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648A - 디스플레이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648A
KR20190041648A KR1020170133121A KR20170133121A KR20190041648A KR 20190041648 A KR20190041648 A KR 20190041648A KR 1020170133121 A KR1020170133121 A KR 1020170133121A KR 20170133121 A KR20170133121 A KR 20170133121A KR 20190041648 A KR20190041648 A KR 20190041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lectronic device
biometric information
area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0840B1 (ko
Inventor
조정민
권오혁
김태성
김형달
신현창
정송희
박정민
변형섭
신흥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840B1/ko
Priority to CN201880066709.8A priority patent/CN111213358A/zh
Priority to US16/158,510 priority patent/US10885301B2/en
Priority to EP18866603.6A priority patent/EP3656115A4/en
Priority to PCT/KR2018/012058 priority patent/WO2019074330A1/en
Publication of KR2019004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H04M1/7256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1Control of illu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7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생체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픽셀들 중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포함된 제 1 픽셀 및 제 2 픽셀이 사용된 이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픽셀 및 상기 제 2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선택하고,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통해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상기 생체 센서를 통해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OBTAINING BIOMETRIC INFORMATION USING A DISPLAY AS A LIGHT SOUR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각종 전자 장치들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음성 통화 서비스, 메시지 서비스, 방송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카메라 서비스, 전자 결제 서비스 또는 음악 재생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다양해짐에 따라 전자 장치에 저장되는 개인 정보가 증가하고 있다. 전자 장치는 타인으로부터 전자 장치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홍채, 지문, 얼굴, 손금, 정맥 등과 같은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서비스(예: 생체 인식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지문 센서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자발광 소자를 갖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에 실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실장된 지문 센서는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지문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지문 센서에 광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의 휘도를 디스플레이의 나머지 영역의 휘도에 비해 높이거나 특정 색상의 광원 이미지를 사용 할수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수명은 동일하므로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이 나머지 영역에 비하여 열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열화 속도 차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과 나머지 영역간 휘도차 또는 색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에게 잔상으로 시인될 수 있다. 또한 사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광원부의 휘도가 점차 감소함에 따라 센서의 감도가 떨어져 지문 센서의 성능이 점차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필요 휘도보다 열화를 고려하여 필요 이상의 더 높은 휘도를 가해야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불필요하게 더 발광시켜 열화를 가속 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시간에 따라 점차적으로 열화되는 정도만큼 휘도를 증가시켜 광원으로서 일정한 성능을 보장하고 열화도 최소화 할 수 있다. 휘도의 조절은 데이터(계조 값)의 조절로 구현하여, 패널 전체 구동 전압을 조절하는 것보다 더 간편하게 컨트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에 광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의 열화를 보상하거나 늦추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생체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픽셀들 중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포함된 제 1 픽셀 및 제 2 픽셀이 사용된 이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픽셀 및 상기 제 2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선택하고,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통해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상기 생체 센서를 통해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생체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고, 전자 장치의 사용 시간 또는 생체 정보 획득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시간 또는 생체 정보 획득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의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2 영역의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휘도를 설정하고, 및 상기 설정된 제2 영역의 휘도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센서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생체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픽셀 그룹 및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을 확인하고,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이력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 그룹을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된 픽셀 그룹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센서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생체 센서에 광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의 계조 값을 변경하거나 잔상 보상 프레임을 추가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열화를 보상할 수 있고 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생체 센서에 광을 제공할 디스플레이의 픽셀을 결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열화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도 1a 내지 1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계조 값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에 기반하여 계조 값을 갱신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주변 광을 반영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주변 광을 반영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결정된 픽셀 그룹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결정된 픽셀 그룹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 전용 픽셀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 내지 1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1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제1 영역(121) 및 제2 영역(1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데이터 출력을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며, 생체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부재로써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120)의 제2 영역(122)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영역(122)이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20)가 생체 정보 감지 기능을 위하여 사용될 경우, 사용자는 제2 영역(122)을 접촉함으로써 생체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인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디스플레이(120)의 각 픽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생체 센서의 광원으로 제공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20)에서 제공된 광은 디스플레이(120)에 접촉되는 인체의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 혈류량 등)를 측정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의 일부 영역(예: 제 2 영역(122))의 하단에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생체 센서가 배치 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20)의 일부 영역(예: 제 2 영역(122))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디스플레이(120)의 하단에 배치된 생체 센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광원(예: 픽셀)에서 조사된 광이 디스플레이 외부로 조사되고 이 빛이 디스플레이 외부의 객체(예: 사용자의 손가락 )에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내부로 유입이 되고 생체 센서는 상기 유입된 반사광을 획득하여 상기 외부의 객체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생성 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자 장치(100)는 별도의 하드웨어 버튼(예: 홈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를 생체 센서로서 활용할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120)가 배치된 면과 동일한 면에 별도의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의 전체 영역이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에서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20)가 생체 정보 감지 기능을 위하여 사용될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영역 중 어떠한 영역을 접촉하더라도 지문이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할 경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120)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생체 정보가 감지된 디스플레이(120) 영역에 배치된 생체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나머지 디스플레이(120) 영역에 배치된 생체 센서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20)는 생체 센서(예: 수광 소자(140) 및 센서 구동 회로(149)), 불투명 층(141), 폴리머 필름(142),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43), 발광 소자 층(예: OLED(organic light element display) layer, 144), 터치 센서(145), 편광 필름(146), 윈도우(147), 및 광 필터(14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120) 배면(표시면의 반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생체 센서의 적어도 일부(예: 수광 소자(140)를 포함하는 생체 센서 모듈의 상부)는 불투명 층(14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것과 달리, 생체 센서는 불투명 층(141) 아래에 배치되거나, 폴리머 필름(142),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43), 발광 소자 층(144), 터치 센서(145), 편광 필름(146), 또는 윈도우(147) 내부나 이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생체 센서는 별도의 광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발광 소자 층(144)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센서는 지문 센서, 심박 센서, 스트레스 센서, 산소포화도 센서, 혈압 센서, 혈당 센서, 또는 피부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센서는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심박, 스트레스, 지문, 산소포화도, 혈압, 혈당, 또는 피부색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센서는 수광 소자(예: photo diode, 140) 및 센서 구동 회로(149)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수광 소자(140)는 디스플레이(120)에 접촉되는 사용자 신체(예: 손가락, 130)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여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 또는 영상)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반사되는 광은 디스플레이(120)의 구동에 의한 광이 신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구동 