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572A -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 - Google Patents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572A
KR20190040572A KR1020170129681A KR20170129681A KR20190040572A KR 20190040572 A KR20190040572 A KR 20190040572A KR 1020170129681 A KR1020170129681 A KR 1020170129681A KR 20170129681 A KR20170129681 A KR 20170129681A KR 20190040572 A KR20190040572 A KR 20190040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elf
handle
power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식
김환섭
신형균
조한빛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Priority to KR102017012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0572A/ko
Publication of KR2019004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53Rotary generators driven by intermittent fo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장치가 수용되며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전기를 저장하거나 외부로 공급하는 배터리와,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발전축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축발전부와, 하우징의 측면에서 발전축과 연결되어 발전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Portable shaft generator with self-generating}
본 발명은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수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콘센트를 통해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이용하고 있으며,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는 전원을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어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공급받아 야외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배터리는 사용되는 전자기기의 소비전력에 따라 공급할 수 있는 시간이 달라지며, 저장된 전력이 모두 소모된 경우 전자기기의 전원이 차단되어 전자기기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를 위해 야외에서도 전자기기를 장시간 이용할 수 있도록 대용량의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용 축발전기가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전원공급 단자가 형성되어 있어 전자기기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축발전기 역시 내장된 배터리의 용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되는 전자기기의 수량이나 소비전력에 따라 사용시간이 달라지며, 배터리가 방전되면 야외에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축발전기에 태양전지판을 연결시켜 태양전지판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으나, 야간에는 발전이 불가능하고 태양전지판을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454284호는 모듈화된 자가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조작되도록 구비되는 크랭크(100), 크랭크(100)에 연결되고 크랭크(100)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변속 후 출력하는 변속부(200), 변속부(200)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교류 전력을 발생하는 복수 개의 발전부(300), 발전부(300)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 개의 전력변환부(400)를 포함하며, 변속부(200), 발전부(300), 전력변환부(400)는 각각의 하우징으로 독립적으로 구성되고, 병렬연결 단자모듈을 더 포함하며, 전력변환부(400)는 병렬연결 단자모듈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는 모듈화된 자가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크랭크의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부피가 증가되고, 크랭크에 의한 발전 수단만 제공하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수단을 겸용하여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45428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야외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발전수단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동 회전에 의한 자가발전시 사용자의 근력이나 체력에 따라 손잡이의 위치를 달리하여 장시간동안 발전할 수 있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동 회전에 의한 자가발전을 하지 않을 때는 손잡이를 내부로 삽입하여 부피를 감소시키거나 손잡이를 분리시켜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는 내부에 장치가 수용되며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전기를 저장하거나 외부로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발전축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축발전부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서 상기 발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발전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상기 구동부는 일면은 상기 발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발전축과 함께 회전되고 타면은 일측과 타측이 각각 외부로 돌출된 지지단이 형성된 연결구와, 일단은 상기 지지단 사이에 축 결합되어 상기 연결구의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회동대와, 상기 회동대의 타단에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동대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발전축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상기 구동부는 일면은 상기 발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발전축과 함께 회전되고 타면은 일측과 타측이 각각 외부로 돌출된 지지단이 형성된 연결구와, 일단은 상기 지지단 사이에 축 결합되어 상기 연결구의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회동대와, 상기 회동대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대로부터 수직으로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조절대와, 상기 조절대의 끝단에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절대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발전축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상기 