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400A -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400A
KR20190042400A KR1020170134278A KR20170134278A KR20190042400A KR 20190042400 A KR20190042400 A KR 20190042400A KR 1020170134278 A KR1020170134278 A KR 1020170134278A KR 20170134278 A KR20170134278 A KR 20170134278A KR 20190042400 A KR20190042400 A KR 20190042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iva
hormone
module
detecting
glyco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663B1 (ko
Inventor
이종하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663B1/ko
Priority to CN201880067089.XA priority patent/CN111247432A/zh
Priority to US16/756,370 priority patent/US20200333342A1/en
Priority to PCT/KR2018/011994 priority patent/WO2019078545A1/ko
Publication of KR20190042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ormones or other non-cytokine intercellular protein regulatory factors such as growth factors, including receptors to hormones and growth factors
    • G01N33/76Human chorionic gonadotropin including luteinising hormone,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thyroid stimulating hormone or their recep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575Hormones
    • G01N2333/59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Chorionic gonadotropins, e.g. HCG; Luteinising hormone [LH]; Thyroid-stimulating hormone [TS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6Gynecology or obstetrics

Abstract

본 발명은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임기 감지 키트로서,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호르몬을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호르몬을 검출하는 검출모듈,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호르몬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 및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임기 감지 방법으로서, (1) 채취모듈이,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 (2) 검출모듈이, 단계 (1)의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호르몬을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호르몬을 검출하는 단계, (3) 분석모듈이, 단계 (2)의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호르몬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및 (4) 표시모듈이, 단계 (3)의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에 따르면, 가임기 감지 키트로서,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으로부터 호르몬을 검출하는 검출모듈,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호르몬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분석모듈에서는 호르몬과 항체의 항원-항체 반응으로서,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기술인 소변을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의 시간, 장소에 제약이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기존의 타액의 구조를 관찰하여 판단하는 기술의 타액의 염분결정이나, 타액 구조의 모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타액이 마르는데 일정 시간이 걸리며, 침을 관찰한다는 것 자체에 시각적으로 거부감이 들 수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출모듈에서 검출되는 호르몬은 황체형성호르몬이며,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는, 호르몬을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 내에서 당단백질을 분해한 후, 점액질을 제거하여 타액을 정제하는 과정을 거치고, 미생물을 제거하며, 항원-항체반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채취된 타액의 pH 값을 pH7로 변화시키고, 타액에 완충액을 혼합하여 추가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호르몬의 검출, 분석의 정확도를 높여, 기존의 가임기 감지 기술보다 더 정확하게 가임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호르몬이 항체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키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가임기 감지 기술에 비하여, 별도의 특별한 관찰 장비 없이 가임기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타액이 마르는 별도의 시간이 필요 없이, 빠른 시간에 확인이 가능하고, 소형화된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하여 대중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DETECTION KIT OF FERTILE PERIOD USING SALIVA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란이란, 성숙된 난포가 호르몬의 영향으로 터지면서, 난포액과 난자가 나오는 것을 의미하며, 배란일이란 다음 달 생리시작 예정일의 14일 전을 가리키는 것이다. 가임기란, 임신이 가능한 임신기간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배란일 전 4일, 배란일 당일, 및 배란일 후 2일이 가임기간이고, 그 이후의 기간은 불임기간으로 알려져 있다. 도 1은 여성의 월경 주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을 통하여 배란일인 14일을 기준으로 약 11일~16일이 가임기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배란기에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기초 체온의 변화가 있으며, 이는 배란기에 분비되는 프로게스테론 호르몬(황체호르몬)의 영향 때문이다.
임신 가능 기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신체 체온의 변화로 배란기임을 확인하기도 하지만, 오기노식 배란주기법, 자연주기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기도 한다. 그 외에 배란기의 신체 변화를 이용하여 배란기 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소변 또는 타액을 이용하는 것이 있다.
