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757A -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757A
KR20190037757A KR1020170127410A KR20170127410A KR20190037757A KR 20190037757 A KR20190037757 A KR 20190037757A KR 1020170127410 A KR1020170127410 A KR 1020170127410A KR 20170127410 A KR20170127410 A KR 20170127410A KR 20190037757 A KR20190037757 A KR 20190037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change
detecting
landmark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윤창
Original Assignee
서윤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윤창 filed Critical 서윤창
Priority to KR1020170127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7757A/ko
Publication of KR20190037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1Ear-tags
    • A01K11/004Ear-tags with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s, e.g. transpo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7/00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 A61D17/002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for detecting period of heat of animals, i.e. for detecting oestr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Econom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의 발정을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감지된 여러 정보들을 이용하여 소의 발정 여부 및 발정 진행과정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Smart system for detecting the estrus of livestock}
본 발명은 가축의 발정을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소의 발정시기를 축산 농가의 작업자가 육안으로 소를 관찰하여 소의 발정여부를 판단하고 있는데, 육안으로 관찰함에 따라 질부의 부종과 홍조 및 삼출물, 소변 및 대변의 횟수 증가, 걸음걸이 횟수 증가, 발성음의 변화 등으로 소의 발정시기를 정확히 관찰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육안으로 발정시기를 관찰하는 가장 좋은 표식인 소의 행위인 승가행위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에 일시적으로 일어나고 또 주로 야간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작업자가 정확하게 포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소의 승가행위를 정확하게 포착하지 못하여 소의 공태기가 증가하면서 축산 농가의 수입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종래, 공개특허 제10-2004-0018232호에 의하면, 축사의 일정위치에 설치되어 축사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촬영된 영상신호 중에서 작업자가 소의 목에 설치해둔 표식을 검출하고, 또 그 표식의 높이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소의 승가 행위시 목 부분의 높이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 2 메모리와, 검출된 표식의 높이 변화량과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표식의 높이가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값 만큼 상승했는지와 또 그 상승한 횟수가 일정횟수에 도달하는지를 비교판단하는 제 2 비교부와, 상기 제 2 비교부의 비교결과 표식의 높이가 기준치 높이 만큼, 그리고 일정횟수 이상 상승하였다면 현재의 소가 발정 난 것으로 판단하고, 소의 발정상태가 제 2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의 발정여부 및 시간을 출력하는 제 2 표시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에 의하면, 메모리에 승가 행위시의 높이 변화 정보를 저장하여 비교수단으로 하고 있으나,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표식의 상승으로 인한 승가소보다는 승가허용소에 의한 승가 행위가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한 발정 감지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공개번호 : 1020040018232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승가허용소의 행위를 감지하는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소가 내는 발성음이나 행동을 감시하는 센서를 구성하고,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감지된 여러 정보들을 이용하여 소의 발정 여부 및 발정 진행과정을 정확히 감지하도록 하는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축사 일측에 설치되어 축사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서 소의 목에 설치된 표식을 검출하고, 표식의 하강여부를 검출하고, 인접하는 소의 표식 높이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 소의 표식의 높이변화를 검출한 값을 인접하는 소의 표식 식별번호와 함께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표식의 높이변화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저장된 소의 표식 식별번호에 대한 인접 위치와 높이 변화량을 비교분석하는 비교분석부; 및 상기 비교분석결과, 일정시간 간격으로 표식의 높이변화가 발생하고, 높이변화가 발생하는 소와 인접하는 소의 표식이 높이변화가 반대로 이루어지는 경우 표식 식별번호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교분석부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표식의 높이변화 발생여부를 감지하여 축사 내 표식의 위치좌표값을 생성하는 높이변화 감지모듈; 및 상기 높이변화 감지모듈의 축사 내 위치좌표와 인접하는 소의 표식을 감지하여 높이변화가 반대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시각을 감지하는 시각감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표식은 카메라 촬영을 통한 이미지 검출이 가능하도록 네모 형태와 세모 형태와 동그라미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축사 내에서 표식의 색깔과 형태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감지된 여러 정보들을 이용하여 소의 발정 여부 및 발정 진행과정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의 축사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위치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선 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0), 검출부(200), 데이터베이스(300), 비교분석부(400),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0)는 축사 일측에 설치되어 축사 내부를 촬영하는 구성이다.
