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960A - 근육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근육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960A
KR20190038960A KR1020170128477A KR20170128477A KR20190038960A KR 20190038960 A KR20190038960 A KR 20190038960A KR 1020170128477 A KR1020170128477 A KR 1020170128477A KR 20170128477 A KR20170128477 A KR 20170128477A KR 20190038960 A KR20190038960 A KR 20190038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column
present
muscl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수
Original Assignee
서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수 filed Critical 서정수
Priority to KR1020170128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8960A/ko
Publication of KR20190038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kne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8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elbow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wrist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육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손가락, 팔목, 팔꿈치, 무릎관절 등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으며, 운동할 수 있는 장력을 조절 할 수 있는 특징의 근육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근육 운동 기구{Sports equipment}
본 발명은 근육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손가락, 팔목, 팔꿈치, 무릎관절 등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 또는 원격 통신기기와 운동정보를 전송 할 수 있는 근육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이나 팔, 다리 또는 허리 등을 다친 환자나 노인 분, 재화필요가 필요한 환자, 허약한 사람은 근력운동 등 운동을 하여 신체 부위 여러 근육을 발달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렇게 몸이 불편한 사람이 운동을 하려면, 헬스장이나 재활치료시설에 가야하는 불편이 있었고, 아령 등 기존 운동기구 사용에 환자나 장애인에게는 위험하고 불편하였다.
또한, 이러한 운동에 동행해야하는 보호자나 자원봉사자가 늘 곁에서 지켜보고 바라봐야하는 안전관리에 노심초사하는 마음으로 불편한 운동시간이 될뿐더러 건강하게 단련해야할 운동시간이 오히려 위험할 수도 있어서 보호자나 자원봉사자로서는 매우 긴장하고 피로하여 제대로 환자와의 운동치료보다는 매사 안전에 우선하게 되어 실제 운동시간이 짧아 운동효과를 보기 어려웠고, 또 운동관리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오로지 제한된 시간을 보내는 경우로 실제 장애인이나 환자 치료효과에 미비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자원봉사자의 경우엔, 서로 다른 환자나 장애인을 번갈아 운동하는데 지켜보고 관리하다보면 제대로 된 환자별 운동치료 운동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예를 들면, 어느 한 장애인이 어제는 500g 아령을 10번 했는지, 카운트나 운동소비량, 운동시간 등의 관리가 없이 최우선적으로 안전관리에 중점을 두고 운동시간이나 체육시간을 보내게 되면 각각의 환자나 장애인에 맞는 운동시간이나 운동프로그램이 무척 제한적인 문제로 환자별 수준이나 상황에 맞는 운동관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장애인이나 몸이 불편한 환자에겐 운동기구가 손이나 팔, 다리 등 신체적으로 직접 접촉하고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 때문에 운동할 수 있는 도구가 제한적이고 사용시간도 짧고, 정신집중이 힘든 장애인에겐 쉽게 싫증을 내어 운동이 더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쉽게 그만두거나 싫증을 내어 소중한 몸을 건강하게 만드는데 어려움, 문제점 있었다.
특히, 장애인에게 운동도구의 사용은 정상적이지 못해 혼자 가지고 운동하기에는 떨어뜨릴 위험이 있거나 무겁고 위험하다. 즉, 스스로 안전성과 체중유지를 할 수 없는 나이 어린 장애인의 경우엔, 의사소통도 어려워 운동할 상황이나 여건 부족 등 제대로 된 운동을 못하여 팔, 다리 근육이 가늘고 연약하게 계속 자라야 한다는 더 큰 문제점과 안타까움이 있었다.
또한, 치매환자의 경우엔, 일상적이고 정상적인 활동을 하지 못하게 되어 점차 근육이 쇠약해져 삶에 대한 희망과 의욕감 상실로 본인은 물론, 주변 가족에게 눈물이 나게 하는 일상사가 염려되고 발생하는 상황에 대해 환자에 맞는 제대로 된 운동기구나 운도 관리의 한계점과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가는,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나 장애인 신체조건 또는 환자의 재활 정도에 따라 신체 여러 근육의 운동 효과를 상승시키고 관리할 수 있는 근육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환자조건 또는 환자에 알맞은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관절이나 신체 근육 운동, 허리 운동효과의 조절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였다.
