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606A -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606A
KR20190037606A KR1020170127135A KR20170127135A KR20190037606A KR 20190037606 A KR20190037606 A KR 20190037606A KR 1020170127135 A KR1020170127135 A KR 1020170127135A KR 20170127135 A KR20170127135 A KR 20170127135A KR 20190037606 A KR20190037606 A KR 20190037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aptitude
information
genetic
consu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아
정규현
정규리
Original Assignee
이승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아 filed Critical 이승아
Priority to KR1020170127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7606A/ko
Publication of KR2019003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개인이 특정 적성과 관련된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는지 유전자 정보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 이를 통해 개개인의 유전자 정보와 일치하는 최적화된 적성을 선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aptitude information for individuals based on genes}
본 발명은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전자 정보 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개인이 적성과 관련하여 보유하고 있는 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개개인의 유전자 정보와 일치하는 최적화된 적성을 선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전의 일반적인 적성검사의 방법은 미리 작성된 설문지를 통하여 일정시간 동안 설문지 테스트를 함으로써 이루어졌다(도1). 이는 일정시간 주어진 문제를 풀어야 하는 심리적 환경에 따라 결과가 변화될 수 있고, 수험자 개인의 의지, 지식의 정도, 시간적 환경과 공간적 환경, 그리고 감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생기게 되며, 검사결과를 수치화 또는 유형화하여 해석하게 되므로 개인만이 가지고 있는 특수성을 정확히 알아내는데 한계점이 있다. 또한 무의식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행동, 감정, 인식, 판단 등의 특성들을 알아내는데 한계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선천적 특성의 활용을 통해서 개인의 재능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적성 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개개인의 유전 정보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선별된 적성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의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전자 검사 기관으로부터 수요자의 유전자 검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요자의 유전자 검사 정보 중에서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요자의 유전자가 다음의 6개의 유전자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적성 관련 유전자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제1 유전자군(SERT)
제2 유전자군(COMT)
제3 유전자군(SNAP25)
제4 유전자군(DRD4, DBH, RASA1),
제5 유전자군(COMT)
제6 유전자군(DRD2-TAQ-IA, KATNAL2)
상기 제1 내지 제6 유전자군을 사회형, 현실형, 탐구형, 예술형, 기업형, 관습형의 6가지 유전적 요인으로 매칭시켜 상기 수요자의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각 유전적 요인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유전적 요인에 속하는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에 따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분류된 유전적 요인과 이에 속하는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기반으로 상기 검사자의 맞춤 적성에 대한 코멘트를 생성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적합한 적성 선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자에게 상기 적성 선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방법은 적성에 대한 유전자와 적성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아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회형, 현실형, 탐구형, 예술형, 기업형, 관습형에 대한 아래 유전자와 rsID 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aptitude type 및 characteristic 의 적성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분 Aptitude type Characteristic GENE SNP
제1유전자군 사회형 SOCIABILITY SERT rs3923890
제2유전자군 현실형 WORRIER COMT rs4680
제3유전자군 탐구형 INTELLIGENCE SNAP25 rs363050
제4유전자군
예술형 EXPLORER DRD4 rs2065954
Impulsiveness DBH rs1611115
Openess to Experience RASA1 rs1477268
rs2032794
제5유전자군 기업형 WARRIOR COMT rs4680
EXTROVERT COMT rs4680
제6유전자군 관습형 Avoidance of Errors DRD2-TAQ-IA rs1800497
Conscientiousness KATNAL2 rs2576037
본 발명에 의한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은, 수요자로부터 채취된 혈액과 타액 등의 인체유래물로부터 추출된 DNA를 사용한 유전자 검사에 의해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은, 수요자로부터 채취된 인체유래물로부터 추출된 DNA를 차세대시퀀싱 또는 DNA microarray 등의 방법으로 분석된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유전자 검사의 결과 정보, 상기 맞춤형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검사자의 유전자 검사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유전자 검사 정보 중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기초로 상기 검사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적성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검사자에게 상기 맞춤형 적성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유전자 검사에 의해 확인되는 상기 검사자의 적성 관련 유전자가 다음의 제1 내지 제6 유전자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적성 관련 유전자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며,
제1 유전자군(SERT)
제2 유전자군(COMT)
제3 유전자군(SNAP25)
제4 유전자군(DRD4, DBH, RASA1),
제5 유전자군(COMT)
제6 유전자군(DRD2-TAQ-IA, KATNAL2)
상기 제1 내지 제6 유전자군을 사회형, 현실형, 탐구형, 예술형, 기업형, 관습형의 6가지 유전적 요인으로 매칭시켜 상기 검사자의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각 유전적 요인으로 분류하는 분류 모듈과,
상기 분류된 유전적 요인에 속하는 각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에 따른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모듈과,
상기 분류된 유전적 요인과 이에 속하는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기반으로 상기 검사자의 적성에 대한 코멘트를 생성하는 코멘트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각각의 개인이 특정 적성과 관련된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는지 유전자 정보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 이를 통해 개개인의 유전자 정보와 일치하는 최적화된 적성을 선별하는 방법 및 기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주관적이고 경험에 의존하는 설문 조사보다 선천적인 데이터를 활용함으로 보다 객관적이고도 과학적으로 적성을 검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적성검사지 작성에 의한 적성검사 방법의 한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을 위한 구성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검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결과의 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결과의 한 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을 위한 구성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먼저 사용자가 적성검사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 받아 유전자 검사 수행을 의뢰하기 위해 사용자 자신의 타액을 보낸다. 검사 서버는 타액을 사용하여 유전자 정보를 수집하고 적성검사을 위한 유전자를 추출한 후, 통신망를 이용하여 적성검사 시스템에 연결하여 개인의 적성검사를 분석수행한다. 이를 토대로 사용자를 위한 적성 검사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이용자 고객에게 전달한다.
