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196A -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196A
KR20190039196A KR1020197006592A KR20197006592A KR20190039196A KR 20190039196 A KR20190039196 A KR 20190039196A KR 1020197006592 A KR1020197006592 A KR 1020197006592A KR 20197006592 A KR20197006592 A KR 20197006592A KR 20190039196 A KR20190039196 A KR 20190039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power allocation
spatial
pow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2031B1 (ko
Inventor
줘 우
준 왕
강 셴
캐롤 쇼버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90039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냄 -; 및 전력 할당 정보를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에 동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통신 방법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통신 기술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통신 방법, 및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MUST: multiuser superposition transmission) 기술이 제안 및 논의되어 왔다. MUST 기술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시간, 주파수 및/또는 공간 자원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다중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하고, 간섭 제거 또는 반복적 디코딩에 의해 수신단에서 상이한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현에서, MUST 기술은 코드 도메인, 전력 도메인, 위치 도메인(constellation domain)(또는 비트 도메인) 등의 중첩을 포함한다.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MUST 기술은 다운링크 송신 및 업링크 송신을 포함한다.
통신 네트워크가 더 높은 트래픽 부하를 갖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 장비(UE)는 MUST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에 더 많은 용량 이득을 만들어내기 위해 페어링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근거리 UE 및 원거리 UE는 동적으로 페어링될 수 있어, 예를 들어 상이한 공간 계층들 또는 상이한 부대역들에서 페어링되어서, MUST 페어링의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MUST 송신 및 비MUST 송신(non-MUST transmission)은 일부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공존할 수 있으며, 동적 방식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그러나, MUST 및 비MUST 송신의 동적 페어링 또는 동적 스위칭의 경우에, 종래의 전력 할당 접근법들은 MUST 페어링의 변경, 및/또는 MUST 및 비MUST 송신의 동적 스위칭에 적응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동적 MUST 페어링의 경우, 특히 서브프레임 단위로(subframe by subframe) MUST와 비MUST 사이에서 UE를 스위칭하는 경우, UE는 그 UE와 페어링된 다른 UE의 신호들에 의해 야기된 간섭을 제거하는 것은 고사하고, 다른 UE의 신호들을 검출하는 것조차 어렵다. 따라서 시스템 성능은 심각하게 저하될 것이다.
또한, 2개의 공간 계층을 갖는 랭크 2의 MUST-근거리 UE(MUST-near UE)의 경우에, MUST가 두 계층 중 하나("제1 계층"으로도 지칭됨)에서 수행되는 한편, 단일 사용자 송신이 다른 하나의 계층("제2 계층"으로도 지칭됨)에서 수행되는 경우, 및 송신 전력이 2개의 공간 계층들 사이에 균등하게 분할되는 경우, 제2 계층에서의 통신은 제1 계층에서의 통신에 심각한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계층 상의 MUST-근거리 UE에서 신호 검출 성능은 저하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통신 방법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도 제안한다.
제1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냄 -; 및 전력 할당 정보를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에 동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 있어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냄 -; 및 전력 할당 정보를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에 동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더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이 양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장치를 더 포함한다. 장치는: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냄 -; 및 전력 할당 정보를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에 동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제2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단말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다. 방법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냄 -; 및 전력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단말 디바이스를 더 제공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냄 -; 및 전력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단말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 디바이스로 하여금 이 양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장치를 더 포함한다. 장치는: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냄 -; 및 전력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MUST-근거리 사용자 장비의 전력 할당은 동적으로 나타내질 수 있으므로, 근거리 사용자 장비에서의 신호 검출 성공 확률은 증가한다. 이 방식으로, 더 낮은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시스템 복잡성의 전제 하에, MUST 페어링의 확률과 MUST에 의해 제공되는 용량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시스템 성능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발명의 내용 부분에서 설명된 내용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주요한 또는 중요한 특징들을 제한하려 의도되지 않았으며, 또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특징들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 이해하기 쉽게 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 이점들 및 양태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첨부 도면들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구현된 예시적인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MUST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측에서 구현된, 전력 할당을 나타내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측에서 구현된, 전력 할당을 나타내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측에서 구현된, 전력 할당을 나타내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측에서 구현된, 전력 할당을 나타내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측에서 구현된, 전력 할당을 나타내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측에서 구현된, 전력 할당을 나타내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랭크 2 MUST의 전력 할당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이 도시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그러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철저하고 완전한 이해를 위해 제공된다. 