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597A -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597A
KR20190045597A KR1020170138373A KR20170138373A KR20190045597A KR 20190045597 A KR20190045597 A KR 20190045597A KR 1020170138373 A KR1020170138373 A KR 1020170138373A KR 20170138373 A KR20170138373 A KR 20170138373A KR 20190045597 A KR20190045597 A KR 20190045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hicken
led
contro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범
이윤성
정성민
문일영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8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5597A/ko
Publication of KR2019004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 H05B33/085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는, 양계장 내에 구비되어 조광을 수행하는 LED조광모듈 및 상기 양계장 내의 사육조건을 판단하여 상기 LED조광모듈의 광도 변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Lighting Module Controlling Apparatus for Chicken Farm}
본 발명은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양계장에 구비된 조광모듈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식품으로서 닭의 수요가 크게 증가한 추세이며, 앞으로도 그 수요는 증가하게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축산업 농가에서는 지정된 면적에서 닭을 사육하여 생산량을 크게 증가시키기 위한 양계장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상기 양계장에서는 닭의 사육 환경 조성 목적 및 작업자들의 편의성을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조명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조명은 시신경이 예민한 닭에게 큰 스트레스 요인이 된다.
특히 종래 양계장에 설치된 조명은 단순 점등/소등 기능만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닭이 쉽게 놀라거나 잠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닭의 품질 자체가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양계장에서 사육되는 닭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게 조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이를 통해 우수한 품질의 닭을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는, 양계장 내에 구비되어 조광을 수행하는 LED조광모듈 및 상기 양계장 내의 사육조건을 판단하여 상기 LED조광모듈의 광도 변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고, 상기 양계장 내에서 사육되는 닭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닭의 중량 범위에 따라 상기 LED조광모듈의 광도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닭의 나이에 따라 상기 LED조광모듈의 광도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고, 상기 양계장 내에서 사육되는 닭에 모래샤워를 수행하는 모래투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조광모듈을 점등시킬 경우, 목표 광량까지 광량을 점차 증가시키며, 상기 LED조광모듈을 소등시킬 경우, 광량이 점차 감소되도록 하여 소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어가 용이한 조광모듈을 통해 상기 양계장 내의 사육조건을 판단하여 광도 변화를 제어함에 따라 닭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복수 개의 조광모듈이 구비될 경우에도 용이하게 개별 제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스트레스 저하를 통해 우수한 품질의 닭을 유통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광모듈 제어장치가 구비된 양계장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한 조광모듈의 제어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광모듈 제어장치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광모듈 제어장치가 구비된 양계장(H)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광모듈 제어장치는 양계장(H) 내에 구비되어 조광을 수행하는 LED조광모듈(50)과, 상기 양계장(H) 내의 사육조건을 판단하여 상기 LED조광모듈(50)의 광도 변화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양계장(H)에는 닭이 사육되는 복수 개의 사육부스(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LED조광모듈(50)은 복수의 상기 사육부스(10)에 조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계장(H)의 천장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조광모듈(5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나, 단일 개만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하나의 LED조광모듈(50)에는 복수의 LED가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LED조광모듈(50)과 연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LED조광모듈(50)의 제어를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에 의한 조광모듈의 제어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LED조광모듈(50)의 ON/OFF 시간 제어, 광량/광도 제어, 광량/광도 변화 제어, 점멸 간격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양계장(H)에 별도의 음악재생유닛이 설치된 경우 음악의 재생/재생 중단 등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종래의 경우 상기 제어부(100)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조명의 ON/OFF가 갑작스럽게 전환되어 사육하는 닭들이 큰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스트레스로 인한 상품성 저하, 달걀 생산량 저하 등 축산업 농가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어부(100)를 통한 LED조광모듈(50)의 제어에 의해 조명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어 상품성 제고, 달걀 생산량 증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등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광모듈 제어장치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의 예시가 도시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소프트웨어에는 메인화면 및 제어화면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화면에서는 현재 시각이 표시되고, 각 LED조광모듈(50)의 켜짐시간 및 꺼짐시간을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메인화면에서는 각 LED조광모듈(50)의 광량/광도, 현재시간의 설정, 현재 각 LED조광모듈(50)의 동작 상황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각 구성요소 외에도 상기 제어부(100)와 연동되고, 상기 양계장 내에서 사육되는 닭(C)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유닛(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측정유닛(20)은 사육부스(10)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사육되는 닭(C)의 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닭(C)의 중량 범위에 따라 상기 LED조광모듈(50)의 광도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닭(C)의 중량 기준을 일정 범위에 따라 복수 구간으로 나누고, 소정의 사육부스(10) 내에 사육되는 닭(C)의 중량이 특정 범위에 해당할 경우, 해당 조건에 부합되도록 상기 LED조광모듈(50)에 구비된 LED(5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중량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LED조광모듈(50)의 제어 조건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닭(C)의 중량 외에도 나이 등 닭(C)의 다양한 개별 조건에 따라 상기 LED조광모듈(50)의 광도 변화를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의 각 구성요소 외에도 상기 제어부(100)와 연동되고, 상기 양계장 내에서 사육되는 닭(C)에 모래샤워를 수행하는 모래투하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래투하유닛(30) 역시 전술한 LED조명모듈(50)과 같이 상기 닭(C)의 특정 조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사육부스(10) 내의 천장부에 구비되어 닭(C)의 상부로부터 모래를 투하할 수 있다. 이는 닭(C)의 습성 상 모래샤워를 즐기는 것을 이용하여, 닭(C)의 스트레스를 한층 경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의 각 구성요소 외에도 상기 제어부(100)와 연동되고, 상기 양계장 내에서 사육되는 닭(C)을 촬영하는 카메라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유닛(40)은 사육부스(10) 내의 닭(C)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별도의 동작감지유닛(45)과 연결되어 상기 닭(C)의 행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닭(C)이 특정 동작 또는 행위를 만족할 경우, 상기 동작감지유닛(45)은 해당 정보를 신호화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조명모듈(50)을 다양한 형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사육부스
20: 중량측정유닛
30: 모래투하유닛
40: 카메라유닛
45: 동작감지유닛
50: LED조명모듈
52: LED
100: 제어부
H: 양계장

