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299A -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299A
KR20190047299A KR1020170141017A KR20170141017A KR20190047299A KR 20190047299 A KR20190047299 A KR 20190047299A KR 1020170141017 A KR1020170141017 A KR 1020170141017A KR 20170141017 A KR20170141017 A KR 20170141017A KR 20190047299 A KR20190047299 A KR 20190047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chinese character
terminal
output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지인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지인교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지인교육
Priority to KR102017014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7299A/ko
Publication of KR20190047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Abstract

입력부 및 출력부를 가지는 단말과, 상기 단말에 접속되어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 학습데이터와 한국음과 중국음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중국어발음을 성부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는 한자 데이터베이스와,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와,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말의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한자특정용 자료가 상기 서버에 입력되는 자료입력단계와, 처리 및 출력의 대상이 될 한자가 특정되는 출력대상 특정단계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가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한자출력단계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의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고 상기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양방향 변환규칙에 있어서의 학습요령을 나타내는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변환규칙 학습데이터 출력단계와, 상기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부수와 성부자가 검색되고 한국음과 중국음에 대해 성부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 및 한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에 대한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PHONETICS OF CHINESE LANGUAGE USING PHONETIC FORMS}
본 발명은 성부(聲符)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국어(한어(漢語))를 배우려면 말과 글을 학습해야 한다.
글의 학습은 중국어 문자인 한자를 통한 '읽기 쓰기'의 학습이고 한자의 형태와 의미를 익히는 것을 말한다. 한자의 형태는 시각적인 이미지이고 의미는 두뇌적 사고의 인지 결과이다. 글의 학습에 의해 말을 하지 않고 글만으로도 문자와 눈을 통해 '필담'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해진다.
말의 학습은 중국어 발음인 공기매체 소리를 통한 '말하기 듣기'의 학습이고 중국어 음절마다 배정된 발음과 성조를 익히는 것을 말한다. 중국어 발음은 입을 통한 소리이고 성조는 발음의 고저 패턴이다. 말의 학습에 의해 글을 통하지 않고 말만으로도 입과 귀를 통해 '대화'로 의사소통이 가능해진다.
이하, 지역에 상관없이 공통된 내용에 대해서는 단순히 '중국어', '한자'라 표현하고, 각 지역마다 상이해지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국', '한국', '일본', '대만', '홍콩', '베트남', '광동' 등과 같은 식으로 지역 이름을 넣어서 명기하기로 한다. 그리고 중국한자에 대해서만 대표하여 설명하지만, 베트남 등 타지의 한자에 대해서도 동일한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 제1국을 중국, 제2국을 한국으로 하면, 제1국어는 중국어, 제2국어는 한국어가 되고, 제1국을 대만, 제2국을 베트남으로 하면, 제1국어는 대만 중국어, 제2국어는 베트남어가 되는 식으로 대입된다.
그런데 글만 학습하면 발음과 성조를 모르게 되므로 대화가 불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중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이 책자에 의해서만 중국어를 학습하는 경우에 이런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말만 학습하면 한자의 형태와 의미를 모르게 되므로 읽기 쓰기가 불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중국어가 모국어인 사람이 한자를 습득하지 못 한 경우에 이런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말과 글을 연결시켜서 학습할 필요가 있다.
현대 중국어에 있어서 말과 글을 연결시켜 주는 수단이 병음(
Figure pat00001
, pinyin)과 성조부호이다. 병음은 중국한자 발음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중국한자와 별개로 표시되는 일종의 발음기호이다. 병음은 현재 알파벳과 부호를 차용하여 표기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알파벳으로 표기된 병음을 '라틴병음'이라 하고 한글 자모로 표기된 병음을 '한글병음'이라 하기로 한다. 따라서 중국어나 중국한자의 학습에 있어서는 중국한자의 형태와 의미 뿐아니라 병음과 성조도 함께 연계시켜 학습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한자는 그 수가 매우 많다. 예컨대 갑골문(BC 1300년~BC 1100년)에는 한자가 대략 4,000~5,000자 정도 발견되었고 중국 한(漢)나라 동한의 허신의 설문해자(說文解字)에는 9,353자가 수록되어 있다. 그런데 청(淸)나라 강희자전(1716년)에는 대략 49,000자가 수록되어 있고 대만 중문대사전에는 49,905자가 수록되어 있으며 근래의 중화서국과 중국우의출판공사 출판의 중화자해에는 대략 86,000자가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한자의 수는 대략 50,000~100,000자 정도라고 추산된다.
이 수많은 한자에 대해 병음과 성조가 각각 배정되어 있다. 따라서 한자마다 개별 형태와 의미, 병음과 성조를 아무런 연관성 규칙성 없이 각각 학습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매우 범위가 방대하고 비생산적인 학습방법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한편, 한자의 발음에 대해 병음 이전의 과거에 제시된 지식체계로서 '성부(聲符)'의 개념이 있다. '성부(聲符)'는 '형성(形聲)'에서 나온 것이고, 형성은 '육서(六書)' 중의 하나이다.
즉, 상기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한자의 자형(字形)을 바탕으로 한자의 본의(本義)를 도출하기 위한 6가지 원칙으로서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전주(轉注), 가차(假借)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육서(六書)'라 한다.
그 중의 상기 '형성(形聲)'은 상성(象聲) 또는 해성(諧聲)이라고도 하는데, 한자는 형태(의미)를 나타내는 형부(形符) 또는 의부(意符)와 소리를 나타내는 성부(聲符) 또는 음부(音符)를 가진다는 이론이다. 한자의 약 90%가 이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현재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자의 간략화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한다.
