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362A -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원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원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362A
KR20190039362A KR1020170127768A KR20170127768A KR20190039362A KR 20190039362 A KR20190039362 A KR 20190039362A KR 1020170127768 A KR1020170127768 A KR 1020170127768A KR 20170127768 A KR20170127768 A KR 20170127768A KR 20190039362 A KR20190039362 A KR 20190039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measuring
nuclear fuel
inspection area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441B1 (ko
Inventor
류석진
조진복
오세현
노수만
최정훈
이필건
Original Assignee
유저스(주)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저스(주),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저스(주)
Priority to KR1020170127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4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39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fuel or fuel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core, e.g. for burn-up, for conta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 연료봉 및 집합체의 물리적인 제원을 측정하는 제1검사영역, 상기 제1검사영역의 상측에 형성되며, 핵 연료봉의 손상 여부를 측정하는 제2검사영역을 포함하되, 핵 연료봉의 하부에서 상부로 핵 연료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순차적으로 핵 연료봉 및 집합체의 제원을 측정하는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핵 연료봉 및 집합체의 제원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원측정 방법{Apparatus for measuring data of nuclear fuel tube assembly and a method u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핵 연료봉의 제원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시에 육안검사와 더불어 세부적인 정밀 검사를 동시에 진행하는 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에서 에너지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농축 우라늄을 가느다란 튜브 속에 수백 개씩 집어넣어 만든 핵 연료봉은 다발 형태의 원전연료 집합체로 형성되는 것이 통상적이 방식이다. 보통 수십 개에서 수백 개를 한 뭉치로 하여 집합체를 만들고 하나의 단위로 이용하는데 원자로 안에는 이러한 집합체가 수백 개 들어있다.
현재 사용하는 핵연료는 우라늄 235가 소량 포함된 농축 우라늄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는데, 우라늄이 모두 연소되었거나 피막이 너무 낡아서 방사능이 새어나올 우려가 있을 시에 핵 연료봉을 교체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핵 연료봉 및 집합체의 상태를 수시로 체크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현재 핵 연료봉 및 집합체의 여러 가지 제원을 측정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200781호에서는 핵 연료봉의 산화막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로써, 집합체를 해체하지 않고 핵 연료봉의 산화막을 측정하는 기술에 대하여 기재하였다. 그러나 이는 연료봉의 기계적인 제원(비틀림 및 휨과 같은 물리적인 제원)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특허에 기술된 장치 이외의 다른 장치가 이용되어야 하며, 이는 시간적 및 공간적인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핵 연료봉 주위에서의 작업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관리자가 연료봉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져 피폭량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200781호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봉 산화막 두께 측정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핵 연료봉 및 집합체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여러 가지 제원을 측정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측정 장치가 순차적으로 제원을 측정하고 결함 내용을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핵 연료봉 및 집합체의 물리적인 제원을 측정하는 제1검사영역, 상기 제1검사영역의 상측에 형성되며, 핵 연료봉의 손상 여부를 측정하는 제2검사영역을 포함하되, 핵 연료봉의 하부에서 상부로 핵 연료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순차적으로 핵 연료봉 및 집합체의 제원을 측정한다.
상기 제1검사영역은 상기 집합체의 길이, 기울기, 휨, 비틀림 및 지지격자의 폭을 측정하는 복수의 LVDT, 상기 집합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적외선 온도센서, 상기 연료봉의 길이, 휨 및 직경을 측정하는 복수의 고배율카메라 및 상기 집합체의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CZT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LVDT, 적외선 온도센서 및 고배율카메라는 상기 집합체의 각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상기 핵 연료봉 및 집합체의 제원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검사영역은 상기 연료봉의 손상 여부를 검출하는 UT 및 상기 연료봉의 산화막 두께를 측정하는 복수의 ECT를 포함한다.
