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996A - 태양광 발전소 고객관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소 고객관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996A
KR20190044996A KR1020170137726A KR20170137726A KR20190044996A KR 20190044996 A KR20190044996 A KR 20190044996A KR 1020170137726 A KR1020170137726 A KR 1020170137726A KR 20170137726 A KR20170137726 A KR 20170137726A KR 20190044996 A KR20190044996 A KR 20190044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solar
pow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일
Original Assignee
권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일 filed Critical 권순일
Priority to KR1020170137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4996A/ko
Publication of KR2019004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패널을 고객에게 분양하여 운용시 고객에게 분양된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 및 수익 등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통지하며 발전소, 고객, 회계 관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소 고객관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소 고객관계관리 시스템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 OF SOLAR POWER PLANT}
본 발명은 고객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태양광 발전 패널을 고객에게 분양하여 운용시 고객에게 분양된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 및 수익 등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통지하며 발전소, 고객, 회계 관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소 고객관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연료의 고갈과 환경오염 문제 등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되면서 신재생에너지의 활발한 보급 확대 정책과 설비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태양전지 패널을 이용한 발전 기술에 대한 관심과 연구·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발전은 태양이 비추는 지역이라면 장소에 제한을 비교적 적으며, 소형으로부터 대형의 발전시설까지 운영자가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제작 가능하여 최근 많은 발전사업자뿐 아니라 개인까지 이러한 태양광 발전 패널을 설치, 운용중에 있으며 생산전력 내지는 자체적으로 사용하고 남은 전력을 한국전력공사 또는 한국전력거래소 및 RPS 의무대상기업에 판매하여 수익을 얻기도 한다.
특히 태양광 발전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근래에는 발전량이 양호하다고 추정되는 임야에 일정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시공한 상태에서 태양광 패널별로 분양하는 방식으로 발전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일반인도 발전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패널 분양사업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일반인이 이러한 태양광 패널 분양방식으로 발전사업에 참여함에 있어, 자신이 분양받은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이라던가 수익 등을 실시간으로 알고 싶어하지만 현재까지 사업참여자와 발전소 사이의 통신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으므로 발전소 시공 주체인 발전 사업자를 경유하여 이러한 정보를 받을 수밖에 없는 실정으로 사업참여자는 자신이 투자한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 및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전사업자입장에서도 대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운용·관리에 따른 많은 인적 물적 투입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다수의 고객 관리와 함께 각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즉각적으로 통지하기 위한 업무상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01863호 (2012.11.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 발전 패널을 고객에게 분양하여 운용시 고객에게 분양된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 및 수익 등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통지하며 발전소, 고객, 회계 관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소 고객관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지역별로 설치된 다수의 태양광 패널을 고객별로 분양하여 운용되는 태양광 발전소의 고객관리시스템으로서, 설치된 태양광 패널에 식별번호를 부여하되, 분양된 태양광 패널에 대하여 연락처를 포함한 회원정보를 설정 및 관리하는 회원관리부; 설치된 각 태양광 패널로부터 생산되는 전력량을 수집하는 정보수집부와, 생산된 전력량을 시간순으로 정리하며 발전 추이를 정리하되, 인접하여 설치된 각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을 상호비교하여 제1비교정보를 생산하는 제1비교부와, 설정된 동일지역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들의 