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284A - 일회용 수세미 - Google Patents

일회용 수세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284A
KR20190041284A KR1020170132687A KR20170132687A KR20190041284A KR 20190041284 A KR20190041284 A KR 20190041284A KR 1020170132687 A KR1020170132687 A KR 1020170132687A KR 20170132687 A KR20170132687 A KR 20170132687A KR 20190041284 A KR20190041284 A KR 20190041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able
core
coating layer
substrate
sq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7282B1 (ko
Inventor
은상원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to KR1020170132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282B1/ko
Priority to PCT/IB2018/057869 priority patent/WO2019073423A1/en
Priority to TW107136064A priority patent/TW201929760A/zh
Publication of KR20190041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웹(web) 형태로 융착된 섬유사를 포함하는 기재를 포함하고, 섬유사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어; 및 코어에 코팅되는 코어 코팅층을 포함하고, 코어는 3 데니어 이상 6 데니어 이하의 굵기를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수세미{DISPOSABLE SCOURING PAD}
본 발명은 일회용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회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일회용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미는 식기 등에 묻은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세미는 보통 한번 소비자가 구매를 하게 되면 계속적으로 사용되고, 재사용을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내구성을 갖도록 제조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수세미는 사용이 반복되어 오염 물질이 잔류하여 표면이 오염되거나, 습한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서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반면에, 사용되는 동안 별도의 소독 과정을 거치지 않게 되는 등 위생상 좋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수세미 대비 낮은 제조 원가를 가져와 소비자가 일회 사용 후 버리도록 만들어지는 일회용 수세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일회 사용을 목적으로 제조되더라도 종래의 수세미에 비해 세정력이 동일한 일회용 수세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웹(web) 형태로 융착된 섬유사를 포함하는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사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표면에 코팅되는 코어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3 데니어 이상 6 데니어 이하의 굵기를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래의 수세미에 비하여 세정력은 저하되지 않지만 제조 원가가 줄어들고 일회 사용 후 재사용하기 어려워 일회 사용 후 버려져도 문제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일회용 수세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일회용 수세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와 비교예에 따른 수세미에 대한 두께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와 비교예에 따른 수세미에 대한 평량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와 비교예에 따른 수세미에 대한 내구성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에 대하여 세탁 시험을 통해 내구성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에 대하여 습윤 환경에서 내구성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회용 수세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일회용 수세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와 비교예에 따른 수세미에 대한 두께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와 비교예에 따른 수세미에 대한 평량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와 비교예에 따른 수세미에 대한 내구성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에 대하여 세탁 시험을 통해 내구성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와 비교예에 따른 수세미에 대하여 연마력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에 대하여 습윤 환경에서 내구성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회용 수세미(1)는, 웹(web) 형태로 융착된 섬유사(100)를 포함하는 기재(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웹 형태는 섬유사(100)가 상호 간의 일정한 방향성 없이 배열된 상태에서 서로 융착된 형태를 의미한다. 다만, 도 2 및 도 3에서는 섬유사(100)가 메쉬(mesh) 형태로 융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섬유사(100)가 웹 형태로 융착되어 기재(1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재(10)가 세정 대상과 직접 접촉되어 세정 대상의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기재(10)를 구성하는 섬유사(100)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어(110) 및 코어(110)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되는 코어 코팅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어(110)는 3 데니어(denier, De) 이상 6 데니어 이하의 굵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데니어란, 섬유사 등의 굵기를 나타내는 국제 단위로서, 일 예로, 9,000m의 길이를 갖는 섬유사의 중량(g)을 의미한다. 코어(110)의 굵기가 3 데니어 미만인 경우, 섬유사(100)가 끊어져 일회용 수세미(1)의 제조가 어렵다. 또한, 코어(110)의 굵기가 6 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 종래 수세미의 두께 및 평량 대비 일회용 수세미(1)의 두께 및 평량의 감소 정도가 미미해진다. 여기서, 평량은 단위 면적(sqm)당 일회용 수세미(1)의 중량(g)을 의미한다.
