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231A -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231A
KR20190043231A KR1020170135019A KR20170135019A KR20190043231A KR 20190043231 A KR20190043231 A KR 20190043231A KR 1020170135019 A KR1020170135019 A KR 1020170135019A KR 20170135019 A KR20170135019 A KR 20170135019A KR 20190043231 A KR20190043231 A KR 20190043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emergency
smartphone
signal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스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스웰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스웰메디칼
Priority to KR102017013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3231A/ko
Publication of KR20190043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othe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장 질환 환자의 응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심장 질환 환자에게 가정에서 심장 마비와 같은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모니터링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대처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은, 심장 질환 환자의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생체신호 측정장치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환자 스마트폰과,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환자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기록하고, 분석하기 위한 응급 관리서버와, 상기 응급 관리서버로부터 환자의 응급 상태 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지정자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상기 환자 스마트폰은, 응급시 응급관리서버로부터 응급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지정자의 스마트폰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응급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응급관리서버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한 경우 공공기관의 응급구조서버로 응급구조를 요청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응급 관리 서버는,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환자의 심장에 이상이 있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환자의 심장에 이상이 있을 경우 경보 신호를 환자 스마트폰과 상기 설정된 지정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System for Emergency Treatment of Heart Disease Patient}
본 발명은 심장 질환 환자의 응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심장 질환 환자에게 가정에서 심장 마비와 같은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모니터링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대처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심장 질환 환자에게 심장 마비가 발생할 경우, 구조자가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을 실시하거나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mal Defibrillator, AED)를 사용하여 응급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심장마비가 발생하면 혈액 순환이 중단되기 때문에, 응급 조치를 취하여 혈액이 순화되도록 하지 못하면 환자가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손상이 발생한다. 특히, 뇌는 혈액 공급이 4-5 분만 중단되어도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자는 심폐소생술을 적절히 실시하거나 AED를 적절히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환자를 소생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응급 상태에서 전문적인 응급 구조 훈련을 받지 않은 일반인은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고 우왕좌왕하여 환자 구조를 위한 골든 타임을 놓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어느 정도 응급 처리 교육을 받은 구조자인 경우에도, 환자의 응급 상태에 따라서 심폐소생술과 AED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몰라서 응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주변에 응급조치를 취할 사람이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사전에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바로 연락을 하고, 응급 상황 발생시에 따른 적절한 응급조치를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면, 응급 상태의 환자 소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심장 질환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거나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훈련되지 않은 구조자가 응급 조치를 하여야 할 경우, 구조 전문가의 즉각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통화 연결을 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은, 심장 질환 환자의 ECG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생체신호 측정장치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로부터 환자의 생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고,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환자 스마트폰과,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환자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기록하고, 분석하기 위한 응급 관리서버와, 상기 응급 관리서버로부터 환자의 응급 상태 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지정자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상기 환자 스마트폰은, 응급시 응급관리서버로부터 응급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지정자의 스마트폰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응급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 스마트폰은 상기 응급관리서버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한 경우 공공기관의 응급구조서버로 응급구조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급 관리 서버는,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환자의 심장에 이상이 있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환자의 심장에 이상이 있을 경우 경보 신호를 환자 스마트폰과 상기 설정된 지정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은 환자 스마트폰에 무선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응급시 