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998A - 근접 감지 기능을 갖춘 입력 장치의 손가락 추적 - Google Patents

근접 감지 기능을 갖춘 입력 장치의 손가락 추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998A
KR20190040998A KR1020197008410A KR20197008410A KR20190040998A KR 20190040998 A KR20190040998 A KR 20190040998A KR 1020197008410 A KR1020197008410 A KR 1020197008410A KR 20197008410 A KR20197008410 A KR 20197008410A KR 20190040998 A KR20190040998 A KR 20190040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ouch
detectable object
drive
driv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186B1 (ko
Inventor
재러드 쥐. 바이더웨이
데이비드 씨. 테일러
존 알랜 버트랜드
Original Assignee
서크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크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서크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4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conductive element covering the whole sensing surface, e.g. by sensing the electrical current flowing at the cor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손으로 터치 센서를 잡고 있는 사용자에 대해 시변 전압 또는 구동 신호를 구동하고, 손가락이 터치 센서의 감지 전극의 근접 감지 거리 내에 있을 때 터치 센서 상에 있는 감지 전극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엄지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터치 및 근접 감지 터치 센서의 근접 감지 거리를 증가시켜 터치 센서의 근접 감지 모드에서 사용자를 감지 가능한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다.

Description

근접 감지 기능을 갖춘 입력 장치의 손가락 추적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터치 및 근접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터치 및 근접 감지 장치를 잡고 있는 손가락의 추적을 향상시키는 능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량성 유량 센서에 대한 몇 가지 설계가 있다. 임의의 용량 감지 터치 패드가 본 발명의 이점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터치 센서의 근본적인 기술을 조사하는 것이 유용하다.
CIRQUE® Corporation 터치 패드는 상호 용량-감지 장치이고, 도 1의 블록도로 예시가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0)에서, X 전극(12) 및 Y 전극(14)의 그리드와 감지 전극(16)은 터치 패드의 터치 감지 영역(18)을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드(10)는 대략 16 x 12의 전극, 또는 공간의 제약이 있을 때, 8 x 6의 전극의 직사각형 그리드이다. 이러한 X 전극(12) 및 Y 전극(14) (또는 행 전극 및 열 전극)으로 인터레이스(interlace)된 것이 단일 감지 전극(16)이다. 모든 위치 측정은 감지 전극(16)을 통해 이루어진다.
CIRQUE® Corporation 터치 패드(10)는 감지 라인(16) 상의 전하의 불균형을 측정한다. 터치 패드(10) 상에 또는 그 근처에 포인팅 물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터치 패드 회로(20)는 균형 상태에 있고, 감지 라인(16) 상에 전하 불균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물체가 접촉 표면(터치 패드(10)의 감지 영역(18))에 접근하거나 접촉할 때 용량성 커플링으로 인해 포인팅 물체가 불균형을 생성하는 경우, 전극(12, 14) 상에서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발생한다. 측정되는 것은 커패시턴스의 변화이며, 전극(12, 14) 상의 절대 커패시턴스 값은 아니다. 터치 패드(10)는 감지 라인 상의 전하의 균형을 복구하거나 되찾기 위해 감지 라인(16) 상에 주입되어야 하는 전하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결정한다.
상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터치 패드(10) 상에 또는 이에 근접한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예시는 행 전극(12)을 설명하고, 열 전극(14)에 대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반복된다. 행 및 열 전극 측정으로부터 얻어진 값은 터치 패드(10) 상에 또는 그 부근의 포인팅 물체의 중심인 교차점을 결정한다.
제1 단계에서, 행 전극(12)의 제1 세트는 P, N 생성기(22)로부터의 제1 신호로 구동되며, 상이하지만 인접한 행 전극의 제2 세트는 P, N 생성기로부터의 제2 신호로 구동된다. 터치 패드 회로(20)는 상호 용량 측정 장치(26)를 사용하여 감지 라인(16)으로부터 어느 행 전극이 포인팅 물체에 가장 근접한지를 나타내는 값을 얻는다. 그러나, 일부 마이크로 컨트롤러(28)의 제어하에 있는 터치 패드 회로(20)는 여전히 행 전극의 어느 측면에 포인팅 물체가 위치하는지 결정할 수 없으며, 터치 패드 회로(20)는 포인팅 물체가 전극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위치하는지 결정할 수도 없다. 따라서, 시스템은 구동될 전극(12)의 그룹 중 하나의 전극을 시프트시킨다. 다시 말해, 그룹의 일 측의 전극이 추가되는 한편, 그룹의 반대 측의 전극은 더 이상 구동되지 않는다. 그 다음, 새로운 그룹이 P, N 생성기(22)에 의해 구동되고, 감지 라인(16)의 두 번째 측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두 측정으로부터, 행 전극의 어느 측에 포인팅 물체가 위치하고,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측정된 2개의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는 식을 사용하여 포인팅 물체의 위치 결정이 수행된다.