한편, 코어(110)는 일 예로 폴리에스터 파이버, 나일론 파이버 및 아크릴 파이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 코팅층(120)은 코어(110)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되어 기재(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 코팅층(120)은 인접하는 섬유사(100)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바인더(binder) 역할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코어 코팅층(120)은 인접하는 섬유사(100) 사이를 충진시키는 충진재(filler)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코팅층(120)은 라텍스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아크릴 수지 등과 같은 합성 수지 등을 포함하는 코어 코팅층 형성용 코팅액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 코팅층 형성용 코팅액은 코어(110)의 표면에 15g/sqm 이상 60g/sqm 이하의 평량으로 코팅될 수 있다.
한편, 코어 코팅층(120)이 코어(110)에 코팅되는 정도에 따라, 기재(10)의 내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코팅층(120)은 15g/sqm 이상 60g/sqm 이하의 평량으로 코어(110)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될 수 있다. 코어 코팅층(120)이 15g/sqm 미만의 평량으로 코어(110)에 코팅되는 경우, 코어 코팅층(120)이 코어(110)에 코팅되는 정도가 미미하고, 코어 코팅층(120)이 60g/sqm를 초과하는 평량으로 코어(110)에 코팅되는 경우, 코어 코팅층(120)에 의해 인접하는 섬유사(100) 간에 뭉침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사(100)의 적어도 일부에는 보강 코팅층(130)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코팅층(130)은 기재(10)의 표면 측에 위치하는 코어 코팅층(120)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코팅층(130)은 인접하는 섬유사(100) 사이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충진시켜서 인접하는 섬유사(100) 간의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코팅층(130)은 기재(10)에 130 g/sqm 이상 165 g/sqm 이하의 평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보강 코팅층(130)은 일 예로 라텍스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아크릴 수지 등과 같은 합성 수지 등을 포함하는 보강 코팅층 형성용 코팅액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 코팅층(130)은 보강 코팅층 형성용 코팅액이 기재(10)의 표면으로부터 기재(10) 내부의 적어도 일부까지 침투되어 코어 코팅층(120)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되는 스프레이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 코팅층 형성용 코팅액은 섬유사(100)의 적어도 일부에 스프레이 코팅 방식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레이 코팅 방식을 통해 소량의 코팅액으로 보강 코팅층(130)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보강 코팅층 형성용 코팅액이 코어 코팅층(120)의 표면에 더욱 집중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하,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1)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1. 두께 측정
(1) 실시예에 따른 샘플 제조
복수의 코어를 서로 융착시켜서 웹 형태를 갖는 기재를 준비하였다.
이어서, 코어 코팅층 형성용 코팅액을 15g/sqm 이상 60g/sqm 이하의 평량으로 코어의 표면에 코팅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에 따른 샘플에 대한 세부 스펙은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샘플
재료 폴리에스터 파이버
기재의 넓이(mm2) 50mm x 50mm
재료의 굵기(데니어) 6
기재의 두께(mm) 4
기재의 평량(g/sqm) 200
(2) 비교예에 따른 샘플 준비
실시예에 따른 샘플과 데니어, 두께 및 평량을 달리하는 샘플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3M Zero Scratch (제조사: 3M)
비교예에 따른 샘플에 대한 세부 스펙은 하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비교예에 따른 샘플
재료 폴리에스터 파이버
기재의 넓이(mm2) 50mm x 50mm
재료의 굵기(데니어) 15
기재의 두께(mm) 10
기재의 평량(g/sqm) 480
(3) 실시예에 따른 샘플과 비교예에 따른 샘플의 두께(mm)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샘플은 대략 10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실시예에 따른 샘플은 비교예에 따른 샘플과 비교하여 볼 때, 두께가 약 50% 이상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평량 측정
(1) 상술한 두께 측정과 동일하게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샘플을 준비하였다.
(2) 실시예에 따른 샘플과 비교예에 따른 샘플의 평량(g/sqm)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샘플은 400g/sqm 내지 500g/sqm 범위의 평량을 가지는 반면, 실시예에 따른 샘플은 비교예에 따른 샘플과 비교하여 볼 때, 평량이 약 50% 이상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내구성 시험 Ⅰ (Test of tensile strength)
(1) 상술한 두께 측정과 동일하게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샘플을 준비하였다.