첨부된 도면들 및,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기보다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 용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특정 기능을 갖는 다른 개체 또는 노드를 지칭한다. "기지국(BS)"은 노드 B(NodeB 또는 NB), 진화된 노드 B(eNodeB 또는 eNB), 원격 무선 유닛(RRU), 무선 주파수 헤드(radio-frequency head, RH), 원격 무선 헤드(RRH), 중계기, 또는 피코셀(Picocell), 펨토셀(Femto cell) 등과 같은 저전력 노드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용어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기지국"은 논의를 위해,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eNB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예로서 다뤄진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 용어 "단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또는 서로 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단말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예로서, 단말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MT), 가입자국(SS), 휴대형 가입자국(PSS), 이동국(MS) 또는 액세스 단말(AT), 및 상기 온-보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용어 "단말 디바이스" 및 "사용자 장비"는 논의를 위해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 용어 "다운링크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또는 "DL MUST")은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로의 DL 신호들이 송신 시 중첩(또는 결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자신의 신호(또는 "유용한 신호"로 지칭됨)뿐만 아니라 다른 단말 디바이스의 신호(또는 "간섭 신호"로 지칭됨)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 용어 "공간 계층"은 공간 송신 채널 계층(spatial transmission channel layer)을 지칭한다. 상호 분리된 공간 계층들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에 대한 특정 가중 벡터들을 배열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 용어 "포함하다(comprise, include)" 및 그 변형들은,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하는 개방형 용어로 읽혀야 한다. "기초하는"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를 두고 있는"으로 읽혀야 한다. "일 실시예"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 읽혀져야 하고; "다른 실시예"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로서 읽혀야 한다. 다른 용어들의 정의들은 아래의 설명에서 제공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솔루션들은 서브프레임 단위로 MUST UE의 동적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이한 공간 계층들 상에서 UE를 복수의 다른 UE와 페어링하도록 제안했다. 그러나, 동적 페어링, 특히 MUST 구성과 비MUST 구성 사이의 UE의 서브프레임 단위 동적 스위칭의 경우, 페어링된 근거리 UE측에서 신호들을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서,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의 간섭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솔루션들은 페어링된 UE의 신호들을 검출하는 데에 UE를 보조할 수 있도록 몇몇 후보 파라미터들을 서비스 eNB로부터 UE로 보내도록 제안했다. 또한, UE는 블라인드 검출을 통해 다른 파라미터들을 더 획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후보 파라미터들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장시간 간격으로만 보내질 수 있다. MUST 페어링(또는 스위칭)이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에서 동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경우,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UE측의 신호 검출에서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 또한, UE가 블라인드 검출을 통해 모든 파라미터를 획득한다면, UE에 있어 디코딩 복잡도가 너무 높아지고 시간 소모적으로 될 것이다. 한편, 그러한 블라인드 검출은 동적 MUST 페어링 또는 스위칭에 적응할 수 없다.
따라서, 동적 MUST 페어링 또는 스위칭에서 UE의 신호 검출에 대한 간섭을 제거해 UE가 유용한 신호들을 성공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UE가 전력 할당 정보와 같은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적절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eNB는 근거리 UE보다 원거리 UE에 더 높은 전력을 할당하고, 따라서 페어링된 UE로부터의 간섭이 근거리 UE에서 더 강하기 때문에, 이것은 MUST 페어링의 근거리 UE에 특히 유익하다.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근거리 사용자 장비("근거리 UE"로도 지칭됨) 및 원거리 사용자 장비("원거리 UE"로도 지칭됨)는 각각, MUST 페어링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멀리 떨어진 UE(예를 들어, eNB)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근처에 있는 UE를 의미한다. 특히, 랭크 2 및 2개의 공간 계층을 지원하는 근거리 UE가 오직 하나의 공간 계층 상의 하나의 원거리 UE와 페어링되거나, 또는 근거리 UE가 하나의 공간 계층 상의 하나의 원거리 UE와 페어링되고 다른 공간 계층 상의 다른 원거리 UE와 페어링되는 경우, 그러한 간섭은 특히 중요할 것이다.
상기 및 다른 잠재적인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력 할당 정보를 근거리 사용자 장비로 보낼 수 있다. 전력 할당 정보는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 및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간의 전력 할당을 나타낸다. 따라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는 수신된 전력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들을 검출함으로써,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제거하고, 신호 검출의 성공 확률을 높이고,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통신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통신 네트워크(1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와 3개의 단말 디바이스, 즉 제1 단말 디바이스(110), 제2 단말 디바이스(120) 및 제3 단말 디바이스(13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3개의 단말 디바이스(110 내지 130)와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를 통해 3개의 단말 디바이스(110 내지 130)는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 및 단말 디바이스의 수는 어떠한 제한도 암시하지 않으며 단지 예시를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네트워크(100)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제1 단말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에 가까이 있지만, 제2 단말 디바이스(120) 및 제3 단말 디바이스(13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다. 이것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3개의 단말 디바이스(110 내지 13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로부터 가깝거나 멀리 떨어진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1 단말 디바이스(110)는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단말 디바이스(120) 및 제3 단말 디바이스(130)는 각각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 및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30)"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제1 단말 디바이스(110)를 제2 단말 디바이스(120)와 MUST 쌍(MUST pair)으로서 페어링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제1 단말 디바이스(110)를 제2 단말 디바이스(120)와 페어링하는 것 외에도, 제1 단말 디바이스(110)를 네트워크(100) 내의 임의의 수의 다른 단말 디바이스들과 MUST 쌍(들) 또는 MUST 그룹(들)으로서 더 페어링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MUST 구성(200)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2개의 공간 계층 중 하나("제1 공간 계층"으로 지칭됨) 상에서 제1 단말 디바이스(110)를 제2 단말 디바이스(120)와 페어링할 수 있고, 다른 공간 계층("제2 공간 계층"으로 지칭됨) 상에서 제1 단말 디바이스(110)를 제3 단말 디바이스(130)와 페어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실시예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네트워크(100)에서의 통신은 제1 세대(1G), 제2 세대(2G), 제3 세대(3G), 제4 세대(4G), 제5 세대(5G) 그리고 다른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 통신 프로토콜들, 및/또는 현재 공지돼있거나 향후 개발될 임의의 다른 프로토콜들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시간 분할 듀플렉싱(TDD),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및/또는 현재 공지돼있거나 향후 개발될 임의의 다른 기술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한다.
