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221A - 다수-라인 연결 신속 다중-커플링 - Google Patents

다수-라인 연결 신속 다중-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221A
KR20190040221A KR1020197005691A KR20197005691A KR20190040221A KR 20190040221 A KR20190040221 A KR 20190040221A KR 1020197005691 A KR1020197005691 A KR 1020197005691A KR 20197005691 A KR20197005691 A KR 20197005691A KR 20190040221 A KR20190040221 A KR 20190040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n
coupling
assembly
handle assembly
coupl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166B1 (ko
Inventor
루크 울프
폴 르메이
브라이언 포너
Original Assignee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4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5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 F16B2/18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u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다중-커플링 시스템이,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연결될 때, 구성요소들 상의 대향되는 유체 커플러들이 연결된다.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후크 유지부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를 가지고, 제1 커플링 구성요소는 롤러를 가지며, 핸들 조립체는 구성요소들을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해서 회전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가 연결을 위해서 회전될 때, 후크 유지부는, 단일 캠으로써, 롤러와 상호작용하여 구성요소들을 함께 당긴다. 록킹 핀 조립체가,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록킹 핀을 포함하고, 연장될 때, 제2 구성요소의 하우징 내에서 록킹되어 핸들 조립체의 회전을 방지한다. 사용자는 록킹 핀 조립체를 조작하여 록킹 핀을 후퇴시키고, 록킹 핀은 후퇴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유지된다. 핸들 조립체가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들의 분리를 위해서 회전될 때, 록킹 핀은 자동적으로 리셋된다.

Description

다수-라인 연결 신속 다중-커플링
관련 출원
본원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2016년 9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382,837호의 이익 향유를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신속 커플링에 관한 것이고, 보다 특히 고압의 다수의 유체 라인과, 유압 유체 시스템과 같은, 다른 유체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다중-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신속 커플링은 일반적으로 특별한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유체 라인을 커플링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장치이다. 신속 커플링은, 예를 들어, 단일 유체 라인의 연결을 위한 개별적인 커플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신속 커플링의 예시적인 용도는 유압 시스템에서의 유압 유체 라인의 연결에 있다. 개별적인 신속 커플링은 전형적으로, 커플링의 2개의 절반체들이 내부 압력으로 인해서 분리되려고 할 때, 커플링의 2개의 절반체를 함께 유지하기 위한 볼 록킹 메커니즘을 갖는다. 신속 커플링은 임의의 수의 다수의 유체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다중-커플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중-커플링은 판 또는 캐스팅(casting) 내에 함께 장착된 신속 커플링의 그룹을 구성한다. 각각의 개별적인 커플링을 위한 개별적인 록킹 메커니즘 대신, 다중-커플링은 전형적으로, 개별적인 커플링들의 그룹을 함께 연결 및 유지하는 다수-라인 연결 및 록킹 메커니즘을 갖는다. 이러한 하나의 다수-라인 연결 및 록킹 메커니즘의 기계적 장점은, 모든 신속 커플링을 동시에 연결하는데 필요한 조합된 힘을 극복하는데 있어서 종종 유리하다.
다수-라인 연결 메커니즘을 갖는 다중-커플링의 예시적인 용도는, 예를 들어 소형 농장 트랙터 및 유사한 장비 또는 차량과 같은, 이동형 장비이다. 그러한 이동형 장치에서 종종, 프론트 로더(front loader), 쟁기 부착부(plow attachment), 또는 기타와 같은, 유압 도구 또는 용구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하나 초과의 유압 유체 라인이 필요하다. 표준적인 개별적 커플링의 이용은, 사용자가 다수의 상이한 연결 단계로 모두를 연결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다수-라인 연결부를 갖는 다중-커플링은, 각각의 유압 유체 라인에 대한 개별적인 연결을 실시할 필요가 없이, 연결될 수 있고, 이는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한다. 또한, 다중-커플링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용구 상의 잘못된 호스를 기본 차량과 같은 장비의 단편 상의 잘못된 커플링 포트에 연결하는 것을 방지한다. 소형 농장 트랙터의 예에서, 상이한 도구 용구들(예를 들어, 프론트 로더, 쟁기 부착부, 등)이 트랙터에 장착될 수 있다. 유압 유체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산업 표준으로서의 ISO 16028 크기 6.3 mm 기하형태(geometry)에 일반적으로 일치되는, 4개의 개별적인 유압 라인을 채택한다. ISO 16028에 따라, 다중-커플링 내의 모든 커플링은, 분리시에 적은 양의 유출만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비-유출 커플러이다. 이러한 유형의 커플링은 또한, 상당한 파편이 있을 수 있는 용도에서 바람직한, 플러시 면 설계(flush faced design)를 갖는다. 임의의 파편이 커플링의 면 상에 있는 경우, 그러한 파편은 씻길 수 있고 유압 시스템 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통상적인 다중-커플링은 특정 단점을 갖는다. 다중-커플링의 일반적인 문제점은, 효과적인 연결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크기 및 중량을 제한할 필요성과 연관된다. 크기 및 중량은 특히, 전술한 소형 트랙터 및 유사한 크기의 또는 구성의 장비 또는 차량과 같은, 비교적 작은 장비에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점이다. 다중-커플링이 다수의 개별적인 커플링을 수용하고 유압으로 인한 분리력에 저항하여야 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연결 필요성으로 인해서, 다중-커플링이 커질 수 있다. 다중-커플링의 구성의 하나의 통상적인 분류는 캠 슬롯 유형의 다중-커플링이다. 부싱(bushing)이 슬롯형 캠 내에서 활주되고, 이는 다중-커플링 절반체들을 함께 당기고 록킹한다. 슬롯형 캠 유형의 커플링은 일반적으로, 다중-커플링 절반체들을 함께 록킹하는 2개의 슬롯형 캠을 갖는다. 다중-커플링의 다른 통상적 구성은 캠샤프트 록킹 유형의 다중-커플링이다. 그러한 구성에서, 단일 레버가 다수의 캠 록킹 메커니즘을 동작시켜 다수-라인 연결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통상적인 다중-커플링은, 다수-라인 연결을 만들고 보장하기 위해서, 하나 초과의 캠 특징부 또는 그와 유사한 다수 록킹 메커니즘을 가지나, 다수의 캠 또는 그와 유사한 다중 록킹 메커니즘의 이용은, 통상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바와 같이, 크기 및 중량을 증가시키고, 소형 장비 내에 피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통상적인 다중-커플링 연결 메커니즘은, 연결 메커니즘을 동작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핸들을 제공한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다중-커플링은 핸들을 위한 록 특징부를 필요로 하고, 그에 따라 다중-커플링은 우발적으로 분리될 수 없다. 통상적으로, 다중-커플링 연결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데 있어서, 양 손의 동작이 요구된다. 록 장치가 한 손으로 작동되고 제 위치에서 유지될 필요가 있는 한편, 제2 손은 동시에 핸들 회전을 시작한다. 이러한 2개의 손의 동작은 다중-커플링과 종종 연관되는 좁은 공간에서 특히 실시하기 어려울 수 있고, 또한 다중-커플링을 동작시키기 위한 한 손의 이용 및 다른 도구 또는 모니터링/측정 장치(예를 들어, 온도 또는 압력 측정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손의 이용을 배제한다. 또한, 통상적인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교합되는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들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전형적으로 상보적인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에 대한 연결을 위해서만 정합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는, 장비의 단편 상에서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가지나, 연결하고자 하는 용구 상의 커플링을 단지 헐겁게 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개별적인 신속 커플링을 갖는 다수-라인 연결을 위한 향상된 다중-커플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간 절약을 위해서, 본 발명의 다중-커플링 시스템은 단지 하나의 캠으로 연결 상태에서 록킹되며, 이는, 통상적인 다수-캠 구성에 비해서, 크기 및 중량을 줄인다. 다중-커플링은 가동형 구성요소 및 고정형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구성요소 중 하나는 2개의 구성요소를 고정된 다수-라인 연결로 함께 당기기 위한 핸들 조립체를 갖는다. 가동형 및 고정형 구성요소의 결합은 안내 핀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다. 유체 라인 커플러가 캠과 안내 핀 사이에 위치되어, 커플링이 가압될 때, 판들의 분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확실한 다수-라인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다중-커플링 시스템은 향상된 록킹 핀 조립체, 및 다수-라인 연결을 효과적으로 보장하기 위해서 록킹 핀 조립체와 협력하는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캐스팅 내의 상응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핸들 조립체가 우발적으로 동작되어 다중-커플링을 개방하는 것이 방지되고, 그에 따라 록킹 핀 조립체는 다중-커플링의 우발적 분리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록킹 메커니즘은 동작을 위해서 하나의 손 만을 필요로 하고, 이는, 통상적인 2-손형 메커니즘에 비해서,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동작이 더 용이하다. 록킹 핀 조립체는 핀 조립체 본체 내에서 이동되는 록킹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동작에서, 사용자는 록킹 핀 조립체의 노브를 회전시키고, 이는 다중-커플링 캐스팅의 록킹 핀의 샤프트 단부를 외부로 당기고 록킹 핀을 록킹 핀 조립체 본체 내의 멈춤쇠 위치 내에 배치한다. 다중-커플링이 분리될 때, 핀은 다중-커플링 하우징의 경사 표면 상에서 이동된다. 다중-커플링의 하우징 상의 경사 표면의 각도는 록킹 핀을 밀고 록킹을 록킹 핀 조립체 본체 내의 멈춤쇠 위치로부터 제거한다. 이러한 동작은 록킹 핀의 위치를 리셋하고, 그리고 사용자가 다음 연결을 할 때 록킹 핀은 자동적으로 다시 록킹된다.