다만 어떤 성부는 표의(表意) 작용도 겸하고 어떤 형부는 표음(表音) 작용도 겸한다. 예컨대 천(淺), 전(錢), 잔(殘), 천(賤)의 성부인 '
Figure pat00002
'은 독음을 표시하면서 또한 동시에 '나머지, 작다'는 의미도 표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병음 이전에는 발음을 표기하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수천 년의 역사 속에 지역마다 시대마다 한자가 달리 발음되면서 변천되어 왔다. 따라서 현재는 중국어 발음이 성부의 음, 즉 성부음과 매우 달라져 있어서 성부음에만 의존하는 중국어 발음의 학습은 불가능에 가깝게 되어 버렸다.
한편, 한자는 북동아의 한자문화권 특히 중국, 한국, 일본, 대만, 홍콩 등에 전파되어 사용되었는데 지역적 단절로 인해 각 지역마다 별개의 발전방향으로 변천하였다. 따라서 예컨대 중국어,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등은 현재 동일한 한자에 대해서 그 발음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특히 한국한자에는 훈음(訓音), 즉 훈(訓)과 음(音)이 지정되어 있다. 훈은 글자의 뜻(字義)이고 음은 글자의 소리(字音)이다. 이하, 한국한자의 음을 '한국음'이라 한다. 예컨대 한자 '天'(하늘 천)의 훈은 '하늘(sky)'이고 음(한글음)은 '천'이다. 그래서 통칭하여 '하늘 천'이라 부른다.
여기서 하나의 한자는 하나의 훈음만 가지는 것이 아니다. 오랜 세월을 거치는 동안에 한자의 원래의 훈음에 다른 훈음이 추가되어 왔다. 그래서 대부분의 한자가 다수의 훈이나 음을 가지게 되었다.
예컨대 한자 '天'(하늘 천)은 '하늘 천', '임금 천', '목숨 천', '클 천' 등의 복수의 훈을 가진다. 또 한자 '家'(집 가)는 '집 가', '남편 가', '아내 가', '용한이 가', '대부 가', '살 가', '계집 고'와 같이, 복수의 훈과 2개의 음을 가진다. 그래서 한국한자 학습에 있어서는 이들 복수의 훈음을 가지는 한자에 대해 대표훈음을 정해 놓고 있다. 예컨대 한자 '天'(하늘 천)은 '하늘 천', 한자 '家'(집 가)는 '집 가'라는 대표훈음이 지정되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병음은 현재의 정확한 중국어 발음이지만 아무런 연관성 없이 각 한자마다 따로 학습해야 한다면 학습 효율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불편하다. 그리고 성부음은 병음과 많이 달라져 있어서 중국어 발음의 학습에 이용되기 곤란하다. 그리고 한자의 한국음은 다수의 훈음을 가지고 있어서 병음과의 관계가 복잡하여 연관성을 찾기 어렵고 발음이 병음과 많이 달라서 직접적으로 병음과의 연관관계나 규칙성을 인지하기 어려워서 병음의 학습에 이용되기 어렵다.
한편, 아래 특허문헌 1에는 한국의 한자사전(옥편)에 있어서 부수색인이나 총획색인이 아닌 자음(字音)색인에 특화하여 육서의 이론에 의한 한자의 계통을 색인화하여 제공하는 한글 자음색인 한자사전인 '육서중심의 한자 사전'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에는 한국의 한자사전(옥편)에 있어서 부수색인이나 총획색인이 아닌 자음(字音)색인에 특화하여 육서의 이론에 의한 한자의 계통상 서로 관련되는 한자를 모아서 표시하는 한글 자음색인 한자사전인 '자모식 줄줄이 한자전'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3에는 한국의 한자사전(옥편)에 있어서 부수색인이나 총획색인이 아닌 자음(字音)색인에 특화하여 육서의 이론에 의한 한자의 계통상 서로 관련되는 한자를 모아서 표시하는 한글 자음색인 한자사전인 '한자의 음을 이용하여 찾아가는 성부 중심 자소사전'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4에는 한국의 한자교재에 있어서 공통성부의 한자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학습할 한자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을 높인 '공통성부를 이용한 암기 범위가 등재된 한자 교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등록 10-0165648 실용신안등록 20-0302716 특허공개 10-2006-0004610 특허공개 10-2012-0003543
그런데 특허문헌 1~3의 기술은 한국의 '한자사전(옥편)'에서 한자를 찾는 '색인방식'을 개선한 것에 불과하다. 특히 종래의 색인방식인 부수색인, 총획색인, 단순 가나다식 자음(字音)색인이 아니라 육서의 이론에 의한 한자의 성부 계통을 가나다식 자음색인으로 색인화하여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특허문헌 1~3의 기술은 한자사전의 색인에 관한 것이므로 이를 통해 한국한자의 학습효율 제고가 직접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더구나 한자의 한국음이나 성부와 한글병음이 연계된 학습정보가 제시되는 것도 아니므로 특허문헌 1~3의 기술을 통해 중국어 발음이 효율적으로 학습되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특허문헌 4의 기술은 한국의 한자교재에 있어서 형성이론에 따라 공통성부를 가지는 한자의 개수를 제공함으로써 한국한자의 학습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그 빈도수를 안다고 해서 이것만 가지고 중국어 발음을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중국어 발음의 유추 연상 학습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특허문헌 1~4는 한자(예컨대 '天')의 한글병음(예컨대 '톈')과 한국음(예컨대 '천') 사이의 양방향 발음변화 규칙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예컨대 한자의 한국음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학습자가 그 한자의 병음을 유추할 수 없고 병음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학습자가 그 한자의 한국음을 유추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이들 특허문헌 1~4는 한자(예컨대 '伽')의 성부(예컨대 '加')와 동일한 성부를 가지면서 이 성부의 한국음(예컨대 '가')과 동일발음인 한자그룹(이하 '동성한국동음자')를 제시하지 못하므로 성부의 한국음을 알더라도 그 성부를 포함하는 다른 한자의 발음을 유추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게다가 이들 특허문헌 1~4는 한자(예컨대 '伽')의 성부(예컨대 '加')와 동일한 성부를 가지면서 이 성부의 한국음(예컨대 '가')와 다른 발음(예컨대 '하')인 한자그룹(이하 '동성한국이음자')를 제시하지 못하므로 성부의 한국음을 알더라도 그 성부를 포함하는 다른 한자의 발음을 확장하여 유추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이들 특허문헌 1~4는 한자(예컨대 '伽')의 성부(예컨대 '加')와 동일한 성부를 가지면서 이 성부의 중국음(예컨대 'jia')와 동일발음인 한자그룹(이하 '동성중국동음자')를 제시하지 못하므로 성부의 중국음을 알더라도 그 성부를 포함하는 다른 한자의 발음을 유추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이들 특허문헌 1~4는 한자(예컨대 '伽')의 성부(예컨대 '加')와 동일한 성부를 가지면서 이 성부의 중국음(예컨대 'jia')와 다른 발음(예컨대 성조 차이, 'he', 'ka', 'ga', 'que')인 한자그룹(이하 '동성중국이음자')를 제시하지 못하므로 성부의 중국음을 알더라도 그 성부를 포함하는 다른 한자의 발음을 확장하여 유추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이들 특허문헌 1~4는 성부(예컨대 '加')의 한국음(예컨대 '가')과 동일발음인 다른 성부(예컨대 '可', '家', '賈', '圭', '客', '夏' 등)(이하 '이성한국동음자')의 리스트를 제시하지 못하므로 하나의 성부의 한국음('가')에 해당되는 다양한 성부에의 확장학습 및 연계학습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게다가 이들 특허문헌 1~4는 성부(예컨대 '加')의 중국음(예컨대 'jia')과 동일발음인 다른 성부(예컨대 '家', '加', '賈', '圭', '夏', '甲', '夾', '合' 등)(이하 '이성중국동음자')의 리스트를 제시하지 못하므로 하나의 성부의 중국음('jia')에 해당되는 다양한 성부에의 확장학습 및 연계학습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즉, 이들 특허문헌 1~4는 한자 한국음(예컨대 '가')에 대해 성부(예컨대 '可')가 지정되면 그 성부가 포함된 한자들(예컨대 '可', '哥', '歌', '呵', '苛', '柯', '珂', '訶' 등)이 열거되면서 그 훈음과 용례, 부수와 획수, 파자, 획순 등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을 뿐이므로 한자의 한국음('가')과 한글병음('커') 사이의 연계관계나 양방향 발음변화 규칙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게다가 성부의 한국음('가')의 동성한국동음자, 동성한국이음자, 이성한국동음자에 대한 확장 연계학습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며 성부의 중국음('ke', '커')의 동성중국동음자, 동성중국이음자, 이성중국동음자에 대한 확장 연계학습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입력자료로부터 특정되거나 입력된 한자에 대해 한자의 한국음('가')과 한글병음('커') 사이의 연계관계나 양방향 발음변화 규칙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하고 게다가 성부의 한국음('가')의 동성한국동음자, 동성한국이음자, 이성한국동음자에 대한 확장 연계학습정보를 제공하며 성부의 중국음('ke', '커')의 동성중국동음자, 동성중국이음자, 이성중국동음자에 대한 확장 연계학습정보를 제공하여 중국어 학습 또는 한국한자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한자의 특정에 필요한 정보의 입력을 번체자, 간체자, 약자 등의 한자, 한국음, 주음, 창힐, 라틴병음, 한글병음, 한글훈, 영어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입력에 의해 받아들일 수 있는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출력되는 한자의 글자색을 각 성조별로 미리 정해놓은 색으로 표시하는 색성조 포맷으로 설정하고 한자 이외 부분의 별도의 성조표시를 생략할 수 있는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은 입력부 및 출력부를 가지는 단말과, 상기 단말에 접속되어 입력자료를 받아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의 학습데이터와 각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중국어발음을 성부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는 한자, 및 상기 한자의 훈, 한국음, 중국음, 성부자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한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 및 변환규칙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성부자의 한국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한국음의 비교 및 상기 성부자의 중국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중국음의 비교에 의한 각 한자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말의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한자특정용 자료가 상기 서버에 전송되어 입력되는 자료입력단계와, 상기 입력자료로부터 처리 및 출력의 대상이 될 한자가 특정되는 출력대상 특정단계와,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한자출력단계와,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의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고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양방향 변환규칙에 있어서의 학습요령을 나타내는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변환규칙 학습데이터 출력단계와, 특정된 상기 한자 및 성부자가 상기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부수와 성부자가 검색되고 한국음과 중국음에 대해 성부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 및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에 대한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자출력단계는, 한자를 색성조로 지정된 색으로 출력하고 별도의 성조표시를 생략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변환규칙은 한자의 중국음과 한국음이 완전 동일한 경우와 한자의 중국음과 한국음이 완전 상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규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성부 학습데이터는 상기 성부자와 동일 성부자를 포함하고 한국음이 동일 발음인 한자인 동성한국동음자와, 상기 성부자와 동일 성부자를 포함하고 한국음이 다른 발음인 한자인 동성한국이음자와, 상기 성부자와 다른 성부자를 포함하고 한국음이 동일 발음인 한자인 이성한국동음자와, 상기 성부자와 동일 성부자를 포함하고 중국음이 동일 발음인 한자인 동성중국동음자와, 상기 성부자와 동일 성부자를 포함하고 중국음이 다른 발음인 한자인 동성중국이음자와, 상기 성부자와 다른 성부자를 포함하고 중국음이 동일 발음인 한자인 이성중국동음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스트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성부 학습데이터는 상기 성부자와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 사이의 한국음과 중국음에 있어서의 빈도수와 요약정보에 대한 자료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는 한자의 특정에 필요한 정보를 번체자나 간체자의 한자, 한국음, 주음, 창힐, 라틴병음, 한글병음, 한글훈, 영어훈, 일본어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유형으로 입력받음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장치는 입력부 및 출력부를 가지는 단말과, 상기 단말에 접속되어 입력자료를 받아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의 학습데이터와 각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국어발음을 성부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장치로서, 상기 서버는 한자, 및 상기 한자의 훈, 한국음, 중국음, 성부자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한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 및 변환규칙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성부자의 한국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한국음의 비교 및 상기 성부자의 중국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중국음의 비교에 의한 각 한자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의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한자특정용 자료가 상기 서버에 전송되어 입력되는 자료입력부와, 상기 입력자료로부터 처리 및 출력의 대상이 될 한자가 특정되는 출력대상 특정부와,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한자출력부와,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의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고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양방향 변환규칙에 있어서의 학습요령을 나타내는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변환규칙 학습데이터 출력부와, 특정된 상기 한자 및 성부자가 상기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부수와 성부자가 검색되고 한국음과 중국음에 대해 성부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 및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에 대한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입력부 