회로(149)는 수광 소자(140)를 통해 획득한 생체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불투명 층(141)은 디스플레이(120)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투명 층(141)은 전자 장치(10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 또는 디스플레이(120) 배면에 대한 충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폴리머 필름(142)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43)과 불투명 층(1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머 필름(142)은 전자 장치(100)의 강도를 높여줄 수 있고, 전자 장치(100)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머 필름(142)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polypropylene terephthalate, PPT), 아몰포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PET), 폴리나프탈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tere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글리세롤(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ETG), 트리아세틸셀룰로스(tri-acetyl-cellulose, TAC),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yclic olefin polymer, COP), 사이클로올레핀코폴리머(cyclic olefin copolymer, COC), 디시클로펜타디엔폴리머(polydicyclopentadiene, DCPD), 시클로펜타디엔폴리머 (cyclopentdienyl anions, CPD),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에테르이미드(poly ether imide, PEI), 변성 에폭시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예: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기판, 143)은 발광 소자 층(144)와 폴리머 필름(1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43)은 발광 소자 층(144)를 구동시키는 TFT(thin film transis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 층(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ayer, 144)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43)과 터치 센서(14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 층(144)는 픽셀 전극, 유기 발광층, 공통 전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유기 발광층은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예: TSP(touch screen panel), 145)는 발광 소자 층(144)와 편광 필름(14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145)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145)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전자기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등의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방식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방식이 상기 터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145)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유무와, 터치가 일어난 지점의 위치를 감지하여 터치 센서 회로(미도시)에 해당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편광 필름(146)은 터치 센서(145)과 윈도우(14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 필름(146)은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외광의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147)는 편광 필름(14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47)는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할 수 있고, 전면 플레이트 또는 글라스 플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광 필터(148)는 발광 소자 층(144)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고, 수광 소자(14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필터(148)는 수광 소자(140)에서 인식 가능한 특정 파장의 가시 광선을 제외한 모든 광을 필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광 필터(148)는 검정색을 띄는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생체 센서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광 필터(148)는 발광 소자 층(144) 내부 이외에도 사용자로부터 반사되는 광이 수광 소자(140)로 향하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 예: 도 1a의 제2 영역(122))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생체 센서(140, 예: 지문 센서) 실장 구조의 일 예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센서(140)는, 디스플레이 상(예: 디스플레이 위의 별도의 층(104), 또는 디스플레이 상면에 직접 형성 등)에 센싱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정전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센서는, 상기 층(104)에 초음파 송/수신기를 배치하여 초음파방식으로 구현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 하부에 생체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센서(140)는, 디스플레이(120)로부터 출력되는 광(예: 디스플레이(120)의 R, G, 또는 B 픽셀, 또는 디스플레이(120) 내부에 별도로 구현된 광원(예: IR LED 등)에서 출력되는 빛)을 광원으로 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광학식 생체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생체 센서(140)를 보호 하기 위해 생체 센서(140)와 디스플레이(120) 사이에 충격 완화부(107, 108)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생체 센서(140)를 디스플레이(120)의 적어도 일부 지정된 영역(예: 지문 센싱 영역(101))에 포함하여, 상기 지정된 영역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문 센싱 영역(101)는, 도 1a 의 제2 영역(122)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예: 활성화 영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별도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생체 센서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d 및 도 1e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도 1a의 121)에 배치된 픽셀(150)은 제 1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제 1 서브 픽셀(151), 제 2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제 2 서브 픽셀(152), 및 제 3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제 3 서브 픽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122)에 배치된 픽셀(160)은 제 1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제 1 서브 픽셀(161), 제 2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제 2 서브 픽셀(162), 제 3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제 3 서브 픽셀(163), 및 외부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16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도 1a의 120)의 제2 영역(122)에서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수광 소자(164)는 제2 영역(122)에 배치된 픽셀(160)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광 소자(164)는 모든 픽셀(150, 160)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121)에 배치된 수광 소자(164)는 비활성화 시킬 수 있고, 제2 영역(122)에 배치된 수광 소자(16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2 영역(122)을 디스플레이(120)의 다른 영역으로 변경할 경우, 변경된 제2 영역(122)의 수광 소자(164)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변경 전 제2 영역(122)의 수광 소자(164)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전체 영역에서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수광 소자(164)는 디스플레이(120)의 모든 픽셀(150, 160)에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가 검출된 지점에 대응하는 수광 소자(164)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활성화된 수광 소자(164)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수광 소자 (164)는 디스플레이(120) 하단에 배치 될 수 있다. 예컨대 수광 소자(164)는 디스플레이(120)의 제2 영역 (122)의 하단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출력출력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픽셀은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해상도에 따라 제1방향(X) 및 제2 방향(Y)에 배치되는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방향(X)은 전자 장치(100)의 장변 방향일 수 있고, 제2방향(Y)은 제1방향(X)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전자 장치(100)의 단변 방향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서브 픽셀(151, 161) 내지 제 3 서브 픽셀(153, 163)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제 1 색상 내지 제 3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픽셀(151, 161)은 적색(R), 제 2 서브 픽셀(152, 162)은 녹색(G) 및 제 3 서브 픽셀(153, 163)은 청색(B)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서브 픽셀(151, 161) 내지 제 3 서브 픽셀(153, 163)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은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광 소자(164)는 서브 픽셀에서 출력된 적외선 광을 센싱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iver)(또는 emission driver)(180)를 통해 제 1 서브 픽셀(151, 161) 내지 제 3 서브 픽셀(153, 163)에 전원을 인가하여 각 서브 픽셀의 발광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data driver)(170)는 각 픽셀(150, 160) 별로 데이터 값을 제공하여 각 픽셀(150, 160) 별로 고유의 색상 및 밝기를 표시하게 제어할 수 있다. 각 픽셀(150, 160)은 제 1 서브 픽셀(151, 161) 내지 제 3 서브 픽셀(153, 163)에 의해 고유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광 소자(164)는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전자 장치(300)에 근접하는 외부 물체(예: 손가락 등)에 반사되는 광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광 소자(164)는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필터링하기 위한 광 필터(예: 도 1b의 광 필터(148))를 포함하여, 광 필터(148)를 통하여 필터링된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의 광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수광 소자(164)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형성된 융선(ridge)과 융선 사이의 골(valley)에 의해 반사되는 서로 다른 광량을 검출하여 지문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수광 소자(164)는 사용자의 인체의 혈류에 의해 반사되는 광량을 검출하여 생체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수광 소자(164)는,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광 소자(164)는 게이트 드라이버(180)의 전원 공급 정보에 기반하여 서브 픽셀들(151 내지 163)의 발광 타이밍을 인지할 수 있다. 