록킹 핀 조립체는 비틀림 및 압축 스프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은 록킹 핀의 샤프트를 다중-커플링 캐스팅 내로 편향시키고, 록킹 핀 조립체 본체에 대해서 록킹 샤프트에 토크를 가한다. 록킹 핀 조립체 본체는, 록킹 핀 상의 맞춤부 핀(dowel pin)과 상호작용하는 나선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핀 본체 상의 나선형 표면으로 인해서, 노브가 분리 위치를 향해서 회전될 때, 맞춤부 핀이 회전되고 나선형 표면과 상호작용하며, 이는 록킹 핀 샤프트를 캐스팅 외부로 후퇴시킨다. 사용자는, 맞춤부 핀이 멈춤쇠 슬롯 내에 놓일 때까지, 노브를 회전시킬 수 있다. 커플링이 분리될 때, 핀 샤프트는 경사 표면 상의 캐스팅 상에서 이동되고, 이는 샤프트를 본체 내로 밀고 맞춤부 핀을 멈춤쇠 슬롯 외측으로 민다. 이러한 분리 상태에서, 비틀림 및 압축 스프링에 의해서, 샤프트는 자동적으로 리셋되고 후속 연결 동작 중에 다중-커플링을 연결 상태에서 록킹할 것이다.
개별적인 커플러 니플이 암놈형 커플러(즉,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에 통합되지 않은 커플러)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거나 그러한 커플러를 "헐겁게"할 수 있도록, 다중-커플링의 고정형 구성요소가 구성된다. 고정형 구성요소 상의 숫놈형 커플러는 ISO 16028 크기 6.3 mm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기하형태를 갖는 숫놈형 니플 카트리지로서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표준 규격품 헐거움 커플러(standard off-the shelf loose coupler)가 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암놈형 커플러가 고정형 구성요소 내에 형성된 지지 융기부 내에 피팅될 수 있도록, 고정형 구성요소 내에 충분한 공간이 존재한다. 이는, 가동형 구성요소 상의 헐거움 암놈형 커플러가 고정형 구성요소 상의 숫놈형 커플러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양태는 다중-커플링 시스템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중-커플링 시스템은 복수의 개별적인 제1 유체 커플러를 포함하는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및 복수의 개별적인 제2 유체 커플러를 포함하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다중-커플링 시스템은 연결 및 록킹 상태 및 분리 상태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제1 유체 커플러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제2 유체 커플러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분리 상태에서, 제1 유체 커플러 및 제2 유체 커플러가 분리된다.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후크 유지부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커플링 구성요소는 롤러를 가질 수 있으며, 핸들 조립체는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와 연결 및 록킹 상태 사이에서 구성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후크 유지부는, 단일 캠으로서, 롤러와 상호작용하여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분리 상태로부터 연결 및 록킹 상태로 함께 당긴다.
다중-커플링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핸들 조립체에 부착된 록킹 핀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록킹 핀 조립체는,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록킹 핀을 포함한다.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복수의 개별적인 제2 유체 커플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가질 수 있고, 하우징은 록킹 핀 홀을 더 포함한다.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록킹 핀은 연장 위치에 있고, 그러한 연장 위치에서 록킹 핀의 샤프트 단부가 록킹 핀 홀 내에 위치되고, 그에 의해서 핸들 조립체의 회전을 방지한다. 록킹 핀 조립체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어, 록킹 핀을, 록킹 핀 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수 있는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록킹 핀 조립체는, 다중-커플링 시스템이 연결 및 언록킹 상태에 있을 때, 록킹 핀을 후퇴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및 멈춤쇠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록킹 핀 조립체는 하우징의 경사 표면에 대해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스프링 편향은,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들을 분리하기 위해서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록킹 핀을 리셋시키는 동작을 한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추가적인 특징이 분명해질 것이다. 설명 및 도면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본 발명의 원리가 이용될 수 있는 방식 중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그에 상응하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은, 본원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용어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화, 수정 및 균등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 및/또는 도시된 특징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방식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및/또는 다른 실시예의 특징과 조합되어 또는 그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구성요소들이 분리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중-커플링 시스템의 제1 관점으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예시적인 다중-커플링 시스템의 제2 관점으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예시적인 다중-커플링 시스템의 제3 관점으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분리된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적인 다중-커플링 시스템의 고정형 구성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구성요소들의 연결 상태에서,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적인 다중-커플링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구성요소들의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도 5의 예시적인 다중-커플링 시스템의 대체로 위쪽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구성요소들이 이제 연결 상태 및 언록킹 상태에서, 도 6의 예시적인 다중-커플링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구성요소들이 이제 분리 상태에서, 도 7의 예시적인 다중-커플링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분리된 예시적인 다중-커플링 시스템의 하우징 구성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위한 예시적인 록킹 핀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노브를 제거한, 도 10의 예시적인 록킹 핀 조립체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예시적인 록킹 핀 조립체를 사시도적으로 그리고 횡단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고, 여기에서, 전체를 통해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면이 반드시 실제 축척이지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소형 트랙터 시스템과의 적절한 용접과 관련하여 부분적으로 설명된다. 그러한 예는 비제한적인 것이고, 그리고 본 발명의 다중-커플링 시스템이 유체 라인의 다수의 개별적인 커플링의 연결을 위한 임의의 적절한 용법에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소형 트랙터는, 프론트 로더 용구에 연결된 기본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로더가 또한 비제한적인 예이고, 다른 부착(예를 들어, 눈 쟁기, 체굴기, 등)이 용구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한 용구는, 용구의 동작을 위해서 기본 차량의 협력 유체 라인에 연결되는 유체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소형 트랙터 시스템의 예에서, 연결 라인은 4개의 개별적인 유압 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나, 임의의 수의 개별적인 유체 라인이 개시된 다중-커플링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체 라인은 산업 표준으로서 ISO 16028 크기 6.3 mm 기하형태와 일치될 수 있다. ISO 16028에 따라, 다중-커플링 내의 모든 커플링은, 분리시에 적은 양의 유출만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비-유출 커플러이다. 이러한 유형의 커플링은 또한, 상당한 파편이 있을 수 있는 용도에서 바람직한, 플러시 면 설계를 갖는다. 임의의 파편이 커플링의 면 상에 있는 경우, 그러한 파편은 씻길 수 있고 유압 시스템 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ISO 16028 커플링의 이용은 또한 비제한적인 예이고, 그에 따라 개별적인 커플링의 다양한 분류, 구성, 및 수가 본 발명의 다중-커플링 시스템과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는 다중-커플링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중-커플링 시스템은 복수의 개별적인 제1 유체 커플러를 포함하는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및 복수의 개별적인 제2 유체 커플러를 포함하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다중-커플링 시스템은 연결 및 록킹 상태 및 분리 상태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제1 유체 커플러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제2 유체 커플러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분리 상태에서, 제1 유체 커플러 및 제2 유체 커플러가 분리된다.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후크 유지부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커플링 구성요소는 롤러를 가질 수 있으며, 핸들 조립체는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와 연결 및 록킹 상태 사이에서 구성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후크 유지부는, 단일 캠으로서, 롤러와 상호작용하여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분리 상태로부터 연결 및 록킹 상태로 함께 당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중-커플링 시스템(20)의 상이한 관점으로부터의 다양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인 용법에서, 다중-커플링 시스템(20)은, 유압 동작형 용구가 기본 차량에 연결될 수 있는, 소형 트랙터 시스템 또는 유사 차량 또는 장비 내의 유압 유체 라인을 위한 다중-커플링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다중-커플링 시스템(20)은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22)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22)는, 일반적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게 고정된 방식으로, 기본 차량 또는 다른 기본 장비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22)는 고정형 구성요소(22)로도 지칭될 수 있다.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24)는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거나 용구로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성요소(24)는 가동형 구성요소(24)로도 지칭될 수 있다.