CIRQUE® Corporation 터치 패드의 감도 또는 해상도는 행 전극 및 열 전극의 16 x 12 그리드가 나타내는 것보다 훨씬 높다. 해상도는 일반적으로 인치 당 약 960 카운트 또는 그 이상이다. 정확한 해상도는 컴포넌트의 감도, 동일한 행과 열 상의 전극(12, 14) 사이의 간격 및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은 다른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과정은 P, N 생성기(24)를 사용하여 Y 전극 또는 열 전극(14)에 대해 반복된다.
전술한 CIRQUE® 터치 패드가 X 전극 및 Y 전극(12, 14)의 그리드 및 별도의 단일 감지 전극(16)을 사용하지만, 감지 전극은 실제로 멀티플렉싱(multiplexing)을 사용하는 X 전극 또는 Y 전극(12, 14)일 수 있다.
핸드헬드(Handheld) 또는 휴대용 전자 장치는 최근 수년 동안 대량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스마트폰,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휴대용 비디오 게임, TV 리모컨, 카메라, 증강 현실 안경, 가상 현실 안경,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휴대용 전자 기기와 상호 작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능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하나의 과제는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자 입력을 만드는 것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시는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터치 표면 또는 터치 센서와의 접촉뿐 아니라, 3차원 공간에서도 손가락을 추적하려는 욕구이다.
일반적인 용량성 터치 센서는 상호 용량 또는 자기 용량 모드에서 작동한다. 상호 용량 모드에서, 구동 전극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가변 전압으로 구동되고, 감지 전극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극은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손가락 또는 다른 전도성 물체가 동일 평면 상의 X 전극 및 Y 전극 그리드의 송신(구동 전극) 및 수신(감지 전극) 전극 사이의 교차부 부근에 오면, 포인팅 물체가 접지될 때 구동 및 감지 전극 사이의 신호 커플링이 감소하거나, 포인팅 물체가 소형의 전기적 유동 물체일 때 신호 커플링이 증가할 수 있다.
자기-용량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감지 전극의 용량성 부하가 측정되는 동안 가변 전압으로 구동된다. 접지된 전도성 물체가 X 전극 및 Y 전극 부근에 오면, 감지 전극 상의 용량성 부하가 증가한다. 상호 용량과 자기 용량 방법 모두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에서의 물체 검출에 국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손으로 터치 센서를 잡고 있는 사용자에 대해 시변 전압 또는 구동 신호를 구동하고, 손가락이 터치 센서의 감지 전극의 근접 감지 거리 내에 있을 때 터치 센서 상에 있는 감지 전극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엄지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터치 및 근접 감지 터치 센서의 근접 감지 거리를 증가시켜 터치 센서의 근접 감지 모드에서 사용자를 감지 가능한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이점 및 대안적인 양상은 첨부된 도면과 조합되어 얻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의 검토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발견되고, 본 발명의 사용에 적용 가능한 터치 패드의 동작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손과 원통형 터치 센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손, 원통형 터치 센서 및 손목 스트랩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터치 센서와 근접 센서가 동일한 하우징에 배치되지만, 별도의 구동 신호, 구동 신호 생성기, 및 구동 및 감지 전극을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다양한 요소가 도면 부호로 주어지고, 본 발명이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조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논의될 도면을 참조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의 예시일 뿐이며, 이하의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실시예는 검출 가능한 물체의 더 긴 검출 거리를 가능하게 하는 터치 및 근접 감지 장치(이하, "터치 센서")의 근접 감지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제1 실시예는 또한, 터치 센서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개념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가능한 물체(32),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34), 구동 신호 생성기(36), 감지 회로(38) 및 전원(50)으로 구성된 터치 센서(30)를 나타낸다. 전원은 구동 신호 생성기(36)와 감지 회로(38) 모두에 대해 에너지를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검출 가능한 물체(32)와 감지 전극(34)은 서로에 인접한 것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 관계는 단지 예시의 목적이며, 제1 실시예를 제한하는 요소는 아니다. 구동 전극은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32) 상의 신호의 연장이 되도록 사용자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커플링되어야 한다.