상기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은 수요자로부터 채취된 인체유래물로부터 추출된 DNA를 사용한 유전자 검사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유전자 검사 결과를 기초로 하여 맞춤형 적성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요자의 유전자 검사는 수요자로부터 채취된 인체유래물로부터 추출된 DNA를 차세대 시퀀싱 또는 DNA microarray 등의 방법으로 분석된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정보를 사용하여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확인한다.
여기에서,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단일염기다형성은 단일염기수준에서 사람들 간의 DNA 서열 차이를 말한다. 사람의 DNA는 99.9%가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남은 0.1% 차이가 머리색, 키, 체질 등의 변화를 가져온다. 개인별로 염기서열의 차이를 분석해 보면, 그 중 90%가 같은 위치에서 한 염기가 다른 염기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여러 사람들의 DNA 염기 서열에서 다른 염기가 같은 위치에서 발견되는 것을 SNP(단일 염기다형성)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적성 관련 유전자의 SNP를 특정하고, 유전자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수요자의 유전자를 분석한다. SNP 유전자 분석 방법의 일례로 TaqMan assay, MassArray, Infinium assay, Affymetrix SNP Chip assay, 차세대시퀀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전자 분석 방법은 하나의 예시로써 다른 다양한 유전자 분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검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검사 시스템(100)은, 수요자로부터 채취된 혈액을 사용한 유전자 검사에 의해 확인되는 유전자 검사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110), 상기 유전자 검사 정보 중 상기 적성과 관련된 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기초로 상기 검사자에게 적합한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120), 상기 검사자에게 상기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검사 시스템(100)은 검사자의 정보, 기타 적성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110)는 검사자로부터 채취된 혈액을 사용한 유전자 검사에 의해 확인되는 유전자 검사 정보를 획득하며, 유전자 검사 정보가 검사자 맞춤형 적성 정보의 기초 자료가 된다.
정보 생성부(120)는 유전자 검사 정보 중 수요자의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기초로 상기 수요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적성 정보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수요자의 신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성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생성부(120)는 수요자의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사회형, 현실형, 탐구형, 예술형, 기업형, 관습형의 6가지 유전적 요인으로 분류하는 분류 모듈(122), 상기 분류된 유전적 요인에 속하는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에 따른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모듈(124), 상기 분류된 유전적 요인과 이에 속하는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기반으로 상기 수요자의 적성 관련 유전자 및 맞춤형 적성에 대한 코멘트를 생성하는 코멘트 생성 모듈(12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류 모듈(122)은 유전자 검사에 의해 확인되는 수요자의 적성 관련 유전자를 상술한 제1 내지 제10 유전자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적성 관련 유전자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제1 내지 제10 유전자군을 사회형, 현실형, 탐구형, 예술형, 기업형, 관습형의 유전적 요인으로 매칭시켜 상기 수요자의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각 유전적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생성 모듈(124)은 분류 모듈(122)에서 분류된 유전적 요인에 속하는 각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에 따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코멘트 생성 모듈(126)은 분류 모듈(122)에서 분류된 유전적 요인과 이에 속하는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기반으로 상기 수요자의 적성 관련 유전자 및 맞춤형 적성에 대한 코멘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30)는 수요자에게 상기 맞춤형 적성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정보 제공부(130)는 수요자에게 상기 맞춤형 적성 정보와 함께 관련 적성 정보 등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40)는 정보 제공부(130)에서 맞춤형 적성 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수요자의 적성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40)는 적성 관련 유전자 및 유전자형과 이를 포괄하는 유전적 요인, 상기 적성 관련 유전자에 대응되는 SNP 등 유전자 검사를 통해 적성 관련 유전자를 찾기 위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부(140)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논리적 또는 물리적인 저장 서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오라클(Oracle) 사의 Oracle DBMS,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사의 MS-SQL DBMS, 사이베이스(Sybase) 사의 SYBASE DBMS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전자 기반 적성 정보 제공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유전자 기반 적성 정보 제공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바, 유전자 기반 적성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인증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수단은 유전자 기반 적성 정보 제공 시스템에 접속한 유전자 기반 적성 정보 제공 단말 등의 인증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인증 수단은 유전자 기반 적성 정보 제공 단말이 최초 접속한 경우, 회원 가입을 요청하고, 상기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유전자 기반 적성 정보 제공 단말의 인증을 수행한다.
