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520A - 맘모그래피 장치 - Google Patents

맘모그래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520A
KR20190040520A KR1020170129236A KR20170129236A KR20190040520A KR 20190040520 A KR20190040520 A KR 20190040520A KR 1020170129236 A KR1020170129236 A KR 1020170129236A KR 20170129236 A KR20170129236 A KR 20170129236A KR 20190040520 A KR20190040520 A KR 20190040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unting
coupling
mounting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382B1 (ko
KR102011382B9 (ko
Inventor
홍순길
김석종
서정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뷰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뷰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뷰웍스
Priority to KR1020170129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382B1/ko
Priority to PCT/KR2018/011936 priority patent/WO2019074286A1/ko
Priority to CN201880065941.XA priority patent/CN111200969B/zh
Priority to US16/754,941 priority patent/US11109820B2/en
Publication of KR20190040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382B1/ko
Publication of KR10201138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38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2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reast, i.e. mam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14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21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immobil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35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for imaging suspended br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61B6/444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the rigid structure being a C-arm or U-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맘모그래피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맘모그래피 장치는, 승강부에 결합되어 승강 이동하고, 레일부가 형성되는 장착부와, 레일부에 삽입되며, 장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체결부와, 장착부에 설치되고, 체결부와 접촉 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어 체결부의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감지부는, 장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체결부의 진입 방향 측 단부에 설치되는 접촉부와, 접촉부와 마주보는 장착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인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맘모그래피 장치{MAMMOGRAPHY APPARATUS}
본 발명은 맘모그래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방을 가압하는 압박부의 접촉 성능 및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맘모그래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맘모그래피는 방사선, 구체적으로 엑스레이(X-RAY) 영상 기술의 다양한 장점과 더불어 영상확대, 촬영수 감소, 해상도 상승, 밝기 및 대비 비 조절을 통한 피폭의 극소화라는 고유의 특징을 통해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맘모그래피 장치는 바닥에 수직인 기둥 형상의 컬럼(COLUMN), 중간 부분이 컬럼을 따라 승강 및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로 양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C자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나타내는 C 암(C-ARM), C 암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마주보는 타단부를 향해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제너레이터(GENERATOR), 제너레이터와 대면하는 디텍터(DETECTOR), C 암의 내면을 따라 제너레이터와 디텍터 사이를 직선 왕복 운동하는 압박 패드를 포함한다.
압박 패드는 구동부에 의해 승강 이동하고, 전기 신호에 따라 설정된 하중으로 측정 대상체, 구체적으로 유방에 직접적인 압력을 가하게 된다.
종래 검사판 상에 놓인 유방을 압박 패드가 가압 시 필요 이상의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대상체는 고통을 받게 된다. 특히 대상체의 사이즈와 밀도 등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그에 맞게 적절한 압력으로 가해져야 하나 전자, 소프트웨어 제어만으로는 대상체에 가해지는 압력 하중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8443호(2014.10.08 공개, 발명의 명칭: 맘모그래피 장치 및 그의 위치 정렬 제어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체결부를 장착부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압박부의 접촉 성능 및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맘모그래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맘모그래피 장치는: 승강부에 결합되어 승강 이동하고, 레일부가 형성되는 장착부;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며, 상기 장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부와 접촉 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체결부의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장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기 체결부의 진입 방향 측 단부에 설치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마주보는 상기 장착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인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맘모그래피 장치는,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체결부를 상기 대상체 측으로 접촉 가압하는 가압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체결부를 마주보는 일면 상에 제1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유지부는 상기 제1홀부를 관통하며 상기 체결부를 접촉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유지부는 회전가능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체결부를 마주보는 일면 상에 제2홀부가 형성되고, 맘모그래피 장치는, 상기 가압유지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를 상기 대상체 측으로 접촉 가압하는 기울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울임방지부는 회전가능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부와 마주보는 상기 체결부의 일면 상에는 고정홀부가 형성되고, 맘모그래피 장치는, 상기 체결부와 마주보는 상기 장착부의 일면을 관통하며 왕복 이동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장착부에 결합 시 상기 고정홀부 내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서 왕복 이동되는 이탈방지본체; 상기 이탈방지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본체를 상기 체결부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탈방지본체의 상기 체결부 