전술한 예에서, 제1 단말 디바이스(110)는 제2 단말 디바이스(120)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에 더 가까이 있다. 즉, 제1 단말 디바이스(110)는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고, 제2 단말 디바이스(120)는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이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경로 손실을 줄이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일반적으로 더 큰 전력을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에 할당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에 더 큰 간섭을 만들어낸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는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내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에 동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가 신호 검출을 정정하고 수행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시스템 성능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 및 단말 디바이스의 수는 어떠한 제한도 암시하지 않으며 단지 설명을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통신 네트워크(100)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 및/또는 개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적절한 범위 및/또는 수의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통신 네트워크(100)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 및/또는 개수의 단말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 및 특정 실시예들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40) 및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의 관점에서 상세히 예시될 것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이 도면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 할당을 나타내는 방법(3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300)은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논의를 위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방법(300)에 대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블록(310)에서,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가 결정된다.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력 할당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하나의 공간 계층을 가지며, 여기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 및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는 이 공간 계층 상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와 통신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하나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기 사이의 페어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페어링 정보는 공간 계층 상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그 다음,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전력 할당 정보는 예를 들어,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또는 다른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복수의 공간 계층,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2개의 공간 계층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는 제1 공간 계층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와 통신하고,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30)는 제2 공간 계층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와 통신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복수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페어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페어링 정보는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그 다음,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전력 할당 정보는 예를 들어,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또는 다른 적절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320)에서, 전력 할당 정보는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에 동적으로 송신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예컨대, DCI 또는 강화된 DCI)에서 전력 할당 정보를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할당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은 특정 서브프레임,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서브프레임은 특정 서브프레임 또는 복수의 연속 또는 불연속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불연속 서브프레임들의 경우, 이 서브프레임들은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전력 할당 정보를 이러한 미리 정의된 서브프레임들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로만 보낸다. 대안으로서,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전력 할당 정보를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로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예는 어떠한 제한을 시사하기보다는 단지 예시적인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서브프레임의 다른 적절한 정보 위치(들)에서 전력 할당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측에서 구현된 전력 할당을 나타내는 방법(4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400)은 방법(300)의 일 구현으로 간주될 수 있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오직 하나의 공간 계층(예를 들어, 도 2에서 제1 공간 계층)을 가지며, 이 공간 계층 상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 및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가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와 통신한다. 방법(400)은 한정보다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블록(410)에서, 하나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가 결정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페어링 정보는 공간 계층 상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셀 내의 단말들의 위치들에 따라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 및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가 제1 공간 계층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두 단말 디바이스가 MUST를 수행하기 위해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의 제1 공간 계층을 예로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 및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가 제1 공간 계층 상에서 페어링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블록(420)에서,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할당 정보가 결정된다. 전력 할당 정보는 예를 들어: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 기타 중 하나 이상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는 예를 들어 1비트 표시자로서 구현될 수 있고, 비트는 "1" 및 "0"인 것은 각각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와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와 페어링되는지 여부에 관한 표시의 다른 구현 예들도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예는 제한하기보다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페어링 정보는 상이한 페어링 경우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비트를 갖는 표시자로서 더 구현될 수 있다.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는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비율(예를 들어, 1:2), 그것들 사이의 전력 차이(예를 들어, 1db), 그것들의 전력 값(예를 들어, 0.3 및 0.7), 또는 다른 적절한 유형의 표시로 구현될 수 있다.
블록(430)에서, 전력 할당 정보는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송신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할당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은 특정 서브프레임,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연속 또는 불연속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전력 할당 정보를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측에서 구현된 전력 할당을 나타내는 방법(5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500)은 방법(300)의 다른 구현으로 간주될 수 있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복수의 공간 계층,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2개의 공간 계층을 가질 수 있다.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 및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는 제1 공간 계층 상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와 통신하고,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 및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30)는 제2 공간 계층 상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와 통신한다. 따라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는 제1 공간 계층에서 자신의 신호 및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의 신호의 중첩 신호("제2 신호"로 지칭됨)를 수신하고, 제2 공간 계층 상에서 자신의 신호 및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30)의 신호의 중첩 신호("제3 신호"로 지칭됨)를 수신한다. 방법(500)은 제한하기보다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블록(510)에서, 복수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페어링 정보가 결정된다. 도 2를 예로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가 제1 공간 계층("계층 1"로 지칭됨) 상에서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와 페어링되고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가 제2 공간 계층("계층 2"로 지칭됨) 상에서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30)와 페어링되는 것을 결정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블록(510)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가 계층 1에서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와 페어링되는지 여부 및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가 계층 2에서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30)와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러한 페어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블록(520)에서,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할당 정보가 결정된다. 전력 할당 정보는 복수의 공간 계층과 연관되며, 예를 들어, 복수의 공간 계층의 각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또는 다른 적절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MUST 송신에서의 동적 페어링의 경우들에, MUST 송신이 양쪽 계층들에 대해 페어링되는지 또는 오직 하나의 공간 계층에 대해 페어링되는지 여부는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두 개의 공간 계층들 사이의 전력 할당에 영향을 미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표시자는 복수의 공간 계층의 각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설정될 수 있다. 표시자는 "계층 MUST 표시(LMI, layer MUST indication)"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2개의 공간 계층의 경우, LMI는 예를 들어 2비트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계층 1 및 계층 2가 MUST에 대해 페어링을 이룰지 여부를 나타내는 2비트의 예시적인 대응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서, "00"은 계층 1 및 계층 2 모두 MUST에 대해 페어링되지 않았으며, 비MUST 송신에 있음을 나타낸다.