수광 소자(164)에서 수집한 광 정보는 생체 센서 구동 회로(19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에 배치되는 픽셀은 RGBG(red green blue green), RGBY(red green blue yellow) 또는 RGBW(red green blue white) 형태로 구성된 서브 픽셀들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200)는 도 1a 내지 도 1e의 전자 장치(100)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예: 도 1a의 전자 장치(100))는 버스(210), 프로세서(220), 메모리(230), 센서(240), 입출력 인터페이스(250), 디스플레이(260)(예: 도 1a의 디스플레이(120)) 및 통신 인터페이스(26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2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210)는,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220 내지 2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신호(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중앙처리장치(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communication processor(CP)), 터치 센서 회로(touch sensor IC), 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S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또는 생체 센서 회로(biometric sensor IC)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디스플레이 패널(260)과 생체 센서(241)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저전력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프로세서(220)가 슬립(sleep) 상태일 경우, 프로세서를 활성화(wake up)시키지 않고 저전력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생체 센서(241)에 의해 획득되는 생체 정보 및 디스플레이 패널(261)에 의해 획득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생체 정보 데이터 누적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생체 정보 데이터 누적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 지문 정보) 획득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도 1a의 122)에서 외부 객체(예: 손가락)가 검출된 경우,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200) 사용 시간 및 생체 정보(예: 지문) 획득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최초로 전자 장치(200)를 사용한 시점부터 현재까지 사용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기존에 누적된 생체 정보 획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200)의 사용 시간 및 생체 정보 획득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2 영역(122)의 계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200)의 사용 시간에 기반하여 기 지정된 계조 값에 보상 변수를 적용함에 따라 계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누적된 생체 정보 획득 횟수를 감안하여 계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설정된 계조 값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60)를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설정된 계조 값에 기반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60)에 표시할 수 있고, 제2 영역(122)에서 출력된 광을 생체 센서(241)에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디스플레이(260)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122)에서 출력되어 사용자의 신체에서 반사된 광을 생체 센서(241)를 이용하여 수광할 수 있고, 수광된 광을 분석하여 생체 정보(예: 사용자 지문)를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획득한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획득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기준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생체 정보를 입력한 사람이 전자 장치(200)의 사용자와 일치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픽셀 그룹 및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생체 센서(241)와 중첩하는 디스플레이(260)의 제2 영역(212)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212)에 배치된 복수의 픽셀들 중 짝수 번 째 열에 배치된 제1 픽셀 그룹과 홀수 번 째 열에 배치된 제2 픽셀 그룹을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생체 정보(예: 지문) 획득 이력에 기반하여 픽셀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지문 획득 이력에 기반하여 발광 횟수가 가장 적은 픽셀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감지할 때 구동할 순서에 해당하는 픽셀 그룹을 생체 센서(241)에 광을 제공할 픽셀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결정된 픽셀 그룹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지문 획득 이력에 기반하여 발광 횟수가 가장 적은 픽셀 그룹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획득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기준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생체 정보를 입력한 사람이 전자 장치(200)의 사용자와 일치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는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정의된 기준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 생체 변화 패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230)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기 위한 일반 영역과 보안에 민감한 정보(예: 지문 획득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보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200)는 메모리(230)와 별도의 구성으로 보안에 민감한 정보를 저장할 보안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240)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거나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2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검출,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240)는, 예를 들면, 터치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color) 센서(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241), 조도 센서, 또는 IR(infrared)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250)는 홈 버튼, 전원 버튼 및 볼륨 제어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전자 장치(2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는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는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60)는 디스플레이(260)에 접촉된 사용자의 인체 일부에 대한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60)는 디스플레이(260)의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서브 픽셀들(red, green, blue) 중 전자 장치(200)에서 획득하기 위한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통해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는 수광 소자를 통해 인체의 일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집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전자 장치(200)와 외부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서버)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80)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220)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61)로 구동 신호(예: 드라이버 구동 신호, 게이트 구동 신호 등)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80)는,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61)을 구동시켜 생체 센서(241)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61)은,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61)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61)은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61)은 전자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케이스의 커버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생체 센서 구동 회로(290)는, 예를 들면, 생체 센서(241)와 (전송 신호(TX), 수신 신호(RX), 자극 신호(shield) 등)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생체 센서 구동 회로(290)는 생체 센서(241)와 송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생체 센서 구동 회로(290)는 디스플레이(26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센서 구동 회로(290)는 디스플레이(26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260)를 발광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260)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센서(241)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심박, 스트레스, 지문, 산소포화도, 혈압, 혈당, 또는 피부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생체 센서(241)는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전자 장치(200)에 근접하는 외부 물체(예: 손가락 등)에 반사되는 광을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광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생체 센서(241)는 디스플레이(26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260)에 근접한 사용자의 신체와 관련된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생체 센서(241)는 지문 센서, 심박 센서, 스트레스 센서, 산소포화도 센서, 혈압 센서, 혈당 센서, 또는 피부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생체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픽셀들 중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포함된 제 1 픽셀 및 제 2 픽셀이 사용된 이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픽셀 및 상기 제 2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선택하고,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통해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상기 생체 센서를 통해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을 확인하고, 및 상기 확인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선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은 서브 픽셀이 출력하는 광의 색,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 또는 서브 픽셀의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값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휘도를 설정하고, 및 상기 설정된 휘도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발광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함된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을 확인하고,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서브 픽셀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고, 및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이 존재할 경우, 상기 확인된 사용 수명에 기반하여 서브 픽셀의 계조 값을 갱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된 광이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투과한 광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생체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고, 전자 장치의 사용 시간 또는 생체 정보 획득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시간 또는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의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2 영역의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휘도를 설정하고, 및 상기 설정된 제2 영역의 휘도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센서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센서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생체 센서를 활성화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을 확인하고,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고, 및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이 존재할 경우, 상기 확인된 사용 수명에 기반하여 서브 픽셀의 계조 값을 갱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휘도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휘도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휘도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일 경우, 잔상 보상 프레임을 추가하고, 및 상기 추가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발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주변 광을 검출하고, 주변 광의 색과 제1 영역의 색의 차이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지 결정하고, 상기 주변 광의 색과 상기 제1 영역의 색의 차이가 임계 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1 영역의 색을 조정한 잔상 보상 프레임을 생성하고, 및 상기 생성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발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된 광이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투과한 광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은 생체 입력 시간, 생체 입력 지점, 생체 입력 순서,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 중에서 생체 정보가 획득된 픽셀 그룹의 이력, 또는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에 포함된 픽셀 그룹의 발광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생체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픽셀 그룹 