcasting greatly increases.

하지만, 금속 본체(metal body)를 갖는 스마트폰과 같은 대부분의 휴대 단말기의 경우, 별도의 안테나를 설치할 공간 확보가 어려워 FM 라디오 신호용 FM안테나를 추가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However, in most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having a metal body,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a separate antenna.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dd an FM antenna for an FM radio signal.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03870호(공개일자: 2005년11월01일, 발명의 명칭: 안테나 장치)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03870 (Publication Date: November 1, 2005, entitled Antenna Apparatus)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추가적으로 FM 안테나를 설치하지 않고 FM 라디오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테나 설비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cost of an antenna installa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receive an FM radio signal without installing an FM antenna.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도체, 및 상기 안테나 도체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과 서로 다른 통신 모듈에 연결되는 복수의 출력단을 갖는 제1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출력단 중 하나는 FM 모듈에 연결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tenna device including an antenna conductor, a first switching unit having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nd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connected to different communication modules, , And one of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is connected to the FM module.

상기 복수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출력단은 NFC 모듈, WPT 모듈, MST 모듈 및 DMB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At least one remaining out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NFC module, the WPT module, the MST module, and the DMB module.

상기 특징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안테나 도체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출력단, 및 개방 상태의 제2 출력단을 갖는 제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witching unit having an inpu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 first output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second output connected to the ground.

상기 특징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안테나 도체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출력단 및 개방 상태의 제2 출력단을 갖는 다이플렉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plexer having an inpu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 first output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second output connected to the ground.

상기 특징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2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정합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atching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상기 정합 회로는 유도성 성분, 용량성 성분 및 저항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할 수 있다.The matching circuit may form at least one of an inductive component, a capacitive component, and a resistive component.

상기 특징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칭부의 출력단과 상기 FM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더미 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ummy conducto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FM modul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도체, 및 상기 안테나 도체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 FM 모듈에 연결되는 제1 출력단, 그리고 FM 모듈과 다른 통신 모듈에 연결되는 제2 출력단을 구비한 다이플렉서를 포함한다.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conductor, an inpu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 first output connected to the FM module, and a second output connected to the FM module and another communication module And a diplexer.

상기 제2 출력단은 NFC 모듈, WPT 모듈, MST 모듈 및 DMB 모듈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output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one of an NFC module, a WPT module, an MST module, and a DMB module.

상기 특징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안테나 도체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과 상기 제1 출력단과 제2 출력단에 연결되는 통신 모듈과 다른 통신 모듈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을 갖는 제1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witching unit having an input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end and the second output end, and at least one output end connected to another communication module .

상기 제1 스위칭부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은 NFC 모듈, WPT 모듈, MST 모듈 및 DMB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At least on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n NFC module, a WPT module, an MST module, and a DMB module.

상기 특징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안테나 도체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출력단, 및 개방 상태의 제2 출력단을 갖는 제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witching unit having an inpu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 first output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second output connected to the ground.

상기 안테나 도체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출력단 및 개방 상태의 제2 출력단을 갖는 다이플렉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diplexer having an input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 first output end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second output end in an open state.

상기 특징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2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정합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atching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상기 정합 회로는 유도성 성분, 용량성 성분 및 저항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할 수 있다.The matching circuit may form at least one of an inductive component, a capacitive component, and a resistive component.

상기 특징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칭부의 출력단과 상기 FM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더미 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ntenna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ummy conducto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FM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도체, 상기 안테나 도체의 일측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고, 고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과 저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에 각각 제1 및 제2 출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다이플렉서, 및 상기 안테나 도체의 타측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에 제1 출력단이 연결되어 있고, 제2 출력단은 접지 상태나 플로팅 상태를 유지하는 제2 다이플렉서를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을 FM 모듈을 포함한다.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conductor,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nd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the high frequency band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the low frequency band, respectively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low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diplexer and the second diplexer which maintains the ground state or the floating state, And a high-frequency band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n FM module.

상기 특징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1 다이플렉서의 제1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고 서로 다른 고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에 복수의 출력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witching unit having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diplexer and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connected to different high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modules.

상기 서로 다른 고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은 FM 모듈과 DMB 모듈일 수 있다.The different high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n FM module and a DMB module.

상기 저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은 NFC 모듈일 수 있다.The low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n NFC module.

상기 특징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2 다이플렉서의 제2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고 제1 출력단은 접지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출력단은 플로팅되어 있는 제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witching unit having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diplexer, a first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FM 라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FM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하나의 안테나 도체를 이용하므로, FM 모듈을 위한 안테나 도체의 설치가 필요 없다.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including an FM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FM radio signal use one antenna conductor,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n antenna conductor for the FM module.

이로 인해, 안테나 장치의 설치 비용이 절감된다. This reduces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antenna device.

또한, 휴대 전화기와 같이 추가적인 구성요소의 설치 공간이 부족한 전자 기기의 경우, 이미 구비되어 있는 안테나 도체를 이용하므로 설계가 용이하며 공간의 활용성이 향상된다. Further,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ortable telephone, in which space for installing additional components is insufficient, the antenna conductor already provided is used, so that the design is easy and the space utilization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다른 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다른 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또 다른 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xample of a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xample of a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xample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it is possible to mak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obscure by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ique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field, it is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appropriately expres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person or custom in the relevant field.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embodies certain features, area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 / or components, And the lik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도체(10), 안테나 도체(10)의 일측단에 입력단(I1)이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A1-A3)에 통신 모듈부(30)가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부(21), 안테나 도체(10)의 타측단에 입력단(I2)이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칭부(22)를 구비한다.1, the antenna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input terminal I1 connected to one end of an antenna conductor 10 and an antenna conductor 10, and a communication module 30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A1-A3 And a second switching unit 22 having an input terminal I 2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10.

