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213A - 지정맥 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지정맥 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213A
KR20190047213A KR1020170140804A KR20170140804A KR20190047213A KR 20190047213 A KR20190047213 A KR 20190047213A KR 1020170140804 A KR1020170140804 A KR 1020170140804A KR 20170140804 A KR20170140804 A KR 20170140804A KR 20190047213 A KR20190047213 A KR 20190047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unit
photographing
vein
ultrasonic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524B1 (ko
Inventor
오석언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주)코리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센 filed Critical (주)코리센
Priority to KR102017014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5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7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2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using fingerpri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6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e.g. acoustic microscopy
    • G01N29/0654Imaging
    • G01N29/0672Imaging by acoustic tomograph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정맥 인식 장치는 손가락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상기 손가락의 지정맥을 각각 촬영하는 촬영 유니트; 상기 손가락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지정맥 이미지를 이용해서 상기 지정맥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획득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정맥 인식 장치{APPARATUS FOR RECOGNIZING FINGER VEIN}
본 발명은 지정맥을 이용해서 사용자를 구분하는 지정맥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기술의 발달로 개인이 취득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정보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여러 가지 보안 방법 중에서 신체의 일부분을 이용하는 생체 인식 기술이 개인 인증, 은행, 관공서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생체인식의 종류로는 지문인식, 홍채인식, 망막인식, 손등인식 및 음성인식 등이 있으며, 비밀번호와 주민등록번호 등을 외우지 않아도 되고, 외부요인에 의한 분실 및 도난의 염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 중에서 인식방법이 쉬우면서 인증 시스템이 보편적으로 대중화되어 있는 생체인식으로 지문인식이 있다. 하지만, 지문인식은 습도, 건조, 훼손과 같이 생체에 따른 변화와 상처, 나이와 같이 지문 표면의 변화가 있으면 인식이 저해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지문인식을 할 때 손가락을 장비의 입력 센서 표면에 접촉해야만 하는데 이는 다른 사용자들이 인증을 위해 센서 표면을 같이 사용하므로 교차 오염(cross-contamination)을 야기할 수 있고, 표면에 남아있는 지문을 채취하여 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가락 표면이 아닌 내부의 혈관을 확인하는 지정맥인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지정맥인식은 사람의 혈관 중 인식하기 편한 손가락의 정맥의 패턴을 통하여 인증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개인의 손가락 정맥 구조가 판이하게 다르다는 특성을 이용하므로 지문인식과는 달리 손가락 표면의 변화와 관계없이 인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6125호에는 레이저를 이용해서 지정맥을 인식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6125호
본 발명은 지정맥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는 지정맥 인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지정맥 인식 장치는 손가락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상기 손가락의 지정맥을 각각 촬영하는 촬영 유니트; 상기 손가락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지정맥 이미지를 이용해서 상기 지정맥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획득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정맥 인식 장치는 손가락의 다른 지점을 각각 촬영한 복수의 지정맥 이미지를 이용해서 지정맥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3차원 이미지는 x, y축 평면 지정맥 이미지에 z축 정보가 추가된 것일 수 있으며, z축 정보의 추가로 인해 되어 더욱 많은 정보량을 갖는 지정맥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보다 많은 정보량이 포함된 지정맥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인식률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지정맥의 3차원 이미지는 거치 유니트에 놓여진 손가락의 각도에 상관없이 정상적으로 획득되므로, 사용자는 지정맥 인식 장치에 손가락을 편하게 갖다 대어도 무방하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지정맥 인식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정맥 인식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은 비교 실시예의 지정맥 인식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정맥 인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맥 인식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정맥 인식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획득 유니트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정맥 인식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지정맥 인식 장치는 촬영 유니트(110) 및 획득 유니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유니트(110)는 손가락(10)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손가락(10)의 지정맥(30)을 각각 촬영할 수 있다.