검출부(200)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서 소의 목에 설치된 표식을 검출하고, 표식의 하강여부를 검출하고, 인접하는 소의 표식 높이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검출부 구성은 카메라 영상을 인식하고, 표식의 높이 변화를 검출하며, 축사 내에서의 각 표식의 위치좌표값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소의 표식의 높이변화를 검출한 값을 인접하는 소의 표식 식별번호와 함께 높이변화, 표식이 위치는 축사 내 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비교분석부(400)는 검출부에서 검출된 표식의 높이변화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저장된 소의 표식 식별번호에 대한 인접 위치와 높이 변화량을 비교분석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비교분석부(400)는 높이변화 감지모듈(410), 시각감지모듈(420), 발정강도 감지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변화 감지모듈(410)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표식의 높이변화 발생여부를 감지하여 축사 내 표식의 위치좌표값을 생성하고, 시각감지모듈(420)은 높이변화 감지모듈의 축사 내 위치좌표와 인접하는 소의 표식을 감지하여 높이변화가 반대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시각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발정강도 감지모듈(430)은 높이변화 감지모듈과 시각감지모듈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높이변화에 따른 표식에 인접하는 소 표식의 위치변화량, 즉 인접 소의 승가 또는 승가허용에 따른 표식의 높이변화량, 횟수, 축사내 위치좌표에 따른 각 표식의 인접위치 변화량에 따라 일정 기준치 이하를 미약발정으로 하고, 일정 기준치 이상을 강력발정으로 구분하여 발정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일정 기준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값으로서, 승가 또는 승가허용에 따른 표식의 높이변화 휫수가 10회, 시각감지모듈에 따른 감지결과 7 내지 8시간 이내로 설정할 수 있다.
강력발정은 높이변화 횟수가 10회 이상, 시각감지모듈에 따른 감지결과 7내지 8시간 이내인 경우이고, 미약발정은 높이변화 횟수가 10회 미만, 시각감지모듈에 따른 감지결과 7 내지 8시간 경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식은 카메라 촬영을 통한 이미지 검출이 가능하도록 네모 형태와 세모 형태와 동그라미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축사 내에서 표식의 색깔과 형태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의 제어부는 축사 내부를 촬영한 카메라로부터 영상 이미지를 받아 검출부로 소의 목에 설치된 표식을 검출하고, 표식의 하강여부를 검출하고, 인접하는 소의 표식 높이 변화를 검출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소의 표식 높이변화를 검출한 값을 인접하는 소의 표식 식별번호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검출부에서 검출된 표식의 높이변화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저장된 소의 표식 식별번호에 대한 인접 위치와 높이 변화량을 비교분석하여 그 결과, 일정시간 간격으로 표식의 높이변화가 발생하고, 높이변화가 발생하는 소와 인접하는 소의 표식이 높이변화가 반대로 이루어지는 경우 표식 식별번호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축사발정을 표식의 인접하는 표식과의 높이 변화와 위치좌표 등의 관계정도에 따라 강력발정과 미약발정을 구분하여 감지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한 구성의 응용을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이며,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더 이상 설명하지 않아도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도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라 보이며, 이에 본 발명의 청구항은 상술한 설명을 기반으로 하여 권리범위를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청구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이 기술분야 및 이와 연관된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해당분야에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말미암아 이 기술분야 및 이와 연관된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100 : 카메라
200 : 검출부
300 : 데이터베이스
400 : 비교분석부
410 : 높이변화 감지모듈
420 : 시각감지모듈
430 : 발정강도 감지모듈
500 : 제어부

Claims (3)

  1. 축사 일측에 설치되어 축사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서 소의 목에 설치된 표식을 검출하고, 표식의 하강여부를 검출하고, 인접하는 소의 표식 높이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
    소의 표식 높이변화를 검출한 값을 인접하는 소의 표식 식별번호와 함께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표식의 높이변화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저장된 소의 표식 식별번호에 대한 인접 위치와 높이 변화량을 비교분석하는 비교분석부; 및
    상기 비교분석결과, 일정시간 간격으로 표식의 높이변화가 발생하고, 높이변화가 발생하는 소와 인접하는 소의 표식이 높이변화가 반대로 이루어지는 경우 표식 식별번호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분석부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표식의 높이변화 발생여부를 감지하여 축사 내 표식의 위치좌표값을 생성하는 높이변화 감지모듈; 및
    상기 높이변화 감지모듈의 축사 내 위치좌표와 인접하는 소의 표식을 감지하여 높이변화가 반대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시각을 감지하는 시각감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은 카메라 촬영을 통한 이미지 검출이 가능하도록 네모 형태와 세모 형태와 동그라미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축사 내에서 표식의 색깔과 형태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
