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154A -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 - Google Patents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154A
KR20190046154A KR1020170139389A KR20170139389A KR20190046154A KR 20190046154 A KR20190046154 A KR 20190046154A KR 1020170139389 A KR1020170139389 A KR 1020170139389A KR 20170139389 A KR20170139389 A KR 20170139389A KR 20190046154 A KR20190046154 A KR 20190046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packets
protocol
receiving
software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주) 엠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엠플로 filed Critical (주) 엠플로
Priority to KR1020170139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6154A/ko
Publication of KR2019004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MPEG 미디어 전송(MMT; mpeg media transport) 프로토콜의 패킷을 DMA(direct memory access)로 수신하고, 패킷을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장치 드라이버; 패킷을 분석하여 패킷의 도착유무 및 에러사항을 상위의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로 전달하고, 패킷을 운영체제에서 지정한 메모리에 저장하는 패킷 수신 엔진; MMT 프로토콜의 패킷이 저장된 메모리의 위치를 상위의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와 패킷 송신 엔진으로 전달하고, 입출력 제어를 인터페이스하는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DLL; dynamic linking library); 패킷을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상위의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 그리고, 상위의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단말에서 지정한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전송용 패킷으로서 DMA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패킷 송신 엔진;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MMT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함에 따른 패킷 수신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APPARATUS FOR DATA RECEIVER OF 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본 발명은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MMT; mpeg media transport protocol)은 HTML5를 지원하고 패킷화 과정을 단순화하며,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전달체계와 동조하는 차세대 방송방식인 ATSC3.0(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에서 채용하는 프로토콜로서, MPEG-DASH(DASH;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와 연계되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다.
MMT 프로토콜은 캡슐화(encapsulation) 기능, 전달(delivery) 기능 및 제어(control) 기능을 구비하여, 캡슐화된 콘텐츠를 IP 프로토콜에 맞게 패킷화하여 전송하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검색하거나 또는 제어정보 등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ATSC3.0을 지원하는 MMT 프로토콜을 적용한 데이터 수신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9670(엠엠티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ATSC3.0을 지원하는 MMT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데이터의 수신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는, MPEG 미디어 전송(MMT; mpeg media transport) 프로토콜을 통해 외부로부터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에 있어서, MMT 프로토콜의 패킷을 DMA(direct memory access)로 수신하고, 상기 패킷을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장치 드라이버; 상기 패킷을 분석하여 패킷의 도착유무 및 에러사항을 상위의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로 전달하고, 상기 패킷을 운영체제에서 지정한 메모리에 저장하는 패킷 수신 엔진; 상기 MMT 프로토콜의 패킷이 저장된 메모리의 위치를 상기 상위의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와 패킷 송신 엔진으로 전달하고, 입출력 제어를 인터페이스하는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DLL; dynamic linking library); 상기 패킷을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상위의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 그리고, 상기 상위의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단말에서 지정한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전송용 패킷으로서 DMA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패킷 송신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는 패킷을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부분으로서, 패킷의 분석결과와, 상기 패킷의 도착유무 및 에러사항을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3.0을 지원하는 방송통신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는 ASI 인터페이스 규격의 입력 또는 출력을 인터페이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 드라이버, 상기 패킷 수신 엔진, 상기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 상기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 및 상기 패킷 송신 엔진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구조인 하나의 보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는 MMT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함에 따른 패킷 수신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의 출력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의 하드웨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의 출력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의 하드웨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이하,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로 혼용 기재함)는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송신기(10)에서 송신한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MMT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하고, 패킷 형태의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에 포함된 실제 데이터를 획득한다.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는 장치 드라이버(110), 패킷 수신 엔진(120),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130),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140), 그리고 패킷 송신 엔진(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치 드라이버(110)는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송신기(10)가 송출한 MMT 프로토콜의 패킷을 DMA(direct memory access)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패킷을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된 메모리에 저장한다.