도 4는 제1 또는 고정형 구성요소(22)를 분리하여 추가적으로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가 복수의 제1 개별적 유체 커플러(26)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가 복수의 제2 유체 커플러(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의 예에서, 4개의 제2 유체 커플러(28)와 각각 연결하기 위한 4개의 제1 유체 커플러(26)가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제1 개별적 유체 커플러(26)는 복수의 숫놈형 니플 카트리지일 수 있고, 제2 개별적 유체 커플러(28)는 숫놈형 니플 커플러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암놈형 커플러일 수 있다. 제2 암놈형 유체 커플러(28)의 암놈형 성질이 도 3의 관점에서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제1 유체 커플러(26)는 제1 구성요소 측면 상에서 유체 라인에 연접될 수 있고, 제2 유체 커플러(28)는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 측면 상에서 유체 라인에 연접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유체 라인은, 결합된 유체 커플러에 의해서 형성된 유체 연결부를 통한 2개의 구성요소 사이의 유체(예를 들어, 유압 유체)의 전달을 위한 호스 또는 유사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4개의 유체 연결부는, 연결된 용구의 동작을 위한 4개의 유압 유체 라인을 전형적으로 갖는, 소형 트랙터 시스템과 함께 이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숫놈형 니플 카트리지 및 암놈형 커플러는 ISO 16028 크기 6.3 mm 표준 커플링에 일치될 수 있다. 다시, 그러한 예가 비제한적인 예이고, 그에 따라 개별적인 커플링의 다양한 분류, 구성, 및 수가 본 발명의 다중-커플링 시스템과 함께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암놈형 및 숫놈형 커플러가 특정 적용예에서 반대가 될 수 있고, 숫놈형 커플러가 가동형 구성요소의 일부일 수 있고 암놈형 커플러는 고정형 구성요소의 일부일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제1/고정형 구성요소(22)는 하나 이상의 안내 홀(30)을 포함할 수 있고, 제2/가동형 구성요소(24)는 하나 이상의 안내 핀(32)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홀(30) 및 안내 핀(32)은 유체 커플러(26 및 28)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안내 핀은 각각의 안내 홀 내로 삽입되고 그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이는 고정형 및 가동형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한다. 도 1 내지 도 4의 특별한 예에서, 임의의 적합한 수가 이용될 수 있으나, 2개의 각각의 안내 핀을 수용하기 위해서 2개의 안내 홀이 제공된다. 안내 핀 및 안내 홀은 반대가 될 수 있고, 이는, 가동형 구성요소 또는 고정형 구성요소 중 하나가 복수의 안내 핀을 포함하고, 가동형 구성요소 또는 고정형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가 복수의 안내 홀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고정형 구성요소(22)는 또한 복수의 대향 지지 융기부(34 및 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체 커플러(26)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 융기부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지지 융기부들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간격은, 다중-커플링의 고정형 구성요소 상의 개별적인 유체 커플러(26)가, 가동형 측면 상에 존재할 수 있는, 개별적 암놈형 커플러(즉,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또는 캐스팅에 포함되지 않는 커플러)에 연결될 수 있도록 또는 암놈형 커플러를 "헐겁게" 할 수 있도록 적절히 구성된다. 예를 들어, 고정형 구성요소 상의 숫놈형 유체 커플러가 ISO 16028 크기 6.3 mm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한 기하형태를 가질 때, 표준 규격품 암놈형 커플러가 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암놈형 커플러가 고정형 구성요소 내에 형성된 융기부(34 및 36) 내에 피팅될 수 있도록, 제1 커플링 구성요소 내에 충분한 공간이 존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동형 측면 상의 임의의 헐거운 개별적 암놈형 커플러는, 가동형 측면 상의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내로 통합된 암놈형 커플러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고정형 구성요소 상의 숫놈형 커플러에 연결될 수 있다. 암놈형 커플러를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에 헐겁게 연결할 수 있는 능력은 통상적인 구성에 존재하지 않는 장점이다.
제1/고정형 구성요소(22)는 제1 구성요소를 기본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홀(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가동형 구성요소(24)는, 기본 차량에 부착될 수 있는 용구에 제2 구성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홀(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장착은, 너트, 볼트, 나사 및 기타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체결 요소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제2/가동형 구성요소(24)는, 복수의 개별적인 제2 유체 커플러(28)를 수용하는 하우징(42)으로서 구성된 캐스팅을 포함할 수 있다. 캐스팅 또는 하우징(42)은, 유지 요소(46)를 통해서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하우징에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되는 핸들 조립체(44)를 더 지지할 수 있다. 유지 요소(46)는,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핸들 조립체(44)를 하우징(42)에 부착시키는, 쇼울더 볼트 또는 다른 적합한 유지 메커니즘일 수 있다.
핸들 조립체(44)는, 핸들 조립체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핸들 부분(48)을 포함할 수 있다. 편안한 동작을 돕기 위해서, 핸들 부분(48)은, 용이한 그리고 편안한 파지를 허용하기 위해서 금속 또는 다른 강성 연장부 위에서 연장되는 고무 커버를 가질 수 있다. 핸들 조립체(44)는 판 부분(5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판 부분으로부터 핸들 부분이 수직으로 연장되고, 유지 요소(46)가 판 부분(50)을 통해서 연장되어 핸들 조립체(44)를 캐스팅 또는 하우징(42)에 부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연결 상태와 분리 상태 사이에서 구성하기 위해서 핸들 조립체(44)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사용자에 의해서 핸들 부분(48)에 인가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는, 판 부분(50)으로부터 연장되는 후크 유지부(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 유지부(52) 및 판 부분(50)은, 제1/고정형 구성요소(22)에 위치된 롤러(5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54)을 형성한다. 롤러(56)는 함몰된 목부(neck)(58) 및 헤드(6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핸들 조립체는,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와 연결 및 록킹 상태 사이에서 구성하기 위해서, 회전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후크 유지부는, 단일 캠으로서, 롤러와 상호작용하여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분리 상태로부터 연결 및 록킹 상태로 함께 당긴다. 도면을 참조하면, 후크 유지부(52) 및 롤러(56)의 상호작용은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22 및 24)를 함께 고정한다. 제2/가동형 구성요소(24)는 또한, 핸들 조립체(44)에 부착되는 록킹 핀 조립체(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록킹 핀 조립체의 록킹 핀은 제2/가동형 구성요소(24)의 캐스팅 또는 하우징(42) 내의 록킹 핀 홀(64)과 결합되고, 이러한 원리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44)는 또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방향을 따른 핸들 조립체(44)의 과다-회전을 방지하는 정지부(63)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록킹 핀을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한다.
또한, 도 5는, 제1 및 제2 구성요소(22 및 24)와 함께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예시적인 다중-커플링 시스템(2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중-커플링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의 연결 방식이, 예를 들어 도 1의 분리 상태로부터 도 5의 연결 상태로의 진행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성요소(22 및 24)를 결합시키기 위해서, 안내 핀(32)이 먼저 안내 홀(3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구성요소(24)가 가동형 구성요소로 간주되는 경우에, 삽입은, 안내 핀이 안내 홀 내에 수용되는 위치로 가동형 구성요소를 조작 또는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서 달성될 수 있고, 제1 구성요소는 기본 장비에 고정된 고정형 구성요소이다. 이는 구성요소(22 및 24)를 적절히 정렬시키고, 그에 따라 개별적인 유체 커플러(26)는 각각의 개별적인 유체 커플러(28)(및/또는 가동형 측면 상의 임의의 헐거운 커플러)와 적절히 정렬되기 시작한다. 안내 홀 내로의 안내 핀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롤러(56)는 후크 유지부(52) 및 판(50)에 의해서 형성된 슬롯(54)에 진입한다. 롤러(56)의 헤드(60)에 대한 목부(58)의 함몰된 특성으로 인해서, 목부는 슬롯(54) 내로 더 정확하게 활주되고, 헤드(56)는 후크 유지부의 외부 표면을 가압하여, 회전 평면에 수직인 축방향으로 외측으로 당겨질 수 없는 확실한 결합을 제공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핸들 부분(48)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예를 들어, 도면의 배향을 기초로 반시계방향으로, 그러나 그러한 배향은 변경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44)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핸들 조립체(44)가 회전됨에 따라, 후크 유지부(52) 및 롤러(56)의 상호작용은, 전체 다중-커플링 시스템(20)의 분리 상태로부터 연결 및 록킹 상태로, 구성요소(22 및 24)를 함께 당긴다. 각각의 유체 커플러(26 및 28)의 언급된 정렬로 인해서, 유체는 이제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통해서 유동되어, 고정형 측면과 가동형 측면 사이에서 유동 및 환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5의 연결된 도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후크 유지부(52)는, 롤러(56)와의 상호작용만으로 4개의 유체 라인 전부의 확실한 연결을 초래하는 단일 캠으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일 캠 연결은, 다수 캠 록킹 메커니즘을 채용하는 통상적인 구성과 비교하여, 훨씬 덜 복잡하고, 그에 따라 더 작은 크기 및 중량을 갖는다. 후크/롤러 상호작용은 유체 라인에 대한 상당히 자유로운 접근을 부가적으로 제공하고, 이는 또한, 필요한 경우에, 부가적인 헐거운 개별적인 유체 커플러들의 연결 허용하는데 도움이 된다. 통상적인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이 유체 연결부의 공간적 지역에 걸쳐지거나 그러한 지역을 포함하는 경향을 갖는 경우에, 다수의 록킹 메커니즘을 갖는 통상적인 구성에서, 유체 라인을 헐겁게 연결할 수 있는 능력은 훨씬 더 어렵고, 일부 경우에 전혀 이용 불가능하다.
