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980A - 다기능 빨래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빨래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980A
KR20190038980A KR1020170138241A KR20170138241A KR20190038980A KR 20190038980 A KR20190038980 A KR 20190038980A KR 1020170138241 A KR1020170138241 A KR 1020170138241A KR 20170138241 A KR20170138241 A KR 20170138241A KR 20190038980 A KR20190038980 A KR 20190038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drying
steam
cover me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찬
Original Assignee
김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찬 filed Critical 김영찬
Publication of KR20190038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4Collapsible drying cabinets; Wall mounted collapsible hoods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커버지지부에 의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부재를 사용하여 빨래건조공간을 확보하고 그 빨래건조공간 내에서 송풍(자연풍)이나 온풍에 의해 보다 효과적인 급속건조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필요한 경우 고온의 스팀을 선택적으로 가해줌으로써 건조대상의 빨래(또는 의류)의 구겨짐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된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기능 빨래건조장치는 빨래건조공간을 정의하는 커버부재가 소정의 형태를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커버부재지지부와,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정의된 건조공간 내에 위치되어 다수의 빨래걸이봉이 구비된 빨래건조부, 그 빨래건조부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면서 그 빨래건조부에 대한 정/역회전작용을 전달하는 수직연설프레임부, 그 수직연설프레임부의 하단이 착탈결합되면서 송풍부와 스팀발생부 및 상기 빨래건조부의 정/역회전작용을 발생하는 전동모터를 구비한 본체 및, 그 본체 내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와 상기 스탬발생부 및 상기 전동모터의 동작을 설정 및 실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소자를 갖춘 제어유니트를 포함하게 된다.

Description

다기능 빨래건조장치{MULTIFUNCTIONAL LAUNDRY DRY APPARATUS}
본 발명은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빨래의 건조 여부에 따라 조립/분해가 가능하면서, 커버부재 내의 빨래건조공간에 널어둔 빨래에 선택적으로 송풍(자연풍)이나 온풍을 공급하여 건조시간을 단축시키거나 고온의 스팀을 가해줌으로써 건조대상의 빨래(또는 의류)의 구김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빨래를 정/역회전 또는 수평방향으로 왕복시켜 송풍이나 온풍에 의한 건조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거나 스팀에 의한 구김완화효과가 증진되도록 하기 위한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빨래를 건조시키기 위한 빨래건조장치는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과 실내의 바닥면에 거치시키는 스탠드형식으로 대별되는 바, 최근에 천장설치형 및 스탠드형식 빨래건조장치에 대해서는 빨래가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 및 방안이 제안되는 추세이다.
그 일예로서, 실용신안등록 공고번호 제 1990-0006634호(공고일 : 1990.07. 26)에는 건조기 자체를 캐비넷으로 구성하여 세탁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사례의 방지와 세탁물이 건조시킬 때 세탁물이 건조기 내부에 수납된 상태가 되게 하여 실내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환기가 있는 난로를 이용하더라도 세탁물을 태우거나 하는 사례가 방지되므로 안심하고 세탁물을 건조시킬수 있도록 빨래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한 빨래건조기에 따르면 함체의 전면에는 문이 설치되고 저부에는 고정망판을 부착하여 저부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구성하며 상부의 흡기실에 흡입팬을 설치하여 함체 내부로 기류를 흡입하여 흡기실 전방에 다수 격설된 기류 배출 안내판으로 기류를 배출토록 하고, 함체 내부의 양측벽에 돌설한 하부지지돌턱 또는 상부지지돌턱을 선택하여 착탈식 망판을 착설토록하며, 일측 내측벽에 유착한 다수개의 측방횡봉을 타측 내측벽에 부착시킨 다수의 걸림구에 수평하게 걸어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후측 내벽에는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설치할 수 있는 후방종봉을 다수 유착하되, 상기 측방횡봉과 후방종봉을 선택하여 수평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현가고리 또는 걸이공를 선택하여 천정이나 벽면에 걸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빨래건조기의 경우는 함체에 의해 세탁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건조대 주위가 산만해 실내가 어수선한 느낌을 주는 종래의 빨래건조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고, 외부의 바람에 의해 빨래가 떨어지거나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는 있지만, 상기 함체가 항시 정형화된 상태로 벽면이나 천장면에 걸어둔 채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점유공간 상의 불리함을 초래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 20-0393840호(등록일 : 2005. 08. 30)에는 외부와 내부공간이 구분되도록 하며, 내부공간에는 가열된 건조 열풍을 공급하여 내부에 널려지는 빨래의 건조효율을 향상하도록 하는 빨래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 빨래건조기는 소정 높이의 다리에 의해 지지되며, 다량의 빨래를 걸쳐 널수 있도록 하는 건조대와; 상기 건조대에 의하여 빨래가 널려지는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분하도록 상기 건조대의 외측에 씌워져 설치되는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의 공기를 순환 및 가열시켜 내부 공기온도를 상승시켜 공기중의 포화수증기량이 증가되도록 하여 증발작용을 가속화시키도록 하는 열풍장치를 갖추게 된다.