측 단부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부에는 이동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이탈방지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장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레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체결부의 진입 방향 측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홈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레일부에 걸쳐지도록 외측으로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맘모그래피 장치는, 체결부를 장착부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접촉부, 인식부가 접촉되어 압박본체부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유지부가 체결부를 접촉 가압함으로 인하여 체결부가 장착부에 고정되고, 접촉부와 인식부 간 접촉을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유지부가 회전가능한 롤러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체결부와 가압유지부 간 마찰을 감소시키며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울임방지부로 인하여 압박본체부가 대상체를 가압 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평을 유지하여 대상체에 방사선량이 균일하게 조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울임방지부가 회전가능한 롤러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체결부와 기울임방지부 간 마찰을 감소시키며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로 인하여 체결부가 장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로 인하여 이탈방지본체를 체결부 측으로 탄성 지지하고, 체결부가 장착부에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체결부가 장착부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탈방지부가 체결부가 장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 인하여 접촉부, 인식부 간 접촉력 및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맘모그래피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조절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맘모그래피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맘모그래피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조절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맘모그래피 장치(1)는 본체부(100), 측정암부(200), 조사부(300), 촬영부(400), 압박부(500), 제어부(600), 표시부(7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지면에 수직을 이루며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100)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본체부(100) 상에서 뒤에 설명할 측정암부(200)가 승강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암부(200)는 본체부(100)에 결합되고, 본체부(100) 상에서 승강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 인하여 대상체(5), 구체적으로 유방 측정 시 상하(도 1 기준)으로 압박하거나, 대상체(5)가 정면을 바라보는 것을 기준으로 할 때 좌우 방향에서 유방을 압박하여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암부(200)는 이동프레임부(210), 구동부(220), 구동샤프트부(230), 로더부(240), 동력전달부(250), 이송부(260), 승강부(270), 하중조절부(280), 안전확보부(290), 측정부(295)를 포함한다.
이동프레임부(210)는 측정암부(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승강부(270)의 승강 이동(도 2 기준 상하 방향) 경로를 제공한다.
이동프레임부(210)에는 뒤에 설명할, 구동부(220), 구동샤프트부(230), 로더부(240), 동력전달부(250), 이송부(260), 승강부(270), 하중조절부(280), 안전확보부(290), 측정부(295) 등이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20)는 동력이 발생되는 것으로, 모터(MOTOR) 방식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부(220)에서 동력이 발생되고, 동력전달부(250)에 의해 이송부(260)에 동력이 전달되며, 이로 인하여 승강부(270)가 승강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샤프트부(230)는 구동부(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로더부(24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구동샤프트부(230)가 회전됨에 따라 로더부(240)가 회전된다.
로더부(240)는 구동부(220)에 결합되는 고정부(241)와 고정부(2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243)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250)는 전자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로더부(240)와 접촉하는 것으로, 전자력 발생 시 로더부(240)와 접촉하고, 전자력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로더부(240)와 이격된다.
이로 인하여 전자력이 발생 시 동력전달부(250)와 로더부(240)가 접촉되면 자력(磁力)이 발생되어 회전하게 되고, 구동부(22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 동력을 이송부(260)로 전달한다.
이송부(260)와 동력전달부(250)는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고 함께 회전된다. 동력부와 이송부(260)는 스플라인(SPLINE), 키(KEY)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되고, 동력전달부(250)가 로더부(240)와 접촉 시 구동부(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된다.
이로 인하여 구동부(220)의 동력을 이송부(260)로 전달하고, 승강부(270)가 측정암부(200) 상에서 승강 이동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260)는 동력전달부(250)와 결합되어 작동되는 것으로, 제1이송부(261), 제2이송부(263), 연결부(26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부(261)는 동력전달부(25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동력전달부(250)의 회전에 연동되어 동일한 중심축 상에서 회전된다. 제1이송부(261)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고, 구체적으로 벨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이송부(263)는 승강부(270)와 결합되어, 제2이송부(263)의 이동에 따라 승강부(270)가 측정암부(200) 상에서 상하 방향(도 1 기준)으로 승강 이동 한다.
제2이송부(263)는 일측 단부에서 제1이송부(261)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가지고 제1이송부(261)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제2이송부(263)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고, 구체적으로 벨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65)는 제1이송부(261)와 제2이송부(263)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1이송부(261)로부터 제2이송부(263)로 동력을 전달한다.
연결부(265)는 복수 개의 기어부(도면부호 미 설정), 구체적으로 제1기어부, 제2기어부가 구비되며 각각 제1이송부(261), 제2이송부(263)와 맞물려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65)는 제1이송부(261)와, 제2이송부(263)와 결합되는 각각의 기어부의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가감속이 가능하도록 제1이송부(261)와 결합되는 제1기어부, 제2이송부(263)와 결합되는 제2기어부의 직경, 기어치가 달리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270)는 이송부(260)와 결합되어 승강 이동하는 것으로, 승강부(270)에는 뒤에 설명할 압박부(500)가 장착된다.
