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385A -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upper and lower limb - Google Patents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upper and lower lim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385A
KR20190046385A KR1020170140126A KR20170140126A KR20190046385A KR 20190046385 A KR20190046385 A KR 20190046385A KR 1020170140126 A KR1020170140126 A KR 1020170140126A KR 20170140126 A KR20170140126 A KR 20170140126A KR 20190046385 A KR20190046385 A KR 20190046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tton
handle
support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영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펀리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펀리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펀리햅
Priority to KR102017014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6385A/en
Publication of KR20190046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3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upper and lower limbs, which simultaneously guides balancing sense training of the lower limb and motion of the upper limb to provide upper and lower limb rehabilitation exercises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upper and lower limbs comprises: a support plate having a hemispherical reception groove formed on an upper part; a holding plate upwardly extend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plate; a first handle upwardly extended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 unstable plate having a tilt sensor embedded therein, having a lower part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groove to be received in the transmission groove, and having a mounting surface formed on an upper part to allow a user to get thereon; a second handle including a first frame connected to the holding plate to be inwardly curved in an upper direction, a second frame bent from an end part of the first frame, and a button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a display module installed on the holding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ilt sensor and the button part to display game content for progressing a game in interwork with the tilt sensor and the button part.

Description

상하지 재활 장치{Rehabilitation apparatus for upper and lower limb}[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upper and lower limb,

본 발명은 상하지 재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지의 균형감각 훈련과 상지의 움직임을 함께 유도함으로써 상하지 재활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상하지 재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and lower rehabilit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pper and lower rehabilitation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upper and lower rehabilitation exercises by simultaneously inducing balancing sensation training of the lower limbs and upper limbs.

일반적으로, 신체를 단련하기 위해 사용되는 운동기구는 그 종류별로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신체의 전부분을 골고루 단련시킬 수는 없기 때문에 신체의 각 운동부위에 따라서 그 종류가 다양하게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there are various types of exercise equipment used to train the body, but since the whole body part can not be uniformly exercised, various types of exercise equipment are used depending on each exercise part of the body.

먼저, 신체를 상지와 하지로 나눌 수 있으며, 하지의 균형 단련을 시키기 위한 기구로는 주로 힘판을 이용하여 특정 감각시스템으로부터의 입력을 제한하거나 외력에 의해 평형 유지를 방해했을 때, 신체 전이(displacement), 압력중심의 움직임(center of pressure ; COP), 자세 유지 시 작용하는 근육의 활동 전위 등을 측정하는 연구와 더불어 균형에 어려움을 느끼는 환자를 위한 바이오 피드팩(Biofeedback)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First, the body can be divided into upper limb and lower limb, and as a mechanism for balancing the lower limb, when force input is limited mainly by using a force plate or when balance maintenance is disturbed by an external force, ), The center of pressure (COP), and the activity potential of the muscles acting during postural maintenance, as well as biofeedback for patients with balance difficulties .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기술 및 재활훈련 장치는 주로 안정한 지지면 위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면에 초점이 맞춰져 자세 균형 재활에 필요한 시각, 전정감각, 체성감각을 통합적으로 자극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불안정판의 경우 불안정정도를 정량적으로 조절하지 못하는 시각적 피드백이 없는 단순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However, these existing techniques and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s focus mainly on the aspect of maintaining the balance on the stable support surface, so that not only the visual, vestibular, and somatosensory senses necessary for postural balance rehabilitation can not be stimulated integrally, Is a simple form without visual feedback that can not be controlled quantitatively.

또한, 바이오 피드백시스템은 화면의 지시에 따라 움직이거나 외부에서 힘판을 움직였을 때 균형을 유지하는 수동적인 형태로 지루하여 피험자가 장시간의 훈련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iofeedback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subject to train for a long time, because the biofeedback system is bored in a passive form that keeps the balance when moving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screen or moving the force plate from the outside.

그리고 상지를 주로 단련하도록 하는 팔 운동기구는 회전판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워밍 암이 있다. 이 워밍 암은 바닥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지지대를 설치하고 그 지지대의 상단부에 회전판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회전판의 가장자리에는 양측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리를 적당하게 벌린 상태에서 두 손잡이를 잡고 회전판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키면서 팔과 어깨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And the arm exerciser, which mainly exercises the upper limb, has a warming arm that is configured to use a turntable. The warming arm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upporting base on a base plate fixed to the floor, and a rotary plate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base, and a handle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rotary plate. Therefore, the user can hold the two knobs while the legs are properly opened and freely rotate the rotating pl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reby enabling arm and shoulder movement.