"10"은 계층 1이 MUST에 대해 페어링되고, 반면 계층 2는 MUST에 대해 페어링되지 않고 비MUST 송신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01"은 계층 1이 MUST에 대해 페어링되지 않고 비MUST 송신에 있고, 반면 계층 2는 MUST에 대해 페어링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11"은 계층 1과 계층 2 모두 MUST에 대해 페어링되고, MUST 송신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계층 간 전력 할당 표시"(ILPAI, inter-layer power allocation indication)로도 지칭됨)는 다양한 계층 사이의 전력비, 다양한 계층 사이의 전력 오프셋(또는 "전력 차이"), 또는 총 송신 전력("총 전력"으로도 지칭됨)이 상위 계층들에 의해 구성된 공칭 전력에 대응하는 다른 적절한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계층 간 전력 할당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든 공간 계층이 MUST 송신 또는 비MUST 송신에 있다면, 전력은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에 균등하게 할당될 수 있다. 도 2를 예로 들면, 제1 및 제2 공간 계층 모두 비MUST 송신인 경우, 전력은 제1 및 제2 공간 계층들 사이에 균등하게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공간 계층 모두 MUST 송신에 있는 경우, 즉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가 제1 공간 계층에서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와 페어링되고,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가 제2 공간 계층에서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와 페어링되는 경우, 전력은 제1 및 제2 공간 계층들 사이에 균등하게 할당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LMI가 "00" 또는 "11"인 경우, 총 송신 전력은 계층 1과 계층 2 사이에 균등하게 분할되므로, ILPAI는 불필요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위의 경우, 전력의 동등한 할당이 ILPAI에 의해 나타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복수의 공간 계층 중 하나의 공간 계층에서 수행되는 경우,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MUST가 수행되지 않는 공간 계층보다 큰 전력이 MUST가 수행되는 공간 계층에 할당된다. 도 2를 예로 들면, 계층 1은 MUST에 대해 페어링되지만, 계층 2는 MUST에 대해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에, 즉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가 계층 1에서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와 페어링되지만 계층 2에서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30)와 페어링되는 경우에,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계층 1에 할당된 전력은 계층 2에 할당된 전력보다 클 수 있다. 이 지점에서, ILPAI는 계층 1과 계층 2 사이의 전력 오프셋 또는 전력비를 나타낼 수 있다. 반대로, 계층 1이 MUST에 있지 않지만 계층 2가 MUST에 있다면, 계층 2에 할당된 전력은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계층 1에 할당된 전력보다 클 수 있다. 이 지점에서, ILPAI는 계층 2와 계층 1 사이의 전력 오프셋 또는 전력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ILPAI는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계층 1과 계층 2 사이의 전력 할당의 전력비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표 2는 전력비의 형태인 ILPAI의 예를 나타내며, "00"은 계층 1과 계층 2 사이의 전력비가 1:1임을 나타내고, "01", "10" 및 "11"은 계층 1과 계층 2 사이의 전력비가 각각의 2:1, 3:2 및 3:1임을 나타낸다. 이러한 전력비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에 의해 각각의 공간 계층에 할당된 전력 및 총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전력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ILPAI에 따라 현재 계층에 할당된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서, ILPAI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층 1과 계층 2 사이의 전력 할당의 전력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표 3은 전력 오프셋 형태의 ILPAI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 2 및 표 3에 열거된 전력비 또는 전력 오프셋의 값들은 제한하는 것이 아닌 단지 예시적인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이 값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들은 경험적인 값들이거나 표준화 FFS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들은 근거리 및 원거리 UE들 사이의 비율에 기초하여 더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LMI가 "10"인 경우, 계층 1이 MUST에 대해 페어링되는 한편, 계층 2는 MUST에 대해 페어링되지 않을 때, 페어링된 원거리 UE에 대한 심각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계층 1에 할당된 전력은 계층 2에 할당된 전력보다 크다. 따라서, ILPAI는 계층 1과 계층 2 사이의 전력 오프셋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LPAI가 "10"이면, 이는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계층 1과 계층 2 사이의 전력 할당 비율이 "3:2"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ILPAI가 "11"이면, 이는 계층 1과 계층 2 사이의 전력 오프셋이 "3dB", 즉 계층 1의 전력이 계층 2의 전력보다 3dB 더 크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LMI가 "01"이면, 계층 1은 MUST에 대해 페어링되지 않는 한편, 계층 2가 MUST에 대해 페어링된 경우, 페어링된 원거리 UE에 대한 심각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계층 2에 할당된 전력은 계층 1에 할당된 전력보다 크다. 따라서, ILPAI는 계층 1과 계층 2 사이의 전력 오프셋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ILPAI가 "10"이면, 이는 계층 2와 계층 1 사이의 전력 할당 비율이 "3:2"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ILPAI가 "11"이면, 이는 계층 2와 계층 1 사이의 전력 오프셋이 "3dB", 즉 계층 2의 전력이 계층 1의 전력보다 3dB 더 크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LMI 및 ILPAI는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동으로 코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표 4는 LMI 및 ILPAI의 공동 코딩의 예를 나타낸다. 표 3의 세 번째 행을 예로 들어 표 3의 의미를 설명한다. 세 번째 행에서, LMI+ILPAI가 "010"인 것은 LMI가 "10"이고 ILPAI가 "01"임을 나타내며, 이 지점에서 계층 1과 계층 2 사이의 전력 할당 비율(즉, 전력비)은 2:1이다.