KR1020170127410A 2017-09-29 2017-09-29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 KR20190037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410A KR20190037757A (ko) 2017-09-29 2017-09-29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410A KR20190037757A (ko) 2017-09-29 2017-09-29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757A true KR20190037757A (ko) 2019-04-08

Family

ID=6616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410A KR20190037757A (ko) 2017-09-29 2017-09-29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775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641B1 (ko) 2020-02-27 2020-10-21 동양정보서비스(주) 가축 농가의 축사 관리 시스템 및 축사 관리 방법
KR20210068658A (ko)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원포인트 LoRA 통신을 이용한 축사 제어 통합 모니터링시스템
KR20210072426A (ko)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원포인트 축사의 원격 전력제어시스템
KR20220134151A (ko) * 2021-03-26 2022-10-0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의 활동 감지 시스템
WO2022255663A1 (ko) * 2021-06-02 2022-12-08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동물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644054B1 (ko) * 2023-10-19 2024-03-07 주식회사 예승정보통신 소 승가 판단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232A (ko) 2003-11-27 2004-03-02 연성찬 소의 발정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232A (ko) 2003-11-27 2004-03-02 연성찬 소의 발정 감지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658A (ko)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원포인트 LoRA 통신을 이용한 축사 제어 통합 모니터링시스템
KR20210072426A (ko)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원포인트 축사의 원격 전력제어시스템
KR102168641B1 (ko) 2020-02-27 2020-10-21 동양정보서비스(주) 가축 농가의 축사 관리 시스템 및 축사 관리 방법
KR20220134151A (ko) * 2021-03-26 2022-10-0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의 활동 감지 시스템
WO2022255663A1 (ko) * 2021-06-02 2022-12-08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동물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62996A (ko) *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동물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644054B1 (ko) * 2023-10-19 2024-03-07 주식회사 예승정보통신 소 승가 판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7757A (ko)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스마트 축사발정 감지시스템
KR101984983B1 (ko) 야생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EP29431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oestrus attention signal for a cattle animal
KR101806521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는 가축의 방역 시스템
KR101994338B1 (ko) 사육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76643B1 (ko)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101878B1 (ja) 診断装置
RU2010106264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животных при их прохождении через проход для животных
KR101679597B1 (ko) 객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096345A1 (zh) 基于机器视觉的牧草饲料检测系统和方法
US201902898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ivestock using radio frequency device
KR102522239B1 (ko) 영상 기반 가축의 급이 행동 분석 장치 및 방법
EP35998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individual animals in a group of animals
CN212589620U (zh) 对家畜的活动进行检测的活动检测设备
KR20140119228A (ko)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및 이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US11100642B2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for diagnosing animals
KR101568979B1 (ko) 깊이 정보를 이용한 동물의 머리 탐지 시스템 및 그 탐지 방법
EP35765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likelihood of states in cattle animal
EP4040956A1 (en) Animal detection
KR102305704B1 (ko) 어류의 질병여부를 판단하고 포획할 수 있는 어류질병 감지장치
CN110286625A (zh) 一种饲养对象管理系统和管理方法
KR102405940B1 (ko) 실화상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모돈 발정 확인 시스템
KR101573613B1 (ko) 승가 허용 행위 정보를 이용한 소 발정 감지 장치
KR20230026006A (ko) 축사 내 승가행위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TW202201328A (zh) 牲畜異常監測系統、方法、電腦程式產品及電腦可讀取紀錄媒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