상기 열풍장치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여 청결하게 하는 다중 구조의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회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팬을 통과한 공기를 순간적으로 가열시켜 열풍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히터로 구성된다.
또, 상기 차단막은 통기성이 있는 직물재로 구성되거나, 통기성이 없는 비닐재로 구성하되 하단에는 통기성을 갖도록 소정 간격의 공기유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막의 측면부에는 규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재가 구비되며, 그 조절부재는 양측단부를 상호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지퍼로 구성된다.
상기의 빨래건조기는 빨래의 건조효율을 향상하여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하되 빨래의 구김이 없도록 하며, 특히 빨래의 건조과정에서 오염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기 내부의 공기를 여과하여 깨끗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보다 청결하게 빨래를 건조하도록 할 수 있지만, 상기 건조대는 통상의 절첩식의 형태로서, 그 절첩식 건조대를 전체적으로 펼친 상태에서 차단막을 덮어씌우고 그 내측에 열풍장치를 위치시켜 빨래를 건조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제 빨래를 건조시키는 경우 실내에서 상당한 점유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빨래의 건조 여부에 따라 조립/분해가 가능한 구조이면서, 커버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빨래건조공간 내에 빨래를 널고서 송풍(자연풍)이나 온풍을 공급하여 건조시간을 단축시키거나, 고온의 스팀을 선택적으로 가해줌으로써 건조대상의 빨래(또는 의류)의 구김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빨래를 정/역회전 또는 수평방향으로 왕복시켜 송풍이나 온풍에 의한 건조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거나 스팀에 의한 구김완화효과가 증진되도록 한 다기능 빨래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조대상의 빨래의 건조공간을 정의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소정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커버부재지지부,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정의된 건조공간 내에 위치되어 다수의 빨래걸이봉이 구비된 빨래건조부, 상기 빨래건조부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면서 그 빨래건조부에 대한 정/역회전작용을 전달하는 연설프레임부, 상기 연설프레임부의 하단이 착탈결합되면서 송풍부와 스팀발생부 및 상기 빨래건조부의 정/역회전작용을 발생하는 전동모터를 구비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와 상기 스탬발생부 및 상기 전동모터의 동작을 설정 및 실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소자를 갖춘 제어유니트를 포함하는 다기능 빨래건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스팀발생부는 그 상면에 다수의 스팀배출공이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스팀발생을 위한 가열판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스팀발생부가 착탈식으로 안착되는 스팀발생부안착요부가 형성되고, 그 스팀발생부안착요부에는 상기 가열판에 작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DC전원단자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다.
상기 본체에는 다수의 받침부재가 제공되고, 각 받침부재의 종단에는 그 상측에 상기 커버지지부의 대응하는 수직프레임의 하단이 수납되는 프레임수납요부가 형성되며, 그 하측에는 회동자유도의 바퀴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과 온풍을 출력하는 송풍부와 고온의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부 및 송풍/온풍과 스팀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패널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가 중앙에 설치되고 그 양측에는 각 종단에 형성된 커버지지프레임착탈구와,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가 대응되게 수용된 건조대작동요부를 갖춘 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을 갖춘 본체부, 상기 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의 건조대작용요부에 상호 대향되게 위치된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를 연결하는 안내구연결봉에 실린더축이 연결된 전동식 파워실린더, 상기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에 각 하단이 착탈되어 상기 파워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고 상측에는 다수의 빨래걸이봉이 형성된 빨래건조대, 상기 커버지지프레임착탈구에 각 하단이 착탈되는 커버부재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재지지부에 씌워져서 상기 빨래건조를 위한 공간을 정의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다기능 빨래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의 상기 건조대작동요부는 상기의 각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의 선단이 노출되도록 수용되고 각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의 수평왕복운동이 안내되는 장공이 형성된 요부커버에 의해 커버링된다.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의 건조대작동요부에 수용된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의 사이에는 안내구연결봉이 연결되고, 상기 제 2베이스프레임의 건조대작동요부에 수용된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의 사이에도 안내구연결봉이 연결되며, 상기 안내구연결봉의 소정 위치에는 리니어부싱이 개재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본체에 대해 커버부재에 의해 빨래건조공간을 확보하고 그 공간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빨래걸이봉에 건조대상의 빨래를 널어두고 송풍(또는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빨래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송풍(또는 온풍)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건조대상의 빨래를 정/역회전시키거나 수평방향으로 왕복시킴으로써 상기 송풍(또는 온풍)에 대한 접촉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건조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빨래걸이봉에 건조대상의 빨래 또는 건조된 의류를 걸어놓고서 고온의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빨래(또는 의류)의 구겨짐을 완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지지부, 상기 연설봉체 및 상기 빨래걸이봉을 포함하는 빨래건조부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조립/분해가 가능하게 되어 보관 시에도 공간 상의 최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에 구비되는 본체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체에서 빨래의 정/역회전작용을 위한 전동모터와 수직연설프레임체의 하단(또는 최하위 프레임체)의 결합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동모터와 수직연설프레임체의 하단(또는 최하위 프레임체)의 결합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과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본체의 내측에 설치된 송풍팬과 히터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본체에 착탈되는 스팀발생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빨래건조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의 본체에 구비되는 제어유니트의 기능블록구성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의 본체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에 구성되는 본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베이스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7은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장치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의 조립측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를 구성하는 본체로서, 그 본체(10)는 예컨대 전면에 빨래의 급속건조를 위한 송풍/온풍기능과, 빨래에 대해 정/역회전을 가하여 상기 송풍(온풍)에 의한 건조기능을 더욱 촉진시키기 위한 회전기능, 빨래(또는 건조된 의류)의 구김을 완화시키기 위한 고온스팀기능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스팀기능의 선택과 실행을 포함하게 된다.