연결구는 상기 지지단 내부에 복수 개로 형성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구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회동대 또는 상기 조절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단과, 상기 지지단의 외부 양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고정단을 상기 지지단 내부로 삽입시켜 상기 회동대 또는 상기 조절대를 분리시키는 탈착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가 회동되면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상기 손잡이가 삽입되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가 회동되는 반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는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형성되어 파지한 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상기 축발전부는 상기 발전축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를 탈부착하거나 외부 동력전달축을 상기 발전축에 연결하여 외부 동력에 의해 상기 발전축을 회전시키는 가압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에 의하면 야외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발전수단에 의해 배터리 충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에 의하면 수동 회전에 의한 자가발전시 사용자의 근력이나 체력에 따라 손잡이의 위치를 달리하여 장시간동안 발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에 의하면 수동 회전에 의한 자가발전을 하지 않을 때는 손잡이를 내부로 삽입하여 부피를 감소시키거나 손잡이를 분리시켜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모듈화된 자가 발전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하부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구동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구동부에 형성된 연결구를 상세하게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손잡이에 보호커버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구동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수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는 내부에 장치가 수용되며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며 전기를 저장하거나 외부로 공급하는 배터리(200)와,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발전축(510)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축발전부(500)와, 하우징(100)의 측면에서 발전축(510)과 연결되어 발전축(510)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630)(도5 참조)가 형성된 구동부(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100) 전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 입력단자(410) 및 배터리(200)에 저장된 전기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출력단자(420)가 형성된 단자부(400)와,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배터리(200)의 규격에 맞게 변환하거나 배터리(20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를 외부 기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인버터(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00)은 인버터(300) 및 배터리(2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전면에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거나 배터리(200)에 저장된 전기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각종 규격에 따라 입력단자(410) 및 출력단자(420)가 형성된 단자부(400)가 형성되어 있다.
입력단자(410)는 교류전원 또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출력단자(420)는 USB, 시거잭, 콘센트로 형성되어 있어 휴대용 기기와 더불어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 전자기기도 이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입력단자(410)는 차량의 배터리(200)에 직접 연결되거나 자동차의 시거잭을 통해 직류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USB포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입력단자(410)는 발전수단과 연결되어 배터리(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발전수단은 태양전지판, 수력발전기, 풍력발전기,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발전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게 된다.
인버터(300)는 입력단자(41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배터리(200)의 충전규격에 맞도록 변환하거나 배터리(2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의 출력단자(420) 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공급하게 된다.
축발전부(500)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축발전부(500)의 중앙에는 자유 회전되는 발전축(510)이 형성되어 있다.
축발전부(500)의 발전축(510)은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된 구동부(600)와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부(6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도 5의 손잡이(630)가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630)를 파지한 후 구동부(600)를 회전시킴으로써 발전축(510)이 함께 회전되어 발전되게 된다.
이때 발전된 전원은 3상 교류 전원이 되며 인버터(300)는 축발전부(500)에서 발전된 전원을 배터리(200)의 충전 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공급하게 된다.