또한, 운동 상태를 센서정보로 획득하게 하고 무선통신으로 스마트 폰이나 인터넷으로 공유하여 외부전문가나 부모가 과학적으로 일정별, 상황별, 나이별, 신체사이즈별 등 조건에 맞는 운동량과 시간을 환자와 함께 보고 희망을 갖게 관리하며 신나고 재미있게 운동량을 채울 수 있으면서 보다 강하고 튼튼한 신체를 만들어 보다 일상적이며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거나 기회를 제공하여 살아서 기쁘고, 곁에 소중한 가족과 자원봉사자, 착하고 따뜻한 이웃이 있어서 행복한 대한민국, 장애인이나 환자가 차별받지 않는, 특히 의사소통까지도 못한 특수 장애 아동의 부모도 안심하고 행복하게 이웃과 사이좋게 지내는 행복한 대한민국 국민의 행복을 본 발명을 이용하여 더 풍요롭게 제공할 수 있도록 발명하도록 한 근육 운동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근육 운동 기구는 장애인이나 노인에게도 안전하고 오랫동안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팔, 다리, 허리 등 신체일부분에 착용하거나 삽입되도록 양측 단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탄성재질의 몸체로 형성되며, 몸체 일부분에는 여러 개의 돌기가 각각 서로 다른 부분에 돌출되거나 설치 또는 구성되어 돌출부와 일정거리 떨어진 돌출부에 탄선재질의 스프링이나 고무줄을 연결하여 장력 효과가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스프링이나 고물 줄의 갯수를 조절하거나 거리 조절 등 장력변화로 개개인별 특성이나 상황에 맞게 위치 조절 또는 장력 조절이 가능한 특징인 근육 운동 기구이다.
본 발명의 근육 운동 기구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가속도 센서 등이 수용 또는 적용되어 이러한 신호를 수집하거나 획득하여 제어장치를 통하여 기록 관리 및 무선통신으로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으로 운동시간, 운동량, 소비 칼로리 등 운동정보를 기록 관리도 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능이 있는 근육 운동 기구이다.
즉, 스스로 옷을 입거나 양말을 스스로 신지 못해도 본 발명의 근육 운동 기구를 발, 손, 팔꿈치, 종아리, 허벅지, 허리, 무릎 등 신체에 착용하게 하고 여기에 고무줄이나 스프링으로 특정 구간이나 특정위치를 장력이나 수축력을 제어하여 입고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특징이다.
당연하게도, 치매환자 및 일반인도 사용하여 스마트 폰으로 자신의 운동정보나 기록을 보고 매일매일 목표달성을 꾸준하게 지원 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근육 운동 기구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용어도 이해를 돕기 위한 문장 및 문구이므로 기능과 효과 등 유사한 변경이나 응용된 표현에 제한하지 않고 응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근육 운동 기구는, 운동기구가 위험한 상황에 발생하여 보호자나 재활치료사의 도움이나 관리가 필요한 장애인, 특수 장애아동, 재활 치료가 필요한 환자, 치매환자에게 위험하지 않도록 착용하여 운동하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이 편리하고 간편하고 위험요인이 감소한 근육 운동 기구로 일반인은 물론 특히, 특수 장애아동 또는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운동의 장력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보호자가 좀 더 편안하고 안심하면서 운동효과를 극대화 하여 개인의 건강단력과 가족의 건강과 행복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병원이나 특수 장애인 학교, 양로원 등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지내고 있는 가족에게
운동량의 정보나 시간, 꾸준한 건강관리 정보를 스마트 폰이나 인터넷으로 공유가 가능하여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가족 간의 정을 느끼게 하여 가정 개개인의 건강을 강하고 튼튼하게 자기관리에 도움을 주고 건강한 가정, 행복한 가정의 사연을 만들고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이점은, 인간사회에 특히나 황금만능주의 사회, 핵가족 사회에 가족의 소중함과 건강의 고마움 그리고 살아서 기쁨을 스스로 간직하고 보관하게 할 수 있어서, 이 세상 외롭지않고 행복하게 잘 지내게 해줄 수 있는 발명이다.