상기 UT는 x축으로 운동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봉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연료봉의 이상 유무를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ECT는 x축 및 y축으로 운동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봉 사이에 삽입되어 제원을 측정하고, 90도 회전 운동하는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핵연료 집합체의 양측에는 상기 연료봉의 길이와 대응되는 제1기어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검사영역 및 제2검사영역의 하측에는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리는 복수의 제2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기어부에 힘을 전달하는 구동부가 포함되어, 상기 구동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제1검사영역 및 제2검사영역이 상기 핵연료 집합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검사영역 및 제2검사영역이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제1가이드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가이드부가 상기 제1검사영역 및 제2검사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핵 연료봉 및 집합체의 제원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를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상기 제원측정장치를 고정시키는 검사 준비 단계, 상기 제1검사영역이 상기 연료봉 및 집합체의 제원을 측정하는 제1검사 단계, 상기 제1검사 단계에서 발견된 결함을 별도의 서버로 송신하는 제1송신 단계, 상기 제1검사영역이 측정한 영역을 상기 제2검사영역이 재측정하는 제2검사 단계, 상기 제2검사 단계에서 발견된 결함을 별도의 서버로 송신하는 제2송신 단계, 상기 제2검사영역의 플레이트가 90도 회전하여 상기 제2검사 단계가 수행된 구역을 재측정하는 제3검사 단계 및 상기 제3검사 단계에서 발견된 결함을 별도의 서버로 송신하는 제3송신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원측정장치가 핵 연료봉 및 집합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부에서 상부로 상승 운동할 한 번 수행할 시에 육안 검사 및 정밀 검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을 덜 받게 되어, 작업시간 단축은 물론 관리자의 피폭량 또한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가 프레임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의 제1검사영역 및 제2검사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의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가 맞물리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검사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검사영역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검사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검사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핵 연료봉 및 집합체의 제원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가 프레임부(300)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핵 연료봉(11)은 일정 간격을 두어 소정 개수의 군집을 이루는 집합체(10)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집합체(10)의 양 측에 상기 연료봉(11)와 대응되는 길이로 상기 프레임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300)는 본 발명인 제원측정장치가 이동하는 경로로써, 관리자는 상기 핵 연료봉(11) 및 집합체(10)의 제원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상기 프레임부(300)의 상측에 고정시킨 후 장치를 하강시킨다.
상기 제원측정장치는 상기 핵 연료봉(11) 및 집합체(10)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이동하면서 관찰 대상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제원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원측정장치가 상기 프레임부(300)를 따라 이동하는 데 있어서, 중력 및 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힘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30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원측정장치를 구동시키는 구성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의 제1검사영역(100) 및 제2검사영역(200)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제원측정장치는 도 2와 같이 2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부에는 육안 검사 및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상기 제1검사영역(100)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1검사영역(100)에서 수행하지 않는 보다 더 정밀한 제원을 측정하고 검사하는 제2검사영역(200)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먼저 상기 제1검사영역(100)을 통해 비교적 간단한 제원을 측정하고 이상유무를 판단한 뒤, 뒤이어 상기 제2검사영역(200)을 이동시켜 정밀하고 세밀한 제원 및 상기 핵 연료봉(11) 또는 집합체(10)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원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제원을 측정하게 되면, 상기 제원측정장치가 상기 핵 연료봉(11) 또는 집합체(10)를 한번 직선 운동할 시에 육안 검사 및 정밀 검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개별적인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을 덜 받게 되어, 작업시간 단축은 물론 관리자의 피폭량 또한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원측정장치는 상기 프레임부(300)를 따라 상기 프레임부(3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는 별도의 구동부(420)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부(420)는 상기 제1검사영역(100) 및 제2검사영역(200)에 각각 포함되어, 상기 복수의 검사영역(100,200)이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핵 연료봉(11) 및 집합체(10)를 검사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420)에 의해 상기 제원측정장치가 상기 프레임부(300)를 이동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기어가 맞물려 이동하는 구조로 형성이 가능하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원측정장치가 받는 복수의 힘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30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도 3과 같이 상기 프레임부(300)로부터 상기 복수의 검사영역(100,200)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는 형상의 제1가이드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3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복수의 검사영역(100,200) 양측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430)가 형성됨으로써, 장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320,430)는 LM가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제원측정장치가 상기 프레임부(30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의 제1기어부(310)와 제2기어부(410)가 맞물리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제원측정장치를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상기 구동부(420)는 상기 제2기어부(410)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 때, 상기 제2기어부(410)는 상기 프레임부(300)에 형성된 상기 제1기어부(310)에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4는 상기 제원측정장치가 상기 프레임부(300)를 따라 이동하는 여러 가지 실시예 중 하나로써, 상기 제1기어부(310)는 상기 프레임부(300)의 길이만큼 랙 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부(410)는 상기 구동부(420)가 전달하는 힘에 의해서 회전하는 스퍼 기어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되었듯이, 상기 제2기어부(410)를 구성하는 스퍼 기어가 상기 구동부(420)로부터 힘을 받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기어부(410)와 맞물려있던 랙 기어로 형성된 상기 제1기어부(310)의 톱니를 따라 상기 제2기어부(410)가 이동하게 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검사영역(100)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검사영역(100)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복수의 검사영역(100,200) 중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검사영역(100)은 비교적 간단한 육안 검사 및 제원을 측정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검사영역(100)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부(420)의 운동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부(300)를 따라 상승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핵 연료봉(11) 및 집합체(10)를 관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검사영역(100)은 상기 집합체(10)의 길이, 기울기, 휨 및 비틀림 및 지지격자의 폭을 측정하는 복수의 LVDT(110)와 상기 집합체(10)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적외선 온도센서(120), 그리고 상기 핵 연료봉(11)의 길이, 휨 및 직경을 측정하는 복수의 고배율카메라(130)를 포함한다.