및 출력부를 가지는 단말과, 상기 단말에 접속되어 입력자료를 받아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의 학습데이터와 각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중국어발음을 성부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서버는 한자 및 상기 한자의 훈, 한국음, 중국음, 성부자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한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 및 변환규칙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성부자의 한국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한국음의 비교 및 상기 성부자의 중국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중국음의 비교에 의한 각 한자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말의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한자특정용 자료가 상기 서버에 전송되어 입력되는 자료입력단계와, 상기 입력자료로부터 처리 및 출력의 대상이 될 한자가 특정되는 출력대상 특정단계와,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한자출력단계와,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의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고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양방향 변환규칙에 있어서의 학습요령을 나타내는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변환규칙 학습데이터 출력단계와, 특정된 상기 한자 및 성부자가 상기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부수와 성부자가 검색되고 한국음과 중국음에 대해 성부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 및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에 대한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자료로부터 특정되거나 입력된 한자에 대해 한자의 한국음('가')과 한글병음('커') 사이의 연계관계나 양방향 발음변화 규칙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하고 게다가 성부의 한국음('가')의 동성한국동음자, 동성한국이음자, 이성한국동음자에 대한 확장 연계학습정보를 제공하며 성부의 중국음('ke', '커')의 동성중국동음자, 동성중국이음자, 이성중국동음자에 대한 확장 연계학습정보를 제공하여 중국어 학습 또는 한국한자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또 한자의 특정에 필요한 정보의 입력을 번체자, 간체자, 약자 등의 한자, 한국음, 주음, 창힐, 라틴병음, 한글병음, 한글훈, 영어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입력에 의해 받아들일 수 있는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또 출력되는 한자의 글자색을 각 성조별로 미리 정해놓은 색으로 표시하는 색성조 포맷으로 설정하고 한자 이외 부분의 별도의 성조표시를 생략할 수 있는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이 구현되는 일실시예의 장치 시스템의 개략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의 일실시예의 플로챠트이다.
도 3은 도 2의 출력대상 특정단계의 일실시예의 플로챠트이다.
도 4는 도 2의 한자출력단계의 일실시예의 플로챠트이다.
도 5는 도 2의 변환규칙 학습데이터 출력단계의 일실시예의 플로챠트이다.
도 6은 도 2의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단계의 일실시예의 플로챠트이다.
도 7은 입력자료로서 한자가 입력된 경우 그 한자에 대한 변환규칙 학습데이터와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입력자료로서 한자의 한국음이 입력된 경우 그 한국음에 대응되는 후보 한자리스트의 출력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는 후보 한자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출력대상 한자들에 대한 변환규칙 학습데이터와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동일구성에 의해 동일기능을 가지는 부분은 도면이 달라지더라도 동일부호를 유지함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연결된다 함은 중간에 매체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모듈이나 블럭은 2 이상으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2 이상의 모듈이나 블럭은 하나로 합체될 수 있다. 또한, 본체에 구비되어도 좋고 서버에 구비되어도 좋은 경우가 있다.
<학습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본 발명의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장치는 도 1과 같이 단말(10)과, 서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국어발음을 성부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장치이다. 상기 단말(10)과 서버(20)는 각자의 통신부에 의해 인터넷 등의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단말(10)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입력부(12) 및 출력부(14)를 가진다.
상기 입력부(12)는 한자의 특정에 필요한 정보를 번체자나 간체자의 한자, 한국음, 중국음, 주음, 창힐, 병음, 한글로 표현된 병음, 한글훈, 영어훈, 일본어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유형으로 입력받음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부(14)는 성부 학습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서버(20)는 상기 단말(10)에 접속되어 입력자료를 받아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의 학습데이터와 각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상기 단말(10)에 전송하는 수단이다. 상기 서버(20)는 제어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는 데이터베이스들(24, 26, 28)과 서버의 각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20)는 한자 데이터베이스(24)와,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26)와,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24)는 한자, 및 상기 한자의 훈, 한국음, 중국음, 성부자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26)는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 및 변환규칙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28)는 상기 성부자의 한국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한국음의 비교 및 상기 성부자의 중국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중국음의 비교에 의한 각 한자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서버(20)는 도 2의 각 단계가 CPU, 램, 롬 등의 하드웨어로 구현된 자료입력부(S10)와, 출력대상 특정부(S20)와, 한자출력부(S30)와, 변환규칙 학습데이터 출력부(S40)와,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부(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자료입력부(S10)는 상기 단말(10)의 상기 입력부(12)에 입력된 한자특정용 자료가 상기 서버(20)에 전송되어 입력되는 요소이다.