발전량을 상호비교하여 제2비교정보를 생산하는 제2비교부와, 상기 제1비교정보 및 제2비교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수치 이상 차이가 감지됨에 따른 이상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비한 모니터링부; 분양된 태양광 패널의 생산전력에 따른 회원별 수익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회원별 수익을 합산한 발전비용에 따른 계산서를 지정된 기간별로 생성하는 발행부를 구비하는 회계관리부; 분양된 태양광 패널의 생산 전력량과 산출된 수익을 대응하는 회원에게 전송하는 제1정보전달부와, 상기 판단부의 이상상태 판단시 상기 제1비교정보 및 제2비교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제2정보전달부와, 상기 계산서를 지정된 전력거래기관으로 발행하는 제3정보전달부를 구비하는 통신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다수의 지역에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 및 운용하며 회원들에게 소정의 발전단위별 태양광 패널을 분양하여 운용시 회원들이 각자 분양받은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 및 수익 등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발전량의 모니터링 및 비교를 통해 신속한 이상상태 파악 및 조치가 이루어질 뿐 아니라 발전량에 따른 계산서 및 비용처리를 자동화함으로 발전소, 고객, 회계 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태양광 발전소 고객관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로서, 본 발명은 다수 지역에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 운용함에 있어 소정의 발전단위에 따른 태양광 패널을 회원들에게 분양하여 발전량에 따른 수익을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소의 현황관리뿐 아니라 태양광 패널을 분양받은 회원이 자신이 분양받은 태양광 패널에 대한 동작상태 및 수익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면서, 발전에 따른 수익의 회계관리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앞서 언급한 취지에 따라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회원관리부(110)와, 모니터링부(120)와, 회계관리부(130)와, 통신부(140)의 주요구성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회원관리부(110)는 기본적으로 태양광 패널을 분양받은 회원의 관리를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설치 및 운용중인 모든 태양광 패널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게 되며, 분양된 태양광 패널에 대한 회원정보를 회원의 신상정보와 연락처를 포함하여 입력하여 관리한다.
이때 연락처는 실시간 또는 정기현황 보고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이메일이나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번호 내지는 SNS 아이디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발전소 설치 및 운용주체가 태양광 패널 및 이의 부속기기의 모두 제작하는 업체가 아닌 이상 발전소에 공급되는 각종 장비, 즉 가장 중요한 태양광 패널을 비롯하여 이의 지지프레임, 인버터, EMS 등의 장비를 공급 또는 시공한 업체도 될 수 있다. 이러한 관련업체는 태양광 패널을 분양받은 고객은 아니지만 태양광 발전소의 운용 중 이상 상태 발생이나 계획 또는 임시정비를 위해 필요한 주체가 되므로 회원으로 함께 관리함으로 이상상태 발생시 신속한 통지 및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120)는 설치, 운용중인 태양광 패널의 동작상태 및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정보수집부(121)와, 제1비교부(122)와, 제2비교부(123)와, 판단부(124)의 세부구성을 구비한다.
상기 정보수집부(121)는 데이터 크롤링을 통해 설치된 각 태양광 패널로부터 생산되는 전력량을 수집하는 구성으로, 실질적으로 각 태양광 패널의 전력전과 연계하여 식별번호가 부여된 각 태양광 패널별 전력 생산량과 분양받은 회원별 생산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게 된다.
상기 제1비교부(122)는 상기 정보수집부(121)를 통해 수집되는 전력량을 시간순으로 정리하며 발전 추이를 정리하되, 특히 인접하여 설치된 각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을 상호비교하여 제1비교정보를 생산하게 된다. 즉 동일한 지역에 설치된 인접한 태양광 패널의 경우 실질적으로 태양의 고도나 입사량이 동일하므로 태양광 패널 및 여타의 환경요인이 다르지 않다는 전제로 실시간 발전량과 그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 추이가 동일한 것이 정상이다. 통상 태양광 발전소 설립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환경요인에 대한 조치가 충분히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1비교정보를 통해 특정 태양광 패널의 정상동작 여부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한 태양광 패널이라 함은 중앙에 위치한 패널은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의 모든 패널이 될 수 있고, 모서리 또는 가장자리에 위치한 패널에서는 패널이 존재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모든 패널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비교부(123)는 설정된 동일 또는 인접지역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들의 발전량을 상호비교하여 제2비교정보를 생산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1비교부(122)와 유사하나 동일지역에서 인접한 태양광 패널 사이의 발전량을 비교하는 것이 아닌 동일구역의 인접하지 않은 태양광 패널이나 인접 지역에 위치한 태양광 패널에 대한 발전량을 비교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즉 