및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을 확인하고,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이력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픽셀 그룹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센서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센서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생체 센서를 활성화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은 생체 입력 시간, 생체 입력 지점, 생체 입력 순서,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 중에서 생체 정보가 획득된 픽셀 그룹의 이력, 또는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에 포함된 픽셀 그룹의 발광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을 확인하고, 및 상기 확인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선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은 서브 픽셀이 출력하는 광의 색,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 또는 서브 픽셀의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및 상기 출력된 광이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투과한 광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계조 값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도 2의 전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예: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예: 도 1a의 전자 장치(100))는 동작 301에서,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도 1a의 122)에서 외부 객체(예: 손가락)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는, 제2 영역(122)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입력, 또는 잠금 화면 표시 중에 생체 정보 입력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303에서, 전자 장치(200) 사용 시간 또는 생체 정보(예: 지문) 획득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최초로 전자 장치(200)를 사용한 시점부터 현재까지 사용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한 시간은 사용자가 최초로 전자 장치(200)를 사용한 날짜부터 현재 날짜까지 기산한 기간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사용한 시간은 실제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의 전원을 ON한 시간을 누적한 시간이거나 전자 장치(200)의 스크린을 ON한 시간을 누적한 시간일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 지문)를 획득할 때마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 획득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누적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은 생체 입력 시간, 생체 입력 지점, 생체 입력 순서,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 중에서 생체 정보가 획득된 픽셀 그룹의 이력, 또는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에 포함된 픽셀 그룹의 발광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305에서, 전자 장치(200)의 사용 시간 또는 생체 정보 획득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2 영역(122)의 값을 설정하여 제 2영역(122)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200)의 사용 시간 또는 생체 정보 획득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2 영역(122)에 표시될 이미지의 계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200)의 사용 시간에 기반하여 제2 영역(122)의 계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200)의 사용 시간에 기반하여 기 지정된 계조 값에 보상 변수(a)를 적용함에 따라 계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패널 전체 휘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히 감소될 수 있으며 (예: 2년 20%감소) 제2 영역(122)의 경우생체 센서(도 2b의 241)에 광을 제공함에 따라 열화가 더욱 빠르게 진행될 수 있고, 제2 영역(122)의 실제 휘도(예: 디스플레이(도 2a의 260)에서 실제로 발광되는 광의 휘도)는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설정 휘도(디스플레이(260)에서 발광되는 광의 목표 휘도)보다 낮게 나올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122)의 열화를 고려하여 전자 장치(200)의 사용 시간에 따른 보상 변수(a)를 설정할 수 있고, 보상 변수(a)가 반영된 계조 값에 따라 표시할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200)의 사용 시간이 커질수록 점진적으로 보상 변수(a)를 높일 수 있고, 보상 변수(a)가 점진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계조 값도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20)는,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 기간(월)에 대응하는 보상 변수(a) 및 보상 변수(a)가 반영된 계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2 영역(122)은 설정된 계조 값에 기반하여 설정 휘도가 높아질 수 있고, 제2 영역(122)의 열화를 반영하여 높아진 설정 휘도에 따라 제2 영역(122)의 실제 휘도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계조 값 230을 갖는노란색의 설정 휘도가 830일 경우, 프로세서(220)는 사용 기간에 따라 상기 노란색의 계조 값을 변경시킬 수 있고, 변경된 계조 값에 따라 상기 노란색의 설정 휘도가 올라갈 수 있고, 설정 휘도가 올라가더라도 실제 휘도는 830으로 일정할 수 있다. 동일하게 광원부의 휘도를 유지하면 지문센서의 일정한 성능 보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보상 변수(a) 기간(월) 계조 값 설정 휘도 실제 휘도
0.9 1 230 830 830
0.91 4 232 870
0.92 7 235 910
0.93 10 237 950
0.94 13 240 990
0.95 16 242 1030
0.96 19 245 1070
0.97 22 247 1100
0.98 26 250 1140
0.99 29 252 1170
1 36 255 1200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은 생체 정보 획득 이력에 기반하여 제2 영역(122)의 계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누적된 생체 정보 획득 횟수를 감안하여 계조 값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계조 값에 기반하여 제2 영역(122)의 설정 휘도가 올라갈 수 있고, 제2 영역(122)의 실제 휘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122)의 열화를 고려하여 생체 정보 획득 횟수의 누적 값을 일정 단위(예: 90회)로 구분할 수 있고, 일정 단위로 생체 정보 획득 횟수가 누적될 때마다 계조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200) 사용 시간 및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을 모두 고려하여 계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200) 사용 시간에 따라 계조 값을 설정하면서 일정 횟수 이상 생체 정보 획득 횟수가 누적될 경우 보상 변수(a)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조 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이와 반대로 프로세서(220)는 생체 정보 획득 이력에 기반하여 계조 값을 설정하면서 전자 장치(200) 사용 시간이 기준 단위 기간(예: 1개월)을 도과할 때마다 계조 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200)의 사용 시간 및 생체 정보 획득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1 영역(도 1a의 121)의 계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앞서 설명한 제2 영역(122)의 계조 값을 변경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1 영역(121)의 계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영역(122)은 생체 센서에 별도로 광을 제공하므로 제1 영역(121)보다 열화가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122)에 적용되는 보상 변수(a)보다 제1 영역(121)에 적용되는 보상 변수를 높게 설정하여 제2영역과 동일한 수준으로 열화를 의도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122)의 설정된 계조 값보다 제1 영역(121)의 계조 값을 더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보상 변수와 설정되는 계조 값의 수치를 제외하고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은 동일한 방법으로 열화가 진행되어 잔상이 최소화 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가 설정된 계조 값이 반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도 2b의 280)에 전달하거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80)가 직접 설정한 계조 값이 반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패널(도 2b의 261)에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307에서, 설정된 제2 영역(122)의 값에 기반하여 제2 영역(122)의 휘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설정된 제2 영역(122)의 계조 값에 기반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설정된 휘도에 따라 디스플레이(260)에 표시할 수 있고, 설정된 휘도에 따라 제2 영역(122)에서 출력된 광을 생체 센서(241)에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60)에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제2 영역(122)에서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2 영역(122)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를 위해 출력되는 광만 생체 센서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생체 정보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프로세서(220)는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중에 제2 영역(122)의 휘도를 더 높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 시간 또는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은 미리 빅데이터 등에 의해 얻어진 값을 활용하여 보상 변수 (a) 값이 시간에 따라 변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309에서, 설정된 제2 영역(122)의 휘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60)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122)에서 출력된 광이 외부 객체(예: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반사되어 디스플레이(260)를 투과한 광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투과한 광은 생체 센서(241)를 이용하여 수광할 수 있고, 수광된 광을 분석하여 생체 정보(예: 사용자 지문)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311에서, 획득한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획득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 사용자 지문)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기준 생체 정보(예: 기준 지문 또는 기 저장된 사용자 지문)를 비교하여 생체 정보를 입력한 사람이 전자 장치(200)의 사용자와 일치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도 3에 개시된 제2 영역(122)의 계조 값을 설정하는 동작과 도 9a 및 도 9b에 개시된 제2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 광을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선택하는 동작을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00)는 설정된 계조 값에 따라 제2 영역에 포함된 일부 픽셀을 선택하여 생체 센서(241)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에 기반하여 서브픽셀 별 계조 값을 갱신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은 도 3의 동작 305에서 서브 픽셀 별 계조 값을 갱신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도 2의 전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예: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동작 401에서, 제2 영역(122)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200) 사용 시간 또는 생체 정보 획득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2 영역(122)의 서브 픽셀 별 계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403에서, 제2 영역(122)의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은 제1 서브 픽셀 내지 제3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서브 픽셀은 서로 다른 사용 수명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122)에 위치하는 각각의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405에서,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이 존재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가진 서브 픽셀은 열화가 상당 부분 진행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해당 서브 픽셀은 설정된 계조 값만으로는 원하는 휘도를 갖는 광을 출력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임계 값과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을 비교하여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값은 전체 사용 수명 대비 남은 사용 수명을 비교하여 산출한 값일 수 있다.