상기 LVDT(110)는 선형 거리 차이를 측정하는 변환기로써, 상기 집합체(10)의 각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LVDT(110)가 배치된다. 상기 적외선 온도센서(120) 역시 상기 집합체(10)의 각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집합체(10)가 사용된 후의 온도를 근접한 거리에서 측정한다.
상기 복수의 고배율카메라(130) 또한 상기 집합체(10)의 각 면에 하나 이상 이 배치되어 상기 핵 연료봉(10)의 길이, 휨 및 직경을 측정하여 관리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검사영역(100)의 하부에는 상기 집합체(10)가 발산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상기 CZT(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검사영역(100)에서 이상일 발견될 경우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검사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검사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복수의 검사영역(100,200) 중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검사영역(200)은 상기 제1검사영역(100)에서 실행하지 않은 보다 정밀하고 상세한 제원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제1검사영역(100)의 구동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검사영역(200)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부(420)의 운동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부(300)를 따라 상승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핵 연료봉(11) 및 집합체(10)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제2검사영역(200)은 상기 연료봉(11)의 손상을 검출하는 UT(210) 및 산화막 두께를 측정하는 복수의 ECT(220)를 포함한다.
상기 UT(210)는 초음파를 상기 연료봉(11) 내로 전파시킴으로써 나타나는 음향적 성질의 변화를 파악하여 결함을 측정하는 장치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봉(11) 사이를 관통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UT는 1축(x축) 왕복운동을 수행하여 상기 핵 연료봉(11)의 손상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복수의 ECT(220)는 전류를 생성시켜 전류 흐름의 변화를 통하여 상기 핵 연료봉(11)의 산화막 두께를 측정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UT(210)와 마찬가지로 상기 복수의 연료봉(11) 사이로 상기 복수의 ECT(220)를 관통시켜야 한다. 또한 복수의 ECT(220) 사이에 전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사면을 갖는 상기 집합체(10)의 전 구역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복수의 ECT(220)가 일정각도 회전함으로써 생성되는 전류의 방향을 다르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ECT(220)는 80~100도의 회전 범위를 갖는 플레이트(221) 상면에 부착됨으로써 회전이 가능하며, 2축(x축,y축) 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핵 연료봉 및 집합체의 제원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상기 제1가이드부(100) 및 제2가이드부(200)를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300)의 하측에 상기 제원측정장치를 고정시키는 검사 준비 단계(S100)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는 관리자가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부(430)를 상기 제1가이드부(320)에 고정시켜 상기 복수의 기어부(310,410)의 톱니가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 때,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집합체(10)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부(300)가 위치한 장소로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300)가 설치된 공간의 하단부에는 별도의 로드셀이 형성되어 상기 집합체(10)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검사 준비 단계(S100)를 마친 상기 제원측정장치의 상기 제1검사영역(100)은 상기 프레임부(300)의 하부에서 상승운동을 하면서 상기 연료봉(11) 및 집합체(10)의 제원을 측정하는 제1검사 단계(S200)가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검사영역(100)을 구성하는 상기 LVDT(110), 적외선 온도센서(120), 고배율카메라(130) 및 CZT(140)가 육안 검사 및 방사선량을 측정함으로써 결함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상기 제1검사 단계(S200)에서 결함이 발견된다면, 발견된 결함을 별도의 서버로 송신하여 관리자에게 알리는 제1송신 단계(S210)로 진행되며, 상기 제1검사 단계(S200)에서 결함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다음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대기한다.
이후에는 상기 제1검사영역(100)이 측정한 영역을 상기 제2검사영역(200)이 재측정하는 제2검사 단계(S300)를 거치게 된다. 상기 제2검사 단계(S300)에서는 상기 제2검사영역(200)을 구성하는 상기 UT(210)가 초음파 검사를 수행하여 상기 연료봉(11)의 손상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ECT(220)가 흘려보내는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여 산화막 두께를 측정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상기 제1검사 단계(S2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검사 단계(S300)에서 결함이 발견된다면, 결함 내용을 관리자에게 알리는 제2송신 단계(S310)가 수행된다.