상기 출력대상 특정부(S20)는 상기 입력자료로부터 처리 및 출력의 대상이 될 1 이상의 한자 또는 한자리스트가 특정되는 요소이다.
상기 한자출력부(S30)는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24)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가 상기 단말(10)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10)의 상기 출력부(14)에 출력되는 요소이다.
상기 변환규칙 학습데이터 출력부(S40)는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24)에서 조회(S42)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의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단말(10)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10)의 상기 출력부(14)에 출력(S44)되고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26)에서 조회(S46)되어 양방향 변환규칙에 있어서의 학습요령을 나타내는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10)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10)의 상기 출력부(14)에 출력(S48)되는 요소이다.
상기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부(S50)는 특정된 상기 한자 및 성부자가 상기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28)에서 조회(S52)되어 부수와 성부자가 검색(S54)되고 한국음과 중국음에 대해 성부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 및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에 대한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10)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10)의 상기 출력부(14)에 출력(S56)되는 요소이다.
<장치를 이용한 학습방법>
본 발명의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은 상기 단말(10)과, 상기 서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중국어발음을 성부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방법이다.
상기 서버(20)는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24)와, 상기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26)와, 상기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은 자료입력단계(S10)와, 출력대상 특정단계(S20)와, 한자출력단계(S30)와, 변환규칙 학습데이터 출력단계(S40)와,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자료입력단계(S10)는 상기 단말(10)의 상기 입력부(12)에 입력된 한자특정용 자료가 상기 서버(20)에 전송되어 입력되는 단계이다.
상기 출력대상 특정단계(S20)는 상기 입력자료로부터 처리 및 출력의 대상이 될 한자가 특정되는 단계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입력자료가 한자가 아닌 경우(S22: N)에는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24)에서 입력자료에 부합하는 후보 한자의 리스트가 결정(S24)되어 제시되고 이로부터 출력될 출력대상 한자들이 선택(S26)되면 이들을 최종 출력대상 한자리스트로 확정(S28)하게 된다.
상기 한자출력단계(S30)는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24)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가 상기 단말(10)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10)의 상기 출력부(14)에 출력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한자출력부(S30)에 의한 한자출력단계는 한자를 색성조로 지정된 색으로 출력하고 별도의 성조표시를 생략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성조학습의 효율화를 위해 성조마다 별개의 컬러를 색성조로서 미리 지정해 놓고 한자를 표기할 때에는 한자 글씨나 병음, 또는 그 주변, 또는 그와 연관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생성조를 채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시각적 정보인 컬러에 의해 성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두뇌 속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성조가 파악되는 유용한 효과가 생긴다.
성조를 색성조로 표시하지 않는 경우(S22: N)에는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한자를 디폴트 색으로 출력하고 성조를 별도 성조기호로 표시(S24)하면 된다. 성조를 색성조로 표시하는 경우(S22: Y)에는 한자를 색성조 색으로 출력하고 성조를 표시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변환규칙 학습데이터 출력단계(S40)는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24)에서 조회(S42)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의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단말(10)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10)의 상기 출력부(14)에 출력(S44)되고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26)에서 조회(S46)되어 양방향 변환규칙에 있어서의 학습요령을 나타내는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10)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10)의 상기 출력부(14)에 출력(S48)되는 단계이다.
상기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단계(S50)는 특정된 상기 한자 및 성부자가 상기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28)에서 조회(S52)되어 부수와 성부자가 검색(S54)되고 한국음과 중국음에 대해 성부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 및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에 대한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10)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10)의 상기 출력부(14)에 출력(S56)되는 단계이다.
<한자가 입력된 경우의 동작 예>
도 7은 한자가 입력된 경우의, 출력화면의 예시도이다. 한자로서 '天'(하늘천)이 입력되었으므로 변환학습과 성부학습을 위한 학습데이터의 대상이 되는 한자가 이미 특정되었다.