만약,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전자 장치(200)은 리턴하여 도 3의 동작 307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이 존재할 경우, 전자 장치(200)는 동작 407로 진행하여, 사용 수명에 기반하여 각각의 서브 픽셀의 값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색의 계조 값을 설정된 값보다 더 높이도록 갱신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200)는 리턴하여 동 3의 동작 307을 수행할 수 있다.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자 장치(200)는 서브 픽셀간 수명 차이가 임계 값보다 큰지 확인할 수 있다. 서브 픽셀간 수명 차이가 클수록 서브 픽셀간 휘도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전자 장치(200)는 서브 픽셀간 수명 차이에 기반하여 제2 영역(122)의 설정된 서브 픽셀 별 계조 값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서브 픽셀간 수명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일 경우, 서브 픽셀간 사용 수명에 비례하도록 각각의 서브 픽셀의 설정된 계조 값을 갱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도 2의 전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예: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예: 도 1a의 전자 장치(100), 도 6a의 전자 장치(600))은 동작 501에서,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612)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센서(도2b의 241)의 광원의 휘도가 높을수록 생체 인식률이 높아지므로 전자 장치(600)는 제1 영역(611)보다 제2 영역(612)의 휘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600)(예: 도 1a의 디스플레이(120), 도 2a의 디스플레이(260))의 제1 영역(611)과 제2 영역(612)에서 동일한 콘텐트를 표시할 경우, 프로세서(220)는 생체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제2 영역(612)의 휘도를 제1 영역(611)의 휘도보다 높일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612)에서 사용자 터치 입력이 검출될 경우, 제2 영역(612)의 휘도를 제1 영역(611)의 휘도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600)는 동작 503에서, 디스플레이(610)의 제1 영역(611)과 제2 영역(612)의 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600)가 (a) 상태인 경우, 제1 영역(611)에서 출력되는 광과 제2 영역(612)에서 출력되는 광을 측정하여 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a) 상태는 지문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제2 영역(612)의 휘도를 높인 경우일 수 있다.
전자 장치(600)는 동작 505에서, 제1 영역(611)과 제2 영역(612)의 휘도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2 영역(612)에서 광을 제공할 경우 제1 영역(611)과 제2 영역(612)의 휘도 차이가 임계 값 이상 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값은 제 1 영역과 제 2영역의 열화속도가 상이하여, 제 1 영역과 제 2영역 간의 색 편차 및/또는 휘도 편차로 인해 사용자에게 잔상으로 시인될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만약, 제1 영역(611)과 제2 영역(612)의 휘도 차이가 임계 값 미만일 경우, 전자 장치(600)는 동작 511로 진행하여 발광된 광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동작 513으로 진행하여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제1 영역(611)과 제2 영역(612)의 휘도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일 경우, 전자 장치(600)는 동작 507로 진행하여 잔상 보상 프레임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c)될 수 있고, 제2 영역(612)에서 생체 센서에 광을 제공(e)할 수 있고, 생체 센서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d)할 수 있다. 이러할 경우, 프로세서(220)는 디스플레이(260)의 구동을 (e)가 아닌 (f)와 같이 구동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612)에서 광을 제공하는 해당 프레임 전, 해당 프레임 이후, 또는 해당 프레임 전후 모두에 잔상 보상 프레임을 추가(f)할 수 있다. 여기서 잔상 보상 프레임은 제2 영역(612)에서 출력된 광의 색 및 휘도를 반영하여 제1 영역(611)을 생체 센서 구동 전후에 발광시킬 수 있는 프레임일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잔상 보상 프레임을 추가함에 따라 제1 영역(611)을 생체 센서 센싱 전후로 발광시킬 수 있고, 센싱 전후로 제1 영역(611)과 제2 영역(612)의 휘도 및 색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잔상 보상 프레임은 센싱 전후로 2개의 프레임이 추가되므로 잔상 보상 프레임의 휘도는 제2 영역(612)의 휘도의 1/2일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20)는 잔상 보상 프레임 추가에 따라 프레임 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서히 어두어지거나 밝아지는 디밍(dimming) 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잔상 보상 프레임이 전환되는 방식으로 수동 캘리브레이션 모드가 적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600)는 동작 509에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610)를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 이후,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610)를 발광할 수 있고, 제2 영역(612)에서 생체 센서에 광을 제공한 이후 다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610)를 발광할 수 있다.
전자 장치(600)는 동작 511 및 동작 513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511 및 동작 513은 도 3의 동작 309 및 동작 3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주변 광을 반영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주변 광을 반영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도 2의 전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예: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예: 도 1a의 전자 장치(100), 도 6a의 전자 장치(600), 도 8a의 전자 장치(800))는 동작 701에서,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30)는 제2 영역(612)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0)는 동작 703에서, 제1 영역(851)의 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3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40)를 통해 디스플레이(850)(예: 도 1a의 디스플레이(120), 도 2a의 디스플레이(260), 도 6a의 디스플레이(610))의 제1 영역(851)의 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0)는 동작 705에서, 조도 센서(860)를 이용하여 주변 광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3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동안 조도 센서(860)를 이용하여 주변 광의 색, 휘도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0)는 동작 707에서, 제1 영역(851)의 색과 주변 광의 색 차이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값은 제1 영역(851)과 주변 광의 색 차이로 인하여 제1 영역(851)이 사용자에게 두드러지게 인지되기 전의 경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30)는 검출한 주변 광의 색과 제1 영역(851)의 색을 서로 비교하여 임계 값을 초과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1 영역(851)의 색과 주변 광의 색 차이가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800)는 동작 713으로 진행하여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지문 센서(880)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동작 715로 진행하여 지문 센서 구동 회로(870)를 통해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제1 영역(851)의 색과 주변 광의 색 차이가 임계 값을 초과할 경우, 전자 장치(800)는 동작 709로 진행하여 제1 영역(851)의 색을 조정한 잔상 보상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주변 광과 제1 영역(851)의 색이 서로 다를 경우, 사용자는 제1 영역(851)이 두드러지게 시인되면서 제2 영역(852)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인증을 방해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830)는 주변 광의 색과 제1 영역(851)의 색이 일치되도록 잔상 보상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잔상 보상 프레임은 주변 광의 색이 반영된 제1 영역(85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0)는 동작 711에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3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40)에 생성한 잔상 보상 프레임을 전달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40)는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850)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20)는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할 경우에 디스플레이(850)를 (a) 상태가 아닌 (b)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0)는 동작 713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지문 센서(880)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동작 715에서 지문 센서 구동 회로(870)를 통해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713 및 동작 715는 도 3의 동작 309 및 동작 3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도 2의 전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예: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예: 도 1a의 전자 장치(100), 도 6a의 전자 장치(600), 도 8a의 전자 장치(800))는 동작 901에서, 외부 객체(예: 사용자의 손가락)의 생체 정보(예: 지문)를 감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디스플레이(도 2a의 260)의 제2 영역(도 1a의 122)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903에서, 생체 센서(도 2b의 24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예: 제2 영역(122))에 포함된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이 사용된 이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이 사용된 이력 정보는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이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생체 센서(241)에 광을 제공한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905에서, 사용된 이력 정보에 따라 제1 픽셀 및 제2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제1 픽셀이 생체 센서(241)에 광을 제공한 횟수와 제2 픽셀이 생체 센서(241)에 광을 제공한 횟수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 생체 센서(241)에 광을 제공한 횟수가 더 작은 픽셀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907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통해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생체 센서(241)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출력된 광이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디스플레이(260)를 투과한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생체 센서(241)를 통해 수광할 수 있고, 수광된 광을 분석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생체 센서(241)에 광을 제공할 광원을 서브 픽셀 단위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생체 센서(24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예: 제2 영역(122))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에 기반하여 복수의 서브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서브 픽셀은 생체 센서(241)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은 서브 픽셀이 출력하는 광의 색,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 또는 서브 픽셀의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프로세서(220)는 생체 정보 획득 이력에 기반하여 복수의 서브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선택할 수 있다.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도 3에 개시된 제2 영역(122)의 계조 값을 설정하는 동작과 도 9a 및 도 9b에 개시된 제2 영역(122)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 광을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선택하는 동작을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00)는 설정된 계조 값에 따라 제2 영역에 포함된 일부 픽셀 또는 일부 서브 픽셀을 선택하여 생체 센서(241)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에 기반하여 생체 센서(24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예: 제2 영역(122)의 값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생체 센서(24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값에 기반하여 생체 센서(24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휘도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휘도에 기반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발광시킬 수 있다.