경보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자동제세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환자 스마트폰은 상기 응급관리서버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자동제세동기로 응급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동제세동기는 환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한 경우 경보출력부로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자 스마트폰은, 상기 공공기관의 응급구조서버로 응급구조를 요청한 이후 환자 스마트폰에 걸려온 통화연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통화연결 신호를 발신한 발신자 정보를 상기 응급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급관리서버는, 상기 환자 스마트폰으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발신자 정보가 공공기관의 응급 구조전문가 정보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발신자 정보가 응급구조 전문가 정보인 경우 지정자 스마트폰과 응급 구조 전문가 스마트폰 사이에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심장질환 환자의 생체신호 측정장치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로부터 환자의 생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기 위한 환자 스마트폰과, 환자가 응급구조를 지정한 지정자 스마트폰과, 네트웍에 연결된 응급관리서버와, 구조 전문가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환자 스마트폰에서, 환자에 의해서 응급 구조자로 지정된 지정자 스마트폰 정보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상기 응급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응급관리서버에서, 환자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환자의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환자의 심장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환자 스마트폰과 사전에 지정된 지정자 스마트폰으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환자 스마트폰에서, 상기 응급관리서버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한 경우 응급구조서버로 응급구조를 요청하는 단계와, 공공기관의 응급구조서버로 응급구조를 요청한 이후 통화연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통화연결 신호를 발신한 발신자 정보를 상기 응급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응급관리서버에서, 상기 환자 스마트폰으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발신자 정보가 공공기관의 응급 구조전문가 정보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발신자 정보가 응급구조 전문가 정보인 경우 지정자 스마트폰과 응급 구조 전문가 스마트폰 사이에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신호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심장 질환 환자의 심장 상태에 대한 정보가 환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응급 관리서버로 전송된다. 응급관리 서버는 전송된 생체신호를 기록하고 분석하여, 환자의 심장에 이상이 있는 경우 경보를 환자 스마트폰과 환자가 응급 구조자로 지정한 지정자 스마트폰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응급 지정자가 환자 주변에 있는 경우에 환자에게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등의 필요한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환자 스마트폰은 경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자동제세동기로 경보 신호를 전송하여 경보 표시부에 표시되게 한다. 경보 표시부는 소리를 내는 부저나 점멸등이 될 수 있다. 환자나 지정된 응급구조자는 자동제세동기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스마트폰은 상기 응급관리서버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한 경우 119화 같은 공공기관의 응급구조서버로 응급구조를 요청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공기관은 환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응급 구조 전문가를 즉시 출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출동된 응급 구조전문가가 환자와 통화를 하기 위하여 환자 스마트폰으로 전화를 걸 경우, 환자 스마트폰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응급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응급관리 서버는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응급 구조 전문가의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하고, 지정된 스마트폰과 응급 구조 전문가의 스마트폰을 자동으로 통화 연결하여, 구조 전문가가 도착할 때까지 환자와 함께 있는 지정된 구조자와 통화를 하면서 협력하여 지정된 구조자가 효과적인 응급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환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심장 질환 환자의 응급 관리를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응급 관리 시스템은 심장 질환 환자가 혼자 집에 있을 때 갑자기 심장 마비가 발생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응급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는 환자의 의복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는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수단에 의해서 환자 스마트폰(200)과 무선으론 측정된 생체신호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는 전극들(110)과, 전극들(100)이 연결된 신호측정부(120)와, 측정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부(130)와, 처리된 신호를 환자 스마트폰(200)에 전달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140)를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등의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신호처리부(1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신호측정부(120)와 무선송수신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을 구비한다.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는 웨어러블 형태로 환자의 심전도, 맥박, 온도,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환자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환자 스마트폰(200)에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앱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이 설치되어 있다. 환자 스마트폰(200)의 앱 프로그램은 실행 시에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에 접속하여 ECG를 포함하는 환자의 생체 신호를 전송받는다. 또한, 환자 스마트폰(200)의 앱 프로그램은 입력된 환자 식별 정보(환자의 성명, 성별, 나이, 전화번호, 주소 등)를 응급관리 서버(30)로 전송한다. 또한, 환자 스마트폰(200)의 앱 프로그램은 환자가 응급 상태일 경우 연락하기를 희망하는 응급 구조자의 정보(전화번호, 환자와의 관계, 주소, 근무지 등)를 환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 받은 정보를 응급관리 서버(20)로 전송하여 응급관리 서버(20)에 환자 정보와 응급 구조자 정보 등록한다. 