'天'은 한국의 훈과 음이 '하늘', '천'이고 중국음은 병음 tian, 한글화하면 '톈'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국음 '천'과 중국음 '톈' 사이의 발음의 변환규칙은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초성, 중성, 종성에 대한 대응관계 통계자료로부터 도출될 수 있고, 예컨대 공지자료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음 초성 중국음 초성
ㄱㅋㅈㅊ
ㄷㅌ
ㅁㅇ
ㅂㅍ
ㅅㅊ
ㅇㄹ
ㅈㅊㄷㅌ
ㅊㅈㅌ
ㅌㄷ
ㅍㅂ
ㅎㅅㄱ
한국음 중성 중국음 중성
ㅏ,ㅣ,ㅓ,ㅑ,ㅗ,ㅘ
ㅏ,ㅔ,ㅓ
ㅣ,ㅖ,ㅜ
ㅣ,ㅞ이
ㅣ,ㅖ
ㅣ,ㅖ
ㅗ,ㅜ,ㅏ오,ㅑ오
ㅘ,ㅝ
ㅘ,ㅘ이
ㅞ이,ㅘ이
ㅑ오
ㅜ,ㅓ,ㅓ우,ㅕ우
ㅟ에
ㅞ이
ㅞ이
ㅜ,ㅕ우
ㅣ,ㅓ
ㅣ,ㅓ
한국음 종성 중국음 종성
ㄴㅁ
다만, 데이터베이스의 간소화와 학습량의 저감을 위해서 상기 변환규칙은 한자의 중국음과 한국음이 완전 동일한 경우와 한자의 중국음과 한국음이 완전 상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규정됨이 바람직하다. 중국음과 한국음이 완전 동일한 경우는 예컨대 安(편안할 안)과 같은 경우로서 변환이 필요없이 중국음과 한국음 중 어느 한 쪽을 알면 다른 쪽은 자연히 알게 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변환규칙에 포함시키지 않고 단순히 이들 리스트를 별도로 학습하면 된다. 중국음과 한국음이 완전 상이한 경우는 예컨대 중국이나 한국 고유의 한자와 같은 것은 대응되는 발음이 없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이들 리스트를 별도로 학습하면 된다. 따라서 변환규칙은 완전 동일하지 않고 완전 상이하지 않으며 규칙을 만들 수 있는 정도의 유사성과 유추성을 갖춘 한자에 대해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변환규칙에 의하면 '천'의 초/중/종성 ㅊ, ㅓ, ㄴ은, ㅌ, ㅖ, ㄴ으로 각각 변환되어 '톈'이 된다. 그 역방향의 변환도 성립한다. 따라서 이러한 관계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데이터가 출력된다. 출력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초성: ㅊ → ㅊ, ㅈ, ㅌ
중성: ㅓ → l, ㅖ, ㅜ
종성: ㄴ → ㄴ
성모: t → ㄷ, ㅈ, ㅊ, ㅌ
운모: ian → ㅓ, ㅕ, ㅖ + ㄴ
이와 같이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관계를 반복 학습함으로써 변환규칙이 익숙해지고 이로써 모르는 한자일 지라도 그 발음을 개략 유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성부학습에 관한 학습데이터가 출력된다. 성부 학습데이터는 성부의 발음이 동일한지 여부 및 그 성부를 포함하는 한자의 발음이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구분하여 그룹을 지어 분류하여 학습함으로써 학습효과를 크게 향상시키기 위한 데이터이다. 이 성부 학습데이터는, 예컨대 성부자의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 또는 한자의 한국음과 성부자의 한국음 사이의 변환규칙 또는 한자의 중국음과 성부자의 한국음 사이의 변환규칙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상기 표 1, 표2, 표 3과 같이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을 작성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성부 학습데이터는 구체적으로 동성(同聲)한국동음(同音)자와, 동성한국이음(異音)자와, 이성(異聲)한국동음자와, 동성중국동음자와, 동성중국이음자와, 이성중국동음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스트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성한국동음자는 상기 성부자와 동일 성부자를 포함하고 한국음이 동일 발음인 한자이다. 예컨대 도 7에서 성부자가 '天'이고 한자의 한국음이 '천'일 때 한자에 포함된 성부자가 '天'으로 동일하고 그 한자의 한국음도 '천'으로 동일한 하늘천, 쳐다볼천, 지렁이천, 꾸짖을천 등의 한자들이 이에 해당된다.
상기 동성한국이음자는 상기 성부자와 동일 성부자를 포함하고 한국음이 다른 발음인 한자이다. 예컨대 도 7에서 성부자가 '天'이고 한자의 한국음이 '천'일 때 한자에 포함된 성부자가 '天'으로 동일하지만 그 한자의 한국음이 '천'이 아닌관계할관, 삼킬탄, 성씨오, 하늘호, 열째천간계, 누에잠 등의 한자들이 이에 해당된다.
상기 이성한국동음자는 상기 성부자와 다른 성부자를 포함하고 한국음이 동일 발음인 한자이다. 예컨대 도 7에서 성부자가 '天'이고 한자의 한국음이 '천'일 때 한자에 포함된 성부자가 '天'이 아니라서 상이하지만 그 한자의 한국음이 '천'으로 동일한 일천천, 내천, 샘천, 얕을천 등의 한자들이 이에 해당된다.
상기 동성중국동음자는 상기 성부자와 동일 성부자를 포함하고 중국음이 동일 발음인 한자이다. 예컨대 도 7에서 성부자가 '天'이고 한자의 중국음이 'tian'일 때 한자에 포함된 성부자가 '天'으로 동일하고 그 한자의 중국음도 'tian'으로 동일한 핥다 보태다 붓끝을고르다 황송하다 삼키다 등의 한자들이 이에 해당된다.
상기 동성중국이음자는 상기 성부자와 동일 성부자를 포함하고 중국음이 다른 발음인 한자이다. 예컨대 도 7에서 성부자가 '天'이고 한자의 중국음이 'tian'일 때 한자에 포함된 성부자가 '天'으로 동일하지만 그 한자의 중국음이 'tian'이 아니라서 상이한 guan, tun, wu, hao 등의 한자들이 이에 해당된다.
상기 이성중국동음자는 상기 성부자와 다른 성부자를 포함하고 중국음이 동일 발음인 한자이다. 예컨대 도 7에서 성부자가 '天'이고 한자의 중국음이 'tian'일 때 한자에 포함된 성부자가 '天'이 아니라서 상이하지만 그 한자의 중국음이 'tian'으로 동일한 예시된 한자들이 이에 해당된다.