또한 축발전부(500)는 발전축(510)의 끝단에 형성되며 구동부(600)를 탈부착하거나 외부 동력전달축(도시되지 않음)을 발전축(510)에 연결하여 외부 동력에 의해 발전축(510)을 회전시키는 가압척(5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척(520)은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며 일면은 발전축(510)의 끝단과 키 결합 또는 나사결합 되어 있고 타면 중앙에는 구동부(600) 또는 외부 동력전달축(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가압척(520)의 타면에 형성된 홀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가압체(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체는 가압척(520)의 외주면에서 회전되는 가압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홀 내부에 삽입된 구동부(600) 또는 외부 동력전달축(도시되지 않음)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가압척(520)에 의해 구동부(600)를 손쉽게 장착 또는 탈거 시킬 수 있게 되며, 수력발전 또는 풍력발전을 위한 프로펠러가 부착된 외부 동력절달축(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면 사용자가 직접 힘을 가하지 않고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하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구동부(600)는 하우징(100)의 하부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구동부(600)가 회동되면 하우징(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장착홈(110)에 손잡이(630)가 삽입되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휴대시 하우징(100)을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이동핸들(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다수의 입출력단자(420)가 형성된 단자부(400)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600)는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된 도 2의 발전축(510)과 연결된 연결구(610)에 회동대(620) 결합되어 있으며, 회동대(620)는 연결구(610)의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구동부(600)가 형성된 하우징(100)의 측면 하부에는 구동부(600)의 손잡이(63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홈(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대(620)의 끝단에 형성된 손잡이(630)는 회동대(620)의 회동방향에 따라 장착홈(110)을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대(620)를 회동시켜 손잡이(630)가 하우징(100) 측면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손잡이(630)를 파지하여 회동대(620)에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회동대(620)가 연결된 연결구(610) 및 도 2의 발전축(510)이 회전되면서 수동발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수동발전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손잡이(630)를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시킴으로써 하우징(100)의 부피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손잡이(630)의 위치를 고정시켜 하우징(100)을 이동시킬 때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구동부(600)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구동부(600)는 일면은 발전축(510)과 결합되어 발전축(510)과 함께 회전되고 타면은 일측과 타측이 각각 외부로 돌출된 지지단(611)이 형성된 연결구(610)와, 일단은 지지단(611) 사이에 축 결합되어 연결구(610)의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회동대(620)와, 회동대(620)의 타단에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회동대(620)에 회전력을 가하여 발전축(510)을 회전시키는 손잡이(6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구(61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은 도 2의 가압척(520)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도 2의 발전축(510)에 직접 결합될 수 있게 되고, 타면에는 일측과 타측에 지지단(611)이 각각 돌출된 후 지지단(611) 사이의 회동홈(616)에 회동대(620)가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이때 회동대(620)는 지지단(611)에 축 결합되어 연결구(61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회동홈(616)을 따라 회동될 수 있게 되며, 도 5-A와 같이 손잡이(630)를 도 3의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게 하거나 도 5-B와 같이 손잡이(630)가 도 3의 하우징(100)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변경하여 손잡이(6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대(620)의 일단 전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단(623)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단(623)은 손잡이(630)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회동대(620)가 회동되었을 때 회동홈(616)에 형성된 삽입홈(612)에 삽입되게 된다.
이때 돌출단(623)이 삽입홈(612)에 삽입됨으로써 회동대(620)가 연결구(610)에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회동대(620)가 연결구(610)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넓혀 손잡이(63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력을 온전히 연결구(61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630)를 파지하여 회동대(620)를 회전시킬 때 손잡이(630)가 회동대(620)와는 별도로 자유 회전되도록 하여 손에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구동부(600)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구동부(600)에 형성된 연결구(610)를 상세하게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구동부(600)에 형성된 상기 연결구(610)는 지지단(611) 내부에 복수 개로 형성되며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구(610)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회동대(6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단(613)과, 지지단(611)의 외부 양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삽입되면 고정단(613)을 지지단(611) 내부로 삽입시켜 회동대(620)를 분리시키는 탈착버튼(6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동대(620)의 일단 양측에는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6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621)이 지지단(611)에 형성된 회전홀(61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회동대(620)의 내부로 삽입된 후 탄성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동대(620)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대(620)의 회전축(621)은 연결구(610)의 회동홈(616) 양측의 지지단(611)에 형성된 회전홀(615)에 삽입된 후 회전홀(615)을 기준으로 회동대(620)가 회동되어 손잡이(6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지지단(611)에 형성된 고정단(613)은 회동대(6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지지단(611) 