계층 1 및 계층 2 중 하나가 단일 사용자 송신(예를 들어, 단일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SU-MIMO)(표 4의 제1 행에 해당)에 있거나 두 공간 계층 모두 MUST에 있을 때(표 4의 두 번째 행에 해당), 전력은 계층 1과 계층 2 사이에 균등하게 할당된다. 계층 1과 계층 2 중 하나가 MUST에 있으면(표 4의 3 내지 8행에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표 4에 따라 전력비들 또는 전력 오프셋들을 구성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력 할당 정보는 각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IUPAI)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할당 표시는,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생성된 정규화된 전력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비는 [0.7, 0.95]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비트 IUPAI는 MUST 공간 계층 상의 원거리 UE와 근거리 UE 사이의 전력 할당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표 5는 IUPAI의 예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표 5에서, IUPAI가 "00", "01", "10" 또는 "11"이면, 대응하는 전력비가 각각 PR0, PR1, PR2 또는 PR3이라고 결정될 수 있다. PR0, PR1, PR2 및 PR3은 [0.7, 0.95] 범위의 4가지 값이 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LMI가 "10", 즉, 계층 1이 MUST에 대해 페어링을 이루는 한편, 계층 2가 MUST에 대해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계층 1과 계층 2 사이의 전력비는 공간 계층 1 상에서 근거리 UE 및 원거리 UE에 할당된 각각의 전력들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그 후, 전력비는 PRi를 도출하기 위해 정규화되며, 여기서 i는 0, 1, 2, 3이다.
블록(530)에서, 전력 할당 정보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송신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520)에서 결정된 전력 할당 정보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DCI 또는 강화된 DCI로 송신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연속 또는 불연속 서브프레임들로 송신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랭크 2 MUST에 대한 전력 할당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9에 대하여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LMI가 "11", ILPAI가 "00", IUPAI1(즉, 계층 1의 IUPAI)이 "01", IUPAI2(즉, 계층 2의 IUPAI)가 "10"이면, 전력 할당 정보는 (910)에 보여진 것과 같다. LMI가 "01", ILPAI가 "11", IUPAI1이 "11"이면, 전력 할당 정보는 (920)에 보여진 것과 같다. LMI가 "10", ILPAI가 "11", IUPAI1이 "10"이면, 전력 할당 정보는 (930)에 보여진 것과 같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 할당을 나타내는 방법(6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600)은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논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방법(600)에 대한 설명이 제공된다.
블록(610)에서,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낸다. 단말 디바이스(110)는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부터 전력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수신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서브프레임들은 단일 서브프레임이거나 복수의 연속 또는 불연속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불연속 서브프레임들의 경우, 이러한 서브프레임들은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전력 할당 정보를 이러한 미리 정의된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는 이러한 미리 정의된 서브프레임들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로부터 전력 할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전력 할당 정보를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로부터 송신된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부터 전력 할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블록(620)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이 전력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오직 하나의 공간 계층, 예를 들어 도 2의 제1 공간 계층을 갖는다.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 및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는 이 공간 계층 상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와 통신한다.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또는 다른 적절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블록(620)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단말 디바이스(110)는 전력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복수의 공간 계층,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2개의 공간 계층을 가질 수 있다.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는 제1 공간 계층 상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와 통신하고,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30)는 제2 공간 계층 상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와 통신한다. 이 경우에, 전력 할당 정보는,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 및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또는 다른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는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 계층 그룹을 복수의 공간 계층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에 기초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는 공간 계층 그룹 내의 각각의 공간 계층에 할당되는 계층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 결정된 계층 전력에 기초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는 공간 계층 그룹 내의 각각의 공간 계층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에서 기준 신호를 성공적으로 검출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어, 시스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측에서 구현된 전력 할당을 나타내는 방법(7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700)은 방법(600)의 일 구현으로 간주될 수 있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가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와 통신하는 오직 하나의 공간 계층(예를 들어, 도 2의 제1 공간 계층)이 존재한다. 방법(700)은 한정하는 것보다 단지 예시하는 것이며,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블록(710)에서, 전력 할당 정보는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부터 수신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연속 또는 불연속 서브프레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는 서브프레임(들), 또는 서브프레임(들) 내의 DCI로부터 전력 할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DCI로 전력 할당 정보를 송신한다. 따라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DCI로부터 전력 할당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블록(710)에서 수신된 전력 할당 정보는,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또는 다른 관련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720)에서,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 및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페어링 정보는 예를 들어, 블록(710)에서 수신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이며, 1비트 표시자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10)가 그 비트가 "1"이라고 결정한 경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와 페어링되어 있다고 결정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10)가 그 비트가 "0"이라고 결정한 경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와 페어링되지 않았다고 결정될 수 있다.