촬영 유니트(110)는 손가락(10) 중에서 생체 인식, 사용자 식별에 이용되는 지정맥(30)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손가락(10) 중 지정맥(30)을 집중적으로 촬영하기 위해, 촬영 유니트(110)는 지정맥(30)의 식별에 이용되는 파장대의 빛 또는 초음파를 이용해서 지정맥(30)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 유니트(110)에 따르면, 손가락(10)의 다른 지점을 촬영한 복수의 지정맥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획득 유니트(130)는 손가락(10)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지정맥 이미지를 이용해서 지정맥(30)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촬영 유니트(110)는 손가락(10)의 길이 방향(도면 상에서 x축) 상으로 서로 다른 지점, 손가락(10)의 두께 방향(도면 상에서 z축) 상으로 서로 다른 지점, 손가락(10)의 외주 상으로 서로 다른 지점(도면 상에서 x축을 중심으로 하는 서로 다른 각도)을 각각 촬영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영 유니트(110)는 초음파를 이용해서 지정맥(30)을 촬영하는 초음파 센서(111) 및 초음파 센서(111)를 제어하는 제어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9)는 초음파 센서(111)의 초음파가 침투하는 침투 깊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초음파 센서(111)는 서로 다른 침투 깊이에서 지정맥(30)을 각각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19)에 의해 침투 깊이가 조절되는 초음파 센서(111)는 손가락(10)의 두께 방향 상으로 서로 다른 지점, 예를 들어 손가락(10)의 내부의 서로 다른 지점(단층) ①, ②, ③, ④를 각각 촬영할 수 있다.
획득 유니트(130)는 서로 다른 침투 깊이에서 촬영된 복수의 지정맥 이미지를 침투 깊이의 순서대로 합성하여 지정맥(30)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111)를 통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는 손가락(10)의 일부를 촬영한 것일 수 있다. 만약, 손가락(10) 전체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필요가 있는 경우, 촬영 유니트(110) 또는 초음파 센서(111)는 구동부(117)에 의해 손가락(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지정맥(30)을 촬영할 수 있다.
지정맥(30)의 3차원 이미지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식별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이미지는 사용자가 지정맥 인식 장치에 삽입하거나 올려놓은 손가락(10)의 각도에 상관없이 정상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을 식별시키기 위해 각도에 맞춰 손가락(10)을 조심스럽게 올릴 필요없이, 원하는 각도로 지정맥 인식 장치에 손가락(10)을 올려놓을 수 있다.
도 2은 비교 실시예의 지정맥 인식기(5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비교 실시예의 지정맥 인식기(50)는 2차원 이미지(2D 이미지)를 획득하고, 2차원 이미지를 이용해서 사용자를 인증하고 본인 확인 절차를 수행한다. 사용자의 인증을 위해 지정맥 인식기(50)를 통해 획득된 2차원 이미지는 사용자가 기등록해 놓은 초기 2차원 이미지와 비교될 수 있다.
x축, y축, z축이 서로 교차하는 3차원 공간에서, xy 평면상의 2차원 이미지에 따르면, 지정맥 정보에 z축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식별력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초기 2차원 이미지를 촬영할 때와 다른 각도로 손가락(10)을 지정맥 인식기(50)에 올려놓으면, 인식기를 통해 획득된 2차원 이미지는 초기 2차원 이미지와 다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정맥(30)을 이용한 인증 과정을 통과하기 위해 초기 2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때와 동일한 각도로 손가락(10)을 인식기에 올려놓아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정맥 인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손가락(10)의 서로 다른 지점을 촬영하는 촬영 유니트(110)에 의해 서로 다른 지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지정맥 이미지 ①, ②, ③, ④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각 지정맥 이미지 ①, ②, ③, ④는 2차원 이미지 xy-i뿐만 아니라, z축 이미지 z-i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정맥 이미지 ①, ②, ③, ④는 획득 유니트(130)에 의해 처리되어 지정맥(30) 전체의 3차원 이미지 m을 형성할 수 있다.
3차원 이미지 m은 지정맥(30)의 x축 정보, y축 정보 외에도 z축 정보가 포함되므로, 사용자를 인식하는 정밀도 대폭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맥 인식 장치에 올려놓은 손가락(10)의 각도에 무관하게 3차원 이미지 m이 획득되므로, 사용자는 마음대로 지정맥 인식 장치에 손가락(10)을 올려놓아도 무방하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본 발명의 지정맥 인식 장치는 손가락(10)이 거치되는 거치부(157)가 마련된 거치 유니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157)에는 손가락(10)이 거치되는 거치 공간(151)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거치부(157)에는 손가락(10)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에 의해 손가락(10)이 거치되는 거치 공간(151)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57)는 홈을 통해 적어도 손가락(1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해당 거치부(157)에 마련된 홈은 손가락(10)의 삽입 위치 또는 정지 위치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선명한 지정맥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초음파 센서(111)는 가능한 손가락(10)에 밀착되는 것이 좋다.