복수의 감지 전극(34)이 있을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제1 실시예의 동작을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복수의 감지 전극(34)은 터치 센서(40)가 동작할 수 있는 방식을 변경하지 않는다. 그러나, 복수의 감지 전극(34)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32)이 터치 센서(30)의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34)에 의해 검출 가능할 수 있는 공간의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32)이 직사각형 물체로 도시되었지만, 적어도 하나의 검출 가능한 물체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수많은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32)은 복수의 손가락과 엄지로 사용자의 손에 커플링 되는 전극일 수 있다. 사실상, 사용자의 손은 구동 전극(32)이 된다.
제1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방식의 예시는 도 3에 나타낸 핸드헬드 터치 센서(40)에 있다. 도 3은 사용자의 손(42)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물체에 대한 하우징으로 구성된 터치 센서(40)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40)는 사용자의 손(42)의 손가락과 엄지가 터치 센서(40)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인체 공학적으로 만족스러운 그립을 갖는 물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미리 결정된 위치는 터치 센서로서 기능할 수 있는 물체를 잡고 있는 손(42)에 대해 자연스러운 편안한 위치(resting place)일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터치 센서(4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터치 센서(40)는 터치 센서(40) 상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터치 센서 패드(46)를 갖는 실질적인 원통형 본체(44)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40)의 하우징 상의 터치 센서 패드(46)의 위치는 터치 센서(40)를 잡을 때 사용자가 터치할 가능성이 있는 위치, 또는 터치 센서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터치해야 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통형 본체에 배치된 터치 센서 패드(46)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사용하려 할 때 제안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터치 센서(40)를 잡고 있을 때 손바닥과 손가락 끝이 놓일 가능성이 있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에서, 터치 센서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스크린(48)이 또한, 원통형 본체(44)의 단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40)의 원통형 본체(44) 상에 하나 이상의 터치 스크린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터치 스크린(48)은 다른 터치 센서 패드(46)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으며, 엄지의 존재만이 아니라 사용자의 엄지의 위치 및 이동을 추적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작은 터치 센서 패드(46)는 검출 가능 물체의 존재 또는 접근을 검출하는 것에만 사용될 수 있고, 다른 터치 스크린(48)은 검출 및 추적이 수행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터치 센서와 같은, 더 많은 성능을 가질 수 있고, 더 나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 손가락 및 엄지의 존재 또는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패드(46)와 터치 스크린(48)을 포함할 뿐 아니라, 터치 센서(30)에 의해 검출 가능한 사용자에게 신호를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서, 구동 신호 생성기(36)는 터치 센서(40)를 잡고 있는 사용자에게 시변 전압("구동 신호" 또는 "신호)을 구동한 다음,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엄지 상에 존재할 수 있는 구동 신호로부터 커플링된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신호는 터치 센서(40)의 터치 센서 패드(46)와 터치 스크린(48) 상에서 검출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 패드(46)와 터치 스크린(48)은 감지 전극(34)을 통해 터치 센서(40) 내에 배치된 감지 회로(38)에 커플링될 수 있다. 감지 회로(38)는 터치 센서(40) 내에 배치된 강성 또는 가요성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심지어 터치 센서 자체의 하우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40)는 구동 신호 생성기(36)와 감지 회로(38)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구동 신호 생성기(36), 감지 회로(38), 전원(50),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32),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34)은 모두 터치 센서(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은 사용자에 대해 직접적 갈바닉 연결(galvanic connection)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손과 같은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터치 센서(40)의 하우징 상의 노출된 구동 전극 도체(52)를 구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은선(hidden line)을 사용하여 나타낸 큰 손바닥 도체(52)는 사용자에 대한 구동 전극(32)의 연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결은 직접 접촉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32)은 터치 센서(40) 내에서 시작할 수 있지만, 사용자에게 커플링하기 위해 터치 센서의 하우징을 넘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전극(32)은 용량성 연결의 형태일 수 있다.