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생체 센서(241)에 광을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면서 이와 별도로 생체 센서(24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함된 서브 픽셀의 계조 값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선택하는 동작과 독립적으로 생체 센서(24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함된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을 확인하는 동작,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서브 픽셀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는 동작, 및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이 존재할 경우, 확인된 사용 수명에 기반하여 서브 픽셀의 계조 값을 갱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결정된 픽셀 그룹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결정된 픽셀 그룹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도 2의 전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예: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b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예: 도 1a의 전자 장치(100), 도 6a의 전자 장치(600), 도 8a의 전자 장치(800))는 동작 901에서,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도 1a의 122)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903에서, 복수의 픽셀 그룹 및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생체 센서(1020)와 중첩하는 디스플레이(1010)(예: 도 1a의 디스플레이(120), 도 2a의 디스플레이(260), 도 6a의 디스플레이(610))의 제2 영역(212)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도 10a와 같이 제2 영역(122)을 제1 픽셀 그룹(1011), 제2 픽셀 그룹(1012), 제3 픽셀 그룹(1013), 및 제4 픽셀 그룹(1014)으로 분할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122)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의 누적 획득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생체센서(1020)는, 디스플레이(1010) 상(예: 디스플레이(1010) 위의 별도의 층, 또는 디스플레이(1010) 상면에 직접 형성 등)에 센싱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정전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10)의 일부 영역(예: 도 1 a의 제 2 영역(122))의 하단에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생체 센서(1020)가 배치 될 수 있다. 예컨대, 생체 센서(1020)는 디스플레이(1010)의 아래에 실장된 회로 기반 위에 별도로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1010)의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905에서, 생체 정보(예: 지문) 획득 이력에 기반하여 픽셀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지문 획득 이력에 기반하여 발광 횟수가 가장 적은 픽셀 그룹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픽셀 그룹을 발광시켜 생체 센서(1020)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픽셀 그룹(1011), 제2 픽셀 그룹(1012), 제3 픽셀 그룹(1013), 및 제4 픽셀 그룹(1014)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 구동할 수 있고,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감지할 때 구동할 순서에 해당하는 픽셀 그룹을 생체 센서(1020)에 광을 제공할 픽셀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은 생체(예: 손가락) 입력(예: 터치) 시간, 생체 입력 지점, 생체 입력 순서, 생체 정보가 획득된 픽셀 그룹의 이력, 픽셀 그룹의 발광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0)(예: 도 1a의 전자 장치(100), 도 2a의 전자 장치(200), 도 6a의 전자 장치(600), 도 8a의 전자 장치(8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10)(예: 도 1a의 디스플레이(120), 도 2a의 디스플레이(260), 도 6a의 디스플레이(610), 도 8a의 디스플레이(810))의 제2 영역(1112)을 복수의 픽셀 그룹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1112)에 배치된 복수의 픽셀들 중 짝수 번 째 열에 배치된 픽셀들을 제1 픽셀 그룹(1113)으로 분할할 수 있고, 홀수 번 째 열에 배치된 픽셀들을 제2 픽셀 그룹(1114)으로 분할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20)는 제1 픽셀 그룹(1113) 및 제2 픽셀 그룹(1114)을 확인할 수 있고, 지문 획득 이력에 기반하여 제1 픽셀 그룹(1113) 또는 제2 픽셀 그룹(1114)를 생체 센서(1020)에 광을 제공할 픽셀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제1 픽셀 그룹(1113)과 제2 픽셀 그룹(1114)을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 때마다 교번하여 발광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된 픽셀 그룹은 일 예에 해당하고, 이외에도 픽셀 그룹은 체크무늬, 줄무늬, 또는 격자 무늬 등 다양한 형대로 분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907에서, 결정된 픽셀 그룹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도 10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픽셀 그룹(1012)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생체 센서(1020)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영역(1020)을 분할하여 구동함에 따라 제2 영역(1020)의 열화를 늦출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909에서,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획득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기준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생체 정보를 입력한 사람이 전자 장치(200)의 사용자와 일치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210)의 복수의 픽셀 그룹(1211 내지 1214) 중 어느 픽셀 그룹에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 지문. 1220)가 기준 횟수 이상으로 획득된 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제1 픽셀 그룹(1211) 및 제4 픽셀 그룹(1214)에서 기준 횟수 이상으로 생체 정보(1220)가 획득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20)는 제1 픽셀 그룹(1211)과 제4 픽셀 그룹(1214)의 열화를 늦추기 위해 제2 픽셀 그룹(1212) 및 제3 픽셀 그룹(1213)을 생체 센서에 광을 제공할 픽셀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할 경우, 프로세서(220)는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을 확인할 경우, 제2 픽셀 그룹(1212) 및 제3 픽셀 그룹(1213)으로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도록 디스플레이(1010)에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에 기반하여 생체 센서에 광을 제공할 서브 픽셀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이 임계 값 이하일 경우 해당 서브 픽셀을 제외하고 나머지 서브 픽셀을 이용하여 생체 센서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청색으로 발광하는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이 임계 값 이하일 경우, 프로세서(220)는 적색으로 발광하는 서브 픽셀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서브 픽셀만 이용하여 생체 센서(1020)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 전용 픽셀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도 2의 전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예: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1310)(예: 도 1a의 디스플레이(120), 도 2a의 디스플레이(260), 도 6a의 디스플레이(610), 도 8a의 디스플레이(810), 도 11의 디스플레이(1110))의 제2 영역(1330) 생체 센서 광 제공용 전용 픽셀(13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10)는 제2 영역(1330)에 제1 서브픽셀(1331), 제2 서브 픽셀(1332), 및 제3 서브 픽셀(1333)와 별도로 생체 센서 광 제공용 전용 픽셀(13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할 경우 생체 센서 광 제공용 전용 픽셀(1334)를 이용하여 생체 센서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도면 13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1310)의 제1 영역(1320)에도 생체 센서 광 제공용 전용 픽셀(13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제2 영역(1330)에 배치된 생체 센서 광 제공용 전용 픽셀(1334)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제1 영역(1320)에 배치된 생체 센서 광 제공용 전용 픽셀(1334)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2 영역(1330)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 변경된 제2 영역(1330)의 생체 센서 광 제공용 전용 픽셀(1334)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변경 전 제2 영역(1330)의 생체 센서 광 제공용 전용 픽셀(1334)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2 영역(1330)의 열화를 늦추기 위해 제2 영역(13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생체 센서를 디스플레이(1310)의 전 영역에 대응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이전 생체 정보를 획득할 때 광을 제공했던 제2 영역(1330)을 이용하지 않고, 디스플레이(1310)의 다른 영역을 제2 영역(133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할 경우, 프로세서(220)는 디스플레이(1310)를 통해 제2 영역(133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픽셀들 중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포함된 제 1 픽셀 및 제 2 픽셀이 사용된 이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픽셀 및 상기 제 2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통해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상기 생체 센서를 통해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은 서브 픽셀이 출력하는 광의 색,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 또는 서브 픽셀의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인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값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설정된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값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휘도를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휘도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발광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함된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을 확인하는 동작,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서브 픽셀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는 동작, 및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이 존재할 경우, 상기 확인된 사용 수명에 기반하여 서브 픽셀의 계조 값을 갱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된 광이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투과한 광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는 동작, 전자 장치의 사용 시간 또는 생체 정보 획득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시간 또는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값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설정된 제2 영역의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휘도를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제2 영역의 휘도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생체 센서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 센서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역의 계조 값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을 확인하는 동작,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는 동작, 및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이 존재할 경우, 상기 확인된 사용 수명에 기반하여 서브 픽셀의 계조 값을 갱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휘도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휘도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인지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휘도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일 경우, 잔상 보상 프레임을 추가하는 동작, 및 상기 추가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발광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주변 광을 검출하는 동작, 주변 광의 색과 제1 영역의 색의 차이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지 결정하는 동작, 상기 주변 광의 색과 상기 제1 영역의 색의 차이가 임계 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1 영역의 색을 조정한 잔상 보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발광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는 동작은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된 광이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투과한 광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은 생체 입력 시간, 