승강부(270)는 구동부(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 이동하는 이송부(260), 구체적으로 제2이송부(263)에 결합되고, 이송부(260)가 이동됨에 따라 승강부(270)가 측정암부(200) 상에서 승강 이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조절부(280)는 로더부(240)와 동력전달부(25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로더부(240), 구체적으로 회전부(243)와 동력전달부(2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하중조절부(28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각 접촉되어 로더부(240)와 동력전달부(250) 간 자력이 증가 또는 감소된다.
구체적으로 하중조절부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로더부(240)와 동력전달부(250) 간 자력이 감소되고, 하중조절부의 개수가 감소할수록 로더부(240)와 동력전달부(250) 간 자력이 증가된다.
하중조절부(28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동력전달부(250)의 중심축을 둘러싸며 동력전달부(250)와 로더부(240) 사이에 설치된다.
이로 인하여 전자력 발생 시 동력전달부(250)가 로더부(240) 측(도 5 기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자력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구동부(220)의 회전동력이 이송부(260)로 전달된다.
동력전달부(250)는 중심축 상에서 이동하며, 뒤에 설명할 압박부(500)가 대상체(5)에 가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이동 거리가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중이 클수록 강한 전자력에 의해 동력전달부(250)가 로더부(240), 구체적으로, 회전부(243) 측으로 이동된다.
하중조절부(280)는 로더부(240), 구체적으로 회전부(243)와 동력전달부(250)에 각각 마찰 접촉되고, 이로 인하여 동력전달부(250)와 로더부(240) 사이 간격이 슬립(SLIP)이 발생하는 소정 거리 미만으로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더하여 요구되는 압박부(500)의 압박 하중에 대응되는 동력전달부(250)의 로더부(240) 측 이동 거리가 설정되고, 이를 초과하여 동력전달부(250)가 로더부(240)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하중조절부(280)로 인하여 소프트웨어 등 오류로 인하여 동력전달부(250)가 설정된 이동 거리를 초과하여 로더부(240) 측으로 이동하고, 강한 전자력에 의해 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여 대상체(5)를 압박하는 것을 차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동력전달부(250)와 로더부(240) 사이에 하중조절부(280)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동력전달부(250)의 로더부(240) 측 최대 이동 거리는 감소하고, 이는 동력전달부(250)의 최대 이동 시 동력전달부(250)와 로더부(240) 간 간격에 대응되는 전자력에 의한 압박부(500)의 압박 하중을 초과하여 대상체(5)를 가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조절부(280)에는 윤활제(L)가 도포된다. 윤활제(L)는 그리스(GREAS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윤활제(L)가 하중조절부(280)에 도포됨으로 인하여 동력전달부(250)가 로더부(240), 구체적으로 회전부(243) 측으로 이동 시 동력전달부(250), 로더부(240)와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확보부(290)는 로더부(240)를 마주보는 동력전달부(250)의 일측(도 4 기준 좌측)에 대향되는 타측(도 4 기준 우측) 단부와 결합되는 것으로 정전 등 갑작스런 맘모그래피 장치(1)의 정지 시 압박부(500)가 대상체(5)를 향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안전확보부(290)는 동력전달부(250)의 중심축에 결합되어 동력전달부(250)와 함께 회전한다.
안전확보부(290)는 이송부(260), 구체적으로 제2이송부(263)의 이동으로 인해 압박부(500)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일방향(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에는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내부에 밸브부(도면 미 도시)가 개방되어 윤활제(L)가 투입된다.
안전확보부(290)는 이송부(260), 구체적으로 제2이송부(263)의 이동으로 인해 압박부(5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타방향(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에는 압박부(500)가 하측(도 2 기준)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되도록 밸브부가 폐쇄되어 윤활제(L)의 투입을 차단한다.
도 2 내지 도 4,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295)는 연결부(265)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류 전송 방식에 의해 승강부(270)의 위치를 감지한다.
측정부(295)는 저항 값의 변화량을 전압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제어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측정부(295)는 연결부(265)와 연결되며, 제2이송부(263)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연결부(265)의 회전 변위를 측정하고 전압 출력으로 측정하여 측정 값을 제어부(600)로 전달한다.