록킹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이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다중-커플링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핸들 조립체에 부착된 록킹 핀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록킹 핀 조립체는,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록킹 핀을 포함한다.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복수의 개별적인 제2 유체 커플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은 록킹 핀 홀을 더 포함한다.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록킹 핀은 연장 위치에 있고, 그러한 연장 위치에서 록킹 핀의 샤프트 단부가 록킹 핀 홀 내에 위치되고, 그에 의해서 핸들 조립체의 회전을 방지한다. 록킹 핀 조립체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어, 록킹 핀을, 록킹 핀 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수 있는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구성한다. 록킹 핀 조립체는, 다중-커플링 시스템이 연결 및 언록킹 상태에 있을 때, 록킹 핀을 후퇴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록킹 핀 조립체는 또한,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로 구성하는 것을 향해서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록킹 핀을 자동적으로 리셋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그리고 특히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로부터 연결 및 록킹 상태로 구성하기 위해서 핸들 조립체(44)가 회전됨에 따라, 록킹 핀 조립체(62)는 록킹 핀 홀(64)과 정렬되기 시작한다. 그러한 정렬에 도달하면, 록킹 핀 조립체의 편향된 록킹 핀은 록킹 핀 홀(64) 내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록킹 핀 홀 내에 위치된 록킹 핀의 축방향 연장부는 핸들 조립체를 연결 위치에서 록킹하고, 이는 핸들 조립체가 우발적으로 동작되어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록킹 핀은 다시 다중-커플링 구성요소(24)가 구성요소(22)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록킹 핀 조립체(62)의 예시적인 구성의 더 구체적인 구성이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6 내지 도 8을 통한 진행은 다중-커플링 시스템(20)의 분리 방식을 예시한다. 도 6은, 구성요소들의 연결 상태 및 록킹 상태에서, 도 5의 예시적인 다중-커플링 시스템(20)의 대체로 위쪽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록킹 핀 조립체(62)는 제1 단부에서 록킹 핀(66)을, 그리고 제1 단부에 대향되는 제2 단부에서 노브(68)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록킹 핀(66)은 제2/가동형 구성요소(24)의 하우징(42) 내의 록킹 핀 홀(64) 내로 연장된다. 록킹 핀(66)이 캐스팅 또는 하우징 내로 효과적으로 삽입되면, 핸들 조립체(44)의 이동이 방지되어,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임의의 우발적인 분리가 방지된다. 그에 따라, 도 6의 구성은, 록킹 핀(66)이 핸들 조립체(44)의 이동을 방지할 때, 연결 상태 및 록킹 상태 모두를 예시한다.
도 7은, 구성요소들이 이제 연결 및 언록킹 상태에서, 도 6의 예시적인 다중-커플링 시스템(2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록킹 핀 조립체(62) 주위의 지역 내에 센터링된 더 근접한 도면이다. 노브(68)는 사용자에 의한 용이한 파지를 위해서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파지 표면 특징부(7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의 예에서, 파지 표면 특징부는 홈일 수 있고, 노브는 선택적으로, 용이하고 편안한 파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강성 기둥 위에서 연장되는, 고무 커버, 또는 다른 적절한 커버 재료 또는 코팅을 가질 수 있다. 노브(68)는 록킹 핀(66)을 하우징(42) 내의 록킹 핀 홀(64)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후퇴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작은, 록킹 핀 홀로부터의 록킹 핀의 후퇴를 초래하는 비틀기 또는 회전 운동일 수 있다. 전체적인 록킹 핀 조립체의 정확한 동작을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록킹 핀(66)이 하우징(42)으로부터 후퇴되면,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들의 분리를 위한 핸들 조립체의 회전이 이제 허용된다. 그에 따라, 도 7의 구성은, 핸들 조립체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록킹 핀(66)이 후퇴되었으나 아직 핸들 조립체는 이동되지 않은, 연결 및 언록킹 상태 모두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들이 이제 분리 상태에서, 도 7의 예시적인 다중-커플링 시스템(2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도 7을 비교하면, 도 8의 핸들 조립체(44)는, 도 7 및 도 5에 도시된 연결 상태에 대비하여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들이 분리되는 분리 상태로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 회전되었다. 따라서, 도 8의 위치 또는 상태를 달성하기 위한 핸들 조립체 회전은 롤러(56)를 후크 유지부(52)에 의한 유지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시키고, 그에 의해서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들을 분리한다.
도 9는 분리된 예시적인 다중-커플링 시스템의 제2 구성요소(24)의 하우징 구성요소(42)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우징(42)의 분리된 도면은 특히, 하우징을 형성하는 캐스팅이 경사 표면(71)(또한 도 6 내지 도 8에서 식별됨)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핸들 조립체(44)가 도 7의 연결 위치로부터 도 8의 분리 위치로 회전됨에 따라, 록킹 핀(66)이 경사 표면(71)을 따라 이동된다. 그러한 상호작용은, 록킹 핀 조립체의 본체 내에서 내측으로 강제되는 록킹 핀(66)을 초래하고, 이는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록킹 핀을 자동적으로 리셋한다.
다중-커플링 시스템(20)의 동작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록킹 핀 조립체(62)의 여러 도면을 도시하는 도 10 내지 도 12를 더 참조한다. 특히, 도 10은 예시적인 록킹 핀 조립체(62)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노브(68)가 제거된 도 10의 예시적인 록킹 핀 조립체(62)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예시적인 록킹 핀 조립체(62)를 사시도적으로 그리고 횡단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록킹 핀 조립체(62)는 제1 단부에서 록킹 핀(66)을, 그리고 제1 단부에 대향되는 제2 단부에서 노브(6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예에서 다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노브(68)는 사용자에 의한 용이한 파지를 위해서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파지 표면 특징부(7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의 예에서, 파지 표면 특징부는 홈일 수 있고, 노브는 선택적으로, 용이하고 편안한 파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고무 커버, 또는 다른 적절한 커버 재료 또는 코팅을 가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더 확인되는 바와 같이, 록킹 핀(66)은 노브(68)로부터 가장 먼 록킹 핀 조립체의 제1 단부에서 샤프트 단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단부(72)는, 다중-커플링 조립체를 록킹 및 언록킹하기 위해서, 하우징(42) 내의 록킹 핀 홀(64) 내로 위치되도록 그리고 그로부터 외측에 위치되도록 이동되는 록킹 핀의 부분이다. 특히 도 11 및 도 1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록킹 핀(66)은, 샤프트 단부(72)에 대향되는 원위 단부(74)를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노브(68)는, 원위 단부(74)를 수용하는 중앙 보어(76)를 형성할 수 있다. 록킹 핀(66)이 원위 단부(74)에서 노브(68)에 연결되도록, 중앙 보어(76) 및 원위 단부(74)가 협력하는 교합 나사산 또는 그와 유사한 체결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록킹 핀(66)은, 샤프트 단부(72)와 원위 단부(74)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 부분(7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록킹 핀(66)은, 축방향에 수직으로 중앙 부분(78)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맞춤부 핀(80), 및 록킹 핀 조립체 내의 록킹 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융기부(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록킹 핀 조립체(62)가 본체(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84)는 중앙 통로(86)를 형성할 수 있고, 중앙 통로를 통해서 록킹 핀(66)이 이동된다. 본체(84)는 본체의 제1 단부에서 나선형 표면(88)을 포함할 수 있고, 나선형 표면(88)을 갖는 고정 단부(90)는 고정 단부에 대향되는 본체의 단부에 위치된다. 고정 단부(90)는, 핸들 조립체(44)의 판(50)에 의해서 형성된 장착 보어 내에 제공된 상보적인 구조물과 협력하는 나사산 또는 유사한 체결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록킹 핀 조립체가 고정 단부를 통해서 핸들 조립체(44)에 고정된다. 본체(84)는, 나선형 표면(88)의 상부 단부에 인접한 멈춤쇠 슬롯(85)(특히 도 11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록킹 핀(66)은, 중앙 통로(86) 내에서 록킹 핀의 길이방향 축의 축방향을 따라 본체(84)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록킹 핀 조립체의 본체(84)는 본체에 의해서 형성된 중앙 통로(86) 내에 위치된 비틀림 및 압축 스프링(92)을 수용할 수 있고, 그 스프링은 일 단부에서 나선형 표면(88)에 인접한 본체(84) 내에 고정되고, 그리고 대향 단부에서 록킹 핀의 안내 융기부(82) 내에 고정된다. 스프링(92)은, 록킹 핀(66)을 본체(84)의 고정 단부를 통해서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 위치를 향해서 (즉, 도 12에 도시된 특정 배향에서 우측으로) 편향시키는 압축 편향을 갖도록 구성된다. 스프링(92)은 또한, 록킹 핀(66)을 회전 방향으로 멈춤쇠 슬롯으로부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상태로 (즉, 도 12에 도시된 특정 배향에서 시계방향으로) 편향시키는 비틀림 편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노브(68)는, 본체(84) 주위에서 연장되는 연장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커플링 시스템(20)의 동작이 이하와 같이 예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은, 제1 및 제2 구성요소(22 및 24)가 조합되어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다중-커플링 시스템(20)을 도시한다. 도 11은 그러한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록킹 핀 조립체(62)의 위치를 도시한다. 스프링(92)의 압축 스프링 편향으로 인해서, 록킹 핀(66)은 본체(84)를 통해서 최대로 연장되고, 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팅 또는 하우징(42) 내의 록킹 핀 홀(64) 내에 위치된다. 그러한 위치에서, 핸들 조립체의 이동이 방지되어,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임의의 우발적 분리를 방지한다. 맞춤부 핀(80)은 나선형 표면(88)의 기부에서 록킹 핀 조립체의 본체(84)에 대해서 놓인다. 그에 따라, 이러한 상태에서, 맞춤부 핀과 본체의 상호작용은 록킹 핀이 록킹 핀 홀과의 록킹에 적합한 최대를 넘어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한다.