패킷 수신 엔진(120)은 장치 드라이버(110)가 수신한 MMT 프로토콜의 패킷을 분석하여, 패킷의 도착유무 및 에러사항을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140)로 전달하고, 패킷을 운영체제에서 지정한 메모리의 특정 위치에 저장한다.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130)(DLL; dynamic linking library)는 MMT 프로토콜의 패킷이 저장된 메모리의 위치를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140)와 패킷 송신 엔진(150)으로 전달하고, 입출력 제어를 인터페이스하는 IOCTL(input output controller)이다.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130)는 비동기 직렬 인터페이스(ASI; asynchronous serial interface) 규격의 입력 또는 출력을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140)는 패킷을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부분으로서 도 2와 같이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출력할 수 있다. 한 예에서,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140)는 패킷 수신 엔진(120)으로부터 전달받은 패킷의 도착유무 및 에러사항과 관련된 데이터를 GUI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140)는 고속의 GUI 처리를 위해 GPU(graphic processor un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140)는 패킷으로부터 실제 데이터를 추출하여 패킷 송신 엔진(150)으로 전달한다.
패킷 송신 엔진(150)은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140)로부터 실제 데이터를 수신하여,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의 최종 목적지인 메모리로 전달하거나 이를 저장장치에 저장한다.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의 최종 목적지는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에 연결된 처리장치일 수 있다.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가 MMT 프로토콜을 통해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송신기(10)에서 송출한 MMT 프로토콜의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패킷을 장치 내부에서 고속으로 전달하고 분석하여 실제 데이터를 추출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는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송신기(10)에서 송출한 패킷을 빠르게 수신하여 저장 및 분석할 수 있고, MMT 프로토콜의 특성에 따라 데이터 수신 신뢰성의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 예에서,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는 방송통신장치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ATSC3.0를 지원하는 방송통신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모듈화 구조를 갖는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a)로 형성될 수 있는데, 모듈화 구조를 갖는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a)는 ASI 인터페이스(131, 132), 데이터 프로세서(141), DMA(112), 그리고 PCI Express 8 Lane(111)을 포함한다.
한 예에서, 모듈화 구조를 갖는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a)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형성되는 하나의 보드로 형성될 수 있고, 전원(172), 클럭 발생기(171), 저장장치(173), 물리계층(161, 162), 플래시 메모리(174) 및 고속 메모리(175)와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ASI 인터페이스(131, 132)는 모듈화 구조를 갖는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a)와 물리계층(161) 간의 ASI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물리계층(161)으로부터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a)에 입력되는 ASI 데이터를 수신하는 ASI 인터페이스(131)와, 데이터 프로세서(141)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ASI 데이터 형식으로서 물리계층(162)에 전달하기 위한 ASI 인터페이스(132)를 포함하여, ASI 데이터인 입출력 제어를 인터페이스한다.
ASI 인터페이스(131, 132)는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의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130)를 구현한 부분이다.
이때, ASI 인터페이스(131)에 연결된 물리계층(161)은 ASI 데이터가 입력되는 부분이고, ASI 인터페이스(132)가 연결된 물리계층(162)은 ASI 데이터가 출력되는 부분이다.
ASI 인터페이스(131)는 물리계층(161)으로부터 전달받은 ASI 입력 데이터로부터 MMT 프로토콜의 패킷이 저장된 메모리의 위치를 추출하여 데이터 프로세서(141)로 전달한다.
데이터 프로세서(141)는 ASI 인터페이스(131, 132)와 DMA(112)에 각각 연결되고,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의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140)를 구현하는 부분으로서, ASI 인터페이스(131)로부터 MMT 프로토콜의 패킷이 저장된 메모리의 위치를 전달받음에 따라, 저장장치(173)에 저장된 MMT 프로토콜의 패킷을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데이터 프로세서(141)는 MMT 프로토콜의 패킷의 분석 결과를 ASI 인터페이스(132)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ASI 인터페이스(132)는 데이터 프로세서(141)에서 출력한 분석 결과를 ASI 출력으로서 물리계층(162)로 전달한다.
이때, 데이터 프로세서(141)는 DMA(112)가 전달받은 패킷의 도착유무 및 에러사항과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DMA(112) 및 PCI Express 8 Lane(111)은 장치 드라이버(110)를 구현한 부분으로서, PCI Express 8 Lane(111)은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송신기(10)로부터 MMT 프로토콜의 패킷을 PCI Express 규격으로 수신하는 부분이고, DMA(112)는 PCI Express 8 Lane(111)에서 수신한 MMT 프로토콜의 패킷을 직접 입력받아 이를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된 메모리에 저장한다.