Claims (5)

  1. 양계장 내에 구비되어 조광을 수행하는 LED조광모듈; 및
    상기 양계장 내의 사육조건을 판단하여 상기 LED조광모듈의 광도 변화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고, 상기 양계장 내에서 사육되는 닭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닭의 중량 범위에 따라 상기 LED조광모듈의 광도 변화를 제어하는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닭의 나이에 따라 상기 LED조광모듈의 광도 변화를 제어하는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고, 상기 양계장 내에서 사육되는 닭에 모래샤워를 수행하는 모래투하유닛을 더 포함하는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조광모듈을 점등시킬 경우, 목표 광량까지 광량을 점차 증가시키며,
    상기 LED조광모듈을 소등시킬 경우, 광량이 점차 감소되도록 하여 소등을 수행하는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
KR1020170138373A 2017-10-24 2017-10-24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 KR20190045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373A KR20190045597A (ko) 2017-10-24 2017-10-24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373A KR20190045597A (ko) 2017-10-24 2017-10-24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597A true KR20190045597A (ko) 2019-05-03

Family

ID=6658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373A KR20190045597A (ko) 2017-10-24 2017-10-24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55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892A (ko) * 2021-01-12 2022-07-19 (주)오리오르 양계장 내 환경정보를 기초로한 점증 점등방법 및 장치
US11937581B2 (en) 2022-08-01 2024-03-26 Peco Foods, Inc. Lighting system for poultry hous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892A (ko) * 2021-01-12 2022-07-19 (주)오리오르 양계장 내 환경정보를 기초로한 점증 점등방법 및 장치
US11937581B2 (en) 2022-08-01 2024-03-26 Peco Foods, Inc. Lighting system for poultry hou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3280C (en) A method of livestock rearing and a livestock shed
KR1026490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9479356B (zh) 通用智能照明网关
US10490118B2 (en) Illumination and display control strategies, to mitigate interference of illumination light output with displayed image light output
US10237939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light intensity in a gateway based lighting system
FR2989247A3 (fr) Un pilote de del capable de controler couleur/temperature de couleur avec une porteuse d'alimentation
CN103267246B (zh) 绿色和蓝色led灯交替布置的鸡舍照明方法及系统
KR20190045597A (ko) 양계장의 조광모듈 제어장치
KR20080072229A (ko) 경관 조명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및 그에 따른조명장치
CN109479352A (zh) 智能光线调光
EP3539357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light intensity in a gateway based lighting system
CN207184871U (zh) 养殖照明控制系统
US20230354788A1 (en) Aquarium system and methods
CN203240410U (zh) 一种绿色和蓝色led灯交替布置的鸡舍照明系统
KR20150053510A (ko) 교실 조명 제어 시스템
CN108235514A (zh) 一种分布式广场灯光控制系统及方法
US20230180369A1 (en) Immersive outdoor lighting emulation
CN113056191B (zh) 用于控制照明元件的控制器
US20130076261A1 (en) Programmable light-box
CH709418A1 (de) Leuchte.
CN105307319B (zh) 照明装置、照明系统、以及照明装置的控制方法
KR102238981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양계장의 조명제어 장치
CN111295930B (zh) 照射环境
JP2020018246A (ja) 家禽用照明システム
JP2020167112A (ja) 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