블록(730)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은 전력 할당 표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전력 할당 표시는, 예를 들어, 블록(710)에서 수신된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이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 사이의 전력 할당 비율(예를 들어, 1:2), 이들 사이의 전력 차이(예를 들어, 1db), 이들의 전력 값들(예를 들어, 0.3 및 0.7) 등과 같이 다양한 형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는 전력 할당 비율에 기초하여, 총 전력 중 얼마나 많은 전력이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와 연관되는지 및/또는 얼마나 많은 전력이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와 연관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는 얼마나 많은 전력이 자신에게 할당되는지 계산할 수 있어 신호 검출 성공 확률의 증가를 용이하게 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측에서 구현된 전력 할당을 나타내는 방법(8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800)은 방법(600)의 또 다른 구현으로 간주될 수 있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복수의 공간 계층,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2개의 공간 계층을 포함한다.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20)는 제1 공간 계층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와 통신하고,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130)는 제2 공간 계층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와 통신한다. 방법(800)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블록(810)에서,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부터 전력 할당 정보가 수신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DCI 또는 강화된 DCI로 전력 할당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블록(810)에서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DCI 또는 강화된 DCI로 송신된 전력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는 하나 이상의 연속 또는 불연속 서브프레임에서 전력 할당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단말 디바이스(110)는 하나 이상의 연속 또는 불연속 서브프레임에서 전력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810)에서 수신된 전력 할당 정보는, 복수의 공간 계층의 각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또는 다른 적절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페어링 정보는 표 1에 나타난 LMI의 예들을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는 표 2 및 표 3에 나타난 ILPAI의 예들을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페어링 정보 및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는, 예를 들어 표 4의 공동 표시의 예들을 사용함으로써, 공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공간 계층 상의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는 표 5의 IUPAI의 예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표 1 내지 표 5에 나타난 실시예는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다른 적절한 방법들로 전력 할당 정보의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블록(820)에서,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간 계층으로부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공간 계층 그룹이 결정된다. "공간 계층 그룹"은 MUST를 위한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총 2개의 공간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 LMI가 "01"일 때, 단말 디바이스(110)는 MUST가 계층 2에서 수행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LMI가 "10"일 때, 단말 디바이스(110)는 MUST가 계층 1에서 수행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블록(830)에서, 공간 계층 그룹 내의 각각의 공간 계층에 할당되는 계층 전력은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는 표 2 또는 표 3에 나타난 ILPAI 예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110)는 표 2 또는 표 3을 쿼리함으로써 전력 할당의 표시, ILPAI에 대응하는 전력 할당 비율 또는 전력 할당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공간 계층에 할당되는 계층 전력은 총 전력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블록(840)에서, 공간 계층 그룹 내의 각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은,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 결정된 계층 전력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는 표 5에 나타난 IUPAI의 예들을 사용하여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110)는 표 5를 쿼리함으로써 각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UE와 원거리 UE 사이의 전력 할당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블록(830)에서 각각의 공간 계층의 결정된 계층 전력에 기초하여 근거리 UE와 원거리 UE에 할당되는 계층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10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장치(10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 또는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0)는,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정보 결정 유닛(1010) -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냄 -; 및 전력 할당 정보를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에 동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유닛(102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보 결정 유닛(1010)은 하나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유닛 - 페어링 정보는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공간 계층 상에서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냄 -; 및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전력 할당 정보는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및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보 결정 유닛(1010)은 복수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페어링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 유닛 - 페어링 정보는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냄 -; 및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4 결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전력 할당 정보는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보 결정 유닛(1010)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복수의 공간 계층 모두에 대해 수행되거나 모두에 대해 수행되지 않는 경우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에 균등하게 전력을 할당하도록 구성된 제1 할당 유닛; 및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복수의 공간 계층 중 하나에서 수행되는 경우, 복수의 공간 계층 중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공간 계층에 할당된 전력보다 큰 전력을,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수행되는 공간 계층에 할당하도록 구성된 제2 할당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송신 유닛(1020)은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전력 할당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1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장치(110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 또는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1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유닛(1100) -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냄 -; 및 전력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전력 결정 유닛(112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수신 유닛(1100)은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부터 전력 할당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및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전력 결정 유닛(1120)은,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유닛; 및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의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전력 할당 표시에 기초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할당 정보는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전력 결정 유닛(1120)은,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간 계층으로부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 계층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 유닛;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에 기초하여 공간 계층 그룹 내의 각각의 공간 계층에 할당되는 계층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4 결정 유닛; 및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 결정된 계층 전력에 기초하여, 공간 계층 그룹 내의 각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5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00) 및 장치(1100)의 각각의 유닛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300 및 800)의 각각의 단계에 대응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된 동작들 및 특징들은 장치(1000), 장치(1100), 및 이들에 포함된 유닛들에도 적용할 수 있는 한편, 동일한 효과를 가지며 그 세부 사항은 여기서는 무시된다.
장치(1000) 및 장치(1100)에 포함된 유닛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닛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예를 들어 저장 매체에 저장된 머신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머신 실행 가능 명령어들에 추가하여 또는 대신에, 장치(1000) 및 장치(1100) 내의 일부 또는 전부의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로직 구성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 로직 구성요소들의 예시적인 유형들은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FPGA),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 주문형 표준 제품들(ASSP), 시스템-온-칩 시스템들(SOC), 복합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CPLD) 등을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유닛들은, 하드웨어 모듈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펌웨어 모듈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술된 흐름들, 방법들 또는 프로세스들은 기지국 또는 단말 디바이스 내의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단말 디바이스는 그것의 송신기, 수신기, 송수신기 및/또는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방법(300 내지 800)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데 적용 가능한 디바이스(12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디바이스(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40)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와 같은 단말 디바이스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200)는 제어기(1210)를 포함한다. 제어기(1210)는 디바이스(1200)의 동작들 및 기능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기(1210)는 제어기(1210)와 결합된 메모리(1220)에 저장된 명령어들(1230)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220)는 국부적인 기술적 환경에 적용 가능한 임의의 적절한 유형일 수 있고, 반도체 기반 메모리 디바이스들, 자기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광학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저장 기술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메모리 유닛만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지만, 물리적으로 상이한 복수의 메모리 유닛이 디바이스(1200)에 존재할 수 있다.