그리고 성부 학습데이터는 이들 성부와 한자의 발음상의 차이에 대한 요약 포인트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성부가 '可'(옳을가)인 경우에는 이를 포함하는 한자의 한국음은 '가', '하', '아'가 되고 중국음은 'ke', 'he', 'e'가 되며 특히 '哥'(성씨가)가 포함된 한자는 'ge'가 된다. 이처럼 성부와 한자의 관계를 간단히 특징을 부각시켜서 작성하여 제시함으로써 학습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자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예>
도 8은 한자가 입력되지 않고 한자의 한국음 예컨대 '동'이 입력된 경우(S22)의 출력화면을 나타낸다.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24)에서 한국음 '동'에 해당되는 한자는 매우 많으며 그 중에서 중요도나 난이도 등의 후보 한자의 리스트를 결정(S24)하여 기준에 따라 배열하여 리스트를 화면에 나타낸다. 그리고 유저에 의해 출력의 대상이 되는 출력대상 한자들이 선택(S26)된다. 도 8에서는 구리동과 얼동이 선택되었다. 이들 선택된 한자들은 최종 출력대상 한자리스트로 확정(S28)된다. 그 후 한자가 입력된 경우와 같이 예컨대 도 9와 같이 구리동과 얼동의 중국음과 한국음 그리고 이들 사이의 변환규칙과 그 학습데이터 그리고 포함된 성부자 '同'(같을동)과 이를 포함한 한자들의 중국음과 한국음에 대한 성부 학습데이터가 출력된다.
<성부 학습데이터의 예>
상기 성부 加(더할가)의 예에서와 같이 상기 성부 학습데이터는 상기 성부자와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 사이의 한국음과 중국음에 있어서의 빈도수와 요약정보에 대한 자료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성부 '加'(더할가)의 경우에는 이를 포함하는 한자의 한국음은 99% '가'가 되고 오직 '賀'(축하할하) 등의 경우에만 '하'가 된다. 그리고 중국음은 거의 대부분 'jia'가 되고 '賀'(축하할하) 등의 경우에는 'he'가 된다.
이처럼 요약정보 자료가 성부 학습에 큰 도움이 된다.
<기록매체>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단말(10)과 상기 서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중국어발음을 성부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다.
상기 서버(20)는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24)와, 상기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26)와, 상기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법은 상기 자료입력단계(S10)와, 상기 출력대상 특정단계(S20)와, 상기 한자출력단계(S30)와, 상기 변환규칙 학습데이터 출력단계(S40)와, 상기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특정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변형, 변경, 개량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의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10: 단말
12: 입력부
14: 출력부
20: 서버
22: 제어부
24: 한자 데이터베이스
26: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
28: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

Claims (9)

  1. 입력부 및 출력부를 가지는 단말과,
    상기 단말에 접속되어 입력자료를 받아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의 학습데이터와 각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중국어발음을 성부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는
    한자 및 상기 한자의 훈, 한국음, 중국음, 성부자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한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 및 변환규칙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성부자의 한국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한국음의 비교 및 상기 성부자의 중국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중국음의 비교에 의한 각 한자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말의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한자특정용 자료가 상기 서버에 전송되어 입력되는 자료입력단계와,
    상기 입력자료로부터 처리 및 출력의 대상이 될 한자가 특정되는 출력대상 특정단계와,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한자출력단계와,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의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고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양방향 변환규칙에 있어서의 학습요령을 나타내는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변환규칙 학습데이터 출력단계와,
    특정된 상기 한자 및 성부자가 상기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부수와 성부자가 검색되고 한국음과 중국음에 대해 성부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 및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에 대한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자출력단계는 한자를 색성조로 지정된 색으로 출력하고 별도의 성조표시를 생략하여 이루어짐
    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환규칙은 한자의 중국음과 한국음이 완전 동일한 경우와 한자의 중국음과 한국음이 완전 상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규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성부 학습데이터는
    상기 성부자와 동일 성부자를 포함하고 한국음이 동일 발음인 한자인 동성한국동음자와,
    상기 성부자와 동일 성부자를 포함하고 한국음이 다른 발음인 한자인 동성한국이음자와,
    상기 성부자와 다른 성부자를 포함하고 한국음이 동일 발음인 한자인 이성한국동음자와,
    상기 성부자와 동일 성부자를 포함하고 중국음이 동일 발음인 한자인 동성중국동음자와,
    상기 성부자와 동일 성부자를 포함하고 중국음이 다른 발음인 한자인 동성중국이음자와,
    상기 성부자와 다른 성부자를 포함하고 중국음이 동일 발음인 한자인 이성중국동음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스트를 포함함
    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성부 학습데이터는 상기 성부자와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 사이의 한국음과 중국음에 있어서의 빈도수와 요약정보에 대한 자료를 포함함
    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한자의 특정에 필요한 정보를 번체자나 간체자의 한자, 한국음, 주음, 창힐, 라틴병음, 한글병음, 한글훈, 영어훈, 일본어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유형으로 입력받음
    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7. 입력부 및 출력부를 가지는 단말과,
    상기 단말에 접속되어 입력자료를 받아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의 학습데이터와 각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국어발음을 성부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장치로서,
    상기 서버는
    한자 및 상기 한자의 훈, 한국음, 중국음, 성부자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한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 및 변환규칙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성부자의 한국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한국음의 비교 및 상기 성부자의 중국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중국음의 비교에 의한 각 한자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의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한자특정용 자료가 상기 서버에 전송되어 입력되는 자료입력부와,
    상기 입력자료로부터 처리 및 출력의 대상이 될 한자가 특정되는 출력대상 특정부와,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한자출력부와,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의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고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양방향 변환규칙에 있어서의 학습요령을 나타내는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변환규칙 학습데이터 출력부와,
    특정된 상기 한자 및 성부자가 상기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부수와 성부자가 검색되고 한국음과 중국음에 대해 성부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 및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에 대한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장치.