록킹 핀 조립체(62)를 언로킹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노브(68)를 조작하여, 록킹 핀(66)을 록킹 핀 홀(64) 외측의 후퇴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도면의 예에서, 언록킹 조작은, 노브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노브(68)를 회전시키거나 비트는 것에 의해서 실시될 수 있다. (노브 중앙 보어(76)의 연결 특징부 및 핀 원위 단부(78)를 통한) 노브(88)에 대한 록킹 핀(66)의 연결로 인해서, 노브 회전이 록킹 핀(66)에 부여되고, 이는 다시 노브(68)를 회전시킨다. 록킹 핀(66)이 회전됨에 따라, 맞춤부 핀(80)이 나선형 표면(88)을 따라서 이동되고, 나선형 표면(88)의 경사 특성으로 인해서, 축방향 운동이 연장 위치에 대향되는 후퇴 위치를 향해서 록킹 핀에 부여된다. 다시 말해서, 록킹 핀 조립체가 노브의 회전에 의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나선형 표면에 대한 맞춤부 핀의 상호작용은 록킹 핀을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시킨다. 특히, 록킹 핀(66)은, 맞춤부 핀이 나선형 표면을 따라서 활주될 때, 록킹 핀 홀(64)로부터 멀리 후퇴된다. 노브(68)가 또한 축방향 후퇴에 의해서 이동되기 때문에, 록킹 핀이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노브(68)의 연장부(94)는 본체(84)의 외부 표면을 따라 활주된다.
노브(68)의 회전을 통한, 록킹 핀(66)의 축방향 및 회전방향 운동은 스프링(92)의 압축 편향 및 비틀림 편향 모두에 대항한다. 따라서, 록킹 핀이 후퇴 위치에 있고 맞춤부 핀(80)이 나선형 표면(88)의 상부 단부에 위치되는 멈춤쇠 슬롯(85)에 도달할 때, 주로 스프링 압축 편향 하에서, 맞춤부 핀(80)은 멈춤쇠 슬롯(85) 내로 스냅결합될(snap) 것이다. 멈춤쇠 슬롯 내의 맞춤부 핀의 배치는, 노브(68) 및 록킹 핀(66)의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하고, 록킹 핀을 후퇴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유지한다. 록킹 핀 조립체의 그러한 상태가 도 7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에 따라, 도 7은 다중-커플링 시스템 구성요소의 조합된 연결 및 언록킹 상태를 도시한다. 록킹 핀(66)은 도 7에 도시된 후퇴 위치에서 유지되고, 이는 핸들 조립체의 이동을 허용하나, 핸들 조립체는 아직 이동되지 않았다. 이어서, 도 7의 도 8로의 진행은, 핸들 조립체(44)의 회전에 의한 다중-커플링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의 분리를 도시한다. 록킹 핀이 후퇴되면, 사용자는 핸들 조립체를 도 7의 위치로부터 도 8의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한 핸들 회전은 롤러(56)를 후크 유지부(52)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시키고, 그에 의해서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들(22 및 24)을 분리한다.
제2 구성요소(24)의 하우징 구성요소(42)를 분리하여 도시한 그리고 특히 (도 6 내지 도 8에서 또한 식별된) 경사 표면(71)을 도시한 도 9를 다시 참조한다. 핸들 조립체(44)가 회전되어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도 7의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부터 도 8의 분리 상태로 재구성함에 따라, 록킹 핀(66)의 샤프트 단부(72)는, 경사 표면(71)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경사 표면(71)에 대해서 상호작용한다. 그러한 상호작용은, 스프링 편향에 대항하여, 록킹 핀 조립체의 본체(84) 내에서 내측으로 후퇴 방향으로 더 강제되는 록킹 핀(66)을 초래한다. 도 12를 또한 참조하면, 하우징의 경사 표면(70)에 대한 록킹 핀의 상호작용은 록킹 핀을 더 후퇴시키고, 그에 따라 맞춤부 핀(80)은 멈춤쇠 슬롯(85)의 외부로 밀린다.
맞춤부 핀(80)이 멈춤쇠 슬롯(85)에서 제거될 때, 록킹 핀은 스프링(92)의 비틀림 및 압축 편향 하에서 회전되고 연장 위치를 향해서 이동되며, 그에 따라 맞춤부 핀은 멈춤쇠 슬롯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나선형 표면을 따라 이동되고, 그에 의해서 록킹 핀을 자동적으로 리셋한다. 더 구체적으로, 맞춤부 핀(80)이 멈춤쇠 슬롯으로부터 멀리 나선형 표면(88)의 인접부까지 회전 이동되도록, 스프링(92)의 비틀림 편향은 록킹 핀(66)을 회전시킨다. 스프링(92)의 부가적인 압축 스프링 편향 하에서, 록킹 핀(66)은 도 11에 도시된 록킹 상태에 상응하는 연장 위치를 향해서 나선형 표면을 따라서 역으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후속 연결을 위해서) 핸들이 연결 위치를 향해서 역으로 회전될 때, 록킹 핀은 후속 연결 동작 중의 록킹을 위해서 리셋된다. 따라서, 록킹 핀 조립체는 후퇴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자동적으로 자가-리셋된다.
전술한 설명에서 언급된 도면의 예에서, 핸들 조립체 및 록킹 메커니즘이 가동형 구성요소 상에 제공되고, 롤러는 고정형 구성요소 상에 위치된다. 그러한 구성은 반대가 될 수 있다 - 고정형 구성요소가 핸들 조립체 및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고, 롤러가 가동형 구성요소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형 및 가동형 구성요소가 더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 있고, 구성요소 중 하나가 핸들 조립체 및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다른 구성요소가 핸들 조립체와의 연결을 위한 롤러를 포함한다.
다중-커플링 시스템(20)의 구성은,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연결, 분리, 및 재연결을 위한 그 동작에서, 통상적인 구성보다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록킹 핀 조립체, 및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캐스팅 내의 상응 특징부(예를 들어, 록킹 핀 홀 및 경사 표면)가 다수-라인 연결부의 효과적인 고정을 위해서 협력한다. 가동형 구성요소 상의 후크 유지부가 단일 캠 상호작용으로 고정형 구성요소 상의 롤러와 상호작용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고정 메커니즘은, 다수 캠 록킹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통상적인 구성과 비교할 때, 작은 크기 및 중량을 가지는, 보다 소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동작은 한 손 만을 필요로 한다 - 즉, 사용자는, 모두 동일한 손으로 차례대로, 연속적으로, 연결부를 언록킹하기 위해서 록킹 핀 조립체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어서 분리를 위해서 핸들을 회전시킬 수 있는데, 이는 록킹 핀 조립체가 록킹 핀을 후퇴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한-손 분리 동작은, 통상적인 2-손 메커니즘과 비교하여,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동작이 보다 용이하며, 다른 과제를 위해서 제2 손을 자유롭게 한다.