도 1에서, 30은 상기 본체(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향 연설되면서, 건조대상의 빨래가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수직연설프레임부로서, 그 수직연설프레임부(30)는 일정한 길이의 단일 또는 상호 착탈식의 다수개의 프레임체(즉, 30a,--,30n)로 구성되는 바, 그 수직연설프레임부(30)가 착탈식의 다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각 프레임체(30a,--,30n)는 상호 인접하는 프레임체(예컨대, 30a)의 하단이 반구형 또는 다각형으로 가공되고, 그 프레임체(30a)에 결합되는 다른 프레임체(예컨대, 30b)의 상단은 그 프레임체(30a)의 반구형 또는 다각형 하단이 수용되도록 대응하는 형태로 가공되면 바람직하게 된다.
또, 도 1에서 40은 건조대상의 빨래를 널기 위한 빨래건조부로서, 그 중앙에는 상기 수직연설프레임부(30)의 상단에 결합되는 빨래걸이봉결합구(42)가 구비되고, 그 빨래걸이봉결합구(42)의 외주에는 다수의 빨래걸이봉(44)이 제공되는 바, 그 빨래걸이봉(44)에는 직접 건조대상의 빨래를 널어두거나 옷걸이를 사용하여 빨래를 걸어두어도 된다.
도 1에서, 50은 상기 빨래걸이봉결합구(42)에 제공된 상기 빨래걸이봉(44)이 회전가능하게 수납되는 치수를 갖는 커버지지부로서, 그 커버지지부(50)의 중앙에 구비된 프레임결합구(52)에는 횡방향으로 연설되는 다수의 커버지지프레임(54)이 제공되고, 각 커버지지프레임(54)과 상기 본체(10)의 사이에는 각기 단일의 수직프레임(56)(또는 상호 착탈구조의 다수의 수직프레임(56a~56n))이 제공된다.
여기서, 각 수직프레임(56)이 착탈구조로 다수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하로 인접되는 수직프레임(56a,---,56n)에 대해서는 상기 프레임체(30a,---,30n)의 결합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결합구조가 적용되면 된다.
도면에서, 60은 상기 커버지지부(50)에 착탈가능하게 제공되어 빨래건조공간을 정의하는 커버부재로서, 그 커버부재(60)는 상기 빨래걸이봉(44)에 널리는 빨래(또는 의류)에 가해지는 송풍/온풍 또는 스팀이 외부로 발산되는 일을 억제시키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6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재질로 한정되지는 않고 예컨대 부직포 등의 다른 재질로 제조되어도 된다.
또, 그 커버부재(60)에 대해서는 상기 커버지지부(50)에 대한 착탈이라든지 상기 빨래걸이봉(44)에 빨래를 널거나 걷기에 용이하도록 그 상측에 환형으로 제 1의 지퍼(62)가 형성됨과 더불어 수직방향으로도 제 2의 지퍼(64)가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지지부(50)의 프레임결합구(52)에서 횡방향으로 연설되는 각 커버지지프레임(54)의 종단에는 상기 수직프레임(56)(또는 최상위 수직프레임(예컨대, 56a))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체결합요부(54a)가 일체로 제공되어 대응하는 최상위 수직프레임(56a)의 상단(58a)이 결합된다.
그리고,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의 4면에는 절첩식의 받침부재(22)가 제공되고, 각 받침부재(22)의 종단에는 그 상측에 상기 커버지지부(50)의 대응하는 수직프레임(56)(또는 최하위 수직프레임(예컨대, 56n))의 하단(58b)이 수납되는 프레임수납요부(24)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각 받침부재(22)의 절첩작용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해당하는 빨래건조장치의 편리한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회동자유도를 갖는 바퀴(26)가 설치된다.
도 1과 도 2에서, 상기 빨래걸이봉결합구(42)의 상단 중앙에는 예컨대 반원형 요부(42a)를 형성해주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결합구(52)의 하측면에는 상기 빨래걸이봉결합구(42)의 반원형 요부(42a)에 접면되는 회동지지구(球)(52a)가 구지지부재(52b)에 지지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회동지지구(52a)는 해당하는 발래건조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반원형 요부(42a)에 접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직연설프레임부(30)에 의해 상기 빨래걸이봉결합구(42)가 정/역회전되는 경우 그 회전운동이 좀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지해주게 된다.