이때, 통신 모듈부(30)는 제1 스위칭부(21)의 각 출력단(A1-A3)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 모듈, 예를 들어, FM 모듈(31), NFC 모듈(32) 및 DMB 모듈(33)을 구비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3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the FM module 31, the NFC module 32 and the DMB module 32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put terminals A1-A3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 33).

안테나 도체(10)는 코일(coil)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안테나 도체(10)의 총 길이는 대략 50㎝ 내지 90㎝일 수 있다. The antenna conductor 10 is in the form of a coil and the total length of the antenna conductor 10 can be approximately 50 cm to 90 cm.

제1 스위칭부(21)와 제2 스위칭부(22)는 사용자의 수동 동작에 의해 전환 상태가 정해서 입력단(I1, I2)과 접하는 출력단(A1-A3, B1-B3)이 정해지는 수동 스위치나 릴레이(relay) 등과 같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해당 상태의 접점 상태를 갖는 자동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switching unit 21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2 may be a manual switch or the like in which output states A1-A3 and B1-B3 of which switching states are determined by the user's manual operation and are in contact with the input terminals I1 and I2 And an automatic switch having a contact state of the corresponding state by an electrical signal such as a relay.

제1 스위칭부(21)는 하나의 입력단(I1)과 복 수 개의 출력단(A1-A3)을 갖는 스위치이고, 이때, 출력단(A1-A3)의 개수는 통신 모듈부(30)에 구비되는 통신 모듈(31-33)의 개수에 따라 정해진다.The first switching unit 21 is a switch having one input terminal I1 and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A1 to A3 and the number of the output terminals A1 to A3 is a communication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modules 31-33.

도 1의 경우, 통신 모듈(31-33)의 개수가 3개이므로, 제1 스위칭부(21)의 출력단(A1-A3)의 개수는 3개일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1, since the numb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s 31-33 is three, the number of output terminals A1-A3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 can be three.

제2 스위칭부(22)는 안테나 도체(10)의 타측단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입력단(I2)과 세 개의 출력단(B1-B3)을 구비하고 있다.The second switching unit 22 is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10 and has one input terminal I2 and three output terminals B1 to B3.

이때, 세 개의 출력단(B1-B3) 중 하나(B1)는 접지(G)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출력단(B2)은 어디에도 연결되지 않은 개방(open) 상태, 즉 플로팅(floating)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는 통신 모듈이 NFC 모듈(32)인 경우를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one of the three output terminals B1-B3 is connected to the ground G and the other output terminal B2 is open, that is, floating, Is for the case where the communication module is the NFC module 32. [

즉, NFC 모듈(32)의 경우 안테나 도체(10)와 폐루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안테나 도체(10)의 일측단은 NFC 모듈(32)의 하나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안테나 도체(10)의 타측단은 NFC 모듈(32)의 타측 단자에 연결된다.That is, since the NFC module 32 forms a closed loop with the antenna conductor 10, one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10 is connected to one input terminal of the NFC module 32 and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10 And the other end of the NFC module 3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따라서, 이를 위해, 제1 스위칭부(22)는 NFC 모듈(32)과 같이 안테나 도체(10)와 폐루프를 형성하는 경우, 해당 통신 모듈(32)의 해당 단자와 안테나 도체(10)의 타측단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when the NFC module 32 forms a closed loop with the antenna conductor 10, the first switching unit 22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32 and the antenna conductor 10 To connect the side ends.

대안적인 예에서, 통신 모듈부(30)에 구비되는 통신 모듈 중에서 NFC 모듈와 같이, 안테나 도체(10)과 폐루프를 형성하는 통신 모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2 스위칭부(22)는 해당 단자(B3)를 구비하지 않는다. In an alternative example, when there is no communication module that forms a closed loop with the antenna conductor 10, such as an NFC module, among the communication modules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30, (B3).

하지만,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다른 예에서, 제2 스위칭부(22)의 제2 출력단(B2)은 추가적인 정합회로(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정합회로(40)는 박막의 금속층이나 도금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유도성 성분, 용량성 성분 및 저항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리액터(reactor), 커패시터(capacitor) 및 저항(resis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2, in another example, the second output terminal B2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22 may be connected to the additional matching circuit 40. Fig. At this time, the matching circuit 40 may be formed of a metal layer or a plated layer of a thin film, and may include a reactor, a capacitor, and a resistor forming at least one of an inductive component, a capacitive componen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대안적인 예에서, 제2 스위칭부(22)는 생략될 수 있고, 제2 스위칭부(22)가 생략될 때, 안테나 도체(10)의 타측단은 접지에 연겯되어 있거나 플로팅되어 있다. 제2 스위칭부(22)가 생략될 경우, NFC 모듈(32)과 같이 안테나 도체(10)와 폐루프를 형성하는 통신 모듈은 별도의 스위칭부와 같은 별도의 방법을 이용하여 안테나 도체(10)와 해당 통신 모듈의 폐루프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second switching part 22 may be omitted, and when the second switching part 22 is omitted, the other side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10 is grounded or floated. When the second switching unit 22 is omitted, the antenna conductor 1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forming the closed loop, like the NFC module 32, are connected to the antenna conductor 10 using a separate method such as a separate switching unit. And forming a closed loop of the communication module.