제어부(600)로 전달된 측정 값은 일련의 연산과정을 통해 연결부(265)의 회전 변위량에 따른 승강부(270)의 현재 위치 값으로 변환되어 표시부(700)에 전달된다.
도 1,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700)는 본체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부(6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승강부(270), 구체적으로 승강부(270)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압박부(500)의 위치가 시각적 정보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부(300)는 측정암부(200)의 상측(도 1 기준)에 결합되는 것으로 측정암부(200)의 하측(도 1 기준)에 설치되는 촬영부(400) 측을 향해 방사선(R)을 조사한다.
본 발명에서 방사선(R)은 X선(X-RAY)이 사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감마선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400)는 측정암부(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조사부(300)가 설치되는 측정암부(200)의 일측 단부에 대향되는 타측에 마주보며 설치된다. 촬영부(400)에 대상체(5)가 배치되고, 조사부(300)에서 조사되는 방사선(R)이 압박부(500)를 투영하여 대상체(5)에 조사된다.
도 1,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박부(500)는 승강부(270)에 결합되는 것으로, 측정암부(200) 상에서 승강 이동(도 1 기준 상하 이동)한다.
압박부(500)는 장착부(510), 체결부(520), 감지부(530), 가압유지부(540), 기울임방지부(550), 이탈방지부(560)를 포함한다.
도 8,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510)는 승강부(270)에 결합되어 승강 이동하는 것으로 레일부(511)가 형성된다.
레일부(511)는 뒤에 설명할 체결부(520)의 진입 방향(도 8 기준 우측에서 좌측) 측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도 8 기준 상하측)에 홈부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장착부(510)의 일측(도 9 기준 우측)은 뒤에 설명할 체결부(520)가 진입가능하도록 개방되고, 장착부(510)의 우측(도 9 기준) 단면은 'ㅁ'에서 좌측 소정 구간이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체결부(520)가 레일부(511)에 걸쳐지며 장착부(5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레일부(511)에는 체결부(520), 구체적으로 프레임부(521)의 외측(도 8 기준)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523)가 걸쳐진다.
도 10을 참조하면, 장착부(510)에는 체결부(520)를 마주보는 일면 상에 제1홀부(513)가 형성된다. 뒤에 설명할 가압유지부(540)가 제1홀부(513)를 통과하여 장착부(510)에 장착되는 체결부(520)를 접촉 가압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장착부(510)에는 체결부(520)를 마주보는 일면 상에 제2홀부(515)가 형성된다. 제2홀부(515)는 제1홀부(513)보다 상측(도 9 기준)에 형성되고, 뒤에 설명할 기울임방지부(550)가 제2홀부(515)를 통과하여 장착부(510)에 장착되는 체결부(520)를 접촉 가압한다.
도 8,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520)는 레일부(511)에 삽입되는 것으로, 장착부(510)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체결부(520)는 프레임부(521), 압박본체부(525)를 포함한다.
프레임부(521)는 뒤에 설명할 압박본체부(525)가 장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압박본체부(525)가 프레임부(521)에 슬라이딩 결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볼트 등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521)의 장착부(510)를 마주보는 일면에는 고정홀부(522)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체결부(520), 구체적으로 프레임부(521)가 장착부(510)에 체결 시 고정홀부(522) 내측으로 뒤에 설명할 이탈방지본체(561)가 배치되어 프레임부(521)가 장착부(5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부(521)의 상하 측(도 8 기준)에는 외측으로 걸림부(523)가 돌출 형성되고, 걸림부(523)는 장착부(510)에 형성되는 홈부 형상의 레일부(511)에 걸쳐진다.
이로 인하여 체결부(520), 구체적으로 프레임부(521)가 장착부(5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박본체부(525)는 프레임부(521)에 결합되는 것으로, 촬영부(400) 상에 배치되는 대상체(5)를 가압한다.
본 발명에서는 압박본체부(525)가 상측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상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대상체(5)인 유방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530)는 장착부(5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체결부(520)와 접촉 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어 체결부(520), 구체적으로 압박본체부(525)의 종류를 감지한다. 감지부(530)는 접촉부(531), 인식부(533)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531)는 장착부(5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체결부(520)의 진입 방향 측 단부(도 10 기준 좌측)에 설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부(533)는 접촉부(531)와 마주보는 장착부(51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접촉부(531)와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 신호가 발생된다.