또한, 환자 스마트폰(200)의 앱 프로그램은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심전도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응급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환자 스마트폰(200)은 인터넷(10)에 연결된 이동통신망(50)을 통하여 정보를 전송하거나, 인터넷(10)에 연결된 WiFi 통신 장치(40)를 통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인터넷(10)에 연결된 응급관리 서버(20)는 전송받은 환자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전송받은 환자 정보, 응급 구조자 정보를 등록한다. 또한, 응급관리 서버(20)는 환자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전송받은 환자의 생체신호(심전도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생체신호를 전송받을 때마다 환자의 심장에 이상이 있는 지 여부를 분석한다. 응급관리 서버(20)에는 심전도 리듬을 분석하여 심정지여부를 판독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응급관리 서버(20)가 환자의 심장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면, 응급관리 서버(20)는 환자 스마트폰(200)과 환자가 지정한 응급 구조 지정자 스마트폰(210)으로 응급 상태임을 알리는 경보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환자 스마트폰(200)의 앱 프로그램은 응급관리 서버(20)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한 경우, 공공기관의 응급구조서버(30)로 응급구조를 요청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환자 스마트폰(200)의 앱 프로그램은 환자 스마트폰(200)의 표시부나 스피커로 경보 신호를 출력하고 동시에 자동제세동기(300)로도 응급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동제세동기(300)는 환자의 가정에 비치되어 있거나, 환자와 근접한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자동제세동기(300)에는 환자 스마트폰(200)과 블루투스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기 위한 송수신 모듈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자동제세동기(300)에는 환자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응급 신호를 수신한 경우, 경보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 출력부가 설치되어 있다. 자동제세동기(300)의 경보 출력부는 경보음을 출력하기 위한 부저나 점멸하는 경보를 출력하기 위한 LED 광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자동제세동기(300)의 경보 출력부는 환자나 환자의 주변에 있는 사람이 환자가 응급 상태임을 인식하도록 도와주며, 응급 처리를 위하여 자동제세동기(300)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인터넷(10)에 연결된 공공기관의 응급구조서버(30)는 환자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응급 구조 요청을 받으면, 응급 구조 전문가에게 환자의 성명, 성별, 나이, 환자 스마트폰(100)의 전화번호, 위치 정보 등 환자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응급구조 전문가 스마트폰(220)으로 전송한다. 한편, 환자 스마트폰(200)의 앱 프로그램은, 공공기관의 응급구조서버(30)로 응급 구조를 요청한 후에 환자 스마트폰(200)으로 걸려온 통화연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통화연결 신호를 발신한 발신자 정보를 응급관리 서버(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자가 응급상태에서 응급구조 전문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대비하여 환자가 지정한 응급구조 지정자와 응급구조 전문가가 통화를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응급관리 서버(20)는 환자 스마트폰(200)으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공공기관의 응급구조 서버(30)에 등록된 응급 구조전문가의 전화번호 인지 확인한다. 응급관리 서버(20)에서 수신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응급구조 전문가의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하는 절차는, 사전에 공공기관의 응급구조 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비교하거나, 응급구조 서버(30)에 확인을 요청하여 확인할 수 있다. 환자를 구조하도록 배정되는 응급구조 전문가는 사정에 따라서 수시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응급구조 서버(30)에 환자를 구조하도록 배정된 응급구조 전문가 정보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송된 발신자 정보가 환자를 구조하도록 배정된 응급구조 전문가의 전화번호로 확인된 경우, 응급관리 서버(20)는 지정자 스마트폰(210)과 응급 구조 전문가 스마트폰(220)에 통화를 연결하고, 양 스마트폰(210, 220) 사이의 통화 내용을 기록한다. 응급구조 지정자가 환자와 함께 있는 경우, 응급구조 전문가는 응급구조 지정자로부터 환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적절한 응급조치를 취하도록 응급구조 지정자에게 적절한 안내를 할 수 있다. 응급구조 지정자가 환자에게로 이동하는 도중이며 응급구조 전문가가 환자에게 먼저 도달한 경우, 응급구조 전문가가 환자의 집에 신속히 들어가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예를 들면 주거에 현관문을 파손하고 들어가도 좋다는 허가 또는 현관문의 비밀번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환자 스마트폰(200)의 앱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환자의 성명, 전화번호, 나이, 성별 등과 같은 환자 식별정보와 응급 상태 발생시 응급구조를 할 수 있는 사람의 성명, 전화번호, 나이, 성별, 환자와의 관계 등과 같은 지정자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응급관리서버(20)로 전송한다(S100). 또한, 환자 스마트폰(200)의 앱 프로그램은 모니터링 시작 명령을 입력받아,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로 환자의 생체신호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고(S110),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는 측정된 생체신호를 일전한 시간 간격으로 환자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S120). 환자 스마트폰(200)의 앱 프로그램은 스마트폰의 화면에 실시간 전송된 심박수, 심전도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과, 측정된 과거의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과, 심박수 알람 범위를 설정하고 범위를 벗어 난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환자 스마트폰(200)은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응급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S130). 응급관리 서버(20)는 환자 개인의 생체신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또한, 응급관리 서버(20)는 등록된 환자의 생체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응급관리 서버(20)는 등록된 환자의 심전도 신호를 분석하여, 이상이 발생한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사전에 의료 전문가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응급관리 서버(20)가 등록된 환자의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심정지 등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응급 경보를 환자 스마트폰(200)과 환자가 응급구조자로 지정한 지정자 스마트폰(210)으로 경보 신호를 전송한다(S150, S160).