제어기(1210)는 국부적인 기술적 환경에 적용 가능한 임의의 적절한 유형일 수 있고,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뿐만 아니라, 프로세서 기반 멀티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200)는 또한 복수의 제어기(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21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250)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정보에 수신 및 송신을 초래할 수 있는 송수신기(1240)에 결합된다.
디바이스(1200)가 네트워크 디바이스(140)로서 동작할 때, 제어기(1210) 및 송수신기(124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300)을 구현하도록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어기(1210)는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내고; 송수신기(1240)는 전력 할당 정보를 동적으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에 동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기(1210)는 하나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를 결정하고 - 페어링 정보는 공간 계층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냄 -;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고, 전력 할당 정보는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및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기(1210)는 복수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페어링 정보를 결정하고 - 페어링 정보는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에서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냄 -;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고, 전력 할당 정보는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기(1210)는,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복수의 공간 계층 모두에 대해 수행되거나 모두에 대해 수행되지 않는 경우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에 균등하게 전력을 할당하고;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복수의 공간 계층 중 하나에서 수행되는 경우, 복수의 공간 계층 중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공간 계층에 할당된 전력보다 큰 전력을,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수행되는 공간 계층에 할당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수신기(1240)는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전력 할당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200)가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110)로서 동작할 때, 제어기(1210) 및 송수신기(124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600)을 구현하도록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송수신기(124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내고; 제어기(1210)는 전력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수신기(1210)는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부터 전력 할당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및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어기(1210)는,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전력 할당 표시에 기초하여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할당 정보는,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어기(1210)는,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간 계층으로부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 계층 그룹을 결정하고;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에 기초하여 공간 계층 그룹 내의 각각의 공간 계층에 할당되는 계층 전력을 결정하고;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 결정된 계층 전력에 기초하여, 공간 계층 그룹 내의 각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모든 특징은 디바이스(1200)에 적용 가능하며, 여기서는 무시된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또는 특수 목적 회로들, 소프트웨어, 로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양태들은 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태가 블록도들, 흐름도들로서, 또는 소정의 다른 그림 표현을 사용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블록들, 장치들, 시스템들, 기술들 또는 방법들은 비제한적인 예시들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목적 회로들 또는 로직, 범용 하드웨어 또는 제어기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 또는 소정의 일부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표적으로 되는 실제 또는 가상 프로세서 상의 디바이스 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들에 포함된 것들과 같은 머신 실행 가능 명령어들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 태스크들을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들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라이브러리들, 객체들, 클래스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모듈들의 기능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요구되는 대로 프로그램 모듈들 사이에 결합되거나 분할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에 대한 머신 실행 가능 명령어들은 로컬 또는 분산 디바이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 디바이스에서, 프로그램 모듈들은 로컬 및 원격 저장 매체 둘 다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제공될 수 있어,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그램 코드들은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에서 특정된 기능들/동작들이 구현되게 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머신 상에서 전체적으로, 머신 상에서 부분적으로,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부분적으로는 머신 상에서 부분적으로는 원격 머신 상에서, 또는 원격 머신 또는 서버 상에서 전체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tangible)의 매체일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 판독가능 신호 매체 또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더 구체적인 예들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갖는 전기 접속부,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휴대용 콤팩트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스토리지 디바이스,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것이다.
또한, 동작들이 특정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들을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예시된 동작들이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들에서는, 멀티 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몇몇 특정 구현의 세부사항들이 상기 논의들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대한 제한들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특정 실시예들에 특정될 수 있는 특징들의 설명들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별개의 실시예들의 맥락에서 설명된 특정 특징들은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은 또한 다수의 실시예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내용은 구조적 특징들 및/또는 방법론적 동작들에 특정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정의되는 발명의 주제가 위에서 설명된 특정 특징들 또는 동작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위에서 설명된 특정 특징들 및 동작들은 청구 범위를 구현하는 예시로서 개시된다.

