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811A -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 Google Patents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811A
KR20190044811A KR1020170137189A KR20170137189A KR20190044811A KR 20190044811 A KR20190044811 A KR 20190044811A KR 1020170137189 A KR1020170137189 A KR 1020170137189A KR 20170137189 A KR20170137189 A KR 20170137189A KR 20190044811 A KR20190044811 A KR 20190044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present
user
cleaning
grip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027B1 (ko
Inventor
하지영
Original Assignee
하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지영 filed Critical 하지영
Priority to KR1020170137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0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3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6Grips or handles having a nonslip 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유아 등의 미취학 아동이나 반려동물의 칫솔질을 도와주는 경우에 사용자가 칫솔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가락 등이 접하는 위치를 고려하여 인체공학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치아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AN TOOTH BRUSH HAVING TONGUE CLEAN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 등의 미취학 아동의 칫솔질을 도와주는 경우에 사용자가 칫솔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가락 등이 접하는 위치를 고려하여 인체공학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치아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치아 구조는 상호 교합되는 상, 하부 치열로 이루어져 있고, 이 상, 하부 치열은 모두 좌우로 나란한 배열을 이루는 여러 개의 치아들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활동을 위해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고, 섭취된 음식물은 구강 내에서 씹는 과정을 통해 침과 혼합되어 소화기관으로 이송된다.
입안으로 들어온 음식물은 턱의 상하 운동에 따라 서로 마주보게 배열된 치열이 서로 맞닿아 잘게 분쇄된다.
이러한 과정 중 필연적으로 음식물 조각은 치아와 치아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에 끼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틈새에 끼인 음식물의 제거가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구강내의 세균에 의해 분해되며 부패가 이루어지고 각종 구강질환, 풍취 또는 구취 등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치아를 닦는 칫솔이 안출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 칫솔 모양은 일면에 치아 세정을 위한 다수의 칫솔모가 고정되어 있는 헤드 부분과 이러한 헤드 부분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파지를 가능하게 되어 있는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칫솔의 사용은 치약이 묻은 칫솔모를 구강 내의 치열을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시켜 틈새의 음식물을 제거하고 치아를 닦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칫솔은 칫솔모가 식모되는 헤드부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종래에는 손잡이부의 무늬나 모양만을 중요시 할 뿐 파지 시 손가락과 손바닥이 접하는 부분의 형상이나 편리함 등은 전혀 고려되지 않아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주로 손목에 힘을 의지하기 때문에 손목에 무리를 주게 된다.
또한 양치시 칫솔이 손가락으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발생되고, 특히 치약 거품이 손잡이부에 묻을 시에는 미끄럼이 더욱 심해 환자나 노약자 및 어린이의 경우 파지하는 힘이 약해 효과적인 양치를 할 수 없으며, 잇몸이나 손목에 부상을 입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이었다.
특히,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아직 양치질이 서툴고 어색할 뿐만 아니라, 제대로 습관이 이루어지지 않은 칫솔질은 오히려 치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유아들의 경우에 부모의 도움으로 양치질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칫솔은 모양이 일정한 두께를 가진 막대 형상을 갖는 모양으로 일률적인 뿐만 아니라, 유아용 칫솔 또는 반려 동물용 칫솔의 경우에 손잡이부의 직경이 작아서 파지가 어려워 효과적인 세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미취학 아동 또는 반려 동물용 칫솔의 치아 세정이 용이하면서도 세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칫솔에 대한 기술적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08614호 (1994.12.26)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5382호 (2001.03.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칫솔의 파지 시 손가락 등이 접하는 위치를 고려하여 인체공학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양치 시 최적의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아 등의 미취학 아동을 칫솔질을 도와주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치아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 세정을 위하여 양치를 직접 도와줘야 하는 반려 동물용에 적용할 수 있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은,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헤드부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판상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사용자의 검지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함몰된 제1 파지부;
상기 사용자의 엄지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함몰된 제2 파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 부위가 밀착되는 제3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2 파지부는, 사용자의 엄지의 마디 부위가 밀착되는 만곡부; 및 사용자의 엄지면이 밀착되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1 파지부, 제2 파지부 및 제3 파지부의 적어도 하나에는 밀림 방지를 위한 논 슬립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패드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패드는 고무, 우레탄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중심으로 5 내지 30도 범위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두께는 상기 헤드부 두께에 대하여 1: 0.5 ~ 3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1 파지부, 제2 파지부 및 제3 파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양면에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 