또,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재(60)의 하단에는 상기 본체(10)의 각 측면에 착탈가능한 벨크로테이프(68)가 제공되는 바, 그 벨크로테이프(68)는 상기 본체(10)의 대응하는 각 면에 부착된 벨크로테이프(도시는 생략)에 대해 착탈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60)의 내측에 공급되는 온풍이라든지 스팀이 하측으로 유출되는 일을 최대한 억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재(60)의 하단에 제공되는 상기 벨크로테이프(68)의 경우는 해당하는 빨래건조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감싸지도록 하는 탄성밴드를 포함하여 다른 적정한 구성 또는 구조로 변경해도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의 전체적인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설정버튼(예컨대, 송풍, 온풍, 회전, 스팀)(14a)과 그 다수의 기능설정버튼에 의해 설정된 현재의 기능에 따른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14b)를 구비한 제어패널(14)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패널(14)에는 상기 본체(10)에 대한 원격적인 기능의 설정을 위한 리모콘(도 1에서 28)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신호수신창도 제공된다
또, 상기 본체(10)의 대체로 중앙에는 상기 프레임체(30;30n)의 하단부분의 회전작용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회동지지부재(12)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송풍(온풍)의 출력을 위한 송풍/온풍부(16)가 배치되며, 그 타측에는 건조대상의 빨래 또는 의류의 구김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고온의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발생부(18)가 착탈식으로 배치되는 스팀발생부안착요부(10A)가 형성된다.
상기 스팀발생부안착요부(10A)에 착탈되는 스팀발생부(18)에는 스팀용수가 저수되고 그 바닥면에는 가열판이 예컨대 인서트성형 등의 방식으로 설치되고, 그 가열판에 대응하는 상기 스팀발생부안착요부(18)의 바닥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가열판의 작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환 DC전원단자(20a,20b)가 설치되어, 상기 스팀발생부안착요부(10A)에 상기 스팀발생부(18)가 안착되면 그 바닥면의 가열판에 DC전원이 인가되어 고온의 스팀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부(18)의 상측에는 스팀용수의 급수라든지 내부의 청소를 위한 개폐구(18a)와, 그 스팀발생부(18)의 탈착을 위한 손잡이(18b)도 갖추어지면서, 고온의 스팀이 배출되는 다수의 스팀배출구(18c)가 형성된다.
도 4는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체(30)의 정/역회전을 위한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즉,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동모터(70)가 예컨대 직립형태로 배치되고, 그 전동모터(70)의 축(70a)에는 상기 프레임체(30)의 하단(또는 최하위 프레임체(30n))의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본체(10)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수직프레임회동지지부재(12)의 내측에는 상기 프레임체(30)(또는 최하위 연결봉체(30n))의 원활한 정/역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부재(72)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동모터(7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착탈가능한 구조로는 상기 프레임체(30)(또는 최하위 연결봉체(30n))의 하단을 반구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전동모터(70)의 축(70a)에 대해서도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하면 되는 바, 본 발명의 그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프레임체(30; 또는 최하위 프레임체(30n))의 하단과 상기 전동모터(70)의 축(70a)이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로의 변형도 가능하게 된다.
즉,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기 프레임체(30)의 정/역회전을 위한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체(30)(또는 최하위 프레임체(30n))의 하단에는 나사(31)가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프레임회동지지부재(12)의 내측에 설치된 상기 베어링부재(72)에 의해 정/역회전이 지지되면서 상기 전동모터(70)의 축(70a)에 결합된 프레임체착탈부재(33)의 내주면에도 나사형상부(33a)가 형성되며, 그에 따라 상기 프레임체착탈부재(33)에 대해 상기 프레임체(30)(또는 최하위 프레임체(30n))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상기 수직연설프레임부(30)(또는 최하위 프레임체(30n))의 착탈구조는 상기 나사(31)와 상기 프레임체착탈부재(33)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나사형상부(33a)의 결합을 위한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된다.
도 6과 도 7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송풍부(16)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부에는 건조를 위한 송풍팬(80)과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82)가 배치되는 바, 그 송풍팬(80)과 히터(82)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편(84)에 의해 예컨대 적층형태로 설치된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본체에 착탈되는 스팀발생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이다.
상기 스팀발생부(18)는 그 상측에 스팀용수의 공급을 위한 개폐구(18a)가 구비되는 바, 그 개폐구(18a)는 내부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적정한 크기로 형성해주면 바람직하게 된다.