내부로 삽입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지지단(611) 내부에 형성된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구(610) 타면 중앙에 형성된 회동홈(616)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단(613)은 지지단(611)으로부터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항상 돌출되게 되며, 회동대(620)가 회동되면서 고정단(613)을 가압하게 되면 회동대(620)에 의해 지지단(611)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고정단(613)은 회동대(620)에 의해 가압될 때 지지단(6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회동대(620)에 의해 가압되는 고정단(613)의 전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단(613)이 회동대(6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회동대(620)의 양측면에는 고정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홈(6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대(620)가 완전히 회동되어 연결구(610)의 회동홈(616)에 밀착되면 고정단(613)이 고정홈(622) 내부로 삽입되면서 회동대(6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고정단(613)의 위치는 회동대(620)에 형성된 고정홈(62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회동대(620)가 연결구(610)의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홈(6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단(613)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착버튼(614)은 고정단(613)을 지지단(611) 내부로 삽입시켜 회동대(620)를 고정단(613)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지지단(611)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지지단(611) 내부에서 고정단(613)과 연결되어 있어 탈착버튼(614)이 외력에 의해 지지단(611) 내부로 삽입되면 고정단(613)이 지지단(611)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탈착버튼(614)은 탄성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외력이 제거되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착버튼(614)을 통해 회동대(620)를 고정시키는 고정단(613)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되며, 분리된 회동대(620)를 회동시켜 손잡이(630)를 도 4의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시키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대(620)가 회동되면 고정단(613)이 고정홈(622)에 자동으로 삽입되므로 탈착버튼(614)은 회동대(620)의 위치를 변화시킬 때만 이용하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회동대(6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손잡이(630)에 보호커버(631)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는 손잡이(630)의 상부에 형성되어 파지한 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커버(6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호커버(631)는 손잡이(630)를 손으로 파지한 후 손잡이(630)를 통해 회동대(620)를 회전시킬 때 회동대(620)와 손잡이(630) 사이에 손이 끼이거나 주변 사물에 손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호커버(631)는 손잡이(63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결되며 중단은 손잡이(63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이격된 틈 사이로 손을 넣은 후 손잡이(63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손잡이(6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보호커버(631)는 손등이나 손마디를 감싸는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호커버(631)가 손을 감싸게 되면서 손잡이(630)의 일단과 타단으로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고 주변 사물에 부딪힐 때 손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구동부(600)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구동부(600)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의 구동부(600)는 발전축(510)의 중심으로부터 손잡이(630)가 회동되는 반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부(600)는 손잡이(630)의 위치를 도 2의 발전축(510)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멀어지게 하거나 가깝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도 2의 발전축(510)의 중심으로부터 손잡이(630)를 먼 거리에 위치시키는 경우 도 2의 발전축(510)에 가해지는 모멘트가 증가되면서 적은 힘으로도 구동부(600)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어 장시간 동안 발전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600)에 형성된 손잡이(630)를 도 2의 발전축(510)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워지도록 하는 경우 손잡이(630)를 회전시키는데 가해야하는 힘은 증가하게 되지만 회전속도가 증가 되어 단시간에 많은 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부(600)는 일면은 발전축(510)(도2 참조)과 결합되어 발전축(510)과 함께 회전되고 타면은 일측과 타측이 각각 외부로 돌출된 지지단(611)이 형성된 연결구(610)와, 일단은 지지단(611) 사이에 축 결합되어 연결구(610)의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회동대(620)와, 회동대(620)의 전면에 결합되어 회동대(620)로부터 수직으로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조절대(640)와, 조절대(640)의 끝단에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조절대(640)에 회전력을 가하여 발전축(510)을 회전시키는 손잡이(6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구(61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은 도 2의 가압척(520)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도 2의 발전축(510)에 직접 결합될 수 있게 되고, 타면에는 일측과 타측에 지지단(611)이 각각 돌출된 후 지지단(611) 사이의 회동홈(616)에 회동대(620)가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이때 회동대(620)는 지지단(611)에 축 결합되어 연결구(61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회동홈(616)을 따라 회동될 수 있게 되며, 도 9-A와 같이 손잡이(630)를 도 3의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게 하거나 도 9-B와 같이 손잡이(630)가 도 