거치 유니트(150)에 놓여진 손가락(10)의 촬영 부위가 거치 유니트(150)에 밀착된 여부에 상관없이 초음파 센서(111)에 밀착되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초음파 센서(111)는 손가락(10)과 거치 유니트(150)의 사이에서 손가락(10)에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손가락(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거치 유니트(15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거치 유니트(150)에는 손가락(10)을 향해 초음파 센서(111)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155)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압 수단(155)은 거치 유니트(150)와 초음파 센서(111)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수단(155)은 손가락(10)을 향해 초음파 센서(111)를 가압함으로써, 초음파 센서(111)를 손가락(10)의 촬영 부위에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맥 인식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가압 수단(155)에 의해 초음파 센서(111)가 손가락(10)에 밀착되는 만큼 손가락(10)이 밀려나면, 손가락(10)과 초음파 센서(111)를 밀착시키려는 의도가 퇴색될 수 있다.
가압 수단(155)의 가압에 의해 손가락(10)이 반대편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거치부(157)는 손가락(10)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로 손가락(10)을 삽입하는 상황을 대비해서, 거치부(157)는 가운데에 손가락(10)이 삽입되는 거치 공간(151)을 갖는 링 형상 등의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거치부(157)에 따르면, 손가락(10)은 가압 수단(155)의 가압에도 불구하고 반대편으로 밀려날 수 없다. 따라서, 손가락(10)의 촬영 부위는 가압 수단(155)에 의해 다가오는 초음파 센서(111)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다.
한편, 거치부(157)가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마다 다른 손가락(10)의 두께가 문제될 수 있다.
다양한 두께의 손가락(10)이 거치 공간(151)에 삽입될 수 있도록, 거치부(157)는 손가락(1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큰 직경을 갖는 거치부(157)에 따르면, 손가락(10)에 초음파 센서(111)를 밀착시키기 어려우며, 가압 수단(155)에 의해 반대편으로 밀려하는 손가락(10)을 규제하기도 어려울 수 있다.
다양한 두께의 손가락(10)을 거치 공간(151)에 수용시키면서 초음파 센서(111)가 손가락(10)에 밀착되도록, 거치 유니트(150)에는 손가락(10)을 감싸는 거치부(157), 손가락(10)에 대면되는 거치부(157)의 일면에 설치되며 손가락(10)이 거치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부(158)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158)로 인해, 손가락(10)이 삽입되고 거치되는 거치 공간(151)의 직경이 탄성부(158)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탄성부(158)는 거치 공간(151)으로 삽입되는 손가락(10)의 두께에 적응적으로 압축되거나 복원될 수 있다. 탄성부(158)에 따르면, 손가락(10)은 두께에 상관없이 거치 공간(151)에 삽입될 수 있으며, 두께에 상관없이 거치 공간(151)에 빈틈없이 끼워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센서(111)는 손가락(10)에 대면되는 탄성부(158)의 일면 또는 탄성부(158)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손가락(10)이 탄성부(158)에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 탄성부(158)의 일면에 형성된 초음파 센서(111) 역시 손가락(10)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탄성부(158)의 내면에 배치된 초음파 센서(111)의 경우, 초음파 센서(111)와 손가락(10) 사이에 탄성부(158)의 일부가 개재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111)와 손가락(10) 사이에 배치된 일부 탄성부(158)는 손가락(10) 또는 가압 수단(155)에 의해, 초음파가 용이하게 전파되는 압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초음파 센서(111)와 거치부(157) 사이에 배치된 일부 탄성부(158)가 가압 수단(155)으로 기능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가압 수단(155)이 배제될 수도 있다.