또, 상기 스팀발생부(18)의 양측에는 상기 손잡이(18b)가 갖추어짐과 더불어 그 상면에는 스팀배출을 위한 다수의 스팀배출구(18c)도 형성되고, 그 내부의 스팀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기 위해 그 저면에는 가열판(18d)이 예컨대 인서트성형에 의해 제공되는 바, 그 가열판(18d)의 저면은 상기 본체(10)의 스팀발생부안착요부(10A)의 바닥면에 형성된 DC전원단자(20a,20b)에 접촉되어 스팀용수를 가열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팀용수의 가열을 위한 구조는 상기의 가열판(18d)의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고 다른 형태로의 변형 적용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팀발생부(18)의 상기 가열판(18d)에 의한 가열온도를 검출하여 과열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온도검출센서(도시는 생략)가 상기 스팀발생부(18) 내의 소정 위치에 제공하면 바람직하게 된다.
도 9는 상기 빨래걸이봉결합구(42)와 상기 빨래걸이봉(44)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으로, 상기 결합구(42)의 주변에는 다수의 수납요홈(42a)이 형성되고, 각 수납요홈(42a)에 각 빨래걸이봉(44)이 개별적으로 수납되어 각 수납요홈(4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끼워지는 회동결합핀(도시는 생략)에 의해 도면의 상측으로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빨래걸이봉(44)은 각 수납요홈(42)을 정의하는 저면(42b)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의 기능블록도이다.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제어유니트(100)에 따르면 상기 제어패널(14)에는 건조대상의 빨래에 대한 송풍운전을 위해 상기 송풍팬(80)을 작동시키기 위한 '송풍'버튼(102)과, 상기 송풍팬(80)이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히터(82)를 작동시켜 온풍이 빨래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온풍'버튼(104), 상기 빨래(또는 의류)의 구김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스팀발생부(18)에서 고온의 스팀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스팀'버튼(106), 상기 송풍/온풍운전 시 또는 상기 스팀발생 시에 상기 전동모터(70)를 구동시켜 상기 수직연설프레임부(30)의 각 프레임체(30;30a,---,30n)를 정/역회전시켜주기 위한 '회전'버튼(108)을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리모콘(28)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신호수신창(110)을 갖추게 되고, 상기 리모콘(28)에도 상기 제어패널(14)과 유사하게 송풍기능, 온풍기능, 스팀기능, 회전기능의 설정이 갖추어지게 된다.
상기 표시패널(14) 또는 상기 리모콘(28)에서 설정되는 특정의 기능에 대한 제어신호는 제어부(112)에 연결되는 바, 그 제어부(112)는 상기 표시패널(14) 또는 상기 리모콘(28)에 의해 설정되는 특정의 기능에 따라 해당하는 빨래건조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12)에는 상기 전동모터(7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부(114)와, 상기 송풍팬(80)을 작동시키기 위한 송풍팬구동부(116), 상기 히터(82)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히터구동부(118), 상기 스팀발생부(18)의 가열판(18d)을 가열시켜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스팀발생구동부(120)가 연계된다.
또, 상기 스팀발생부(18)에 스팀온도검출센서(122)가 구비되는 경우 그 스팀온도검출센서(122)는 상기 가열판(18d)에 의한 스팀가열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12)에 인가하여 그 제어부(112)에 대해 설정되는 스팀온도에 비해 높게 일정 시간 이상 가열되는 경우 상기 가열판(18d)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112)에 대해서는 상기 제어패널(14)에 제공되어 현재의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상기 표시판(14a)도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는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빨래걸이봉(44)에 건조대상의 빨래를 널고서 상기 제어패널(14)에서 예컨대 '송풍'버튼(102)이 조작되거나 상기 리모콘(28)에서 송풍기능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송풍팬구동부(116)에 의해 상기 송풍팬(80)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건조대상의 빨래의 건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패널(14)의 온풍버튼(104) 또는 상기 리모콘(28)에서 온풍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히터구동부(118)에 의해 상기히터(82)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송풍팬(80)에 의해 상기 히터(82)로부터의 열기를 포함하는 바람이 송풍되도록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건조대상의 빨래에 대한 급속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송풍작동 중 또는 상기 온풍작동 중에 상기 제어부패널(14)에서 상기 회전버튼(106) 또는 상기 리모콘(28)에서 회전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전동모터구동부(114)에 의해 상기 전동모터(70)가 어느 일방향으로 저속회전되도록 하거나 정/역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건조대상의 빨래에 대한 건조가 더욱 효과적으로 실행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송풍작동 또는 온풍작동 및/또는 상기 회전작동이 행해짐으로써 건조되는 빨래에 대해 상기 제어패널(14)의 스팀버튼(108) 또는 상기 리모콘(28)에서 스팀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스팀발생구동부(120)를 통해 상기 스팀발생부(18)의 상기 가열판(18d)에 상기 DC전원단자(20a,20b)를 통해 DC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열판(18d)에 의해 상기 스팀발생부(18)에 저장된 스팀용수가 가열되어 상기 스팀배출구(18c)를 통해 고온의 스팀이 배출됨으로써 상기 빨래의 구김이 완화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빨래건조봉(또는 옷걸이봉)(44)에 건조된 의류를 걸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스팀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에도 그 의류의 구김이 완화될 수 있게 된다.
