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692A -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 - Google Patents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692A
KR20190045692A KR1020170138561A KR20170138561A KR20190045692A KR 20190045692 A KR20190045692 A KR 20190045692A KR 1020170138561 A KR1020170138561 A KR 1020170138561A KR 20170138561 A KR20170138561 A KR 20170138561A KR 20190045692 A KR20190045692 A KR 20190045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ing
leakage current
electric vehic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성
Original Assignee
이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성 filed Critical 이진성
Priority to KR1020170138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5692A/ko
Publication of KR20190045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에 관한 것으로, 전기 자동차 충전 커넥터의 터미널 단자들의 표면적 차이를 이용해 누설 전류를 제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Charging gun for a electronic vehicle having a leakage current restricton}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5837호(2012.03.16)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터미널 핀 장착구가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부에서 선단 부분이 노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미널 핀 장착구에 삽입된 적어도 둘 이상의 터미널 핀을 구비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는 누설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어, 비 등에 의해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에 물기가 묻어 누설 전류가 발생할 경우 감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5493호(2016.05.24)에서 평판 형상의 두 도전체간의 면적비가 증가함에 따라 누설전류가 작아지는 것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커넥터의 터미널 단자들의 표면적 차이를 이용해 누설 전류를 제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5837호(2012.03.1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5493호(2016.05.24)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전기 자동차 충전 커넥터의 터미널 단자들의 표면적 차이를 이용해 누설 전류를 제한할 수 있는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이 충전 케이블의 P선에 연결되는 제1터미널 단자와; 충전 케이블의 N선에 연결되되, 상기 제1터미널 단자보다 표면적이 큰 제2터미널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커넥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충전 커넥터가 원통 형상의 제2터미널 단자 내부에 봉 형상의 제1터미널 단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충전 커넥터가 봉 형상의 제1터미널 단자 길이보다 원통 형상의 제2터미널 단자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 커넥터의 터미널 단자들의 표면적 차이를 이용해 누설 전류를 제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개요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의 충전 커넥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개요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건(100)과, 충전 케이블(200)과, 충전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충전건(100)은 사용자가 손으로 휴대하여 전기 자동차(도면 도시 생략)에 장착되는 접속구(Inlet)에 충전건(100)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함으로써 충전장치(300)를 전기 자동차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충전 케이블(200)은 충전건(100)을 충전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 충전 케이블(200)내에는 P선, N선 등이 배선될 수 있다. 이 때, 전기적으로 P선은 (+) 극성, N선은 (-) 극성을 가진다.
상기 충전장치(300)는 전기 자동차의 축전지(도면 도시 생략)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전력 변환기 등을 포함하는 부분으로, 완속 충전장치 또는 급속 충전장치 또는 완속/급속 겸용 충전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가 손으로 휴대하여 전기 자동차(도면 도시 생략)에 장착되는 접속구(Inlet)에 충전건(100)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면, 충전장치(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충전 케이블(200)과 충전건(100)을 통해 전기 자동차로 공급되어 전기 자동차의 축전지를 충전시킨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의 충전 커넥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100)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커넥터(110)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충전 커넥터(110)는 제1터미널 단자(111)와, 제2터미널 단자(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터미널 단자(111)는 충전 케이블의 P선에 연결되는 도전체 이고, 상기 제2터미널 단자(112)는 충전 케이블의 N선에 연결되는 도전체로 상기 제1터미널 단자(111)보다 표면적이 크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상기 충전 커넥터(110)가 원통 형상의 제2터미널 단자(112) 내부에 제2터미널 단자(112)보다 적은 표면적을 가진 봉 형상의 제1터미널 단자(111)가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충전 커넥터(110)가 봉 형상의 제1터미널 단자(111) 길이보다 원통 형상의 제2터미널 단자(112) 길이가 더 길도록 구현되어 표면적 차이를 더 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제1터미널 단자(111)가 외부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터미널 단자(111)가 인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위에서 언급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5493호(2016.05.24)에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전원의 (+)단에 연결되는 도전체에 비해 (-)단에 연결되는 도전체의 면적이 크면 클수록 누설전류가 점점 작아지므로, P선에 연결되는 제1터미널 단자(111)의 표면적에 비해 큰 표면적을 가진 제2터미널 단자(112)를 사용함으로써 전기 자동차 충전건의 누설 전류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인체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 형상의 제1터미널 단자(111) 길이보다 원통 형상의 제2터미널 단자(112) 길이가 더 길도록 구현하여 제1터미널 단자(111)가 외부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터미널 단자(111)가 인체에 접촉되지 않아 더욱 효과적으로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 커넥터의 터미널 단자들의 표면적 차이를 이용해 누설 전류를 제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충전건
110 : 충전 커넥터
111 : 제1터미널 단자
112 : 제2터미널 단자
200 : 충전 케이블
300 : 충전장치

Claims (1)

  1. 충전 케이블의 P선에 연결되는 제1터미널 단자와;
    충전 케이블의 N선에 연결되되, 상기 제1터미널 단자보다 표면적이 큰 제2터미널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커넥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되,
    상기 충전 커넥터가:
    원통 형상의 제2터미널 단자 내부에 봉 형상의 제1터미널 단자가 배치되고, 봉 형상의 제1터미널 단자 길이보다 원통 형상의 제2터미널 단자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
KR1020170138561A 2017-10-24 2017-10-24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 KR20190045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561A KR20190045692A (ko) 2017-10-24 2017-10-24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561A KR20190045692A (ko) 2017-10-24 2017-10-24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692A true KR20190045692A (ko) 2019-05-03

Family

ID=6658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561A KR20190045692A (ko) 2017-10-24 2017-10-24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56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2824A (zh) * 2019-09-12 2021-03-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充电枪、充电桩、充电口、车辆及充电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837A (ko) 2010-09-08 2012-03-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KR101625493B1 (ko) 2015-11-11 2016-05-30 (주)비젼테크 도전체의 배치와 형상에 제한이 없는 감전방지 및 누설전류 제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837A (ko) 2010-09-08 2012-03-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KR101625493B1 (ko) 2015-11-11 2016-05-30 (주)비젼테크 도전체의 배치와 형상에 제한이 없는 감전방지 및 누설전류 제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2824A (zh) * 2019-09-12 2021-03-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充电枪、充电桩、充电口、车辆及充电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0623B2 (en) Car charging plug-in connector
US20180375227A1 (en) Module Connector
US10811821B2 (en) Connector device
JP2016031931A (ja) 電気コネクタ
JP2018085201A5 (ko)
CN104540713B (zh) 具有起动连接点的机动车电源电缆
ATE300105T1 (de) Elektrische steckvorrichtung
KR20190045692A (ko)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건
GB2562589A8 (en) Genderless electric terminals for vehicles
US6319055B1 (en) Jumper cable system
KR102277839B1 (ko) 고전압 커넥터
CN205752753U (zh) 带把手二次锁紧机构的大电流屏蔽连接器
WO2019143450A3 (en) Battery booster cable system
JP2015204135A (ja) コネクタ付ワイヤハーネスの防水構造
EP3683892A3 (en) Electrical connector
FR2913541B1 (fr) Dispositif conducteur pour le contact electrique d'une gaine de blindage d'un conducteur
US11064619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565680B1 (ko) 케이블 인출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CN203218823U (zh) 电缆终端接地固定装置
KR20130043018A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CN208889996U (zh) 一种连接器高压互锁结构
CN219627060U (zh) 一种直出线简易结构连接器
CN211957956U (zh) 一种线鼻子
GB2028009A (en) An electrical lead cable for a plug or connector
CN208369245U (zh) 带有安全锤的车载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