도 2는 기존의 소변을 이용하는 배란테스트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테스트 스트립(막대)을 소변에 담그고, 배란 양성반응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소변에서 황체형성호르몬(LH), 즉, 황체를 만드는 호르몬이 검출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황체형성호르몬(LH)은, 시상하부의 뇌하수체에서 나오는 것으로, 난포를 터지게 하여 황체가 나오게 하는 호르몬이다. 황체형성호르몬(LH)은 난포가 부풀어서 터질 시점이 되었을 때 많은 양이 나오게 되AM로, 배란시점에 많은 양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나오는 황체형성호르몬(LH)은 혈액 속으로 분비되며, 분비되는 양이 다량인 경우 소변으로까지 황체형성호르몬(LH)이 검출되어 나오게 되고, 이렇게 소변에서 검출되는 황체형성호르몬(LH)의 양이 얼마나 되는가에 따라 배란테스트기에 나타나는 표시가 달라지도록 하여, 배란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임기 감지 방법은, 이미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의 기술인 소변을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은, 가임기 여부의 확인을 위하여 반드시 특정 장소에 가야만하고, 소변을 보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따르는바, 시간, 장소의 제약이 있다. 상기의 소변을 이용하여 가임기를 판단하는 기술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간, 장소에 제약이 없도록 타액을 이용하여 가임기를 판단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도 3은 기존의 타액을 이용하는 휴대용 배란 측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소변을 이용하는 배란테스트기와 달리, 타액(침)을 이용하는 배란 측정기로서, 타액 한 방울로, 배란 주기를 불임기, 과도기, 가임기로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이다. 타액의 분비율은 월경 주기 동안 증식기와 배란기, 증식기와 황체기, 배란기와 황체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타액은 생리주기 중 가임기 때 신체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에 따라 침의 점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 예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블레스”라는 제품은, 필름에 타액을 묻혀 제품 안에 꽂은 후 휴대전화 카메라에 고정하면, 액정화면을 통해 배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으로서, 타액의 염분 결정을 스마트폰으로 촬영해 분석하는 것으로, 생리 주기에 따라 타액의 염분 결정이 다르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제품은, 렌즈 위에 살짝 침을 바르고 침이 마른 후, 홀더를 통해 침 구조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배란일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침 구조가 성애가 낀 것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으면 배란일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품이다. (b)에 도시된 제품은, 타액을 이용하여 5분 이내, 여성의 불규칙한 불임기와 가임기를 정확하게 진단하는 휴대용 배란 측정기이며, 이는 임신 가능기인 배란기에, 침의 구조가 변하게 되는 것을 이용하는 제품이다.
도 4는 기존의 타액을 이용하는 휴대용 배란 측정기의 검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의 (b)에 도시된 제품을 이용하여 생리 주기를 측정하는 결과의 모습이다. 각각의 주기별 침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특정한 무늬가 없는 점 모양으로서, 배란되지 않는 형상인 불임기, (b)는 양치식물의 잎 모양과 함께 자갈이 많은 무늬로, 배란 시작의 3일 전 시기이며, 정자의 최대 생존 기간을 고려하였을 때, 임신 가능한 시기이므로, 배란 잠복기인 과도기, (c)는 식물 잎의 격자무늬로서, 2일간의 실질적 배란 시기에 해당되는, 임신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때인 배란기를 나타낸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액을 이용하는 기술은 타액의 점성으로 인한 침의 구조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으로서,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860681호(발명의 명칭: 배란기 판단 장치와 그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등이 있다.
다만, 기존의 타액의 구조를 관찰하여 판단하는 기술은, 타액의 염분결정이나, 타액 구조의 모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타액이 마르는데 일정 시간이 걸리며, 침을 관찰한다는 것 자체에 시각적으로 거부감이 들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타액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중요한 생물학적 유체로서, 미네랄, 점액, 전해질, 효소, 효소 억제제,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면역 글로불린 및 기타 당 단백질과 같은 단백질과 함께 99%의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신체의 생리 조건을 반영하는 혈액의 여과에 따라 현재 임상 상태를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5는 대조구 (n = 87)와 구강암 샘플 (n = 69)의 타액 대사산물에 대한 CE-TOF-MS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샘플에서 검출된 대사산물의 상대적인 면적에 대한 대표적인 도트 플롯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결과를 통하여, 타액에서 검출되는 대사산물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타액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을 활용하여, 시간,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기존의 타액의 구조를 관찰하여 가임기를 확인하는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타액에 포함되어 있는 호르몬을 이용하여 가임기를 감지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가임기 감지 키트로서,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으로부터 호르몬을 검출하는 검출모듈,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호르몬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분석모듈에서는 호르몬과 항체의 항원-항체 반응으로서,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기술인 소변을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의 시간, 장소에 제약이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기존의 타액의 구조를 관찰하여 판단하는 기술의 타액의 염분결정이나, 타액 구조의 모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타액이 마르는데 일정 시간이 걸리며, 침을 관찰한다는 것 자체에 시각적으로 거부감이 들 수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출모듈에서 검출되는 호르몬은 황체형성호르몬이며,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는, 호르몬을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 내에서 당단백질을 분해한 후, 점액질을 제거하여 타액을 정제하는 과정을 거치고, 미생물을 제거하며, 항원-항체반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채취된 타액의 pH 값을 pH7로 변화시키고, 타액에 완충액을 혼합하여 추가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호르몬의 검출, 분석의 정확도를 높여, 기존의 가임기 감지 기술보다 더 정확하게 가임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호르몬이 항체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키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가임기 감지 기술에 비하여, 별도의 특별한 관찰 장비 없이 가임기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타액이 마르는 별도의 시간이 필요 없이, 빠른 시간에 확인이 가능하고, 소형화된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하여 대중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는,