이미 기재한 것처럼, 통신 모듈부(30)는, 본 예의 경우, 제1 스위칭부(21)의 제1 출력단(A1)에 연결되어 있는 FM 모듈(31), 제1 스위칭부(21)의 제2 출력단(A2)에 연결되어 있는 NFC 모듈(즉,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 그리고 제1 스위칭부(21)의 제3 출력단(A3)에 연결되어 있는 DMB 모듈(33)을 구비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30 includes the FM module 31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1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 and the FM module 31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21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 And a DMB module 33 connected to a third output terminal A3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 and an NFC module 32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A2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 .

하지만, 통신 모듈부(30)에 속하는 통신 모듈(31-33)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일부 통신 모듈(32-33)이 생략되거나 다른 통신 모듈이 추가될 수 있다. 이처럼, 다른 통신 모듈이 가감될 경우, 제1 스위칭부(21)의 출력단의 개수 역시 가감되는 통신 모듈의 개수만큼 가감된다. However, the communication modules 31-33 belonging to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30 are not limited to this, and some communication modules 32-33 may be omitted or other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added as needed. In this way, when another communication module is added or subtracted, the number of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 is also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numb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s to be added or subtracted.

이들 통신 모듈(31-33)은 해당 상태의 신호를 제1 스위칭부(21)와 안테나 도체(1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기와 안테나 도체(10)로 수신되어 제1 스위칭부(2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se communication modules 31 to 33 are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and the antenna conductor 10 for transmitting signals in the corresponding stat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switching unit 21 and the antenna conductor 10,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antenna.

이때, 송신기는 인가되는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크기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기, 생성된 신호를 해당 크기로 증폭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 그리고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고 송신기의 임피던스를 해당 안테나 도체의 임피던스에 매칭시키는 정합회로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includes an oscillator for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frequency of a corresponding magnitude in response to an applied input signal, a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generated signal to a corresponding magnitude, and a receiver for removing a noise component, And a matching circuit for matching the impedance to the impedance.

또한, 수신기는 수신기의 임피던스를 해당 안테나의 임피던스와 일치시키는 정합 회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 수신된 신호의 정류 동작을 실시하는 정류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matching circuit for matching the impedance of the receiver with the impedance of the antenna, a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and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received signal.

하지만, 이들 송신기와 수신기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른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However, the configurations of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re not limited thereto, and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added as needed.

FM 모듈(31)은 FM 라디오 신호(frequency modulation radio signal)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모듈이며, 대략 100MHz의의 초단파를 이용한다.The FM module 31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FM radio signal, and uses a microwave of about 100 MHz.

NFC 모듈(32)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고, 대략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The NFC module 32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uses a frequency band of approximately 13.56 MHz.

DMB 모듈(33)은 DMM 방송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다.The DMB module 33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MM broadcasting signal.

이와 같이, 제1 스위칭부(21)를 이용하여 하나의 안테나 도체(10)에 복수 개의 통신 모듈(31-33)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안테나 즉, 안테나 도체(1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통신을 통한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진다.Since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31 to 33 are connected to one antenna conductor 10 by using the first switching unit 21 as described above,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through communication of the type are performed.

예를 들어, 제1 스위칭부(21)의 접점 상태가 제1 출력단(A1)에 연결된 상태인 경우, 안테나 도체(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FM 모듈(31)로 인가되는 FM 라디오 신호의 청취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도체(10)는 FM 안테나 장치를 위한 FM 안테나 도체가 기능한다. For example, when the contact stat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1,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conductor 10 is transmitted to the FM module 31 It is possible to perform listening. In this case, the antenna conductor 10 functions as an FM antenna conductor for the FM antenna device.

본 예의 경우, 제1 스위칭부(21)에 연결되는 NFC 모듈(32)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코일 안테나를 이용하는 다른 통신 모듈이 모두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WPT(wireless power transmission) 모듈이나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모듈일 수 있다. In this case, instead of the NFC module 32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21, or in addition, any other communication module using a coil antenna can be used, for exampl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PT) module or an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odule.

일반적으로 FM 안테나 장치의 경우, 모노폴(monopole) 길이((1/4λ)는 약 83cm(90MHz 기준) 전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FM 모듈(31)의 동작 시 FM 공진을 위해 필요한 안테나 도체(10)의 길이가 다른 통신 모듈(32, 33)의 경우보다 긴 경우, 도 2와 같이, 제1 스위칭부(21)의 해당 출력단(A1)과 FM 모듈(31) 사이에 추가적인 더미 도체(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the FM antenna device, the monopole length (1/4?) Can be about 83 cm (about 90 MHz standard) An additional dummy conductor 50 is provided between the corresponding output terminal A1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 and the FM module 31 when the length of the dummy conductors 10 and 10 is longer than that of the other communication modules 32 and 33. [ ).