탄성부(158)의 내부에 초음파 센서(111)가 배치된 경우, 별도의 가압 수단(155)이 배제되도록, 해당 초음파 센서(111)는 탄성부(158)의 내부 중 거치부(157)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손가락(10)의 길이 방향 상으로, 손가락(10)의 전체가 아닌 일부 부위의 촬영만으로 사용자를 인증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손가락(10)의 일부 부위만 촬영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정확한 인증을 위해 사용자가 인증을 시도할 때마다, 거치 공간(151) 또는 거치부(157)에 대해 사용자의 손가락(10)이 일정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일 예로, 도 1과 같이 촬영 유니트(110)는 손가락(10) 끝으로부터 d만큼 이격된 부위를 촬영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거치 공간(151)에 손가락(10)을 더 밀어넣으면, 촬영 유니트(110)는 d보다 더 먼 부위를 촬영하게 된다. 지정맥(30)을 촬영할 때마다 서로 다른 부위가 촬영되면, 사용자의 인식이 어려워질 수 있다.
항상 손가락(10)의 일정한 부위가 촬영되도록, 촬영 유니트(110)는 거치 유니트(150)의 단부로부터 설정 거리 d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지정맥(30)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거치 유니트(150)의 단부에는 손가락(10)의 추가 진입을 방지하는 방지부(159)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방지부(159)는 거치부(157)의 단부로부터 손가락(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 또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 공간(151)에 놓여지거나 거치 공간(151)에 삽입된 손가락(10)은 방지부(159)에 의해 손가락(10)의 길이 방향 상으로 항상 일정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한편, 지정맥(30)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다른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정맥 인식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촬영 유니트(110)는 손가락(10)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손가락(10)의 지정맥(30)을 각각 촬영할 수 있다.
이때, 획득 유니트(130)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복수의 지정맥 이미지를 순서대로 라돈 변환(Radon transform)한 후 사이노그램(Sinogram)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제1 모듈, 사이노그램(Sinogram) 이미지를 역라돈 변환(Inverse Radon transform)한 후 단층 영상 복원(Back Projection)하여 지정맥(30)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라돈 변환은 서로 직교하는 x축과 y축으로 구성된 2차원 좌표계의 영상을 선 적분하여 (x,y)로 표현되는 라돈 공간에 누적시킨 다음, 라돈 공간에서 지역 극값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라돈 변환은 CT(Computed Tomography) 단층 영상 복원의 원리가 된다. 단층 영상 복원이란 X선 촬영을 하여 가로로 자른 횡단면상을 획득하는 과정이다. 즉, 물체를 자르지 않고 내부를 상세히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객체의 내부를 영상화하기 위해 물체를 0°~360°까지 회전하며 X선 사진을 찍는다. 이렇게 여러 각도로 X선 사진을 찍어 얻은 그래프에서 X선이 흡수된 양을 XY평면에 도시화한 것을 사이노그램(Sinogram)이라 한다. 사이노그램 이미지를 다시 역 라돈 변환(Inverse Radon transform)하면 블러링(blurring)된 객체의 원본 이미지를 복원하여 내부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 실험 과정으로 획득한 내부 영상을 Back Projection이라 한다.
획득 유니트(130)는 이 원리를 이용하여 xy 좌표에 손가락(10) 내부 이미지를 생성한 후 복원하여 단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촬영 유니트(110)에는 지정맥(30)을 촬영하는 촬영부(113), 손가락(10)을 중심으로 촬영부(113)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17)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촬영부(113)는 초음파 센서(111), 광학식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광학식 카메라인 것이 좋다.
광학식 카메라의 경우, 손가락(10)을 사이에 두고 카메라의 맞은편에는 손가락(10)을 투과하는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촬영부(113)는 구동부(117)에 의해 설정 각도만큼 회전될 때마다 손가락(10)의 지정맥(30)을 촬영할 수 있다.