또한, 비틀림 및 압축 스프링의 편향은 록킹 핀의 샤프트 단부를 다중-커플링 캐스팅 내로 편향시키고, 핀 본체에 대한 토크를 샤프트에 가한다. 이는 자가-리셋 구성을 초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 상태에서, 록킹 핀이 자동적으로 리셋되어, 후속 연결 동작에서 다중-커플링을 연결 상태에서 록킹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자동적 리셋은, 통상적인 구성과 비교할 때, 더 효과적이고 단순화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양태는 다중-커플링 시스템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중-커플링 시스템은 복수의 개별적인 제1 유체 커플러를 포함하는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및 복수의 개별적인 제2 유체 커플러를 포함하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다중-커플링 시스템은 연결 및 록킹 상태 및 분리 상태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제1 유체 커플러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제2 유체 커플러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분리 상태에서, 제1 유체 커플러 및 제2 유체 커플러가 분리된다.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후크 유지부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를 포함하고, 제1 커플링 구성요소는 롤러를 가지며, 핸들 조립체는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와 연결 및 록킹 상태 사이에서 구성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후크 유지부는, 단일 캠으로서, 롤러와 상호작용하여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분리 상태로부터 연결 및 록킹 상태로 함께 당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중-커플링 시스템은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핸들 조립체에 부착된 록킹 핀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록킹 핀 조립체는,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록킹 핀, 및 복수의 개별적인 제2 유체 커플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록킹 핀 홀을 더 포함한다.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록킹 핀은 연장 위치에 있고, 그러한 연장 위치에서 록킹 핀의 샤프트 단부가 록킹 핀 홀 내에 위치되고, 그에 의해서 핸들 조립체의 회전을 방지한다. 록킹 핀 조립체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어, 록킹 핀을, 록킹 핀 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수 있는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구성한다. 록킹 핀 조립체는, 다중-커플링 시스템이 연결 및 언록킹 상태에 있을 때, 록킹 핀을 후퇴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개별적인 구성요소로서, 또는 구성요소의 조합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개별적인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가 이하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핸들 조립체는 판 부분을 포함하고, 후크 유지부는 판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판 부분 및 후크 유지부는,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들을 분리 상태로부터 연결 및 록킹 상태로 함께 당기기 위해서 롤러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형성한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핸들 조립체는, 판 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핸들 부분을 포함하고, 힘이 핸들 부분에 인가되어 핸들 조립체를 회전시킨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롤러는 함몰된 목부 및 헤드를 포함하고,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들을 분리 상태로부터 연결 및 록킹 상태로 함께 당기기 위해서 후크 유지부가 롤러와 상호작용할 때, 목부는 슬롯 내에서 활주되고 헤드는 후크 유지부의 외부 표면을 가압한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핸들 조립체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록킹 핀 조립체는 노브를 포함하고, 록킹 핀은 샤프트 단부에 대향되고 노브에 연결되는 원위 단부를 가지고, 노브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어 록킹 핀을 록킹 핀 홀로부터 외부로 후퇴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록킹 핀 조립체는, 록킹 핀이 통과하여 이동하는,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는 록킹 핀 조립체를 핸들 조립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단부를 갖는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록킹 핀 조립체의 본체는 고정 단부에 대향되는 단부에서 나선형 표면을 갖는다. 록킹 핀은,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록킹 핀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맞춤부 핀을 갖는다. 록킹 핀 조립체가 노브의 회전에 의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맞춤부 핀이 나선형 표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나선형 표면에 대한 맞춤부 핀의 상호작용은 록킹 핀을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록킹 핀 조립체의 본체는 나선형 표면의 상부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멈춤쇠 슬롯을 형성한다. 록킹 핀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맞춤부 핀이 멈춤쇠 슬롯 내에 위치되어 록킹 핀의 이동을 방지하고, 그에 의해서 다중-커플링 시스템이 연결 및 언록킹 상태에 있을 때, 록킹 핀을 후퇴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유지한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록킹 핀 조립체는 본체에 의해서 형성된 중앙 통로 내에 위치된 압축 및 비틀림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스프링의 압축 편향은 록킹 핀을 연장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고, 그에 따라, 록킹 핀 조립체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될 때, 록킹 핀은 나선형 표면을 따라서 이동되고 압축 편향 하에서 멈춤쇠 슬롯 내로 스냅결합되어,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 구성한다. 스프링의 비틀림 편향은 록킹 핀을 멈춤쇠 슬롯으로부터 멀리 회전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하우징은 경사 표면을 갖는다.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부터 분리 상태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록킹 핀의 단부 샤프트가 경사 표면에 대해서 상호작용하고, 이는 록킹 핀을 더 후퇴시켜 맞춤부 핀을 멈춤쇠 슬롯으로부터 외부로 밀어낸다. 록킹 핀은 스프링의 비틀림 및 압축 편향 하에서 회전되고 연장 위치를 향해서 이동되며, 그에 따라 맞춤부 핀은 멈춤쇠 슬롯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나선형 표면을 따라 이동되고, 그에 의해서 록킹 핀을 자동적으로 리셋한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노브는, 록킹 핀이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본체의 외부 표면을 따라 활주되는 연장부를 갖는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록킹 핀은, 록킹 핀이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의 내부 표면에 대해서 활주되는 안내 융기부를 포함한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노브는, 록킹 핀이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본체의 외부 표면을 따라 활주되는 연장부를 갖는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록킹 핀은, 록킹 핀이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의 내부 표면에 대해서 활주되는 안내 융기부를 포함한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개별적 커플러는 복수의 숫놈형 니플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제2 개별적 커플러는, 숫놈형 니플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복수의 암놈형 커플러를 포함한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개별적 유체 커플러는 ISO 16028 크기 6.3 mm 표준 커플링과 일치된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다중-커플링은 기본 장비에 고정된 고정형 구성요소이고, 제2 다중-커플링은,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 가능한 가동형 구성요소이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동형 구성요소 또는 고정형 구성요소 중 하나가 복수의 안내 핀을 포함하고, 가동형 구성요소 또는 고정형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는, 고정형 및 가동형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들을 정렬시키기 위한 안내 핀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안내 홀을 포함한다.
다중-커플링 시스템 및/또는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복수의 대향 지지 융기부들을 포함하고, 제1 유체 커플러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 융기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지지 융기부들로부터 이격되어, 제1 유체 커플러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개별적인 헐거움 유체 커플러의 커플링을 허용한다.
비록 특정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본 발명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판독 및 이해로부터, 당업자는 균등한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은 명백하다. 특히, 전술한 요소(구성요소, 조립체, 장치, 조성물 등)에 의해서 실시되는 여러 기능과 관련하여, 그러한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수단"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는) 용어는, 달리 표시된 바가 없는 한, 비록 개시된 구조물과 구조적으로 균등하지는 않지만 본원의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는, 설명된 요소의 특별한 기능을 실시하는 (즉, 기능적으로 균등한) 임의 요소에 상응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 특징이 단지 몇몇 예시된 실시예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전술될 수 있지만, 그러한 특징은, 희망에 따라 그리고 임의의 주어진 또는 특정 적용예에서 유리할 수 있는 경우에, 다른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Claims (47)

  1. 다중-커플링 시스템이며:
    복수의 개별적인 제1 유체 커플러를 포함하는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및
    복수의 개별적인 제2 유체 커플러를 포함하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로서, 다중-커플링 시스템이 연결 및 록킹 상태와 분리 상태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제1 유체 커플러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제2 유체 커플러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분리 상태에서, 제1 유체 커플러 및 제2 유체 커플러가 분리되며;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후크 유지부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를 포함하고, 제1 커플링 구성요소는 롤러를 가지며, 핸들 조립체는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와 연결 및 록킹 상태 사이에서 구성하도록 회전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후크 유지부는, 단일 캠으로서, 롤러와 상호작용하여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분리 상태로부터 연결 및 록킹 상태로 함께 당기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핸들 조립체는 판 부분을 포함하고, 후크 유지부는 판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판 부분 및 후크 유지부는,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들을 분리 상태로부터 연결 및 록킹 상태로 함께 당기기 위해서 롤러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형성하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핸들 조립체는, 판 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핸들 부분을 포함하고, 힘이 핸들 부분에 인가되어 핸들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롤러는 함몰된 목부 및 헤드를 포함하고,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들을 분리 상태로부터 연결 및 록킹 상태로 함께 당기기 위해서 후크 유지부가 롤러와 상호작용할 때, 목부가 슬롯 내에서 활주되고 헤드는 후크 유지부의 외부 표면을 가압하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가 하우징을 포함하고, 핸들 조립체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중-커플링 시스템이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핸들 조립체에 부착된 록킹 핀 조립체로서,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록킹 핀을 포함하는, 록킹 핀 조립체; 및
    복수의 개별적인 제2 유체 커플러를 수용하고, 록킹 핀 홀을 더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록킹 핀은 연장 위치에 있고, 상기 연장 위치에서 록킹 핀의 샤프트 단부가 록킹 핀 홀 내에 위치되고, 그에 의해서 핸들 조립체의 회전을 방지하고;
    록킹 핀 조립체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어, 록킹 핀을, 록킹 핀 홀로부터 외부로,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수 있는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구성하고; 그리고
    록킹 핀 조립체는, 다중-커플링 시스템이 연결 및 언록킹 상태에 있을 때, 록킹 핀을 후퇴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록킹 핀 조립체가 노브를 포함하고;
    록킹 핀은 샤프트 단부에 대향되고 노브에 연결되는 원위 단부를 가지며; 그리고
    노브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어 록킹 핀을 록킹 핀 홀로부터 외부로 후퇴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록킹 핀 조립체는, 록킹 핀이 통과하여 이동하는,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는 록킹 핀 조립체를 핸들 조립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단부를 가지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록킹 핀 조립체의 본체는 고정 단부에 대향되는 단부에서 나선형 표면을 가지고;
    록킹 핀은,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록킹 핀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맞춤부 핀을 가지고; 그리고
    록킹 핀 조립체가 노브의 회전에 의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맞춤부 핀이 나선형 표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나선형 표면에 대한 맞춤부 핀의 상호작용은 록킹 핀을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록킹 핀 조립체의 본체는 나선형 표면의 상부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멈춤쇠 슬롯을 형성하고; 그리고
    록킹 핀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맞춤부 핀이 멈춤쇠 슬롯 내에 위치되어 록킹 핀의 이동을 방지하고, 그에 의해서 다중-커플링 시스템이 연결 및 언록킹 상태에 있을 때, 록킹 핀을 후퇴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유지하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록킹 핀 조립체는 본체에 의해서 형성된 중앙 통로 내에 위치된 압축 및 비틀림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스프링의 압축 편향은 록킹 핀을 연장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고, 그에 따라, 록킹 핀 조립체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될 때, 록킹 핀은 나선형 표면을 따라서 이동되고 압축 편향 하에서 멈춤쇠 슬롯 내로 스냅결합되어,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 구성하고; 그리고
    스프링의 비틀림 편향은 록킹 핀을 멈춤쇠 슬롯으로부터 멀리 회전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하우징이 경사 표면을 가지고;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부터 분리 상태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록킹 핀의 단부 샤프트가 경사 표면에 대해서 상호작용하고, 이는 록킹 핀을 더 후퇴시켜 맞춤부 핀을 멈춤쇠 슬롯으로부터 외부로 밀어내며; 그리고