이 더미 도체(50)는 페라이트(ferrite)에 권선되어 있거나 패턴으로 인쇄로 구조물일 있거나, 또는 일반 유전체에 권선되어 있거나 패턴으로 인쇄된 소자 일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더미 도체(50)는 안테나 장치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PCB)에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패턴일 수 있다. The dummy conductor 50 may be an element that is wound on a ferrite or a printed circuit structure in a pattern, or may be an element that is wound on a general dielectric or printed in a pattern. As another example, the dummy conductor 50 may be a conductive pattern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used in an antenna device.

하지만, 이와는 달리, 더미 도체(50) 이외에도 정합 회로(40)를 이용하여 FM 공진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더미 도체(50)와 정합 회로(40)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Alternatively, however, the FM resonance length can be adjusted using the matching circuit 40 in addition to the dummy conductors 50. Therefore, if necessary, at least one of the dummy conductors 50 and the matching circuit 40 may be omitted.

이때 더미 도체(50)과 정합 회로(40)의 저항값은 대략 50Ω 내지 200Ω 일 수 있지만, 이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모듈부(30)에 속한 통신 모듈의 입력 임피던스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dummy conductor 50 and the matching circuit 40 may be approximately 50? To 2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put impedanc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belonging to the communication module 30.

또한, 제1 스위칭부(21)의 접점 상태가 제2 출력단(A2)에 연결된 상태이면, 안테나 도체(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NFC 모듈(32)로 인가되는 해당 주파수의 신호에 대한 근거리 무선 통신 동작을 행하게 되고, 제1 스위칭부(21)의 입력단(I1)이 제3 출력단(A3)에 연결되면 안테나 도체(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DMB 모듈(33)로 입력되어 DMB 방송 시청을 위한 동작을 행하게 된다.When the contact stat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A2,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conductor 10 is transmitted to the NFC module 32, When the input terminal I1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 is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terminal A3,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conductor 10 is input to the DMB module 33, An operation for viewing is performed.

또한, 이와 같이, 제1 스위칭부(21)의 동작에 따라 안테나 도체(10)가 해당 통신 모듈(31-33)과 연결될 경우, 제2 스위칭부(22)는 제1 출력단(B1)이나 제2 출력단(B2)에 연결된다.When the antenna conductor 10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31-33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witching unit 22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B1, 2 output terminal B2.

따라서, 제2 스위칭부(22)의 입력단(I2)이 제1 출력단(B1)에 연결되면 제2 스위칭부(22)는 접지와 연결되므로, 안테나는 폐루프 상태가 된다.Accordingly, when the input terminal I2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22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B1, the second switching unit 22 is connected to the ground, so that the antenna is in the closed loop state.

반면, 제2 스위칭부(22)의 입력단(I2)이 플로팅 되어 있는 제2 출력단(B2)에 연결되면, 안테나는 오픈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terminal I2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B2 which is floating, the antenna is in the open state.

따라서, 안테나 장치의 구조 변경없이, 안테나 장치의 동작 상태에 맞게 안테나의 타측 단자를 접지시키거나 플로팅 시켜 안테나 장치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antenna device can be improved by grounding or floating the other terminal of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antenna device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antenna device.

다음,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먼저, 도 3에 도시한 안테나 장치는, 도 1 및 도 2와 비교할 때, FM 모듈(31)과 다른 통신 모듈(예, NFC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다이플렉서(diplexer)(23)를 추가로 구비하고, 통신 모듈부(30)에 연결된 제1 스위칭부(211)의 연결 상태가 상이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안테나 장치와 동일하다.3, a diplexer 23 connected to an FM module 31 and another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an NFC module) is added to the antenna device shown in FIG. 1 and 2, except tha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1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30 is different.

따라서, 도 3에서, 도 1 및 2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도면 부호와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refore, in FIG. 3,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ose of FIGS. 1 and 2 and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FIG. 1 and FIG. 2,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로 인해, 도 3에 도시한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도체(10), 안테나 도체(10)의 일측단에 입력단(I11)이 연결되어 있고 통신 모듈부(30)에 출력단(A13)이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부(211), 안테나 도체(10)의 일측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A11, A12)에 통신 모듈부(30)가 연결되어 있는 다이플렉서(23), 그리고 안테나 도체(10)의 타측단에 입력단(I2)이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칭부(22)를 구비한다.3 has an antenna conductor 10 and an antenna conductor 10 having an input terminal I11 connected to one end and an output terminal A13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30, A diplexer 23 having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10 and a communication module 30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A11 and A12 and a diplexer 23 connected to the antenna conductor 10 And a second switching unit 22 having an input terminal I2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witching unit.

다이플렉서(23)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다이플렉서로서,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맞게 분리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통과시키고 원치 않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diplexer 23 is a generally known diplexer. The diplexer 23 separates a signal applied to an input terminal according to a frequency band, passes a signal of a desired frequency band, and blocks a signal of an undesired frequency band .

이러한 다이플렉서(23)의 입력단은 안테나 도체(10)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있고, 두 개의 출력단(A11, A12)은 각각 FM 모듈(31)과 NFC 모듈(32)에 연결되어 있다.The input terminal of the diplexer 23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10 and the two output terminals A11 and A12 are connected to the FM module 31 and the NFC module 32 respectively.