(2) 세로 방향(machine direction, MD) 및 가로 방향(cross direction, CD)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샘플의 내구성(인장 강도)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샘플의 세로 방향의 인장 강도는 비교예에 따른 샘플의 세로 방향의 인장 강도에 비해, 약 40% 이상 감소되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샘플의 가로 방향의 인장 강도는 비교예에 따른 샘플의 가로 방향의 인장 강도에 비해, 약 30% 이상 감소되었다.
4. 내구성 시험 Ⅱ (Test of French washing machine)
(1) 상술한 두께 측정과 동일하게 실시예에 따른 샘플을 준비하였다.
(2) 실시예에 따른 샘플을 세탁기에 넣고 65℃에서 1시간 동안 세탁하여 실시예에 따른 샘플의 내구성을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세탁 이후 실시예에 따른 샘플은 세탁 이전의 샘플의 총 두께 대비 약 50% 이상이 파편화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5. 내구성 시험 Ⅲ (Test of tensile strength)
(1) 상술한 두께 측정과 동일하게 실시예에 따른 샘플을 준비하였다.
(2) 실시예에 따른 샘플을 물에 충분히 적시고, 상온에서 5분 동안 10개의 접시를 문지른 다음, 100℃에서 1시간 동안 오븐 건조시켰다. 그 후, 건조된 샘플의 세로 방향의 인장 강도 및 가로 방향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샘플은 수분에 의해 습윤되기 이전의 경우, 종래의 수세미의 내구성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내구성을 가지지만, 수분에 습윤된 이후의 경우에는, 실시예에 따른 샘플의 내구성이 약 70% 이상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시험 결과, 종래의 수세미의 내구성에 비해 실시예에 따른 샘플의 내구성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종래의 재사용이 가능한 수세미는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섬유사의 굵기를 굵게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수세미의 제조 원가가 낮지 않아, 일회용으로 판매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그러나, 시험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의 내구성이 감소된 정도가 일회용 수세미(1)를 이용하여 세정 대상을 일회 세정하는데 요구되는 내구성의 기준을 벗어나는 정도는 아님을 확인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일회용 수세미(1)의 내구성이 감소되더라도 일회용 수세미(1)를 일회 사용하는 데에는 전혀 지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일회용 수세미(1)의 제조 원가가 줄어들고, 일회 사용 후 재사용하기 어려워 소비자가 일회용 수세미(1)를 일회 사용 후 버리더라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1)는 일회용 수세미(1)에 의해 스크레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세정 대상, 예컨대, 코팅 프라이팬, 스테인리스 냄비 등을 고려하여 제작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일회용 수세미(1)에 의해 스크레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세정 대상, 예컨대, 플라스틱 용기 등을 고려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제시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1)는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웹(web) 형태로 융착된 섬유사(100)를 포함하는 기재(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0)는 섬유사(100)의 적어도 일부에 침투되거나 코팅되는 연마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연마재(140)를 더 포함하는 점이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원용한다.