상기 제2검사 단계(S300)에서 결함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상기 제원측정장치는 상기 제2검사영역(200)의 플레이트(221)가 90도 회전하여 상기 제2검사 단계가(S300) 수행된 구역을 재측정하는 제3검사 단계(S400)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검사영역(200)은 상기 제2검사 단계(S300)가 처음 진행되었던 위치로 하강운동한 뒤에 상기 복수의 ECT(220)로 상기 제2검사 단계(S300)에서 측정하지 못한 방향의 전류 변화를 탐지하게 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 때 결함이 발견된다면, 결함 내용을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제3송신 단계(S410)가 수행되며, 결함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상기 핵 연료봉(11) 및 집합체(10)의 제원을 측정하는 과정을 마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핵연료 집합체 11 : 핵 연료봉
100 : 제1검사영역
110 : LVDT 120 : 적외선 온도센서
130 : 고배율카메라 140 : CZT
200 : 제2검사영역
210 : UT 220 : ECT
221 : 플레이트
300 : 프레임부
310 : 제1기어부 320 : 제1가이드부
410 : 제2기어부 420 : 구동부
430 : 제2가이드부
S100 : 검사 준비 단계
S200 : 제1검사 단계 S210 : 제1송신 단계
S300 : 제2검사 단계 S310 : 제2송신 단계
S400 : 제3검사 단계 S410 : 제3송신 단계

Claims (8)

  1. 핵 연료봉(11) 및 집합체(10)의 물리적인 제원을 측정하는 제1검사영역(100);
    상기 제1검사영역의 상측에 형성되며, 핵 연료봉의 손상 여부를 측정하는 제2검사영역(200);
    을 포함하되,
    핵 연료봉(11)의 하부에서 상부로 핵 연료봉(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순차적으로 핵 연료봉(11) 및 집합체(10)의 제원을 측정하는 핵연료 집합체 제원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사영역(100)은
    상기 집합체(10)의 길이, 기울기, 휨, 비틀림 및 지지격자의 폭을 측정하는 복수의 LVDT(110), 상기 집합체(10)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적외선 온도센서(120), 상기 연료봉(11)의 길이, 휨 및 직경을 측정하는 복수의 고배율카메라(130) 및 상기 집합체(10)의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CZT(140)를 포함하는 핵연료 집합체 제원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VDT(110), 적외선 온도센서 (120)및 고배율카메라(130)는
    상기 집합체(10)의 각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상기 핵 연료봉(11) 및 집합체(10)의 제원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제원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검사영역(200)은
    상기 연료봉(11)의 손상 여부를 검출하는 UT(210) 및 상기 연료봉의 산화막 두께를 측정하는 복수의 ECT(220)를 포함하는 핵연료 집합체 제원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T(210)는
    x축으로 운동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봉(11)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연료봉(11)의 이상 유무를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ECT(220)는
    x축 및 y축으로 운동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봉(11) 사이에 삽입되어 제원을 측정하고, 90도 회전 운동하는 플레이트(221)의 상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제원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연료 집합체(10)의 양측에는 상기 연료봉(11)의 길이와 대응되는 제1기어부(310)를 포함하는 프레임부(300)가 배치되고,
    상기 제1검사영역(100) 및 제2검사영역(200)의 하측에는 상기 제1기어부(310)와 맞물리는 복수의 제2기어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제2기어부(400)에 힘을 전달하는 구동부(420)가 포함되어, 상기 구동부(420)의 운동에 따라 상기 제1검사영역(100) 및 제2검사영역(200)이 상기 핵연료 집합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제원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300)는
    상기 제1검사영역(100) 및 제2검사영역(200)이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제1가이드부(32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320)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가이드부(430)가 상기 제1검사영역(100) 및 제2검사영역(20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제원측정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의 핵연료 집합체 제원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제원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100) 및 제2가이드부(200)를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300)의 하측에 상기 제원측정장치를 고정시키는 검사 준비 단계(S100);
    상기 제1검사영역(100)이 상기 연료봉(11) 및 집합체(10)의 제원을 측정하는 제1검사 단계(S200);
    상기 제1검사 단계(S200)에서 발견된 결함을 별도의 서버로 송신하는 제1송신 단계(S210);
    상기 제1검사영역(100)이 측정한 영역을 상기 제2검사영역(200)이 재측정하는 제2검사 단계(S300);
    상기 제2검사 단계(S300)에서 발견된 결함을 별도의 서버로 송신하는 제2송신 단계(S310);
    상기 제2검사영역(200)의 플레이트(221)가 90도 회전하여 상기 제2검사 단계가(S300) 수행된 구역을 재측정하는 제3검사 단계(S400); 및
    상기 제3검사 단계(S400)에서 발견된 결함을 별도의 서버로 송신하는 제3송신 단계(S4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핵연료 집합체 제원측정방법.