따라서, 안테나 도체(10)을 통해 다이플렉서(23)로 신호가 수신되면, 다이플렉서(23)는 각 출력단(A11, A12)에 연결되어 있는 두 통신모듈(31, 32)로 해당 크기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를 각각 출력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a signal is received by the diplexer 23 through the antenna conductor 10, the diplexer 23 selects two communication modules 31 and 32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put terminals A11 and A12, Respectively.

이처럼, 다이플렉서(23)는 자신의 출력단(A11, A12)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31, 32)로 동시에 입력되는 신호의 출력을 행하게 된다.As such, the diplexer 23 outputs signals simultaneously input to the devices 31 and 32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A11 and A12 thereof.

제1 스위칭부(211)는, 도 1 및 도 2와 달리, 하나의 입력단(I11)과 하나의 출력단(A13)을 구비하고 있는 수동 스위치나 자동 스위치일 수 있다.1 and 2, the first switching unit 211 may be a manual switch or an automatic switch having one input terminal I11 and one output terminal A13.

따라서, 제1 스위칭부(211)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제1 스위칭부(211)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통신 모듈[예, DMB 모듈(33)]로의 신호 전달을 행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ON / OFF stat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1, signal transmission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 DMB module 33)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211 is performed.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 스위칭부(211)가 오프된 경우, 안테나 도체(10)로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는 다이플렉서(23)에 연결된 두 통신 모듈(31, 32)로만 전송된다.With this structure, when the first switching unit 211 is off, when a signal is received by the antenna conductor 10, the received signal is transmitted only to the two communication modules 31 and 32 connected to the diplexer 23 do.

하지만, 제1 스위칭부(211)가 온되면, 안테나 도체(10)로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는 다이플렉서(23)에 연결된 두 통신 모듈(31, 32)뿐만 아니라 제1 스위칭부(211)를 통해서 나머지 통신 모듈(33)로도 전송된다.However, when the first switching unit 211 is turned on, when a signal is received by the antenna conductor 10, the received signal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31 and 32 connected to the diplexer 23, (211) to the remaining communication module (33).

이때, 도 3과 달리, 다이플렉서(23)에 연결되는 두 개의 통신 모듈 중 하나는 NFC 모듈(32) 대신 DMB 모듈(33)일 수 있고, 이 경우, 제2 스위칭부(211)의 출력단(A13)에는 NFC 모듈(32)이 연결된다. 이 경우, 역시 NFC 모듈과 같이 코일 안테나를 이용하는 다른 통신 모듈(예, WPT 모듈, MST 모듈)이 NFC 모듈 대신 또는 NFC 모듈에 추가되어 이용될 수 있다.3, one of the two communication modules connected to the diplexer 23 may be a DMB module 33 instead of the NFC module 32. In this case, the output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211 And the NFC module 32 is connected to the node A13. In this case, another communication module (e.g., a WPT module, an MST module) using a coil antenna such as an NFC module may be used instead of or in addition to the NFC module.

또한, 대안적인 예에서, 제1 스위칭부(211)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장치는 다이플렉서(23)에 연결되는 FM 모듈을 포함하는 두 개의 통신 모듈과 공동으로 안테나 도체(10)를 사용하게 된다.Also, 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first switching unit 211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antenna device uses the antenna conductor 10 in combination with two communication modules including an FM module connected to the diplexer 23.

본 예의 경우에도,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제2 스위칭부(22)의 출력단(B1-B3)은 각각 접지와 연결되어 있고 플로팅되어 있으며 또한 안테나 도체(10)와 폐루프를 형성하는 해당 통신 모듈(예, NFC 모듈)((32)과 연결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플로팅되어 있는 출력단(B2)에는 정합 회로가 연결될 수 있다. 1 and 2, the output terminals B1 to B3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2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ground and floated, and the antenna conductors 10 and the closed loop (For example, NFC module) 32 forming the output terminal B2, and the matching circuit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B2 that is floating as required.

또한, 다이플렉서(23)의 제1 출력단(A11)과 FM 모듈(31) 사이에는 더미 도체(50)가 위치할 수 있다.A dummy conductor 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output terminal A11 of the diplexer 23 and the FM module 31. [

또한, 도 3에서 통신 모듈부(30)에 속하는 통신 모듈은 도시된 통신 모듈(31-33) 이외에도 추가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스위칭부(211)의 출력단의 개수는 추가되는 통신 모듈의 개수만큼 추가될 수 있어 제1 스위칭부(211)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입력단(I11)은 원하는 통신 모듈에 연결된 출력단에 연결되어 원하는 통신 모듈의 통신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3, the communication modules belonging to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30 can be add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s 31-33. 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1 is increased The input terminal I1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desired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1 so that the communication operation of the desired communication module is performed.

이로 인해, 다이플렉서(23)의 하나의 출력단(A11)은 FM 모듈(31)과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출력단(A12)은 통신 모듈부(30) 중에서 FM 모듈(31)을 제외한 통신 모듈 중 하나(예, NFC 모듈)에 연결되며, 제1 스위칭부(211)의 각 출력단에는 다이플렉서(23)의 출력단(A11, A12)에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통신 모듈(예, DMB 모듈)이 연결된다. One output terminal A11 of the diplexer 23 is connected to the FM module 31 and the remaining output terminal A12 is connected to one of the communication modules except for the FM module 31 (For example, an NFC module), and the other communication modules (for example, a DMB module) not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A11 and A12 of the diplexer 23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11 .