그러한 스팀작동 중에 상기 스팀온도검출센서(122)에 의해 상기 스팀작동온도가 상기 제어부(112)에 인가되면 그 제어부(112)는 상기 스팀온도가 과열된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팀발생구동부(120)를 비활성화시켜 상기 가열판(18d)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과열상태를 해소시키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의 본체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서 상기 송풍부(16)의 송풍면적과 상기 스팁발생부(18)의 스팀발생면적이 더욱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송풍(온풍)에 의한 건조효율과 스팀에 의한 구김완화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의 본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한 예에서는 상기 송풍부(16)와 상기 스팀발생부(18)가 각기 단독으로 구성된 경우이지만, 도 11의 예에서는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송풍부(16A,16B)가 설치되고, 각 송풍부(16A,16B)의 내측에 상기 스팀발생부(18)가 이원화된 스팁발생부(18A,18B)로 제공되고, 도 12의 예에서는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스팀발생부(18A,18B)가 설치되고, 각 스팀발생부(18A,18B)의 내측에 상기 송풍부(16A,16B)가 제공되며, 그러한 송풍부/스팀발생부의 이원화 구성의 경우에는 빨래의 건조시간이 더욱 단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이원화된 스팀발생부(18A,18B)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연결호스(19)를 매개하여 스팀다리미(19A)가 착탈가능하도록 제공함이 가능하게 되는 바, 그 경우에는 상기 제어패널(14)상에 스팀다리미(19A)의 작동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추가함으로써 그 버튼의 선택 시에 상기 제어부(112)가 해당하는 스팀발생부(예컨대 18A)의 작동이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스팀다리미에 의한 의류의 다림질이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예에서는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받침부재(22)가 외부에서 절첩되도록 하는 구성이 적용되었지만, 그 받침부재(22)에 대해서는 상기 본체(10)에 대해 출입되는 형태로 변경해도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에 구성되는 본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6은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베이스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즉,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부(200)는 일정한 너비의 베이스부재(202) 상에 상기한 일실시예의 본체(10)에 대응하는 본체(204)가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그 본체(204)에 대해서는 상정되는 상기의 기능(송풍/온풍기능, 스팀기능 및/또는 스팀다리미기능)을 원격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리모콘(204a)도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건조대상의 빨래가 정/역 회전되는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조대상의 빨래가 수평방향에서 일정한 구간에 걸쳐 왕복되도록 하는 구성이 상정된다.
상기 본체부(200)의 상기 베이스부재(202)의 양측에는 일정한 길이의 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206A,206B)이 일체로 결합되고, 그 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206A,206B)의 각 종단에는 후술되는 커버지지프레임의 하단이 착탈되는 커버지지프레임착탈구(208)가 형성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206A,206B)에서 상기 각각의 커버지지프레임착탈구(208)의 내측에는 일정한 구간에 걸쳐 후술하는 빨래건조부의 빨래건조대가 수평적으로 왕복하는 건조대작동요부(210)가 형성되며, 각 건조대작동요부(210)에는 상기 빨래건조대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212;212a,212b,212c,212d)가 대응하여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의 각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212;212a,212b,212c,212d)의 하측에는 수평왕복운동을 원활하게 행하도록 소형의 휠(Wheel) 또는 볼(ball)(도 16에서 213)이 결합되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각각의 건조대작동요부(210)에 대해서는 상기의 대응하는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212;212a,212b,212c,212d)이 선단이 상측으로 노출되게 수용되는 장공(214)을 갖춘 요부커버(214)에 의해 커버링되는 바, 각 요부커버(214)는 상기 건조대작동요부(210)를 커버링한 상태로 상기 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206A,206B)에 예컨대 나사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장공(214)이 각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212;212a,212b,212c,212d)의 수평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기능도 갖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206A,206B)에 제공된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212a,212b)의 사이에는 안내구연결봉(216)이 연결되고, 그 안내구연결봉(216)에는 전동식 파워실린더(218)의 실린더축(28a)의 선단이 연결된다(도 15 참조).
그리고,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206A)에 제공되는 상기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212a,212c)의 사이에는 왕복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 1작동안내봉(220a)이 제공되고, 상기 제 2베이스프레임(206B)에 제공되는 상기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212b,212d)의 사이에는 제 2작동안내봉(220b)이 제공되며, 상기 제 1 및 제 2작동안내봉(220a,220b)의 사이에는 각 작동안내봉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내면에 다수의 강구(鋼球)가 다수열로 횡방향배치된 리니어부싱(Linear ushing)(또는 가이드 부시)(220a,220b)이 제공된다.