일례로, 인증 수단을 통해 사용자 등의 고유 인증 모듈의 색인자 또는 비밀번호를 통해 유전자 기반 적성 정보 제공 단말을 인증한다. 이러한 인증 수단은 텍스트파일 인증모듈(mod_auth), DBM인증모듈 (mod_auth_dbm), Berkeley DB 인증모듈(mod_auth_db), Anonymous 인증모듈(mod_auth_anon), PostgreSQL인증모듈, XNS 인증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게 되나, 이에만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구체적 실시예>
사용자가 적성검사을 의뢰하면, 서버는 700,000개가 넘는 유전자 표지를 해독하여 유전자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의 성향 분석과 개인에게 맞는 맞춤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망을 활용하여 적성검사 시스템에 연결한다.
또한, 서버는 개개인에 맞게 추출된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적성검사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유전자를 기반으로 한 적성검사 시스템은 크게 6가지로 분류된 사회형, 예술형, 탐구형, 현실형, 관습형, 기업형 유형 중에서 개인의 흥미 가치 선호에 가장 잘 맞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래 표2, 도4 및 도5는 유전자를 기반으로 한 적성검사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결과의 한 예이다.
Figure pat00001
이 사용자는 현실형/관습형/탐구형이 강하게 나타난 반면, 사회형인 면에서 취약하게 나타내었다.
따라서 현실형이 가장 강하게 표현된 것으로 추천직업으로는 컴퓨터, 기계/스마트 헬스케어 기기 개발자/엔지니어링/운동선수 이고, 결과는 이런 영역의 직업을 선택했을 때 일에 대한 효과가 더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00 적성검사 시스템
110 정보 획득부
120 정보 생성부
122 분류 모듈
124 정보 생성 모듈
126 코멘트 생성 모듈
130 정보 제공부
140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9)

  1. 수요자의 유전자 검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요자의 유전자 검사 정보 중에서 적성 관련 유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요자의 유전자가 복수의 유전자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적성 관련 유전자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유전자군을 유전적 요인으로 매칭시켜 상기 수요자의 적성 관련 유전자를 각 유전적 요인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유전적 요인에 속하는 적성 관련 유전자에 따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분류된 유전적 요인과 이에 속하는 적성 관련 유전자를 기반으로 상기 수요자의 맞춤 적성에 대한 코멘트를 생성하여 상기 수요자에게 적합한 적성 선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요자에게 상기 적성 선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전자군은 다음의 6개의 유전자군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방법.
    제1 유전자군(SERT)
    제2 유전자군(COMT)
    제3 유전자군(SNAP25)
    제4 유전자군(DRD4, DBH, RASA1),
    제5 유전자군(COMT)
    제6 유전자군(DRD2-TAQ-IA, KATNAL2)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적 요인은 사회형, 현실형, 탐구형, 예술형, 기업형, 관습형 등의 유전적 요인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성 관련 유전자는, 수요자로부터 채취된 인체유래물로부터 추출된 DNA를 사용한 유전자 검사에 의해 확인되는,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검사는,
    수요자로부터 채취된 인체유래물로부터 상기 수요자의 DNA를 추출하여 TaqMan assay, MassArray, Infinium assay, Affymetrix SNP Chip assay, 차세대시퀀싱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유전자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적성 관련 유전자를 확인하는,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검사의 결과 정보, 상기 맞춤형 적성 정보 등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방법.