도 4에 도시한 또 다른 대안적인 예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제2 스위칭부(22) 대신 다이플렉서(23)가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NFC 모듈(32)과 같은 안테나 도체(10)와 폐루프를 형성하는 통신 모듈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별도의 방법을 이용하여 안테나 도체(10)와 해당 통신 모듈의 폐루프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처럼, 다이플렉서(23)를 이용하여 안테나 도체(10)의 타측단의 연결 상태가 정해질 때, 별도의 스위칭부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4, a diplexer 23 may be used instead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22 shown in FIGS. 1 to 3. In this case, an antenna such as the NFC module 32 The communication module forming the closed loop with the conductor 10 allows the closed loop of the antenna conductor 10 and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to be formed by using a separate method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10 is determined using the diplexer 23, it is not necessary to add another switching unit.

다음, 도 5를 참고로 하여, 다이플렉서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Next, another example of the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diplex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와 비교할 때, 도 5에 도시한 안테나 장치는 통신 모듈부(30)에 두 개의 다이플렉서(25, 26)가 연결되어 있다.Compared with FIG. 4, the antenna device shown in FIG. 5 has two diplexers 25 and 26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30.

즉,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안테나 도체(10)의 일측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고 제1 및 제2 출력단(A21, A22) 중 제2 출력단(A22)에는 통신 모듈부(30)가 연결되어 있는 제1 다이플렉서(25), 안테나 도체(10)의 타측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고 제1 및 제2 출력단(A31, A32) 중에서 제1 출력단(A31)에 통신 모듈부(30)가 연결되어 있는 제2 다이플렉서(26), 제1 다이플렉서(25)의 제1 출력단(A21)에 입력단(I31)이 연결되어 있고 복수 개의 출력단(B31, B32)에는 통신 모듈부(30)가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부(27), 그리고 제2 다이플렉서(26)의 제2 출력단(A32)에 입력단(I32)이 연결되어 있고 두 개의 출력단(B41, B42)에는 각각 접지가 연결되어 있고 플로팅되어 있는 제2 스위칭부(28)를 구비한다. 5, an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10 and a communication module unit 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A22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A21 and A22 The first diplexer 25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1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A31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A31 and A32. A second diplexer 26 connected to the first diplexer 25 and an input end I31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end A21 of the first diplexer 25 and a plurality of output ends B31 and B32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first switching unit 27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A32 of the second diplexer 26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A32 of the second diplexer 26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32. And a second switching unit 28 which is connected and floating.

이미 설명한 것처럼, 본 예의 통신 모듈부(30)는 FM 모듈(31), NFC 모듈(32) 및 DMB 모듈(33)을 구비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FM 모듈(31)을 포함하는 다른 종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3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FM module 31, the NFC module 32 and the DMB module 3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ther types of communication including the FM module 31 Module may be provided.

이미 설명한 것처럼, 다이플렉서는 입력되는 신호를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분리하여 두 개의 출력단으로 각각 해당 크기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링 역할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plexer performs a filtering function of outputting a signal having a frequency band of a corresponding size to two output terminals by separating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frequency.

따라서, 제1 다이플렉서(25)를 이용하여, 안테나 도체(10)를 통해 전송된 신호 중에서 고주파 대역의 신호는 동작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고주파 대역인 통신 모듈(즉, 고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 예를 들어, FM 모듈(31)과 DMB 모듈(33) 쪽으로 인가되도록 하고, 안테나 도체(10)를 통해 전송된 신호 중에서 저주파 대역의 신호는 동작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저주파 대역인 통신 모듈(즉, 저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 예를 들어, NFC 모듈(32) 쪽으로 인가되도록 한다. Therefore, among the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conductor 10 using the first diplexer 25, the high frequency ba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the high frequency band) in which the frequency band of the operation signal is the high frequency band, For example, the FM module 31 and the DMB module 33. Among the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conductor 10, the low frequency ba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the low frequency band) , The low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o the NFC module 32. [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고주파 대역 신호를 필요로 하는 통신 모듈인 FM 모듈(31)과 DMB 모듈(33)은 제1 출력단(A21) 쪽에 연결되도록 하고, 저주파 대역 신호를 필요로 하는 통신 모듈인 NFC 모듈(32)은 나머지 출력단인 제2 출력단(A21) 쪽에 연결되도록 한다.5, the FM module 31 and the DMB module 33, which are communication modules requiring a high-frequency band signal, ar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21 side, and the low-frequency band signals And the NFC module 32, which is a communication module,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A21 as the remaining output terminal.

이때, 제1 출력단(A21) 쪽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 모듈의 개수가 복 수개인 경우 복수 개의 통신 모듈(31, 33)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제1 스위칭부(27)가 구비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witching unit 27 is provided to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31 and 33 when the numb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21 is plural.

따라서, 제1 스위칭부(27)의 동작에 의해, 제1 다이플렉서(25)의 제1 출력단(A21) 쪽에 연결되는 고주파 대역의 동작 신호를 요하는 통신 모듈 중에서 원하는 하나의 통신 모듈이 선택된다. Therefor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7, a desired one of the communication modules required for the operation signal of the high frequency band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21 side of the first diplexer 25 is selected do.