특히, 자녀가 장애가 있다는 사실로 이웃주변의 시선으로 운동할 기회나 시설이용이 불편하여 더욱더 허약하게 성장하게 되어 계속적으로 병원치료 비용의 증가와 허약하게 신체는 성장하여 부모는 더욱더 힘들어 살아서 행복이나 살아야 할 의욕 감퇴로 가족의 동반 자살 등 불우한 가정 사를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발명이다.
또한, 치매노인의 경우엔 자식이나 자녀들이 돈을 벌기 위해 곁에서 자주 자주 모시지 못하는 불효자식으로 마음한구석에는 불안하고 불편하여 안부전화나 하는 것으로 제한되었는데,
본 발명으로 스마트 폰이나 인터넷으로 치매환자와 그 가족 간에 치유과정이나 노력의 흔적이나 기록을 공유하거나 관리하게 하여 조금이나마 불효의 죄를 씻어낼 수 있을 수도 있는 본 발명인 근육 운동 기구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근육 운동 기구는 알게 모르게 소외되고 차별이 있는 가난한 장애인 가정, 특수 장애 가정, 치매노인 가정 등 장애인이나 환자 모두에게 사용이 가능하여 건강하게 운동관리 및 가족 간 끈끈한 정으로 의지하며 행복하게 잘 사는 나라로 발전하고 우리 인간사회가 진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발명이다.
이로서, 개인과 가정 그리고 이웃 모두가 건강하게 행복하게 지낼 수 있는 희망으로
가난해도, 몸이 불편해도, 치매가 있어도 언제나 행복한 가정을 유지하고 더 나아가 행복한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익한 본 발명인 근육 운동기구의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 나이 어린 장애인이나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스스로 건강하게 운동할 수 있는 의욕이나 자신감을 주어 굽힐 줄 모르는 씩씩한 기세로 운동에 대한 의지 및 재활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육 운동 기구의 일실시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1의 또 다른 모습을 보인 도
도 3은 도2의 측절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2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기구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육 운동 기구의 일 실시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또 다른 모습을 보인 도이며,
도 3은 도2의 측절단면도이다.
발명의 근육 운동 기구(1)는 장애인이나 노인에게도 안전하고 오랫동안 착용하거나 신체 일부분을 움직여 근육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팔, 다리, 허리 등 신체일부분에 착용하거나 삽입되도록 양측 단부가 개구(17)된 원통형의 탄성재질의 몸체(10)로 형성된다.
또는 팔, 다리, 허리 등 신체일부분에 착용하거나 삽입되도록 관통부(17)를 갖는 원통형의 몸체(10)로 구성되며 일부분이나 일부구간은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는 몸체(10) 일부분이 신체(70) 착용 후에도 운동구간 즉, 일부 부위가 구부러지거나 움직여서 착용과 함께 운동효과도 제공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다.
이때, 탄성 재질은 실리콘, 고무, 천연고무, 우레탄 등의 재질일 수 있으며, 기능성 복합으로 굽힘 부분이나 일부분만 탄성재질일 수도 있다.
굽힘 부분이나 일부분만 탄성재질일 경우엔 몸체(10)가 플라스틱, 목재 재질이 바람직하다.