한편, 이러한 종래의 팔 운동기구들은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나의 회전판을 양팔로 잡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팔 및 어깨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지루함을 쉽게 느끼게 하여 지속적인 운동을 유도하기가 어렵고, 또한 운동효과가 팔과 어깨로만 편중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arm exercising apparatuses, since the base plate is configured such that arm and shoulder movements are performed by rotating one rotation plate in both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with one arm, the user easily feels bored It is difficult to induce continuous exercise,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exercise effect is concentrated only on the arm and the shoulder.

상기와 같이 종래의 재활 운동 기기는 상지와 하지를 분리하여 각각 훈련하도록 설계된 기기가 대부분이며, 노화에 따른 기능 저하는 상지와 하지의 기능이 함께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안정판에서 균형유지가 가능한 환자에게 보행감각을 익히며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간단계의 재활훈련이 필요하며, 능동적이고 자세균형에 필요한 통합된 감각을 효과적으로 자극하면서 피훈련자가 단조로움을 느끼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훈련장치가 요구된다.As described above, most of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exercises are designed to separate the upper and lower limbs and train each, and the functions of the upper limbs and the lower limbs are often lowered due to ag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habilitate the middle stage to learn the walking sense and improve the muscle strength. It is also required to have a new type of training device which does not feel the monotony of the trainee while stimulating the integrated senses which are active and necessary to balance the posture.

1. 한국 등록 특허 제 10-0894172호 ‘삼차원 불안정판을 이용한 근육훈련 방법 및 장치’(등록일자 : 2009.04.13.)1. Korean Patent No. 10-0894172 'Method and Apparatus for Muscle Training Using Three-Dimensional Instability Plate' (Registered on Apr. 13, 200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체의 상하지를 동시에 훈련할 수 있으며, 운동기구에 설치한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운동과 연계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지루하지 않고 흥미 유발을 통하여 꾸준하게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는 상하지 재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me system capable of simultaneously train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dy, The remainder of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상하지 재활 장치는 상부에 반구 형태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전방에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거치대와,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손잡이와, 기울기 센서가 내장되되, 하부에는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도록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부에는 사용자가 올라서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불안정판과, 상기 거치대와 연결되어 상측 방향으로 내향 만곡되어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으로 버튼부가 형성되는 제2 손잡이 및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고, 상기 기울기 센서와 상기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기울기 센서와 상기 버튼부에 연동하여 게임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and lower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plate on which a hemispherical receiving groove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cradle extending upward from a front side of the support plate, a first handle extended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 unstable plate having a sensor incorporated therein and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ceiving groov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having a seating surface on which an upper portion is seated by a user; A second handle formed with a button s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second knob provided at the cradle And a tongue sensor connected to the tongue sensor and the button unit, And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game content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또한, 상기 제2 손잡이는 상기 거치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버튼부는 버튼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게임 컨텐츠의 진행과 연계하여 상기 버튼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 유닛과, 상기 버튼이 눌러짐에 대응되어 알림음을 발산하는 알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tton unit includes a button,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to the button in association with the progress of gam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And an alarm unit for emitting a notification sound in response to the load.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게임 컨텐츠의 진행과 연계하여 상기 제2 손잡이와 상기 버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second handle and the button unit in association with the progress of the gam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본 발명에 따른 상하지 재활 장치는 불안정판과 제2 손잡이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하지를 동시에 훈련할 수 있으며, 제2 손잡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버튼부와 불안정판을 이용하여 운동과 연계되어 게임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지루하지 않고 흥미 유발을 통하여 꾸준하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upper and lower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n unstable plate and a second handle to simultaneously train upper and lower user's, and can perform a game in association with exercise using a button unit and an unstable plat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 second handle. So that it can be exercised steadily through inducing interest without being bo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지 재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지 재활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안정판, 버튼부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op and bottom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top and bottom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unstable plate, a button unit, and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will not be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지 재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지 재활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안정판, 버튼부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op and bottom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top and bottom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unstabl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tton, a button unit, and a display module.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지 재활 장치는 지지판(100), 거치대(200), 제1 손잡이(300), 불안정판(400), 제2 손잡이(500), 디스플레이 모듈(600)을 포함한다.1 and 2, the upper and lower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late 100, a cradle 200, a first handle 300, an unstable plate 400, a second handle 500, Module 600 as shown in FIG.