구동부(117)는 손가락(10)이 거치되는 거치 유니트(150)에 대해 촬영부(1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촬영 유니트(110)에는 거치 유니트(150)를 둘러싸는 레일 또는 커버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촬영부(113)는 레일 또는 커버부(170)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17)는 레일을 따라 촬영부(113)를 움직이는 것으로 거치 유니트(150)에 대해 촬영부(1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구동부(117)는 촬영부(113)가 설치된 커버부(170)를 거치 유니트(150)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으로 거치 유니트(150)에 대해 촬영부(1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거치 유니트(150)를 사이에 두고 촬영부(113)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조명부(115)는 커버부(170)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17)에 의해 커버부(170)가 회전되면, 촬영부(113) 및 조명부(115)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거치 유니트(150)의 단면은 원 등의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조명의 빛이 손가락(10)을 통과해서 촬영부(113)로 입력되도록, 거치 유니트(150)는 투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획득 유니트(13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 공간(151)에 삽입된 손가락(10)의 각도에 상관없이 정상적으로 지정맥(30)의 3차원 이미지 i1이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정맥 인식 장치는 3차원 이미지 i1를 기저장된 지정맥 정보 i0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 유니트(19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장된 지정맥 정보 i0는 특정 각도로 놓여진 손가락(10)의 지정맥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촬영 유니트(110)를 통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 i1은 위 특정 각도와 다른 각도의 지정맥(30)을 촬영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각도의 3차원 이미지 i1과 지정맥 정보 i0는 서로 매칭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인증 유니트(190)는 3차원 이미지 i1과 지정맥 정보 i0 중 하나를 자전시켜가며 나머지 하나와의 매칭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증 유니트(190)는 3차원 이미지 i1 중 단면 이미지를 자전시키면서 지정맥 정보 i0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자전은 손가락(10) 단면 이미지의 중심 o1을 기준으로, 3차원 이미지 i1을 회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손가락 30...지정맥
110...촬영 유니트 111...초음파 센서
113...촬영부 115...조명부
117...구동부 119...제어부
130...획득 유니트 150...촬영 유니트
151...거치 공간 155...가압 수단
157...거치부 158...탄성부
159...방지부 170...커버부
190...인증 유니트

Claims (10)

  1. 손가락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상기 손가락의 지정맥을 각각 촬영하는 촬영 유니트;
    상기 손가락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지정맥 이미지를 이용해서 상기 지정맥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획득 유니트;
    를 포함하는 지정맥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니트는 초음파를 이용해서 상기 지정맥을 촬영하는 초음파 센서 및 상기 초음파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의 초음파가 침투하는 침투 깊이를 변화시키며,
    상기 초음파 센서는 서로 다른 침투 깊이에서 상기 지정맥을 각각 촬영하는 지정맥 인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니트는 서로 다른 침투 깊이에서 촬영된 복수의 상기 지정맥 이미지를 상기 침투 깊이의 순서대로 합성하여 상기 지정맥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지정맥 인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이 거치되는 거치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유니트는 초음파를 이용해서 상기 지정맥을 촬영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센서는 상기 손가락과 상기 거치 유니트의 사이에서 상기 손가락에 가까워지거나 상기 손가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거치 유니트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 유니트에는 상기 손가락을 향해 상기 초음파 센서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마련된 지정맥 인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이 거치되는 거치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 유니트에는 상기 손가락을 감싸는 거치부, 상기 손가락에 대면되는 상기 거치부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손가락이 거치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부가 마련되며,
    상기 촬영 유니트는 초음파를 이용해서 상기 지정맥을 촬영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는 상기 손가락에 대면되는 상기 탄성부의 일면 또는 상기 탄성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정맥 인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이 거치되는 거치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유니트는 상기 거치 유니트의 단부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정맥을 촬영하며,
    상기 거치 유니트의 단부에는 상기 손가락의 추가 진입을 방지하는 방지부가 형성된 지정맥 인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니트는 상기 손가락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상기 손가락의 지정맥을 각각 촬영하고,
    상기 획득 유니트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복수의 상기 지정맥 이미지를 순서대로 라돈 변환한 후 사이노그램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제1 모듈, 상기 사이노그램 이미지를 역라돈 변환한 후 단층 영상 복원하여 상기 지정맥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하는 지정맥 인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니트에는 상기 지정맥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손가락을 중심으로 상기 촬영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마련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설정 각도만큼 회전될 때마다 상기 손가락의 지정맥을 촬영하는 지정맥 인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이 거치되는 거치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유니트에는 상기 거치 유니트를 둘러싸는 레일 또는 커버부, 상기 레일 또는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정맥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거치 유니트에 대해 상기 촬영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마련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촬영부를 움직이는 것으로 상기 거치 유니트에 대해 상기 촬영부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촬영부가 설치된 상기 커버부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거치 유니트에 대해 상기 촬영부를 회전시키는 지정맥 인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이미지를 기저장된 지정맥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유니트는 상기 3차원 이미지와 상기 지정맥 정보 중 하나를 자전시켜가며 나머지 하나와의 매칭 여부를 판별하는 지정맥 인식 장치.