제1 다이플렉서(25)의 제1 출력단(A21) 쪽에 연결되는 통신 모듈의 개수가 하나[예, FM 모듈(31)]인 경우, 제1 스위칭부(27)는 생략되며, 해당 통신 모듈은 바로 제1 다이플렉서(25)의 제1 출력단(A21)에 연결된다.When the number of communication module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21 of the first diplexer 25 is one (for example, the FM module 31), the first switching section 27 is omitte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21) of the first diplexer (25).

또한, 제1 스위칭부(27)과 FM 모듈(31) 사이에는 안테나 도체의 길이 연장이나 임피던스 정합 등을 위한 더미 도체(50)가 추가될 수 있다.A dummy conductor 50 may be added between the first switching unit 27 and the FM module 31 for extending the length of the antenna conductor or matching the impedance.

제2 다이플렉서(26)는 안테나 도체(10)의 타측단의 연결 상태를 접지 또는 플로팅 상태로 제어하며, 또한 NFC 모듈(32)처럼 안테나 도체(10)와 폐루프를 형성하는 통신 모듈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The second diplexer 26 controls a connection state of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10 to a ground or floating state and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forming a closed loop with the antenna conductor 10 like the NFC module 32 Lt; / RTI >

따라서, 제2 다이플렉서(26)의 두 출력단(A31, A32) 중 하나는 통신 모듈부(30)의 해당 통신 모듈[NFC 모듈(32)]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출력단(A32)은 제2 스위칭부(28)에 연결되어 안테나 도체(10)의 타측단의 상태를 접지 또는 플로팅 상태로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ly, one of the two output terminals A31 and A32 of the second diplexer 26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NFC module 32) of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30 and the other output terminal A32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28, to select the state of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10 as a ground or floating state.

이러한 제2 스위칭부(28)로 인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안테나 도체(10)를 접지에 연결시키거나 플로팅 시킬 수 있다.With this second switching unit 28, the user can connect or float the antenna conductor 10 to ground as needed.

안테나 코일(10)의 타측단의 상태가 플로팅되어 있는 경우, 이미 설명한 것처럼, 정합 회로(40)가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state of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il 10 is plotted, as described above, the matching circuit 40 can be connected.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안테나 도체(10)의 타측단의 상태는 어느 한 상태인 접지 상태 또는 플로팅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이 경우, 제2 스위칭부(28)는 생략된다.However, 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state of the other side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10 can be fixed in either a grounded state or a floating state, in which case the second switching part 28 is omitted.

이처럼,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안테나 장치에서 FM 모듈(31)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통신 모듈과 공통으로 사용되는 안테나 도체(10)는 휴대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 셀(battery cell)에 위치할 수 있다.The antenna conductor 10 commonly used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including the FM module 31 in the antenna device shown in Figs. 1 to 5 is connected to a battery cell of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Can be located.

이와 같이, FM 라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FM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하나의 안테나 도체(10)를 이용하므로, FM 모듈을 위한 별도의 안테나 도체의 설치가 불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including the FM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M radio signals use one antenna conductor 10, it is un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antenna conductor for the FM module.

이로 인해, 안테나 장치의 설치 비용은 감소하며, 휴대 전화기와 같이, 추가적인 구성요소의 설치 공간이 부족한 전자 기기의 경우, 이미 구비되어 있는 안테나 도체를 이용하므로 설계가 용이하며 공간의 활용성이 향상된다. This reduces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antenna device.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n which space for installing additional components is insufficient, the existing antenna conductor is used, so that the design is easy and space utilization is improved .

이상,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antenna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also by equivalents to the claims.

10: 안테나 도체 21, 211, 27: 제1 스위칭부
22, 28: 제2 스위칭부 23, 24, 25, 26: 다이플렉서
30: 통신 모듈부 31: FM 모듈
32: NFC 모듈 33: DMB 모듈
40: 정합 회로 50: 더미 도체
10: antenna conductors 21, 211, 27:
22, 28: second switching unit 23, 24, 25, 26: diplexer
30: communication module module 31: FM module
32: NFC module 33: DMB module
40: matching circuit 50: dummy conductor

Claims (21)