연마재(140)는 세정 대상에 대한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마재(140)는 미네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마재(140)는 스프레이 코팅 방식으로 기재(10)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마재(140)는 기재(10)의 표면으로부터 기재(10)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까지 침투될 수 있다. 또한, 연마재(140)는 기재(10)의 표면 측에 위치하는 코어 코팅층(120)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마재(140)가 코어 코팅층(120)의 적어도 일부에 스프레이 코팅되므로, 세정력 증가에 요구되는 연마재(140)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연마재(140)가 코어 코팅층(120) 표면에 더욱 집중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한편, 연마재(140)는 코어 코팅층(120)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되거나, 코어 코팅층(120) 내부에 침투될 수 있다. 또한, 연마재(140) 중 일부가 코팅되고 나머지가 코어 코팅층(120)에 침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마재(140)는 인접하는 섬유사(100)와 섬유사(100)가 교차하거나 접하여 만나는 지점에 집중적으로 코팅 및 침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섬유사(100)가 교차하거나 접하여 만나는 지점에 연마재(140)가 더욱 집중됨으로써 섬유사(100) 간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연마재(140)는 1.5g/sqm 이상 2.0g/sqm 이하의 평량으로 섬유사(100)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되거나 침투할 수 있다. 이때, 연마재(140)가 1.5g/sqm 미만의 평량으로 섬유사(100)의 표면에 코팅되는 경우, 연마재(140)가 섬유사(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도가 미미하고, 연마재(140)가 2.0g/sqm를 초과하는 평량으로 섬유사(100)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되는 경우, 섬유사(100)의 표면에 연마재(140)가 과도하게 형성되어 연마재(140)에 의해 세정 대상에 스크래치가 형성되는 등의 세정 대상의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섬유사(100)의 표면에 연마재(140)가 코팅되므로, 연마재(140)에 의해 기재(10)와 세정 대상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일회용 수세미(1)의 세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사(100)의 적어도 일부에는 보강 코팅층(130)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연마재(140)는 기재(10)의 표면으로부터 기재(10) 내부의 적어도 일부까지 침투되어 기재(10)의 표면 측에 위치하는 보강 코팅층(130)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되는 스프레이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마재(140)는 인접하는 섬유사(100)와 섬유사(100)가 교차하거나 접하여 만나는 지점에 더 집중적으로 코팅 및 침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섬유사(100) 간의 결합력이 보강 코팅층(130)과 연마 코팅층(140)에 의해 모두 강화될 수 있다.
이하,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1)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1. 두께 측정
(1) 실시예에 따른 샘플 제조
복수의 코어를 서로 융착시켜서 웹 형태를 갖는 기재를 준비하였다.
이어서, 코어 코팅층 형성용 코팅액을 15g/sqm 이상 60g/sqm 이하의 평량으로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하고, 연마재를 1.5g/sqm 이상 2.0g/sqm 이하의 평량으로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에 따른 샘플에 대한 세부 스펙은 하기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샘플
재료 폴리에스터 파이버
기재의 넓이(mm2) 50mm x 50mm
재료의 굵기(데니어) 6
기재의 두께(mm) 4
기재의 평량(g/sqm) 360
(2) 비교예에 따른 샘플 준비
실시예에 따른 샘플과 재료, 데니어, 두께 및 평량을 달리하는 샘플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3M High Density (제조사: 3M)
비교예에 따른 샘플에 대한 세부 스펙은 하기 표 4에 기재되어 있다.
비교예에 따른 샘플
재료 나일론 파이버
기재의 넓이(mm2) 50mm x 50mm
재료의 굵기(데니어) 15
기재의 두께(mm) 10
기재의 평량(g/sqm) 688
(3) 실시예에 따른 샘플과 비교예에 따른 샘플의 두께(mm)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2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샘플은 대략 10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실시예에 따른 샘플은 비교예에 따른 샘플과 비교하여 볼 때, 두께가 약 50% 이상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평량 측정
(1) 상술한 두께 측정과 동일하게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샘플을 준비하였다.
(2) 실시예에 따른 샘플과 비교예에 따른 샘플의 평량(g/sqm)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3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샘플은 대략 580g/sqm 내지 700g/sqm의 평량을 가지는 반면, 실시예에 따른 샘플은 비교예에 따른 샘플과 비교하여 볼 때, 평량이 약 38% 이상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내구성 시험 Ⅰ (Test of tensile strength)
(1) 상술한 두께 측정과 동일하게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샘플을 준비하였다.
(2) 세로 방향(machine direction, MD) 및 가로 방향(cross direction, CD)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샘플의 내구성(인장 강도)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샘플의 세로 방향의 인장 강도는 비교예에 따른 샘플의 세로 방향의 인장 강도에 비해, 약 30% 이상 감소되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샘플의 가로 방향의 인장 강도는 비교예에 따른 샘플의 가로 방향의 인장 강도에 비해, 약 38% 이상 감소되었다.
4. 내구성 시험 Ⅱ (Test of French washing machine)
(1) 상술한 두께 측정과 동일하게 실시예에 따른 샘플을 준비하였다.
(2) 실시예에 따른 샘플을 세탁기에 넣고 65℃에서 1시간 동안 세탁하여 실시예에 따른 샘플의 내구성을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5를 참조하면, 세탁 이후 실시예에 따른 샘플은 세탁 이전의 샘플의 총 두께 대비 약 50% 이상이 파편화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다.