먼저, 상기 지지판(100)은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부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반구 형태의 수용홈이(11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00)은 상기 거치대(200), 상기 제1 손잡이(300), 상기 불안정판(400), 상기 제2 손잡이(5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00)이 설치되는 기본 구성으로, 외력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설계된다.First, the support plate 100 is formed in a flat shape to be fixed on the ground and a receiving groove 110 in a hemispherical shap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The support plate 100 has a basic structure in which the cradle 200, the first handle 300, the unstable plate 400, the second handle 500, and the display module 600 are installed. So that it is not tilted.

또한, 상기 지지판(100)은 사용자가 후술할 상기 불안정판(400)에서 위에서 운동하는 사용자가 낙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에는 쿠션재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ushioning material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0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who is moving from above from falling from the unstable plate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the user.

다음으로, 상기 거치대(2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지지판(100)의 전방에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후술할 상기 제2 손잡이(500)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00)이 설치된다. Next, the cradle 200 is design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according to the body of the user, and is extended upward from the front of the support plate 100. The second handle 500 and the display module 600 are installed.

그리고 상기 제1 손잡이(300)는 상기 지지판(100)의 양측에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훈련시 상기 불안정판(40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불안정판(400)의 동작중의 부주의 또는 갑작스런 평형감각 상실 및 이와 유사한 상황 발생시에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키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The first handle 3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100 so that a user who uses the unstable plate 400 at the time of training can perform an inadvertent operation or sudden balance during operation of the unstable plate 400. [ It is designed to prevent user's safety accidents in case of sensory loss or similar situation, and it is design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according to user's key.

이와 함께, 상기 불안정판(400)은 기울기 센서(미도시)가 내장되되, 하부에는 상기 수용홈(110)과 대응되도록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110)에 수용되고, 상부에는 사용자가 올라서는 안착면(42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nstable plate 400 has a tilt sensor (not shown) therein. The unstable plate 400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ceiving groove 110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The seating surface 420 is formed.

상기 불안정판(400)은 사용자가 직접 올라서기 위한 발판으로 사용자의 훈련시 직접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동작하여 훈련에 효과가 있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착면(420)은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며,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 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The unstable plate 400 is a footrest for the user to directly ascend, and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in an unstable state directly during a user's training so as to be effective for training. The seating surface 420 is flat And friction protrusions (not shown) are formed to prevent the user from slipping.

또한, 상기 불안정판(400)의 하부는 일부가 상기 수용홈(110)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불안정판(400)은 사용자가 올라서면 상기 불안정판(400)을 품도록 구성된 상기 수용홈(110)에 접하면서 전후좌우의 각 대각선 방향 또는 원형 회전할 때, 사용자가 올라서는 상기 안착면(420)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불규칙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A portion of the unstable plate 40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the other portion of the unstable plate 400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0. The unstable plate 400, When the user rotates the seating surface 420 in the diagonal direction or circularly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touching the receiving groove 110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unstable plate 400, irregular movement is performed as the seating surface 420 is moved up and down .

다음으로, 상기 제2 손잡이(500)는 상기 거치대(200)와 연결되어 상측 방향으로 내향 만곡되어 형성되는 제1 프레임(510)과, 상기 제1 프레임(510)의 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프레임(520)과, 상기 제1 프레임(510)과 상기 제2 프레임(520)에 일정한 간격으로 버튼부(530)가 형성된다.The second handle 500 includes a first frame 510 connected to the cradle 200 and curved inwardly in the upward direction, and a second frame 510 bent from the end of the first frame 510 A second frame 520 and a button unit 530 are formed on the first frame 510 and the second frame 520 at regular intervals.

먼저, 상기 제1 프레임(510)은 상기 거치대(200)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불안정판(400)에 사용자가 올라서면, 사용자의 어깨에서 일정한 거리를 이루도록 만곡 형성된다. First, the first frame 510 is formed in a pair such that the first frame 510 is opposed to the first frame 510. When the user moves on the unstable plate 400, the first frame 510 is curved to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ser's shoulder.