  7. 수요자의 유전자 검사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유전자 검사 정보 중 적성 관련 유전자를 기초로 상기 수요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적성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수요자에게 상기 맞춤형 적성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유전자 검사에 의해 확인되는 상기 수요자의 적성 관련 유전자가 복수의 유전자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적성 관련 유전자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선택된 유전자군을 유전적 요인으로 매칭시켜 상기 수요자의 적성 관련 유전자를 각 유전적 요인으로 분류하는 분류 모듈과,
    상기 분류된 유전적 요인에 속하는 각 적성 관련 유전자에 따른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모듈과,
    상기 분류된 유전적 요인과 이에 속하는 적성 관련 유전자를 기반으로 상기 수요자의 적성에 대한 코멘트를 생성하는 코멘트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전자군은 다음의 6개의 유전자군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장치.
    제1 유전자군(SERT)
    제2 유전자군(COMT)
    제3 유전자군(SNAP25)
    제4 유전자군(DRD4, DBH, RASA1),
    제5 유전자군(COMT)
    제6 유전자군(DRD2-TAQ-IA, KATNAL2)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적 요인은 사회형, 현실형, 탐구형, 예술형, 기업형, 관습형 등의 유전적 요인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장치.
KR1020170127135A 2017-09-29 2017-09-29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7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135A KR20190037606A (ko) 2017-09-29 2017-09-29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135A KR20190037606A (ko) 2017-09-29 2017-09-29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606A true KR20190037606A (ko) 2019-04-08

Family

ID=6616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135A KR20190037606A (ko) 2017-09-29 2017-09-29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76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195B1 (ko) 2019-09-02 2020-02-04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Dna 적성 검사와 인적성 검사의 융합을 통한 솔루션 제공 시스템
KR102136207B1 (ko) * 2019-12-31 2020-07-21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유전자 정보 개인 맞춤형 소셜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2443B1 (ko) 2019-12-11 2020-08-10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유전 심리 복합인간형 정보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195B1 (ko) 2019-09-02 2020-02-04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Dna 적성 검사와 인적성 검사의 융합을 통한 솔루션 제공 시스템
KR102142443B1 (ko) 2019-12-11 2020-08-10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유전 심리 복합인간형 정보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36207B1 (ko) * 2019-12-31 2020-07-21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유전자 정보 개인 맞춤형 소셜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137539A1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유전자 정보 개인 맞춤형 소셜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50256B (zh) 一种分子诊疗精准医学平台
Tolley What are health utilities
JP5608789B2 (ja) サイトスタートアップの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Reis et al. Association between pain drawing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musculoskeletal chronic pain: A systematic review
Jamal et al. Practices and policies of clinical exome sequencing providers: analysis and implications
Kirkpatrick et al. GenomeConnect: matchmaking between patients, clinical laboratories, and researchers to improve genomic knowledge
US201303045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inical trial design
KR20190037606A (ko) 유전자 기반 개인별 맞춤형 적성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uggleby et al. Hope of rural women caregivers of persons with advanced cancer: guilt,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CN107924719B (zh) 疾病风险预测方法以及执行该方法的装置
Riggs et al. T owards a U niversal C linical G enomics D atabase: The 2012 I nternational S tandards for C ytogenomic A rrays C onsortium M eeting
WO2020149447A1 (ko) 보험 추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Özmen et al. Determination of care burden of caregivers of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in Turkey
WO2011119509A1 (en) Spatially constrained biosensory measurements to decode physiological states and user responses induced by marketing media
GB2561300A (en)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ng disease and generating treatment recommendations
Hawton et al. Using the Multiple Sclerosis Impact Scale to estimate health state utility values: mapping from the MSIS-29, version 2, to the EQ-5D and the SF-6D
Ermakova et al. Antecedents of health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Fine et al. Benchmarker: an unbiased, association-data-driven strategy to evaluate gene prioritization algorithms
Hymel et al. A cluster randomized trial to reduce missed abusive head trauma in pediatric intensive care settings
Sudrajat et al. Nurse burnout: comparing public and private hospitals in Indonesia
CN105023219A (zh) 基因产品服务方法
Alyousfi et al. Gene-specific metrics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of disease genes for molecular diagnosis in patient genomes: a systematic review
CN104573408A (zh) 单一核苷酸多型性疾病发生率预测系统
ES2456240T3 (es) Método y sistema informático para evaluar anotaciones de clasificación asignadas a secuencias de ADN
KR20160037436A (ko) 건강 키오스크 장치, 건강 정보 제공방법 및 건강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