몸체(1) 외주면 일부분에는 여러 개의 돌출부나 기둥(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둥(13)에는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있거나 기둥(13)이 일정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90),(90‘로 몸체(10) 일부분에 서로 떨어져 있는 기둥(13)간 연결시켜
몸체(10)의 특정 부분이나 위치구간이 서로 당기는 힘이나 조이는 힘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당기는 힘의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힘의 제어는 탄성부재(90)의 탄성력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탄성부재(90), (90‘는 고무줄, 스프링으로 사용하거나 적용 가능하며, 굵기나 길이 조절로 탄성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의 운동량이나 능력에 따라 탄성부재(90)를 쉽게 탈부착 등의 사용으로 사용자에게 알맞는 장력을 조절하여 사용 할 수 특징인 근육 운동 기구이다.
몸체(10) 일부분에는 제어장치(21)가 수용되거나 적용되거나 설치되어 있다.
몸체(10) 일부분 또는 제어장치(21)에는 사용자가 제어장치(21)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조작패널(41)이 형성되거나 구성된다.
몸체(10) 일부분에는 센서(27), (27‘가 적용 또는 설치되어 운동정보를 획득하여 제어장치(21)의 내부 제어부(31)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센서(27),(27‘의 종류로는 압력센서, 마이크, 가속도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여러개 사용하거나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27)는 제어장치(21) 또는 제어장치(21)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몸체(10) 일부분에 설치되어 전선(19)으로 제어부(31)로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2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근육 운동 기구(10)의 제어장치(21)에는 조작패널(41), 운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27)와 무선통신부(33)와 전원부(35)와 메모리부(37)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장치(21)에는 음향 송출 기능인 스피커(23) 구동 수단으로 소리나 청각 신호를 통해서도 방송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25)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표시 수단으로 시각적 신호나 정보도 디스플레이 또는 표시 제어하여 응용 할 수 있다.
방송수단이나 모니터 표시 수단 등 동작은 당연히 전자회로 및 프로그램이나 제어로 작동 및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메모리부(37)에는 음향신호나 센서(27)의 정보나 제어부(31)의 자료나 신호처리 할 데이터 또는 정보가 저장된다.
필요에 따라 운영프로그램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게 하면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부(33)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33)는 와이파이나 인터넷, 기타 통신기기나 스마트폰(100) 등과 통신으로 데이터나 프로그램 및 자료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31)는 프로그램으로 운영 및 동작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37)의 정보 또는 외부 통신 데이터의 신호 등 제어기능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응용 및 활용하거나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100)과 연계 통신으로 스마트 폰(100)의 음성정보나 음성내용 그리고 프로그램 제어 프로그램 등 통신으로도 제어되어 작동 할 수 도 있다.
즉, 무선 통신 기능이 있어서, 사용자의 운동 상태나 정보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도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기 위해 보인 도이며,
신체 일부분(70)인 팔꿈치 부분에 본 발명의 근육 운동 기구가 사용되는 모습이며,
운동 중에 착용한 신체일부분(70)과 이탈이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벨트(51)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면 5에서는 신체일부분(70) 중 팔꿈치 부분에 착용하여 운동하는 모습을 표현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응용 가능하다.
즉, 손가락, 손목까지 일반인처럼 통제가 어려운 특수 장애인 경우엔, 손가락에도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손목, 발목, 무릎, 허리 등 다양한 사이즈나 형태로 이용 및 활용이 가능하다.
이로써, 본 발명을 정리하면,
신체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되고 구부러질 수 있는 몸체,
몸체 외주면 일부분에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기둥(돌출부),
기둥과 기둥사이엔 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탄성부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의
근육 운동을 할 수 있는 특징의 근육 운동 기구이다.
다른 표현으로는
신체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되고 구부러질 수 있는 몸체,
몸체 외주면 일부분에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기둥(돌출부),
기둥과 기둥사이엔 몸체와 분리 가능한 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탄성부재로 연결가능하며,
몸체 일부분에는 운동정보를 획득 할 수 있는 센서와 제어장치로 사용자의 운동정보나 운동 상태를 기록하거나 무선통신으로 전송 할 수 있는 특징의 근육 운동 기구이다.