5. 연마력 시험 (Test of cleaning performance: abrasion)
(1) 상술한 두께 측정과 동일하게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샘플을 준비하였다.
(2) 실시예에 따른 샘플과 비교예에 따른 샘플을 지름이 10cm인 원형 형상으로 각각 컷팅하고, 컷팅된 샘플들을 연마력 측정 장비에 셋팅하였다. 이때, 컷팅된 샘플들은 각각 지름이 10cm인 원형 형상의 아크릴판 상에 안착되도록 셋팅되었다.
연마력 측정 장비를 구동시켜 샘플들을 5000번 회전 운동시킨 후, 아크릴판의 전후 중량 차이를 이용하여 아크릴판이 얼마나 연마되었는지 확인하고, 이를 통해, 샘플들의 연마력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연마력 시험 결과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샘플은 비교예에 따른 샘플에 비해 약 36% 이상 감소된 연마력을 나타내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수세미(비교예)의 연마력에 비해 실시예의 연마력이 감소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른 샘플은 수세미의 세정력에 요구되는 최소 연마력인 1.5g보다는 큰 연마력을 가짐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샘플의 세정력에는 전혀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6. 내구성 시험 Ⅲ (Test of tensile strength)
(1) 상술한 두께 측정과 동일하게 실시예에 따른 샘플을 준비하였다.
(2) 실시예에 따른 샘플을 물에 충분히 적시고, 상온에서 5분 동안 10개의 접시를 문지른 다음, 100℃에서 1시간 동안 오븐 건조시켰다. 그 후, 건조된 샘플의 세로 방향의 인장 강도 및 가로 방향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샘플은 수분에 의해 습윤되기 이전의 경우, 종래의 수세미의 내구성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내구성을 가지지만, 수분에 습윤된 이후의 경우에는, 실시예에 따른 샘플의 내구성이 약 70% 이상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하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웹(web) 형태로 융착된 섬유사를 포함하는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사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어; 및 상기 코어에 코팅되는 코어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3 데니어 이상 6 데니어 이하의 굵기를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이다.
항목 2는 상기 코어 코팅층은 15g/sqm 이상 60g/sqm 이하의 평량을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이다.
항목 3은 상기 코어 코팅층은 라텍스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및 아크릴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회용 수세미이다.
항목 4는 상기 기재는 3.0mm 이상 6.0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이다.
항목 5는 상기 기재는 150g/sqm 이상 250g/sqm 이하의 평량을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이다.
항목 6은 상기 기재는 9kgf 이상 20kgf 이하의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를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이다.
항목 7은 상기 기재는 상기 섬유사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되는 보강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일회용 수세미이다.
항목 8은 상기 기재는 상기 섬유사의 적어도 일부에 침투되거나 코팅되는 연마재를 더 포함하는, 일회용 수세미이다.
항목 9는 상기 연마재는 1.5g/sqm 내지 2.0g/sqm의 평량을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이다.
항목 10은 상기 연마재는 미네랄을 포함하는, 일회용 수세미이다.
항목 11은 상기 기재는 270g/sqm 이상 350g/sqm 이하의 평량을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이다.
항목 12는 상기 기재는 10kgf 이상 25kgf 이하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이다.
항목 13은 상기 기재는 상기 보강 코팅층의 적어도 일부에 침투되거나 코팅되는 연마재를 더 포함하는, 일회용 수세미이다.
항목 14는 상기 보강 코팅층은 130 g/sqm 이상 165 g/sqm 이하의 평량을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세미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일회용 수세미 10: 기재
100: 섬유사 110: 코어
120: 코어 코팅층 130: 보강 코팅층
140: 연마재

Claims (14)

  1. 웹(web) 형태로 융착된 섬유사를 포함하는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사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어; 및
    상기 코어에 코팅되는 코어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3 데니어(denier) 이상 6 데니어 이하의 굵기를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코팅층은 15g/sqm 이상 60g/sqm 이하의 평량을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코팅층은 라텍스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및 아크릴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회용 수세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3.0mm 이상 6.0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150g/sqm 이상 250g/sqm 이하의 평량을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9kgf 이상 20kgf 이하의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를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섬유사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되는 보강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일회용 수세미.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섬유사의 적어도 일부에 침투되거나 코팅되는 연마재를 더 포함하는,
    일회용 수세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재는 1.5g/sqm 내지 2.0g/sqm의 평량을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재는 미네랄을 포함하는,
    일회용 수세미.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270g/sqm 이상 350g/sqm 이하의 평량을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10kgf 이상 25kgf 이하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보강 코팅층의 적어도 일부에 침투되거나 코팅되는 연마재를 더 포함하는,
    일회용 수세미.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코팅층은 130 g/sqm 이상 165 g/sqm 이하의 평량을 가지는,
    일회용 수세미.