    록킹 핀은 스프링의 비틀림 및 압축 편향 하에서 회전되고 연장 위치를 향해서 이동되며, 그에 따라 맞춤부 핀은 멈춤쇠 슬롯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나선형 표면을 따라 이동되고, 그에 의해서 록킹 핀을 자동적으로 리셋하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브는, 록킹 핀이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본체의 외부 표면을 따라 활주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록킹 핀은, 록킹 핀이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의 내부 표면에 대해서 활주되는 안내 융기부를 포함하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15. 다중-커플링 시스템이며:
    복수의 개별적인 제1 유체 커플러를 포함하는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및
    복수의 개별적인 제2 유체 커플러를 포함하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로서, 다중-커플링 시스템이 연결 및 록킹 상태와 분리 상태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제1 유체 커플러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제2 유체 커플러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분리 상태에서, 제1 유체 커플러 및 제2 유체 커플러가 분리되며, 다중-커플링 시스템은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 더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핸들 조립체에 부착된 록킹 핀 조립체로서,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록킹 핀을 포함하는, 록킹 핀 조립체; 및
    복수의 개별적인 제2 유체 커플러를 수용하고, 록킹 핀 홀을 더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록킹 핀은 연장 위치에 있고, 상기 연장 위치에서 록킹 핀의 샤프트 단부가 록킹 핀 홀 내에 위치되고, 그에 의해서 핸들 조립체의 회전을 방지하고;
    록킹 핀 조립체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어, 록킹 핀을, 록킹 핀 홀로부터 외부로,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수 있는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구성하고; 그리고
    록킹 핀 조립체는, 다중-커플링 시스템이 연결 및 언록킹 상태에 있을 때, 록킹 핀을 후퇴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록킹 핀 조립체가 노브를 포함하고;
    록킹 핀은 샤프트 단부에 대향되고 노브에 연결되는 원위 단부를 가지며; 그리고
    노브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어 록킹 핀을 록킹 핀 홀로부터 외부로 후퇴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록킹 핀 조립체는, 록킹 핀이 통과하여 이동하는,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는 록킹 핀 조립체를 핸들 조립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단부를 가지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록킹 핀 조립체의 본체는 고정 단부에 대향되는 단부에서 나선형 표면을 가지고;
    록킹 핀은,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록킹 핀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맞춤부 핀을 가지고; 그리고
    록킹 핀 조립체가 노브의 회전에 의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맞춤부 핀이 나선형 표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나선형 표면에 대한 맞춤부 핀의 상호작용은 록킹 핀을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록킹 핀 조립체의 본체는 나선형 표면의 상부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멈춤쇠 슬롯을 형성하고; 그리고
    록킹 핀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맞춤부 핀이 멈춤쇠 슬롯 내에 위치되어 록킹 핀의 이동을 방지하고, 그에 의해서 다중-커플링 시스템이 연결 및 언록킹 상태에 있을 때, 록킹 핀을 후퇴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유지하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록킹 핀 조립체는 본체에 의해서 형성된 중앙 통로 내에 위치된 압축 및 비틀림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스프링의 압축 편향은 록킹 핀을 연장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고, 그에 따라, 록킹 핀 조립체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될 때, 록킹 핀은 나선형 표면을 따라서 이동되고 압축 편향 하에서 멈춤쇠 슬롯 내로 스냅결합되어,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 구성하고; 그리고
    스프링의 비틀림 편향은 록킹 핀을 멈춤쇠 슬롯으로부터 멀리 회전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의 하우징이 경사 표면을 가지고;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부터 분리 상태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록킹 핀의 단부 샤프트가 경사 표면에 대해서 상호작용하고, 이는 록킹 핀을 더 후퇴시켜 맞춤부 핀을 멈춤쇠 슬롯으로부터 외부로 밀어내며; 그리고
    록킹 핀은 스프링의 비틀림 및 압축 편향 하에서 회전되고 연장 위치를 향해서 이동되며, 그에 따라 맞춤부 핀은 멈춤쇠 슬롯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나선형 표면을 따라 이동되고, 그에 의해서 록킹 핀을 자동적으로 리셋하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브는, 록킹 핀이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본체의 외부 표면을 따라 활주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록킹 핀은, 록킹 핀이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의 내부 표면에 대해서 활주되는 안내 융기부를 포함하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개별적 커플러가 복수의 숫놈형 니플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제2 개별적 커플러는, 숫놈형 니플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복수의 암놈형 커플러를 포함하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개별적 유체 커플러가 ISO 16028 크기 6.3 mm 표준 커플링과 일치되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다중-커플링은 기본 장비에 고정된 고정형 구성요소이고, 제2 다중-커플링은,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 가능한 가동형 구성요소인, 다중-커플링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가동형 구성요소 또는 고정형 구성요소 중 하나가 복수의 안내 핀을 포함하고, 가동형 구성요소 또는 고정형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는, 고정형 및 가동형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들을 정렬시키기 위한 안내 핀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안내 홀을 포함하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복수의 대향 지지 융기부를 포함하고, 제1 유체 커플러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 융기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지지 융기부들로부터 이격되어, 제1 유체 커플러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개별적인 헐거움 유체 커플러의 커플링을 허용하는, 다중-커플링 시스템.
  29. 다중-커플링 시스템에서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에 연결하기 위한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이며,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복수의 개별적인 제1 유체 커플러; 및
    복수의 대향 지지 융기부를 포함하고;
    제1 유체 커플러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 융기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지지 융기부들로부터 이격되어, 제1 유체 커플러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개별적인 헐거움 유체 커플러의 커플링을 허용하는,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30. 제29항에 있어서,
    개별적인 제1 유체 커플러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상의 암놈형 커플러 및/또는 개별적인 헐거움 암놈형 커플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숫놈형 니플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제1 개별적 유체 커플러가 ISO 16028 크기 6.3 mm 표준 커플링과 일치되는,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와 연결 상태 사이에서 구성하기 위해서 제2 다중-커플링 상의 핸들 조립체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더 포함하는,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33. 다중-커플링 시스템에서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에 연결하기 위한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이며,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복수의 개별적인 제2 유체 커플러; 및
    후크 유지부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로서, 제1 커플링 구성요소가 롤러를 가지며, 핸들 조립체는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와 연결 및 록킹 상태 사이에서 구성하도록 회전될 수 있는, 핸들 조립체를 포함하고; 그리고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후크 유지부는, 단일 캠으로서, 롤러와 상호작용하여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를 분리 상태로부터 연결 및 록킹 상태로 함께 당기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34. 제33항에 있어서,
    핸들 조립체가 판 부분을 포함하고, 후크 유지부는 판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판 부분 및 후크 유지부는,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제1 및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들을 분리 상태로부터 연결 및 록킹 상태로 함께 당기기 위해서 롤러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형성하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35. 제34항에 있어서,
    핸들 조립체는, 판 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핸들 부분을 포함하고, 힘이 핸들 부분에 인가되어 핸들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36.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가 하우징을 포함하고, 핸들 조립체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37. 다중-커플링 시스템에서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에 연결하기 위한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이며,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는:
    복수의 개별적인 제2 유체 커플러;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와 연결 및 록킹 상태 사이에서 구성하기 위해서 회전될 수 있는 핸들 조립체;
    핸들 조립체에 부착된 록킹 핀 조립체로서,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록킹 핀을 포함하는, 록킹 핀 조립체; 및
    복수의 개별적인 제2 유체 커플러를 수용하고, 록킹 핀 홀을 더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연결 및 록킹 상태에서, 록킹 핀은 연장 위치에 있고, 상기 연장 위치에서 록킹 핀의 샤프트 단부가 록킹 핀 홀 내에 위치되고, 그에 의해서 핸들 조립체의 회전을 방지하고;
    록킹 핀 조립체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어, 록킹 핀을, 록킹 핀 홀로부터 외부로,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분리 상태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수 있는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구성하고; 그리고
    록킹 핀 조립체는, 다중-커플링 시스템이 연결 및 언록킹 상태에 있을 때, 록킹 핀을 후퇴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38. 제37항에 있어서,
    록킹 핀 조립체가 노브를 포함하고;
    록킹 핀은 샤프트 단부에 대향되고 노브에 연결되는 원위 단부를 가지며; 그리고
    노브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어 록킹 핀을 록킹 핀 홀로부터 외부로 후퇴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록킹 핀 조립체는, 록킹 핀이 통과하여 이동하는,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는 록킹 핀 조립체를 핸들 조립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단부를 가지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40. 제39항에 있어서,
    록킹 핀 조립체의 본체는 고정 단부에 대향되는 단부에서 나선형 표면을 가지고;
    록킹 핀은,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록킹 핀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맞춤부 핀을 가지고; 그리고
    록킹 핀 조립체가 노브의 회전에 의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맞춤부 핀이 나선형 표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나선형 표면에 대한 맞춤부 핀의 상호작용은 록킹 핀을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41. 제40항에 있어서,
    록킹 핀 조립체의 본체는 나선형 표면의 상부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멈춤쇠 슬롯을 형성하고; 그리고
    록킹 핀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맞춤부 핀이 멈춤쇠 슬롯 내에 위치되어 록킹 핀의 이동을 방지하고, 그에 의해서 다중-커플링 시스템이 연결 및 언록킹 상태에 있을 때, 록킹 핀을 후퇴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유지하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42. 제40항에 있어서,
    록킹 핀 조립체는 본체에 의해서 형성된 중앙 통로 내에 위치된 압축 및 비틀림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스프링의 압축 편향은 록킹 핀을 연장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고, 그에 따라, 록킹 핀 조립체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될 때, 록킹 핀은 나선형 표면을 따라서 이동되고 압축 편향 하에서 멈춤쇠 슬롯 내로 스냅결합되어,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 구성하고; 그리고
    스프링의 비틀림 편향은 록킹 핀을 멈춤쇠 슬롯으로부터 멀리 회전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43. 제42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경사 표면을 가지고;
    다중-커플링 시스템을 연결 및 언록킹 상태로부터 분리 상태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핸들 조립체가 회전될 때, 록킹 핀의 단부 샤프트가 경사 표면에 대해서 상호작용하고, 이는 록킹 핀을 더 후퇴시켜 맞춤부 핀을 멈춤쇠 슬롯으로부터 외부로 밀어내며; 그리고
    록킹 핀은 스프링의 비틀림 및 압축 편향 하에서 회전되고 연장 위치를 향해서 이동되며, 그에 따라 맞춤부 핀은 멈춤쇠 슬롯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나선형 표면을 따라 이동되고, 그에 의해서 록킹 핀을 자동적으로 리셋하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44. 제38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브는, 록킹 핀이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본체의 외부 표면을 따라 활주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45. 제38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록킹 핀은, 록킹 핀이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의 내부 표면에 대해서 활주되는 안내 융기부를 포함하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46. 제3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개별적 커플러가,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상의 숫놈형 커플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암놈형 유체 커플러를 포함하는, 제2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47. 제33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개별적 유체 커플러가 ISO 16028 크기 6.3 mm 표준 커플링과 일치되는, 제1 다중-커플링 구성요소.