생체 입력 지점, 생체 입력 순서,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 중에서 생체 정보가 획득된 픽셀 그룹의 이력, 또는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에 포함된 픽셀 그룹의 발광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는 동작,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픽셀 그룹 및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이력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 그룹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픽셀 그룹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생체 센서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 센서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은 생체 입력 시간, 생체 입력 지점, 생체 입력 순서,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 중에서 생체 정보가 획득된 픽셀 그룹의 이력, 또는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에 포함된 픽셀 그룹의 발광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은 서브 픽셀이 출력하는 광의 색,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 또는 서브 픽셀의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출력된 광이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투과한 광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400)에서 전자 장치(1401)(예: 도 1a의 전자 장치(100), 도 2의 전자 장치(200), 도 6a의 전자 장치(600), 도 8a의 전자 장치(800), 도 11의 전자 장치(1100))는 제 1 네트워크(14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4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4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404) 또는 서버(14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1)는 서버(14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4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1)는 프로세서(1420), 메모리(1430), 입력 장치(1450), 음향 출력 장치(1455), 표시 장치(1460), 오디오 모듈(1470), 센서 모듈(1476), 인터페이스(1477), 햅틱 모듈(1479), 카메라 모듈(1480), 전력 관리 모듈(1488), 배터리(1489), 통신 모듈(1490), 가입자 식별 모듈(1496), 및 안테나 모듈(14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4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460) 또는 카메라 모듈(14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4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4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420)(예: 도 2a의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4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4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476) 또는 통신 모듈(14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4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4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20)는 메인 프로세서(14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4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4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423)는 메인 프로세서(14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4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4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4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4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421)와 함께, 전자 장치(14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460), 센서 모듈(1476), 또는 통신 모듈(14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4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480) 또는 통신 모듈(14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30)는, 전자 장치(14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420) 또는 센서모듈(14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30)는, 휘발성 메모리(14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4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40)은 메모리(14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42), 미들 웨어(14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450)는, 전자 장치(14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4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4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4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4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460)(예: 도 1a의 디스플레이(120), 도 2a의 디스플레이(260), 도 6a의 디스플레이(610), 도 8a의 디스플레이(810), 도 11의 디스플레이(1110), 도 13의 디스플레이(1310))는 전자 장치(14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4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4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470)은, 입력 장치(14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455), 또는 전자 장치(14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4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476)은 전자 장치(14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4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4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4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4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478)는 전자 장치(14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4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4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4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4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4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488)은 전자 장치(14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489)는 전자 장치(14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490)은 전자 장치(14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402), 전자 장치(1404), 또는 서버(14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490)은 프로세서(14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490)은 무선 통신 모듈(14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4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4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4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4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4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4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4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4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490)(예: 무선 통신 모듈(14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499)에 연결된 서버(14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4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4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402, 1404) 각각은 전자 장치(14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4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4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4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436) 또는 외장 메모리(14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4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4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생체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픽셀들 중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포함된 제 1 픽셀 및 제 2 픽셀이 사용된 이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픽셀 및 상기 제 2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선택하고,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통해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상기 생체 센서를 통해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을 확인하고, 및
    상기 확인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선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은 서브 픽셀이 출력하는 광의 색,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 또는 서브 픽셀의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값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휘도를 설정하고, 및
    상기 설정된 휘도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발광시키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함된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을 확인하고,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고, 및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이 존재할 경우, 상기 확인된 사용 수명에 기반하여 서브 픽셀의 계조 값을 갱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된 광이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투과한 광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생체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고,
    전자 장치의 사용 시간 또는 생체 정보 획득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시간 또는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의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2 영역의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휘도를 설정하고, 및
    상기 설정된 제2 영역의 휘도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센서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센서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생체 센서를 활성화시키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을 확인하고,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고, 및
    임계 값보다 작은 사용 수명을 갖는 서브 픽셀이 존재할 경우, 상기 확인된 사용 수명에 기반하여 서브 픽셀의 계조 값을 갱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휘도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휘도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휘도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일 경우, 잔상 보상 프레임을 추가하고, 및
    상기 추가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발광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주변 광을 검출하고,
    주변 광의 색과 제1 영역의 색의 차이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지 결정하고,
    상기 주변 광의 색과 상기 제1 영역의 색의 차이가 임계 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1 영역의 색을 조정한 잔상 보상 프레임을 생성하고, 및
    상기 생성된 잔상 보상 프레임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발광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된 광이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투과한 광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은 생체 입력 시간, 생체 입력 지점, 생체 입력 순서,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 중에서 생체 정보가 획득된 픽셀 그룹의 이력, 또는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에 포함된 픽셀 그룹의 발광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생체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픽셀 그룹 및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을 확인하고,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이력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 그룹을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된 픽셀 그룹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센서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센서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생체 센서를 활성화시키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이력은 생체 입력 시간, 생체 입력 지점, 생체 입력 순서,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 중에서 생체 정보가 획득된 픽셀 그룹의 이력, 또는 상기 복수의 픽셀 그룹에 포함된 픽셀 그룹의 발광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을 확인하고, 및