물리계층(161, 162), 클럭 발생기(171), 전원(172), 저장장치(173), 플래시 메모리(174) 및 고속 메모리(175)는 ASI 인터페이스(131, 132)와 데이터 프로세서(141)인 처리장치, 그리고 PCI Express 8 Lane(111) 및 DMA(112)인 통신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주변 구성으로서, 컴퓨터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구성이므로 본 명세서 상에서는 이의 동작을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도록 하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100)는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송신기(10)에서 송신한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고속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이를 DMA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하되,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인 수신 패킷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GUI로 출력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의 수신 효율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의 분석결과를 GUI를 통해 효율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송신기 100 :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
110 : 장치 드라이버 111 : PCI Express 8 Lane
112 : DMA 120 : 패킷 수신 엔진
130 :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 131 : ASI 인터페이스
140 :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 141 : 데이터 프로세서
150 : 패킷 송신 엔진

Claims (5)

  1. MPEG 미디어 전송(MMT; mpeg media transport) 프로토콜을 통해 외부로부터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MMT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에 있어서,
    MMT 프로토콜의 패킷을 DMA(direct memory access)로 수신하고, 상기 패킷을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장치 드라이버;
    상기 패킷을 분석하여 패킷의 도착유무 및 에러사항을 상위의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로 전달하고, 상기 패킷을 운영체제에서 지정한 메모리에 저장하는 패킷 수신 엔진;
    상기 MMT 프로토콜의 패킷이 저장된 메모리의 위치를 상기 상위의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와 패킷 송신 엔진으로 전달하고, 입출력 제어를 인터페이스하는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DLL; dynamic linking library);
    상기 패킷을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상위의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 그리고,
    상기 상위의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단말에서 지정한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전송용 패킷으로서 DMA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패킷 송신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는 패킷을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부분으로서, 패킷의 분석결과와, 상기 패킷의 도착유무 및 에러사항을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3.0을 지원하는 방송통신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는 ASI 인터페이스 규격의 입력 또는 출력을 인터페이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드라이버, 상기 패킷 수신 엔진, 상기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 상기 소프트웨어 분석 레이어 및 상기 패킷 송신 엔진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구조인 하나의 보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
KR1020170139389A 2017-10-25 2017-10-25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 KR20190046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389A KR20190046154A (ko) 2017-10-25 2017-10-25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389A KR20190046154A (ko) 2017-10-25 2017-10-25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154A true KR20190046154A (ko) 2019-05-07

Family

ID=6665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389A KR20190046154A (ko) 2017-10-25 2017-10-25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61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9670A (ko) 2011-07-13 2013-01-2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엠엠티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및 패킷 수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9670A (ko) 2011-07-13 2013-01-2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엠엠티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및 패킷 수신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7988B2 (ja) 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におけるメディアパケットを受信する受信装置
AU2019222503B2 (en) Distribution and playback of media content
KR102249788B1 (ko) Mmt 및 dash를 이용한 브로드캐스트 및 브로드밴드 하이브리드 서비스
US10979785B2 (en) Media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ously reproducing video and audio on a web browser
KR102149445B1 (ko)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기반의 플렉서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9055346B2 (en) Array of transcoder instances with internet protocol (IP) processing capabilities
US201502565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s to a dash client
US108805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multimedia system
US11588868B2 (en) System and method of streaming content between peer devices in a broadcast environment
KR20160140873A (ko) Mmtp 디캡슐화 버퍼의 시그날링 및 동작
CN102665109A (zh) 一种多媒体视频数据的发送、接收方法及对应装置
CN113285931B (zh) 流媒体的传输方法、流媒体服务器及流媒体系统
US201201665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lerating virtual desktop
JP6561067B2 (ja) Mmtにおけるメディアデータの低遅延消費シグナリング及び動作方法及び装置
KR20190046154A (ko)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수신기
US201402827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3dtv content to variety of receivers
CN105934952A (zh) 用于在多媒体系统中发送和接收媒体数据的方法和装置
CN103716589A (zh) 一种减少nvr实况转发延时的方法和装置
KR20170126732A (ko) 슬레이브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0419281B1 (ko) 위성통신 송신데이터 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6941616B (zh) Cam卡及基于cam卡的组播及修复实现方法、cam卡装置
KR20190046155A (ko) Mpeg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의 데이터 분석기
CN102710512A (zh) 一种跨平台的流发生器及控制方法
CN115942000B (zh) H.264格式的视频流转码方法及装置、设备及介质
KR20220068636A (ko) 초저지연 o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