상기 제1비교정보를 통해 인접한 태양광 패널과 설정치 이상의 발전량 차이가 발생시 패널 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으나 구름이나 외부의 물체 등에 의한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으므로 이를 검증하기 위해 동일한 인접한 지역으로 태양 고도 및 입사량이 동일하거나 근사한 인접지역의 태양광 패널과도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상기 판단부(124)는 앞서 일부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비교정보 및 제2비교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수치 이상 차이가 감지됨에 따른 이상상태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먼저, 제1비교정보를 통해 인접한 태양광 패널에 대해 설정된 값 이상의 발전량의 차이, 실질적으로 발전량이 저하된 태양광 패널에 대하여 설정된 시간 모니터링하여 발전량의 회복이 없거나 더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시, 제2비교정보와 비교하며 동일한 수준으로 발전량이 저하되는 패널이 또 존재하는지 등을 확인 후 최종적으로 이상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회계관리부(130)는 본 발명의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전력이 통상 직접 사용보다는 한국전력공사 또는 한국전력거래소 및 RPS 의무대상기업에 판매하는 식으로 수익을 얻는데 사용됨에 따라 수익에 따른 회계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산출부와, 발행부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산출부(131)는 분양된 태양광 패널의 생산전력에 따른 회원별 수익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통상 전력거래소 태양광 현물시장의 거래가격을 입수하거나 계약된 가격을 반영하여 회원별로 분양받은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에 따른 수익을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행부(132)는 회원별 수익을 합산한 발전비용에 따른 계산서를 지정된 기간별로 생성하는 구성으로, 전력거래소를 비롯하여 태양광 발전소와 계약된 전력거래기관 측에서 전력을 구매함에 따른 세금계산서를 자동으로 발행하도록 한다.
상기 통신부(140)는 상용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과 연계하여 발전소 관리자 내지는 회원에게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메일이나 SMS, MMS뿐 아니라 회원이 설정한 각 개인의 SNS 상의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제1정보전달부(141)와, 제2정보전달부(142)와, 제3정보전달부(143)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1정보전달부(141)는 분양된 태양광 패널의 생산 전력량과 산출된 수익을 대응하는 회원에게 전송하는 구성으로, 각 회원은 필요에 따라 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신이 분양받은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 및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고, 설정된 기간마다 정기적으로 발송되는 형태로 정보전달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정보전달부(142)는 상기 판단부(124)의 이상상태 판단시 상기 제1비교정보 및 제2비교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구성으로, 실질적으로 발전소의 운용 주체의 관리자뿐 아니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회원관리부에서는 태양광 패널을 분양받은 고객 외에도 회원으로 등록 관리하게 됨에 따라 문제가 발생한 태양광 패널의 정비에 대한 정비가 가능한 관련업체에게도 동시에 송부할 수 있다.
상기 제3정보전달부(143)는 상기 계산서를 지정된 전력거래기관으로 발행하는 구성으로 전력거래소 등 계약된 전력거래기관 측으로 상기 발행부(132)를 통해 생성된 세금계산서를 보내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회원관리부 120: 모니터링부
121: 정보수집부 122: 제1비교부
123: 제2비교부 124: 판단부
130: 회계관리부 131: 산출부
132: 발행부 140: 통신부
141: 제1정보전달부 142: 제2정보전달부
143: 제3정보전달부

Claims (1)

  1. 지역별로 설치된 다수의 태양광 패널을 고객별로 분양하여 운용되는 태양광 발전소의 고객관리시스템으로서,
    설치된 태양광 패널에 식별번호를 부여하되, 분양된 태양광 패널에 대하여 연락처를 포함한 회원정보를 설정 및 관리하는 회원관리부(110);
    설치된 각 태양광 패널로부터 생산되는 전력량을 수집하는 정보수집부(121)와, 생산된 전력량을 시간순으로 정리하며 발전 추이를 정리하되, 인접하여 설치된 각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을 상호비교하여 제1비교정보를 생산하는 제1비교부(122)와, 설정된 동일지역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들의 발전량을 상호비교하여 제2비교정보를 생산하는 제2비교부(123)와, 상기 제1비교정보 및 제2비교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수치 이상 차이가 감지됨에 따른 이상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124)를 구비한 모니터링부(120);
    분양된 태양광 패널의 생산전력에 따른 회원별 수익을 산출하는 산출부(131)와, 회원별 수익을 합산한 발전비용에 따른 계산서를 지정된 기간별로 생성하는 발행부(132)를 구비하는 회계관리부(130);
    분양된 태양광 패널의 생산 전력량과 산출된 수익을 대응하는 회원에게 전송하는 제1정보전달부(141)와, 상기 판단부(124)의 이상상태 판단시 상기 제1비교정보 및 제2비교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제2정보전달부(142)와, 상기 계산서를 지정된 전력거래기관으로 발행하는 제3정보전달부(143)를 구비하는 통신부(1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소 고객관계관리 시스템.