3의 하우징(100)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변경하여 손잡이(6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회동대(620)의 일단 양측에는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6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621)이 지지단(611)에 형성된 회전홀(61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회동대(620)의 내부로 삽입된 후 탄성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동대(620)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대(620)의 전면에는 조절대(64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조절대(640)는 회동대(620)로부터 자유롭게 슬라이딩 되어 조절대(640)의 끝단에 결합된 손잡이(630)를 도 2의 발전축(510)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도록 하여 손잡이(630)가 회동되는 반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회동대(620)의 타단 전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레일(6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대(640)는 회동대(620)에 형성된 레일(624)이 삽입될 수 있도록 레일(62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측으로 파여지는 레일홈(641)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홈(641)에 삽입된 레일(624)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레일(624)과 레일홈(641)의 형상은 T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구(610)는 지지단(611) 내부에 복수 개로 형성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구(610)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조절대(64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단(613)과, 지지단(611)의 외부 양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삽입되면 고정단(613)을 지지단(611) 내부로 삽입시켜 조절대(640)를 분리시키는 탈착버튼(6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단(613)은 조절대(64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지지단(611) 내부로 삽입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지지단(611) 내부에 형성된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구(610) 타면 중앙에 형성된 회동홈(616)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단(613)은 지지단(611)으로부터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항상 돌출되게 되며, 회동대(620)에 의해 조절대(640)가 회동되면서 고정단(613)을 가압하여 조절대(640)가 고정단(613)을 지지단(611) 내부로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단(613)은 조절대(640)에 의해 가압될 때 지지단(6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회동대(620)에 의해 가압되는 고정단(613)의 전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단(613)이 조절대(64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조절대(640)의 양측면에는 고정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위치조절홈(642)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대(620)에 의해 조절대(640)가 회동되어 연결구(610)의 회동홈(616)에 밀착되면 고정단(613)이 위치조절홈(642) 내부로 삽입되면서 조절대(64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고정단(613)의 위치는 회동대(620)에 의해 회동된 조절대(640)의 위치조절홈(64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회동대(620)에 의해 조절대(640)가 연결구(610)의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단(613)이 위치조절홈(64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단(611)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착버튼(614)은 고정단(613)을 지지단(611) 내부로 삽입시켜 조절대(640)를 고정단(613)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지지단(611)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지지단(611) 내부에서 고정단(613)과 연결되어 있어 탈착버튼(614)이 외력에 의해 지지단(611) 내부로 삽입되면 고정단(613)이 지지단(611)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탈착버튼(614)은 탄성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외력이 제거되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착버튼(614)을 통해 조절대(640)를 고정시키는 고정단(613)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되며, 분리된 조절대(640)를 회동대(620)로부터 슬라이딩시켜 손잡이(630)의 위치를 도 2의 발전축(510)으로부터 가깝게 하거나 멀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고,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위치조절홈(64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단(613)이 삽입되면서 조절대(64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탈착버튼(614)에 의해 조절대(640)가 고정단(613)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므로 회동대(620)를 통해 조절대(640)를 회동시켜 손잡이(630)를 도 4의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시키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대(620)에 의해 조절대(640)가 회동되면 조절대(640)의 가압력에 의해 고정단(613)이 지지단(611)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단(613)이 돌출되면서 위치조절홈(642)에 자동으로 삽입되므로 탈착버튼(614)은 조절대(640)를 회동시키거나 슬라이딩 시킬 때만 이용하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조절대(64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에 의하면 야외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발전수단에 의해 배터리 충전시킬 수 있으며, 수동 회전에 의한 자가발전시 사용자의 근력이나 체력에 따라 손잡이의 위치를 달리하여 장시간동안 발전할 수 있고, 수동 회전에 의한 자가발전을 하지 않을 때는 손잡이를 내부로 삽입하여 부피를 감소시키거나 손잡이를 분리시켜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장착홈
120 : 이동핸들 200 : 배터리
300 : 인버터 400 : 단자부
410 : 입력단자 420 : 출력단자
500 : 축발전부 510 : 발전축
520 : 가압척 600 : 구동부