체결부(520), 구체적으로 압박본체부(525)의 종류에 따라 접촉부(531)가 다르게 형성되고, 접촉부(531)와 인식부(533)와의 접촉 시 측정되는 저항 값이 다르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해당 압박본체부(525)에 따른 저항 값을 읽어 장착부(510)에 체결된 압박본체부(525)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접촉부(531)와 인식부(533)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600)로 전달되고, 제어부(600)는 이를 다시 표시부(700)로 전달하여 현재 장착부(510)에 장착된 압박본체부(525)의 종류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 정보로 표시한다.
도 7,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유지부(540)는 장착부(5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장착부(510)에 장착되는 체결부(520)를 대상체(5) 측으로 접촉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가압유지부(540)는 제1홀부(513)를 관통하여 체결부(520)를 접촉 가압한다. 가압유지부(540)는 제1홀부(513)가 형성되는 장착부(510)의 일면보다 장착되는 체결부(520) 측으로 더 돌출된다.
이로 인하여 장착부(510)와 체결부(520) 간 간격으로 인해 체결부(520)가 진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부(520)의 진동으로 인해 감지부(530), 구체적으로 접촉부(531)와 인식부(533) 간 접촉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유지부(540)는 회전가능한 롤러로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체결부(520)가 장착부(510)에 슬라이딩 결합 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시키고,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유지부(54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장착부(5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도 10 기준 좌우 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장착부(510)에 결합되는 체결부(520)에 대한 가압력을 배가시키고, 체결부(520)가 장착부(510) 내 결합 구간에서 진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임방지부(550)는 가압유지부(540)와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체결부(520)를 마주보는 장착부(51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2홀부(515)를 관통하며 체결부(520)를 접촉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기울임방지부(550)는 장착부(510)에 형성되는 제2홀부(515)를 관통하여 체결부(520)를 접촉 가압한다. 기울임방지부(550)는 제2홀부(515)가 형성되는 장착부(510)의 일면보다 체결부(520) 측으로 더 돌출된다.
이로 인하여 압박본체부(525)가 대상체(5), 구체적으로 유방을 압박 시 유방의 형상에 따라 압박본체부(525)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평을 유지시켜 유방을 향해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임방지부(550)는 회전가능한 롤러로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체결부(520)가 장착부(510)에 슬라이딩 결합 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시키고,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임방지부(55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장착부(5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도 9 기준 좌우 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장착부(510)에 결합되는 체결부(520)에 대한 가압력을 배가시키고, 체결부(520)가 유방의 형상에 따라 장착부(510) 내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저지하여 수평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560)는 체결부(520)와 마주보는 장착부(510)의 일면을 관통하며 왕복 이동되는 것으로, 체결부(520)가 장착부(510)에 슬라이딩 결합 시 체결부(52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고정홀부(522) 내에 배치된다.
이탈방지부(560)는 이탈방지본체(561), 탄성부재(563), 레버부(565)를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본체(561)는 장착부(510)의 내측에서 왕복 이동된다.
본 발명에서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장착부(51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563)는 이탈방지본체(561)와 결합되는 것으로 장착부(5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이탈방지본체(561)를 체결부(520) 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563)가 스프링(SPRING)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린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부(565)는 이탈방지본체(561)에 결합되는 것으로, 장착부(510)의 상면(도 10 기준)에 형성되는 이동홀부(517)를 관통하여 장착부(510)의 외측(도 10 기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레버부(565)는 이탈방지본체(561)의 축 방향과 직교를 이루며 이탈방지본체(561)에 결합될 수 있다. 이탈방지본체(561)에는 결합홈부(562)가 형성되고, 레버부(565)는 결합홈부(562)에 나사 결합 등으로 체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맘모그래피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면에 수직으로 본체부(100)가 설치되고, 본체부(100)에는 대상체(5)의 키에 맞게 승강 이동 혹은 대상체(5), 구체적으로 유방 측정 각도에 맞게 회전가능한 측정암부(200)가 설치된다.
측정암부(200)의 하측(도 1 기준)에는 대상체(5), 구체적으로 유방이 배치되는 촬영부(400)가 결합되고, 측정암부(200)의 상측(도 1 기준)에는 조사부(300)가 결합된다. 조사부(300)는 대상체(5)를 향해 X선 등의 방사선(R)을 조사한다.