용량성 연결을 만드는 하나의 방법은 구동 전극(32)이 충분히 큰 표면적을 가지며, 충분히 큰 구동 신호가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일부분에 충분히 근접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략 12 평방 센티미터이며 사용자의 손과 대략 1 mm의 거리에 있는 터치 센서(40)의 금속판은 사용자에게 충분히 큰 신호를 용량성으로 커플링하기 적합할 수 있는데, 이는 또한, 더 크거나 더 작은 금속판일 수 있다. 금속판은 터치 센서(40)의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 상에 있을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구동 전극(32)은 구동 전극(32)을 포함하는 가요성 스트랩(54)의 부분인 것에 의해 사용자와 접촉할 수 있다. 구동 전극(32)은 터치 센서(40)의 하우징 내의 구동 신호 생성기(36)에 제1 단부에서 커플링될 수 있고, 사용자의 손 또는 손목을 감쌀 수 있는 스트랩(54)에 제2 단부에서 커플링될 수 있다.
구동 전극(32)은 금속, 유기 재료 또는 무기 화합물일 수 있다. 구동 전극(32)은 또한, 가요성이거나 강성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구동 전극(32)이 사용자와 용량성으로 커플링되거나 직접 접촉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서, 핸드헬드 터치 센서(40)는 일반적으로 접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고, 전원(50)으로 배터리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핸드헬드 터치 센서를 잡고 있는 사용자에 커플링된 구동 전극(32)은 전압 기준이 될 수 있고, 또한, 전원과 이에 갈바닉 연결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변조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40)의 전원(50)은 배터리 충전기 또는 USB 연결과 같은 외부 접지 기준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여전히 전압으로 구동될 수 있지만, 핸드헬드 터치 센서(40) 접지 기준은 변조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는 또한, 도 3 및 4에 나타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은 터치 스크린(48)이 입력을 제공할 뿐 아니라 터치 스크린(48)으로부터 터치 센서(40)를 잡고 있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터치 센서(40)는 또한, 손가락이 근접 거리 내에 있을 때, 또는 터치에 의해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는 용량성으로 감지되는 영역인 터치 스크린(48) 상의 가상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버튼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48) 상의 가상 버튼의 위치는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48) 상에 표시된 것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엄지와 같은 검출 가능한 물체가 터치 센서(40)에 의해 검출 가능한 거리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손가락이 가까이 다가올 때 터치 스크린(48) 상의 가상 버튼 주위의 영역을 조명하는 것과 같이, 터치 센서(40)에 기능을 부가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사용은 터치 센서(40) 상에서 터치 센서(40) 위를 맴돌거나, 이를 향해 움직이는 손가락의 위치를 터치 센서에 대한 임의의 다른 입력을 트리거하지 않고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센서 패드(46) 또는 터치 스크린(48)에 대한 검출 가능한 물체의 접근은 터치 센서(40)의 일부분이 손가락이 터치 센서의 특정 터치 센서 패드(46) 또는 터치 스크린(48)에 접근하고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어떤 시각적, 촉각적, 또는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터치 센서(40)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보통의 방식으로 동작하는 X 전극 및 Y 전극의 구동 및 감지 그리드를 갖는 일반적인 종래의 터치 센서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40)는 모든 전극이 구동 전극(32) 또는 감지 전극(34)이 되도록 전극의 기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신호는 터치 센서(40) 이외의 장치로부터 나오지만, 여전히 터치 센서에 의해 검출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와 근접 센서의 기능이 단일의 터치 및 근접 감지 장치(60)에서 분리될 수 있는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2개의 구동 신호 생성기와 별도의 구동 전극 및 감지 전극이 존재할 수 있으며, 하나의 구동 신호 생성기는 터치 센서(62)로서 동작하는 장치 부분에 대한 것이며, 다른 구동 신호 생성기는 근접 센서(64)로서 동작하는 장치(60) 부분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자신의 손을 직접 볼 수 없는 가상 현실(VR) 시스템, 또는 사용자가 볼 수는 있으나 시야가 사용되더라도 증강 현실과 상호 작용하기 위해 더 많은 방법이 요구되는 증강 현실(AR) 시스템일 수 있다.