안테나 도체; 및
상기 안테나 도체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과 서로 다른 통신 모듈에 연결되는 복수의 출력단을 갖는 제1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출력단 중 하나는 FM 모듈에 연결되는
안테나 장치.
Antenna conductors; And
And a first switching unit having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nd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connected to different communication modules,
One of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is connected to the FM module
Antenna device.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출력단은 NFC 모듈, WPT 모듈, MST 모듈 및 DMB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연결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n NFC module, a WPT module, an MST module, and a DMB module.
제1항에서,
상기 안테나 도체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출력단, 및 개방 상태의 제2 출력단을 갖는 제2 스위칭부
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switching unit having an inpu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 first output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second output connected to the ground,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서,
상기 안테나 도체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출력단 및 개방 상태의 제2 출력단을 갖는 다이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plexer having an inpu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 first output connected to ground, and a second output connected to ground.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제2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정합 회로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And a matching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제5항에서,
상기 정합 회로는 유도성 성분, 용량성 성분 및 저항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atching circuit forms at least one of an inductive component, a capacitive component, and a resistive componen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스위칭부의 출력단과 상기 FM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더미 도체
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dummy conducto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FM module,
Further comprising:
안테나 도체; 및
상기 안테나 도체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 FM 모듈에 연결되는 제1 출력단, 그리고 FM 모듈과 다른 통신 모듈에 연결되는 제2 출력단을 구비한 다이플렉서
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Antenna conductors; And
A diplexer having an inpu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 first output connected to the FM module, and a second output connected to the FM module and another communication module,
.
제8항에서,
상기 제2 출력단은 NFC 모듈, WPT 모듈, MST 모듈 및 DMB 모듈 중 하나와 연결되는 안테나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one of an NFC module, a WPT module, an MST module, and a DMB module.
제8항에서,
상기 안테나 도체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과 상기 제1 출력단과 제2 출력단에 연결되는 통신 모듈과 다른 통신 모듈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을 갖는 제1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first switching unit having an inpu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nd at least one outpu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and another communication module.
제10항에서,
상기 제1 스위칭부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은 NFC 모듈, WPT 모듈, MST 모듈 및 DMB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안테나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t least on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n NFC module, a WPT module, an MST module, and a DMB module.
제8항에서,
상기 안테나 도체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출력단, 및 개방 상태의 제2 출력단을 갖는 제2 스위칭부
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second switching unit having an inpu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 first output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second output connected to the ground,
Further comprising:
제8항에서,
상기 안테나 도체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출력단 및 개방 상태의 제2 출력단을 갖는 다이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diplexer having an inpu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 first output connected to ground, and a second output connected to ground.
제12항 또는 제13항에서,
상기 제2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정합 회로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And a matching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제14항에서,
상기 정합 회로는 유도성 성분, 용량성 성분 및 저항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matching circuit forms at least one of an inductive component, a capacitive component, and a resistive component.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스위칭부의 출력단과 상기 FM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더미 도체
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3,
A dummy conducto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FM module,
Further comprising:
안테나 도체;
상기 안테나 도체의 일측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고, 고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과 저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에 각각 제1 및 제2 출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다이플렉서; 및
상기 안테나 도체의 타측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에 제1 출력단이 연결되어 있고, 제2 출력단은 접지 상태나 플로팅 상태를 유지하는 제2 다이플렉서
를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을 FM 모듈을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Antenna conductors;
A first diplexer having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ntenna conductor and having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the high frequency band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the low frequency band;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the low-frequency band,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diplexer for maintaining a grounded state or a floating state,
/ RTI >
The high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n FM module
Antenna device.
제17항에서,
상기 제1 다이플렉서의 제1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고 서로 다른 고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에 복수의 출력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부
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A first switching unit having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diplexer and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connected to different high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modules,
Further comprising:
제18항에서,
상기 서로 다른 고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은 FM 모듈과 DMB 모듈인 안테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different high frequency bands is an FM module and a DMB module.
제17항에서,
상기 저주파 대역용 통신 모듈은 NFC 모듈인 안테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low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module is an NFC module.
제17항 또는 제18항에서,
상기 제2 다이플렉서의 제2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고 제1 출력단은 접지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출력단은 플로팅되어 있는 제2 스위칭부
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or 18,
A second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diplexer is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a first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Further comprising:
KR1020170141158A 2017-10-27 2017-10-27 Antenna equipment KR1019845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158A KR101984567B1 (en) 2017-10-27 2017-10-27 Antenna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158A KR101984567B1 (en) 2017-10-27 2017-10-27 Antenna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355A true KR20190047355A (en) 2019-05-08
KR101984567B1 KR101984567B1 (en) 2019-09-03

Family

ID=6658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158A KR101984567B1 (en) 2017-10-27 2017-10-27 Antenna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56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870A (en) 2003-02-28 2005-11-0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Antenna device
JP2013143710A (en) * 2012-01-12 2013-07-22 Taiyo Yuden Co Ltd Matching circu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870A (en) 2003-02-28 2005-11-0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Antenna device
JP2013143710A (en) * 2012-01-12 2013-07-22 Taiyo Yuden Co Ltd Matching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567B1 (en)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752B1 (en) Matching unit and receiver apparatus using the same
EP1734659B1 (en) Antenna with controllable resonance frequency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0530987C (en) Antenna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8243958B2 (en) Receiver
US7340274B2 (en) Cellular phone capable of receiving a plurality of broadcast waves
US20090169044A1 (en) Earphone Antenna
CN103262428B (en) Whip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90257607A1 (en) Implementation of diversity antennas in small portable media devices and cell phones
CN108810212B (en) Terminal equipment and grounding control method
EP1657788A1 (en) Multiband concentric mast and microstrip patch antenna arrangement
JP2008061116A (en) Radio receiver and antenna matching method
US20010024962A1 (en) Mobile radio receiver with integrated broadcast receiver
JP4986937B2 (en) Multiband antenna
JPWO2007138670A1 (en) AC adapter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JP2008278230A (en) Earphone conversion adaptor
KR101984567B1 (en) Antenna equipment
KR101962242B1 (en) Antenna equipment
KR100800756B1 (en) Device for receiving signal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n wireless terminal
CN205911426U (en) Vehicle -mounted antenna
JP2010226579A (en) Multiple frequency reception system
JPH09130132A (en) Small-sized antenna
JP2008141588A (en)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device
CN214205522U (en) Multimode multifrequency radio frequency circuit,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CN114204944B (en) Signal receiving and transmitting device and terminal
JP200605450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