여부와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파지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는 사선으로 식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은칫솔의 파지 시 손가락 등이 접하는 위치를 고려하여 인체공학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양치 시 최적의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아 등의 미취학 아동을 칫솔질을 도와주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치아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은 치아 세정을 위하여 양치를 직접 도와줘야 하는 반려 동물용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측면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도 4의 A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B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측면 사시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측면 사시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칫솔은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칫솔은 모양이 일정한 두께를 가진 막대 형상을 갖는 모양으로 일률적인 뿐만 아니라, 유아용 칫솔 또는 반려 동물용 칫솔의 경우에 손잡이부의 직경이 작아서 파지가 어려워 효과적인 세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칫솔을 칫솔의 파지 시 손가락 등이 접하는 위치를 고려하여 인체공학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양치 시 최적의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아 등의 미취학 아동을 칫솔질을 도와주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여 전술한 문제점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배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칫솔(100)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200)와 손잡이부(2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칫솔모(150)가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부(200)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원형 형상을 갖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의 검지, 엄지 및 손바닥 부위가 밀착되는 제1 파지부(210), 제2 파지부(220) 및 제 3 파지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300)는 사선모양의 칫솔모(150)가 식모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파지부(210), 제2 파지부(220) 및 제 3 파지부(230)는 밀림 방지를 위한 논 슬립 패드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우레탄 및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미끄럼 없이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파지부(210)는 사용자의 검지가 밀착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만곡지게 함몰된 함몰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파지부(220)는 사용자의 엄지가 세정 칫솔(100)의 일측을 감싸면서 밀착될 수 있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면서 함몰된 원형의 함몰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제3 파지부(230)는 사용자의 손바닥 부위가 밀착될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세정칫솔(100)의 일측에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파지부(210), 제2 파지부(220) 및 제 3 파지부(230)는 세정 칫솔(100)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칫솔모의 방향을 변경하여 용이하게 동일한 방법으로 파지하여 세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측면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4의 A 부분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4의 B 부분의 부분 확대도가 각각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칫솔(100)은 손잡이부(200)에 대해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헤드부(300)가 대략 15도 정도 절곡(θ)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아동의 치아를 세정시켜 주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세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칫솔모(150)는 헤드부(3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치아의 형상 고려 및 사용자가 아동의 치아를 세정하는 과정에서 세정 칫솔(100)의 전진이 보다 용이하도록 사선으로 식모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칫솔(100)은 유아의 치아를 세정시켜주는 사용자의 용이성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칫솔모(150)는 코어 및 시스로 이루어진 필라멘트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칫솔모(15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주변의 칫솔모보다 내부의 칫솔모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시킨 함몰 구조이거나 길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일부 칫솔모의 형상을 대구치의 세정에 용이하도록 원형으로 형성시킬 수 도 있다.
제1 파지부(210), 제2 파지부(220) 및 제 3 파지부(230)는 논슬립 패드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는 다수의 요철(24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요철(240)이 제1 파지부(210), 제2 파지부(220) 및 제 3 파지부(230)에서 검지, 엄지 또는 손바닥의 일부가 접촉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파지부(210), 제2 파지부(220) 및 제 3 파지부(230) 전체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정 칫솔(100)을 파지하고 세정하는 세정하는 과정에서 미끄러지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턴 또는 홈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사용상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는 유아의 치아를 세정하기 위하여, 세정 칫솔(100)의 손잡이부(200)을 파지하되, 헤드부(300)의 칫솔모(150)가 손바닥면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사용자는 엄지를 제 2 파지부(220)에 밀착시키고, 손잡이부(200)를 감싸 쥐는 형상을 파지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손바닥 부위는 자연스럽게 제 3 파지부(230)에 밀착되면서 검지는 제 1 파지부(210)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의 엄지면은 특히, 함몰부(221)에 밀착 고정되게 되어 세정 칫솔(100)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300)는 손잡이부(200)에 대해 대략 15도로 절곡되어 있고 칫솔모(150)는 세정 칫솔(100)의 전진이 보다 용이하도록 헤드부(300)의 바닥면에 대해 사선으로 식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세정 칫솔(100)을 파지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세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칫솔모(150)를 