  8. 입력부 및 출력부를 가지는 단말과,
    상기 단말에 접속되어 입력자료를 받아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의 학습데이터와 각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중국어발음을 성부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서버는
    한자 및 상기 한자의 훈, 한국음, 중국음, 성부자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한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 사이의 변환규칙 및 변환규칙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성부자의 한국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한국음의 비교 및 상기 성부자의 중국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중국음의 비교에 의한 각 한자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말의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한자특정용 자료가 상기 서버에 전송되어 입력되는 자료입력단계와,
    상기 입력자료로부터 처리 및 출력의 대상이 될 한자가 특정되는 출력대상 특정단계와,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한자출력단계와,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의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고 상기 한국음과 중국음이 상기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양방향 변환규칙에 있어서의 학습요령을 나타내는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변환규칙 학습데이터 출력단계와,
    특정된 상기 한자 및 성부자가 상기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부수와 성부자가 검색되고 한국음과 중국음에 대해 성부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 및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에 대한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9. 입력부 및 출력부를 가지는 단말과,
    상기 단말에 접속되어 입력자료를 받아 한자의 제1국 음과 제2국 음 사이의 변환규칙의 학습데이터와 각 한자의 제1국 음과 제2국 음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중국어발음을 성부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는
    한자 및 상기 한자의 훈, 제1국 음, 제2국 음, 성부자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한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1국 음과 제2국 음 사이의 변환규칙 및 변환규칙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성부자의 제1국 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제1국 음의 비교 및 상기 성부자의 제2국 음과 상기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의 제2국 음의 비교에 의한 각 한자의 성부 학습데이터를 포함하는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말의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한자특정용 자료가 상기 서버에 전송되어 입력되는 자료입력단계와,
    상기 입력자료로부터 처리 및 출력의 대상이 될 한자가 특정되는 출력대상 특정단계와,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한자출력단계와,
    특정된 상기 한자가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상기 출력대상의 각 한자의 상기 제1국 음과 제2국 음이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고 상기 제1국 음과 제2국 음이 상기 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양방향 변환규칙에 있어서의 학습요령을 나타내는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변환규칙 학습데이터 출력단계와,
    특정된 상기 한자 및 성부자가 상기 성부학습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어 부수와 성부자가 검색되고 제1국 음과 제2국 음에 대해 성부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 및 성부자를 포함하는 한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경우에 대한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단말의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성부 학습데이터 출력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KR1020170141017A 2017-10-27 2017-10-27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 KR20190047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017A KR20190047299A (ko) 2017-10-27 2017-10-27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017A KR20190047299A (ko) 2017-10-27 2017-10-27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299A true KR20190047299A (ko) 2019-05-08

Family

ID=6658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017A KR20190047299A (ko) 2017-10-27 2017-10-27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729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648B1 (ko) 1996-02-08 1998-12-15 정인무 육서중심의 한자 사전
KR200302716Y1 (ko) 2002-09-16 2003-01-30 손홍명 자모식 줄줄이 한자전
KR20060004610A (ko) 2005-10-28 2006-01-12 금하연 한자의 음을 이용하여 찾아가는 성부 중심 자소사전
KR20120003543A (ko) 2010-07-05 2012-01-11 김정수 공통성부를 이용한 암기 범위가 등재된 한자 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648B1 (ko) 1996-02-08 1998-12-15 정인무 육서중심의 한자 사전
KR200302716Y1 (ko) 2002-09-16 2003-01-30 손홍명 자모식 줄줄이 한자전
KR20060004610A (ko) 2005-10-28 2006-01-12 금하연 한자의 음을 이용하여 찾아가는 성부 중심 자소사전
KR20120003543A (ko) 2010-07-05 2012-01-11 김정수 공통성부를 이용한 암기 범위가 등재된 한자 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86778A1 (zh) 错词纠正方法、装置、计算机装置及存储介质
CN107291783B (zh) 一种语义匹配方法及智能设备
CN102982021B (zh) 用于消除语言转换中的多个读法的歧义的方法
US20110184723A1 (en) Phonetic suggestion engine
KR20170034227A (ko) 음성 인식 장치 및 방법과, 음성 인식을 위한 변환 파라미터 학습 장치 및 방법
CN105404621A (zh) 一种用于盲人读取汉字的方法及系统
JP7266683B2 (ja) 音声対話に基づく情報検証方法、装置、デバイス、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669122B2 (en) Using input of rhyming characters for computer text entry of Chinese characters
US20070288240A1 (en) User interface for text-to-phone conversion and method for correcting the same
US20200211417A1 (en) Two-language free dialogue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learning
CN102262450B (zh) 一种基于混输字符串进行字符转换的方法和装置
JP2001505322A (ja) 曖昧さを残さないブライユ点字入力及び変換の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KR20230009564A (ko) 앙상블 스코어를 이용한 학습 데이터 교정 방법 및 그 장치
US10650195B2 (en) Translated-clause generating method, translated-clause generat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Wang et al. Chinese-braille translation based on braille corpus
US20170154546A1 (en) Lexical dialect analysis system
KR20190047299A (ko) 성부를 이용한 중국어발음 학습방법 및 장치
KR20190057493A (ko)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CN103853705A (zh) 计算机汉语语音与外语语音实时语音字幕翻译方法
CN107066080B (zh) 汉字字音汉字与符号编码输入方法
CN110716654A (zh) 一种汉字输入法、语音合成方法、汉语普通话学习方法、汉字输入系统及键盘
KR101777141B1 (ko) 한글 입력 키보드를 이용한 훈민정음 기반 중국어 및 외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TWM592580U (zh) 圖像式發音標示系統
KR20050023584A (ko) 한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44301B2 (en) Identification method with multi-type inpu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