KR1020197005691A 2016-09-02 2017-08-30 다수-라인 연결 신속 다중-커플링 KR102388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82837P 2016-09-02 2016-09-02
US62/382,837 2016-09-02
PCT/US2017/049282 WO2018044977A1 (en) 2016-09-02 2017-08-30 Multi-line connection quick multi-coup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221A true KR20190040221A (ko) 2019-04-17
KR102388166B1 KR102388166B1 (ko) 2022-04-19

Family

ID=5988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691A KR102388166B1 (ko) 2016-09-02 2017-08-30 다수-라인 연결 신속 다중-커플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79053B2 (ko)
EP (1) EP3458764B1 (ko)
JP (1) JP6972116B2 (ko)
KR (1) KR102388166B1 (ko)
WO (1) WO20180449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9354A1 (en) * 2017-11-20 2019-05-23 Parker-Hannifin Corporation Latch mechanism for multi-coupling
USD869615S1 (en) * 2018-02-09 2019-12-10 Cnh Industrial America Llc Hydraulic multi-coupler having an interference tab
USD868948S1 (en) * 2018-02-09 2019-12-03 Cnh Industrial America Llc Hydraulic multi-coupler having an optional port
EP3569911B1 (en) * 2018-05-16 2021-06-23 FASTER S.r.l. Hydraulic and/or pneumatic coupling, in particular of the multiple connection type
GB2582834B (en) * 2019-04-04 2023-04-12 Danfoss Power Solutions Ii Technology As Coupling device
CN110410643B (zh) * 2019-07-25 2021-08-03 济南北海软件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调节角度功能的稳定型软件测试设备
US11555569B2 (en) * 2019-09-03 2023-01-17 Ati Industrial Automation, Inc. Utility coupler with locking handle
US20240068612A1 (en) 2022-08-23 2024-02-29 Dixon Valve & Coupling Company, Llc Modular multi-coupling device
SE2251253A1 (en) * 2022-10-28 2023-10-24 Aaloe Ab A multi-coupling device and a working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09060U1 (ko) * 1991-07-09 1992-10-22 Faster S.R.L., Melzo, Mailand/Milano, It
US5507530A (en) * 1995-05-08 1996-04-16 Soo Tractor Sweeprake Company Plural male and female fluid coupler connecting mechanism and method
DE202007001232U1 (de) * 2007-01-27 2007-03-22 Voswinkel Kg Hydraulik-Mehrfach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7480A (en) 1969-03-17 1970-09-08 Harnischfeger Corp Multiple fluid coupling connection mechanism
FR2479360B1 (fr) 1980-03-25 1985-07-12 Staubli Sa Ets Perfectionnements aux raccords multiples pour la jonction simultanee de plusieurs canalisations pneumatiques, hydrauliques ou electriques
US4494775A (en) 1982-09-30 1985-01-22 William Nash Company, Inc. Fluid coupling
US4615546A (en) 1985-01-28 1986-10-07 William H. Nash Co., Inc. Multiple connector fluid coupling
ATE130919T1 (de) 1991-07-09 1995-12-15 Faster Srl Schnellkupplung zum jeweils gleichzeitigen herstellen oder lösen der verbindungen mehrerer kupplungen und/oder anschlussstecker, insbesondere kupplungsblock für anbaufrontlader an fahrzeugen.
US5224740A (en) 1992-02-28 1993-07-06 Siemens Medical Electronics, Inc. Handle and quick-action coupling
US5342098A (en) 1993-01-21 1994-08-30 Snap-Tite, Inc. Multiple coupling device
IT1290559B1 (it) * 1997-02-28 1998-12-10 Omba S R L Meccanismo per unire parti valvolari
EP1114917A3 (de) 2000-01-04 2002-03-06 TCG UNITECH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Drehwinkelverstellung
US6471250B2 (en) 2001-02-15 2002-10-29 National Coupling Company, Inc. Junction plate assembly for undersea hydraulic couplings
US6298876B1 (en) 2001-05-02 2001-10-09 Ozone Industries, Inc. Quick disconnect coupling
DE10245742B4 (de) * 2002-10-01 2006-09-07 Josef Martin Gmbh & Co. Kg Mehrfach-Kupplungseinrichtung
WO2007106036A2 (en) * 2006-03-16 2007-09-20 Nyberg, Bo Erik Multi-coupling
AT503556B1 (de) 2006-11-15 2007-11-15 Josef Martin Gmbh & Co Kg Kupplungseinrichtung für leitungen, insbesondere für hydraulikleitungen
SE530609C2 (sv) 2006-11-22 2008-07-15 Nyberg Bo Erik Multikoppling innefattande centralt drivorgan
SE530620C2 (sv) 2006-12-01 2008-07-22 Nordhydraulic Ab Parkeringsorgan för hydraulisk koppling
SE530621C2 (sv) 2006-12-01 2008-07-22 Nordhydraulic Ab Hydraulisk anslutning
DE202010014532U1 (de) * 2010-10-20 2010-12-16 Pister Kugelhähne GmbH Schnellkupplung
US9968021B2 (en) * 2016-01-19 2018-05-15 Deere & Company Work vehicle multi-coupler with breakaway feature
WO2019099354A1 (en) * 2017-11-20 2019-05-23 Parker-Hannifin Corporation Latch mechanism for multi-coupling
US10806066B2 (en) * 2018-05-18 2020-10-20 Deere & Company Implement multi-coupler with breakaway fea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09060U1 (ko) * 1991-07-09 1992-10-22 Faster S.R.L., Melzo, Mailand/Milano, It
US5507530A (en) * 1995-05-08 1996-04-16 Soo Tractor Sweeprake Company Plural male and female fluid coupler connecting mechanism and method
DE202007001232U1 (de) * 2007-01-27 2007-03-22 Voswinkel Kg Hydraulik-Mehrfachkupp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166B1 (ko) 2022-04-19
US11079053B2 (en) 2021-08-03
JP2019532233A (ja) 2019-11-07
WO2018044977A1 (en) 2018-03-08
JP6972116B2 (ja) 2021-11-24
EP3458764B1 (en) 2021-03-03
EP3458764A1 (en) 2019-03-27
US20190178430A1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0221A (ko) 다수-라인 연결 신속 다중-커플링
US11041584B2 (en) Latch mechanism for multi-coupling
US6015168A (en) Pivotal lock for coupling cam arms
EP0926422B1 (en) Pipe coupling socket
US8876169B2 (en) Cam-lock actuating device for use in a locking coupling assembly that couples two tubular members
EP1666783B1 (en) Pipe joint and socket for pipe joint
US20140145430A1 (en) Female quick-connect coupling element, and a quick-connect coupling incorporating such an element
US7658569B2 (en) Extensible bar with a simplified locking system
US6779777B2 (en) Pipe coupling socket
US6581907B1 (en) Pipe coupling
JPH0772599B2 (ja) カップリングフィッティング
CN109496254A (zh) 保持元件和具有该保持元件的连接器
US20140265316A1 (en) Locking catch and latch for quick connect hydraulic coupler
US7237457B2 (en) Screw feeder adapter for a power screwdriver
US20150316185A1 (en) Locking catch and latch for quick connect hydraulic coupler
EP1030993B1 (en) Quick-action coupling
JP6383372B2 (ja) 管継手
EP2636935B1 (en) Cam-lock actuating device for use in a locking coupling assembly that couples two tubular members.
CA2547071C (en) Screw feeder adapter for a power screwdriver
CN210978625U (zh) 带弯管的三通阀组件
WO2005033569B1 (en) Quick disconnect hose coupling
EP1353108A1 (en) Socket for pipe joint
WO2003057419A1 (de) Bodenreinigungsgerä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