환자 스마트폰(200)은 응급관리 서버(20)로부터 경보 신호를 전송받으며, 스마트폰(200)의 화면과 스피커로 경보신호를 표시하고(S151), 환자의 집에 비치되거나 근위치에 있는 지정된 자동제세동기(300)로 경보 신호를 전송한다(S152). 자동제세동기(300)는 경보신호를 전송받고, 경보 표시부에 경보를 출력한다(153). 환자의 주변에 있는 사람이 자동 제세동기(300)의 경보를 인지하면, 환자에게 응급 조치를 취하게 된다. 또한, 환자 스마트폰(200)은 응급관리 서버(20)로부터 경보신호를 전송받으면, 119화 같은 공공기관의 응급구조 서버(30)로 응급구조를 요청한다(S170). 환자 스마트폰(200)은 응급구조 서버(30)로 구조를 요청할 때, 환자의 성명, 주소, 전화번호, 나이, 성별 등과 같은 환자 식별정보를 응급구조 서버(30)로 전송한다.
응급구조 서버(30)는 환자 스마트폰(200)으로부터의 응급 구조 요청을 접수하고, 응급 출동을 지시할 구조 전문가를 배정하고 환자의 정보를 응급출동 전문가의 스마트폰(220)으로 전달하고 응급 출동을 지시한다(171). 환자가 응급 상태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지정자와 응급구조 서버(30)로 부터 출동 지시를 받은 응급출동 전문가는 환자가 있는 위치로 이동을 한다. 이때, 응급 출동 중인 구조 전문가나 지정자가 환자의 스마트폰(200)으로 전화를 걸어서 환자와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만약 환자가 응급상태에서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전화를 받더라도 긴급 상황이라 적절한 의사표시를 할 수 없다. 따라서, 환자의 스마트폰(200)은 공공기관의 응급구조 서버(30)로 응급구조를 요청한 이후에 통화 연결 신호를 수신한 경우(S172), 통화연결 신호를 발신한 발신자 정보를 응급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S173). 응급관리 서버(20)는 환자로부터 전송된 통화 연결 신호를 발신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공공기관의 응급구조 서버(30)에서 응급구조 지시를 받은 응급구조 전문가의 전화번호인지 확인한다(S174). 응급관리 서버(20)는 수신된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사전에 공공기관의 응급구조 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비교하거나, 응급구조 서버(30)에 확인을 요청하여 확인할 수 있다. 환자를 구조하도록 배정되는 응급구조 전문가는 사정에 따라서 수시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응급구조 서버(30)에 환자를 구조하도록 배정된 응급구조 전문가 정보를 수시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응급관리 서버(20)는 전송된 발신자 정보가 환자를 구조하도록 배정된 응급구조 전문가의 전화번호로 확인된 경우, 지정자 스마트폰(210)과 응급 구조 전문가 스마트폰(220)에 통화를 연결하고, 양 스마트폰(210, 220) 사이의 통화 내용을 기록한다. 응급구조 지정자가 환자와 함께 있는 경우, 응급구조 전문가는 응급구조 지정자로부터 환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적절한 응급조치를 취하도록 응급구조 지정자에게 적절한 안내를 할 수 있다. 응급 구조 지정자는 응급 구조 전문가의 안내에 따라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거나 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효과적인 응급조치를 할 수 있다.
한편, 응급구조 지정자의 스마트폰(210)에는 환자의 응급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고, 응급처리 상황을 기록하고, 응급관리 서버(20)로 전송하기 위한 전용 앱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응급구조 지정자는 응급조치 내용을 앱 프로그램의 화면에 입력하고 응급관리서버(20)로 전송한다(S180). 응급관리서버(20)는 응급 구조 지정자로부터 전송된 응급조치 내용을 응급구조 서버(30)로 전송하고(S190), 응급 구조 서버(30)는 응급 구조 전문가의 스마트폰(220)으로 응급관리서버(20)로부터 전송된 응급조치 내용을 전송한다(S191).
한편, 응급 구조 전문가가 응급 구조 지정자보다 환자에게 먼저 도착 한 경우, 응급구조 전문가는 응급구조 지정자와의 통화연결에 의해서 환자의 집으로 신속히 들어가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예를 들면 주거에 현관문을 파손하고 들어가도 좋다는 허가 또는 현관문의 비밀번호를 제공 받을 수 있다.