또, 도면에서 250으로 표시된 빨래건조대는 상측에 다수의 빨래건조봉(252)이 횡설되고, 그 빨래건조대를 형성하는 4-프레임(254)의 각 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206A,206B)에 제공된 상기 각각의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212;212a,212b,212c,212d)에 착탈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서 270으로 표시된 커버부재지지부(270)를 형성하는 커버지지프레임(272)의 각 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206A,206B)의 각 커버지지프레임착탈구(208)에 대응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에서 280의 커버부재는 상기 커버지지프레임착탈구(208)에 씌워져 내측에 빨래건조공간을 정의하게 되고, 그 상면에는 도 1에 도시된 커버부재(60)와 동일하게 다수의 배기공(도시는 생략)이 형성되어도 되며, 그 하측에는 상기 커버부재(60)와 유사하게 상기 제 1 및 제 2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206A,206B)의 측면에 착탈되는 벨크로테이프(도시는 생략)가 갖추어져도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4)의 경우는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송풍/온풍기능, 스팀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버튼이라든지 현재의 작동조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를 갖춘 제어패널(290)과, 송풍/온풍을 위한 송풍부(292) 및 스팀기능을 위한 스팀발생부(294)도 갖추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패널(14; 특히 도 10 참조)에 회전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회전버튼(108)과 그 회전버튼(108)에 의해 회전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12)에 의해 활성화되는 전동모터구동부(118) 및 상기 건조대상의 빨래를 정/역회전시키는 전동모터(70)가 연계되는 구성이 적용되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패널(14)에는 상기 회전버튼(108)을 대신하여 상기 빨래건조대(250)이 수평왕복운동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 제공되고, 그 버튼에 의해 수평왕복운동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2)에 의해 활성되어 상기 전동식 파워실린더(218)를 구동하는 실린더구동부가 상기 전동모터구동부(118)를 대신하여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식 파워실린더(218)의 경우에는 최대작동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가 내재된 형식이면 바람직하지만, 상기 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206A,206B)의 각 건조대작동요부(210)의 최외측(또는 최내측)에 상기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212;212a,212b,212c,212d)가 도달되는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12)에 제공하는 예컨대 포토커플러 등의 리미트센서를 설치해도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빨래건조장치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에 상기 빨래건조대(250)가 결합되고나서 상기 커버부재지지부(270)와 상기 커버부재(28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280)의 제 1 및/또는 제 2지퍼(282,284)를 개방시켜 상기 빨래건조대(250)의 빨래건조봉(252)에 직접 또는 옷걸이를 사용하여 건조대상의 빨래를 널고서 상기 개방된 제 1 및/또는 제 2지퍼(282,284)를 닫고서 상기 본체(204)의 제어패널에 갖추어진 송풍/온풍 및/또는 스팀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상기한 실시에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4)의 제어패널 또는 상기 리모콘(204a)에서 수평왕복작동을 위한 기능의 버튼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2)는 실린더구동부를 통해 상기 파워실린더(218)의 실린더축(218a)이 전진되도록 하거나 후진되도록 하게 되고, 그에 따라 그 실린더축(218a)에 연결된 상기 안내구연결봉(216)이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면서 그 안내구연결봉(216)이 연결된 상기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212a,212b)도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며, 그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212a,212b)에 대해 상기 제 1 및 제 2작동안내봉(220a,220b)을 매개하여 연계되는 상기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212c,212d)도 연동하게 된다(도 18 및 도 20 참조).
따라서, 상기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212;212a,212b,212c,212d)에 각 하단이 대응적으로 결합된 상기 빨래건조대(250)가 전체적으로 도 19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4)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에서 왕복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본체(2040의 송풍부(292)로부터의 송풍 또는 온풍이나 상기 스팀발생부(294)로부터의 고온의 스팀에 대해 효과적으로 노출됨으로써 빨래의 건조시간의 단축이라든지 구김의 완화효과가 달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의 도 12와 도 13에 예시된 형태로 상기 송풍부(292)와 상기 스팀발생부(294)를 이원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팀발생부(294)가 이원화되는 경우 그 중 하나의 스팀발생부에 대해서는 스팀다리미를 착탈식으로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빨래건조대(250)와 상기 커버부재지지부(270)에 대해서도 상하 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X'-링크를 적용하거나 상기한 실시예에서 적용한 착탈가능한 프레임구조를 적용하면 조립/분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발생부(18, 18A,18B; 294)에 대해서는 별개의 안착검출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스팀발생부가 상기 스팀발생부안착요부에 안착된 상태가 검출되어 상기 제어부(112)에 제공되는 경우에만 상기 DC전원단자(20a20b)를 통해 작동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스팀온도검출센서(122)에 의해 검출되는 스팀용수의 온도가 소정온도(예컨대 20℃)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스팀발생부(18)가 탈거되는 경우에는 고온에 의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에 대한 경보가 발생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파워실린더와 상기 안내구연결봉의 구조를 대신하여 전동모터를 적용하고 그 전동모터의 축에 구동기어를 적용하고 상기 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에 설정되는 수평왕복구간에 복수의 종동기어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사이에 체인 또는 와이어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변경해도 되고, 상기 전동모터의 축과 상기 안내구연결봉을 기어방식으로 연계시킴과 더불어 그 안내구연결봉의 양측에 결합되는 상기 건조대작동안내구의 저면에 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건조대작동요부의 바닥면에 기어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변경해도 된다.
또,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빨래건조대와 상기 커버부재지지부의 경우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 처럼 절첩구조를 적용하면 보관 상 편리함이 도모될 수 있다.