VR 시스템에서, 일부 사용자는 손을 볼 수 없을 때 핸드헬드 게임 컨트롤러의 특정 버튼 위치를 찾는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VR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핸드헬드 터치 센서의 터치 표면 위에 자신의 손가락의 위치를 보여주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는 정확한 버튼 또는 컨트롤러를 터치할 수 있다. 이는 또한, VR 내의 물체를 잡는 동작, 포인팅, 가변 트리거 동작, 가변 스퀴즈(squeez), 플릭킹(flicking), 피스트 클린칭(fist clinching) 등과 같은 VR 동작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능력은 VR에서 유용하지만, AR에도 유용하다. 가상 및 실제 물체를 결합하고, 이들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또는 AR 안경의 렌즈와 같은 디스플레이 상에 결합할 수 있는 스마트폰 또는 안경과 같은 AR 장치가 고려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폰 또는 안경과 같은 장치는 별도의 핸드헬드 터치 센서(40)에 의해 검출 가능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핸드헬드 터치 센서는 스마트폰 또는 안경에 의해 검출 가능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핸드헬드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하였으나, 다른 것들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전극은 차량의 시트에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수의 구동 전극은 동일한 터치 감지 전극 상의 다수의 시트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 전극은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서로 다른 사용자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운전자 및 공동 운전자의 식별이 요구되는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 제1 실시예는 터치 및 근접 센서의 근접 감지 거리를 증가시키는 시스템이고, 시스템은 터치 및 근접 센서 시스템에 대한 하우징, 전원,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신호 생성기, 구동 신호 생성기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 -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으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용량성으로 간접 커플링됨 -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 상에서 용량성으로 커플링된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으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검출 가능한 물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은 검출 가능한 물체의 구동 전극을 검출하여, 구동 전극으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간접적으로 검출하며, 검출 가능한 물체는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가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보다 큰 거리에서 감지 회로에 의해 검출 가능하다.
유사하게, 제1 실시예의 방법은 동일한 시스템을 제공한 다음,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으로부터 검출 가능한 물체로 구동 신호를 전달하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에 대해 검출 가능한 물체의 구동 신호를 용량성으로 커플링시키고, 감지 회로를 사용하여 검출 가능한 물체를 검출하며, 검출 가능한 물체는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가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보다 큰 거리에서 감지 회로에 의해 검출 가능하다.
단지 몇 가지 예시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을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모든 이러한 변형은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출원인이, 청구범위가 관련 기능과 함께 '~ 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용어를 명시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원의 임의의 청구범위의 임의의 제한에 대해 35 U.S.C. §112, 단락 6을 적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출원인의 명시적인 의도이다.

Claims (12)

  1. 터치 및 근접 센서의 근접 감지 거리를 증가시키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터치 및 근접 센서 시스템은,
    상기 터치 및 근접 센서 시스템에 대한 하우징;
    전원;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신호 생성기;
    상기 구동 신호 생성기로부터 상기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으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용량성(capacitively)으로 간접 커플링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 상의 상기 용량성으로 커플링된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으로부터 상기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검출 가능한 물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은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의 상기 구동 전극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 전극으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간접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는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가 상기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보다 큰 거리에서 상기 감지 회로에 의해 검출 가능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및 근접 센서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에 커플링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패드 상에서 검출 가능한 물체의 근접성과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의 접촉을 검출하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및 근접 센서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구동 전극 도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 전극 도체는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으로부터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로 상기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및 근접 센서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의 존재와 이동을 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및 근접 센서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 외부의 구동 전극 도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 전극 도체는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나, 대신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와 용량성으로 커플링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으로부터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로 상기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및 근접 센서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구동 전극 도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 전극 도체는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나, 대신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와 용량성으로 커플링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으로부터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로 상기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