KR1020170127768A 2017-09-29 2017-09-29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원측정 방법 KR102044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68A KR102044441B1 (ko) 2017-09-29 2017-09-29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원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68A KR102044441B1 (ko) 2017-09-29 2017-09-29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원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362A true KR20190039362A (ko) 2019-04-11
KR102044441B1 KR102044441B1 (ko) 2019-11-13

Family

ID=6616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768A KR102044441B1 (ko) 2017-09-29 2017-09-29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원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4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9688A (zh) * 2022-06-14 2022-09-02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缩比模拟燃料组件
WO2024096262A1 (ko) * 2022-11-02 2024-05-10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사용후핵연료의 연소도 측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034A (ko) * 2004-07-08 2006-01-12 한국원자력연구소 원전 수조내 중수로형 핵연료다발 제원측정 및 검사기기
JP2006317388A (ja) * 2005-05-16 2006-11-24 Global Nuclear Fuel-Japan Co Ltd 燃料集合体検査システム及び燃料集合体検査方法
JP2007333601A (ja) * 2006-06-15 2007-12-27 Nuclear Fuel Ind Ltd 燃料検査装置
KR101145893B1 (ko) * 2011-02-08 2012-05-15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다기능 핵연료봉 시험장치
KR101200781B1 (ko) 2011-07-08 2012-11-13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봉 산화막 두께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034A (ko) * 2004-07-08 2006-01-12 한국원자력연구소 원전 수조내 중수로형 핵연료다발 제원측정 및 검사기기
JP2006317388A (ja) * 2005-05-16 2006-11-24 Global Nuclear Fuel-Japan Co Ltd 燃料集合体検査システム及び燃料集合体検査方法
JP2007333601A (ja) * 2006-06-15 2007-12-27 Nuclear Fuel Ind Ltd 燃料検査装置
KR101145893B1 (ko) * 2011-02-08 2012-05-15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다기능 핵연료봉 시험장치
KR101200781B1 (ko) 2011-07-08 2012-11-13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봉 산화막 두께 측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9688A (zh) * 2022-06-14 2022-09-02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缩比模拟燃料组件
CN114999688B (zh) * 2022-06-14 2024-04-26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缩比模拟燃料组件
WO2024096262A1 (ko) * 2022-11-02 2024-05-10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사용후핵연료의 연소도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441B1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232B1 (ko) 핵연료 집합체용 제어봉 클러스터의 검사방법 및 장치
US3664922A (en) In-service inspection of reactor vessel welds
US68796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diameter of a peripheral rod in a fuel assembly of a nuclear reactor
KR20190039362A (ko) 핵연료집합체 제원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원측정 방법
US9640285B2 (en) Probe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ickness of oxide layer of fuel rod
US6549600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ng a fuel element in a nuclear reactor
CN112889119A (zh) 无损自动检查系统
JP5036748B2 (ja) 燃料集合体の検査方法
KR101145893B1 (ko) 다기능 핵연료봉 시험장치
JPS61164152A (ja) 検査装置
KR101159009B1 (ko) 지르코늄 튜브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튜브 검사방법
JP5969913B2 (ja) 燃料棒の非破壊検査装置
KR101857106B1 (ko) 칼란드리아 내부 구조물 검사장치
US6646734B1 (en)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inspection of and measuring at an object
CN110595316B (zh) 一种可燃毒物组装件辐照后整体性能检查装置及检测方法
KR102646988B1 (ko) 핵연료집합체 수직방향 휨 변형량의 레이저 측정을 위한 모의장치를 이용한 레이저 측정장치의 보정방법
KR102457912B1 (ko) 이동식 디지털 방사선 검사 장치
KR101068968B1 (ko) 핵연료 집합체의 검사장치
JP2017227504A (ja) 炉心槽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EP2442313B1 (en) Apparatus for the radiometric inspection of fuel elements
Bouveret et al. PWR reactor vessel in-service inspection according to RSEM
Park Application of National Safeguards Instruments for Spent Fuel Verifications to the IAEA Inspections
KR200381384Y1 (ko) 자동화된 차폐성능 비파괴시험장치
Carnes et al. Fuel-element profilometer for the HFEF
JPH0313809A (ja) 中性子計装管の曲がり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