촬영부(400)와 조사부(300) 사이에는 측정암부(200) 상에서 승강 이동하는 압박부(500)가 설치된다. 압박부(500)는 승강부(270)에 고정 결합된다. 승강부(270)는 측정암부(200) 내에 설치되는 이동프레임부(210) 상에서 승강(도 2 기준 상하 방향) 이동하는 것으로 승강부(270)의 승강 이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구동부(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샤프트부(230)의 외측에는 로더부(240)가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발생되는 전자력에 의해 동력전달부(250)가 로더부(240)에 접촉된다.
구동샤프트부(230)의 회전과 연동되어 로더부(240), 구체적으로 회전부(243)가 회전되고, 전자력에 의해 동력전달부(250)가 로더부(240) 측(도 5 기준 좌측)으로 이동되며, 로더부(240)와 접촉, 로더부(2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를 이송부(260)에 전달한다.
하중조절부(280)는 로더부(240)와 동력전달부(25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로더부(240)와 동력전달부(2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전자력이 발생되지 않을 시에는 로더부(240), 구체적으로 회전부(243)와 동력전달부(250)가 이격되며 구동부(220)로부터 이송부(260)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때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력이 발생되면 동력전달부(250)가 로더부(240) 측으로 이동하며 마찰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전자력이 강할수록 더 큰 동력이 전달되고, 이는 이송부(260)에 결합되는 승강부(270)가 대상체(5)를 가압하는 하중에 비례한다. 설정된 하중 값에 따라 동력전달부(250)가 로더부(240) 측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동한다.
설정된 하중 값에 도달하여도 동력전달부(250)와 로더부(240)는 소정 간격 이격되는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상 오작동 발생 시 설정된 하중 값에 대응되는 이동 거리보다 동력전달부(250)가 로더부(240)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더 강한 전자력에 의해 설정된 하중 값보다 더 큰 하중으로 압박부(500)가 대상체(5)를 압박하게 된다.
하중조절부(280)가 로더부(240)와 동력전달부(250) 사이에 설치됨으로 인하여 로더부(240)와 동력전달부(250) 사이에 슬립(SLIP) 현상을 발생시키고, 설정 하중 값에 대응되는 이동 거리를 초과하여 동력전달부(250)가 로더부(240)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더하여 압박부(500)가 설정된 하중 값을 초과하여 대상체(5)를 압박하는 것을 차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중조절부(28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대상체(5)를 가압하는 압박부(500)의 하중 값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로더부(240)와 동력전달부(250) 사이 간격이 작아질수록 전달되는 동력, 대상체(5)를 가압하는 압박부(500)의 하중이 증가하므로 하중조절부(280)가 복수 개 설치되어 하중조절부(280)의 총 두께가 커질수록 동력전달부(250)가 로더부(24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감소되며 최대 압박 하중 값을 낮출 수 있다.
하중조절부(280)로 인하여 프로그램 상 오류로 설정된 하중 값을 초과하여 동력전달부(250)가 구동부(22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과도한 하중으로 인한 대상체(5)의 부상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안전확보부(290)는 동력전달부(250)의 중심축과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정전 등 갑작스런 사고로 맘모그래피 장치(1)가 정지하는 경우 대상체(5)를 가압하는 압박부(50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하중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확보부(290) 내에는 동력전달부(250)의 중심축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윤활제(L)가 배출되는 밸브부가 설치될 수 있고, 압박부(500)가 상측(도 2 기준)으로 이동 시에는 밸브부가 열려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압박부(500)가 하측(도 2 기준)으로 이동 시에는 밸브부가 닫혀 회전에 대한 저항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맘모그래피 장치(1) 정지 시 사용자가 압박부(500)를 들어올리는 것은 원활하게 하고, 갑작스럽게 압박부(500)가 추락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3, 도 4, 도 6을 참조하면, 측정부(295)는 연결부(265)에 결합되어 전류 전송 방식에 의해 승강부(270)의 위치를 감지함으로 인해 이송부(260), 구체적으로 2차이송부(260)의 회전 변위량을 전압으로 출력한다.
도 1, 도 6을 참조하면, 출력된 전압은 제어부(600)로 전달되며, 일련의 연산과정을 통해 연결부(265)의 회전 변위량에 따른 승강부(270)의 현재 위치 값으로 변환되어 표시부(700)에 전달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 구체적으로 측정자가 현재 승강부(270), 승강부(270)에 결합되는 압박부(500)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맘모그래피 장치(1)의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도 7을 참조하면, 장착부(510)는 승강부(270)에 결합되어 측정암부(200), 구체적으로 이동프레임부(210) 상에서 승강 이동한다.