10: 본체, 14: 제어패널,
16: 송풍부, 18: 스팀발생부,
28: 리모콘, 30; 수직연설프레임부,
70: 전동모터, 112: 제어부,
200: 본체부, 204: 본체,
206A,206B: 제 1, 제 2베이스프레임, 218: 전동식 파워실린더.

Claims (5)

  1. 건조대상의 빨래의 건조공간을 정의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소정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커버부재지지부,
    상기 커버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정의된 건조공간 내에 위치되어 다수의 빨래걸이봉이 구비된 빨래건조부,
    상기 빨래건조부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면서 그 빨래건조부에 대한 정/역회전작용을 전달하는 연설프레임부,
    상기 연설프레임부의 하단이 착탈결합되면서 송풍부와 스팀발생부 및 상기 빨래건조부의 정/역회전작용을 발생하는 전동모터를 구비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와 상기 스팀발생부 및 상기 전동모터의 동작을 설정 및 실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소자를 갖춘 제어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빨래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부는 그 상면에 다수의 스팀배출공이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스팀발생을 위한 가열판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스팀발생부가 착탈식으로 안착되는 스팀발생부안착요부가 형성되고, 그 스팀발생부안착요부에는 상기 가열판에 작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DC전원단자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빨래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다수의 받침부재가 제공되고, 각 받침부재의 종단에는 그 상측에 상기 커버지지부의 대응하는 수직프레임의 하단이 수납되는 프레임수납요부가 형성되며, 그 하측에는 회동자유도의 바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빨래건조장치.
  4. 송풍과 온풍을 출력하는 송풍부와 고온의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부 및 송풍/온풍과 스팀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패널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가 중앙에 설치되고 그 양측에는 각 종단에 형성된 커버지지프레임착탈구와,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가 대응되게 수용된 건조대작동요부를 갖춘 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을 갖춘 본체부,
    상기 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의 건조대작용요부에 상호 대향되게 위치된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를 연결하는 안내구연결봉에 실린더축이 연결된 전동식 파워실린더,
    상기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에 각 하단이 착탈되어 상기 파워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고 상측에는 다수의 빨래걸이봉이 형성된 빨래건조대,
    상기 커버지지프레임착탈구에 각 하단이 착탈되는 커버부재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재지지부에 씌워져서 상기 빨래건조를 위한 공간을 정의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빨래건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베이스프레임의 상기 건조대작동요부는 상기의 각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의 선단이 노출되도록 수용되고 각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의 수평왕복운동이 안내되는 장공이 형성된 요부커버에 의해 커버링되고,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의 건조대작동요부에 수용된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의 사이에는 안내구연결봉이 연결되고, 상기 제 2베이스프레임의 건조대작동요부에 수용된 건조대수평작동안내구의 사이에도 안내구연결봉이 연결되며,
    상기 안내구연결봉의 소정 위치에는 리니어부싱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빨래건조장치.


KR1020170138241A 2017-10-02 2017-10-24 다기능 빨래건조장치 KR201900389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28510 2017-10-02
KR1020170128510 2017-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980A true KR20190038980A (ko) 2019-04-10

Family

ID=6616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241A KR20190038980A (ko) 2017-10-02 2017-10-24 다기능 빨래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89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6377A (zh) * 2022-06-21 2022-09-13 瑞金市雨叶户外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学生用雨衣晾干架
EP4134483A1 (en) * 2021-08-13 2023-02-15 Tsann Kuen (Zhangzhou) Enterprise Co., Ltd. Clothing care mach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34483A1 (en) * 2021-08-13 2023-02-15 Tsann Kuen (Zhangzhou) Enterprise Co., Ltd. Clothing care machine
CN115046377A (zh) * 2022-06-21 2022-09-13 瑞金市雨叶户外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学生用雨衣晾干架
CN115046377B (zh) * 2022-06-21 2023-08-18 瑞金市雨叶户外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学生用雨衣晾干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5496B2 (en) Air-flow dryer and method
JP2021191468A (ja) 衣類処理装置
KR101954032B1 (ko) 의류 세정관리 장치
JP5684772B2 (ja) 衣類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A2664491C (en) Laundry machine
JP6656254B2 (ja) 芳香器具及びこれを含む衣類処理装置
EP4123082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US20210040675A1 (en)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EP2113596B1 (en) Laundry machine
KR20130093153A (ko) 강제 대류 의복 걸이 건조기
US11553822B2 (en)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KR101265622B1 (ko) 페데스탈 건조기
JP5658215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965064B1 (ko) 안전모를 포함한 모자의 살균/건조/탈취장치
US20230145586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090114785A (ko) 히터부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190038980A (ko) 다기능 빨래건조장치
KR20090105322A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EP2113604B1 (en) Laundry machine
US11578919B2 (en)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JP2006149822A (ja) 衣類乾燥機
RU280715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US20230116412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RU28111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KR20200012658A (ko) 다기능 빨래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