610 : 연결구 611 : 지지단
612 : 삽입홈 613 : 고정단
614 : 탈착버튼 615 : 회전홀
616 : 회동홈 620 : 회동대
621 : 회전축 622 : 고정홈
623 : 돌출단 624 : 레일
630 : 손잡이 631 : 보호커버
640 : 조절대 641 : 레일홈
642 : 위치조절홈

Claims (8)

  1. 내부에 장치가 수용되며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전기를 저장하거나 외부로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발전축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축발전부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서 상기 발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발전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면은 상기 발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발전축과 함께 회전되고 타면은 일측과 타측이 각각 외부로 돌출된 지지단이 형성된 연결구와;
    일단은 상기 지지단 사이에 축 결합되어 상기 연결구의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회동대와;
    상기 회동대의 타단에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동대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발전축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면은 상기 발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발전축과 함께 회전되고 타면은 일측과 타측이 각각 외부로 돌출된 지지단이 형성된 연결구와;
    일단은 상기 지지단 사이에 축 결합되어 상기 연결구의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회동대와;
    상기 회동대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대로부터 수직으로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조절대와;
    상기 조절대의 끝단에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절대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발전축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지지단 내부에 복수 개로 형성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구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회동대 또는 상기 조절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단과;
    상기 지지단의 외부 양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고정단을 상기 지지단 내부로 삽입시켜 상기 회동대 또는 상기 조절대를 분리시키는 탈착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가 회동되면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상기 손잡이가 삽입되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가 회동되는 반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형성되어 파지한 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발전부는
    상기 발전축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를 탈부착하거나 외부 동력전달축을 상기 발전축에 연결하여 외부 동력에 의해 상기 발전축을 회전시키는 가압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
KR1020170129681A 2017-10-11 2017-10-11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 KR20190040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681A KR20190040572A (ko) 2017-10-11 2017-10-11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681A KR20190040572A (ko) 2017-10-11 2017-10-11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572A true KR20190040572A (ko) 2019-04-19

Family

ID=6628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681A KR20190040572A (ko) 2017-10-11 2017-10-11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05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528B1 (ko) * 2022-10-05 2023-03-03 장석호 자체발전 및 나노 캐패시터 저장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력 저장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284B1 (ko) 2013-05-06 2014-10-28 한국전기연구원 모듈화된 자가 발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284B1 (ko) 2013-05-06 2014-10-28 한국전기연구원 모듈화된 자가 발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528B1 (ko) * 2022-10-05 2023-03-03 장석호 자체발전 및 나노 캐패시터 저장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력 저장장치
WO2024076066A1 (ko) * 2022-10-05 2024-04-11 장석호 자체발전 및 나노 캐패시터 저장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력 저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36359A1 (en) Portable power supply device
JP2009523403A (ja) 小型電気器具用プラグ差込み式充電ステーション
EP1959188A3 (en) Flashlight with rotatable handle
US20100062902A1 (en) Manual Exercising and Electricity Generating Machine
WO2005060468A3 (en) Rechargeable dental curing light
KR200485814Y1 (ko) 블루투스 스피커를 구비하는 휴대용 선풍기
EP1431765A3 (de) Vorrichtung zur Ankopplung eines Stromzählers an eine Trägerplattform
KR20190040572A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휴대용 축발전기
JP3170790U (ja) 携帯式充電器
CN212463006U (zh) 一种手摇发电机调试装置
KR20080080756A (ko) 휴대용 자가발전 손전등
CN202388349U (zh) 便携式电缆绝缘打磨机
CA2658410C (en) Supplementary power supply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s
CN208873128U (zh) 一种多功能鼠标垫
US20200383446A1 (en) Rechargeable hair styling tool
GB2299755A (en) Battery operated hair dryer
CN215566753U (zh) 一种可更换多种电池的移动型风扇灯
CN213690183U (zh) 一种手机壳的发光装置及手机壳
KR20180001588U (ko) 휴대용선풍기조명받침대
KR102210235B1 (ko) 휴대용 보조배터리 장치
TWI551011B (zh) 移動式電能轉換設備
CN218243711U (zh) 跟焦控制手柄及跟焦控制器
CN216554524U (zh) 一种支架和手持两用多功能风扇
JP3223575U (ja) 充電式ネイルアート用削り装置
CN213533409U (zh) 一种便携式光固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