상기 몸체 일부분의 기둥과 기둥사이에 탄성부재(90)를 쉽게 탈부착 등의 사용으로 사용자에게 알맞는 장력을 조절하여 사용 할 수 특징인 근육 운동 기구이다.
10 : 몸체
13 : 기둥(돌출부)
17 : 관통부
21 : 제어장치
70 : 신체 일부분
90 : 탄성부재
100 : 스마트폰(또는 통신기기, 인터넷, 무선통신)

Claims (3)

  1. 신체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되고 구부러질 수 있는 몸체;
    몸체 외주면 일부분에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기둥(돌출부);
    기둥과 기둥사이엔 몸체와 분리 가능한 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탄성부재로 연결가능하며;
    몸체 일부분에는 운동정보를 획득 할 수 있는 센서와 제어장치로 사용자의 운동정보나 운동 상태를 기록하거나 무선통신으로 전송 할 수 있는 특징의 근육 운동 기구
  2. 신체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되고 구부러질 수 있는 몸체;
    몸체 외주면 일부분에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기둥(돌출부);
    기둥과 기둥사이엔 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탄성부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의
    근육 운동을 할 수 있는 특징의 근육 운동 기구
  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일부분의 기둥과 기둥사이에 탄성부재(90)를 쉽게 탈부착 등의 사용으로 사용자에게 알맞는 장력을 조절하여 사용 할 수 특징인 근육 운동 기구
KR1020170128477A 2017-10-01 2017-10-01 근육 운동 기구 KR20190038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477A KR20190038960A (ko) 2017-10-01 2017-10-01 근육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477A KR20190038960A (ko) 2017-10-01 2017-10-01 근육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960A true KR20190038960A (ko) 2019-04-10

Family

ID=6616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477A KR20190038960A (ko) 2017-10-01 2017-10-01 근육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89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584B1 (ko) 2023-02-27 2023-10-11 (주)지오에스 보행보조를 위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584B1 (ko) 2023-02-27 2023-10-11 (주)지오에스 보행보조를 위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7529B2 (ja) 動力で作動する矯正デバイス
US201800557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powered stretching exosuit
Morris et al.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haracterizing the intervention protocol
CN110337265A (zh) 用于改善外周神经功能的方法和装置
US2008031204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Telemonitoring
US1182616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treating proprioceptive dysfunction and vestibular disorders
Łuc et al. SARS-CoV-2 pandemic and the population with dementia. Recommendations under the auspices of the Polish Psychiatric Association
EP2923501B1 (en) Bone conduction apparatus and multi-sensory brain integration method
Seim et al. Design of a wearable vibrotactile stimulation device for individuals with upper-limb hemiparesis and spasticity
Micera et al. Gerontechnology
KR20190038960A (ko) 근육 운동 기구
Hashim et al. Exercise training with adaptation activities on strength and depression in elderly with post-stroke dementia: a case study
Helsel et al. Physical management of spasticity
Munih et al. MIMICS: Multimodal immersive motion rehabilitation of upper and lower extremities by exploiting biocooperation principles
KR102256818B1 (ko) 파킨슨 질병 개선을 위한 걸음 재활 보조 장치 및 방법
JP2002189809A (ja) 機能回復及び筋力強化運動実施管理方法
Seim et al. Perspectives on the design and performance of upper-limb wearable stimulation devices for stroke survivors with hemiplegia and spasticity
Islam Wearable technologies to support lower limb rehabilitation and clinical practice: user requirements, design, and evaluation
Nowak et al. Neurorehabilitation of the upper extremity
Lazaro et al.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Movement Limitations
Białkowska et al. Nursing competences in the interdisciplinary model of rehabilitation among patients after stroke
Guarnizo et al. Development of an Interface for Rehabilitation Based on the EMG Signal for the Control of the Ankle Exoskeleton T-FLEX
WO2024025866A1 (en) Articles and methods for assisting movement of extremities
Rakt et al. Dementia, how we can created the best quality of life for them. Physical-and partial cognitive assessment
EP3958943A1 (en) Wearable therapeut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