    상기 확인된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선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의 속성은 서브 픽셀이 출력하는 광의 색, 서브 픽셀의 사용 수명, 또는 서브 픽셀의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객체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생체 정보 획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및
    상기 출력된 광이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투과한 광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KR1020170133121A 2017-10-13 2017-10-13 디스플레이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0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121A KR102400840B1 (ko) 2017-10-13 2017-10-13 디스플레이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201880066709.8A CN111213358A (zh) 2017-10-13 2018-10-12 用于获得生物测定信息的方法及用于其的装置
US16/158,510 US10885301B2 (en) 2017-10-13 2018-10-12 Method for obtain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18866603.6A EP3656115A4 (en) 2017-10-13 2018-10-12 PROCEDURE FOR OBTAIN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IT
PCT/KR2018/012058 WO2019074330A1 (en) 2017-10-13 2018-10-12 METHOD FOR OBTAIN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121A KR102400840B1 (ko) 2017-10-13 2017-10-13 디스플레이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48A true KR20190041648A (ko) 2019-04-23
KR102400840B1 KR102400840B1 (ko) 2022-05-24

Family

ID=6609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121A KR102400840B1 (ko) 2017-10-13 2017-10-13 디스플레이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85301B2 (ko)
EP (1) EP3656115A4 (ko)
KR (1) KR102400840B1 (ko)
CN (1) CN111213358A (ko)
WO (1) WO201907433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5079A1 (ko) * 2020-07-15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430360B2 (en) 2020-10-27 2022-08-30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US11527096B2 (en) 2020-01-29 2022-12-13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308B1 (ko) * 2016-03-02 2023-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제어하는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7292236B (zh) * 2017-05-22 2019-12-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指纹的采集方法及相关产品
KR102523369B1 (ko) * 2018-06-14 2023-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US20200089933A1 (en) * 2018-09-17 2020-03-19 Innolux Corporation Method of accessing a fingerprint recognition process
CN109256090B (zh) * 2018-11-16 2020-05-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画面的调节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20135306A (ja) * 2019-02-18 2020-08-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CN111582010B (zh) * 2019-02-19 2023-10-0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使电子装置接收指纹数据的方法及相关的电子装置
KR102655532B1 (ko) * 2019-05-14 2024-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광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049992B2 (en) * 2019-07-11 2021-06-29 Pix Art Imaging Inc. Dual wavelength light emitting device, dual wavelength light transceiving device and display
CN112487845A (zh) * 2019-09-11 2021-03-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指纹提示图案的显示方法、屏下指纹的解锁方法和装置
CN110785770A (zh) * 2019-09-26 2020-02-11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2883763B (zh) * 2019-11-29 2023-11-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号检测方法及电子设备
TWM607385U (zh) * 2020-02-20 2021-02-11 神盾股份有限公司 光感測元及使用其的光學生物特徵感測器
CN111627378B (zh) * 2020-06-28 2021-05-04 苹果公司 具有用于亮度补偿的光学传感器的显示器
EP3985555B1 (en) * 2020-08-21 2023-10-11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Image sensor, fingerprint detec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11658204B2 (en) * 2020-11-12 2023-05-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icroled display with pixelated sensors
CA3107522A1 (en) * 2021-01-29 2022-07-29 Sean Grant Wearable biometrics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4343A1 (en) * 2008-05-05 2009-11-05 Sonavation, Inc. Dynamic optimization of a biometric sensor
KR20140142370A (ko) * 2012-04-10 2014-12-11 이덱스 아사 생체정보의 감지
US20150030217A1 (en) * 2010-10-28 2015-01-29 Synaptics Incorporated Signal strength enhancement in a biometric sensor array
US20150242673A1 (en) * 2014-02-25 2015-08-27 Tara Chand Singhal Apparatus and method for a biometric sensor in a handhel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70220838A1 (en) * 2015-06-18 2017-08-03 Shenzhen Huiding Technology Co., Ltd. Under-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56961A1 (en) * 2006-08-15 2008-02-15 Ignis Innovation Inc. Oled compensation technique based on oled capacitance
JP4256888B2 (ja) * 2006-10-13 2009-04-22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CA2669367A1 (en) * 2009-06-16 2010-12-16 Ignis Innovation Inc Compensation technique for color shift in displays
KR20160007825A (ko) * 2014-07-02 2016-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화 검출 방법 및 표시 패널의 열화 검출 장치
US9465930B2 (en) * 2014-08-29 2016-10-11 Dropbox, Inc. Fingerprint gestures
KR102313733B1 (ko) 2014-11-13 2021-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픽셀들의 열화를 보상하는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037163B2 (en) * 2015-07-29 2018-07-31 Sandisk Technologies Llc Self-describing cluster association
US10635878B2 (en) * 2015-10-23 2020-04-28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Optical fingerprint sensor with force sensing capability
CN105702176B (zh) * 2016-04-12 2018-06-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具有指纹识别的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6409224A (zh) * 2016-10-28 2017-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驱动电路、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07168469B (zh) * 2017-06-20 2020-02-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指纹的采集方法及相关产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4343A1 (en) * 2008-05-05 2009-11-05 Sonavation, Inc. Dynamic optimization of a biometric sensor
US20150030217A1 (en) * 2010-10-28 2015-01-29 Synaptics Incorporated Signal strength enhancement in a biometric sensor array
KR20140142370A (ko) * 2012-04-10 2014-12-11 이덱스 아사 생체정보의 감지
US20150242673A1 (en) * 2014-02-25 2015-08-27 Tara Chand Singhal Apparatus and method for a biometric sensor in a handhel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70220838A1 (en) * 2015-06-18 2017-08-03 Shenzhen Huiding Technology Co., Ltd. Under-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7096B2 (en) 2020-01-29 2022-12-13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using the same
WO2022015079A1 (ko) * 2020-07-15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430360B2 (en) 2020-10-27 2022-08-30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6115A1 (en) 2020-05-27
US20190114458A1 (en) 2019-04-18
CN111213358A (zh) 2020-05-29
US10885301B2 (en) 2021-01-05
WO2019074330A1 (en) 2019-04-18
KR102400840B1 (ko) 2022-05-24
EP3656115A4 (en)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1648A (ko) 디스플레이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51323B1 (ko) 디스플레이의 균열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438880A1 (en) Display for recognizing fingerprint and electronic device
US20220157910A1 (en) Electronic device and illuminance sensing method based on display information on electronic device
CN111034161B (zh) 包括使用显示面板的结构的天线的电子装置
KR20190084397A (ko)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98537A (ko)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89578A (ko) 센서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20190019676A (ko) 디스플레이 광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19275A (ko)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전자 장치
KR20180114797A (ko)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04724A (ko) 생체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상태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와 관련된 인증을 수행 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2020011730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ouch input conditions based on type of touch input
US2019005683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ensing signals and storage medium
KR20190088159A (ko) 지문 센서가 시각적 인식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EP3660918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panel including electrodes having different shapes for respective areas
KR20190020481A (ko) 센서 및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전층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10043146A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90088800A (ko)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전자 장치
EP409941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ewing angle of display
US1137901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xels adjacent to sensor arranged inside display,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210094956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132497A (ko)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65324A (ko) 디스플레이 번-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190048944A (ko) 지문 영상 획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