상기 손바닥면에 대해 내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시켜서 파지 하더라도 세정 치솔(100)의 양면에 동일하게 제1 파지부(210), 제2 파지부(220) 및 제 3 파지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불편함 없이 용이하게 파지하여 세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사용상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엄지면이 세정 칫솔(100)의 손잡이부(200)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2 파지부(220)의 함몰부(230)에 밀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의 일부가 제1 파지부(210)의 일부를 감싸면서 세정 칫솔(100)의 반대면의 제2 파지부(220)의 함몰부(230)에 사용자의 검지면이 밀착되는 형상으로 파지되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측면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칫솔(500)은 손잡이부(510)의 두께(T)가 헤드부(520)의 두께(t)보다 대략 1.5배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세정 칫솔(100)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칫솔(500)은 손잡이부(510)가 헤드부(520)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더욱 용이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칫솔은 미취학 아동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인에 의한 세정이 필요한 반려동물에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500: 세정 칫솔 150: 칫솔모
200, 510: 손잡이부 210: 제 1 파지부
211: 만곡부 220: 제 2 파지부
221: 함몰부 230: 제 3 파지부
240: 요철 300, 520: 헤드부

Claims (9)

  1.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헤드부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사용자의 검지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함몰된 제1 파지부;
    상기 사용자의 엄지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함몰된 제2 파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 부위가 밀착되는 제3 파지부;를 포함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지부는,
    사용자의 엄지의 마디 부위가 밀착되는 만곡부; 및
    사용자의 엄지면이 밀착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 제2 파지부 및 제3 파지부의 적어도 하나에는 밀림 방지를 위한 논 슬립 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고무, 우레탄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중심으로 5 내지 30도 범위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두께는 상기 헤드부 두께에 대하여 1: 0.5 ~ 3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 제2 파지부 및 제3 파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양면에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는 사선으로 식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KR1020170137189A 2017-10-23 2017-10-23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KR102032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189A KR102032027B1 (ko) 2017-10-23 2017-10-23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189A KR102032027B1 (ko) 2017-10-23 2017-10-23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811A true KR20190044811A (ko) 2019-05-02
KR102032027B1 KR102032027B1 (ko) 2019-10-14

Family

ID=6658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189A KR102032027B1 (ko) 2017-10-23 2017-10-23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02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614Y1 (ko) 1985-12-18 1994-12-26 코로네트베르케 하인리히 슐러프 게엠베하 칫솔
KR200225382Y1 (ko) 2000-11-10 2001-06-01 김리선 옥분말이 혼합 성형된 칫솔
KR200310383Y1 (ko) * 2003-01-03 2003-04-21 곽대성 파지가 용이한 칫솔
KR200324769Y1 (ko) * 2003-05-23 2003-08-27 박진묵 치솔모의 경사배열 구조를 갖는 치솔
JP2009000514A (ja) * 2007-05-18 2009-01-08 Junko Iwami 歯ブラシ
KR20090106182A (ko) * 2008-04-04 2009-10-08 장영근 칫솔
CN205612044U (zh) * 2016-03-24 2016-10-05 镇江洁友刷业有限公司 一种安全型趣味儿童牙刷
KR20170012186A (ko) * 2014-05-21 2017-02-02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614Y1 (ko) 1985-12-18 1994-12-26 코로네트베르케 하인리히 슐러프 게엠베하 칫솔
KR200225382Y1 (ko) 2000-11-10 2001-06-01 김리선 옥분말이 혼합 성형된 칫솔
KR200310383Y1 (ko) * 2003-01-03 2003-04-21 곽대성 파지가 용이한 칫솔
KR200324769Y1 (ko) * 2003-05-23 2003-08-27 박진묵 치솔모의 경사배열 구조를 갖는 치솔
JP2009000514A (ja) * 2007-05-18 2009-01-08 Junko Iwami 歯ブラシ
KR20090106182A (ko) * 2008-04-04 2009-10-08 장영근 칫솔
KR20170012186A (ko) * 2014-05-21 2017-02-02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CN205612044U (zh) * 2016-03-24 2016-10-05 镇江洁友刷业有限公司 一种安全型趣味儿童牙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027B1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4390B1 (en) Oral burnisher
US5511273A (en) Variable engagement toothbrush
US9339357B1 (en) Multi-headed toothbrush
US9320348B2 (en) Finger mounted toothbrush
US20090229062A1 (en) Dental hygiene device
CN105722428A (zh) 口腔护理器具
US9532641B2 (en) L-shaped toothbrush
MXPA01009771A (es) Cepillo dental.
JP3130665U (ja) 歯ブラシ
KR20190044811A (ko)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US6353959B1 (en) Toothbrush
JP4802584B2 (ja) 口腔用清掃具及びこれを用いた口腔清掃方法
US20160255948A1 (en) 3-sided fingerbrush for cleansing multiple teeth surfaces
WO2014106287A1 (en) Teething device
CA2238099C (en) Dental instrument with improved grip
JP5246567B1 (ja) 歯ブラシ
KR200310383Y1 (ko) 파지가 용이한 칫솔
KR101007577B1 (ko) 기능성 칫솔
CN205612044U (zh) 一种安全型趣味儿童牙刷
US11930918B1 (en) Personal care implements
TW202000150A (zh) 兼具牙籤、牙間刷及牙線棒結構之三合一潔牙棒
CN218500208U (zh) 一种指套式口腔清洁刷
AU2014100557A4 (en) Teething Device
JP7349324B2 (ja) 液状歯磨き剤塗布ブラシ
US20150047672A1 (en) Removable tip oral hygien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