KR1020170137726A 2017-10-23 2017-10-23 태양광 발전소 고객관계관리 시스템 KR20190044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726A KR20190044996A (ko) 2017-10-23 2017-10-23 태양광 발전소 고객관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726A KR20190044996A (ko) 2017-10-23 2017-10-23 태양광 발전소 고객관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996A true KR20190044996A (ko) 2019-05-02

Family

ID=6658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726A KR20190044996A (ko) 2017-10-23 2017-10-23 태양광 발전소 고객관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49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079B1 (ko) 2021-08-02 2023-01-17 주식회사 참존 타트체리, 비트뿌리, 표고버섯 및 송이버섯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863B1 (ko) 2012-07-17 2012-11-15 곽기영 단위 모듈 감시가 가능한 태양광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863B1 (ko) 2012-07-17 2012-11-15 곽기영 단위 모듈 감시가 가능한 태양광 진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079B1 (ko) 2021-08-02 2023-01-17 주식회사 참존 타트체리, 비트뿌리, 표고버섯 및 송이버섯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7976B2 (en) Utility console for controlling energy resources
US77789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operating an enhanced distributed energy network or virtual power plant
US20110130982A1 (en) Monitoring System for Power Grid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Devices
EP247395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electricity delivery and commerce
JP2013093430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方法
CN108460467A (zh) 一种光伏运维管理系统
JP2005185016A (ja) 電力情報処理システム
Perez-Arriaga et al. A utility approach to accelerate universal electricity access in less developed countries: A regulatory proposal
KR20190044996A (ko) 태양광 발전소 고객관계관리 시스템
JP2009142023A (ja) 広域電力データ総合管理システム及び広域電力データ総合管理プログラム
KR20230027730A (ko) 전력 거래 중개 플랫폼 및 방법
KR102056290B1 (ko) 태양광 발전설비 유지관리 시스템
Antoniadou-Plytaria et al. Energy scheduling strategies for Grid-connected microgrids: A case study on chalmers campus
JP4125073B2 (ja) 小規模発電とりまとめ方法
KR20180083605A (ko) 마이크로그리드 간 가상 전력 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에이전트 장치
KR102558631B1 (ko) 머신러닝을 이용한 에너지 부하예측 시스템 기반 전력거래 시스템
JP2019197351A (ja) 太陽光発電設備の分譲売電管理システム
KR20200126816A (ko) Ess 연계형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스템 원격 관리 방법 및 장치
Edmunds et al. Flexibility metrics to support grid planning and operations
KR101639159B1 (ko) 비상발전기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발전소의 최적운용방법
Thompson et al. Getting in front of the meter: Finding value in sharing
Ahmed et al. Techno-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a Microgrid in Downtown Cleveland, Ohio
KR20160103665A (ko)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운영 방법 및 서버
JP2012234335A (ja) 太陽光発電設備の運用管理システム
Voss et al. Service & service architecture, yield monitoring, optimization and reporting for commercial scale solar utility instal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