  7. 터치 및 근접 센서의 근접 감지 거리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터치 및 근접 센서 시스템에 대한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전원을 제공하는 단계,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신호 생성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을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으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용량성으로 간접 커플링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 상의 상기 용량성으로 커플링된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 회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으로부터 상기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검출 가능한 물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 상에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으로부터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로 상기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에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의 구동 신호를 용량성으로 커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는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가 상기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보다 큰 거리에서 상기 감지 회로에 의해 검출 가능한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패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패드를 커플링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패드 상에서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의 근접성과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의 접촉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동 전극 도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에 상기 구동 전극 도체를 커플링시키는 단계;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와 상기 구동 전극 도체를 직접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으로부터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로 상기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의 존재와 이동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동 전극 도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에 상기 구동 전극 도체를 커플링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에 상기 구동 신호를 용량성으로 커플링시킴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으로부터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로 상기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동 전극 도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에 상기 구동 전극 도체를 커플링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에 상기 구동 신호를 용량성으로 커플링시킴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으로부터 상기 검출 가능한 물체로 상기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97008410A 2016-10-27 2017-10-27 근접 감지 기능을 갖춘 입력 장치의 손가락 추적 KR102203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3841P 2016-10-27 2016-10-27
US62/413,841 2016-10-27
PCT/US2017/058873 WO2018081641A1 (en) 2016-10-27 2017-10-27 Finger tracking in an input device with proximity sen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998A true KR20190040998A (ko) 2019-04-19
KR102203186B1 KR102203186B1 (ko) 2021-01-15

Family

ID=6202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410A KR102203186B1 (ko) 2016-10-27 2017-10-27 근접 감지 기능을 갖춘 입력 장치의 손가락 추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61520B2 (ko)
JP (1) JP6770103B2 (ko)
KR (1) KR102203186B1 (ko)
CN (1) CN109416609B (ko)
WO (1) WO201808164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6065A (ko) * 2005-03-04 2007-12-06 애플 인크. 복수의 터치 감지 장치를 가지는 핸드 헬드 전자 장치
JP2015111317A (ja) * 2012-02-27 2015-06-18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タッチセンサ付携帯型装置及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5724A (ja) * 1994-04-22 1995-11-10 Seiko Epson Corp タブレット
KR100395863B1 (ko) * 1995-05-08 2003-11-14 매사츄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러지 신호송신매질로서인체를사용한비접촉센싱및신호송신용시스템
US5796827A (en) * 1996-11-14 1998-08-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ear-field human-body coupling for encrypted communication with identification cards
CA2292194C (en) 1998-12-22 2010-02-16 Eta Sa Fabriques D'ebauches Wristwatch with capacitive coupling
US6281888B1 (en) * 1999-01-07 2001-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n input device using electrostatic coupling
US6498590B1 (en) * 2001-05-24 2002-12-2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ulti-user touch surface
JP2003029899A (ja) * 2001-07-17 2003-01-31 Sony Corp ユーザ入力装置
EP1629460B1 (en) * 2003-05-30 2015-05-13 Apple Inc. An electronic device, a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GB0401991D0 (en) * 2004-01-30 2004-03-03 Ford Global Tech Llc Touch screens
JP2006127190A (ja) * 2004-10-29 2006-05-18 Citizen Watch Co Ltd 入力装置
JP4524647B2 (ja) * 2005-06-14 2010-08-1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07034273A1 (de) * 2007-07-19 2009-01-22 Volkswagen Ag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Position eines Fingers eines Nutzers in einem Kraftfahrzeug und Positionsbestimmungsvorrichtung
TWI439922B (zh) * 2007-08-30 2014-06-01 Htc Corp 手持式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US8933892B2 (en) * 2007-11-19 2015-01-13 Cirque Corporation Touchpad combined with a display and having proximity and touch sensing capabilities to enable different functions or interfaces to be displayed