KR1020170132687A 2017-10-12 2017-10-12 일회용 수세미 KR102387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687A KR102387282B1 (ko) 2017-10-12 2017-10-12 일회용 수세미
PCT/IB2018/057869 WO2019073423A1 (en) 2017-10-12 2018-10-10 DISPOSABLE CLEANING PAD
TW107136064A TW201929760A (zh) 2017-10-12 2018-10-12 拋棄式擦洗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687A KR102387282B1 (ko) 2017-10-12 2017-10-12 일회용 수세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284A true KR20190041284A (ko) 2019-04-22
KR102387282B1 KR102387282B1 (ko) 2022-04-15

Family

ID=6410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687A KR102387282B1 (ko) 2017-10-12 2017-10-12 일회용 수세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87282B1 (ko)
TW (1) TW201929760A (ko)
WO (1) WO201907342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607A (ko) * 2003-12-23 2006-10-2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티슈 웹 및 다른 부직포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KR20110000452U (ko) * 2009-07-09 2011-01-17 박정아 일회용 수세미
KR20110117730A (ko) * 2003-04-25 2011-10-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청소용 소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306966A (pt) * 1992-08-24 1999-01-12 Minnesota Mining & Mfg Artigo não-tecido e processo de produção do mesmo
EP1212972B1 (en) * 2000-10-13 2015-12-09 Kao Corporation Cleaning sheet for cleaning a piled surface
WO2008123880A1 (en) * 2007-04-05 2008-10-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couring web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730A (ko) * 2003-04-25 2011-10-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청소용 소재
KR20060111607A (ko) * 2003-12-23 2006-10-2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티슈 웹 및 다른 부직포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KR20110000452U (ko) * 2009-07-09 2011-01-17 박정아 일회용 수세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282B1 (ko) 2022-04-15
TW201929760A (zh) 2019-08-01
WO2019073423A1 (en)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7045C (en) Cleaning cloth
CA2203692A1 (en) A flat mop head for cleaning floors
CN101933788A (zh) 具有复合结构的表面清洁制品及其制造方法
US20120017937A1 (en) Cleaning kit and method
US20190046005A1 (en) Scrub Sponge with Selectively Accessible Abrasive Region
US20060123573A1 (en) Flocked substrates for use as scouring materials
WO2012121557A2 (ko) 다용도 세척용 패드
US7861358B2 (en) Hand towel with attached scrubber
JP4629489B2 (ja) 払拭部材及び洗浄具
CN1678233B (zh) 用作擦洗材料的植绒基材
KR20190041284A (ko) 일회용 수세미
WO2009082136A1 (en) A cloth for knitting having microfiber
US6491998B1 (en) Wet cleaning cloth
WO1997016994A1 (fr) Brosse
KR101021091B1 (ko) 피브이에이 폴리우레탄폼 클린패드 제조방법 및 그클린패드
CN2912503Y (zh) 一种清洁抛光钢丝棉块
JP3077369U (ja) 多目的スポンジたわし
KR200229286Y1 (ko) 세척 수세미
EP3928672B1 (en) Cleaning cloth having a dual cleaning function
CN106795661B (zh) 线状的纺织构成物
CN213850581U (zh) 一种擦鞋用干巾
WO2023147393A1 (en) Floor cleaning pad
WO2023223202A1 (en) A cleaning device for removably attaching to a mop head
JP2021019816A (ja) 洗浄具
CN112533522A (zh) 专用织物和包括所述织物的拖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