KR1020170140804A 2017-10-27 2017-10-27 지정맥 인식 장치 KR102072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804A KR102072524B1 (ko) 2017-10-27 2017-10-27 지정맥 인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804A KR102072524B1 (ko) 2017-10-27 2017-10-27 지정맥 인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213A true KR20190047213A (ko) 2019-05-08
KR102072524B1 KR102072524B1 (ko) 2020-02-03

Family

ID=6658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804A KR102072524B1 (ko) 2017-10-27 2017-10-27 지정맥 인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5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5334A (zh) * 2019-05-14 2019-08-16 山东优化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指静脉识别装置
KR102138358B1 (ko) * 2019-07-31 2020-07-27 주식회사 베프스 초음파 기반의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지정맥 데이터 구축 방법
KR20210052055A (ko) * 2019-10-31 2021-05-10 (주)코리센 지정맥 인식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966A (ko) * 2014-06-20 2015-12-31 (주)코리센 정맥 인증 시스템
JP2016525406A (ja) * 2013-07-24 2016-08-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血管の超音波データの空間的に異なるサブボリュームを位置合わせするための方法
KR20170026125A (ko) 2015-08-27 2017-03-08 광주과학기술원 지정맥 인식 장치 및 지정맥 인식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5406A (ja) * 2013-07-24 2016-08-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血管の超音波データの空間的に異なるサブボリュームを位置合わせするための方法
KR20150145966A (ko) * 2014-06-20 2015-12-31 (주)코리센 정맥 인증 시스템
KR20170026125A (ko) 2015-08-27 2017-03-08 광주과학기술원 지정맥 인식 장치 및 지정맥 인식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5334A (zh) * 2019-05-14 2019-08-16 山东优化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指静脉识别装置
CN110135334B (zh) * 2019-05-14 2021-03-30 山东优化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指静脉识别装置
KR102138358B1 (ko) * 2019-07-31 2020-07-27 주식회사 베프스 초음파 기반의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지정맥 데이터 구축 방법
WO2021020662A1 (ko) * 2019-07-31 2021-02-04 주식회사 베프스 초음파 기반의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지정맥 데이터 구축 방법
KR20210052055A (ko) * 2019-10-31 2021-05-10 (주)코리센 지정맥 인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524B1 (ko) 202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957B1 (ko)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다면 입체 촬영장치
JP4095659B2 (ja) 静脈認証装置
KR100919339B1 (ko) 개인 인증 장치
JP6134662B2 (ja) 生体認証装置および生体認証方法
KR101672541B1 (ko)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3d 입체 촬영장치
JP3810782B2 (ja) 個人認識装置
JP4308220B2 (ja) 個人認識装置
EA002730B1 (ru) Система для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распознавания линий руки и пальцев
KR102072524B1 (ko) 지정맥 인식 장치
US20070122014A1 (en) Registration apparatus, collation apparatus, image correction method and program
KR20150104544A (ko) 지정맥과 손가락마디지문을 통한 통합인증장치
KR102160137B1 (ko) 특징점 변동을 이용한 위조 얼굴 판별장치 및 그 방법
KR101547659B1 (ko) 손가락 정맥 스캐닝을 이용하는 생체 인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KR20190111509A (ko) 지정맥 인식 장치
KR102015118B1 (ko) 레이저 스펙클 이미징 방식을 이용한 생체 혈관인증 장치 및 그 방법
US20170112383A1 (en) Three dimensional vein imaging using photo-acoustic tomography
KR20100046527A (ko) 생체인식장치
JP4527031B2 (ja) 個人認証装置
KR100937800B1 (ko) 개인 인증 시스템 및 장치
JP2007154472A (ja) 指静脈認証装置および指静脈認証方法
JP2009211730A (ja) 情報端末
KR102367341B1 (ko) 지정맥 인식 장치
KR20230095716A (ko) 피부 촬영 장치
JP2008299678A (ja) 個人認証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個人認証プログラム
CN115457602A (zh) 一种生物特征识别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