가임기 감지 키트로서,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
상기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호르몬을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호르몬을 검출하는 검출모듈;
상기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호르몬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르몬은, 황체형성호르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액 당단백질은, 뮤코당(mucosal glycoproteins)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액 당단백질의 제거는, 상기 채취된 타액 내에서 당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단백질을 분해한 후, 점액질을 제거하여 타액을 정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채취된 타액의 pH 값을 pH7로 변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 완충액을 혼합하여 추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석모듈의 면역반응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검출된 호르몬과 항체의 항원-항체 반응으로서, 상기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르몬과 항체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은,
가임기 감지 방법으로서,
(1) 채취모듈이,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
(2) 검출모듈이, 상기 단계 (1)의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호르몬을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호르몬을 검출하는 단계;
(3) 분석모듈이, 상기 단계 (2)의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호르몬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및
(4) 표시모듈이, 상기 단계 (3)의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르몬은, 황체형성호르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액 당단백질은, 뮤코당(mucosal glycoproteins)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액 당단백질의 제거는, 상기 채취된 타액 내에서 당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단백질을 분해한 후, 점액질을 제거하여 타액을 정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채취된 타액의 pH 값을 pH7로 변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 완충액을 혼합하여 추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석모듈의 면역반응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검출된 호르몬과 항체의 항원-항체 반응으로서, 상기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르몬과 항체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에 따르면, 가임기 감지 키트로서,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으로부터 호르몬을 검출하는 검출모듈,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호르몬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분석모듈에서는 호르몬과 항체의 항원-항체 반응으로서,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기술인 소변을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의 시간, 장소에 제약이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기존의 타액의 구조를 관찰하여 판단하는 기술의 타액의 염분결정이나, 타액 구조의 모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타액이 마르는데 일정 시간이 걸리며, 침을 관찰한다는 것 자체에 시각적으로 거부감이 들 수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출모듈에서 검출되는 호르몬은 황체형성호르몬이며,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는, 호르몬을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 내에서 당단백질을 분해한 후, 점액질을 제거하여 타액을 정제하는 과정을 거치고, 미생물을 제거하며, 항원-항체반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채취된 타액의 pH 값을 pH7로 변화시키고, 타액에 완충액을 혼합하여 추가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호르몬의 검출, 분석의 정확도를 높여, 기존의 가임기 감지 기술보다 더 정확하게 가임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호르몬이 항체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키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가임기 감지 기술에 비하여, 별도의 특별한 관찰 장비 없이 가임기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타액이 마르는 별도의 시간이 필요 없이, 빠른 시간에 확인이 가능하고, 소형화된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하여 대중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여성의 월경 주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기존의 소변을 이용하는 배란테스트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기존의 타액을 이용하는 휴대용 배란 측정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기존의 타액을 이용하는 휴대용 배란 측정기의 검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대조구 (n = 87)와 구강암 샘플 (n = 69)의 타액 대사산물에 대한 CE-TOF-MS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샘플에서 검출된 대사산물의 상대적인 면적에 대한 대표적인 도트 플롯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일반적인 항원-항체 반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일반적인 항원-항체 반응을 통한 발색반응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10)는, 가임기 감지 키트로서,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100), 채취모듈(100)에서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호르몬을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호르몬을 검출하는 검출모듈(200), 검출모듈(200)에서 검출된 호르몬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300), 및 분석모듈(300)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400)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채취모듈(100)은, 사용자로부터 타액을 채취하는 역할을 하며, 검출모듈(200)은 채취모듈(100)에서 채취된 타액으로부터 호르몬을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검출되는 호르몬은, 황체형성호르몬일 수 있다.