US8004501B2 (en) * 2008-01-21 2011-08-2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Hand-held device with touchscreen and digital tactile pixels
JP2009265793A (ja) * 2008-04-23 2009-11-12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表示操作装置、操作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TWM353110U (en) * 2008-07-04 2009-03-21 guo-xin Su Proximity sensing switch structure with stopwatch display and light signal switching functions
US8624836B1 (en) * 2008-10-24 2014-01-07 Google Inc. Gesture-based small device input
US8411045B2 (en) * 2008-12-15 2013-04-02 Sony Corporation Touch sensitive displays with coplanar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ensor pads and related touch panels
JP5429636B2 (ja) * 2009-04-10 2014-02-26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BRPI1008204A2 (pt) * 2009-05-27 2019-09-24 Koninklijke Philips Electrnics N. V. dispositivo, metodo 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US20120038520A1 (en) * 2010-08-11 2012-02-16 Kaonetics Technologies, Inc. Omni-directional antenna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614693B2 (en) * 2010-08-27 2013-12-24 Apple Inc. Touch and hover signal drift compensation
US8743083B2 (en) * 2010-10-15 2014-06-03 Logitech Europe, S.A. Dual mode touchpad with a low power mode using a proximity detection mode
JP2013029321A (ja) * 2011-07-26 2013-02-07 Alps Electric Co Ltd 位置検出装置
US8730166B2 (en) * 2011-10-20 2014-05-2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ulti-sensored control stick for enhanced input sensitivity and funtionality
US9229556B2 (en) * 2012-04-12 2016-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3D object
CN102736753B (zh) * 2012-06-15 2016-12-21 苏州瀚瑞微电子有限公司 光电触控笔系统
US8982094B2 (en) * 2012-12-28 2015-03-17 Shenzhen Huiding Technology Co., Lt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based on capacitive sensing and coupling via human body or direct device-to-device coupling
US9093360B2 (en) * 2013-01-11 2015-07-28 Analog Devices, Inc. Compact device package
KR102050444B1 (ko) * 2013-04-30 2019-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검출 방법
US20150044969A1 (en) * 2013-08-09 2015-02-12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WO2015081326A1 (en) * 2013-11-27 2015-06-04 Shenzhen Huiding Technology Co., Ltd.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s for secured transaction and communication
GB201402728D0 (en) * 2014-02-17 2014-04-02 Pousach Ltd Phone
US9817528B2 (en) * 2014-06-25 2017-11-14 Himax Technologies Limited Touch sensitive device having different surrounding patterns and related touchscreen
FR3024785B1 (fr) * 2014-08-07 2016-09-02 Fogale Nanotech Procede de filtrage adaptatif pour interface gestuelle et tactile, et dispositif d'interface mettant en œuvre le procede
CN104731504A (zh) * 2015-03-30 2015-06-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基于无边框终端的应用控制方法及装置
CN105511621A (zh) * 2015-12-09 2016-04-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手握传感器、控制装置及电子装置
US10088915B2 (en) * 2016-07-01 2018-10-02 Deere & Company Method and system with sensors for sensing hand or finger positions for adjustable control
US11307755B2 (en) * 2016-08-25 2022-04-19 Parade Technologies, Ltd. Determination of valid touches based on force sha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6065A (ko) * 2005-03-04 2007-12-06 애플 인크. 복수의 터치 감지 장치를 가지는 핸드 헬드 전자 장치
JP2015111317A (ja) * 2012-02-27 2015-06-18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タッチセンサ付携帯型装置及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28504A (ja) 2019-10-10
US20180121014A1 (en) 2018-05-03
US11061520B2 (en) 2021-07-13
CN109416609A (zh) 2019-03-01
WO2018081641A1 (en) 2018-05-03
CN109416609B (zh) 2022-01-28
KR102203186B1 (ko) 2021-01-15
JP6770103B2 (ja)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5397B2 (en) Gap sensor for haptic feedback assembly
US9612674B2 (en) Movable track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US9886116B2 (en) Gesture and touch input detection through force sensing
US9639179B2 (en) Force-sensitive input device
US940538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ambiguating region presses on a capacitive sensing device
KR20170049591A (ko) 중간 차폐 전극층을 채용한 포스 및 근접 센싱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US10481742B2 (en) Multi-phase touch-sensing electronic device
CA2538107A1 (en) Tethered stylus for use with a capacitance-sensitive touchpad
KR102242529B1 (ko)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9471173B2 (en) Capacitive input sensing in the presence of a uniform conductor
KR102284765B1 (ko) 기계식 스위치를 갖지 않는 트리거 움직임 검출
CN108885501A (zh) 使用电容感测的控制器感应
CN105706020A (zh) 用于电子装置或计算机装置的保护附件设备和配备有这种附件设备的装置
US10037111B2 (en) Single point charger
KR102203186B1 (ko) 근접 감지 기능을 갖춘 입력 장치의 손가락 추적
KR101116561B1 (ko)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용 조이스틱
US10534435B2 (en) Handheld interfac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static friction (ESF) electrodes
KR101446244B1 (ko) 초음파방식과 정전용량방식 겸용 하이브리드 전자펜
EP2835726A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nput position
JP7339470B2 (ja) コントローラ及びコンピュ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