또한, 상기 제2 프레임(520)은 상기 제1 프레임(510)의 최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530)는 사용자가 각각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누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510)과 상기 제2 프레임(520)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frame 520 is bent at the end of the first frame 510 so as to be folded so as to be easily grasped by the user. The first frame 510 and the second frame 52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elow the first frame 510 and the second frame 520,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제2 손잡이(500)는 상기 거치대(200)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 손잡이(50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팔 또는 어깨가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200)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나, 후술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00)에 표시되는 게임 난이도에 따라 상기 제2 손잡이(500)를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더 유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econd handle 500 is pivotally coupled to the cradle 200. The second handle 500 is basically formed so as to extend upward from the cradle 200 so as to allow the arm or shoulder of the user to lift upward, So that the second handle 500 can be rotat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fficulty so as to induce more user's interest.

따라서, 상기 불안정판(400) 위에서 하지의 균형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불안정판(400)에서 서서 상기 제2 손잡이(50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버튼부(530)를 선택하여 상지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상하지를 동시에 재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balance motion of the legs on the unstable plate 400 and to select the button portion 530 formed at the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econd handle 500 in the unstable plate 40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can be simultaneously rehabilitated.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00)은 상기 거치대(200)에 설치되고, 상기 기울기 센서(410)와 상기 버튼부(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기울기 센서(410)와 상기 버튼부(530)에 연동하여 게임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컨텐츠를 표시한다.The display module 600 is installed in the cradle 2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ilt sensor 410 and the button unit 530 so that the tilt sensor 410 and the button unit 530 To display the game contents for allowing the game to proceed.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530)는 가압되는 버튼(531)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00)에 표시되는 게임 컨텐츠의 진행과 연계하여 상기 버튼(531)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 유닛(532)과, 상기 버튼(531)이 눌러짐에 대응되어 알림음을 발산하는 알람 유닛(533)으로 구성된다.3, the button unit 530 may include a button 531 to be pressed and a button 531 to allow the button 531 to emit light in conjunction with the progress of the gam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600. [ And an alarm unit 533 for emitting a notification sound in response to the depression of the button 531. [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00)은 사용자가 재활 훈련 과정에서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00)은 상기 기울기 센서(410)의 무선 모뎀(미도시)으로부터의 센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무선모뎀(610)과, USB 포트(620)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게임 컨텐츠의 진행과 연계하여 상기 제2 손잡이(500)와 상기 버튼부(5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30), 게임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640) 및 상기 기울기 센서(410)의 센서 감지신호에 연계하여 게임 컨텐츠를 이용한 게임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650)를 포함한다.The display module 600 is configured to induce a user's interest in a rehabilitation process. The display module 600 receives a sensor detection signal from a wireless modem (not shown) of the tilt sensor 410 A controller 630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second knob 500 and the button unit 530 in conjunction with the progress of gam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a wireless modem 610, a USB port 620, A content storage unit 640 for storing game contents, and a display unit 650 for displaying a game operation using the game contents in connection with the sensor detection signal of the tilt sensor 410.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00)에서 이용하는 게임의 종류는 특정할 필요가 없으며, 게임 그래픽을 배경으로 하여 센서 감지신호에 따라 화면상의 타겟 또는 커서가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궤적을 변화시키는 방식과 같은 게임을 구현할 수 있다.The type of game to be used in the display module 600 need not be specified, and a target or a cursor on the screen may be moved according to a sensor detection signal in the background of a game graphic to change a trajectory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The game can be implemented.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00)에 표시되는 게임 컨텐츠의 진행에 따라 상기 제어부(630)는 상기 불안정판(400)에 내장된 상기 기울기 센서(410)와, 상기 거치대(2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제2 손잡이(500)와, 상기 발광 유닛(532)을 제어하여, 상하지를 동시에 훈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 치료를 지루하지 않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 꾸준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gam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600, the controller 630 controls the tilt sensor 410 built in the unstable plate 400 and the tilt sensor 410 installed in the cradle 200 to be rotatable The second handle 5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532 are controll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jaws can be trained at the same time, and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can be intrigued without being tedious, so that the user can exercise constantly.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지지판
110 : 수용홈
200 : 거치대
300 : 제1 손잡이
400 : 불안정판
410 : 기울기 센서
420 : 안착면
500 : 제2 손잡이
510 : 제1 프레임
520 : 제2 프레임
530 : 버튼부
531 : 버튼
532 : 발광 유닛
533 : 알람 유닛
600 : 디스플레이 모듈
610 : 무선모뎀
620 : USB 포트
630 : 제어부
640 : 컨텐츠 저장부
650 : 표시부
100: Support plate
110: receiving groove
200: Cradle
300: first handle
400: unstable plate
410: tilt sensor
420: seat face
500: second handle
510: first frame
520: second frame
530: button portion
531: Button
532: Light emitting unit
533: Alarm unit
600: Display module
610: Wireless modem
620: USB port
630:
640:
650:

Claims (3)

상부에 반구 형태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전방에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거치대;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손잡이;
기울기 센서가 내장되되, 하부에는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도록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부에는 사용자가 올라서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불안정판;
상기 거치대와 연결되어 상측 방향으로 내향 만곡되어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으로 버튼부가 형성되는 제2 손잡이; 및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고, 상기 기울기 센서와 상기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기울기 센서와 상기 버튼부에 연동하여 게임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지 재활 장치.
A support plate having a hemispherical receiving groove formed therein;
A cradle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of the support plate;
A first handle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 unstable plate having a tilt sensor and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ceiving groov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 first frame formed to be bent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frame, a second frame formed to be bent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a button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 second handle; And
And a display module that is installed in the cradl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ilt sensor and the button unit and displays game contents for allowing the game to proceed in conjunction with the tilt sensor and the button unit, Upper and lower rehabilitation devic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는,
상기 거치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버튼부는,
버튼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게임 컨텐츠의 진행과 연계하여 상기 버튼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 유닛과, 상기 버튼이 눌러짐에 대응되어 알림음을 발산하는 알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지 재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handle
A pair of pivotably connected pivot pins,
The button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to the button in association with the progress of gam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and an alarm unit for emitting a no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button. Rehabilitation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게임 컨텐츠의 진행과 연계하여 상기 제2 손잡이와 상기 버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지 재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second handle and the button unit in association with the progress of the gam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KR1020170140126A 2017-10-26 2017-10-26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upper and lower limb KR201900463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126A KR20190046385A (en) 2017-10-26 2017-10-26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upper and lower lim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126A KR20190046385A (en) 2017-10-26 2017-10-26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upper and lower lim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385A true KR20190046385A (en) 2019-05-07

Family

ID=6665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126A KR20190046385A (en) 2017-10-26 2017-10-26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upper and lower lim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638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172B1 (en) 2007-05-22 2009-04-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device to have muscle training using three dimensional unstable platfo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172B1 (en) 2007-05-22 2009-04-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device to have muscle training using three dimensional unstable plat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01684A (en) Smart lower body exerciser {SMART LEG MOVEMENT STIMULATOR DEVICE}
JP6918832B2 (en) Abdominal and core exercise equipment
US891587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training
KR102139344B1 (en) Seated treadmill and how to use
KR101847380B1 (en) Virtual reality fitness system
JP2006167094A (en) Compound athletic equipment
US9616277B2 (en) Exercise assisting device
US20090305853A1 (en) Randomly multidirectional devise and method for using the devise
JP2007029704A (en) Rocking apparatus
CN103537070A (en) Standing balance trainer and standing balance training method
KR101731302B1 (en) Swing type rehabilitation therapy apparatus for sitting posture rising action training
KR101374600B1 (en) orthopaedic exerciser for sitting position
KR101464291B1 (en) Healthcare Exercise Device For Entertainment
JP2009165813A (en) Health promoting appliance
KR20190046385A (en)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upper and lower limb
KR101854129B1 (en) Virtual reality fitness system operating method
KR101910277B1 (en) Balance practic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213086B1 (en) Exercise assistance device
Caltenco et al.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for balance rehabilitation after stroke
KR101590921B1 (en) Athletic Equipment
JP2019042470A (en) Walking training apparatus
KR102155468B1 (en) Leg muscle exercise device for lying down and exercising
WO2024142418A1 (en) Balance board and balance board system
JP2019042248A (en) Vibration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2288015B1 (en) System for user customized sports inte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