검출모듈(200)은, 호르몬을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점액 당단백질은, 뮤코당(mucosal glycoproteins)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타액 내 포함된 단백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주사기 필터를 이용하여 당단백질을 분해한 후, 점액질을 제거하여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함으로써, 타액을 정제시킬 수 있다. 점액 당단백질의 제거 후에는, 채취된 타액에서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검출모듈(200)은 채취된 타액의 pH 값을 pH5~6에서 pH7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설명될 면역반응, 즉 항원-항체 반응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이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완충액을 혼합하여 추가함으로써, 면역반응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분석모듈(300)은, 검출모듈(200)에서 검출된 호르몬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일반적인 항원-항체 반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왼쪽에서부터 순서대로 포획 항체(capture antibody)의 모습, 항체와 표적 항원(target antigen)이 반응하는 모습, HRP(horseradish peroxidase)가 달려있는 항체(antibody)와 반응하는 모습, 및 HRP가 달린 상태에서, TMB로 발색시키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10)에 있어서, 분석모듈(300)의 면역반응은 도 8에서의 반응과 같이, 채취된 타액에서 검출된 호르몬과 항체의 항원-항체 반응으로서,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검출모듈(200)에서 정제된 타액이 시트를 통과하도록 하고, 시트를 통과한 정제된 타액의 호르몬이 항체와 반응을 하도록 하며, 반응 결과의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킬 수 있다.
도 9는 일반적인 항원-항체 반응을 통한 발색반응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항원-항체의 발색반응을 이용하여 검사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발색반응에 있어서, 임신이나 배란의 경우는 항원인 소변 속의 hCG나 LH가 금 입자와 결합한 항체, 및 결과선 항체가 이중 반응을 해서 발색반응을 나타내는데 반해, HIV이나, C형 간염의 경우는 외부에서 침입한 항원에 대항하여 몸에서 만들어진 항체와, 결과선의 항원이 반응을 해서 발색반응을 나타내게 되고, 이를 확인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양자 간에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인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10) 역시, 도 9에서 설명한 항체의 발색반응을 이용하여, 발색시키고, 이를 촉진, 증폭시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표시모듈(400)은, 분석모듈(300)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사용자가 가임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분석모듈(300)에서는 면역반응을 통한, 발색, 촉진, 증폭의 결과로부터 가임기 여부가 분석되고, 표시모듈(400)에서는 분석모듈(300)의 분석 결과가 가임기인지 아닌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채취모듈(100), 검출모듈(200), 분석모듈(300), 표시모듈(400)은 각각이 분리되어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키트에 모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키트는 소형화된 것으로서 휴대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에 있어서 대중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10)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은, 가임기 감지 방법으로서, 채취모듈(100)이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S100), 검출모듈(200)이 단계 S100의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호르몬을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호르몬을 검출하는 단계(S200), 분석모듈(300)이 단계 S200의 검출모듈(200)에서 검출된 호르몬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S300), 및 표시모듈(400)이 단계 S300의 분석모듈(300)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단계들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들은,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10)와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에 따르면, 가임기 감지 키트로서,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으로부터 호르몬을 검출하는 검출모듈,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호르몬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분석모듈에서는 호르몬과 항체의 항원-항체 반응으로서,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기술인 소변을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의 시간, 장소에 제약이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기존의 타액의 구조를 관찰하여 판단하는 기술의 타액의 염분결정이나, 타액 구조의 모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타액이 마르는데 일정 시간이 걸리며, 침을 관찰한다는 것 자체에 시각적으로 거부감이 들 수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검출모듈에서 검출되는 호르몬은 황체형성호르몬이며,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는, 호르몬을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 내에서 당단백질을 분해한 후, 점액질을 제거하여 타액을 정제하는 과정을 거치고, 미생물을 제거하며, 항원-항체반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채취된 타액의 pH 값을 pH7로 변화시키고, 타액에 완충액을 혼합하여 추가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호르몬의 검출, 분석의 정확도를 높여, 기존의 가임기 감지 기술보다 더 정확하게 가임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호르몬이 항체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키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가임기 감지 기술에 비하여, 별도의 특별한 관찰 장비 없이 가임기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타액이 마르는 별도의 시간이 필요 없이, 빠른 시간에 확인이 가능하고, 소형화된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하여 대중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100: 채취모듈
200: 검출모듈
300: 분석모듈
400: 표시모듈

Claims (20)

  1. 가임기 감지 키트로서,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
    상기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호르몬을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호르몬을 검출하는 검출모듈;
    상기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호르몬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르몬은, 황체형성호르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액 당단백질은, 뮤코당(mucosal glycoprotei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액 당단백질의 제거는, 상기 채취된 타액 내에서 당단백질을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당단백질을 분해한 후, 점액질을 제거하여 타액을 정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채취된 타액의 pH 값을 pH7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 완충액을 혼합하여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모듈의 면역반응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검출된 호르몬과 항체의 항원-항체 반응으로서, 상기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르몬과 항체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11. 가임기 감지 방법으로서,