Claims (22)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multiuser superposition transmission)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냄 -; 및
    상기 전력 할당 정보를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에 동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하나의 공간 계층 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페어링 정보는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공간 계층 상에서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냄 -; 및
    상기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할당 정보는: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페어링 정보, 및
    상기 공간 계층 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공간 계층 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페어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페어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에서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냄 -; 및
    상기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할당 정보는: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페어링 정보,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모두에 대해 수행되거나 모두에 대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에 균등하게 전력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중 하나에서 수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중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공간 계층에 할당된 전력보다 큰 전력을,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수행되는 공간 계층에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할당 정보를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에 동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상기 전력 할당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단말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이고, 상기 방법은: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냄 -; 및
    상기 전력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전력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의 공간 계층 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및
    상기 공간 계층 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할당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할당 정보는: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으로부터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 계층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상기 전력 할당의 상기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 계층 그룹 내의 각각의 공간 계층에 할당되는 계층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전력 할당 표시 및 결정된 계층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 계층 그룹 내의 각각의 공간 계층에서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 상기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냄 -; 및
    상기 전력 할당 정보를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에 동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하나의 공간 계층에서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를 결정하고 - 상기 페어링 정보는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공간 계층 상에서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냄 -; 및
    상기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전력 할당 정보는: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페어링 정보, 및
    상기 공간 계층 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복수의 공간 계층 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페어링 정보를 결정하고 - 상기 페어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에서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냄 -; 및
    상기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할당 정보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전력 할당 정보는: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모두에 대해 수행되거나 모두에 대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에 균등하게 전력을 할당하고; 및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중 하나에서 수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중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공간 계층에 할당된 전력보다 큰 전력을,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이 수행되는 공간 계층에 할당하도록
    더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상기 전력 할당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7. 단말 디바이스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이고,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 상기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공간 계층 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에 대한 전력 할당을 나타냄 -; 및
    상기 전력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전력 할당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 단말 디바이스.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할당 정보는:
    하나의 공간 계층 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및
    상기 공간 계층 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할당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할당 정보는: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정보,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및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전력 할당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으로부터 상기 다중 사용자 중첩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 계층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사이의 상기 전력 할당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 계층 그룹 내의 각각의 공간 계층에 할당되는 계층 전력을 결정하고; 및
    상기 복수의 공간 계층 각각의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원거리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전력 할당 표시 및 상기 결정된 계층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 계층 그룹 내의 각각의 공간 계층에서 상기 근거리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단말 디바이스.
KR1020197006592A 2016-08-09 2017-07-27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 KR102192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647599.7A CN107708196B (zh) 2016-08-09 2016-08-09 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201610647599.7 2016-08-09
PCT/IB2017/001211 WO2018029541A1 (en) 2016-08-09 2017-07-27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196A true KR20190039196A (ko) 2019-04-10
KR102192031B1 KR102192031B1 (ko) 2020-12-17

Family

ID=6004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592A KR102192031B1 (ko) 2016-08-09 2017-07-27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12518B2 (ko)
EP (1) EP3497984B8 (ko)
JP (1) JP7009446B2 (ko)
KR (1) KR102192031B1 (ko)
CN (1) CN107708196B (ko)
TW (1) TWI641274B (ko)
WO (1) WO20180295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4468B (zh) * 2018-09-27 2020-08-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功率分配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2254549A1 (ja) * 2021-05-31 2022-12-08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1134A1 (zh) * 2013-04-01 2014-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配对用户的确定方法、用户设备、基站及联合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6494B2 (ja) 2007-10-10 2013-12-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送信装置
WO2012124892A1 (ko) * 2011-03-14 2012-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장치
US9130709B2 (en) * 2012-09-12 2015-09-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inter-cell downlink interference minimization via comp
KR20150107490A (ko) * 2014-03-14 2015-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 제거 및 억제를 위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4918311B (zh) * 2014-03-14 2019-01-25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及装置
US9712272B2 (en) 2014-06-02 2017-07-18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dynamic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US10555314B2 (en) * 2014-10-07 2020-02-04 Hfi Innovation Inc. Signaling of network-assisted intra-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suppression
CN105634654B (zh) * 2014-10-27 2019-1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用户信息传输的叠加编码、解调方法及装置
JP2019024147A (ja) 2015-12-01 2019-02-14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5827376B (zh) * 2016-05-26 2019-07-16 北京邮电大学 一种进行harq反馈的方法及装置
US10299223B2 (en) * 2016-10-18 2019-05-21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power domain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1134A1 (zh) * 2013-04-01 2014-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配对用户的确定方法、用户设备、基站及联合检测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7239 *
3GPP R1-162562* *
3GPP TR36.859 v13.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08196B (zh) 2020-12-01
KR102192031B1 (ko) 2020-12-17
JP2019531625A (ja) 2019-10-31
US20210282142A1 (en) 2021-09-09
TW201811081A (zh) 2018-03-16
EP3497984A1 (en) 2019-06-19
US11412518B2 (en) 2022-08-09
EP3497984B1 (en) 2022-08-03
TWI641274B (zh) 2018-11-11
JP7009446B2 (ja) 2022-01-25
WO2018029541A1 (en) 2018-02-15
CN107708196A (zh) 2018-02-16
EP3497984B8 (en)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414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полнодуплексной взаимной помехи
EP292352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erence avoidance, channel sounding, and other signaling for multi-user full duplex transmission
US981947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terference mitigation
JP6416930B2 (ja) Dl−ul干渉の軽減
US1104474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signalling, apparatus, base station and terminal
EP3654537A1 (en) Data transmission device, method, and system
US2016015645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co-time co-frequency full duplex communications
KR101775303B1 (ko) Lte-tdd 시스템 중의 유연성 서브 프레임 유형을 확정하는 방법 및 장치
EP3075202A1 (en) A method in a network and network node for co-scheduling in a network
KR102192031B1 (ko)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
CN107708211B (zh) 用于多用户叠加传输的通信方法以及相应的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111600687A (zh) 一种降低干扰的方法及设备
KR101460329B1 (ko) 자원의 배타적 할당을 고려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US10250349B2 (en) Coordinated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wireless network
CN113852441B (zh) 一种交叉时隙干扰处理方法、基站、装置及介质
CN104581693A (zh) 通信系统中提供动态辅助信息的方法和装置
US952167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llocation of resource blocks
CN110677225B (zh) 一种上报及接收参考信号的方法和设备
KR100762280B1 (ko) 기지국의 통신 자원 할당 방법
CN110808809B (zh) 信号传输方法和设备
CN108377572B (zh) 用于多用户叠加传输(must)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