장착부(510)에는 레일부(511)가 형성되고, 체결부(520)가 장착부(510)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체결부(520)는 프레임부(521), 압박본체부(525)를 포함하고, 압박본체부(525)는 대상체(5), 구체적으로 유방을 압박하는 것으로 프레임부(521)에 장착된다.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감지부(530)는 접촉부(531), 인식부(533)를 포함한다. 체결부(520)는 장착부(510)의 측면에서 레일부(511)를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고, 체결부(520)의 진입 방향 측 단부에 설치되는 접촉부(531)가, 접촉부(531)와 마주보는 장착부(51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인식부(533)에 접촉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대상체(5)를 측정하기 위해 체결부(520)를 장착부(510)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접촉부(531), 인식부(533)가 서로 접촉되며 체결부(520), 구체적으로 압박본체부(525)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압유지부(540)로 인해 장착부(510)에 형성되는 제1홀부(513)를 관통하여 장착부(5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롤러로 형성되어 장착부(5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체결부(520)와 회전 마찰 접촉된다.
가압유지부(540)가 체결부(520)를 대상체(5) 측으로 접촉 가압함으로 인하여 체결부(520)가 장착부(510)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고, 접촉부(531)와 인식부(533)가 이격되는 것을 차단하여 맘모그래피 장치(1)의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울임방지부(550)로 인해 장착부(510)에 형성되는 제2홀부(515)를 관통하여 장착부(5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롤러로 형성되어 압박본체부(525)가 대상체(5), 구체적으로 유방을 압박 시 유방 형상에 따라 압박본체부(525)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평이 유지되도록 한다.
압박본체부(525)가 수평 유지됨으로 인하여 대상체(5), 유방에 균일하게 방사선량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탈방지부(560)의 체결부(520) 측 단부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부(510)에 체결부(520)를 슬라이딩 결합 시 이탈방지부(560)가 미끄러지며 체결부(520), 구체적으로 프레임부(521)에 형성되는 고정홀부(522) 내측에 배치된다.
탄성부재(563)로 인해 이탈방지본체(561)를 체결부(520) 측으로 탄성 지지하고, 체결부(520)가 장착부(510)에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체결부(520)가 장착부(510)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감지부(530), 구체적으로 접촉부(531)와 인식부(533) 간 접촉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체결부(520)를 장착부(510)에서 해체하거나 교체 시에는 레버부(565)를 체결부(520) 측에 대향되는 후방 측으로 당기면 탄성부재(563)가 압축되면서 이탈방지본체(561)가 체결부(520)로부터 장착부(510) 내측으로 이동하고 체결부(520)를 장착부(5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할 것이다.
1: 맘모그래피 장치 R: 방사선
L: 윤활제 5: 대상체
100: 본체부 200: 측정암부
210: 이동프레임부 220: 구동부
230: 구동샤프트부 240: 로더부
241: 고정부 243: 회전부
250: 동력전달부 260: 이송부
261: 제1이송부 263: 제2이송부
265: 연결부 270: 승강부
280: 하중조절부 290: 안전확보부
295: 측정부 300: 조사부
400: 촬영부 500: 압박부
510: 장착부 511: 레일부
513: 제1홀부 515: 제2홀부
517: 이동홀부 520: 체결부
521: 프레임부 522: 고정홀부
523: 걸림부 525: 압박본체부
530: 감지부 531: 접촉부
533: 인식부 540: 가압유지부
550: 기울임방지부 560: 이탈방지부
561: 이탈방지본체 562: 결합홈부
563: 탄성부재 565: 레버부
600: 제어부 700: 표시부

Claims (11)

  1. 승강부에 결합되어 승강 이동하고, 레일부가 형성되는 장착부;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며, 상기 장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부와 접촉 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체결부의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장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기 체결부의 진입 방향 측 단부에 설치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마주보는 상기 장착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인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맘모그래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체결부를 상기 대상체 측으로 접촉 가압하는 가압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맘모그래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체결부를 마주보는 일면 상에 제1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유지부는 상기 제1홀부를 관통하며 상기 체결부를 접촉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맘모그래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지부는 회전가능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맘모그래피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체결부를 마주보는 일면 상에 제2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유지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를 상기 대상체 측으로 접촉 가압하는 기울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맘모그래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방지부는 회전가능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맘모그래피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마주보는 상기 체결부의 일면 상에는 고정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와 마주보는 상기 장착부의 일면을 관통하며 왕복 이동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장착부에 결합 시 상기 고정홀부 내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맘모그래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서 왕복 이동되는 이탈방지본체;
    상기 이탈방지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본체를 상기 체결부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맘모그래피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본체의 상기 체결부 측 단부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맘모그래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이동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이탈방지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장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레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맘모그래피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체결부의 진입 방향 측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홈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레일부에 걸쳐지도록 외측으로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맘모그래피 장치.