    (1) 채취모듈이,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
    (2) 검출모듈이, 상기 단계 (1)의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호르몬을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호르몬을 검출하는 단계;
    (3) 분석모듈이, 상기 단계 (2)의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호르몬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및
    (4) 표시모듈이, 상기 단계 (3)의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호르몬은, 황체형성호르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점액 당단백질은, 뮤코당(mucosal glycoprotei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점액 당단백질의 제거는, 상기 채취된 타액 내에서 당단백질을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당단백질을 분해한 후, 점액질을 제거하여 타액을 정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채취된 타액의 pH 값을 pH7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 완충액을 혼합하여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모듈의 면역반응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검출된 호르몬과 항체의 항원-항체 반응으로서, 상기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가임기 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호르몬과 항체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KR1020170134278A 2017-10-16 2017-10-16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KR102077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278A KR102077663B1 (ko) 2017-10-16 2017-10-16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CN201880067089.XA CN111247432A (zh) 2017-10-16 2018-10-11 使用唾液的乳腺癌检测试剂盒及乳腺癌检测方法以及使用唾液的可孕期检测试剂盒及可孕期检测方法
US16/756,370 US20200333342A1 (en) 2017-10-16 2018-10-11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same, and fertile window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fertile window detection method using same
PCT/KR2018/011994 WO2019078545A1 (ko) 2017-10-16 2018-10-11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 및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278A KR102077663B1 (ko) 2017-10-16 2017-10-16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400A true KR20190042400A (ko) 2019-04-24
KR102077663B1 KR102077663B1 (ko) 2020-02-14

Family

ID=6628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278A KR102077663B1 (ko) 2017-10-16 2017-10-16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6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8906A (ko) * 2009-12-15 2011-06-22 퍼팩트코리아(주) 타액을 이용한 생리활성 진단 방법
KR20110125578A (ko) * 2010-05-13 2011-1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배란 래피드 키트를 이용한 자가 배란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8906A (ko) * 2009-12-15 2011-06-22 퍼팩트코리아(주) 타액을 이용한 생리활성 진단 방법
KR20110125578A (ko) * 2010-05-13 2011-1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배란 래피드 키트를 이용한 자가 배란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663B1 (ko)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25120B2 (en) Diagnostic devices and methods
US20210080475A1 (en) Diagnostic Devices And Methods
US9420969B2 (en) Biological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instrument, and physiologically-active substance measurement method and instrument
JP5911092B2 (ja) 妊娠検査具
US11061026B2 (en) System of evaluating corpus luteum function by recurrently evaluating progesterone non-serum bodily fluids on multiple days
AU3504700A (en) Analyzing strip having a fluid cell and a method of analyzing a sample
US20130224767A1 (en) Immunochromatographic assay method and apparatus
US11029321B2 (en) Method of evaluating corpus luteum function by recurrently evaluating progesterone non-serum bodily fluids on multiple days
US20130224768A1 (en) Immunochromatographic assay method and apparatus
KR20190042400A (ko) 타액을 이용한 가임기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가임기 감지 방법
US11131665B1 (en) Method for evaluating urine of a subject to estimate the fertile window
US20210389311A1 (en) Method for evaluating urine of a subject to estimate the fertile window by evaluating for the presence of analytes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CN114527287A (zh) 一种连续测试多种激素用于女性备孕期管理的方法
US20050196812A1 (en) Determining the estimated date of embryo implantation and related dates
JP4583685B2 (ja) 哺乳動物の、特にヒトの受精能を測定する方法
EP15714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due date
CN111247432A (zh) 使用唾液的乳腺癌检测试剂盒及乳腺癌检测方法以及使用唾液的可孕期检测试剂盒及可孕期检测方法
WO2018076231A1 (zh) 一种卫生棉条
KR20190042392A (ko)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
US20230408512A1 (en) System for evaluating urine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egnanediol glucuronide and other hormones and analytes
CN103293310B (zh) 一种检测胎膜早破的试剂盒
AU2015201635B2 (en) Diagnostic devices and methods
WO2023069366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beta subunit of luteinizing hormone
WO2016154672A1 (en) Diagnostic devices and methods
CN103995134A (zh) 用于特异性棉花类过敏原IgE筛查的试纸条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