20 응급관리 서버
30 응급구조 서버
100 생체신호 측정장치
200 환자 스마트폰
210 지정자 스마트폰
220 구조전문가 스마트폰
300 자동제세동기

Claims (4)

  1. 심장 질환 환자의 ECG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생체신호 측정장치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로부터 환자의 생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고,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환자 스마트폰과,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환자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기록하고, 분석하기 위한 응급 관리서버와,
    상기 응급 관리서버로부터 환자의 응급 상태 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지정자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 스마트폰은, 응급시 응급관리서버로부터 응급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지정자의 스마트폰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응급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응급관리서버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한 경우 공공기관의 응급구조서버로 응급구조를 요청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응급 관리 서버는,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환자의 심장에 이상이 있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환자의 심장에 이상이 있을 경우 경보 신호를 환자 스마트폰과 상기 설정된 지정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환자 스마트폰에 무선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응급시 경보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자동제세동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자 스마트폰은 상기 응급관리서버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자동제세동기로 응급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동제세동기는 환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한 경우 경보출력부로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스마트폰은, 상기 공공기관의 응급구조서버로 응급구조를 요청한 이후 환자 스마트폰에 걸려온 통화연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통화연결 신호를 발신한 발신자 정보를 상기 응급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급관리서버는, 상기 환자 스마트폰으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발신자 정보가 공공기관의 응급 구조전문가 정보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발신자 정보가 응급구조 전문가 정보인 경우 지정자 스마트폰과 응급 구조 전문가 스마트폰 사이에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4. 심장 질환 환자의 ECG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생체신호 측정장치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로부터 환자의 생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고,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환자 스마트폰과,
    환자 스마트폰에 무선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응급시 경보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자동제세동기와,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환자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기록하고, 분석하기 위한 응급 관리서버와,
    상기 응급 관리서버로부터 환자의 응급 상태 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지정자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 스마트폰은, 응급시 응급관리서버로부터 응급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지정자의 스마트폰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응급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응급관리서버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자동제세동기로 응급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동제세동기는, 상기 환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한 경우 경보 출력부로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응급 관리 서버는,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환자의 심장에 이상이 있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환자의 심장에 이상이 있을 경우 경보 신호를 환자 스마트폰과 상기 설정된 지정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KR1020170135019A 2017-10-18 2017-10-18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KR20190043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019A KR20190043231A (ko) 2017-10-18 2017-10-18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019A KR20190043231A (ko) 2017-10-18 2017-10-18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231A true KR20190043231A (ko) 2019-04-26

Family

ID=6628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019A KR20190043231A (ko) 2017-10-18 2017-10-18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32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0488B2 (en) Therapy-delivering portable medical device capable of triggering and communicating with an alarm system
KR101795761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CA2471511C (en) Emergency call and patient locating system for implanted automatic defibrillators
US6351671B1 (en) System for measuring and analyzing cardio-pulmonary-resuscitation (CPR) parameters for use with and by an external defibrillator (AED) or a training defibrillator
KR100880741B1 (ko) 생체 이벤트 핸들링 시스템, 방법, 및 장치; 모니터링장치 및 프로그램 생성물
EP2767225B1 (en) Medical monitoring system
US9913991B2 (en) Defibrillation apparatus for wireless data exchange with a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JP2012222443A (ja) 救命救急補助システムとその方法とユーザ端末装置と救命救急補助装置
KR20160012239A (ko) 응급상황시 전문의료인과 자동연결되는 자동제세동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757944A (zh) 一种远程医疗辅助平台
JP2022502764A (ja) 医療的緊急状態にある患者の個々に合わせた早急な処置のためのシステム
KR101594750B1 (ko) 응급상황시 전문의료인과 자동연결되는 자동제세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7285B1 (ko) 이동식 원격 의료지원 시스템
KR101756787B1 (ko) 심정지 응급구조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20150101892A (ko)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JP6362567B2 (ja) 緊急の医療カウンセリング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22011795A1 (zh) 突发状况救助系统
WO2017159635A1 (en) Detection device and alarm system having the detection device
KR20190043231A (ko) 심장 질환 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KR20180074066A (ko)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EP3429458A1 (en) Detection device and alarm system having the detection device
CN111489836A (zh) 一种远程医疗一体化管理系统
WO2017147977A1 (zh) 一种贴片式健康监测设备
US20240087466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of a Video-Directed CPR Process in Cardiac Arrest
EP4011286A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cision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