KR1020170129236A 2017-10-11 2017-10-11 맘모그래피 장치 KR102011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236A KR102011382B1 (ko) 2017-10-11 2017-10-11 맘모그래피 장치
PCT/KR2018/011936 WO2019074286A1 (ko) 2017-10-11 2018-10-11 맘모그래피 장치
CN201880065941.XA CN111200969B (zh) 2017-10-11 2018-10-11 乳房摄影术装置
US16/754,941 US11109820B2 (en) 2017-10-11 2018-10-11 Mammograph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236A KR102011382B1 (ko) 2017-10-11 2017-10-11 맘모그래피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520A true KR20190040520A (ko) 2019-04-19
KR102011382B1 KR102011382B1 (ko) 2019-10-21
KR102011382B9 KR102011382B9 (ko) 2022-04-15

Family

ID=6610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236A KR102011382B1 (ko) 2017-10-11 2017-10-11 맘모그래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09820B2 (ko)
KR (1) KR102011382B1 (ko)
CN (1) CN111200969B (ko)
WO (1) WO20190742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9963B2 (ja) * 2019-09-30 2022-09-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
KR102329835B1 (ko) * 2020-01-06 2021-11-22 주식회사 뷰웍스 맘모그래피 장치
US20240268775A1 (en) * 2023-02-15 2024-08-15 GE Precision Healthcare LLC Mammography Imaging System with Universal Attachment Structur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324A (ja) * 1999-03-08 2000-09-19 Oi Seisakusho Co Ltd コンソールのスライド支持装置
JP2005523043A (ja) * 2001-08-03 2005-08-04 バイオルーセン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圧縮面のクッションのための装置
JP2012024165A (ja) * 2010-07-20 2012-02-09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圧迫板
KR101671644B1 (ko) * 2015-08-25 2016-11-01 주식회사다스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44873A2 (en) 2001-10-19 2004-08-11 Hologic, Inc. Mammography system and method employing offset compression paddles, automatic collimation, and retractable anti-scatter grid
JP5425008B2 (ja) * 2010-07-20 2014-02-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圧迫板
CN104127196B (zh) * 2014-07-25 2021-05-07 上海联影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乳腺压迫装置
CN105748161B (zh) * 2016-05-06 2019-01-11 上海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压迫板识别装置及乳腺成像设备
DE102017210604A1 (de) * 2017-06-23 2018-12-27 Siemens Healthcare Gmbh Kompressionseinheit für ein kombiniertes Röntgen-/Ultraschall-Untersuchungsgerä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324A (ja) * 1999-03-08 2000-09-19 Oi Seisakusho Co Ltd コンソールのスライド支持装置
JP2005523043A (ja) * 2001-08-03 2005-08-04 バイオルーセン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圧縮面のクッションのための装置
JP2012024165A (ja) * 2010-07-20 2012-02-09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圧迫板
KR101671644B1 (ko) * 2015-08-25 2016-11-01 주식회사다스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53568A1 (en) 2020-08-13
WO2019074286A1 (ko) 2019-04-18
US11109820B2 (en) 2021-09-07
KR102011382B1 (ko) 2019-10-21
CN111200969A (zh) 2020-05-26
CN111200969B (zh) 2023-08-22
KR102011382B9 (ko)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0520A (ko) 맘모그래피 장치
US20140098942A1 (en) Radiation generating apparatus
US11696734B2 (en) Radiography apparatus
KR101972505B1 (ko) 맘모그래피 장치
US10631796B2 (en) Brake system and med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2004474B (zh) 压缩臂设备和方法
EP2974662B1 (en) Digital mammography device
US10674977B2 (en)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KR101996638B1 (ko) 압박 패들용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EP3845129B1 (en) Mammography device
KR102072658B1 (ko) 맘모그래피 장치
WO2018166309A1 (zh) 乳腺x射线系统、压迫器及其压力检测装置
US11166680B2 (en) X-ray CT system and medical bed apparatus
JP2010200805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その昇降制御方法
US20220167934A1 (en) Radiograph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graphy apparatus
KR102399449B1 (ko)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77807A (ko) 디지털 맘모그래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